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6053A -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생산용 타면장치 - Google Patents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생산용 타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6053A
KR20170016053A KR1020150109324A KR20150109324A KR20170016053A KR 20170016053 A KR20170016053 A KR 20170016053A KR 1020150109324 A KR1020150109324 A KR 1020150109324A KR 20150109324 A KR20150109324 A KR 20150109324A KR 20170016053 A KR20170016053 A KR 201700160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filament
unit
main
r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9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줄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나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나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나라
Priority to KR1020150109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6053A/ko
Publication of KR20170016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60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9/00Opening or cleaning fibres, e.g. scutching cotton
    • D01G9/14Details of machines or apparatu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11/00Disintegrating fibre-containing articles to obtain fibres for re-use
    • D01G11/02Opening, unravelling, or teasing ropes or like fibrous strands to obtain fibres for re-use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9/00Opening or cleaning fibres, e.g. scutching cotton
    • D01G9/14Details of machines or apparatus
    • D01G9/22Driving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6Disintegrating fibre-containing textile articles to obtain fibres for re-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생산용 타면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생산용 타면장치는, 외주면에 톱니가 형성되는 롤러(roller)들의 상대회전에 기초하여 폐로프를 필라멘트로 타면하는 타면 유닛; 타면 유닛의 전(前) 공정에 배치되며, 타면 유닛으로 폐로프를 공급하는 폐로프 공급용 로딩 유닛; 및 타면 유닛의 후(後) 공정에 배치되며, 타면 유닛을 통해 타면이 완료된 필라멘트를 취출하는 필라멘트 취출용 언로딩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생산용 타면장치{Scutching apparatus using wasted-rope}
본 발명은,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생산용 타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폐로프를 타면하여 필라멘트를 생산할 수 있음은 물론 콤팩트하면서도 타면에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필라멘트의 생산량을 현저하게 높일 수 있는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생산용 타면장치에 관한 것이다.
어촌에서 어구로 사용되는 기구 중, 로프(rope)는 대체로 폴리프로필렌(PP) 소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로프는 약 2년 정도의 사용 수명을 갖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2년 정도 사용을 완료한 로프(폐로프라 함, 다만 2년이라는 기간에 한정되지 않음)의 경우, 즉 그 사용 수명이 다하면 전량 폐기 처리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렇지만, 폐로프를 단순히 폐기 처리, 예컨대 소각 처리하는 경우에는 환경오염이 발생되는 등 폐로프를 단순히 폐기 처리하기 위해서도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 만만치 않다.
따라서 최근 들어 폐로프에 대한 재활용의 방법이 고려되고 있다. 하지만, 어촌에서 수집되는 폐로프의 양이 많을 뿐만 아니라 폐로프에 염분과 다양한 해조류, 조개류 등이 붙어 있어서, 특히 폐로프 사이사이에 뻘(mud)이 고착되어 있어서 단순한 방법만으로는 폐로프를 재활용하기가 쉽지 않다.
특히, 현재까지는 폐로프를 수집하여 재활용하기 위한 장치, 혹은 설비가 구축되어 있지 않은 관계로 설비의 초기 구축에 많은 비용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현실적으로 적용이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만약, 폐로프를 재활용하기 위한 설비를 구축함에 있어서 일반적인 방식인 용융 방식을 적용할 경우, 다시 말해 폐로프를 녹여, 즉 용융시켜 성형품을 만드는 형태로 폐로프를 재활용하고자 할 경우, 폐로프를 용융시키는 설비, 또한 폐로프의 용융액을 이용하여 성형품을 성형하기 위한 설비 등이 필요하기 때문에 초기 구축에 많은 비용이 발생될 수밖에 없다.
한편, 여러 산업분야, 특히 자동차 분야의 경우, 자동차의 내장재에 대하여 경량 소재, 천연 소재, 재활용 소재 등을 활용하도록 그 제품 생산 요건에 대한 규제를 점차 강화하고 있다.
유럽의 경우에는 2015년까지 자동차 업계에서는 95% 이상이 재활용 소재를 활용해야 한다는 기준을 충족시켜야 한다고 보고되고 있기도 하다.
이러한 상황에 발맞추어 현재, 전량 폐기 처리되고 있는 폐로프를 단순히 소각 처리하지 않고 재활용하여 자동차 분야처럼 여러 산업분야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면 비용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환경과 산업 전반에 걸쳐 많은 실익이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폐로프의 경우, 가늘고 긴 필라멘트를 꽈배기 형태로 꼬아서 만든 것이기 때문에 적절한 방법으로 폐로프를 해체하여 풀 수만 있다면, 즉 타면할 수만 있다면 다시 필라멘트로 생산될 수 있다.
이렇게 생산된 필라멘트는 다른 재료와 혼합되어 자동차 분야처럼 여러 산업분야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폐로프를 해체하여, 즉 폐로프를 타면하여 필라멘트로 생산하기 위한 장치 혹은 설비가 전혀 갖춰지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참고로,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1213717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0479527호,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120504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1235235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104557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0974173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78159호,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소63-105121호 등에 보면 그물 등을 해체하기 위한 일부 기술들이 개시되어 있기는 하지만 상기 문헌들에 개시된 기술들은 폐로프용 타면장치가 아니기 때문에 상기 문헌들에 개시된 기술들을 이용해서 폐로프를 타면하여 필라멘트로 만들기는 어렵다.
앞서도 기술한 것처럼 아직까지는 폐로프를 그대로 폐기하거나 혹은 폐로프를 용융시켜 재활용하는 방법 외에 별도의 타면공정을 이용해서 필라멘트로 생산하기 위한 기술이 전혀 개발되어 있지 않다.
실제,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기술이나 혹은 심사 중에 있는 기술 외에는 실질적으로 폐로프를 이용하여 필라멘트를 생산하기 위한 기술이 전혀 개시된 바 없다. 따라서 폐로프를 타면하여 필라멘트를 생산하기 위한 타면장치에 대한 기술개발이 지속될 필요가 있다.
다만, 이와 같은 타면장치의 개발 시 단위 시간당 필라멘트의 생산량이 부족한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해당 장치를 사용하기가 어렵다. 다시 말해, 전력과 더불어 작업 기술자를 필요로 하는 타면장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필라멘트에 대한 단위 시간당 생산량이 목표량 이상 확보되어야만 가능하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단순한 아이디어 기술이 아닌 실제 적용되어 활용될 수 있는 타면장치에 대한 기술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1213717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0479527호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120504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1235235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104557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0974173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78159호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소63-105121호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폐로프를 타면하여 필라멘트를 생산할 수 있음은 물론 콤팩트하면서도 타면에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필라멘트의 생산량을 현저하게 높일 수 있는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생산용 타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외주면에 톱니가 형성되는 롤러(roller)들의 상대회전에 기초하여 폐로프를 필라멘트로 타면하는 타면 유닛; 상기 타면 유닛의 전(前) 공정에 배치되며, 상기 타면 유닛으로 상기 폐로프를 공급하는 폐로프 공급용 로딩 유닛; 및 상기 타면 유닛의 후(後) 공정에 배치되며, 상기 타면 유닛을 통해 타면이 완료된 필라멘트를 취출하는 필라멘트 취출용 언로딩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생산용 타면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필라멘트 취출용 언로딩 유닛은, 외면에 접촉되는 필라멘트를 회전운동을 통해 언로딩시키는 필라멘트 취출용 언로딩 롤러; 및 상기 필라멘트 취출용 언로딩 롤러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필라멘트 취출용 언로딩 롤러에서 언로딩되는 필라멘트를 취출시키는 필라멘트 취출 컨베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라멘트 취출용 언로딩 유닛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필라멘트 취출용 언로딩 롤러를 따라 언로딩되는 필라멘트를 포집하는 필라멘트 포집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라멘트 포집 유닛은, 상기 필라멘트 취출용 언로딩 롤러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필라멘트 취출용 언로딩 롤러의 외면을 따라 이동되는 필라멘트를 긁어내는 스크레이핑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레이핑 모듈은, 상기 필라멘트 취출용 언로딩 롤러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필라멘트 취출용 언로딩 롤러의 