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0344A - 구형 농작물 선별 포장 장치 - Google Patents

구형 농작물 선별 포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0344A
KR20210090344A KR1020200003431A KR20200003431A KR20210090344A KR 20210090344 A KR20210090344 A KR 20210090344A KR 1020200003431 A KR1020200003431 A KR 1020200003431A KR 20200003431 A KR20200003431 A KR 20200003431A KR 20210090344 A KR20210090344 A KR 202100903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orting
crop
spherical
cro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3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조영
Original Assignee
(주)조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조이엠 filed Critical (주)조이엠
Priority to KR1020200003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0344A/ko
Publication of KR20210090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03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2Packag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65B35/24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endless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10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12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fixed, or normally fixed, relative to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65G17/32Individual load-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1/00Supporting frames or bases for conveyors as a whole, e.g. transportable conveyor frames
    • B65G41/007Means for moving conveyor frames and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65G41/008Means for moving conveyor frames and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frames mounted on wheels or caterpil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02Agricultural and processed food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Root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구형 농작물 선별 포장 장치는: 외관 골조를 이루도록 구비된 본체 프레임; 상기 본체 프레임의 전방 하부에 구비되어 구형 농작물 수확현장의 지면을 이동함에 따라 회전되며 구형 농작물이 수집되도록 구비된 수집 유닛;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집 유닛에서 수집되어 이송되어 오는 구형 농작물이 크기에 따라 구별되어 배출되도록 하는 선별 유닛; 상기 수집 유닛과 상기 선별 유닛의 사이에서 상기 수집 유닛의 후방으로부터 상측으로 경사지게 구비되어 상기 수집 유닛에서 수집되는 구형 농작물이 상기 선별 유닛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농작물 이송유닛; 상기 본체 프레임에서 상기 선별 유닛의 일측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선별 유닛에서 구별되어 배출 이송되어 오는 구형 농작물이 크기별로 포장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다수의 포장체가 나란히 거치 되는 포장 유닛; 및, 상기 선별 유닛과 상기 포장 유닛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선별 유닛에서 구별 배출되는 구형 농작물이 상기 포장 유닛에 거치 된 각각의 포장체로 크기별로 이송되도록 하는 선별 이송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양파, 감자, 사과, 배, 토마토 등과 같은 구형의 농작물을 수확현장에서 바로 직접 크기별로 선별하고, 선별된 농작물을 포장체로 포장하는 일련의 과정들이 자동으로 용이하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는 구형 농작물 선별 포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구형 농작물 선별 포장 장치 {apparatus for sorting and packing globular shaped crops}
본 발명은 구형 농작물 선별 포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파, 감자, 사과, 배, 토마토 등과 같은 구형의 농작물을 수확현장에서 바로 직접 크기별로 선별하고, 선별된 농작물을 포장체로 포장하는 일련의 과정들이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는 구형 농작물 선별 포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농작물 선별기는 자동으로 수확된 작물을 크기나 중량별로 고르는데 사용되는 자동화 기기이다. 이러한 선별기는 크게 형상선별 방식과 중량선별 방식으로 구분된다. 중량선별 방식은 무게 감지유닛을 이용하고, 형상선별 방식은 드럼, 롤러 리프트유닛이나 캘리퍼스 또는 광학적 측정유닛을 이용한다.
예컨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61136호 (발명의 명칭: 구형농작물 선별기)를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선별기는 구형의 작물을 공급하는 공급부와, 모터에 의하여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다수의 롤러가 공급부로부터 진행방향으로 경사도를 이루면서 넓어지게 장착되고, 롤러의 하단에는 선별된 작물을 수납하는 수납부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제안된 선별기는 롤러를 사용하므로 구형의 작물이 회전력에 의해 외부로 튕겨지거나 끼임으로 작물을 손상시키는 문제가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26135호 (발명의 명칭: 농작물 선별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제안된 문헌에 따르면, 롤러 대신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여 작물을 이송시키면서 크기에 따라 선별토록 하고 있다.
