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5342Y1 - 폐비닐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폐비닐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5342Y1
KR200455342Y1 KR20090004680U KR20090004680U KR200455342Y1 KR 200455342 Y1 KR200455342 Y1 KR 200455342Y1 KR 20090004680 U KR20090004680 U KR 20090004680U KR 20090004680 U KR20090004680 U KR 20090004680U KR 200455342 Y1 KR200455342 Y1 KR 2004553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vinyl
separator
accommodating part
unit
foreign ma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0046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0584U (ko
Inventor
길현익
Original Assignee
길현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길현익 filed Critical 길현익
Priority to KR200900046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5342Y1/ko
Publication of KR201000105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5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53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534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29B2017/0213Specific separating techniques
    • B29B2017/0217Mechanical sepa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29B2017/0213Specific separating techniques
    • B29B2017/0286Cleaning means used for separation
    • B29B2017/0289Washing the materials in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2017/0424Specific disinteg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44Kni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농업에 사용된 폐비닐을 분리수거하기 위한 폐비닐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 분리장치는 폐비닐이 수용되는 제1 수용부와 폐비닐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이 수용되는 제2 수용부가 구비되는 분리부와; 상기 제1 수용부에 배치되어 폐비닐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하는 분리기와; 상기 분리기에서 연장되어 투입구 측 영역에 배치되며, 투입된 폐비닐을 분리기 측 영역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이송부와; 상기 제1 수용부 및 제2 수용부를 구획하여 분리된 이물질이 제1 수용부에서 제2 수용부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투과부와; 상기 제2 수용부에 배치되어 이물질을 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키는 배출기와; 상기 분리기 및 배출기의 작동을 위해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고안은 농작물의 경작 후 발생하는 폐비닐을 재활용 가능한 조건으로 분리할 수 있고, 재활용을 위한 취급이 용이하며, 농촌 환경의 오염을 감소시킬 수 있다.
폐비닐, 농업, 분리장치, 절단, 흙

Description

폐비닐 분리장치{APPARATUS FOR SEPARATING A WASTED VINYL}
본 고안은 농업에 사용된 폐비닐을 분리수거하기 위한 폐비닐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농촌에서는 날씨(특히 온도) 등의 환경을 극복하면서 농사를 짓기 위하여 비닐을 사용하고 있다. 비닐은 파종 후, 발아가 잘 되도록 하기 위한 수단, 또는 수분의 증발을 억제하기 위한 수단, 또는 보온을 위한 수단 등과 같이 다양한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농업에 사용된 비닐은 자연 분해가 이루어지지 않고, 농작물의 성장 등에 나쁜 영향을 주기 때문에 수거하여야만 한다. 이와 같이 수거되는 폐비닐은 재활용을 위해서는 비닐에 묻은 흙 및/또는 진흙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여야만 하는데, 폐비닐과 이물질을 분리하는 과정은 상당한 노동력이 요구되고, 이에 비하여 재활용될 수 있는 실제 비닐의 양(중량)은 얼마 되지않기 때문에 재활용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와 같은 농촌 폐비닐은 매립시 분해되지 않기 때문에 매립지역을 오염시키고, 소각시 대기 환경을 오염시키기 때문에 매립과 소각 등에 제약을 받고 있다.
