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9506B1 -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제조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제조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9506B1
KR101699506B1 KR1020140168052A KR20140168052A KR101699506B1 KR 101699506 B1 KR101699506 B1 KR 101699506B1 KR 1020140168052 A KR1020140168052 A KR 1020140168052A KR 20140168052 A KR20140168052 A KR 20140168052A KR 101699506 B1 KR101699506 B1 KR 101699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closed
waste
cleaning devi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8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4443A (ko
Inventor
강줄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나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나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나라
Priority to KR1020140168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9506B1/ko
Priority to PCT/KR2015/010202 priority patent/WO2016052950A1/ko
Publication of KR20160064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4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9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9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04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yarns, threads or filament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11/00Disintegrating fibre-containing articles to obtain fibres for re-use
    • D01G11/02Opening, unravelling, or teasing ropes or like fibrous strands to obtain fibres for re-us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00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 D06B1/02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by spraying or projec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2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eating of textile materials, not restricted to a particular kind of apparatus, provided for in groups D06B1/00 - D06B21/00
    • D06B23/04Carriers or supports for textile materials to be treat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04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yarns, threads or filaments
    • D06B3/045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yarns, threads or filaments in a tube or a groov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5/00Forcing liquids, gases or vapours through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5/02Forcing liquids, gases or vapours through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through moving materials of indefinite length
    • D06B5/06Forcing liquids, gases or vapours through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through moving materials of indefinite length through yarns, threads or filaments

Abstract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제조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제조 시스템은, 폐로프를 타면하여 필라멘트로 제조하는 타면 장치; 및 필라멘트가 제조되는 공정라인을 따라 타면 장치의 전방에 배치되며, 폐로프가 타면 장치로 이송되기 전에 폐로프를 이송시키면서 세척하는 이송중 세척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제조 시스템 및 그 방법{Filament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wasted-rope}
본 발명은,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제조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폐로프가 필라멘트로 형성되는 일련의 연속 공정라인을 따라 폐로프를 이송시키면서 세척할 수 있는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제조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어촌에서 어구로 사용되는 기구 중, 로프나 그물(이하, 로프로 총칭함) 등은 대체로 폴리프로필렌(PP) 소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로프는 약 2년 정도의 사용 수명을 갖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2년 정도 사용을 완료한 로프(폐로프라 함)의 경우, 즉 그 사용 수명이 다하면 전량 폐기 처리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렇지만, 폐로프를 단순히 폐기 처리, 예컨대 소각 처리하는 경우에는 환경오염이 발생되는 등 폐로프를 단순히 폐기 처리하기 위해서도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 만만치 않다.
따라서 최근 들어 폐로프에 대한 재활용의 방법이 고려되고 있다. 하지만, 어촌에서 수집되는 폐로프의 양이 많을 뿐만 아니라 폐로프에 염분과 다양한 해조류, 조개류 등이 붙어 있어서, 특히 폐로프 사이사이에 뻘(mud)이 고착되어 있어서 단순한 방법만으로는 폐로프를 재활용하기가 쉽지 않다.
특히, 현재까지는 폐로프를 수집하여 재활용하기 위한 장치, 혹은 설비가 구축되어 있지 않은 관계로 설비의 초기 구축에 많은 비용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현실적으로 적용이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만약, 폐로프를 재활용하기 위한 설비를 구축함에 있어서 일반적인 방식인 용융 방식을 적용할 경우, 다시 말해 폐로프를 녹여, 즉 용융시켜 성형품을 만드는 형태로 폐로프를 재활용하고자 할 경우, 폐로프를 용융시키는 설비, 또한 폐로프의 용융액을 이용하여 성형품을 성형하기 위한 설비 등이 필요하기 때문에 초기 구축에 많은 비용이 발생될 수밖에 없다.
한편, 여러 산업분야, 예컨대 자동차 산업분야의 경우, 자동차의 내장재에 대하여 경량 소재, 천연 소재, 재활용 소재 등을 활용하도록 그 제품 생산상 요건에 대한 규제를 점차 강화하고 있다.
유럽의 경우에는 2015년까지 자동차 업계에서는 95% 이상이 재활용 소재를 활용해야 한다는 기준을 충족시켜야 한다고 보고 되고 있기도 하다.
이러한 상황에 발맞추어 현재, 전량 폐기 처리되고 있는 폐로프를 단순히 소각 처리하지 않고 재활용하여 자동차 산업분야처럼 여러 산업분야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면 비용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환경과 산업 전반에 걸쳐 많은 실익이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폐로프의 경우, 가늘고 긴 필라멘트를 꽈배기 형태로 꼬아서 만든 것이기 때문에 적절한 방법으로 폐로프를 풀 수만 있다면(타면할 수 있다면) 다시 필라멘트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렇게 제조된 필라멘트는 다른 재료와 혼합되어 자동차 산업분야처럼 여러 산업분야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다만, 앞서 기술한 것처럼 대략 2년 정도 사용이 완료된 폐로프에는 염분을 비롯하여 다양한 해조류, 조개류 등의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폐로프를 세척하지 않고 그대로 타면하여 필라멘트로 제조할 경우에는 이물질이 그대로 잔존됨에 따라 재활용이 어렵다.
따라서 폐로프를 세척하여 외부에 묻어 있거나 내부로 깊숙이 침투되어 고착된 뻘(mud) 등의 이물질을 제거한 이후에 타면 가공을 통해 필라멘트로 제조해야 하고, 그래야만 질긴 강성을 갖는 품질 좋은 필라멘트로 제조할 수 있어 재활용이 가능해질 것이라 예상된다.
한편, 폐로프를 세척함에 있어서 수작업으로 폐로프를 일일이 세척하는 것은 비용 대비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기계장치인 세탁기를 사용하여 폐로프를 세척할 수 있다. 실제, 원단을 제조하는 원단 제조 공장이나 원단에 염색을 하는 염색 공장에서도 원단의 세척을 위해 세탁기를 사용하고 있다.
세탁기를 사용하여 폐로프를 세척할 때는 수거된 길이가 긴 폐로프를 그대로 세탁기에 넣어 세척할 수도 있고, 아니면 길이가 긴 폐로프를 일정한 길이로 커팅한 다음에 세척망에 담아 세탁기에 넣고 세척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는 폐로프가 길어서 잘 세척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후자의 방법이 사용될 소지가 높다.
하지만, 이와 같은 방식으로 폐로프를 세척하고자 할 경우, 폐로프를 세척망에 담고(제1 단계), 세척망을 세탁기에 넣은 후(제2 단계), 세탁기의 동작에 의해 폐로프가 세척되도록 한 다음(제3 단계), 세척이 완료되면 세탁기로부터 세척망을 꺼내고(제4 단계), 세척망으로부터 폐로프를 다시 빼야 한다(제5 단계).
이처럼 통상적인 방식으로는 전술한 제1 내지 제5 단계를 모두 진행해야만 비로소 세척이 완료된 폐로프를 얻을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폐로프의 세척에 따른 시간 손실(loss)이 증대되고, 이로 인해 단위시간당 필라멘트의 생산성에 많은 차질이 빚어질 수밖에 없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통상의 세척 방식을 벗어난 새롭고 진보된 방식의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1213717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0479527호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120504호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4-0104557호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폐로프가 필라멘트로 형성되는 일련의 연속 공정라인을 따라 폐로프를 이송시키면서 세척할 수 있어 세척에 따른 시간 손실(loss)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단위시간당 필라멘트의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제조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폐로프를 타면하여 필라멘트로 제조하는 타면 장치; 및 상기 필라멘트가 제조되는 공정라인을 따라 상기 타면 장치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폐로프가 상기 타면 장치로 이송되기 전에 상기 폐로프를 이송시키면서 세척하는 이송중 세척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제조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이송중 세척 장치는, 세척 전 폐로프가 유입되는 세척 장치 유입부와, 세척이 완료된 폐로프가 배출되는 세척 장치 배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폐로프가 이송되기 위한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세척 장치용 터널; 상기 세척 장치용 터널 내에 배치되며, 상기 폐로프를 상기 세척 장치 유입부에서 상기 세척 장치 배출부로 이송시키는 폐로프 이송부재; 및 상기 세척 장치용 터널의 벽면에 마련되며, 상기 세척 장치용 터널 내에서 상기 폐로프 이송부재에 의해 이송되는 폐로프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수 분사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척수 분사노즐은 상기 세척 장치용 터널의 내벽면 상부에 상호간 이격되어 다수 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세척수 분사노즐을 통한 상기 세척수의 분사강도 또는 온도가 조절 가능하다.