외면을 따라 이동되는 필라멘트를 긁어내는 스크레이퍼; 및 상기 스크레이퍼와 연결되고 상기 스크레이퍼를 진동시키는 스크레이퍼 진동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크레이퍼 진동기는, 상기 필라멘트 취출용 언로딩 롤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필라멘트 취출용 언로딩 롤러의 양측에 배치되는 진동기 프레임; 상기 다수의 진동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진동 바아; 및 상기 진동 바아와 상기 스크레이퍼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크레이퍼의 선단부는 첨예한 첨예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필라멘트 포집 유닛은, 상기 필라멘트 취출용 언로딩 롤러를 향해 에어(air)를 분사하는 에어 분사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에어 분사 모듈은, 상기 필라멘트 취출용 언로딩 롤러를 향해 에어(air)를 분사하는 다수의 에어 노즐구를 구비하는 에어 분사용 바아; 및 상기 에어 분사용 바아를 지지하는 바아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라멘트 포집 유닛은, 상기 필라멘트 취출용 언로딩 롤러에 이웃하게 배치되어 상기 필라멘트 취출용 언로딩 롤러의 외면을 따라 이동되는 필라멘트를 흡입하는 필라멘트 흡입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면 유닛은, 상기 필라멘트 취출용 언로딩 유닛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폐로프를 타면하여 상기 필라멘트로 생산하는 메인 타면 유닛; 및 상기 폐로프 공급용 로딩 유닛과 상기 메인 타면 유닛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메인 타면 유닛에 의해 상기 폐로프가 타면되기 전에 상기 폐로프의 적어도 일부 꼬임을 해체하면서 미리 선(先) 타면하는 서브 타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타면 유닛은, 메인 태양 타면톱니가 외주면에 마련되는 메인 태양 타면롤러; 및 상기 메인 태양 타면롤러의 외주면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상기 메인 태양 타면롤러의 메인 태양 타면톱니와 상호작용하여 상기 폐로프를 타면하는 메인 위성 타면톱니가 외주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메인 위성 타면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위성 타면롤러는 상기 메인 태양 타면롤러의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 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타면 유닛은, 상기 메인 태양 타면롤러의 양측에 배치되는 메인 타면 프레임; 상기 메인 타면 프레임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메인 태양 타면롤러의 회전축심을 형성하는 메인 타면 샤프트; 및 상기 메인 타면 프레임에 마련되어 상기 메인 위성 타면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다수의 메인 위성 타면롤러 지지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위성 타면롤러는, 상기 메인 위성 타면톱니가 외주면에 마련되는 메인 위성 타면롤러 바디; 상기 메인 위성 타면롤러 바디의 회전축심을 형성하는 메인 위성 타면롤러 샤프트; 및 상기 메인 위성 타면롤러 샤프트에 연결되고 상기 메인 위성 타면롤러 지지구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메인 위성 타면롤러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위성 타면톱니 영역의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저지시키기 위해 상기 메인 위성 타면롤러 바디의 내부에는 냉각유체 또는 냉각기체가 순환되는 냉각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서브 타면 유닛은, 서브 태양 타면톱니가 외주면에 마련되는 서브 태양 타면롤러; 상기 서브 태양 타면롤러의 외주면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상기 서브 태양 타면롤러의 서브 태양 타면톱니와 상호작용하여 상기 폐로프의 꼬임을 해체하면서 미리 선(先) 타면하는 제1 서브 위성 타면톱니가 외주면에 마련되는 제1 서브 위성 타면롤러; 및 상기 제1 서브 위성 타면롤러와 이웃되게 상기 서브 태양 타면롤러의 외주면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상기 서브 태양 타면롤러의 서브 태양 타면톱니와 상호작용하여 상기 폐로프의 꼬임을 해체하면서 미리 선(先) 타면하는 제2 서브 위성 타면톱니가 외주면에 마련되는 제2 서브 위성 타면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서브 위성 타면롤러의 사이즈가 상기 제2 서브 위성 타면롤러의 사이즈보다 크게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타면 유닛과 상기 서브 타면 유닛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면 유닛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어 타면 시 분진의 비산을 방지시키는 비산방지용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폐로프 공급용 로딩 유닛은, 상기 폐로프를 공급하는 폐로프 공급 컨베이어; 및 상기 폐로프 공급 컨베이어와 상기 서브 타면 유닛 사이에 배치되며, 정량의 폐로프를 상기 서브 타면 유닛으로 공급하는 정량 공급용 롤러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폐로프 공급 컨베이어의 상부에 마련되며, 내부에 저장된 상기 폐로프를 일정량만큼씩 상기 폐로프 공급 컨베이어에 공급하는 호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폐로프 공급 컨베이어의 상부에 마련되며, 공급되는 상기 폐로프 속의 금속을 탐지하는 금속 탐지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폐로프 공급 컨베이어의 상부에 마련되며, 공급되는 상기 폐로프 속의 금속을 자기적으로 흡착시켜 선별하는 이물 선별용 마그네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폐로프 공급 컨베이어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폐로프를 찢어 해체하여 상기 정량 공급용 롤러세트로 공급하는 폐로프 해체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폐로프를 타면하여 필라멘트를 생산할 수 있음은 물론 콤팩트하면서도 타면에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필라멘트의 생산량을 현저하게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생산용 타면장치 및 그 방법에 의해 생산된 필라멘트의 이미지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생산용 타면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3을 간략화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서 폐로프가 필라멘트로 생산되는 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폐로프 공급용 로딩 유닛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7은 폐로프 공급용 로딩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8은 호퍼의 확대 구조도이다.
도 9는 폐로프 해체 모듈의 확대 구조도이다.
도 10은 도 1의 서브 타면 유닛과 메인 타면 유닛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11은 서브 타면 유닛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12는 메인 타면 유닛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13은 메인 위성 타면롤러의 구조도이다.
도 14는 필라멘트 취출용 언로딩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필라멘트 포집 유닛의 동작 구도도이다.
도 16은 스크레이핑 모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7은 에어 분사 모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생산용 타면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생산용 타면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생산용 타면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도면 및 첨부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생산용 타면장치 및 그 방법에 의해 생산된 필라멘트의 이미지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생산용 타면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배면도이고, 도 4는 도 3을 간략화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4에서 폐로프가 필라멘트로 생산되는 경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폐로프 공급용 로딩 유닛 영역의 확대도이며, 도 7은 폐로프 공급용 로딩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8은 호퍼의 확대 구조도이며, 도 9는 폐로프 해체 모듈의 확대 구조도이고, 도 10은 도 1의 서브 타면 유닛과 메인 타면 유닛 영역의 확대도이며, 도 11은 서브 타면 유닛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12는 메인 타면 유닛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며, 도 13은 메인 위성 타면롤러의 구조도이고, 도 14는 필라멘트 취출용 언로딩 유닛의 사시도이며, 도 15는 필라멘트 포집 유닛의 동작 구도도이고, 도 16은 스크레이핑 모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17은 에어 분사 모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생산용 타면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되 우선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생산용 타면장치는 폐로프를 타면하여 도 1과 같은 필라멘트를 생산할 수 있음은 물론 콤팩트하면서도 타면에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필라멘트의 생산량을 현저하게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외주면에 톱니가 형성되는 롤러(roller)들의 상대회전에 기초하여 폐로프를 필라멘트로 타면하는 타면 유닛(120,130)과, 타면 유닛(120,130)의 전(前) 공정에 배치되며, 타면 유닛(120,130)으로 상기 폐로프를 공급하는 폐로프 공급용 로딩 유닛(110)과, 타면 유닛(120,130)의 후(後) 공정에 배치되며, 타면 유닛(120,130)을 통해 타면이 완료된 필라멘트를 취출하는 필라멘트 취출용 언로딩 유닛(140)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후술하겠지만 타면 유닛(120,130)은 서브 타면 유닛(120)과 메인 타면 유닛(130)을 포함할 수 있는데, 경우에 따라 서브 타면 유닛(120) 없이 메인 타면 유닛(130)만을 사용해서 폐로프를 필라멘트로 타면할 수도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공정의 효율을 위해 서브 타면 유닛(120)과 메인 타면 유닛(130) 모두가 적용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생산용 타면장치는 폐로프가 필라멘트로 타면되는 순서에 따라 폐로프 공급용 로딩 유닛(110), 서브 타면 유닛(120), 메인 타면 유닛(130), 그리고 필라멘트 취출용 언로딩 유닛(140)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필라멘트 포집 유닛(170)의 적용으로 타면이 완료된 필라멘트의 포집효율을 향상시키고 있다.
한편, 폐로프는 이러한 유닛들(110~140) 즉 폐로프 공급용 로딩 유닛(110), 서브 타면 유닛(120), 그리고 메인 타면 유닛(130)을 순차적으로 지나면서 도 1과 같은 형태의 필라멘트로 생산될 수 있으며, 이후에는 필라멘트 취출용 언로딩 유닛(140)을 통해 취출될 수 있다.