따라서, 폐비닐의 분리작업에 요구되는 노동력 및/또는 비용이 재활용시 충분한 이익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 이러한 사항들로 인하여 대량의 폐비닐을 재활용 가능한 조건으로 분리하기 위한 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폐비닐의 분리를 위한 처리속도 및 처리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농촌 폐비닐의 재활용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고안의 일 목적은 농작물의 경작 후 발생하는 폐비닐을 재활용 가능한 조건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일 목적은 농작물의 경작 후 발생하는 폐비닐에 존재하는 흙 및/또는 진흙 등의 이물질을 제거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목적은 농작물의 경작 후 발생하는 폐비닐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처리속도 또는 처리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재활용을 위해 농작물의 경작 후 발생하는 폐비닐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폐비닐을 일정 이하의 크기로 절단하여 재활용을 위한 취급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목적은 농작물의 경작 후 발생하는 폐비닐에 존재하는 이물질의 분리와 함께 폐비닐의 세척이 가능하면서 폐비닐을 일정 이하의 크기로 절단하여 재활용을 위한 취급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목적은 농작물의 경작 후 발생하는 폐비닐의 분리를 위한 장치의 투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목적은 농작물의 경작 후 발생하는 폐비닐의 분리작업이 대량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폐비닐 분리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은 기본적으로, 농작물의 경작 후 발생하는 폐비닐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하면서 일정 크기로 절단하여 바로 재활용을 할 수 있는 상태로 처리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폐비닐 분리장치는 제1 수용부와 제2 수용부가 구비되는 분리부와; 제1 수용부에 배치되어 폐비닐을 회전시켜 폐비닐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하는 분리기와; 제1 수용부 및 제2 수용부를 구획하도록 배치되며, 제1 수용부에서 폐비닐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이 통과하여 제2 수용부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투과부와; 제2 수용부에 배치되어 폐비닐로부터 분리되어 유입된 이물질을 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키는 배출기와; 분리기 및 배출기의 작동을 위해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분리기는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과; 회전축에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부와; 지지부 사이에 결합되어 폐비닐을 회전시키는 복수의 회전판과; 각 회전판에 구비되어 폐비닐을 절단하는 커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수용부에는 폐비닐의 투입 및 배출을 위해 투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고, 제2 수용부에는 폐비닐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의 배출을 위해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분리기에는 그 일 측에서 연장되어 제1 수용부의 투입구 측 영역에 배치되도록 이송부가 더 구비되어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폐비닐을 분리기 측 영역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송부는 투입구를 통해 유입된 폐비닐을 분리기 측 영역으로 이동시키기 위 해 이송 스크류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이송부는 분리기 측 영역으로 이동되는 폐비닐의 양을 조절하기 위하여 이송량 조절부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이송량 조절부는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드럼형태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이동되는 폐비닐의 양은 드럼의 직경을 달리하여 결정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송 스크류는 드럼 형태로 이루어지는 이송량 조절부의 외부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수용부에는 공급된 폐비닐의 세척을 위한 세척수 공급부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세척수 공급부는 세척수가 공급되는 공급관과; 공급관과 제1 수용부의 내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분기관과; 분기관의 단부에 장착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각 분기관 또는 분사노즐은 폐비닐이 분리기에 의해 이동되는 위치에 따라 다른 양의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삭제
그리고, 커터는 회전시 투과부의 양단부 위치에서 투과부의 중앙부 위치로 투과부와의 간격이 점층적으로 좁아지도록 배치되어 폐비닐의 절단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수용부에는 폐비닐의 이송속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투과부의 일 단부에서 다른 일단부로 연장되고, 투과부와 대면하는 방향에 배치되며, 폐비닐을 배출 방향으로 이송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이송 가이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배출기는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과; 회전축에 구비되는 이송 스크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농작물의 경작 후 발생하는 폐비닐을 재활용 가능한 조건으로 분리할 수 있게 되어 폐비닐의 재활용이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농작물의 경작 후 발생하는 폐비닐에 존재하는 이물질의 제거 및/또는 폐비닐이 세척된 상태로 분리되어 재활용을 위한 취급이 용이하다.
그리고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폐비닐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폐비닐이 일정 이하의 크기로 절단되므로 재활용을 위한 취급이 용이하다.
