KR20090013962A - 의류처리장치 및 팬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및 팬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3962A
KR20090013962A KR1020070078137A KR20070078137A KR20090013962A KR 20090013962 A KR20090013962 A KR 20090013962A KR 1020070078137 A KR1020070078137 A KR 1020070078137A KR 20070078137 A KR20070078137 A KR 20070078137A KR 20090013962 A KR20090013962 A KR 200900139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fan housing
fan assembly
hot air
condens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8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6274B1 (ko
Inventor
문정욱
박대윤
홍석기
김종석
유승규
박혜용
최창규
김동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8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6274B1/ko
Priority to US12/219,948 priority patent/US20090151189A1/en
Priority to DE102008035798A priority patent/DE102008035798A1/de
Priority to FR0855341A priority patent/FR2919626A1/fr
Priority to CNA2008101611187A priority patent/CN101358427A/zh
Publication of KR20090013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39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6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6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6Flow or veloc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6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ir ducts, e.g. position of flow diver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16Air properties
    • D06F2105/20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넷; 상기 캐비넷에 열풍을 공급하기 위해 공기를 가열하며, 상기 공기 중의 습기를 제거하는 열풍공급장치; 및 상기 열풍공급장치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상기 캐비넷 내부로 순환시키며, 구동 중 발생하는 응축수를 배출하는 응축수 배출수단을 구비하는 팬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의류처리장치에 의할 경우, 응축수가 상기 팬 어셈블리 내부에 잔류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의류처리장치 구동시 발생하는 이상소음을 최소화하고, 상기 잔류 응축수에 의한 악취를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의류처리장치, 팬어셈블리, 응축수배출수단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및 팬어셈블리{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Fan assembly}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의류처리장치 내부에 팬을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라 함은 의류에 관련된 각종 처리작업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의류를 세탁하는 의류세탁장치, 젖은 의류를 건조하는 의류건조장치, 의류를 재생처리 하기 위한 리프레쉬장치 등 많은 기기 등을 포함한다.
상기 의류처리장치가 의류를 건조하거나, 살균 및 탈취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의류가 보관되는 공간으로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할 수 있고, 이 경우 팬을 구비하여 공기를 순환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만, 상기 의류처리장치를 구동하여 팬을 회전시키는 경우, 팬을 통과하는 공기중의 습기가 응결되어 이상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 의류가 보관된 공간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경우, 상기 팬에서 온도가 저하되면서 응축수가 형성되어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구동시 발생하는 이상소음이 심각하였다.
또한 이 경우 상기 응축수가 팬에 잔류하여 장기간 방치되는 경우, 악취가 발생하는 문제점도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구동시 발생하는 이상소음을 최소화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내부에 발생하는 악취등의 원인을 제거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넷; 상기 캐비넷에 열풍을 공급하기 위하여 공기를 가열하여, 상기 공기중의 습기를 제거하는 열풍공급장치; 및 상기 열풍공급장치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상기 캐비넷 내부로 순환시키며, 구동 중 발생하는 응축수를 배출하는 응축수 배출수단을 구비하는 팬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캔 어셈블리는 외관을 형성하는 팬 하우징; 상기 팬 하우징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팬; 및 상기 팬 하우징 내부에 발생하는 응축수를 제거하는 응축수배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축수 배출수단은 상기 팬 하우징에 형성된 통공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통공은 상기 팬 하우징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열풍공급장치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저장하 는 섬프를 더 포함하고, 이때 상기 팬 하우징에서 발생된 응축수는 상기 통공을 통해 상기 섬프로 배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팬 어셈블리는 상기 통공이 상기 섬프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외관을 형성하는 팬 하우징; 상기 팬 하우징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팬; 및 상기 팬 하우징 내부에 발생하는 응축수를 제거하는 응축수배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 어셈블리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팬 어셈블리는 외관을 형성하는 팬 하우징; 상기 팬 하우징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팬; 및 상기 팬 하우징 내부에 발생하는 응축수를 제거하는 응축수배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축수 배출수단은 상기 팬 하우징에 형성된 통공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통공은 상기 팬 하우징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팬 어셈블리에 발생하는 응축수가 상기 팬 어셈블리 내부에 잔류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의류처리장치 구동시 발생하는 이상소음을 최소화하고, 상기 잔류되는 응축수에 의한 악취를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상기 팬 어셈블리에 발생하는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구성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상기 열풍공급장치에서 발생하는 응축수 배출수단을 공용하 여 간편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의류처리장치 중에서 리프레쉬장치를 이용하여 구성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다. 본 발명은 리프레쉬장치로 구성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열풍공급장치 및 스팀발생장치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의류처리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캐비넷(10)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며, 그 내부에 의류를 수용하는 수용공간(20) 및 하기 후술하는 각종 구성요소가 설치된다.
