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1136B1 - 구형농산물 선별기 - Google Patents

구형농산물 선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1136B1
KR100361136B1 KR1020000003047A KR20000003047A KR100361136B1 KR 100361136 B1 KR100361136 B1 KR 100361136B1 KR 1020000003047 A KR1020000003047 A KR 1020000003047A KR 20000003047 A KR20000003047 A KR 20000003047A KR 100361136 B1 KR100361136 B1 KR 100361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ricultural products
spherical
roller
present
spherical agricultu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3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3876A (ko
Inventor
강선철
김홍명
김봉훈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영광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영광학원 filed Critical 학교법인 영광학원
Priority to KR1020000003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1136B1/ko
Publication of KR20010073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38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1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11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26Mounting devices for seat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45Display arrangements, e.g. multiple display un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4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 G01G19/413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u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nic computing means
    • G01G19/414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u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nic computing means using electronic computing means onl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2201/00Details and methods of use for water closets and urin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파, 감자 등의 야채로 부터 사과, 배 등의 과일 등의 구형 또는 구형에 가까운 농산물을 표면이물질제거부를 통과하게 하여 선별하는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표면이물질제거부가 구비된 구형농산물 선별기는 투입된 구형농산물의 표면의 오물을 제거하는 표면이물질제거부와, 일측에 설치된 모터 2에 의하여 한쪽방향으로 회전하는 다수의 롤러가 상기 공급부로 부터 진행방향으로 경사도를 이루면서 넓어지게 형성되고, 상기 롤러 하단에는 선별된 농산물이 낙하시 충격을 방지하는 충격흡수부와, 선별된 농산물을 수납하는 수납부로 구성되며,
본 발명의 실시로 구형 농산물 뿐만 아니라 구형에 가까운 농산물을 저가의 설비로 효율적으로 선별 뿐만 아니라 세척까지 연속으로 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구형농산물 선별기 {A screening equipment for the globe-shaped farm products }
본 발명은 표면이물질제거부가 구비된 구형농산물 선별기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파, 감자 등의 야채로 부터 사과, 배 등의 과일 등의 구형 또는 구형에 가까운 농산물의 표면 이물질을 제거후 선별하는 구형농산물 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선별기는 형상선별 방식과 중량선별 방식으로 나뉘며, 중량선별방식은 무게감지장치 등의 설비를 사용하며, 형상선별방식으로는 드럼(drum)방식, 메쉬벨트(Mesh belt)식, 롤러리프트(Roller lift)식, 캘리퍼스 또는 광학적 측정설비를 이용한 개별 측정방식이 있다.
그러나 상기 중량선별방식은 고가의 무게감지장치를 필요로 하여 장비가 고가로 되는 단점이 있고, 종래의 형상선별방식은 연속작업이 어려운 문제점들이 있었으며, 또한 농작물의 표면을 깨끗하게 하는 설비가 제대로 갖추어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농산물 표면의 오물을 깨끗히 제거하고, 농산물의 크기에 따라 손쉽게 효율적이고 연속적으로 선별할 수 있는 건조세척부가 구비된 구형농산물 선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형농산물을 용이하게 전진시켜 선별하는 표면이물질제거부가 구비된 구형농산물 선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의 목적은 투입된 구형농산물 표면의 오물을 제거하는 표면이물질제거부와, 일측에 설치된 모터 2에 의하여 한쪽방향으로 회전하는 다수의 롤러가 상기 공급부로 부터 진행방향으로 경사도를 이루면서 넓어지게 형성되고, 상기 롤러 하단에는 선별된 농산물이 낙하시 충격을 방지하는 충격흡수부와, 선별된 농산물을 수납하는 수납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구성함으로써 달성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롤러의 외주에 나선형 날개를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달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그 기본적인 예시에 불과하며 이를 변경한 어떠한 형상과 구조로 된 것이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일부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개략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개략 일부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개략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일부 부품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표면이물질제거부 11 : 투입구
12 : 브러시 13 : 브러시롤러
14 : 모터 1 15 : 털이개
16 : 슈트 18 : 스프라켓 1
19 : 체인 1 20 : 모터 2
30 : 롤러 31 : 베어링 2
32 : 스프라켓 2 33 : 체인 2
34 : 나선형날개
40 : 충격흡수부 50 : 수납부
51 : 칸막이 52 : 수납함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일부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개략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개략 일부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개략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일부부품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표면이물질제거부가 구비된 구형농산물 선별기에 대하여 실시예에 따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표면이물질제거부가 구비된 구형농산물 선별기는 투입된 구형농산물의 표면의 오물을 제거하는 표면이물질제거부(10)와, 일측에 설치되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롤러를 한쪽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 2(20)와, 슈트(16)로 부터 진행방향으로 경사도를 이루면서 넓어지게 형성된 다수의 롤러(30)들과, 상기 롤러(30)에 의해 선별된 농산물이 낙하시 충격을 방지하는 충격흡수부(40)와, 선별된 농산물을 수납하는 수납부(50)로 구성된다.