앞서도 언급한 것처럼 어촌에서 어구로 사용하다가 폐처리되는 폐로프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필라멘트를 여러 겹 꼬아(엮어) 만든 것이기 때문에 폐로프를 해체하여 타면하면 다시 필라멘트로 생산될 수 있다.
로프(rope)에 대해 간략하게 부연하면 로프는 그 특성상 열에는 다소 취약하나 질긴 강성을 가지기 때문에 널리 사용된다. 즉 로프는 정박 중인 배를 파도나 바람에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정박용 로프, 군함이나 큰 배를 묶어두는 로프, 어망인 그물의 지지대 역할을 하는 로프, 공사장에서의 안전망 펜스 등으로 적용되는 로프들처럼 다양한 환경에서 다양한 종류로 사용되고 있다. 이처럼 로프가 다양한 장소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까닭은 로프가 갖는 질긴 강성 때문이다.
다만, 앞서 기술한 것처럼 수년 사용된 로프(폐로프)는 폐처리되어야 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폐로프를 열을 가하여 용융시켜 쌀알 같은 칩(필렛)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타면함으로써, 즉 솜 같은 굵기로 잘게 찢고, 쪼개고, 풀어서 원래의 질긴 강성을 갖는 필라멘트를 제조하는 것이다.
통상적인 로프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소재로 만들어지는데 이러한 폴리프로필렌 소재는 열을 가하면 강성이 반으로 줄어드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폐로프를 처리함에 있어 폐로프에 열을 가하여 용융시켜 쌀알 같은 칩(필렛)을 만들게 되면 원래의 질긴 강성이 사라질 수밖에 없어 질긴 강성을 갖는 품질 좋은 필라멘트를 제조할 수 없으며, 이로 인해 자동차 내장재 등의 재료로 사용되기가 곤란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물성이 변할 수 있는 종전의 용융 방식을 적용하거나 화학약품을 추가하는 방식을 적용하지 않고, 타면 방식(솜 같은 굵기로 잘게 찢고, 쪼개고, 푸는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폐로프가 갖는 질긴 강성을 그대로 보유하면서도 품질 좋은 필라멘트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품질 좋은 필라멘트가 생산되어야만 비로소 자동차 내장재 등에 적용이 가능하다.
특히, 폐로프를 타면하여 필라멘트로 생산하는 공정을 수작업에 의존할 수 없기 때문에 타면장치를 사용하게 되는데, 구조적으로 취약해서 단위 시간당 필라멘트의 생산량이 부족한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해당 장치를 사용하기가 어렵다.
즉 앞서도 기술한 것처럼 전력과 더불어 작업 기술자를 필요로 하는 타면장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필라멘트에 대한 단위 시간당 생산량이 목표량 이상 확보되어야만 가능한데, 본 실시예에 따른 타면장치는 콤팩트하면서도 타면에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필라멘트의 생산량을 현저하게 높일 수 있어 적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생산용 타면장치의 구조에 대해 공정의 순서, 즉 폐로프 공급용 로딩 유닛(110), 서브 타면 유닛(120), 메인 타면 유닛(130), 그리고 필라멘트 취출용 언로딩 유닛(140)의 순서대로 설명하도록 한다.
참고로, 폐로프 공급용 로딩 유닛(110), 서브 타면 유닛(120), 메인 타면 유닛(130), 그리고 필라멘트 취출용 언로딩 유닛(140)은 프레임 구조체(101, 도 2 및 도 3 참조) 상에 위치별로 지지될 수 있다.
프레임 구조체(101)에는 폐로프 공급용 로딩 유닛(110)과 필라멘트 취출용 언로딩 유닛(140)의 컨베이어(111,142)를 회전시키거나 서브 타면 유닛(120) 및 메인 타면 유닛(13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조들, 예컨대 모터, 벨트 등이 갖춰질 수 있다. 편의상 구동부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폐로프 공급용 로딩 유닛(110)은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생산용 타면장치의 제일 앞쪽에 배치되는 부분으로서, 타면대상의 폐로프를 후(後) 공정인 서브 타면 유닛(120)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폐로프 공급용 로딩 유닛(110)을 통해 공급되는 폐로프는 일정한 단위길이로 미리 절단된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즉 길이가 긴 폐로프를 일정한 단위길이로 절단하면 절단 시 폐로프 자체가 1차로 풀어질 수 있기 때문에 타면에 유리하다. 하지만, 길이가 긴 폐로를 그대로 폐로프 공급용 로딩 유닛(110)을 통해 공급할 수도 있다.
폐로프 공급용 로딩 유닛(110)은 폐로프를 공급하는 폐로프 공급 컨베이어(111)와, 폐로프 공급 컨베이어(111)와 서브 타면 유닛(120) 사이에 배치되며, 정량의 폐로프를 서브 타면 유닛(120)로 공급하는 정량 공급용 롤러세트(112)를 포함할 수 있다.
폐로프 공급 컨베이어(111)는 통상의 벨트 컨베이어일 수 있으며, 폐로프 공급 컨베이어(111) 상에 일정량의 폐로프를 놓으면 벨트의 회전에 의해 폐로프가 서브 타면 유닛(120) 쪽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때, 한 번에 너무 많은 양의 폐로프가 서브 타면 유닛(120) 및 메인 타면 유닛(130)으로 공급되면 타면이 제대로 이루어지 않을 수 있고, 또한 롤러(roller) 구조로 이루어진 서브 타면 유닛(120) 및 메인 타면 유닛(130)이 소손될 수 있다. 따라서 폐로프를 정량만큼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 정량 공급용 롤러세트(112)가 마련된다.
정량 공급용 롤러세트(112)는 정량의 폐로프를 서브 타면 유닛(120)로 공급하는 것으로서, 다수의 정량 공급용 롤러(112a)와, 다수의 정량 공급용 롤러(112a)들 간의 간극을 조절하는 간극 조절부(112b)를 포함한다.
물론, 정량 공급용 롤러세트(112)는 정량의 폐로프를 후 공정으로 공급하기도 하지만 폐로프 공급 컨베이어(111) 상의 폐로프가 서브 타면 유닛(120) 쪽으로 잘 공급될 수 있도록 폐로프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겸한다.
정량 공급용 롤러(112a)들은 한 쌍씩 배치되어 사용될 수 있는데, 앞쪽과 뒤쪽에 배치된 정량 공급용 롤러(112a)들의 외주면 패턴은 서로 교차되게 마련될 수 있다. 간극 조절부(112b)를 통해 정량 공급용 롤러(112a)들의 간극을 조절함으로써, 정량의 폐로프를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도 7처럼 폐로프 공급 컨베이어(111)와 정량 공급용 롤러세트(112)만의 구조를 통해 폐로프를 로딩시켜 후 공정으로 공급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럴 경우, 폐로프 공급 컨베이어(111) 상에 폐로프를 계속 수작업으로 공급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발생될 수 있고, 또한 폐로프 내에 포함된 금속 등의 이물질을 걸러내지 못해 장치의 소손을 유발시킬 수 있다.
이러한 사항들을 해소하기 위해 폐로프 공급용 로딩 유닛(110) 측에는 호퍼(182), 금속 탐지기(183), 이물 선별용 마그네트(184), 폐로프 해체 모듈(185)이 더 갖춰질 수 있다.
물론, 호퍼(182), 금속 탐지기(183), 이물 선별용 마그네트(184), 폐로프 해체 모듈(185)이 갖춰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으나 호퍼(182), 금속 탐지기(183), 이물 선별용 마그네트(184), 폐로프 해체 모듈(185) 모두가 갖춰지지 않거나 혹은 이들 중 일부만 갖춰진 타면장치일지라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호퍼(182)는 폐로프 공급 컨베이어(111)의 상부에 일측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저장된 폐로프를 일정량만큼씩 폐로프 공급 컨베이어(111)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호퍼(182)는 폐로프가 저장되는 호퍼 바디(182a)와, 호퍼 바디(182a)의 상부 개구를 개폐하는 호퍼 커버(182b)와, 호퍼 바디(182a)의 하단부에 연결되되 폐로프가 낙하되는 폐로프 낙하부(182c)를 구비하는 덕트(182d)와, 덕트(182d) 내에 마련되어 폐로프를 폐로프 낙하부(182c)로 이송시키는 이송 스크루(182e)와, 이송 스크루(182e)와 연결되어 이송 스크루(182e)를 회전시키는 모터(182f)를 포함할 수 있다. 폐로프의 안정적인 낙하를 위해, 호퍼 바디(182a)의 내벽면 일측은 경사면(182g)을 형성한다.