먼저, 캐비넷(10) 내부에는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공기를 가열하여 상기 캐비넷(10)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고 상기 공기중의 습기를 제거하는 열풍공급장치(3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열풍공급장치(30)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상기 캐비넷(10) 내부로 순환시키기 위한 팬 어셈블리(100)를 포함한다. 그리고 기타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목적에 부합하기 위한 각종 구성요소들이 설치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각각의 구성요소 중 주요 구성요소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캐비넷(10)은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의류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20)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캐비넷(10) 내부로 의류를 수용할 수 있 도록 상기 캐비넷(10) 일면에 도어(11)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캐비넷(10)의 외면에는 상기 의류처리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각종 조작 스위치(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열풍공급장치(30)는 상기 캐비넷(1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의류가 수용된 공간(20)으로 열풍을 공급하며, 공기 중 습기를 제거한다. 일반적으로 열풍은 상승하려는 성질을 갖는 바, 상기 열풍공급장치는 상기 캐비넷의 하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풍공급장치(30)는 상기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의 용량에 따라 히터 또는 열전소자를 이용하여 열풍을 공급하고, 별도의 제습장치를 구비하는 형식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열풍공급과 동시에 제습기능까지 수행할 수 있는 히트펌프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열풍공급장치(30)는 히트펌프로서, 공기조화장치 등에서 사용되는 히트펌프와 유사하다. 즉, 상기 열풍공급장치(30)는 냉매가 순환하는 증발기, 압축기, 응축기 및 팽창밸브를 구비한다. 이 경우, 증발기에서 냉매가 증발하면서 주변 공기의 잠열을 흡수하게 되어, 공기를 냉각시켜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켜 제거한다. 또한, 압축기를 거쳐 응축기에서 냉매가 응축되는 경우에 주변 공기를 향해 잠열을 방출함으로써 주변 공기를 가열하게 된다. 따라서, 증발기와 응축기가 열교환기의 기능을 하게 되어, 상기 열풍공급장치(30)로 유입된 공기는 증발기(24)와 응축기(28)를 거쳐 제습 및 가열되는 것이다.
상기 열풍공급장치(30)에서 가열된 공기는 팬 어셈블리(100)에 의하여 상기 수용공간(20)으로 공급되어 상기 캐비넷(10)의 내부를 순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팬어셈블리(100)가 상기 열풍공급장치(30)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열풍공급장치(30)로부터 가열된 공기를 유입하고 수용공간(20) 방향으로 배출하여 공기의 순환을 유도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예를들어 의류가 수용된 공간(20)으로부터 공기를 유입하고 열풍공급장치(30) 방향으로 배출하여 공기의 순환을 유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상기 팬 어셈블리(1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는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팬 어셈블리(100)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외관을 형성하는 팬 하우징(110), 상기 팬 하우징(110)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팬(120) 및 상기 팬 하우징(110) 내부에 발생하는 응축수를 제거하는 응축수 배출수단(1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팬 어셈블리(100)를 사용한다.