상기 표면이물질제거부(10)는 구형농산물을 투입하는 투입구(11)와, 롤러의 표면에 브러시(12)가 달린 다수의 브러시롤러(13)와, 그 브러시롤러(13)를 회전시키는 모터 1(14)와, 투입된 농산물을 상부에서 세척하는 털이개(15)와 농산물을 선별기로 보내는 중간인 슈트(16)로 구성된다.
상기 표면이물질제거부(10)의 슈트(16)는 농산물이 롤러(30) 양단사이에 낙하되도록 폭이 제한되며, 바를 설치해 흙 등의 오물을 선별기로 가기 전에 걸러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브러시롤러(13)들은 양측의 베어링 1(미도시)에 의해 지지되고, 일측에 형성된 스프라켓 1(18)에 체인 1(19)이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모터 1(14)와 연결된 감속기(미도시)에 의해 저속으로 회전된다.
상기 롤러(30)들은 양측의 베어링 2(31)에 의해 지지되고, 일측에 형성된 스프라켓 2(32)에 체인 2(33)이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모터 2(20)와 연결된 감속기(미도시)에 의해 저속으로 회전된다.
상기 롤러(13,30)들의 회전은 체인(19,33)에 의한 구동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스프라켓(18,32) 대신에 풀리를 설치하고 벨트로 구동할 수도 있다.
상기 경사도는 농산물의 크기, 구형도에 따라 다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조절이 가능하게 일측에 길이를 조절하는 수단을 갖출 수 있으나, 쉽게는 설비의 입구부분 또는 출구부분을 괴여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충격흡수부(40)는 스폰지와 같이 충격을 흡수하는 재질을 사용하며, 농산물이 아래로 굴러가도록 경사지게 설치된다.
상기 수납부(50)는 상기 롤러(30)들과 충격흡수부(40)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의 칸막이(51)와 구분된 농산물이 선별장치 몸체로 부터 배출시 섞이지 않게 구분하는 수납함(52)으로 이루어진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건조세척부가 구비된 구형농산물 선별기의 작용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모터들(14,20)에 전원을 인가시켜 롤러(30), 브러시롤러(13)를 회전시키고, 선별코자하는 농산물을 투입구(11)에 투입하면, 투입된 농산물은 브러시롤러 (30)의 회전과 상방의 털이개(15)의 작동으로 오물이 제거되면서 선별기쪽으로 진행된다. 다만 농산물이 계속적으로 공급되지 않으면 구형농산물이 앞으로 진행되지 못하고 제자리에서 헛돌므로 농산물의 정량공급이 필요하다. 오물이 제거된 농산물은 슈트(16)를 따라 선별기로 보내지면 경사도에 의해 아래로 진행되면서 크기가 작은 순서로 충격흡수부(40)로 떨어지면서 칸막이(51)에 의해 구분되어 다수의 선별함(52)으로 보내진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롤러(30)의 외주에 나선형날개(34)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나선형날개(34)는 일반 스크류와 같은 날개를 형성할 수도 있지만, 고무재질처럼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부재를 이용해 일반 파이프의 외주를 나선형으로 감는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형 농산물 뿐만 아니라 감자, 고구마 등의 구형에 가까운 농산물을 롤러(30)의 회전과 경사도에 더하여 나선형날개(34)의 회전에 의한 추진으로 수월하게 진행시켜 상기 실시예와 같은 방법으로 농산물을 선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로 구형 농산물 뿐만 아니라 구형에 가까운 농산물을 저가의 설비로 효율적으로 선별 뿐만 아니라 세척까지 연속으로 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으므로, 농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구형농산물을 투입하는 투입구 (11)와, 롤러의 표면에 브러시(12)가 달린 다수의 브러시롤러(13)와, 그 브러시롤러(13)를 회전시키는 모터 1(14)와, 투입된 농산물을 상부에서 세척하는 털이개 (15)를 구비하면서 투입구(11)의 타측에 슈트(16)를 형성한 표면이물질제거부(10)와,
    상기 표면이물질제거부(10)와 일직선상에 배치되면서 슈트(16)측은 간격이 좁고, 슈트(16)측에서 멀어질수록 간격이 넓고, 기울기는 낮아지게 형성되면서 모터 2(20)에 연결된 체인(33)을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한쪽방향으로 회전하게 배치된 다수의 롤러(30)와,
    상기 롤러(30)의 하부에 롤러(30)를 통과한 구형 농산물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수납부(50)에 모아지게 일정 각도로 경사져 설치된 충격흡수부(40)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구형농산물 선별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30)는 외주면에 고무재의 나선형날개(34)를 형성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구형 농산물선별기.