상기 폐로프 이송부재는 정 위치에서 회전되면서 상기 폐로프를 세척 장치 배출부로 이송시키는 폐로프 이송용 스크루일 수 있다.
상기 세척 장치용 터널의 외부에는 상기 폐로프 이송용 스크루와 연결되어 상기 폐로프 이송용 스크루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세척 장치용 터널의 내벽과 상기 폐로프 이송용 스크루의 외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폐로프에 대한 세척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수의 세척효율 향상용 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세척효율 향상용 돌기는 선단부로 갈수록 뾰족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이송중 세척 장치는, 상기 세척 장치용 터널의 세척 장치 유입부에 연결되며, 상기 이송중 세척 장치보다 앞선 공정에서 제공되는 폐로프를 모아 상기 세척 장치 유입부로 전달하는 폐로프 호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중 세척 장치는, 상기 세척 장치용 터널의 하부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로; 상기 배수로와 연결되는 세척수 저장탱크; 및 상기 세척수 저장탱크와 상기 세척수 분사노즐을 연결하여 세척수를 순환시키는 세척수 순환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중 세척 장치는, 상기 세척수 순환라인에 결합되는 순환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중 세척 장치는, 상기 세척수 순환라인에 결합되며, 순환되는 세척수를 필터링하는 정수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중 세척 장치와 상기 타면 장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이송중 세척 장치를 통해 세척이 완료된 폐로프가 상기 타면 장치로 이송되기 전에 상기 폐로프를 이송시키면서 건조하는 이송중 건조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중 건조 장치는, 건조 전 폐로프가 유입되는 건조 장치 유입부와, 건조가 완료된 폐로프가 배출되는 건조 장치 배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폐로프가 이송되는 컨베이어 상에 배치되는 폐로프 건조용 하우스; 및 상기 폐로프 건조용 하우스에 마련되며, 상기 폐로프를 향해 열풍을 분사하는 열풍 분사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폐로프 건조용 하우스의 외측에는 상기 열풍 분사기와 연결되는 히터모듈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건조 장치 유입부와 상기 건조 장치 배출부에는 상기 폐로프가 이송될 때는 개방되고 상기 폐로프의 이송이 정지될 때는 차폐되는 커튼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공정라인을 따라 상기 이송중 세척 장치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폐로프가 상기 이송중 세척 장치로 이송되기 전에 상기 폐로프를 이송시키면서 해체하는 이송중 해체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중 해체 장치는, 해체날이 원주면에 형성되되 상호간 이격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해체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체 롤러는 상기 공정라인을 따라 한 쌍씩 다수 개가 배치되되 후방에 배치되는 해체 롤러간의 이격간격이 그 전방에 배치되는 해체 롤러간의 이격간격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정라인을 따라 상기 이송중 세척 장치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폐로프를 이송시키면서 상기 폐로프를 공정에서 요구되는 미리 결정된 단위 길이로 커팅하는 이송중 커팅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정라인을 따라 상기 타면 장치의 전방에는 상기 폐로프의 정량을 상기 타면 장치로 공급하는 정량 공급 유닛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정량 공급 유닛은, 상기 폐로프가 저장되는 정량 공급용 호퍼; 상기 정량 공급용 호퍼 내에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는 개폐 셔터; 상기 개폐 셔터를 구동시키는 셔터 구동부; 상기 개폐 셔터와 연결되며, 상기 정량 공급용 호퍼 내에 저장되는 폐로프의 저장량을 감지하는 로드 셀; 및 상기 로드 셀의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셔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면 장치는, 세척이 완료된 폐로프가 투입되는 투입 유닛; 및 상기 폐로프를 타면하는 나선형 톱날을 구비하며, 상기 투입 유닛과 연결되어 폐로프를 타면하되 인라인(In-line) 형태로 연결되는 다수의 타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입 유닛은, 외관을 형성하는 투입 유닛 프레임; 및 상기 투입 유닛 프레임 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폐로프를 이웃된 상기 타면 유닛으로 이송시키는 투입 유닛 컨베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면 유닛은, 타면 유닛 프레임; 및 상기 타면 유닛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투입 유닛에서 이송되어 오거나 전방의 타면 유닛에서 이송되어 오는 폐로프를 후방의 타면 유닛으로 이송시키는 타면 유닛 컨베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면 유닛은, 상기 나선형 톱날이 외면에 결합되는 타면 모듈 하우징을 구비하며, 회전 동작 시 상기 나선형 톱날의 작용에 의해 타면 작업을 진행하는 타면 모듈; 및 상기 폐로프가 이송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타면 모듈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타면 유닛 컨베이어와 상호작용하여 타면 작업이 진행되는 폐로프를 후방으로 이송시키는 폐로프 이송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면 유닛 프레임은, 상기 타면 모듈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타면 모듈을 지지하는 타면 모듈 지지용 프레임; 상기 타면 모듈 지지용 프레임과 측면 방향으로 연결되며, 상기 폐로프 이송 모듈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폐로프 이송 모듈을 지지하는 폐로프 이송 모듈 지지용 프레임; 지면과 상기 타면 모듈 지지용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지면에 대하여 상기 타면 모듈 지지용 프레임을 지지하는 지면 지지용 프레임; 및 상기 지면과 상기 폐로프 이송 모듈 지지용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지면에 대하여 상기 폐로프 이송 모듈 지지용 프레임을 지지하는 브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면 유닛 프레임은, 상기 폐로프 이송 모듈 지지용 프레임의 후단부에 결합되되 제자리에서 회전되면서 상기 타면 유닛 컨베이어와 상호작용하여 타면 작업이 진행되는 폐로프를 이웃된 상기 타면 유닛으로 이송시키는 타면 유닛측 폐로프 이송 회전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면 장치를 통해 상기 폐로프가 타면되는 공정은 복수 회 반복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폐로프를 타면하여 필라멘트로 제조하는 타면 단계; 상기 필라멘트가 제조되는 공정라인을 따라 상기 타면 장치의 전방 공정을 형성하며, 상기 폐로프가 타면되기 전에 상기 폐로프를 이송시키면서 세척하는 이송중 세척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제조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세척이 완료된 폐로프가 타면되기 전에 상기 폐로프를 이송시키면서 건조하는 이송중 건조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폐로프가 세척되기 전에 상기 폐로프를 이송시키면서 해체하는 이송중 해체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폐로프가 해체되기 전에 상기 폐로프를 이송시키면서 커팅하는 이송중 커팅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폐로프가 필라멘트로 형성되는 일련의 연속 공정라인을 따라 폐로프를 이송시키면서 세척할 수 있어 세척에 따른 시간 손실(loss)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단위시간당 필라멘트의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제조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필라멘트의 이미지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제조 시스템의 시스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제조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4 및 도 5는 각각 제1 내지 제3 정량 공급 유닛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이송중 해체 장치의 확대도이다.
도 7은 이송중 해체 장치에서 해체된 폐로프의 이미지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이송중 세척 장치의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8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10은 이송중 건조 장치의 확대도이다.
도 11은 타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투입 유닛의 확대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타면 장치의 제일 마지막에 배치되는 타면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2개의 타면 유닛을 거리 L만큼 분리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의 정면도이다.
도 17은 타면 유닛의 확대도이다.
도 18은 타면 유닛 프레임을 점선으로 처리한 도 17의 내부 투영도이다.
도 19는 도 17에서 비산 방지용 커버가 개방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20은 타면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폐로프 이송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2는 타면 유닛측 폐로프 이송 회전체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제조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제조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필라멘트의 이미지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제조 시스템의 시스템 블록도이며, 도 3은 도 2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제조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4 및 도 5는 각각 제1 내지 제3 정량 공급 유닛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이송중 해체 장치의 확대도이고, 도 7은 이송중 해체 장치에서 해체된 폐로프의 이미지이며,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이송중 세척 장치의 확대도이고, 도 9는 도 8의 요부 확대도이며, 도 10은 이송중 건조 장치의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제조 시스템은 폐로프가 필라멘트로 형성되는 일련의 연속 공정라인을 따라 폐로프를 이송시키면서 세척할 수 있어 세척에 따른 시간 손실(loss)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폐로프를 타면하여 도 1과 같은 필라멘트로 제조하는 타면 장치(500)와, 필라멘트가 제조되는 공정라인을 따라 타면 장치(500)의 전방에 배치되며, 폐로프가 타면 장치(500)로 이송되기 전에 상기 폐로프를 이송시키면서 세척하는 이송중 세척 장치(300)를 포함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제조 시스템은 이송중 세척 장치(300) 및 타면 장치(500) 외에도 이송중 커팅 장치(100), 이송중 해체 장치(200), 이송중 건조 장치(400), 그리고 다수의 정량 공급 유닛(500a,600b,600c)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이 함께 인라인(in-line)을 이룰 경우, 전자동으로 도 1과 같은 필라멘트를 연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 따라서 단위 시간당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공정라인의 순서대로, 즉 이송중 커팅 장치(100), 이송중 해체 장치(200), 이송중 세척 장치(300), 이송중 건조 장치(400) 및 타면 장치(500)의 순서대로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이송중 커팅 장치(100)는 폐로프가 필라멘트로 제조되는 공정라인(도 3의 진한화살표 라인)을 따라 맨 앞에 배치되는 장치로서, 폐로프를 공정에서 요구되는 미리 결정된 단위 길이로 커팅하는 역할을 한다.