그러나 벨트는 외부 요인이나 사용 시간에 따라 장력에 저하되므로 수시로 점검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벨트를 지지하는 롤러 사이에 불가피한 홈이 형성됨에 따라 정밀한 선별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더구나 선별된 작물의 급격한 낙하로 인해 작물을 손상시키는 것은 물론, 선별된 작물을 수작업으로 포장하거나 별도의 포장기로 운반시켜야 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61136호 (발명의 명칭: 구형농작물 선별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26135호 (발명의 명칭: 농작물 선별장치)
본 발명은 위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작물을 크기별로 선별하는데 이어 선별된 작물을 포장체로 적재하는 일련의 과정을 자동적으로 수행하는 것은 물론, 적재량에 따라 포장체의 부피를 가변시켜 낙하로 인한 작물의 손상을 방지함과 함께 포장체의 높낮이로 적재량을 인지할 수 있도록 구현하여 작업의 편의성과 작물의 호환성을 겸비하는 구형 농작물 선별 포장 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구형 농작물 선별 포장 장치는: 외관 골조를 이루도록 구비된 본체 프레임; 상기 본체 프레임의 전방 하부에 구비되어 구형 농작물 수확현장의 지면을 이동함에 따라 회전되며 구형 농작물이 수집되도록 구비된 수집 유닛;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집 유닛에서 수집되어 이송되어 오는 구형 농작물이 크기에 따라 구별되어 배출되도록 하는 선별 유닛; 상기 수집 유닛과 상기 선별 유닛의 사이에서 상기 수집 유닛의 후방으로부터 상측으로 경사지게 구비되어 상기 수집 유닛에서 수집되는 구형 농작물이 상기 선별 유닛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농작물 이송유닛; 상기 본체 프레임에서 상기 선별 유닛의 일측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선별 유닛에서 구별되어 배출 이송되어 오는 구형 농작물이 크기별로 포장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다수의 포장체가 나란히 거치 되는 포장 유닛; 및, 상기 선별 유닛과 상기 포장 유닛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선별 유닛에서 구별 배출되는 구형 농작물이 상기 포장 유닛에 거치 된 각각의 포장체로 크기별로 이송되도록 하는 선별 이송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 프레임의 하부에는 상기 본체 프레임이 구형 농작물 수확현장의 지면에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수집 유닛이 회전 및 이동되도록 무한궤도 타입의 본체 이동유닛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농작물 이송유닛은 상부로 일정 간격마다 수거 갈퀴가 구비된 이송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선별 유닛은 상부로 일정 간격마다 선별 갈퀴가 구비된 선별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양파, 감자, 사과, 배, 토마토 등과 같은 구형의 농작물을 수확현장에서 바로 직접 크기별로 선별하고, 선별된 농작물을 포장체로 포장하는 일련의 과정들이 자동으로 용이하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는 구형 농작물 선별 포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스태커가 적재량에 맞춰 포장체의 부피를 가변시켜 낙하로 인한 작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포장체로 진동을 부가하여 작물이 고르게 적재되게 유도함과 함께 스태커의 높낮이로 적재량을 인지할 수 있게 구현하여 보다 편리한 작업을 기대할 수 있다.
아울러, 별도의 동력원 대신 스프링 저울이 가진 탄성을 이용하여 스태커의 높낮이를 가변되게 구현함으로써 저렴한 제작비용과 유지보수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고, 적재가 완료된 포장체를 외부로 출고하는 동안 스태커를 고정시켜줌에 따라 급격한 승강을 방지하여 작업의 안정성이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형 농작물 선별 포장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구형 농작물 선별 포장 장치에서 본체 이동유닛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구형 농작물 선별 포장 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도 1의 구형 농작물 선별 포장 장치의 정면도,
도 5는 도 1의 구형 농작물 선별 포장 장치의 후면도,
도 6은 도 1의 구형 농작물 선별 포장 장치를 위에서 내려다본 평면도,
도 7은 도 1의 구형 농작물 선별 포장 장치의 포장 유닛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포장 유닛의 정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형 농작물 선별 포장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100)과, 수집 유닛(200)과, 선별 유닛(300)과, 농작물 이송유닛(400)과, 포장 유닛(500)과, 선별 이송유닛(600)을 포함한다.