상기 팬(120)은 구동부(140)에 의하여 회전되면서 공기를 유입 및 배출하여 일정방향으로 순환시킬 수 있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팬 하우징(110)은 상기 팬 어셈블리(100)의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설치된 팬(120) 및 구동부(140) 등의 구성요소를 보호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바람직하게 전면에서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팬하우징(110)을 따라 형성된 유로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팬 어셈블리(100)가 사용된다. 팬 하우징(110)의 형상으로 유로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어, 한정된 공간에서 원하는 방향 으로의 유로형성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팬 어셈블리(100)의 전면방향에서 공기를 유입된 공기는, 상기 팬 하우징(110)의 내부를 따라 의류가 수용된 공간으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팬 어셈블리(100)는 상기 팬 어셈블리(100)의 구동 중 발생하는 응축수를 배출하는 응축수 배출수단(130)을 더 구비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팬 어셈블리(100)는 열 전도율이 높지 않은 부재로 구성되어, 열풍이 상기 팬 어셈블리(100)를 통과하더라도 상기 열풍에 비해 낮은 표면온도를 유지한다. 따라서 습기를 포함하는 고온의 열풍이 상기 팬 어셈블리(100)를 통과하는 경우, 상기 팬 어셈블리(100)와 접하는 부분에서 열풍의 온도가 이슬점 온도 이하로 저하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응축수가 생성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팬 하우징(110)을 따라 열풍의 유로가 형성되어 열풍이 통과하면서 상기 팬 하우징(110)과 접촉하는 면적이 넓어 응축수가 발생하기 쉽다.
이와 같이 상기 팬 어셈블리(100)의 내부에 응축수가 형성되면, 상기 팬(120)이 회전하면서 심각한 소음을 야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축수에 의하여 상기 팬 어셈블리(100)의 구동부(140) 등이 부식되기 쉽고, 악취를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팬 어셈블리(100)의 내부에 발생하는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응축수 배출수단(130)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응축수 배출수단(130)은 상기 팬 하우징(11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풍이 가장 넓은 면적으로 상기 팬 어셈블리(100)와 접촉하는 부분이 상기 팬 하우징(110)이고, 또한 상기 팬(120)에서 발생하는 응축수의 경우 회전시 원심력에 의하여 팬 하우징(110)으로 흩어지기 때문에 상기 응축수 배출수단(130)은 상기 팬 하우징(110)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응축수 배출수단(130)은 통공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구성이 크게 형성되는 경우, 상기 열풍 까지도 상기 팬 하우징(110) 외부로 배출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상기 팬 하우징(110)에서 외부로 관통하는 통공(130)을 형성하여 응축수를 간단하게 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통공(130)은 상기 팬 하우징(110)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팬하우징(110)에 응축수가 발생하는 경우 중력에 의해 상기 팬 하우징(110) 하부에 고이기 때문이다.
이 때 상기 팬 하우징(110)의 하면은 아래로 볼록한 형상을 하여, 상기 통공(130)이 구비되는 팬 하우징(110) 하부에 용이하게 고이도록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팬 하우징(110)의 하면이 아래로 볼록한 형상인 경우, 열풍이 통과하면서 팬 하우징(110)과의 저항력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4은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열풍공급장치(30)와 팬 어셈블리(100)의 응축수 배출경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서 응축수 배출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열풍공급장치(30)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저장하는 섬프(sump)(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풍공급장치(30)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 및 증발기로 구성되는 냉동사이클을 형성하고, 상기 열풍공급장치(30)에 포함된 냉매가 상기 냉동사이클을 따라 상(狀)변화를 하면서 외부의 공기와 열교환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상기 증발기에서는 주변의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상기 냉매가 액체에서 기체로 기화된다. 따라서 주변의 공기가 냉각되어 이슬점 온도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 상기 공기에 포함된 습기로부터 응축수가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발생한 응축수를 저장하여 배출할 수 있는 섬프(4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포함되는 섬프(40)는 히트펌프로부터 상기 과정을 거쳐 발생되는 응축수를 저장하지만, 상기 열풍공급장치(30)가 별도의 제습장치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습장치에서 제습된 응축수를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섬프(40)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 상기 팬 하우징(110)에서 발생된 응축수는 상기 통공(130)을 통해 상기 섬프(40)로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의류처리장치 내부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배출하는 구성을 별도로 구비하는 것보다, 상기 하나의 섬프(40)로 같이 저장하여 일괄적으로 배출하는 것이 유리하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공(130)과 연결되는 관(41)을 구비하여 상기 팬 어셈블리(100)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상기 섬프(40)로 배출할 수 있게 한다.