이송중 커팅 장치(100)는 정지된 상태가 아닌, 예컨대 폐로프를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면서 공정에서 요구되는 미리 결정된 단위 길이로 커팅한다.
앞서도 언급한 것처럼 어촌에서 어구로 사용하다가 폐처리되는 폐로프의 경우, 그 길이가 수 내지 수십 미터(m)에 이를 정도로 길다. 폐로프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필라멘트를 꼬아(엮어) 만든 것이기 때문에 폐로프를 해체하여 타면하면 다시 필라멘트로 제조될 수 있다.
로프에 대해 간략하게 부연하면 로프는 그 특성상 열에는 다소 취약하나 질긴 강성을 가지기 때문에 널리 사용된다. 즉 로프는 정박 중인 배를 파도나 바람에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정박용 로프, 군함이나 큰 배를 묶어두는 로프, 어망인 그물의 지지대 역할을 하는 로프, 공사장에서의 안전망 팬스 등으로 적용되는 로프들처럼 다양한 환경에서 다양한 종류로 사용되고 있는데, 이처럼 로프가 다양한 장소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까닭은 로프가 갖는 질긴 강성 때문이다.
다만, 앞서 기술한 것처럼 수년 사용된 로프(폐로프)는 폐처리되어야 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폐로프를 열을 가하여 용융시켜 쌀알 같은 칩(필렛)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단위 길이로 잘라 해체, 세척, 건조 및 타면함으로써, 즉 솜 같은 굵기로 잘게 찢고, 쪼개고, 풀어서 원래의 질긴 강성을 갖는 필라멘트를 제조하는 것이다.
로프는 폴리프로필렌(pp) 소재로 만들어지는데 이러한 PP 소재는 열을 가하면 강성이 반으로 줄어드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때문에 폐로프를 열을 가하여 용융시켜 쌀알 같은 칩(필렛)을 만드는 경우에는 원래의 질긴 강성이 사라질 수밖에 없어 질긴 강성을 갖는 품질 좋은 필라멘트를 제조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물성이 변하는 종전의 용융 방식을 적용하지 않는 대신 타면 방식(솜 같은 굵기로 잘게 찢고, 쪼개고, 푸는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폐로프가 갖는 질긴 강성을 그대로 보유하면서도 품질 좋은 필라멘트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다만, 타면 방식을 적용함에 있어서 수 내지 수십 미터(m)에 이를 정도로 길이가 긴 폐로프를 그대로 타면 장치(500)에 투입시켜 타면 작업을 진행할 수는 없기 때문에 우선, 이송중 커팅 장치(100)를 통해 길이가 긴 폐로프를 일정한 단위 길이로 커팅하는 것이다. 따라서 폐로프를 이송시키면서 일정한 단위 길이로 커팅할 수만 있다면 어떠한 이송중 커팅 장치(100)가 적용되어도 무방하다.
폐로프는 이송중 커팅 장치(100)로 1줄 또는 여러 줄씩 연속적으로 투입되면서 단위 길이로 커팅될 수 있는데, 이때의 단위 길이는 1 내지 30㎝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타면 장치(500)를 통해 타면 작업을 진행하기에 편리한 폐로프의 길이는 5 내지 8㎝,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5 내지 7㎝일 수 있다.
이송중 커팅 장치(100)를 통해 폐로프를 커팅하면 커팅하게 되면 커팅과 동시에 폐로프가 어느 정도는 자체적으로 풀릴 수 있기 때문에 추후의 작업들, 해체, 세척, 건조 및 타면 작업이 용이해질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이송중 커팅 장치(100)에 의해 단위 길이로 커팅된 폐로프는 정량 공급 유닛(600a)에 의해 정량만큼씩 컨베이어(C1)로 투입되어 이송중 해체 장치(200)로 공급될 수 있다.
과도한 양의 폐로프가 이송중 해체 장치(200)로 공급되면 해체 작업이 잘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이송중 커팅 장치(100)와 이송중 해체 장치(200) 사이에 정량 공급 유닛(600a)을 적용하고 있는 것이다.
참고로, 정량 공급 유닛(600b)은 이송중 해체 장치(200)와 이송중 세척 장치(300) 사이, 그리고 이송중 건조 장치(400)와 타면 장치(500) 사이에도 배치되어 후 공정으로 향하는 폐로프의 정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송중 세척 장치(300)와 이송중 건조 장치(400) 사이에도 정량 공급 유닛(600a~600c)이 적용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생략했다.
이러한 정량 공급 유닛(600a~600c)은 앞 공정으로부터 폐로프를 전달 받아 정해진 만큼의 폐로프를 후 공정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데,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가 모두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살펴보면, 정량 공급 유닛(600a~600c)은 앞 공정으로부터의 폐로프가 저장되는 정량 공급용 호퍼(610)와, 정량 공급용 호퍼(510) 내에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는 개폐 셔터(620)와, 개폐 셔터(620)를 구동시키는 셔터 구동부(630)와, 개폐 셔터(620)와 연결되며, 정량 공급용 호퍼(610) 내에 저장되는 폐로프의 저장량을 감지하는 로드 셀(640)과, 로드 셀(640)의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셔터 구동부(5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도 4처럼 정량 공급용 호퍼(510) 내에 앞 공정으로부터의 폐로프가 저장되다가 정량만큼의 양에 도달되면 이를 로드 셀(640)이 감지하게 되고, 이 감지정보가 제어부로 전송되어 제어부가 셔터 구동부(530)의 동작시킴에 따라 도 5처럼 개폐 셔터(620)가 열리면서 정량 공급용 호퍼(510) 내의 폐로프가 후 공정으로 공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이송중 해체 장치(200)는 공정라인을 따라 이송중 커팅 장치(100)와 이송중 세척 장치(300)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폐로프가 상기 이송중 세척 장치(300)로 이송되기 전에 폐로프를 해체하는 역할을 한다.
이송중 해체 장치(200) 역시, 폐로프가 정지된 상태가 아닌, 즉 폐로프가 이송되는 중에 해체 작업을 진행하기 때문에 단위 시간당 생산성 향상을 이끌어낼 수 있다.
여기서, 해체 작업이란 도 7의 (a)에서 (b) 혹은 (c)의 상태로 만드는 과정을 일컫는다.
이송중 커팅 장치(100)를 통해 길이가 긴 폐로프가 단위 길이로 커팅될 경우, 도 7의 (a), (b) 또는 (c)와 같은 형태가 될 수 있다. 이때, 폐로프를 잘 세척하기 위해서는 이송중 커팅 장치(100)를 통해 커팅된 폐로프가 도 7의 (c)와 같은 형태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송중 커팅 장치(100)를 통해 폐로프를 커팅하면 대개는 도 7의 (b) 또는 (c)와 같은 형태가 될 수 있지만 도 7의 (a)와 같이 전혀 해체되지 않은 상태로 폐로프가 존재할 수도 있기 때문에 이러한 폐로프를 세척 또는 타면의 이상적인 형태인 도 7의 (c)와 같은 형태로 만들기 위해 이송중 해체 장치(200)가 사용된다.
이러한 이송중 해체 장치(200)는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체날(210)이 원주면에 형성되되 상호간 이격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1 내지 제3 해체 롤러(211,312,213)를 포함한다.
제1 내지 제3 해체 롤러(211,312,213)는 공정라인을 따라 한 쌍씩 다수 개가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데, 이때 한 쌍씩 마련되는 제1 내지 제3 해체 롤러(211,312,213)간의 이격간격은 후방으로 갈수록 좁게 형성된다. 즉 제1 해체 롤러(211)에서 제3 해체 롤러(213) 쪽으로 갈수록 그 이격간격이 좁아질 수 있다.