이에, 모터(182f)가 구동되어 이송 스크루(182e)를 회전시키게 되면 이송 스크루(182e)의 동작에 의해 호퍼 바디(182a) 내의 폐로프가 덕트(182d)의 폐로프 낙하부(182c)를 통해 낙하되어 폐로프 공급 컨베이어(111)의 상부에 로딩될 수 있으며, 로딩된 후에는 폐로프 공급 컨베이어(111)를 따라 후 공정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때, 모터(182f)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경우, 투입되는 폐로프의 양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호퍼 바디(182a) 내에 별도의 회전 커터(미도시)를 갖출 경우, 호퍼 바디(182a) 내에 저장된 폐로프가 회전 커터에 의해 1차적으로 잘게 잘리거나 해체될 수 있어서 타면에 유리할 수 있다.
금속 탐지기(183)는 폐로프가 이송되는 방향을 따라 호퍼(182)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금속 탐지기(183)는 공급되는 폐로프 속의 금속을 탐지하는 역할을 한다.
폐로프 속에는 예컨대 볼트, 너트, 쇠붙이 등의 금속이 들어 있을 수도 있는데, 이와 같은 금속 이물질이 걸러지지 않고 그대로 서브 타면 유닛(120) 및 메인 타면 유닛(130)으로 공급되면 롤러(roller) 구조로 이루어진 서브 타면 유닛(120) 및 메인 타면 유닛(130)이 소손될 수 있다. 서브 타면 유닛(120) 및 메인 타면 유닛(130)이 소손되면 수리하는 시간만큼 작업이 이루어질 수 없기 때문에 생산성에 많은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
이에, 금속 탐지기(183)를 사용하면 이러한 폐단을 없앨 수 있는데, 예컨대 금속 탐지기(183)에 의해 금속이 탐지된 경우, 이의 정보를 받은 컨트롤러(190, 도 18 참조)가 폐로프 공급 컨베이어(111)의 동작이 강제로 정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폐로프 공급 컨베이어(111)의 동작이 정지되면 탐지된 금속 이물질을 걸러내면 된다.
이물 선별용 마그네트(184)는 폐로프 공급 컨베이어(111)의 상부에 마련되며, 공급되는 폐로프 속의 금속을 자기적으로 흡착시켜 선별하는 역할을 한다.
이물 선별용 마그네트(184)는 금속 탐지기(183)의 후방에 배치되어도 좋고 아니면 호퍼(182)와 금속 탐지기(183) 사이에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어떠한 위치에 마련되더라도 이물 선별용 마그네트(184)는 예컨대 볼트, 너트, 쇠붙이 등의 금속을 자기적으로 흡착시켜 걸려내는 역할을 함으로써, 금속 이물질에 의해 서브 타면 유닛(120) 및 메인 타면 유닛(130)이 소손되는 것을 예방한다.
폐로프 해체 모듈(185)은 정량 공급용 롤러세트(112)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구성으로서, 폐로프를 찢어 해체하여 정량 공급용 롤러세트(112)로 정량만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폐로프가 폐로프 해체 모듈(185)에 의해 1차로 해체되어 공급될 경우, 타면의 효율이 더욱 높아질 수 있다.
이러한 폐로프 해체 모듈(185)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체 모듈 바디(185a)와, 해체 모듈 바디(185a) 상에 상호 이격 간격을 두고 다수 개 배치되는 해체날(185b)을 포함할 수 있다. 폐로프 공급 컨베이어(111) 상의 폐로프가 폐로프 공급 컨베이어(111)를 따라 이송되는 과정에서 해체날(185b)을 지나게 됨으로써 1차로 꼬인 부분이 해체될 수 있음은 물론 정량만큼씩 정량 공급용 롤러세트(112)로 제공될 수 있어 타면 작업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다음으로, 서브 타면 유닛(120)은 도 2 내지 도 5, 그리고 도 10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로프 공급용 로딩 유닛(110)과 메인 타면 유닛(130) 상에 배치되며, 메인 타면 유닛(130)에 의해 폐로프가 필라멘트로 타면되기 전에 폐로프의 적어도 일부 꼬임을 해체하면서, 즉 폐로프가 타면에 적합한 조건이 되도록 폐로프의 꼬임을 해체하면서 미리 선(先) 타면하는 역할을 한다.
실질적으로 서브 타면 유닛(120) 없이 메인 타면 유닛(130)만을 적용하는 것을 고려해볼 수도 있으나 메인 타면 유닛(130)만을 적용하는 형태보다는 서브 타면 유닛(120)을 통해 폐로프가 타면에 적합한 조건이 되도록 폐로프의 꼬임을 해체하면서 미리 선(先) 타면한 다음, 메인 타면 유닛(130)을 통해 실질적으로 타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참고로, 폐로프 공급용 로딩 유닛(110)과 서브 타면 유닛(120) 사이에는 제1 가이드 유닛(151)이 마련된다.
제1 가이드 유닛(151)은 폐로프 공급용 로딩 유닛(110) 측의 폐로프를 서브 타면 유닛(120) 쪽으로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제1 가이드 유닛(151)으로 인해 정량 공급용 롤러세트(112) 쪽에서 이송되는 폐로프가 가이드되어 서브 타면 유닛(120) 쪽으로 향할 수 있다.
한편, 서브 타면 유닛(120)은 도 11에 좀 더 자세히 도시된 것처럼 서브 태양 타면롤러(121)와, 서브 태양 타면롤러(121)의 외주면 둘레 방향에 배치되어 서브 태양 타면롤러(121)와 상호작용하면서 폐로프를 타면하는 제1 서브 위성 타면롤러(122) 및 제2 서브 위성 타면롤러(123)를 포함한다.
서브 태양 타면롤러(121)의 외주면에는 서브 태양 타면톱니(121a)가 형성된다. 서브 태양 타면톱니(121a)는 그 선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되어 폐로프가 잘 타면될 수 있도록 한다.
제1 서브 위성 타면롤러(122)는 서브 태양 타면롤러(121)의 외주면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롤러로서, 외주면에 제1 서브 위성 타면톱니(122a)가 형성된다. 제1 서브 위성 타면톱니(122a)는 서브 태양 타면롤러(121)의 서브 태양 타면톱니(121a)와 동일할 수 있다.
제2 서브 위성 타면롤러(123)는 제1 서브 위성 타면롤러(122)와 이웃되게 서브 태양 타면롤러(121)의 외주면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롤러이다. 이러한 제2 서브 위성 타면롤러(123)의 외주면에도 서브 태양 타면롤러(121)의 서브 태양 타면톱니(121a)와 상호작용하여 폐로프의 꼬임을 해체하면서 미리 선(先) 타면하는 제2 서브 위성 타면톱니(123a)가 형성된다. 제2 서브 위성 타면톱니(123a) 역시, 서브 태양 타면롤러(121)의 서브 태양 타면톱니(121a), 그리고 제1 서브 위성 타면롤러(122)의 제1 서브 위성 타면톱니(122a)와 동일할 수 있다.
이때, 제1 서브 위성 타면롤러(122)의 사이즈가 제2 서브 위성 타면롤러(123)의 사이즈보다 크게 제작될 수 있는데, 제1 서브 위성 타면롤러(122)와 제2 서브 위성 타면롤러(123)는 서브 태양 타면롤러(121)보다 느린 속도로 회전되면서 서브 태양 타면롤러(121)와의 사이를 지나는 폐로프의 꼬임을 해체하면서 미리 선(先) 타면되도록 한다.
서브 태양 타면롤러(121)의 서브 태양 타면톱니(121a), 제1 서브 위성 타면롤러(122)의 제1 서브 위성 타면톱니(122a), 그리고 제2 서브 위성 타면롤러(123)의 제2 서브 위성 타면톱니(123a) 모두는 그 선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도 5처럼 폐로프가 이들 사이를 지날 때, 폐로프는 타면에 적합한 조건이 되도록 폐로프의 꼬임을 해체하면서 미리 선(先) 타면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제1 서브 위성 타면롤러(122) 및 제2 서브 위성 타면롤러(123)의 구조는 메인 타면 유닛(130)의 메인 위성 타면롤러(132)의 구조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서브 위성 타면롤러(122) 및 제2 서브 위성 타면롤러(123)의 구조에 대해서는 메인 타면 유닛(130)의 메인 위성 타면롤러(132)의 구조 설명 시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메인 타면 유닛(130)은 도 2 내지 도 5, 도 10, 그리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폐로프를 타면하여 도 1과 같은 형태의 필라멘트를 생산하는 역할을 한다.