본체 프레임(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프레임 부재들로 농작물 이송유닛(400), 선별 유닛(300), 선별 이송유닛(600) 및 포장 유닛(500)이 설치되는 본 발명에 따른 구형 농작물 선별 포장 장치의 외관 골조를 이루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100)의 내부에는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발전기(110)와, 발전기(110)에서 발생 되는 전기 에너지를 모아서 저장하였다가 농작물 이송유닛(400), 선별 유닛(300), 선별 이송유닛(600) 등이 구동되도록 하는 배터리(120)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발전기(110)는 디젤유로 작동되는 디젤 발전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집 유닛(20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100)의 전방 하부에 구비되어 구형 농작물 수확현장의 지면을 이동함에 따라 회전되며 양파 등과 같은 구형 농작물(10)이 수집되도록 구비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수집 유닛(20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 축의 좌우 양단부에 구비되어 구형 농작물 수확현장의 지면에 대해 구름 동작 되며 회전되는 한 쌍의 바퀴(210)와, 바퀴 축의 둘레에 구비되어 바퀴 축의 둘레에 방사상으로 구비된 다수의 수집 블레이드들이 연장된 수집 롤러(22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체 프레임(100)의 이동시 수집 유닛(200)의 바퀴(210)들이 종동 회전되며 수집 롤러(220)가 회전되어 수집 블레이드에 의해 구형 농작물(10)들이 수확현장에서 바로 용이하게 수집 되도록 할 수 있다.
선별 유닛(3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1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수집 유닛(200)에서 수집되어 이송되어 오는 구형 농작물(10)이 크기에 따라 구별되어 배출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별 유닛(300)은 상부로 일정 간격마다 선별 갈퀴(311)가 구비된 선별 컨베이어(31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선별 유닛(300)으로 이송되어 오는 구형 농작물(10)들이 선별 컨베이어(310)의 선별 갈퀴(311)에 의해 이송되며 선별 작업이 용이하게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별 컨베이어(310)에는 선별 컨베이어(310)가 작동되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선별 구동부(320)가 기어나 체인과 같은 전동 수단에 의해 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별 유닛(300)의 전단에는 농작물 이송유닛(400)을 통해 이송되어 오는 구형 농작물(10)들이 선별 컨베이어(310)로 투입되는 것을 안내하는 투입 호퍼(330)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별 컨베이어(310)의 하부에는 선별 컨베이어(310)의 이송방향을 따라 길게 구비된 다수의 파이프 부재들이 서로 간격이 점진적으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나란히 이격 배치된 선별 조절 가이드(340)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선별 갈퀴(311)에 의해 선별 컨베이어(310)를 따라 상부에서 하부로 이송되는 구형 농작물(10)들이 선별 조절 가이드(340)의 파이프 부재들 상호 간에 이격된 틈새를 통해 각각 크기별로 선별 이송유닛(600)으로 낙하 되어 크기별로 선별되어 포장 유닛(500)의 포장체(501)들로 각각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선별 조절 가이드(340)의 파이프 부재들은 상호 간의 이격 간격이 조절 가능하게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선별 조절 가이드(340)의 파이프 부재들 상호 간의 간격 조절은 선별 유닛(300)에서 투입 호퍼(330)의 반대편 단부에 구비된 스크류와 스크류의 일단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노브에 의해 손쉽게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선별 조절 가이드(340)에 의해 선별 유닛(300)에서 선별되는 구형 농작물(10)의 종류에 상관없이 수박, 호박과 같은 대형 작물은 물론, 양파, 감자, 사과, 배와 같은 중형 작물에 이어 방울 토마토나 호두와 같은 소형 작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크기별로 선별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변경 적용되도록 할 수 있다.
농작물 이송유닛(40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집 유닛(200)과 선별 유닛(300)의 사이에서 수집 유닛(200)의 후방으로부터 상측으로 경사지게 구비되어 수집 유닛(200)에서 수집되는 구형 농작물(10)이 선별 유닛(300)으로 이송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농작물 이송유닛(400)은 상부로 일정 간격마다 수거 갈퀴(411)가 구비된 이송 컨베이어(41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컨베이어(410)의 하부에는 이송 컨베이어(410)의 경사진 방향을 따라 본체 프레임(100)이 구비되어 이송 컨베이어(410)를 지지하도록 구비되고, 이송 컨베이어(410)에는 이송 구동부(420)가 기어나 체인과 같은 전동 수단에 의해 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수집 유닛(200)의 수집 롤러(220)에 의해 수집되는 구형 농작물(10)들이 농작물 이송유닛(400)의 수거 갈퀴(411)에 의해 이송 컨베이어(410)를 따라 상측으로 경사지게 이송되어 선별 유닛(300)으로 용이하게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수거 갈퀴(411)의 끝 부분은 이송 중 농작물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절곡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포장 유닛(500)은,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100)에서 선별 유닛(300)의 일측 하부에 구비되며, 선별 유닛(300)에서 구별되어 배출 이송되어 오는 구형 농작물(10)이 크기별로 포장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다수의 포장체(501)가 나란히 거치 되게 구비된다.