이 때 상기 팬 어셈블리(100)는 상기 통공(130)이 상기 섬프(40)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공(130)이 상측에 위치할 경우, 펌프 등의 별도 구성요소 없이 수두차에 의하여 자연적으로 배출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공(130)과 상기 섬프(40)를 연결하는 관(41)을 구비하여 상기 팬 어셈블리(100)의 운전 중 발생하는 응축수가 배출되도록 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통공(130)으로부터 낙하하여 바로 섬프(40)로 배출되도록 형성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의류처리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간략하게 살펴본다.
의류처리행정을 진행하기 위하여, 의류를 상기 캐비넷(10) 내부에 수용한다. 그리고 상기 의류처리장치가 구동되면서 상기 열풍공급장치(30)에 의하여 공기가 가열된다. 상기 열풍공급장치(30)에 의해 가열되는 공기는 인접하여 설치된 팬 어셈블리(100)에 의해 유도되어 상기 의류가 수용된 공간(20)으로 공급된다.
상기 고온의 열풍은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상기 팬 어셈블리(100)를 통과하면서 응결되고, 상기 팬 어셈블리(100)의 팬 하우징(110)에 응축수가 형성된다. 상기 응축수는 상기 팬 하우징(110) 하부로 흘러내려 상기 팬 하우징(110) 하부에 위치한 통공(130)을 통해 배출된다.
또한 상기 열풍공급장치(30)는 제습과정에 발생하는 응축수를 저장하기 위한 섬프(40)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섬프(40)는 상기 팬 어셈블리(100)에 구비된 통 공(130)의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팬 어셈블리(100)의 운전 중 발생하는 응축수도 상기 통공(130)과 상기 섬프(40)를 연결하고 있는 관(41)을 타고 흘러 상기 섬프(40)에 저장된다.
따라서 상기 팬 어셈블리(100)의 운전 중 발생되는 응축수는 상기 열풍공급장치(30)의 제습과정에서 발생되는 응축수와 함께 상기 섬프(40)에 저장된 후 외부로 배출되어, 구동중 발생하는 소음 및 악취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의류처리장치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팬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응축수 배출경로를 나타낸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캐비넷 30 : 열풍공급장치
40 : 섬프 100 : 팬어셈블리 110 : 팬하우징 130 : 응축수배출수단

Claims (9)

  1.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넷;
    상기 캐비넷에 열풍을 공급하기 위해 공기를 가열하며, 상기 공기 중의 습기를 제거하는 열풍공급장치; 및
    상기 열풍공급장치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상기 캐비넷 내부로 순환시키며, 구동 중 발생하는 응축수를 배출하는 응축수 배출수단을 구비하는 팬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팬 어셈블리는,
    외관을 형성하는 팬 하우징;
    상기 팬 하우징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팬; 및
    상기 팬 하우징 내부에 발생하는 응축수를 제거하는 응축수배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배출수단은 상기 팬 하우징에 형성된 통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은 상기 팬 하우징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공급장치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저장하는 섬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팬 하우징에서 발생된 응축수는 상기 통공을 통해 상기 섬프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팬 어셈블리는 상기 통공이 상기 섬프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외관을 형성하는 팬 하우징;
    상기 팬 하우징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팬; 및
    상기 팬 하우징 내부에 발생하는 응축수를 제거하는 응축수배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 어셈블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배출수단은 상기 팬 하우징에 형성된 통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 어셈블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은 상기 팬 하우징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 어셈블리.