메인 타면 유닛(130)과 서브 타면 유닛(120) 사이에는 제2 가이드 유닛(152)이 마련된다.
제2 가이드 유닛(152)은 서브 타면 유닛(120) 측의 폐로프를 메인 타면 유닛(130) 쪽으로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제2 가이드 유닛(152)이 적용되기 때문에 서브 타면 유닛(120)에서 타면된 폐로프의 전부가 메인 타면 유닛(130)으로 이송되어 필라멘트로 타면될 수 있다.
이러한 메인 타면 유닛(130)은 도 12에 좀 더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태양 타면톱니(131a)가 외주면에 마련되는 메인 태양 타면롤러(131)와, 메인 태양 타면롤러(131)의 외주면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메인 태양 타면롤러(131)의 메인 태양 타면톱니(131a)와 상호작용하여 폐로프를 타면하는 메인 위성 타면톱니(132a)가 외주면에 마련되는 다수의 메인 위성 타면롤러(132)를 포함한다.
메인 타면 유닛(130)을 통해 실질적으로 폐로프가 필라멘트로 타면될 수 있기 때문에 메인 타면 유닛(130)을 이루는 메인 태양 타면롤러(131)는 가장 사이즈가 크게 제작된다. 실제, 메인 태양 타면롤러(131)의 사이즈(직경)가 크면 클수록 폐로프의 타면량이 많아질 수 있다.
메인 타면 유닛(13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메인 태양 타면톱니(131a) 역시, 전술한 서브 태양 타면롤러(121)의 서브 태양 타면톱니(121a), 제1 서브 위성 타면롤러(122)의 제1 서브 위성 타면톱니(122a), 그리고 제2 서브 위성 타면롤러(123)의 제2 서브 위성 타면톱니(123a)와 마찬가지로 그 선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되어 폐로프가 잘 타면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메인 태양 타면롤러(131)의 양측에는 메인 타면 프레임(133)이 배치된다. 메인 타면 프레임(133)은 고정 구조물로서, 회전되지 않는다.
메인 타면 프레임(133)의 중앙 영역에는 메인 태양 타면롤러(131)의 회전축심을 형성하는 메인 타면 샤프트(134)가 마련된다. 그리고 메인 타면 프레임(133)에는 다수의 메인 위성 타면롤러 지지구(135)가 결합되어 메인 위성 타면롤러(13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메인 위성 타면롤러(132)는 메인 태양 타면롤러(131)와 상호작용하면서 실질적으로 폐로프를 타면한다.
메인 태양 타면롤러(131)에 하나의 메인 위성 타면롤러(132)가 적용되어도 무방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타면효율이 높아질 수 있게 다수의 메인 위성 타면롤러(132)를 적용하고 있다. 이때, 다수의 메인 위성 타면롤러(132)는 메인 태양 타면롤러(131)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구간에서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모든 메인 위성 타면롤러(132)들의 구조는 동일할 수 있다.
이러한 메인 위성 타면롤러(132)들은 메인 태양 타면롤러(131)보다 느린 속도로 회전되면서 메인 태양 타면롤러(131)와의 사이를 지나는 폐로프를 타면한다.
메인 위성 타면롤러(132)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위성 타면톱니(132a)가 외주면에 마련되는 메인 위성 타면롤러 바디(132b)와, 메인 위성 타면롤러 바디(132b)의 회전축심을 형성하는 메인 위성 타면롤러 샤프트(132c)와, 메인 위성 타면롤러 샤프트(132c)에 연결되고 메인 위성 타면롤러 지지구(135)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메인 위성 타면롤러 베어링(132d)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위성 타면톱니(132a) 역시, 메인 타면 유닛(13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메인 태양 타면톱니(131a)와 동일한 형태일 수 있다.
한편, 앞서 기술한 것처럼 폐로프는 열에 약한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소재이다. 따라서 폐로프가 메인 태양 타면롤러(131)와 메인 위성 타면롤러(132) 사이를 지날 때는 열에 의해 일부분이 녹아 메인 위성 타면롤러(132)의 메인 위성 타면톱니(132a)에 달라붙을 수 있다. 즉 폐로프가 일부분 녹으면서 메인 위성 타면톱니(132a)에 눌어붙을 수 있다.
이처럼 폐로프가 녹으면서 메인 위성 타면톱니(132a)에 눌어붙게 되면 메인 위성 타면톱니(132a)가 그 역할을 수행할 수 없기 때문에 타면효율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그렇다고 해서 메인 위성 타면롤러(132)를 수시로 교체하는 것은 공정상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메인 위성 타면롤러 바디(132b)의 내부에 냉각유체 또는 냉각기체가 순환되는 냉각공간(132e)을 마련하여 메인 위성 타면롤러 바디(132b)를 냉각시킬 경우, 메인 위성 타면톱니(132a) 영역의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게 되어 폐로프가 메인 위성 타면톱니(132a)에 눌어붙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이때, 메인 위성 타면톱니(132a)에 이웃된 메인 위성 타면롤러 바디(132b)의 표면에 에어가 분사될 수 있는 홀(hole)을 만들고 이곳으로 에어를 분사할 경우, 메인 위성 타면톱니(132a) 영역의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저지시킬 수 있을 것이다.
물론, 폐로프가 메인 위성 타면톱니(132a)에 눌어붙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도 13처럼 메인 위성 타면롤러 바디(132b)의 내부에 냉각공간(132e)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는 있으나 냉각공간(132e)이 없는 형태일지라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 메인 타면 유닛(130)의 상부에 비산방지용 커버(181)가 개폐 가능하게 마련된다. 비산방지용 커버(181)는 폐로프의 타면 시 분진의 비산을 방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면에는 비산방지용 커버(181)가 메인 타면 유닛(130)의 상부에만 적용되고 있으나 비산방지용 커버(181)는 서브 타면 유닛(120) 측에도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폐로프 공급용 로딩 유닛(110)을 통해 공급되는 폐로프가 서브 타면 유닛(120)을 통해 타면에 적합한 조건이 되도록 그 꼬임이 해체되면서 미리 선(先) 타면된 다음, 메인 타면 유닛(130)을 통해 실질적으로 타면되어 필라멘트로 생산될 때, 서브 타면 유닛(120)과 메인 타면 유닛(130)을 지나는 폐로프 또는 필라멘트가 하방으로 낙하되면 곤란하다.
실제, 폐로프 또는 필라멘트는 꼬아진 상태로 서로 연결되어 있기는 하지만 서브 타면 유닛(120)과 메인 타면 유닛(130)의 하부에 아무런 장치가 없으면 서브 타면 유닛(120)과 메인 타면 유닛(130)을 지나는 폐로프 또는 필라멘트가 하방으로 낙하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필라멘트의 생산성이 현저히 떨어질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도 4 및 도 5처럼 메인 타면 유닛(130)과 서브 타면 유닛(120)의 하부 영역에 폐로프 낙하방지 유닛(160)을 마련하고 있다.
폐로프 낙하방지 유닛(160)은 메인 타면 유닛(130)과 서브 타면 유닛(120)에 의한 폐로프 타면 시 혹은 타면 후 이송 시 폐로프 또는 필라멘트가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에어를 분사하는 방식 등 다양한 종류와 형태의 폐로프 낙하방지 유닛(160)이 적용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폐로프 낙하방지 유닛(160)으로서 콤팩트한 구조의 폐로프 낙하방지용 하부 케이스(160)를 적용하고 있다.
폐로프 낙하방지용 하부 케이스(160)는 메인 타면 유닛(130)과 서브 타면 유닛(120)의 하부 영역에서 메인 타면 유닛(130)과 서브 타면 유닛(120)에 인접되게 배치되어 폐로프 타면 시 타면되는 폐로프 또는 필라멘트가 낙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폐로프 낙하방지용 하부 케이스(160)는 다수 개로 분리 제작될 수 있으며, 이웃된 것끼리 연결되어 메인 타면 유닛(130)과 서브 타면 유닛(120)의 하부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메인 타면 유닛(130)과 서브 타면 유닛(120)의 하부 외에도 제1 가이드 유닛(151)과 필라멘트 취출용 언로딩 롤러(141)의 하부에 폐로프 낙하방지용 하부 케이스(160)가 마련되고 있다.
다음으로, 필라멘트 취출용 언로딩 유닛(140)은 도 2 내지 도 5, 그리고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타면 유닛(130)의 후(後) 공정에 배치되며, 메인 타면 유닛(130)을 통해 타면이 완료된 필라멘트를 취출하는 역할을 한다.