여기서, 포장체(501)는 박스나 자루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는 양파 망이 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 유닛(500)은 포장체(501)가 거치 되는 거치대의 하부에 구비되어 포장체(501)를 지지하며 구형 농작물(10)의 적재량에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된 스태커(510)를 포함한다.
포장 유닛(500)의 거치대는 크기별로 마련되어 나란하게 거치되는 다수의 포장체(501)들에 각각 대응되게 본체 프레임(100)에 구비되고, 중앙에는 포장체(501)가 드나들도록 U자형으로 개구된 통로가 형성된다. 이러한 거치대의 통로 주변에는 포장체(501)를 결박하는 ㄱ자형의 걸림편이 돌출된다.
즉, 포장체(501)의 입구 단부를 걸림편에 감싸지게 말아준 뒤에 고무줄이나 끈으로 결박시켜 입구부를 개구 상태로 거치 되게 유도한다. 여기서 거치대는 다양한 포장체(501)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걸림대와 클램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스태커(5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 유닛(500)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레일을 따라 상하로 이동을 유도하는 복수의 롤러(520)로 구성된다. 이러한 스태커(510)는 포장체(501)의 부피가 축소되게 상승된 상태를 가지다가 농작물의 적재량에 따라 서서히 하강하게 된다.
예컨대, 포장체(501)가 높이가 긴 자루인 경우, 종래에는 입구단과 밑단간의 거리 차가 크므로 낙하 되는 가속도에 의해 적재 과정에서 농작물이 손상될 수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스태커(510)에 의하면 농작물이 손상되지 않는 낙하거리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부피를 가변시킨다.
이러한 스태커(51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동력유닛을 통해 농작물의 적재량에 따라 상하로 유동시킬 수 있으나, 농작물의 적재량에 따라 탄성을 부가하는 스프링 저울(5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스프링 저울(530)은 스태커(510)를 상시 상승 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탄성을 부가하고, 농작물의 적재량에 비례하는 길이로 늘어나는 만큼 스태커(510)를 하강시킨다. 따라서, 스태커(510)의 높낮이로 적재량을 육안으로 인지할 수 있어 보다 편리한 작업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농작물의 적재가 완료되면 중량에 의해 스태커(510)는 최하 위치로 하강하고, 이와 함께 스프링 저울(530)은 최대량으로 늘어나게 된다. 이후, 포장체(501)의 입구를 봉인한 다음, 포장 유닛(500)으로부터 이탈시키는 순간 스프링 저울(530)의 탄성에 의해 스태커(510)는 최상 위치로 급격하게 상승하여 포장체(501) 또는 작업자를 타격하게 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포장 유닛(500)에는 포장이 완료된 포장체(501)를 외부로 출고하는 동안 스태커(510)를 고정해주는 안전수단이 필요하다.
이러한 안전수단은 스태커(510)와 스프링 저울(530)에 각각 연결되어 적재량에 따라 이동하는 와이어(540)와, 와이어(540)에 연결되어 이동됨에 따라 회전되는 드럼과, 드럼의 외면과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라이닝과, 라이닝과 케이블로 연결되어 드럼의 회전을 단속하는 조작레버(55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와이어(540)는 벨트나 체인으로 구성할 수 있고, 드럼은 와이어(540)와 맞물려 회전하는 풀리나 스프라켓 따위의 원판이 부착된다. 그리고, 조작레버(550)는 래칫 구조로 이루어져 조작에 따라 라이닝의 작동을 유지시켜 준다.