따라서 도 7의 (a)와 같이 전혀 해체되지 않은 상태의 폐로프일지라도 제1 내지 제3 해체 롤러(211,312,213)를 지나는 과정에서 잘 해체되어 세척 또는 타면의 이상적인 형태인 도 7의 (c)와 같은 형태가 될 수 있다. 도면에는 제1 내지 제3 해체 롤러(211,312,213)를 개시하였으나 이의 개수는 2개 또는 4개 이상일 수도 있으므로 도면의 형상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이에, 이송중 커팅 장치(100)를 통해 커팅된 폐로프는 제1 정량 공급 유닛(600a)을 통해 정량만큼이 컨베이어(C1)로 이송되고, 이어 이송중 해체 장치(200)를 통해 해체된 후 컨베이어(C2)를 통해 제2 정량 공급 유닛(600b)을 거쳐 정량만큼이 이송중 세척 장치(300)로 공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이송중 세척 장치(300)는 이송중 해체 장치(200)와 이송중 건조 장치(400) 사이에 배치되며, 폐로프가 타면 장치(500)로 이송되기 전에 폐로프를 이송시키면서 세척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이송중 해체 장치(200)를 통해 도 7의 (c) 형태로 된 폐로프를 이송중에 세척하기 때문에 아직 개시되지 않았지만 출원인의 종전 세탁기 사용 방식보다 세척 시간을 훨씬 대폭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아직 개시되지 않았지만 출원인의 종전 세탁기 사용 방식의 경우, 폐로프를 세척망에 담고(제1 단계), 세척망을 세탁기에 넣은 후(제2 단계), 세탁기의 동작에 의해 폐로프가 세척되도록 한 다음(제3 단계), 세척이 완료되면 세탁기로부터 세척망을 꺼내고(제4 단계), 세척망으로부터 폐로프를 다시 빼는(제5 단계) 과정을 모두 진행해야 했기 때문에 세척 시간이 많이 소요될 수밖에 없었으나 본 실시예의 경우, 도 3, 도 8 및 도 9처럼 도 7의 (c) 형태로 된 폐로프를 이송중에 세척하기 때문에 종전의 세탁기 사용 방식보다 세척 시간을 훨씬 대폭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필라멘트의 생산량을 종전보다 대폭 향상시키기에 충분하다.
이러한 역할을 담당하는 이송중 세척 장치(300)는 세척 장치용 터널(310), 폐로프 이송부재(320), 그리고 세척수 분사노즐(330)을 포함한다.
세척 장치용 터널(310)은 폐로프가 이송되기 위한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어 폐로프 이송부재(320)가 배치되는 장소를 이룬다.
이러한 세척 장치용 터널(310)의 일측에는 세척 전 폐로프가 유입되는 세척 장치 유입부(31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세척이 완료된 폐로프가 배출되는 세척 장치 배출부(312)가 형성된다.
세척 장치용 터널(310)의 세척 장치 유입부(311)에는 폐로프 호퍼(360)가 연결된다. 폐로프 호퍼(360)는 이송중 해체 장치(200)에서 제공되는 폐로프를 모아 세척 장치 유입부(311)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폐로프가 세척 장치 유입부(311)로 잘 전달되기 위해 폐로프 호퍼(360)의 일측은 경사진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폐로프 이송부재(320)는 세척 장치용 터널(310) 내에 배치되며, 폐로프를 세척 장치 유입부(311)에서 세척 장치 배출부(312)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폐로프 이송부재(320)로서 정 위치에서 회전되면서 폐로프를 세척 장치 배출부(312)로 이송시키는 폐로프 이송용 스크루를 적용하고 있다. 이때, 세척 장치용 터널(310)의 외부에는 폐로프 이송용 스크루와 연결되어 폐로프 이송용 스크루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340)가 마련된다. 물론, 스크루 방식 외의 컨베이어 방식으로 폐로프 이송부재(320)를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세척수 분사노즐(330)은 세척 장치용 터널(310)의 벽면에 마련되며, 세척 장치용 터널(310) 내에서 폐로프 이송부재(320)에 의해 이송되는 폐로프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여 폐로프를 세척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앞서 기술한 것처럼 폐로프에는 여러 이물질이 묻어 있거나 뻘(mud)이 내부로 깊숙이 침투되어 고착될 수 있기 때문에 이들을 효과적으로 세척하기 위해 세척수 분사노즐(330)을 두어 세척수를 분사시키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세척수 분사노즐(330)은 세척 장치용 터널(310)의 내벽면 상부에 상호간 이격되어 다수 개 배치됨으로써, 폐로프에 대한 세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세척수 분사노즐(330)을 통한 상기 세척수의 분사강도 또는 온도는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이처럼 세척 장치용 터널(310)로 폐로프가 공급되어 폐로프 이송부재(320)가 폐로프를 이송시키고, 이와 더불어 세척수 분사노즐(330)들을 통해 세척수가 분사됨에 따라 세척 장치 배출부(312)로 이송중인 폐로프는 시간 지체 없이 잘 세척될 수 있다. 세척된 폐로프는 컨베이어(C4)를 통해 이송중 건조 장치(400)로 향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폐로프에 대한 세척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세척 장치용 터널(310)의 내벽과 폐로프 이송용 스크루의 외벽에 다수의 세척효율 향상용 돌기(350)를 적용하고 있다. 폐로프 이송용 스크루의 회전 시 세척효율 향상용 돌기(350)들이 폐로프를 짓누르는 형태가 될 수 있기 때문에 폐로프에 대한 세척효율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세척효율 향상용 돌기(350)는 선단부로 갈수록 뾰족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다.
한편, 세척수 분사노즐(330)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는 일반 수돗물일 수 있는데, 계속해서 세척수를 사용하게 되면 세척수의 낭비 요인이 될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의 경우, 세척수를 재사용하는 방안을 적용하고 있다. 이를 위해, 배수로(371), 세척수 저장탱크(372) 및 세척수 순환라인(373)이 적용될 수 있다.
배수로(371)는 세척 장치용 터널(310)의 하부에 마련되어 사용이 완료된 세척수가 배수되는 라인을 이룬다.
그리고 세척수 저장탱크(372)는 배수로(371)와 연결되어 세척수를 저장하는 역할을 하며, 세척수 순환라인(373)은 세척수 저장탱크(372)와 세척수 분사노즐(330)을 연결하여 세척수를 순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세척수의 순환을 위해 세척수 순환라인(373)에 순환펌프(374)가 결합될 수 있으며, 순환되는 세척수의 필터링을 위해 정수필터(375)가 사용될 수도 있다. 물론, 몇 차례 사용된 세척수는 배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음으로, 이송중 건조 장치(400)는 이송중 세척 장치(300)와 타면 장치(500) 사이에 배치되며, 이송중 세척 장치(300)를 통해 세척이 완료된 폐로프가 타면 장치(500)로 이송되기 전에 폐로프를 건조하는 역할을 한다.
이송중 건조 장치(400) 역시, 폐로프가 이송되는 중에 건조 작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건조 시간 없이도 연속 작업이 가능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이송중 건조 장치(400)는 도 3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 전 폐로프가 유입되는 건조 장치 유입부(411)와, 건조가 완료된 폐로프가 배출되는 건조 장치 배출부(412)를 구비하며, 폐로프가 이송되는 컨베이어(C5) 상에 배치되는 폐로프 건조용 하우스(410)와, 폐로프 건조용 하우스(410)에 마련되며, 폐로프를 향해 열풍을 분사하는 열풍 분사기(420)를 포함한다.
폐로프 건조용 하우스(410)의 외측에는 히터모듈(430)이 마련되어 열풍 분사기(420)들과 연결됨으로써, 열풍 분사기(420)들을 통해 열풍이 분사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건조 장치 유입부(411)와 건조 장치 배출부(412)에는 폐로프가 이송될 때는 개방되고 폐로프의 이송이 정지될 때는 차폐되는 커튼(440)이 마련될 수 있다. 커튼(440)으로 인해 건조용 하우스(410) 내의 열기가 건조용 하우스(410) 외부로 쉽게 빠져 나가는 현상을 줄일 수 있다.
물론, 이 방식 외에도 예컨대 컨베이어(C5)에 히터를 적용하여 컨베이어(C5)를 따라 지나는 폐로프가 자연스럽게 건조되도록 하는 것도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타면 장치(500)는 폐로프가 필라멘트로 제조되는 공정라인(도 3의 진한화살표 라인)을 따라 맨 뒤에 배치되는 장치로서, 커팅, 해체, 세척 및 건조가 완료된 폐로프, 즉 도 7의 (c) 상태의 폐로프를 타면하여 도 1의 이미지와 같은 필라멘트로 제조하는 역할을 한다.
폐로프는 이미 세척이 완료된 상태이기 때문에 타면 장치(500)를 통해 생산된 필라멘트는 순백색의 깨끗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폐로프를 녹이거나 폐로프에 어떠한 화학 성분도 가하지 않았기 때문에 도 1의 이미지와 같은 형태의 질긴 강성을 갖는 품질 좋은 필라멘트를 얻을 수 있다.