도 4 및 도 5에 자세히 도시된 것처럼 메인 타면 유닛(130)과 필라멘트 취출용 언로딩 유닛(140) 사이에는 제3 가이드 유닛(153)이 마련된다.
제3 가이드 유닛(153)은 메인 타면 유닛(130)과 필라멘트 취출용 언로딩 유닛(140) 사이에 배치되며, 메인 타면 유닛(130) 측의 필라멘트를 필라멘트 취출용 언로딩 유닛(140) 쪽으로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제3 가이드 유닛(153)은 제1 및 제2 가이드 유닛(151,152)과 달리, 메인 타면 유닛(130) 쪽의 필라멘트를 1차로 가이드하는 1차 제3 가이드 유닛(153a)과, 필라멘트 취출용 언로딩 유닛(140) 쪽의 필라멘트를 2차로 가이드하는 2차 제3 가이드 유닛(153b)을 포함한다. 물론, 2차 제3 가이드 유닛(153b)은 필요에 따라 구성상 제외될 수 있다.
필라멘트 취출용 언로딩 유닛(140)은 외면에 접촉되는 필라멘트를 회전운동을 통해 언로딩시키는 필라멘트 취출용 언로딩 롤러(141)와, 필라멘트 취출용 언로딩 롤러(141)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필라멘트 취출용 언로딩 롤러(141)에서 언로딩되는 필라멘트를 취출시키는 필라멘트 취출 컨베이어(142)를 포함한다.
필라멘트 취출용 언로딩 롤러(141)는 제3 가이드 유닛(153)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메인 타면 유닛(130) 쪽에서 넘어오는 필라멘트를 필라멘트 취출 컨베이어(142)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필라멘트 취출용 언로딩 롤러(141)의 외면에는 톱니부(141a)가 형성된다. 톱니부(141a)는 필라멘트가 떨어지지 않게 필라멘트를 후방으로 안내한다.
필라멘트 취출 컨베이어(142)는 필라멘트 취출용 언로딩 롤러(141)를 통해 가이드되면서 낙하되는 필라멘트를 일정한 장소, 예컨대 필라멘트 수집통(미도시)으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필라멘트 취출 컨베이어(142)는 폐로프 공급 컨베이어(111)와 마찬가지로 벨트 컨베이어일 수 있는데, 끝단이 높게 경사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3 가이드 유닛(153)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메인 타면 유닛(130) 쪽에서 넘어오는 필라멘트가 필라멘트 취출용 언로딩 롤러(141)의 외주면을 따라 이송된 후, 필라멘트 취출 컨베이어(142)로 자연스럽게 낙하하면 가장 이상적일 수 있다.
하지한, 필라멘트 취출용 언로딩 롤러(141)의 외주면을 따라 이송되는 필라멘트가 자체 하중에 의해 필라멘트 취출 컨베이어(142)로 자연스럽게 낙하하기는 곤란하다. 이럴 경우, 필라멘트 취출용 언로딩 롤러(141)의 외주면을 따라 이송되는 필라멘트는 낙하되지 못하고 계속 필라멘트 취출용 언로딩 롤러(141)의 외주면에 붙은 상태로 존재할 수 있는데, 이럴 경우, 타면 작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생산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필라멘트 취출용 언로딩 유닛(140)의 필라멘트 취출용 언로딩 롤러(141) 주변에 필라멘트 포집 유닛(170)을 마련하여 필라멘트 취출용 언로딩 롤러(141)를 따라 언로딩되는 필라멘트를 잘 포집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필라멘트 포집 유닛(170)은 필라멘트 취출용 언로딩 롤러(141)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필라멘트 취출용 언로딩 롤러(141)의 외면을 따라 이동되는 필라멘트를 긁어내는 스크레이핑 모듈(171)을 포함한다.
이러한 스크레이핑 모듈(171)은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라멘트 취출용 언로딩 롤러(141)의 외면을 따라 이동되는 필라멘트를 긁어내는 스크레이퍼(172)와, 스크레이퍼(172)와 연결되고 스크레이퍼(172)를 진동시키는 스크레이퍼 진동기(173)를 포함한다.
스크레이퍼(172)는 필라멘트 취출용 언로딩 롤러(141)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구조물로서, 스크레이퍼 진동기(173)에 의해 해당 위치에서 위아래로 진동됨으로써, 타면이 완료된 후, 필라멘트 취출용 언로딩 롤러(141)의 외면에 붙어 이송되는 필라멘트가 필라멘트 취출용 언로딩 롤러(141)를 따라 다시 위쪽으로 올라가지 않고 하방으로 떨어져 필라멘트 취출 컨베이어(142) 상에 놓일 수 있도록 한다. 스크레이퍼(172)의 선단부는 첨예한 첨예부(172a)를 형성하고, 그 뒤쪽으로 단턱부(172b)가 형성됨에 따라 필라멘트를 하방으로 긁어내리는 데에 유리하다.
스크레이퍼 진동기(173)는 필라멘트 취출용 언로딩 롤러(14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필라멘트 취출용 언로딩 롤러(141)의 양측에 배치되는 진동기 프레임(173a)과, 다수의 진동기 프레임(173a)에 연결되는 진동 바아(173b)와, 진동 바아(173b)와 스크레이퍼(172)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73c)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스크레이퍼 진동기(173)가 동작되면 도 15의 실선에서 점선처럼 스크레이퍼(172)가 떨리면서 필라멘트를 하방으로 긁어내려 포집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구조의 스크레이핑 모듈(171)이 단독으로 사용되더라도 필라멘트를 포집하는 데에 유리한 효과를 이끌어낼 수 있다.
하지만, 필라멘트 포집 유닛(170)으로서 스크레이핑 모듈(171) 외에 에어 분사 모듈(175)을 더 적용하고 있다.
물론, 에어 분사 모듈(175)을 더 적용하는 것이 필라멘트 포집에 좀 더 유리할 수는 있으나 에어 분사 모듈(175)이 반드시 적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필라멘트 포집 유닛(170)으로서 스크레이핑 모듈(171)이나 에어 분사 모듈(175)이 단독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혹은 동시에 같이 사용될 수도 있는데, 어떠한 경우일지라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에어 분사 모듈(175)은 도 14, 도 15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라멘트 취출용 언로딩 롤러(141)를 향해 에어(air)를 분사함으로써 에어의 압력에 의해 필라멘트 취출용 언로딩 롤러(141)의 외면에 붙어 이송되는 필라멘트가 필라멘트 취출 컨베이어(142)로 떨어지도록 유도하여 필라멘트를 포집한다.
이러한 에어 분사 모듈(175)은 필라멘트 취출용 언로딩 롤러(141)를 향해 에어(air)를 분사하는 다수의 에어 노즐구(176a)를 구비하는 에어 분사용 바아(176)와, 에어 분사용 바아(176)를 지지하는 바아 지지대(177)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 분사용 바아(176)는 바아 지지대(177) 상에서 위치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에어 노즐구(176a)와 필라멘트 취출용 언로딩 롤러(141) 간의 이격거리를 조정하기가 용이하며, 이로 인해 에어의 압력이나 방향 조절이 용이해질 수 있다. 따라서 필라멘트의 포집에 유리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컨트롤러(190)는 메인 타면 유닛(130)과 서브 타면 유닛(120)의 동작을 컨트롤한다. 즉 메인 타면 유닛(130)과 서브 타면 유닛(120)의 각 롤러(121~123, 31,132)들을 회전구동시키는 회전구동수단을 컨트롤하여 롤러(121~123, 31,132)들의 회전속도를 컨트롤함으로써, 타면에 가장 적합한 조건이 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컨트롤러(190)는 메인 타면 유닛(130)과 서브 타면 유닛(120) 외에도 필라멘트 포집 유닛(170)의 동작을 컨트롤하고, 금속 탐지기(183)의 탐지신호에 기초한 폐로프 공급 컨베이어(111)의 동작을 컨트롤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컨트롤러(190)는 중앙처리장치(191, CPU), 메모리(192, MEMORY), 서포트 회로(19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191)는 본 실시예에서 메인 타면 유닛(130)과 서브 타면 유닛(120)의 동작을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19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191)와 연결된다. 메모리(19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이다.
서포트 회로(19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191)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193)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190)는 메인 타면 유닛(130)과 서브 타면 유닛(120)의 동작을 컨트롤한다. 이때, 컨트롤러(190)가 메인 타면 유닛(130)과 서브 타면 유닛(120)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일련의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19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19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폐로프가 필라멘트로 타면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폐로프 공급용 로딩 유닛(110)을 통해 타면대상의 폐로프가 미리 결정된 양만큼씩 서브 타면 유닛(120)으로 공급된다.
