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9527B1 - 폐 연심로프 분쇄 재활용 장치 - Google Patents

폐 연심로프 분쇄 재활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9527B1
KR100479527B1 KR1020030078548A KR20030078548A KR100479527B1 KR 100479527 B1 KR100479527 B1 KR 100479527B1 KR 1020030078548 A KR1020030078548 A KR 1020030078548A KR 20030078548 A KR20030078548 A KR 20030078548A KR 100479527 B1 KR100479527 B1 KR 1004795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waste
conveyor
frame
core r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8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정석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연구원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연구원,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연구원
Priority to KR1020030078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95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9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95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폐 연심로프 분쇄 재활용 장치는 소정의 형상을 갖고, 수거함(12)이 구비되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상부 일측으로부터 투입된 폐 연심로프를 프레임(10) 타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모터로 구동되는 컨베이어부(20)와; 상기 컨베이어부(20)로부터 이송된 폐 연심로프를 파쇄하기 위하여 프레임(10)의 타측에 구비되는 절단부(40)와; 상기 절단부(40)에 의해 파쇄된 폐 연심로프가 상기 수거함(12)에 모집되고, 파쇄된 폐 연심로프 중 비중이 가벼운 합성물을 집진하도록 상기 수거함(12)의 근접영역에 설치되는 흡입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폐 연심로프 분쇄 재활용 장치는 이송되는 폐 연심로프를 세척하고 절단하여 재활용품과 폐기품으로 선별함으로서 기존의 폐 연심로프 처리방법인 소각 및 매립을 하지 않아도 되어, 소각할 때 발생되던 유해한 가스 및 잔해물이 발생되지 않아 환경 오염 및 파괴를 막을 수 있고, 매립하지 않고 선별된 납과 플라스틱 피복을 재활용함으로서 자원의 낭비를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폐 연심로프 분쇄 재활용 장치{RECYCLING APPARATUS FOR CRASHING AND SEPARATING THE WORN-OUT WIRE-P.E. ROPE}
본 발명은 납을 함유하고 있는 폐 연심로프 분쇄 재활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통 선박용으로 사용되다가 수명이 다한 폐 연심로프를 세척하고, 절단하여 납과 플라스틱재인 피복을 선별하여 폐 연심로프 처리에 따른 재활용도를 높이고, 환경오염을 막는 폐 연심로프 분쇄 재활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용에 사용되는 연심로프는 내마모성이 좋고, 양호한 인장강도를 갖추기 위하여 납과 같은 금속성 소재에 나일론, 탄소섬유, 폴리 에틸렌수지 및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합성섬유를 꼬아서 제조된다.
일반적으로 폐 연심로프를 처리할 때에는 폐 연심로프를 소각하거나 매립을 하였는데, 이때 납과 같은 금속성 소재는 재활용을 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재활용을 하지 못하고 버려지는 실정이며, 특히, 납은 유해성이 강하고 열을 가하는 경우 휘발적 특성을 갖고 있어서 납의 소각이나 매립으로 인한 피해는 매우 크다.