이렇게 얻어진 필라멘트는 다른 재료와 혼합되어 자동차 산업분야처럼 여러 산업분야, 예컨대 자동차의 내외장제의 재료로 다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타면 장치(500)의 구성에 대해 도 11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타면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투입 유닛의 확대도이며, 도 13은 도 12의 정면도이고, 도 14는 타면 장치의 제일 마지막에 배치되는 타면 유닛의 사시도이며, 도 15는 2개의 타면 유닛을 거리 L만큼 분리한 도면이고, 도 16은 도 15의 정면도이며, 도 17은 타면 유닛의 확대도이고, 도 18은 타면 유닛 프레임을 점선으로 처리한 도 17의 내부 투영도이며, 도 19는 도 17에서 비산 방지용 커버가 개방된 상태의 도면이고, 도 20은 타면 모듈의 사시도이며, 도 21은 폐로프 이송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2는 타면 유닛측 폐로프 이송 회전체의 사시도이며, 도 23은 도 2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타면 장치(500)를 통해 폐로프가 타면되는 공정은 복수 회 반복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의 경우, 6대의 타면 유닛(530)을 통해 폐로프를 복수 회 반복적으로 타면 작업함으로써 원하는 두께의 필라멘트가 제조되도록 하고 있다. 물론,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타면 유닛(530)을 통한 타면 작업은 6번보다 적거나 혹은 많게 진행될 수도 있을 것이다.
타면 장치(500)는 커팅, 해체, 세척 및 건조가 완료된 폐로프가 투입되는 투입 유닛(510)과, 투입 유닛(510)과 연결되어 폐로프를 타면하는 타면 유닛(530)을 포함한다.
투입 유닛(5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가 완료되어 제3 정량 공급 유닛(600c)을 통해 정량만큼 공급된 폐로프가 타면 유닛(530)으로 투입되는 장소를 이룬다.
투입 유닛(510)은 투입 유닛 프레임(511)과, 투입 유닛 프레임(511) 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폐로프를 이웃된 타면 유닛(530)으로 이송시키는 투입 유닛 컨베이어(513)를 포함한다.
투입 유닛 프레임(511)은 투입 유닛(510)의 외관을 형성하는 한편 투입 유닛 컨베이어(51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따라서 투입 유닛 프레임(511)은 강성이 우수하면서도 변형이 잘 되지 않는 금속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투입 유닛 프레임(511)은 지면에 지지되지 않는다. 즉 본 실시예에서 투입 유닛 프레임(511)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된 상태에서 후단부가 이웃된 타면 유닛(530)에 결합된다. 즉 투입 유닛 프레임(511)의 후단 단차부(511a)가 타면 유닛(530)의 지면 지지용 프레임(543)에 형성되는 단차부(543a)에 형상맞춤되게 걸쳐진 상태에서 투입 유닛 프레임(511)이 타면 유닛 프레임(54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처럼 투입 유닛 프레임(511)이 타면 유닛 프레임(540)에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굳이 투입 유닛 프레임(511)을 지면에 지지시키기 위한 구조물들을 별도로 더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경우에 따라 투입 유닛 프레임(511)의 하부 빈 공간을 폐로프의 적재 장소 또는 대차 등의 보관 장소 등으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이점이 있다.
투입 유닛 컨베이어(513)는 투입 유닛 프레임(511) 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폐로프를 이웃된 타면 유닛(530)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투입 유닛 컨베이어(513)가 회전될 수 있게 투입 유닛 컨베이어(513)의 양단부에는 컨베이어 회전 스프로켓(513a,113b)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컨베이어 회전 스프로켓(513a,113b) 중 하나는 구동용이고, 다른 하나는 종동용일 수 있다.
투입 유닛 컨베이어(513)는 그 상면과 하면, 특히 상면이 수평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폐로프를 이웃된 타면 유닛(530)으로 이송시킨다.
투입 유닛 프레임(511)의 후단부 영역에는 투입 유닛측 폐로프 이송 회전체(515)가 더 마련된다.
투입 유닛측 폐로프 이송 회전체(515)는 타면 유닛(530)에 이웃된 투입 유닛 프레임(511)의 후단부 영역에 마련되며, 제자리에서 회전되면서 투입 유닛 컨베이어(513)와 상호작용하여 폐로프를 이웃된 타면 유닛(530)으로 이송시킨다.
투입 유닛측 폐로프 이송 회전체(515)는 투입 유닛 프레임(511)의 상단부에서 하방으로 일정 길이만큼 절취된 제1 장공형 절취부(511b) 영역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는데, 제1 장공형 절취부(511b)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 이동이 가능함에 따라 투입 유닛 컨베이어(513)와의 간격(G1)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투입 유닛측 폐로프 이송 회전체(515)와 투입 유닛 컨베이어(513)와의 간격(G1)에 따라 이웃된 타면 유닛(530)으로 이송되는 폐로프의 양이 조절될 수 있다.
한편, 타면 유닛(530)은 투입 유닛(510)과 연결되며, 실질적으로 폐로프를 타면하는 역할을 한다.
타면 작업은 제조되는 필라멘트의 굵기가 약 1-30 데니어, 바람직하기로는 4-15 데니어 정도가 되도록 가공할 수 있는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7-8 데니어 정도로 가공하는 것이 2차적인 가공, 즉 제조된 필라멘트를 자동차 등의 다양한 산업분야에 적용할 때 유리하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이의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6개의 타면 유닛(530)을 적용함으로써, 폐로프를 총 6번 타면 작업하여 원하는 굵기의 필라멘트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모든 타면 유닛(530)의 구조는 동일하다. 다만, 폐로프가 타면되는 방향에 대하여 제일 마지막에 배치되는 타면 유닛(530a)에는 타면 유닛측 폐로프 이송 회전체(580)가 설치되지 않는데, 이러한 사항을 제외하고 모든 타면 유닛(530)의 구조는 동일하다. 물론, 도면과 달리, 제일 마지막에 배치되는 타면 유닛(530a)에도 타면 유닛측 폐로프 이송 회전체(580)를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타면 유닛(530)의 구조에 대해 살펴보면, 타면 유닛(530)은 타면 유닛 프레임(540), 타면 유닛 컨베이어(550), 타면 모듈(560), 폐로프 이송 모듈(570), 타면 유닛측 폐로프 이송 회전체(580), 그리고 폐로프 이송 지지바아(590)를 포함한다.
타면 유닛 프레임(540)은 타면 유닛(530)의 외관을 형성하는 골조이다. 상당한 중량을 갖는 타면 모듈(560)과 그를 구동시키기 위한 수단들, 그리고 폐로프 이송 모듈(570), 타면 유닛측 폐로프 이송 회전체(580) 및 폐로프 이송 지지바아(590) 등을 지지해야 하기 때문에 타면 유닛 프레임(540)은 강성이 있는 금속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것처럼 타면 유닛 프레임(540)은 타면 유닛(530)의 외관을 형성하는 골조로서, 타면 모듈(560)과 그를 구동시키기 위한 수단들, 그리고 폐로프 이송 모듈(570), 타면 유닛측 폐로프 이송 회전체(580) 및 폐로프 이송 지지바아(590) 등을 지지해야 하는데, 만약 타면 유닛 프레임(540)이 일체형 구조물로 적용되는 경우라면 설치가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타면 유닛 프레임(540)에 설치되는 구성들의 유지보수 역시 쉽지 않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타면 유닛 프레임(540)을 위치별로 분류하여 제작하고 서로 연결 결합시킴으로써, 타면 유닛(530)을 설치하기도 쉽고, 추후 유지보수 역시 쉽도록 하고 있다.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실시예에서 타면 유닛 프레임(540)은 타면 모듈 지지용 프레임(541), 폐로프 이송 모듈 지지용 프레임(542), 지면 지지용 프레임(543), 그리고 브리지(544)를 포함한다.
타면 모듈 지지용 프레임(541)은 타면 모듈(560)의 양측에 배치되어 타면 모듈(56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 쌍의 타면 모듈 지지용 프레임(541) 사이에는 한 쌍의 타면 모듈 지지용 프레임(541)을 가로지르게 배치되는 가로 바아(541a)가 더 결합된다. 그리고 타면 모듈 지지용 프레임(541)의 상부에는 비산 방지용 커버(545)가 마련된다.
비산 방지용 커버(545)는 타면 모듈 지지용 프레임(541)의 상부에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타면 모듈(560)을 덮어 보호함으로써 타면 작업 시 분진이 비산되는 것을 저지하는 역할을 한다.