KR1020070078137A 2007-08-03 2007-08-03 의류처리장치 및 팬어셈블리 KR101366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8137A KR101366274B1 (ko) 2007-08-03 2007-08-03 의류처리장치 및 팬어셈블리
US12/219,948 US20090151189A1 (en) 2007-08-03 2008-07-30 Clothes treatment apparatus
DE102008035798A DE102008035798A1 (de) 2007-08-03 2008-07-31 Bekleidungsbehandlungsgerät
FR0855341A FR2919626A1 (fr) 2007-08-03 2008-08-01 Appareil de traitement des vetements.
CNA2008101611187A CN101358427A (zh) 2007-08-03 2008-08-04 衣物处理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8137A KR101366274B1 (ko) 2007-08-03 2007-08-03 의류처리장치 및 팬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3962A true KR20090013962A (ko) 2009-02-06
KR101366274B1 KR101366274B1 (ko) 2014-02-20

Family

ID=40243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8137A KR101366274B1 (ko) 2007-08-03 2007-08-03 의류처리장치 및 팬어셈블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90151189A1 (ko)
KR (1) KR101366274B1 (ko)
CN (1) CN101358427A (ko)
DE (1) DE102008035798A1 (ko)
FR (1) FR291962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1589A (ko) * 2021-02-25 2022-09-01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26251A1 (de) * 2006-06-06 2007-12-13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Trocknen von Waschgut
AU2011221726B2 (en) * 2010-03-03 2014-07-10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2493159A (zh) * 2011-11-14 2012-06-13 镇江市金舟船舶设备有限公司 干衣柜
CN205275961U (zh) * 2014-12-03 2016-06-01 骆能文 一种衣物护理机
USD1025526S1 (en) * 2021-08-17 2024-04-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ing care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6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78048A (en) * 1937-10-23 1939-10-31 Frank P Mies Garment hanger
US2462344A (en) * 1948-02-18 1949-02-22 William G Anderson Support for shiftable curtain rods
US3030712A (en) * 1959-12-07 1962-04-24 Lambert Chandley William Vacuum clothes dryer
US3102796A (en) * 1960-12-01 1963-09-03 Gen Electric Laundry machine
US3197886A (en) * 1962-06-14 1965-08-03 Gen Electric Clothes dryer with optional additional drying means
US3417481A (en) * 1966-06-16 1968-12-24 Joseph F. Rumsey Jr. Attachment for dryers or the like
US3425136A (en) * 1968-03-20 1969-02-04 Chandley W Lambert Vacuum clothes dryer with interior drum heater and vertical air ducts
US3673701A (en) * 1970-06-16 1972-07-04 Robert V Albertson Combined building humidifier and clothes dryer
US3866333A (en) * 1971-09-17 1975-02-18 Siemens Elektrogeraete Gmbh Dehumidifier for air utilized in laundry drying
US3921308A (en) * 1973-11-23 1975-11-25 Challenge Cook Bros Inc Methods for treating yarn bundles
US4189341A (en) * 1975-07-28 1980-02-19 Thor Dahl, Inc. Envelope opening mechanism
US4041614A (en) * 1976-07-12 1977-08-16 Robinet Norman A Clothes dryer
US4103433A (en) * 1976-11-08 1978-08-01 Q-Dot Corporation Home laundry dryer
DE2806873C3 (de) * 1978-02-17 1981-03-26 Bauknecht Hausgeräte GmbH, 70565 Stuttgart Trommelwasch- und Trockenmaschine
US4257173A (en) * 1979-08-27 1981-03-24 Smith Derrick A No-heat clothes dryer
US4305211A (en) * 1980-02-19 1981-12-15 Peterson Paul E Vacuum dryer
JPS5846997A (ja) * 1981-09-16 1983-03-18 株式会社東芝 乾燥機
US4615125A (en) * 1983-09-30 1986-10-07 Wyborn Kenneth George Clothes dryer
US4603489A (en) * 1984-10-05 1986-08-05 Michael Goldberg Heat pump closed loop drying
US4819341A (en) * 1986-10-17 1989-04-11 Donald Gayso Dryer for permanent press fabrics
CA2082803A1 (en) * 1990-05-18 1991-11-19 Wilhelm Lange Process and device to dry laundry and the like
US5131169A (en) * 1991-01-22 1992-07-21 General Electric Company Vacuum-assisted rapid fabric dryer and method for rapidly drying fabrics
DE59201588D1 (de) * 1991-08-08 1995-04-13 Rewatec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Reinigung und Trocknung von Behandlungsgut, insbesondere Textilien.