따라서, 농작물의 포장이 완료되면 조작레버(550)를 당겨 라이닝과 드럼을 서로 맞물리게 하고, 맞물림에 의한 마찰로 회전이 저지된 원판은 스프링 저울(530)의 탄성을 차단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포장체(501)의 입구를 봉인한 다음, 포장 유닛(500)으로부터 안전하게 출고한 후에 조작레버(550)를 서서히 풀어 스태커(510)를 본래의 위치인 최상 위치로 상승시키면 된다.
이에 따라, 스태커(510)가 적재량에 맞춰 포장체(501)의 부피를 가변시켜 낙하로 인한 작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포장체(501)로 진동을 부가하여 작물이 고르게 적재되게 유도함과 함께 스태커(510)의 높낮이로 적재량을 인지할 수 있게 구현하여 보다 편리한 작업을 기대할 수 있다.
아울러, 별도의 동력원 대신 스프링 저울(530)이 가진 탄성을 이용하여 스태커(510)의 높낮이를 가변되게 구현함으로써 저렴한 제작비용과 유지보수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고, 적재가 완료된 포장체(501)를 외부로 출고하는 동안 스태커(510)를 고정 시켜줌에 따라 급격한 승강을 방지하여 작업의 안정성이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선별 이송유닛(600)은,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별 유닛(300)과 포장 유닛(500)의 사이에 구비되어 선별 유닛(300)에서 구별 배출되는 구형 농작물(10)이 포장 유닛(500)에 거치 된 각각의 포장체(501)로 크기별로 이송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양파, 감자, 사과, 배, 토마토 등과 같은 구형의 농작물을 수확현장에서 바로 직접 크기별로 선별하고, 선별된 농작물을 포장체(501)로 포장하는 일련의 과정들이 자동으로 용이하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는 구형 농작물 선별 포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선별 이송유닛(6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별 유닛(300)의 하부에서 포장 유닛(500)의 각각의 거치대에 대응되게 상향 경사지게 나란하게 연장된 다수의 배출 컨베이어(610)와, 기어나 체인과 같은 전동 수단에 의해 배출 컨베이어(610)에 연결되어 배출 컨베이어(610)가 구동되도록 하는 배출 구동부(620)를 포함한다.
한편,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형 농작물 선별 포장 장치는 본체 프레임(100)의 하부에 구비되어 본체 프레임(100)이 구형 농작물 수확현장의 지면에서 이동함에 따라 수집 유닛(200)이 회전 및 이동되도록 하는 무한궤도 타입의 본체 이동유닛(70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구형 농작물 수확현장으로까지 직접 진입하려면 종래에는 별도의 트랙터에 연결해서 사용해야 했기 때문에 독립적으로 사용하기가 불가능했지만, 본 발명에 따른 구형 농작물 선별 포장 장치에 의하면 본체 이동유닛(700)에 의해 간단한 운전 조작만으로도 대형장비가 진입하기 어려운 소규모 농가에서도 구형 농작물 수확현장으로까지 용이하게 진입하여 농작물을 직접 수집, 이송, 선별 및 포장에 이르는 일련의 작업들을 편리하게 연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소수의 인원만으로도 작업이 효율적으로 용이하게 이뤄지도록 하여 인력과 수확에 소요되는 시간이 획기적으로 단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본체 이동유닛(700)은 본체 프레임(100)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구형 농작물 수확현장으로까지 직접 진입하여 수확부터 포장까지 한 번에 수행할 필요가 있을 경우엔 본체 프레임(100)의 하부에 본체 이동유닛(700)을 장착하고, 별도의 선별장에서 선별과 포장만 이뤄지도록 할 필요가 있을 경우엔 본체 프레임(100)의 하부에서 본체 이동유닛(700)이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유연한 적용이 이루어지고 사용의 편리성이 증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100)의 하부와 본체 이동유닛(700)의 사이에는 본체 프레임(100)의 평면 넓이보다 훨씬 여유 있는 넓이를 갖는 흙 막이 판(800)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구형 농작물(10)의 이송, 선별, 포장시 낙하 되는 흙과 먼지들이 본체 이동유닛(700)으로 들어가게 되는 것을 흙 막이 판(800)으로 차단하여 본체 이동유닛(700)에 고장이 발생 되는 것을 예방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 의해 설명되고 첨부된 도면에서 그 기술적인 면이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고, 그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인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을 이하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본체 프레임 200 : 수집 유닛
300 : 선별 유닛 310 : 선별 컨베이어
311 : 선별 갈퀴 400 : 농작물 이송유닛
410 : 이송 컨베이어 411 : 수거 갈퀴
500 : 포장 유닛 501 : 포장체
600 : 선별 이송유닛 700 : 본체 이동유닛

Claims (3)