또한, 금속성 소재 및 합성섬유를 소각할 때 발생되는 유해한 가스 및 잔해물로 인하여 심각한 대기오염 및 수질오염과 같은 환경오염이 초래되고, 폐 연심로프를 매립할 경우에는 매립에 따른 부지와 비용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바다에서 수거된 폐 연심로프를 세척하고, 절단하여 재활용이 가능한 납과 플라스틱 피복재로 선별함으로서, 소각 및 매립 없이도 폐 연심로프를 처리할 수 있게 하여, 폐 연심로프 처리에 따른 재활용도를 높이면서 환경오염을 막는 폐 연심로프 분쇄 재활용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소정의 형상을 갖고 수거함이 구비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으로부터 투입된 폐 연심로프를 프레임 타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모터로 구동되는 컨베이어부와; 상기 컨베이어부로부터 이송된 폐 연심로프를 파쇄하기 위하여 프레임의 타측에 구비되는 절단부와; 상기 절단부에 의해 파쇄된 폐 연심로프가 상기 수거함에 모집되고, 파쇄된 폐 연심로프 중 비중이 가벼운 합성물을 집진하도록 상기 수거함의 근접영역에 설치되는 흡입부를 포함하는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보다 철저한 이해를 위해 도면을 통한 설명이 추가되나 당업자에게는 본 발명이 이들의 상세한 설명이 없이도 실시될 수도 있다는 사실이 명백할 것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된 특징부 내지 요소들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였다. 이것은 본 발명의 개시를 불필요하게 애매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 연심로프 분쇄 재활용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를 확대한 요부확대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A를 확대한 요부확대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폐 연심로프 분쇄 재활용 장치의 절단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폐 연심로프 분쇄 재활용 장치의 개략적인 작동 상태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0)은 소정의 형상을 갖고, 수거함(12)이 구비된다.
컨베이어부(20)는 프레임(10)의 일측으로부터 투입된 폐 연심로프(R)를 프레임(10) 타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모터로 구동된다.
상기 컨베이어부(20)는 이송되는 폐 연심로프(R)에 묻은 이물질을 세척하기 위한 브러쉬(22)와 폐 연심로프(R)를 이송시키기 위한 제1컨베이어(24)와 제2컨베이어(26)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컨베이어(24)의 근접한 위치에는 이송되는 폐 연심로프(R)가 세척되도록 물을 분사시키는 분사노즐(30)이 구비된다.
그래서, 상기 제1컨베이어(24)는 상기 분사노즐(30)에서 분사되는 물이 통과될 수 있도록 체인으로 구성된다. 하지만 물이 통과 될 수 있는 메쉬타입의 다른 구성도 가능하다.
상기 제2컨베이어(26)는 세척된 폐 연심로프(R)가 원활히 이송될 수 있도록 마찰력이 많은 밸트타입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브러쉬(22), 제1컨베이어(24) 및 제2컨베이어(26)는 폐 연심로프(R)의 원활한 이송을 위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각각 쌍으로 구비되고, 상호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 스크류(28)가 각각 구비된다.
절단부(40)는 프레임(10)의 타측에 고정되는 고정칼날(42)과, 모터에 의해 구동되고 다수개의 커팅날(44a)이 외주면에 구비된 다수개의 륜(44)으로 이루어져서, 폐 연심로프(R)를 파쇄하여 금속성 소재인 납과 합성섬유인 플라스틱 피복재로 분리시킨다.
상기 고정칼날(42)은 일측이 프레임(10)에 고정되고, 타측이 륜(44) 방향으로 돌출되며, 륜(44)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위는 다수개의 륜(44)과 대응되는 다수개의 요홈형상의 절단홈(42a)이 형성된다.
상기 륜(44)은 다수개가 모터에 의해 구동할 수 있도록 동일 축에 등간격으로 설치되고, 각각이 고정칼날(42)에 형성된 절단홈(42a)에 대응되어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절단홈(42a) 및 륜(44)의 갯수와 간격은 폐 연심로프(R)의 굵기에 맞게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입부(50)는 상대적으로 비중의 차이가 있는 합성섬유와 금속성 소재 중 함성섬유만 선별적으로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력이 세팅된 흡입기(52)와, 상기 프레임(10)에 구비되는 수거함(12)의 근접영역에 설치되어 자중에 의해 떨어지는 합성섬유가 흡입되는 흡입관(54)과, 흡입된 합성섬유가 모이는 수거용기(56)로 구성된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폐 연심로프 분쇄 재활용 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먼저 수거된 폐 연심로프(R)의 굵기에 맞게 높이조절 스크류(28)를 조절하여 브러쉬(22), 제1컨베이어(24) 및 제2컨베이어(26)의 상하 간격을 조절하고, 폐 연심로프(R) 분쇄 재활용 장치에 전원을 공급한 다음, 수거된 폐 연심로프(R)를 작동하고 있는 브러쉬(22) 사이로 밀어 넣는다.