그리고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농작물의 경작 후 발생하는 폐비닐의 분리작업이 대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농작물의 경작 후 발생하는 폐비닐의 재활용이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농촌 환경의 오염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농작물의 경작 후 발생하는 폐비닐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처리속도 또는 처리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농작물의 경작 후 발생하는 폐비닐의 분리를 위한 장치의 투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농작물의 경작 후 발생하는 폐비닐의 재활용을 위한 비용을 절감시켜 재활용에 의해 발생하는 이익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고안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고안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고안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농작물의 경작 후 발생하는 폐비닐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하면서 일정 크기로 절단하여 바로 재활용을 할 수 있는 상태로 처리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 분리장치(100)는 폐비닐이 투입되어 이물질과 분리되는 분리부(110)와 분리부(110)에 투입되는 폐비닐의 이물질을 분리하여 배출하기 위해 작용력을 제공하는 구동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폐비닐 분리장치(100)는 투입된 폐비닐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하여 재활용 가능한 상태로 배출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설명되는 바와 같이, 폐비닐로부터 이물질을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기(140)와 분리된 이물질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기(160)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분리부(110)의 일 측에는 구동부(1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20)는 상기 분리기(140)와 배출기(160)를 동시에 작동시키기 위하여 하나의 동력 발생부가 구비되고, 상기 동력 발생부에 각각의 분리기(140)와 배출기(160)가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도시된 것과 같이, 분리기(140)와 배출기(160)에 독립된 작동력을 제공하도록 각각의 동력 발생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도시된 예를 기초하여 설명하면, 제1 동력 발생부(121)가 구비되어 제1 동력 발생부(121)로부터 제1 동력 전달부(121a)를 통해 분리기(140)로 동력이 전달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동력 전달부(121a)는 분리기(140)의 회전축(141)에 직접 연결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회전 속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회전축(141)에 휠(141a) 등과 같은 부재를 더 구비하고, 제1 동력 전달부(121a)가 휠(141a)에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2 동력 발생부(122)가 구비되어 제2 동력 발생부(122)로부터 제2 동력 전달부(122a)를 통해 배출기(160)로 동력이 전달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제2 동력 전달부(122a)는 배출기(160)의 회전축(161)에 직접 연결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회전 속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회전축(161)에 휠(161a) 등과 같은 부재를 더 구비하고, 제2 동력 전달부(122a)가 휠(161a)에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투입되는 폐비닐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하여 재활용 가능한 상태로 배출 가능한 구성에 관한 일 예로, 상기 분리부(110)는 본체(111)의 어느 일 위치에 이물질을 분리시키기 위하여 폐비닐을 투입시키기 위한 투입구(111a)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입된 폐비닐로부터 이물질을 분리시킨 후, 이물질이 분리된 폐비닐을 배출시키기 위한 폐비닐 배출구(111b)가 상기 본체(111)의 다른 어느 일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111)의 또 다른 어느 일 위치에는 상기 폐비닐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을 배출시키기 위한 이물질 배출구(111c)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리부(110)는 그 내부에 투입된 폐비닐이 수용될 수 있도록 제1 수용부(112)와 폐비닐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이 수용되는 제2 수용부(11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용부(112)와 제2 수용부(113)는 서로 접하는 어느 일 영역에 투과부(114)가 구비되어 상기 투과부(114)를 통해 이물질은 제1 수용부(112)에서 제2 수용부(113)로 투과되고, 폐비닐은 상기 투과부(114)에 의해 걸러져 제1 수용부(112)의 내부에 남아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투과부(114)는 이물질만 통과할 수 있는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구멍(114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용부(112)의 내부에는 폐비닐을 회전시켜 폐비닐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하도록 분리기(14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분리기(140)는 구동부(12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축(141)에 복수의 지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 사이에 각각 회전판(144)이 구비되어, 회전축(141)의 회전에 의해 회전판(144)이 폐비닐을 제1 수용부(112) 내에서 회전축(141)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부는 회전축(141)에서 연장 또는 회전축(141)에 결합되는 봉 또는 막대(bar) 등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또는 플레이트 등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른 