비산 방지용 커버(545)가 제자리에서 닫히기 위해 비산 방지용 커버(545)에는 닫힘 플랜지(545a)가 형성되는데, 이 닫힘 플랜지(545a)가 한 쌍의 타면 모듈 지지용 프레임(541) 사이에 형성되는 가로 바아(541a)에 지지됨으로써, 비산 방지용 커버(545)가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비산 방지용 커버(545)에는 손잡이(545b)가 마련됨으로써, 비산 방지용 커버(545)를 손쉽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손잡이(545b)는 비산 방지용 커버(545)의 양측면에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 위치에 형성되어야 할 필요는 없다.
참고로, 도면과 달리, 비산 방지용 커버(545)에 일부 관찰창(미도시)을 형성함으로써, 굳이 비산 방지용 커버(545)를 개방하지 않더라도 내부 상황을 외부에서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폐로프 이송 모듈 지지용 프레임(542)은 타면 모듈 지지용 프레임(541)과 측면 방향으로 연결되며, 폐로프 이송 모듈(570)의 양측에 배치되어 폐로프 이송 모듈(57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지면 지지용 프레임(543)은 지면과 타면 모듈 지지용 프레임(541) 사이에 배치되어 지면에 대하여 타면 모듈 지지용 프레임(541)을 지지한다. 따라서 지면 지지용 프레임(543)은 타면 모듈 지지용 프레임(541)보다는 큰 구조물로 적용될 수 있다.
브리지(544)는 지면과 폐로프 이송 모듈 지지용 프레임(542) 사이에 배치되어 지면에 대하여 폐로프 이송 모듈 지지용 프레임(542)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지면 지지용 프레임(543)이 넓은 면적으로 지면에 지지되고 있기 때문에 브리지(544)는 그다지 큰 구조물로 적용될 필요는 없다.
이러한 구조에서 폐로프 이송 모듈 지지용 프레임(542)과 지면 지지용 프레임(543)의 연결 영역은 계단식으로 단차진 형상을 갖는다. 즉 지면 지지용 프레임(543)에 형성되는 단차부(543a)가 이웃된 타면 유닛(530)의 폐로프 이송 모듈 지지용 프레임(542)의 단차부(542a)와 형상맞춤되면서 맞대어 지지됨에 따라 여러 대의 타면 유닛(530)을 인라인 형태로 줄지어 설치하기가 유리하다.
타면 유닛 컨베이어(550)는 타면 유닛 프레임(5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투입 유닛(510)에서 이송되어 오거나 전방의 타면 유닛(530)에서 이송되어 오는 폐로프를 후방의 타면 유닛(530)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앞서 기술한 투입 유닛 컨베이어(513)와 마찬가지로 벨트식으로 적용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 타면 유닛 컨베이어(550)는 투입 유닛 컨베이어(513)와 달리 그 상면이 기울어진 형태로 경사 배치된다.
다시 말해, 타면 유닛 컨베이어(550)의 상면은 타면 모듈(560)에서 폐로프 이송 모듈(570)로 갈수록 지면으로부터의 높이가 높아지게 경사 배치된다. 이처럼 타면 유닛 컨베이어(550)의 상면이 경사 배치될 경우, 타면 모듈(560)과의 타면 작업 시 일정한 저항을 형성하면서 진행되기 때문에 타면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폐로프 이송 모듈(570) 및 타면 유닛측 폐로프 이송 회전체(580)를 통한 폐로프의 이송 효율 역시 높아질 수 있다.
타면 모듈(560)은 실질적으로 폐로프에 접촉되어 폐로프를 타면하는 나선형 톱날(561)과, 나선형 톱날(561)이 외면에 결합되는 타면 모듈 하우징(562)을 구비하며, 모듈 회전축(563)을 통한 회전 동작 시 나선형 톱날(561)의 작용에 의해 타면 작업을 진행하는 역할을 한다.
결과적으로 타면 모듈(560)은 회전 시 나선형 톱날(561)의 작용으로 인해 폐로프가 타면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데, 타면 모듈(560)의 회전을 위해 모터(미도시)가 모듈 회전축(563)에 연결될 수 있다.
타면 모듈 하우징(562)의 외면에 나선형 톱날(561)이 설치될 수 있도록 나선형 톱날(561)은 단위 길이씩 타면 모듈 하우징(562)에 나선형으로 배치되어 용접 결합된다. 예컨대, 단위 길이를 갖는 나선형 톱날(561)을 타면 모듈 하우징(562)에 나선형으로 감아 용접시킨 후, 다시 그 자리에서부터 새로운 나선형 톱날(561)을 나선형으로 감아 용접시키는 방식으로 도 20과 같은 형태의 구조를 만들어 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나선형 톱날(561)은 일 방향으로 편심된 삼각 치형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형상적인 특징으로 인해 폐로프를 강하게 타격함으로써, 폐로프의 타면 효율이 높아질 수 있도록 한다.
폐로프 이송 모듈(570)은 폐로프가 이송되는 방향에 대하여 타면 모듈(560)의 후방에 배치되며, 타면 유닛 컨베이어(550)와 상호작용하여 타면 작업이 진행되는 폐로프를 후방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폐로프 이송 모듈(570)이 롤러 구조로서 폐로프를 이송시키고 있기는 하지만 도 21에 보다 자세히 도시된 것처럼 폐로프 이송 모듈(570)의 구조는 일반적인 롤러 구조와는 상이하다.
이에 대해 살펴보면, 폐로프 이송 모듈(570)은 상호간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모듈 원반(571)과, 모듈 원반(571)의 원주 방향을 따라 한 쌍의 모듈 원반(571)을 연결하되 상호간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연결 플레이트(572)와, 연결 플레이트(572)들의 외면에 배치되되 이송되는 폐로프에 접촉되는 폐로프 접촉용 망체(573)와, 한 쌍의 모듈 원반(571)에 각각 결합되어 폐로프 접촉용 망체(573)를 지지하는 한 쌍의 망체지지용 링(574)을 포함한다.
종전의 방식과 달리, 폐로프 접촉용 망체(573)가 폐로프에 직접 접촉되어 폐로프를 후방으로 이송시키기 때문에 폐로프의 이송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모듈 원반(571)에는 폐로프 이송 모듈(570)의 회전축심을 이루는 모듈 회전용 샤프트(571b)가 마련된다. 모듈 회전용 샤프트(571b)는 도시 않은 모터와 연결되어 정해진 속도로 회전된다.
이러한 모듈 원반(571)에는 관통공(571a)이 형성된다. 관통공(571a)은 다수 개 마련되되 모듈 원반(571) 상에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 즉 한 쌍의 모듈 원반(571) 사이에 연결 플레이트(572)들을 배치하고, 그 외측으로 망체(573)를 배치한 후, 한 쌍의 망체지지용 링(574)을 끼워 나사 고정시킴으로써, 폐로프 이송 모듈(570)을 제작할 수 있는데, 이처럼 분리형으로 폐로프 이송 모듈(570)을 제작함으로써, 청소 작업도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폐로프 접촉용 망체(573)를 다른 것들로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타면 유닛측 폐로프 이송 회전체(580)는 폐로프 이송 모듈 지지용 프레임(542)의 후단부에 결합되되 제자리에서 회전되면서 타면 유닛 컨베이어(550)와 상호작용하여 타면 작업이 진행되는 폐로프를 이웃된 타면 유닛(530)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타면 유닛측 폐로프 이송 회전체(580) 역시, 폐로프 이송 모듈 지지용 프레임(542)의 상단부에서 하방으로 일정 길이만큼 절취된 제2 장공형 절취부(542b) 영역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때, 타면 유닛측 폐로프 이송 회전체(580)는 폐로프 이송 모듈 지지용 프레임(542)의 제2 장공형 절취부(542b) 상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처럼 타면 유닛측 폐로프 이송 회전체(580)가 제2 장공형 절취부(542b)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 이동이 가능함에 따라 타면 유닛 컨베이어(550)와의 간격(G2, 도 16)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폐로프의 이송량을 조절할 수 있다.
타면 유닛측 폐로프 이송 회전체(580)는 도 22 및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몸체(581)와, 회전 몸체(581)의 외면에 용접 결합되는 다수의 폐로프 이송 날개(582)를 포함한다.
다수의 폐로프 이송 날개(582)는 회전 몸체(581)의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각도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4개의 폐로프 이송 날개(582)가 회전 몸체(581)의 외면에 용접 결합된 상태를 취하고 있는데, 폐로프 이송 날개(582)의 개수는 4개보다 적거나 많을 수 있다.