브러쉬(22) 사이로 밀려들어간 폐 연심로프(R)는 회전하는 브러쉬(22)에 의해 표면에 묻어있는 흙이나 이끼 등과 같은 이물질이 떼어지면서 제1컨베이어(24) 방향으로 밀려들어간다.
제1컨베이어(24)로 이송된 폐 연심로프(R)는 분사노즐(30)에서 분사되는 물에 의해 브러쉬(22)에서 떼어지지 않고 남아있는 이물질이 세척되면서 제2컨베이어(26) 방향으로 밀려들어간다.
제2컨베이어(26)로 이송된 폐 연심로프(R)는 제2컨베이어(26)에 의해 계속 이송되어 절단부(40) 방향으로 밀려들어간다.
절단부(40)로 이송된 폐 연심로프(R)는 프레임(10)에 고정된 고정칼날(42)과 회전하는 륜(44)에 의해 원하는 크기로 절단되고, 절단된 폐 연심로프(R)는 합성섬유와 금속성 소재로 분리되어 자중에 의해 절단부(40)의 하부에 위치한 수거함(12)으로 떨어진다.
수거함(12)으로 떨어지는 합성섬유와 금속성 소재 중에서 합성섬유는 합성섬유만 선별적으로 흡입할 수 있도록 세팅된 흡입기(52)에 의해 흡입관(54)을 통하여 빨아들여져서 수거용기(56)에 수거되고, 금속성 소재인 납은 계속하여 자중에 의해 수거함(12)으로 떨어진다.
이렇게 하여 선별된 금속성 소재인 납과 합성섬유인 플라스틱 피복재는 각각의 처리과정에 의해 재활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폐 연심로프 분쇄 재활용 장치는 이송되는 폐 연심로프를 세척하고 절단하여 재활용품과 자원재생품으로 선별함으로서 기존의 폐 연심로프 처리방법인 소각 및 매립을 하지 않아도 되어, 소각할 때 발생되던 유해한 가스 및 잔해물이 발생되지 않아 환경 오염 및 파괴를 막을 수 있고, 매립하지 않고 선별된 납과 플라스틱 피복을 재활용함으로서 자원의 낭비를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높이조절 스크류를 이용하여 한 쌍씩 구비된 브러쉬, 제1컨베이어 및 제2컨베이어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서 다양한 굵기의 폐 연심로프를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 연심로프 분쇄 재활용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를 확대한 요부확대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A를 확대한 요부확대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폐 연심로프 분쇄 재활용 장치의 절단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폐 연심로프 분쇄 재활용 장치의 개략적인 작동 상태도이다.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프레임 12 : 수거함
20 : 컨베이어부 22 : 브러쉬
24 : 제1컨베이어 26 : 제2컨베이어
28 : 높이조절 스크류 30 : 분사노즐
40 : 절단부 42 : 고정칼날
42a : 절단홈 44 : 륜
44a : 커팅날 50 : 흡입부
52 : 흡입기 54 : 흡입관
56 : 수거용기 R : 연심로프

Claims (7)

  1. 금속성 소재가 함유된 선박용 폐 연심로프 분쇄 재활용 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형상을 갖고, 수거함(12)이 구비되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으로부터 투입된 폐 연심로프(R)를 상기 프레임(10) 타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모터로 구동되는 컨베이어부(20)와;
    상기 컨베이어부(20)로부터 이송된 폐 연심로프(R)를 파쇄하기 위하여 상기 프레임(10)의 타측에 구비되는 절단부(40)와;
    상기 절단부(40)에 의해 파쇄된 폐 연심로프(R)가 상기 수거함(12)에 모집되고, 파쇄된 폐 연심로프(R) 중 비중이 가벼운 합성물을 집진하도록 상기 수거함(12)의 근접영역에 설치되는 흡입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연심로프 분쇄 재활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부(20)는 이송되는 폐 연심로프(R)에 묻은 이물질을 세척하기 위한 브러쉬(22)와 폐 연심로프(R)를 이송시키기 위한 제1컨베이어(24)와 제2컨베이어(2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연심로프 분쇄 재활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컨베이어(24)의 근접한 위치에 이송되는 폐 연심로프(R)가 세척되도록 물을 분사시키는 분사노즐(3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연심로프 분쇄 재활용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컨베이어(24)는 상기 분사노즐(30)에서 분사되는 물이 통과될 수 있도록 메쉬타입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연심로프 분쇄 재활용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22), 제1컨베이어(24) 