서브 타면 유닛(120)으로 공급되는 폐로프는 서브 태양 타면롤러(121)와 제1 및 제2 서브 위성 타면롤러(122,123)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타면에 적합한 조건이 되도록 그 꼬임이 적어도 일부 해체되면서 미리 선(先) 타면된다.
이처럼 서브 타면 유닛(120)을 통해 선(先) 타면 폐로프는 연속되는 공정을 통해 메인 타면 유닛(130)으로 향하게 되고, 메인 타면 유닛(130)에서 메인 태양 타면롤러(131)와 다수의 메인 위성 타면롤러(132)의 상호작용에 기인하여 실질적으로 필라멘트로 타면된다.
메인 타면 유닛(130)과 서브 타면 유닛(120)의 하부 영역에는 폐로프 낙하방지 유닛(160)이 마련되기 때문에 폐로프 타면 시 타면되는 폐로프 또는 필라멘트가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 메인 타면 유닛(130)에서 타면이 완료되어 생산되는 필라멘트는 연속되는 공정을 통해 필라멘트 취출용 언로딩 유닛(140)으로 언로딩된다. 이때, 필라멘트 취출용 언로딩 유닛(140)에는 필라멘트 포집 유닛(170)이 마련되기 때문에 필라멘트의 포집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폐로프를 타면하여 도 1과 같은 필라멘트를 생산할 수 있음은 물론 콤팩트하면서도 타면에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필라멘트의 생산량을 현저하게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생산용 타면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생산용 타면장치 역시, 폐로프가 필라멘트로 타면되는 순서에 따라 폐로프 공급용 로딩 유닛(110), 서브 타면 유닛(120), 메인 타면 유닛(130), 그리고 필라멘트 취출용 언로딩 유닛(140)을 포함하며, 이들의 구성 및 작용은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필라멘트 포집 유닛(270)이 필라멘트 흡입 모듈(270)로 적용되고 있다.
필라멘트 흡입 모듈(270)은 필라멘트 취출용 언로딩 유닛(140)의 필라멘트 취출용 언로딩 롤러(141)에 이웃하게 배치되어 필라멘트 취출용 언로딩 롤러(141)의 외면을 따라 이동되는 필라멘트를 흡입하는 역할을 한다. 필라멘트 흡입 모듈(270)에 의해 흡입되는 필라멘트는 별도의 수집기(미도시)에 의해 수집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본 실시예에 따르면, 폐로프를 타면하여 도 1과 같은 필라멘트를 생산할 수 있음은 물론 콤팩트하면서도 타면에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필라멘트의 생산량을 현저하게 높일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생산용 타면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생산용 타면장치 역시, 폐로프가 필라멘트로 타면되는 순서에 따라 폐로프 공급용 로딩 유닛(110), 서브 타면 유닛(120), 메인 타면 유닛(130), 그리고 필라멘트 취출용 언로딩 유닛(140)을 포함하며, 이들의 구성 및 작용은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메인 타면 유닛(130)과 서브 타면 유닛(120)의 하부 영역에는 메인 타면 유닛(130)과 서브 타면 유닛(120)에 의한 폐로프 타면 시 낙하되는 폐로프(또는 필라멘트)를 회수하는 낙하 폐로프 회수 유닛(360)이 마련된다.
이때, 낙하 폐로프 회수 유닛(360)은 메인 타면 유닛(130)과 서브 타면 유닛(120)의 하부 영역에서 메인 타면 유닛(130)과 서브 타면 유닛(120)에 인접되게 배치되는 낙하 폐로프 회수 컨베이어(360)로 적용될 수 있으며, 낙하 폐로프 회수 컨베이어(360) 상에 낙하되는 폐로프(또는 필라멘트)는 폐로프 공급용 로딩 유닛(110)으로 피드백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본 실시예에 따르면, 폐로프를 타면하여 도 1과 같은 필라멘트를 생산할 수 있음은 물론 콤팩트하면서도 타면에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필라멘트의 생산량을 현저하게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0 : 폐로프 공급용 로딩 유닛 111 : 폐로프 공급 컨베이어
112 : 정량 공급용 롤러세트 120 : 서브 타면 유닛
121 : 서브 태양 타면롤러 121a : 서브 태양 타면톱니
122 : 제1 서브 위성 타면롤러 122a : 제1 서브 위성 타면톱니
123 : 제2 서브 위성 타면롤러 123a : 제2 서브 위성 타면톱니
130 : 메인 타면 유닛 131 : 메인 태양 타면롤러
131a : 메인 태양 타면톱니 132 : 메인 위성 타면롤러
132a : 메인 위성 타면톱니 132b : 메인 위성 타면롤러 바디
132c : 메인 위성 타면롤러 샤프트 132d : 메인 위성 타면롤러 베어링
133 : 메인 타면 프레임 134 : 메인 타면 샤프트
135 : 메인 위성 타면롤러 지지구 140 : 필라멘트 취출용 언로딩 유닛
141 : 필라멘트 취출용 언로딩 롤러 142 : 필라멘트 취출 컨베이어
151 : 제1 가이드 유닛 152 : 제2 가이드 유닛
153 : 제3 가이드 유닛 160 : 폐로프 낙하방지 유닛
170 : 필라멘트 포집 유닛 171 : 스크레이핑 모듈
172 : 스크레이퍼 172a : 첨예부
173 : 스크레이퍼 진동기 173a : 진동기 프레임
173b : 진동 바아 173c : 연결부재
175 : 에어 분사 모듈 176 : 에어 분사용 바아
176a : 에어 노즐구 177 : 바아 지지대
181 : 비산방지용 커버 182 : 호퍼
183 : 금속 탐지기 184 : 이물 선별용 마그네트
185 : 폐로프 해체 모듈 190 : 컨트롤러

Claims (23)

  1. 외주면에 톱니가 형성되는 롤러(roller)들의 상대회전에 기초하여 폐로프를 필라멘트로 타면하는 타면 유닛;
    상기 타면 유닛의 전(前) 공정에 배치되며, 상기 타면 유닛으로 상기 폐로프를 공급하는 폐로프 공급용 로딩 유닛; 및
    상기 타면 유닛의 후(後) 공정에 배치되며, 상기 타면 유닛을 통해 타면이 완료된 필라멘트를 취출하는 필라멘트 취출용 언로딩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생산용 타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라멘트 취출용 언로딩 유닛은,
    외면에 접촉되는 필라멘트를 회전운동을 통해 언로딩시키는 필라멘트 취출용 언로딩 롤러; 및
    상기 필라멘트 취출용 언로딩 롤러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필라멘트 취출용 언로딩 롤러에서 언로딩되는 필라멘트를 취출시키는 필라멘트 취출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생산용 타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라멘트 취출용 언로딩 유닛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필라멘트 취출용 언로딩 롤러를 따라 언로딩되는 필라멘트를 포집하는 필라멘트 포집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생산용 타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라멘트 포집 유닛은, 상기 필라멘트 취출용 언로딩 롤러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필라멘트 취출용 언로딩 롤러의 외면을 따라 이동되는 필라멘트를 긁어내는 스크레이핑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레이핑 모듈은,
    상기 필라멘트 취출용 언로딩 롤러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필라멘트 취출용 언로딩 롤러의 외면을 따라 이동되는 필라멘트를 긁어내는 스크레이퍼; 및
    상기 스크레이퍼와 연결되고 상기 스크레이퍼를 진동시키는 스크레이퍼 진동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생산용 타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이퍼 진동기는,
    상기 필라멘트 취출용 언로딩 롤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필라멘트 취출용 언로딩 롤러의 양측에 배치되는 진동기 프레임;
    상기 다수의 진동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진동 바아; 및
    상기 진동 바아와 상기 스크레이퍼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생산용 타면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이퍼의 선단부는 첨예한 첨예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생산용 타면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라멘트 포집 유닛은, 상기 필라멘트 취출용 언로딩 롤러를 향해 에어(air)를 분사하는 에어 분사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에어 분사 모듈은,
    상기 필라멘트 취출용 언로딩 롤러를 향해 에어(air)를 분사하는 다수의 에어 노즐구를 구비하는 에어 분사용 바아; 및
    상기 에어 분사용 바아를 지지하는 바아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생산용 타면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라멘트 포집 유닛은, 상기 필라멘트 취출용 언로딩 롤러에 이웃하게 배치되어 상기 필라멘트 취출용 언로딩 롤러의 외면을 따라 이동되는 필라멘트를 흡입하는 필라멘트 흡입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생산용 타면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면 유닛은,
    상기 필라멘트 취출용 언로딩 유닛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폐로프를 타면하여 상기 필라멘트로 생산하는 메인 타면 유닛; 및
    상기 폐로프 공급용 로딩 유닛과 상기 메인 타면 유닛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메인 타면 유닛에 의해 상기 폐로프가 타면되기 전에 상기 폐로프의 적어도 일부 꼬임을 해체하면서 미리 선(先) 타면하는 서브 타면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생산용 타면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타면 유닛은,
    메인 태양 타면톱니가 외주면에 마련되는 메인 태양 타면롤러; 및
    상기 메인 태양 타면롤러의 외주면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상기 메인 태양 타면롤러의 메인 태양 타면톱니와 상호작용하여 상기 폐로프를 타면하는 메인 위성 타면톱니가 외주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메인 위성 타면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생산용 타면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위성 타면롤러는 상기 메인 태양 타면롤러의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 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생산용 타면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타면 유닛은,