이때, 폐로프 이송 날개(582)의 모서리 영역은 라운딩 처리된다. 이처럼 폐로프 이송 날개(582)의 모서리 영역이 뾰족하지 않고 라운딩 처리됨에 따라 폐로프는 끊김 없이 원활하게 후방으로 이송될 수 있다.
폐로프 이송 지지바아(590)는 타면 모듈(560)에 이웃되게 타면 모듈 지지용 프레임(541)에 결합되는 봉 타입의 구조물이다.
이러한 폐로프 이송 지지바아(590)는 전방의 타면 유닛측 폐로프 이송 회전체(580)와 타면 유닛 컨베이어(550)의 상호작용에 의해 이송되어 오는 폐로프의 이송을 보조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지면에 대하여 폐로프 이송 지지바아(590)의 위치가 타면 유닛측 폐로프 이송 회전체(580)의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됨에 따라 폐로프가 후방의 타면 유닛(530)으로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게끔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제조 방법을 도 24를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폐로프를 이송시키면서 커팅한다(S111). 이때는 폐로프를 타면 작업에 유리한 1 내지 30㎝의 단위 길이로 커팅할 수 있다.
다음, 단위 길이로 커팅된 폐로프를 해체 롤러(211,312,213)로 투입시켜 이송시키면서 이송중에 해체한다(S112). 그러면 도 7의 (c)와 같은 형태의 폐로프가 만들어질 수 있다.
다음, 도 7의 (c)와 같은 형태로 해체된 폐로프를 역시, 이송시키면서 세척한다(S113). 폐로프를 이송시키면서 세척하기 때문에 종전의 방식에 비해 세척 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다.
다음, 세척이 완료된 폐로프가 타면되기 전에 폐로프를 이송시키면서 건조한다(S114).
그런 다음, 커팅, 해체, 세척 및 건조까지 모두 완료된 폐로프를 타면 장치(500)에 투입시켜 타면함으로써(S115), 도 1의 이미지와 같은 필라멘트를 제조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폐로프가 필라멘트로 형성되는 일련의 연속 공정라인을 따라 폐로프를 이송시키면서 세척할 수 있어 세척에 따른 시간 손실(loss)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단위시간당 필라멘트의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물성이 변하는 종전의 용융 방식을 적용하지 않는 대신 타면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폐로프가 갖는 질긴 강성을 그대로 보유하면서도 품질 좋은 필라멘트로 제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자동차 산업분야처럼 여러 산업분야에 두루 적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르면, 폐로프 가공 시, 가열 가공하지 않고 타면하기 때문에 폐로프 재질인 폴리프로필렌(PP) 고유 물성에서 변함이 없으며 재활용을 위해 재가공시 쪼그라짐이 발생하는 일이 없고 고유의 강성과 물성을 유지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 폐로프에 열을 가하여 용융시켜 폐로프를 쌀알 같은 칩(필렛)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단위 길이로 잘라 세척한 후, 타면함으로써, 즉 솜 같은 굵기로 잘게 찢고, 쪼개고, 풀어서 원래의 질긴 강성을 갖는 필라멘트를 제조하고 있기 때문에 필라멘트가 원래의 질긴 강성을 그대로 보유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많은 비용을 들이지 않더라도 질긴 강성을 갖는 품질 좋은 필라멘트를 제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의 경우, 가열 가공을 수행하기 않기 때문에 용융을 위한 시설이 필요치 않으며, 또한 용융 시 발생하는 대기 오염가스(유해가스) 물질의 발생도 막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되는 필라멘트는 자동차 산업분야처럼 여러 산업분야에 두루 적용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 제조되는 필라멘트를 사용하게 되면 폴리프로필렌의 원가보다 훨씬 낮은 가격으로 다양한 제품을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제품의 원가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컨대, 건축 자재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트렁크 매트, 바닥매트, 시트백, 기타 보드 판 등의 자동차 소재를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이송중 커팅 장치 200 : 이송중 해체 장치
210 : 해체날 211,312,213 : 해체 롤러
300 : 이송중 세척 장치 310 : 세척 장치용 터널
311 : 세척 장치 유입부 312 : 세척 장치 배출부
320 : 폐로프 이송부재 330 : 세척수 분사노즐
340 : 구동모터 350 : 세척효율 향상용 돌기
360 : 폐로프 호퍼 371 : 배수로
372 : 세척수 저장탱크 373 : 세척수 순환라인
374 : 순환펌프 375 : 정수필터
400 : 이송중 건조 장치 410 : 폐로프 건조용 하우스
411 : 건조 장치 유입부 412 : 건조 장치 배출부
420 : 열풍 분사기 430 : 히터모듈
440 : 커튼 500 : 타면 장치
510 : 투입 유닛 530 : 타면 유닛
540 : 타면 유닛 프레임 550 : 타면 유닛 컨베이어
560 : 타면 모듈 570 : 폐로프 이송 모듈
580 : 타면 유닛측 폐로프 이송 회전체 590 : 폐로프 이송 지지바아
600a,600b,600c : 정량 공급 유닛 610 : 정량 공급용 호퍼
620 : 개폐 셔터 630 : 셔터 구동부
640 : 로드 셀

Claims (33)

  1. 폐로프를 타면하여 필라멘트로 제조하는 타면 장치; 및
    상기 필라멘트가 제조되는 공정라인을 따라 상기 타면 장치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폐로프가 상기 타면 장치로 이송되기 전에 상기 폐로프를 이송시키면서 세척하는 이송중 세척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중 세척 장치는,
    세척 전 폐로프가 유입되는 세척 장치 유입부와, 세척이 완료된 폐로프가 배출되는 세척 장치 배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폐로프가 이송되기 위한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세척 장치용 터널;
    상기 세척 장치용 터널 내에 배치되며, 상기 폐로프를 상기 세척 장치 유입부에서 상기 세척 장치 배출부로 이송시키는 폐로프 이송부재; 및
    상기 세척 장치용 터널의 벽면에 마련되며, 상기 세척 장치용 터널 내에서 상기 폐로프 이송부재에 의해 이송되는 폐로프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수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제조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 분사노즐은 상기 세척 장치용 터널의 내벽면 상부에 상호간 이격되어 다수 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제조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 분사노즐을 통한 상기 세척수의 분사강도 또는 온도가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제조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로프 이송부재는 정 위치에서 회전되면서 상기 폐로프를 세척 장치 배출부로 이송시키는 폐로프 이송용 스크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제조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장치용 터널의 외부에는 상기 폐로프 이송용 스크루와 연결되어 상기 폐로프 이송용 스크루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제조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장치용 터널의 내벽과 상기 폐로프 이송용 스크루의 외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폐로프에 대한 세척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수의 세척효율 향상용 돌기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제조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효율 향상용 돌기는 선단부로 갈수록 뾰족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제조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중 세척 장치는,
    상기 세척 장치용 터널의 세척 장치 유입부에 연결되며, 상기 이송중 세척 장치보다 앞선 공정에서 제공되는 폐로프를 모아 상기 세척 장치 유입부로 전달하는 폐로프 호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제조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중 세척 장치는,
    상기 세척 장치용 터널의 하부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로;
    상기 배수로와 연결되는 세척수 저장탱크; 및
    상기 세척수 저장탱크와 상기 세척수 분사노즐을 연결하여 세척수를 순환시키는 세척수 순환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제조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중 세척 장치는,
    상기 세척수 순환라인에 결합되는 순환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제조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중 세척 장치는,
    상기 세척수 순환라인에 결합되며, 순환되는 세척수를 필터링하는 정수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제조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중 세척 장치와 상기 타면 장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이송중 세척 장치를 통해 세척이 완료된 폐로프가 상기 타면 장치로 이송되기 전에 상기 폐로프를 이송시키면서 건조하는 이송중 건조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제조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중 건조 장치는,
    건조 전 폐로프가 유입되는 건조 장치 유입부와, 건조가 완료된 폐로프가 배출되는 건조 장치 배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폐로프가 이송되는 컨베이어 상에 배치되는 폐로프 건조용 하우스; 및
    상기 폐로프 건조용 하우스에 마련되며, 상기 폐로프를 향해 열풍을 분사하는 열풍 분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제조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폐로프 건조용 하우스의 외측에는 상기 열풍 분사기와 연결되는 히터모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제조 시스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장치 유입부와 상기 건조 장치 배출부에는 상기 폐로프가 이송될 때는 개방되고 상기 폐로프의 이송이 정지될 때는 차폐되는 커튼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제조 시스템.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라인을 따라 상기 이송중 세척 장치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폐로프가 상기 이송중 세척 장치로 이송되기 전에 상기 폐로프를 이송시키면서 해체하는 이송중 해체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제조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중 해체 장치는,