및 제2컨베이어(26)는 폐 연심로프(R)의 원활한 이송을 위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각각 쌍으로 구비되고, 상호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 스크류(28)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연심로프 분쇄 재활용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40)는 상기 프레임(10)의 타측에 고정되어 다수개의 절단홈(42a)이 형성되는 고정칼날(42)과,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절단홈(42a)에 대응되도록 다수개의 커팅날(44a)이 외주면에 구비된 다수개의 륜(44)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연심로프 분쇄 재활용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50)는 파쇄된 폐 연심로프(R) 중 비중이 작은 소재만 흡입할 수 있도록 일정한 흡입력이 세팅된 흡입기(52)와, 상기 프레임(10)에 구비되는 수거함(12)의 근접영역에 설치되는 흡입관(54)과, 상기 흡입관(54)에서 흡입된 소재가 모집되는 수거용기(5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연심로프 분쇄 재활용 장치.
KR1020030078548A 2003-11-07 2003-11-07 폐 연심로프 분쇄 재활용 장치 KR1004795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8548A KR100479527B1 (ko) 2003-11-07 2003-11-07 폐 연심로프 분쇄 재활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8548A KR100479527B1 (ko) 2003-11-07 2003-11-07 폐 연심로프 분쇄 재활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79527B1 true KR100479527B1 (ko) 2005-03-31

Family

ID=37387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8548A KR100479527B1 (ko) 2003-11-07 2003-11-07 폐 연심로프 분쇄 재활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9527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5431B1 (ko) 2013-10-21 2014-04-14 주식회사 해나라 폐로프의 필라멘트 형성방법
WO2014175708A1 (ko) * 2013-04-26 2014-10-30 주식회사 해나라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제조 장치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필라멘트
KR101492437B1 (ko) * 2013-06-19 2015-02-11 조선옥 폐로프를 활용한 필라멘트 제조 장치
KR101514322B1 (ko) * 2013-10-21 2015-04-22 주식회사 해나라 폐로프의 필라멘트 제조 장치
KR101513553B1 (ko) * 2014-04-25 2015-04-22 조선옥 폐로프를 활용한 필라멘트 제조 방법
KR101524241B1 (ko) * 2013-04-26 2015-06-02 조선옥 로프를 활용한 필라멘트 제조 방법과 이를 이용한 필라멘트를 포함하는 자동차 내장 시트재의 제조 방법
KR20160037492A (ko) 2014-09-29 2016-04-06 주식회사 해나라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제조 시스템
KR20160037822A (ko) 2015-11-05 2016-04-06 주식회사 해나라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제조방법
KR101610813B1 (ko) * 2013-06-07 2016-04-08 조선옥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제조장치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필라멘트
KR20160064443A (ko) 2014-11-28 2016-06-08 주식회사 해나라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제조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16053A (ko) 2015-08-03 2017-02-13 주식회사 해나라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생산용 타면장치
KR20170016052A (ko) 2015-08-03 2017-02-13 주식회사 해나라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생산용 타면장치