한편,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및 제2 지지부(142,143)는 원형의 플레이트 구조에 복수의 연장부(142a,143a)가 구비되도록 하고, 상기 연장부(142a,143a)에 회전판(144)이 장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시된 것과 같이, 지지부(142,143)는 연장부(142a,143a)의 수가 서로 다르게 형성하여 회전판(144)이 배치되는 위치가 다양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회전판(144)이 더 요구되는 위치를 임의로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 분리기(140)의 회전에 의해, 폐비닐은 제1 수용부(112)의 내부면 및/또는 투과부(114)와 마찰 및/또는 충돌 등이 발생하게 되어 이물질이 분리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분리기(140)는 커터(145)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커터(145)는 회전판(144)의 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고, 다른 한편, 상기 회전판(144)의 단부에 커터(145)가 일체로 구비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커터(145)는 투입된 폐비닐이 회전시 일정 이하의 크기로 절단되도록 하여 폐비닐 의 이송이 보다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그리고/또는 폐비닐로부터 이물질의 분리가 더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도 5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커터(145)가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회전판(144)의 단부에는 탈착 가능하게 몸체(145a)가 더 구비되고, 상기 몸체(145a)의 단부에 폐비닐이 일정 크기로 절단될 수 있는 간격으로 절단날(145b)이 배치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회전판(144)은 일정 이상의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폐비닐의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투입구(111a)를 통해 투입되는 폐비닐로부터 이물질의 분리하거나 또는 폐비닐의 절단(분쇄)을 위하여, 상기 분리기(140)의 일 측에는 투입된 폐비닐이 분리기(140)의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송부(15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2a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이송부(150)는 상기 분리기(140)의 일 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 수용부(112)의 투입구(111a) 측 영역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투입되는 폐비닐은 상기 이송부(150)에 의해 분리기(140)의 위치로 공급되어 폐비닐로부터 이물질의 분리 또는 폐비닐의 절단 등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이송부(150)의 구성에 관한 일 예로, 상기 이송부(150)는 이송 스크류(152)가 상기 분리기(140)를 구성하는 회전축(141)의 일 단부 영역에 구비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이송부(150)는 이송되는 폐비닐의 양을 조절(또는 결정)하기 위하여 이송량 조절부(151)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관한 일 예로, 상기 이송량 조절부(151)는 드럼형태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드럼형태의 구조를 갖는 이송량 조절부(151)는 상기 분리기(140)를 구성하는 회전축(141)의 일 단부 영역에 구비되고, 상기 이송 스크류(152)가 상기 이송량 조절부(151)의 외부에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이송되는 폐비닐의 양은 상기 이송량 조절부(151)를 구성하는 드럼의 직경 크기에 따라 결정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직경이 큰 드럼 형태의 이송량 조절부가 구비되는 경우, 이송되는 폐비닐의 양은 증가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직경이 작은 드럼 형태의 이송량 조절부로 구성하는 경우, 이송되는 폐비닐의 양은 감소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경우, 투입된 폐비닐은 이송부(150)에 의해 분리기(140)로 공급되어 이물질의 분리 또는 절단이 이루어지면서 배출구(111b)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경우, 투입된 폐비닐이 배출구(111b)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수용부(112)가 투입구(111a)에서 배출구(111b)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하여 폐비닐이 중력에 의해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다른 구성에 관한 일 예로,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1 수용부(112)의 내부에는 폐비닐이 상기 이송부(150) 및 분리기(140)의 회전에 따라 투입구(111a)에서 배출구(111b)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송 가이드(115)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이송 가이드(115)는 폐비닐의 이송속도를 조절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이송 가이드(115)는 투과부(114)와 대면하는 방향에 배치되도록 일 단부가 투과부(114)의 일 단부에서 투과부(114)의 다른 일 단부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수용부(112)는 경사지게 구성되지 않아도, 상기 이송 가이드(115)를 따라 분리기(140)에 의해 회전되는 폐비닐이 배출구측 단부로 이송되어 폐비닐이 배출구(111b)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폐비닐의 절단은 폐비닐이 투과부(114)에 위치될 경우 상기 분리기(140)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관한 일 예로,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커터(145)의 절단날은 투과부(114)와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커터(145)에 의해 폐비닐이 절단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시된 예에서, D2는 회전축(141)을 중심으로 투과부(114)의 길이방향 단부까지의 거리이고, D3는 회전축(141)을 중심으로 투과부(114)의 길이방향 중앙부까지의 거리이다. 한편, 회전축의 중심으로부터 커터(145)의 단부까지 거리는 D2보다 짧게 형성된다. 그리고, D1은 회전축의 중심으로부터 제1 수용부(112)의 상부측 내부 면까지의 거리이다.