US5369892A (en) * 1993-06-04 1994-12-06 Dhaemers; Gregory L. Armoire
JPH07248128A (ja) * 1993-09-07 1995-09-26 Nippondenso Co Ltd 空調機のドレン処理装置
US5459945A (en) * 1994-08-03 1995-10-24 Shulenberger; Arthur Heat recapturing, vacuum assisted evaporative drier
JP3613843B2 (ja) * 1995-06-28 2005-01-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衣類乾燥機
US5715555A (en) * 1995-09-12 1998-02-10 Motorola Inc. Smart laundry system and methods therefor
US5724750A (en) * 1995-11-16 1998-03-10 Burress; Vergel F. Clothes dryer with Peltier effect heating, infrared heating, and vacuum drying capabilities
US5672370A (en) * 1996-04-16 1997-09-30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Method of producing a dried krill product
US5806204A (en) * 1997-06-13 1998-09-15 Mmats, Inc. Material dryer using vacuum drying and vapor condensation
US6151795A (en) * 1997-06-13 2000-11-28 Mmats Incorporated Flat material dryer
US6105272A (en) * 1998-06-22 2000-08-22 Cabot Corporation High temperature rotating vacuum kiln for heat treating solid particulate material under a vacuum
US6380517B2 (en) * 1999-06-21 2002-04-30 Cabot Corporation High temperature rotating vacuum kiln and method for heat treating solid particulate material under a vacuum
US6463940B1 (en) * 2000-04-13 2002-10-15 Ecolab Inc. Smart rack and machine system
DE10030531B4 (de) * 2000-06-28 2004-08-26 Multitroc Patentverwertungsgesellschaft Mbh & Co.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ügelfreien Trocknung von feuchtem Gut, insbesondere von feuchter Wäsche bzw. Kleidung
KR100408060B1 (ko) * 2001-06-29 2003-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건조기의 송풍 장치
JP4169529B2 (ja) * 2002-04-23 2008-10-22 三洋電機株式会社 ドライクリーニング装置
US7437213B2 (en) * 2002-11-04 2008-10-14 Ecolab Inc. Monitoring performance of a warewasher
US6910292B2 (en) * 2003-02-06 2005-06-28 Maytag Corporation Clothes drying cabinet with improved air distribution
US6928752B2 (en) * 2003-04-04 2005-08-16 Maytag Corporation Combination tumble and cabinet dryer
KR100955484B1 (ko) * 2003-04-30 2010-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건조 제어방법
US7627960B2 (en) * 2003-06-30 2009-12-08 General Electric Company Clothes dryer drum projections
US6868621B1 (en) * 2003-08-08 2005-03-22 Grimm Brothers Plastics Corp. Clothes drying apparatus and method of drying clothes
US7191546B2 (en) * 2004-06-18 2007-03-20 Maruca Robert E Low temperature clothes dryer
US7418789B2 (en) * 2004-11-10 2008-09-02 Lg Electronics Inc. Combination dryer and method thereof
KR100662369B1 (ko) * 2004-11-30 200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열풍공급용 옷걸이가 구비된 복합식 건조장치
US7908766B2 (en) * 2004-12-06 2011-03-22 Lg Electronics Inc. Clothes dryer
DE102006002713A1 (de) * 2005-03-18 2006-10-12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Frontbaugruppe für eine Wäschetrockenmaschine
KR101139250B1 (ko) * 2006-01-26 2012-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증기발생장치를 갖춘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783154B1 (ko) 2006-01-26 2007-12-07 김종춘 먼지오염 및 스티커부착방지용 코팅제 및 그제조방법
US7941885B2 (en) * 2006-06-09 2011-05-17 Whirlpool Corporation Steam washing machine operation method having dry spin pre-wash
US7730568B2 (en) * 2006-06-09 2010-06-08 Whirlpool Corporation Removal of scale and sludge in a steam generator of a fabric treatment appliance