    상기 메인 태양 타면롤러의 양측에 배치되는 메인 타면 프레임;
    상기 메인 타면 프레임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메인 태양 타면롤러의 회전축심을 형성하는 메인 타면 샤프트; 및
    상기 메인 타면 프레임에 마련되어 상기 메인 위성 타면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다수의 메인 위성 타면롤러 지지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생산용 타면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위성 타면롤러는,
    상기 메인 위성 타면톱니가 외주면에 마련되는 메인 위성 타면롤러 바디;
    상기 메인 위성 타면롤러 바디의 회전축심을 형성하는 메인 위성 타면롤러 샤프트; 및
    상기 메인 위성 타면롤러 샤프트에 연결되고 상기 메인 위성 타면롤러 지지구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메인 위성 타면롤러 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생산용 타면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위성 타면톱니 영역의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저지시키기 위해 상기 메인 위성 타면롤러 바디의 내부에는 냉각유체 또는 냉각기체가 순환되는 냉각공간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생산용 타면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타면 유닛은,
    서브 태양 타면톱니가 외주면에 마련되는 서브 태양 타면롤러;
    상기 서브 태양 타면롤러의 외주면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상기 서브 태양 타면롤러의 서브 태양 타면톱니와 상호작용하여 상기 폐로프의 꼬임을 해체하면서 미리 선(先) 타면하는 제1 서브 위성 타면톱니가 외주면에 마련되는 제1 서브 위성 타면롤러; 및
    상기 제1 서브 위성 타면롤러와 이웃되게 상기 서브 태양 타면롤러의 외주면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상기 서브 태양 타면롤러의 서브 태양 타면톱니와 상호작용하여 상기 폐로프의 꼬임을 해체하면서 미리 선(先) 타면하는 제2 서브 위성 타면톱니가 외주면에 마련되는 제2 서브 위성 타면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생산용 타면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위성 타면롤러의 사이즈가 상기 제2 서브 위성 타면롤러의 사이즈보다 크게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생산용 타면장치.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타면 유닛과 상기 서브 타면 유닛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생산용 타면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면 유닛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어 타면 시 분진의 비산을 방지시키는 비산방지용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생산용 타면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로프 공급용 로딩 유닛은,
    상기 폐로프를 공급하는 폐로프 공급 컨베이어; 및
    상기 폐로프 공급 컨베이어와 상기 서브 타면 유닛 사이에 배치되며, 정량의 폐로프를 상기 서브 타면 유닛으로 공급하는 정량 공급용 롤러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생산용 타면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폐로프 공급 컨베이어의 상부에 마련되며, 내부에 저장된 상기 폐로프를 일정량만큼씩 상기 폐로프 공급 컨베이어에 공급하는 호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생산용 타면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폐로프 공급 컨베이어의 상부에 마련되며, 공급되는 상기 폐로프 속의 금속을 탐지하는 금속 탐지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생산용 타면장치.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폐로프 공급 컨베이어의 상부에 마련되며, 공급되는 상기 폐로프 속의 금속을 자기적으로 흡착시켜 선별하는 이물 선별용 마그네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생산용 타면장치.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폐로프 공급 컨베이어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폐로프를 찢어 해체하여 상기 정량 공급용 롤러세트로 공급하는 폐로프 해체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생산용 타면장치.
KR1020150109324A 2015-08-03 2015-08-03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생산용 타면장치 KR201700160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324A KR20170016053A (ko) 2015-08-03 2015-08-03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생산용 타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324A KR20170016053A (ko) 2015-08-03 2015-08-03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생산용 타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6053A true KR20170016053A (ko) 2017-02-13

Family

ID=58156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9324A KR20170016053A (ko) 2015-08-03 2015-08-03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생산용 타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16053A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05121A (ja) 1986-10-17 1988-05-10 Hiroyuki Kanai 針布ロ−ラ
KR20040104557A (ko) 2002-04-02 2004-12-10 듀폰 도레이 컴파니, 리미티드 사용 종료 내열성 고기능 방적사 제품의 재생 방법
KR100479527B1 (ko) 2003-11-07 2005-03-31 한국해양연구원 폐 연심로프 분쇄 재활용 장치
KR20070120504A (ko) 2005-02-21 2007-12-24 (주)리앤에스 자동차 내장재용 경량복합판재
KR100974173B1 (ko) 2009-12-10 2010-08-05 주식회사 하도에프앤씨 압축된 폐 부직포를 재활용하기 위한 개면장치
KR101213717B1 (ko) 2012-07-09 2012-12-18 송옥주 폐그물 재생장치
KR101235235B1 (ko) 2011-08-25 2013-02-22 (주) 금토일산업 자동차 내장재 소재의 발수처리 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자동차 내장재 소재
KR20130078159A (ko) 2011-12-30 2013-07-10 다이텍연구원 폐아라미드 섬유제품을 이용한 재생 아라미드 방적사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05121A (ja) 1986-10-17 1988-05-10 Hiroyuki Kanai 針布ロ−ラ
KR20040104557A (ko) 2002-04-02 2004-12-10 듀폰 도레이 컴파니, 리미티드 사용 종료 내열성 고기능 방적사 제품의 재생 방법
KR100479527B1 (ko) 2003-11-07 2005-03-31 한국해양연구원 폐 연심로프 분쇄 재활용 장치
KR20070120504A (ko) 2005-02-21 2007-12-24 (주)리앤에스 자동차 내장재용 경량복합판재
KR100974173B1 (ko) 2009-12-10 2010-08-05 주식회사 하도에프앤씨 압축된 폐 부직포를 재활용하기 위한 개면장치
KR101235235B1 (ko) 2011-08-25 2013-02-22 (주) 금토일산업 자동차 내장재 소재의 발수처리 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자동차 내장재 소재
KR20130078159A (ko) 2011-12-30 2013-07-10 다이텍연구원 폐아라미드 섬유제품을 이용한 재생 아라미드 방적사의 제조방법
KR101213717B1 (ko) 2012-07-09 2012-12-18 송옥주 폐그물 재생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94762B2 (ja) 粉砕処理装置
KR101678685B1 (ko) 이물질을 거르는 목재칩 또는 톱밥의 이송 장치
KR20170006471A (ko) 생활폐기물 처리시스템의 파쇄 탈분기
WO2017173983A1 (zh) 散包除尘装置
US4173177A (en) Decorticator and separator for seed products
US20090050720A1 (en) Powderizing Apparatus and Powderizing Method
US20100001110A1 (en) Material breaker
EP0893220B1 (en) Apparatus for recycling polyethylene, particularly polyethylene foil
JP5127762B2 (ja) 廃棄物処理設備
JP4870407B2 (ja) 剪断式破砕機
KR20100005787A (ko) 폐그물 파쇄 및 선별 시스템
KR20170016053A (ko)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생산용 타면장치
CN105945037B (zh) 一种再生回收物料的疏解、摊铺和筛选装置及方法
KR20170016052A (ko)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생산용 타면장치
KR100361136B1 (ko) 구형농산물 선별기
CN107694701A (zh) 高速垃圾磨碎机
CN208146369U (zh) 双轴生物质分离机
US20230364646A1 (en) Apparatus with drum for separating packagings and material adhering thereto, with improved environmental impact
JP2006122894A (ja) 剪断式破砕機
US9649637B2 (en)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materials
JP5127761B2 (ja) 廃棄物処理設備
EP1712301A2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Aufbereitung von Elektronikschrott
JP2022083668A (ja) 発酵適物選別装置の清掃装置
CN210097792U (zh) 一种沙琪玛返料碎料装置
JP2009101268A (ja) 破砕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