이 경우, 상기 D2와 D3의 거리가 같도록 하거나, 또는 D2 보다 D3의 거리가 조금더 길도록 투과부(114)를 배치할 수도 있다.
첫 째, D2와 D3의 거리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경우, 폐비닐은 회전판(144)에 의해 회전되어 투과부(114)의 길이방향 단부의 위치로 이동되면서 절단이 이루어질 수 있다.
둘 째, D2 보다 D3의 거리가 조금더 길게 형성되는 경우, 폐비닐은 회전판(144)에 의해 회전되어 투과부(114)의 길이방향 중앙부의 위치로 이동되면서 절단이 이루어질 수 있다.
첫 번째와 같이, D2와 D3의 거리가 형성되는 경우, 폐비닐이 보다 균일한 크기로 절단될 수 있고, 두 번째와 같이, D2와 D3의 거리가 형성되는 경우, 한번에 많은 양의 폐비닐의 절단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절단이 요구되는 위치에 따라 적절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D2와 D3의 거리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경우, 커터(145)와 투과부(114)는 약 1 내지 6mm 간격을 이루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D2와 D3의 거리가 다르게 형성되는 경우, 커터(145)가 회전에 의해 투과부(114)의 길이 방향 양단부 위치에서 투과부(114)의 길이 방향 중앙부 위치로 갈수록 커터(145)와 투과부(114)의 간격이 점층적으로 좁아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투과부(114)의 길이 방향 양단부 위치에서 커터(145)와 투과부(114)의 간격은 약 65mm 간격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투과부(114)의 길이 방향 중앙부 위치에서 커터(145)와 투과부(114)의 간격은 약 1 내지 6mm 간격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이송 가이드(115)의 돌출되는 정도는 D1과 D2의 거리차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이송되는 폐비닐의 양 및/또는 속도는 분리기(140)의 회전 속도와 더불어, 상기 이송 가이드(115)의 돌출되는 정도 및/또는 경사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분리기(140)에 의해 폐비닐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은 상기 투과부(114)를 통해 투과되어 제1 수용부(112)에서 제2 수용부(113)로 유입된다.
이 경우,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2 수용부(113)로 유입된 이물질의 배출을 위하여 상기 제2 수용부(113)의 내부에는 배출기(16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배출기(160)는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161)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161)의 둘레에 이송 스크류(162)가 구비되어 이물질을 배출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배출기(160)의 회전축(161)은 독립된 제2 동력 발생부(122)에 의해 작동력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이물질 배출구(111c)는 제2 수용부(113)의 배출측 단부에 배치되어 배출기(160)에 의해 이송되는 이물질이 배출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이송부(150)에 의해 분리기(140)로 공급되고, 상기 분리기(140)를 통해 이물질의 분리 또는 절단이 이루어지는 폐비닐에 대하여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한 세척수 공급부(13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세척수 공급부(130)는 상기 분리부(110)에 장착되어 상기 분리부 본체(111) 내부로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세척수 공급부(130)는 세척수가 공급되는 공급관(131)이 폐비닐이 이동하는 상기 분리부 본체(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급관(131)으로부터 복수의 분기관(132)이 분 기되어 상기 공급관(131)과 제1 수용부(112)의 내부를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수용부(112)의 내부에 위치되는 분기관(132)의 단부에는 분사노즐(133)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세척수 공급부(130)는 상기 분리기(140)에 의해 절단 또는 이물질의 분리가 이루어지는 폐비닐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폐비닐로부터 이물질의 분리가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세척수 공급부(130)는 상기 각 분기관(132) 또는 분사노즐(133)이 투입구(111a)에서 배출구(111b) 방향으로 이동되는 폐비닐의 이동위치에 따라 다른 양의 세척수가 분사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의 예로, 세척수의 예비 분사, 세척을 위한 분사 또는 행굼을 위한 분사 등과 같은 방식의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의 세척이 이루어지는 경우, 이물질의 분리(세척)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 세척수가 낭비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도 있다. 즉, 효율적인 세척을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폐비닐 분리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각 실시예들은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 분리장치의 구성에 관한 일 예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 분리장치를 구성하는 분리부의 내부 구성에 관한 일 예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 분리장치를 구성하는 분리부의 내부 구성에 관한 일 예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로 분리기가 생략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 분리장치를 구성하는 분리기의 구성에 관한 다른 일 예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분리기의 일 측면도이다.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분리기의 다른 일 측면도이다.