US7765628B2 (en) * 2006-06-09 2010-08-03 Whirlpool Corporation Steam washing machine operation method having a dual speed spin pre-wash
US7627920B2 (en) * 2006-06-09 2009-12-08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of operating a washing machine using steam
US7886392B2 (en) * 2006-08-15 2011-02-15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of sanitizing a fabric load with steam in a fabric treatment appliance
US7841219B2 (en) * 2006-08-15 2010-11-30 Whirlpool Corporation Fabric treating appliance utilizing steam
US7681418B2 (en) * 2006-08-15 2010-03-23 Whirlpool Corporation Water supply control for a steam generator of a fabric treatment appliance using a temperature sensor
US7665332B2 (en) * 2006-08-15 2010-02-23 Whirlpool Corporation Steam fabric treatment appliance with exhaust
US7707859B2 (en) * 2006-08-15 2010-05-04 Whirlpool Corporation Water supply control for a steam generator of a fabric treatment appliance
US7591859B2 (en) * 2006-08-15 2009-09-22 Whirlpool Corporation Water supply control for a steam generator of a fabric treatment appliance using a weight sensor
US7753009B2 (en) * 2006-10-19 2010-07-13 Whirlpool Corporation Washer with bio prevention cycle
US7966683B2 (en) * 2007-08-31 2011-06-28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for operating a steam generator in a fabric treatment appliance
US7861343B2 (en) * 2007-08-31 2011-01-04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for operating a steam generator in a fabric treatment appliance
US7918109B2 (en) * 2007-08-31 2011-04-05 Whirlpool Corporation Fabric Treatment appliance with steam generator having a variable thermal output
US7905119B2 (en) * 2007-08-31 2011-03-15 Whirlpool Corporation Fabric treatment appliance with steam generator having a variable thermal output
US7690062B2 (en) * 2007-08-31 2010-04-06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for cleaning a steam genera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1589A (ko) * 2021-02-25 2022-09-01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6274B1 (ko) 2014-02-20
CN101358427A (zh) 2009-02-04
DE102008035798A1 (de) 2009-02-26
US20090151189A1 (en) 2009-06-18
FR2919626A1 (fr) 2009-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89545B2 (ja) 乾燥装置及びこの装置を備えた洗濯乾燥機
KR101351042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467769B1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3027800B1 (en) Laundry machine
EP3192913B1 (en) Washer-dryer with a cooling water circuit
KR101366273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366274B1 (ko) 의류처리장치 및 팬어셈블리
JP2005253588A (ja) 乾燥機
US10041204B2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JP2005083619A (ja) 乾燥機
EP2026691B1 (en) A dishwasher with an improved drying arrangement
JP2009106566A (ja) 洗濯乾燥機及び乾燥機
JP2006296449A (ja) 洗濯乾燥機
JP6092004B2 (ja) 衣類乾燥機
KR101461947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486358B1 (ko) 의류처리장치
JP2008079767A (ja) 衣類乾燥装置
JP4352803B2 (ja) 洗濯乾燥機
KR101498035B1 (ko) 의류처리장치 및 스팀발생장치어셈블리
JP2015123348A (ja) 乾燥機
JP2010194027A (ja) 衣類乾燥機
KR101542375B1 (ko) 의류처리장치
JP2015107307A (ja) 衣類乾燥機
KR102505495B1 (ko) 의류처리장치
KR20090050220A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