CN110479738A (zh) * 2019-08-25 2019-11-22 华电郑州机械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整包物料的自动拆解破碎工艺系统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75708A1 (ko) * 2013-04-26 2014-10-30 주식회사 해나라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제조 장치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필라멘트
KR101524241B1 (ko) * 2013-04-26 2015-06-02 조선옥 로프를 활용한 필라멘트 제조 방법과 이를 이용한 필라멘트를 포함하는 자동차 내장 시트재의 제조 방법
KR101610813B1 (ko) * 2013-06-07 2016-04-08 조선옥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제조장치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필라멘트
KR101492437B1 (ko) * 2013-06-19 2015-02-11 조선옥 폐로프를 활용한 필라멘트 제조 장치
KR101514322B1 (ko) * 2013-10-21 2015-04-22 주식회사 해나라 폐로프의 필라멘트 제조 장치
KR101385431B1 (ko) 2013-10-21 2014-04-14 주식회사 해나라 폐로프의 필라멘트 형성방법
KR101513553B1 (ko) * 2014-04-25 2015-04-22 조선옥 폐로프를 활용한 필라멘트 제조 방법
KR20160037492A (ko) 2014-09-29 2016-04-06 주식회사 해나라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제조 시스템
KR20160064443A (ko) 2014-11-28 2016-06-08 주식회사 해나라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제조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99506B1 (ko) 2014-11-28 2017-01-25 주식회사 해나라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제조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16053A (ko) 2015-08-03 2017-02-13 주식회사 해나라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생산용 타면장치
KR20170016052A (ko) 2015-08-03 2017-02-13 주식회사 해나라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생산용 타면장치
KR20160037822A (ko) 2015-11-05 2016-04-06 주식회사 해나라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제조방법
CN110479738A (zh) * 2019-08-25 2019-11-22 华电郑州机械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整包物料的自动拆解破碎工艺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9527B1 (ko) 폐 연심로프 분쇄 재활용 장치
EP1633500B1 (en) Apparatus of piercing garbage bags and classifying garbage
KR101825266B1 (ko) 타격 파쇄 및 풍력건조에 의한 가연성 쓰레기 선별장치
KR101516568B1 (ko) 가연성 이물질 건식타격 선별장치
KR100866517B1 (ko) 가연성 폐기물의 자원화를 위한 분리선별 장치와 그 방법
KR101940451B1 (ko) 건조 유기성폐기물 선별기
KR100516002B1 (ko) 건설폐기물 중간처리과정의 이물질 선별구조
KR100952903B1 (ko) 원심력을 이용한 폐비닐의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비닐 재생 시스템
KR101136047B1 (ko) 토사와 골재에 혼재된 이물질 분리 선별장치
KR100263364B1 (ko) 음식물쓰레기의 비닐봉투와 협잡물제거장치
CN210700276U (zh) 一种水面垃圾污染物回收利用的破碎机
KR101346354B1 (ko) 매립토사의 이물질 선별시스템
KR100462561B1 (ko) 트롬멜형 농업용 멀칭 폐비닐 전처리 장치
CN108043510B (zh) 一种冷处理垃圾分选机
KR102178019B1 (ko) 불연성물질과 가연성물질을 선별하는 회전선별장치
KR100734520B1 (ko) 건설폐기물의 에어 선별장치
KR102361059B1 (ko) 고형연료용 폐합성수지에 부착된 이물질의 제거장치
KR200418149Y1 (ko) 건축폐기물의 재활용 처리장치
CN211463894U (zh) 一种垃圾风选装置
KR20080034867A (ko) 폐비닐 세척장치
KR20220045526A (ko) 폐나무를 포함하는 축폐기물의 재활용 처리장치
KR100282978B1 (ko) 선별기
KR100749830B1 (ko) 건축폐기물의 재활용 처리장치
KR930006956Y1 (ko) 쓰레기 파쇄기
KR960013208B1 (ko) 폐비닐 분쇄선별 가공 및 재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