도 5a는 도 3에 도시된 분리기를 구성하는 커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b는 도 3에 도시된 분리기를 구성하는 회전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는 도 3에 도시된 분리기가 분리부의 제1 수용부에 구비된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b는 커터의 단부와 투과부 간의 거리 및 이송 가이드의 돌출 정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0 ... 분리장치 110 ... 분리부
111 ... 분리부 본체 111a ... 투입구
111b ... 폐비닐 배출구 111c ... 이물질 배출부
120 ... 구동부 130 ... 세척수 공급부
131 ... 공급관 132 ... 분기관
133 ... 분사노즐 140 ... 분리기
141,161 ... 회전축 142,143 ... 지지부
144 ... 회전판 145 ... 커터
150 ... 이송부 151 ... 이송량 조절부
152,162 ... 이송 스크류 160 ... 이물질 배출기

Claims (10)

  1. 폐비닐의 투입 및 배출을 위해 투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되며 투입된 폐비닐이 수용되는 제1수용부, 그리고 폐비닐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의 배출을 위해 배출구가 형성되며 폐비닐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이 수용되는 제2수용부가 구비되는 분리부와;
    상기 제1수용부에 배치되어 폐비닐을 회전시켜 폐비닐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하는 분리기와;
    상기 분리기의 일 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수용부의 투입구 측 영역에 배치되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폐비닐을 분리기 측 영역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이송부와;
    상기 제1수용부 및 제2수용부를 구획하도록 배치되며, 제1수용부에서 폐비닐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이 통과하여 제2수용부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투과부와;
    상기 제2수용부에 배치되어 폐비닐로부터 분리되어 유입된 이물질을 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키는 배출기와;
    상기 분리기 및 배출기의 작동을 위해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기는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결합되어 폐비닐을 회전시키는 복수의 회전판과,
    상기 각 회전판에 구비되어 폐비닐을 절단하는 커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비닐 분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투입구를 통해 유입된 폐비닐을 분리기 측 영역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이송 스크류가 구비되고, 분리기 측 영역으로 이동되는 폐비닐의 양을 조절하기 위하여 이송량 조절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비닐 분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량 조절부는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드럼형태의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송 스크류는 드럼 형태로 이루어지는 이송량 조절부의 외부면에 배치되며, 상기 드럼의 직경 크기에 의해 이동되는 폐비닐의 양이 결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비닐 분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부에는 공급된 폐비닐의 세척을 위한 세척수 공급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비닐 분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 공급부는
    세척수가 공급되는 공급관과;
    상기 공급관과 제1 수용부의 내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분기관과;
    상기 분기관의 단부에 장착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비닐 분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분기관 또는 분사노즐은 폐비닐이 분리기에 의해 이동되는 위치에 따라 다른 양의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폐비닐 분리장치.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는 회전시 투과부의 양단부 위치에서 투과부의 중앙부 위치로 투과부와의 간격이 점층적으로 좁아지도록 배치되어 폐비닐의 절단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비닐 분리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부에는 폐비닐의 이송속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투과부의 일 단부에서 다른 일단부로 연장되고, 투과부와 대면하는 방향에 배치되며, 폐비닐을 배출 방향으로 이송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이송 가이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비닐 분리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기는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구비되는 이송 스크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비닐 분리장치.