KR1020000003047A 2000-01-22 2000-01-22 구형농산물 선별기 KR100361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3047A KR100361136B1 (ko) 2000-01-22 2000-01-22 구형농산물 선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3047A KR100361136B1 (ko) 2000-01-22 2000-01-22 구형농산물 선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3876A KR20010073876A (ko) 2001-08-03
KR100361136B1 true KR100361136B1 (ko) 2002-11-22

Family

ID=19640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3047A KR100361136B1 (ko) 2000-01-22 2000-01-22 구형농산물 선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1136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1742B1 (ko) 2008-02-29 2008-10-06 정경원 과일 자동분류장치
KR101208356B1 (ko) 2012-07-03 2012-12-05 (주)에스엔피시스템 브러쉬롤에 의한 구형 농산물의 이물질 제거 겸용 선별기
KR101303836B1 (ko) 2013-02-20 2013-09-04 (주)에스엔피시스템 원심 선별기
KR101462410B1 (ko) * 2012-09-18 2014-11-20 김미정 마늘 선별장치
KR102028632B1 (ko) * 2018-07-10 2019-10-04 기형도 적하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버력 선별장치
KR102036720B1 (ko) 2019-04-18 2019-11-26 장근일 농산물 선별 시스템
KR102059422B1 (ko) 2017-08-24 2019-12-26 (주)슈닉스 구형농산물 선별기
KR20200031378A (ko) 2018-09-14 2020-03-24 (주)조이엠 구형 농작물용 선별포장기
KR20210090344A (ko) 2020-01-10 2021-07-20 (주)조이엠 구형 농작물 선별 포장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276B1 (ko) * 2002-10-29 2005-03-10 김유태 농산물 포장전처리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9430A (ko) * 1991-04-12 1992-11-19 김형식 자동과일 선과기
KR19980010198U (ko) * 1996-08-02 1998-05-15 장동소 물품크기 선별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9430A (ko) * 1991-04-12 1992-11-19 김형식 자동과일 선과기
KR19980010198U (ko) * 1996-08-02 1998-05-15 장동소 물품크기 선별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1742B1 (ko) 2008-02-29 2008-10-06 정경원 과일 자동분류장치
KR101208356B1 (ko) 2012-07-03 2012-12-05 (주)에스엔피시스템 브러쉬롤에 의한 구형 농산물의 이물질 제거 겸용 선별기
KR101462410B1 (ko) * 2012-09-18 2014-11-20 김미정 마늘 선별장치
KR101303836B1 (ko) 2013-02-20 2013-09-04 (주)에스엔피시스템 원심 선별기
KR102059422B1 (ko) 2017-08-24 2019-12-26 (주)슈닉스 구형농산물 선별기
KR102028632B1 (ko) * 2018-07-10 2019-10-04 기형도 적하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버력 선별장치
KR20200031378A (ko) 2018-09-14 2020-03-24 (주)조이엠 구형 농작물용 선별포장기
KR102036720B1 (ko) 2019-04-18 2019-11-26 장근일 농산물 선별 시스템
KR20210090344A (ko) 2020-01-10 2021-07-20 (주)조이엠 구형 농작물 선별 포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3876A (ko) 2001-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1136B1 (ko) 구형농산물 선별기
US3390768A (en) Tomato harvesting apparatus
US2976550A (en) Grab-roll screen
US2997086A (en) Beet screening and cleaning device
US2350691A (en) Grading machine
US4068574A (en) Continuous peeling apparatus
US4191653A (en) Self washing belt strainer
US4420118A (en) Cauliflower size cutter
US4842883A (en) Continuous produce surface treater and method
US4138940A (en) Apparatus for removing calyxes and the like from fruits
US3745913A (en) Shucker
US2018157A (en) Blueberry cleaner
US3388731A (en) Fruit stem removal
US2601055A (en) Strawberry capping machine
US626613A (en) Fruit-cleaner
KR200189345Y1 (ko) 구형농산물 선별기
US580067A (en) Bolting or separating machine
US5327819A (en) Peanut blanching process
US20210291232A1 (en) Go/no-go sizer for generally spherical fruit, tubers and vegetables
US1752375A (en) Peanut-picking machine
SU1003799A1 (ru) Машина дл очистки сельскохоз йственных культур
JP3761125B2 (ja) 選別装置用ベルトコンベヤ
SU94266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мойки корнеклубнеплодов
SU760933A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мойки грибов 1
US637537A (en) Machine for gathering silk from cut cor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