  1. 외관 골조를 이루도록 구비된 본체 프레임;
    상기 본체 프레임의 전방 하부에 구비되어 구형 농작물 수확현장의 지면을 이동함에 따라 회전되며 구형 농작물이 수집되도록 구비된 수집 유닛;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집 유닛에서 수집되어 이송되어 오는 구형 농작물이 크기에 따라 구별되어 배출되도록 하는 선별 유닛;
    상기 수집 유닛과 상기 선별 유닛의 사이에서 상기 수집 유닛의 후방으로부터 상측으로 경사지게 구비되어 상기 수집 유닛에서 수집되는 구형 농작물이 상기 선별 유닛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농작물 이송유닛;
    상기 본체 프레임에서 상기 선별 유닛의 일측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선별 유닛에서 구별되어 배출 이송되어 오는 구형 농작물이 크기별로 포장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다수의 포장체가 나란히 거치 되는 포장 유닛; 및
    상기 선별 유닛과 상기 포장 유닛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선별 유닛에서 구별 배출되는 구형 농작물이 상기 포장 유닛에 거치 된 각각의 포장체로 크기별로 이송되도록 하는 선별 이송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형 농작물 선별 포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의 하부에는 상기 본체 프레임이 구형 농작물 수확현장의 지면에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수집 유닛이 회전 및 이동되도록 무한궤도 타입의 본체 이동유닛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형 농작물 선별 포장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농작물 이송유닛은 상부로 일정 간격마다 수거 갈퀴가 구비된 이송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선별 유닛은 상부로 일정 간격마다 선별 갈퀴가 구비된 선별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형 농작물 선별 포장 장치.
KR1020200003431A 2020-01-10 2020-01-10 구형 농작물 선별 포장 장치 KR202100903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3431A KR20210090344A (ko) 2020-01-10 2020-01-10 구형 농작물 선별 포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3431A KR20210090344A (ko) 2020-01-10 2020-01-10 구형 농작물 선별 포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0344A true KR20210090344A (ko) 2021-07-20

Family

ID=77127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3431A KR20210090344A (ko) 2020-01-10 2020-01-10 구형 농작물 선별 포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90344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1136B1 (ko) 2000-01-22 2002-11-22 학교법인 영광학원 구형농산물 선별기
KR20160126135A (ko) 2015-04-22 2016-11-02 전창업 농작물 선별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1136B1 (ko) 2000-01-22 2002-11-22 학교법인 영광학원 구형농산물 선별기
KR20160126135A (ko) 2015-04-22 2016-11-02 전창업 농작물 선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77494B (zh) 改进苹果、柑橘、核果等类似物体的采摘和初级加工的移动系统
KR102156426B1 (ko) 구형 농작물용 선별포장기
CN110831429B (zh) 机械化水果采收机器使用的轻柔捕获水果的气动式垫子
KR20180003312U (ko) 구근줄기 절단 및 선별 배출장치
KR102247159B1 (ko) 구형농산물 선별기가 부설된 자주식 양파 수확기
KR20210090344A (ko) 구형 농작물 선별 포장 장치
KR101596929B1 (ko) 과일 선별기
JP2020000180A5 (ko)
JP2013009649A (ja) 根菜類収穫機
JP2002335729A (ja) 作物収穫機の移送装置
KR101836444B1 (ko) 과일선별기
US3981127A (en) Apparatus for gathering and containerizing citrus fruit and the like
JP5411675B2 (ja) 作物収穫機
US3294094A (en) Machine for harvesting comestibles
JP5782693B2 (ja) 根菜類収穫機
JP5470722B2 (ja) 根菜類収穫機
JPS646025Y2 (ko)
US3184029A (en) Material handling apparatus
KR200419276Y1 (ko) 고추 선별기
JP5526739B2 (ja) 根菜類収穫機
US3151742A (en) Fruit sizer, sorter and bin filler
US3124186A (en) figure
US3437151A (en) Tomato harvester
JP2014087287A (ja) 根菜類収穫機
US3153484A (en) Gra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