    해체날이 원주면에 형성되되 상호간 이격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해체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제조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해체 롤러는 상기 공정라인을 따라 한 쌍씩 다수 개가 배치되되 후방에 배치되는 해체 롤러간의 이격간격이 그 전방에 배치되는 해체 롤러간의 이격간격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제조 시스템.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라인을 따라 상기 이송중 세척 장치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폐로프를 이송시키면서 상기 폐로프를 공정에서 요구되는 미리 결정된 단위 길이로 커팅하는 이송중 커팅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제조 시스템.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라인을 따라 상기 타면 장치의 전방에는 상기 폐로프의 정량을 상기 타면 장치로 공급하는 정량 공급 유닛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제조 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 공급 유닛은,
    상기 폐로프가 저장되는 정량 공급용 호퍼;
    상기 정량 공급용 호퍼 내에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는 개폐 셔터;
    상기 개폐 셔터를 구동시키는 셔터 구동부;
    상기 개폐 셔터와 연결되며, 상기 정량 공급용 호퍼 내에 저장되는 폐로프의 저장량을 감지하는 로드 셀; 및
    상기 로드 셀의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셔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제조 시스템.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면 장치는,
    세척이 완료된 폐로프가 투입되는 투입 유닛; 및
    상기 폐로프를 타면하는 나선형 톱날을 구비하며, 상기 투입 유닛과 연결되어 폐로프를 타면하되 인라인(In-line) 형태로 연결되는 다수의 타면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제조 시스템.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 유닛은,
    외관을 형성하는 투입 유닛 프레임; 및
    상기 투입 유닛 프레임 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폐로프를 이웃된 상기 타면 유닛으로 이송시키는 투입 유닛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제조 시스템.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타면 유닛은,
    타면 유닛 프레임; 및
    상기 타면 유닛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투입 유닛에서 이송되어 오거나 전방의 타면 유닛에서 이송되어 오는 폐로프를 후방의 타면 유닛으로 이송시키는 타면 유닛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제조 시스템.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타면 유닛은,
    상기 나선형 톱날이 외면에 결합되는 타면 모듈 하우징을 구비하며, 회전 동작 시 상기 나선형 톱날의 작용에 의해 타면 작업을 진행하는 타면 모듈; 및
    상기 폐로프가 이송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타면 모듈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타면 유닛 컨베이어와 상호작용하여 타면 작업이 진행되는 폐로프를 후방으로 이송시키는 폐로프 이송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제조 시스템.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타면 유닛 프레임은,
    상기 타면 모듈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타면 모듈을 지지하는 타면 모듈 지지용 프레임;
    상기 타면 모듈 지지용 프레임과 측면 방향으로 연결되며, 상기 폐로프 이송 모듈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폐로프 이송 모듈을 지지하는 폐로프 이송 모듈 지지용 프레임;
    지면과 상기 타면 모듈 지지용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지면에 대하여 상기 타면 모듈 지지용 프레임을 지지하는 지면 지지용 프레임; 및
    상기 지면과 상기 폐로프 이송 모듈 지지용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지면에 대하여 상기 폐로프 이송 모듈 지지용 프레임을 지지하는 브리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제조 시스템.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타면 유닛 프레임은,
    상기 폐로프 이송 모듈 지지용 프레임의 후단부에 결합되되 제자리에서 회전되면서 상기 타면 유닛 컨베이어와 상호작용하여 타면 작업이 진행되는 폐로프를 이웃된 상기 타면 유닛으로 이송시키는 타면 유닛측 폐로프 이송 회전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제조 시스템.
  2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면 장치를 통해 상기 폐로프가 타면되는 공정은 복수 회 반복적으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제조 시스템.
  30. 폐로프를 타면하여 필라멘트로 제조하는 타면 단계; 및
    상기 필라멘트가 제조되는 공정라인을 따라 상기 타면 단계를 수행하는 타면 장치의 전방 공정을 형성하되 상기 폐로프가 타면되기 전에 상기 폐로프를 이송시키면서 세척하는 이송중 세척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중 세척 단계는,
    세척 전 폐로프가 유입되는 세척 장치 유입부와, 세척이 완료된 폐로프가 배출되는 세척 장치 배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폐로프가 이송되기 위한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세척 장치용 터널과, 상기 세척 장치용 터널 내에 배치되며, 상기 폐로프를 상기 세척 장치 유입부에서 상기 세척 장치 배출부로 이송시키는 폐로프 이송부재와, 상기 세척 장치용 터널의 벽면에 마련되며, 상기 세척 장치용 터널 내에서 상기 폐로프 이송부재에 의해 이송되는 폐로프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수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이송중 세척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제조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세척이 완료된 폐로프가 타면되기 전에 상기 폐로프를 이송시키면서 건조하는 이송중 건조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제조방법.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폐로프가 세척되기 전에 상기 폐로프를 이송시키면서 해체하는 이송중 해체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제조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폐로프가 해체되기 전에 상기 폐로프를 이송시키면서 커팅하는 이송중 커팅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제조방법.
KR1020140168052A 2014-09-29 2014-11-28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제조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99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052A KR101699506B1 (ko) 2014-11-28 2014-11-28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제조 시스템 및 그 방법
PCT/KR2015/010202 WO2016052950A1 (ko) 2014-09-29 2015-09-25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제조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052A KR101699506B1 (ko) 2014-11-28 2014-11-28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제조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4443A KR20160064443A (ko) 2016-06-08
KR101699506B1 true KR101699506B1 (ko) 2017-01-25

Family

ID=56193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8052A KR101699506B1 (ko) 2014-09-29 2014-11-28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제조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950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9527B1 (ko) 2003-11-07 2005-03-31 한국해양연구원 폐 연심로프 분쇄 재활용 장치
KR101385431B1 (ko) 2013-10-21 2014-04-14 주식회사 해나라 폐로프의 필라멘트 형성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82061B2 (ja) 2002-04-02 2006-06-07 東レ・デュポン株式会社 使用済み耐熱性高機能紡績糸製品の再生方法
WO2006112599A1 (en) 2005-02-21 2006-10-26 Karam Tech Co., Ltd The member for interior products of motor vehicles with multilayer structure
KR101246758B1 (ko) * 2011-02-22 2013-03-26 (주) 금토일산업 필라멘트 소재 혼합물 믹싱장치
KR101213717B1 (ko) 2012-07-09 2012-12-18 송옥주 폐그물 재생장치
KR101524241B1 (ko) * 2013-04-26 2015-06-02 조선옥 로프를 활용한 필라멘트 제조 방법과 이를 이용한 필라멘트를 포함하는 자동차 내장 시트재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9527B1 (ko) 2003-11-07 2005-03-31 한국해양연구원 폐 연심로프 분쇄 재활용 장치
KR101385431B1 (ko) 2013-10-21 2014-04-14 주식회사 해나라 폐로프의 필라멘트 형성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4443A (ko) 2016-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127532A (ja) 乾式洗浄装置、乾式洗浄システム、乾式洗浄方法及び乾燥装置
KR101443858B1 (ko) 가공부품의 이물질 세척장치
WO2021227315A1 (zh) 一种粪污处理系统
CN111672806A (zh) 一种玩具生产加工用清洗干燥设备
CN105268690A (zh) 自动化清洗机
KR100479527B1 (ko) 폐 연심로프 분쇄 재활용 장치
KR101699506B1 (ko)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제조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95980B1 (ko) 친환경 인삼 세척기
KR100719880B1 (ko) 입체적 형상의 석재물 표면 가공장치
US5180437A (en) Machine for washing plastic fragments to prepare them for recycling
KR200455342Y1 (ko) 폐비닐 분리장치
KR101100633B1 (ko) 친환경 순환골재 이물질 선별장치
KR101169421B1 (ko) 벽돌 가공장치
KR20060056295A (ko)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처리장치 및 방법
KR20210140813A (ko) 폐콘크리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2차 제품 생산 장치
KR101497911B1 (ko) 음식물 폐비닐 세척장치 및 그를 이용한 음식물 폐비닐의 고형연료화 전처리 방법
CN208850617U (zh) 一种土豆脱皮机构及脱皮机
KR101659843B1 (ko)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제조방법
KR101653625B1 (ko) 폐로프를 이용한 필라멘트 제조 시스템
KR20170090736A (ko) 폐마대를 이용한 필라멘트 제조시스템
CN210059103U (zh) 一种筒式矿石清洗装置
KR20220000490A (ko) 비닐 이물질 제거장치
CN211471677U (zh) 一种清花异纤装置
CN202878536U (zh) 一种造粒装置
JP2001058160A (ja) 選別コンベ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