KR20090004680U 2009-04-20 2009-04-20 폐비닐 분리장치 KR2004553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04680U KR200455342Y1 (ko) 2009-04-20 2009-04-20 폐비닐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04680U KR200455342Y1 (ko) 2009-04-20 2009-04-20 폐비닐 분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584U KR20100010584U (ko) 2010-10-28
KR200455342Y1 true KR200455342Y1 (ko) 2011-09-01

Family

ID=44203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04680U KR200455342Y1 (ko) 2009-04-20 2009-04-20 폐비닐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534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6631A (ko) * 2017-09-28 2019-04-05 주식회사 동신기공 유기 폐기물 처리장치용 이송장치
KR20200122150A (ko) * 2019-04-17 2020-10-27 박영주 폐비닐을 이용한 펠릿 제조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4415B1 (ko) * 2018-02-23 2018-05-03 김준섭 폐그물 세척장치
KR102104649B1 (ko) * 2019-12-05 2020-04-24 김준섭 폐비닐 세척장치
KR102501560B1 (ko) * 2022-05-09 2023-02-17 박안수 이동식 폐발포수지 파쇄압축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2831A (ja) * 2001-03-26 2002-10-02 Sanko:Kk 生ゴミ等混合物の異質混入物分離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2831A (ja) * 2001-03-26 2002-10-02 Sanko:Kk 生ゴミ等混合物の異質混入物分離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6631A (ko) * 2017-09-28 2019-04-05 주식회사 동신기공 유기 폐기물 처리장치용 이송장치
KR102083791B1 (ko) 2017-09-28 2020-05-27 주식회사 동신기공 유기 폐기물 처리장치용 이송장치
KR20200122150A (ko) * 2019-04-17 2020-10-27 박영주 폐비닐을 이용한 펠릿 제조 시스템
KR102176219B1 (ko) 2019-04-17 2020-11-09 박영주 폐비닐을 이용한 펠릿 제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584U (ko) 2010-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5342Y1 (ko) 폐비닐 분리장치
KR100748704B1 (ko) 폐비닐 세척장치
CN102688879A (zh) 餐厨垃圾预处理系统和方法
KR101070252B1 (ko) 폐비닐 또는 폐어망 세척장치
KR100952903B1 (ko) 원심력을 이용한 폐비닐의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비닐 재생 시스템
KR20110003059A (ko) 폐비닐 재생을 위한 세절기
KR101638182B1 (ko) 폐필름 재활용 시스템
US6568410B1 (en) Machine for the treatment of products made of plastic material of the recyclable type
IT9021201A1 (it) Impianto per il riciclaggio di scarti di materia plastica particolarmente per uso agricolo
KR200416997Y1 (ko) 침전조의 부유물 제거장치
KR101390732B1 (ko) 폐비닐 세척장치에 설치되는 비닐 승강 회전부재
KR101786425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390730B1 (ko) 폐비닐 세척 이동장치
KR20140058739A (ko) 진개물 파쇄장치를 갖는 제진기
US9822043B2 (en) Liquid fertilizer system
KR200450367Y1 (ko) 폐비닐 분리장치
KR20090109763A (ko) 폐비닐 재활용 처리기
CN215477915U (zh) 一种肥料生产清洁装置
KR20100077977A (ko) 축분의 이물질 제거장치
KR200255183Y1 (ko) 음식물 쓰레기 자동 선별기
KR0178454B1 (ko) 폐합성수지필름의 재생방법 및 장치
WO1997018038A1 (en) Processing post-consumer food packaging
JP5717082B2 (ja) 作物選別装置
KR20050080227A (ko) 폐비닐 파쇄장치
KR20110020030A (ko) 폐비닐 세절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3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