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4415B1 - 폐그물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폐그물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4415B1
KR101854415B1 KR1020180021614A KR20180021614A KR101854415B1 KR 101854415 B1 KR101854415 B1 KR 101854415B1 KR 1020180021614 A KR1020180021614 A KR 1020180021614A KR 20180021614 A KR20180021614 A KR 20180021614A KR 101854415 B1 KR101854415 B1 KR 101854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ste net
waste
twist memb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1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섭
Original Assignee
김준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섭 filed Critical 김준섭
Priority to KR1020180021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44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4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4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6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using perforated drums in which the article or material is plac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48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mechanical classifiers
    • B08B1/0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08B1/32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using rotary clean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2017/001Pretreating the materials before recovery
    • B29B2017/0015Washing, rin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그물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폐그물을 재활용하기 위해 폐그물에 부착된 이물질이나 염분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폐그물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폐그물 세척장치는 절단된 폐그물이 유입되는 유입관 및 상기 폐그물이 세척되어 배출되는 배출관이 설치된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유입관 및 상기 배출관이 연결되는 원통형의 세척통과, 세척통을 가로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세척통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는 회전축과, 회전축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교반날개들과, 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와, 세척통의 내부로 세척수를 유입시키기 위한 세척수유입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폐그물 세척장치{cleaning apparatus for waste net}
본 발명은 폐그물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폐그물을 재활용하기 위해 폐그물에 부착된 이물질이나 염분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폐그물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발전과 더불어 해양에는 공장 및 도시 등에서 유입되는 각종 쓰레기와, 하천을 따라 유입되는 각종 생활쓰레기 등으로 인해 심각한 해양오염문제가 부각되고 있다.
특히 연안 양식어장이 증가하면서 그물 등의 어구와 같은 해양 폐그물 역시 해양오염을 가중시키는 주요인이 되어 이들을 수거, 처리하는 데에도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요된다.
폐그물은 해양생태계를 오염시키고 있고 과거에는 이들 해양 폐그물을 수거하여 소각 또는 매립처리하였으나 소각 시 다이옥신과 같은 심각한 대기오염 물질이 다량 발생하고 땅에 매립하는 경우에는 수십년간 썩지 않아 식물 생장에 방해가 되는 등 이러한 처리과정에서 2차적인 환경오염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환경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폐비닐, 폐의류를 포함한 각종 폐자재를 수거하여 재활용하는 방안이 가장 효율적인 수단이나, 폐합성자재를 재활용하는 시스템이 상당히 복잡한 시스템으로 되어 있어 생산성에 심각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특히, 폐그물을 포함한 어촌 폐자재는 일반 폐자재과 달리 바닷물에 의해 염분을 함유하고 있어 이를 제거하지 않을 경우 염분으로 인한 폴리머 산화작용 등으로 성형가공성이 저해되고 압출성형 후에는 제조된 고형연료에 균열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어 염분제거를 위한 탈염작업이 요구된다.
그리고 어망 등의 폐그물은 그 화학적, 물성적 수명을 다하여 못쓰게 되는 경우는 거의 없으며, 조업중 유실되거나 어구 전체중 일부가 파손되어 못쓰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폐그물은 일반 쓰레기가 아니라 산업쓰레기로 분류되어 있다. 따라서 어항마다 일정한 수집장소를 지정하여 모은 후 산업폐기물 수집업체에 의뢰하여 폐기하고 있는 실정이나 폐그물의 친환경적 처리와 자원재활용 측면에서의 처리 방안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폐그물을 세척 및 절단하고, 세척 절단된 원료를 용융시켜 고형연료(펠렛)화 하여 재활용하는 방안이 각광받고 있는 실정으로, 상기와 같은 용융과정에 앞서 폐그물의 이물질과 염분을 제거하기 위한 세척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85043호에는 개선된 세척유닛을 갖는 폐그물 분쇄 세척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폐그물 분쇄 세척장치는 원통형 드럼의 내부에서 회전하는 회전축의 둘레에 다수의 타격툴을 형성하되, 각각의 타격툴이 충격과 1차 절단과 2차 절단 및 두들김의 수행이 가능하도록 3개의 유형으로 구분되게 구성함으로써, 투입된 원료를 충격에 의한 이물질의 제거와 1차 절단에 의한 절단과 2차 절단 및 타격에 의한 미세 분쇄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하지만, 종래의 폐그물 분쇄 세척장치는 분쇄와 세척을 동시에 진행하므로 세척기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85043호: 개선된 세척유닛을 갖는 폐그물 분쇄 세척장치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잘게 절단한 그물을 내부로 투입하여 세척수와 접촉효율을 높여 세척효과가 우수한 폐그물 세척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폐그물 세척장치는 절단된 폐그물이 유입되는 유입관 및 상기 폐그물이 세척되어 배출되는 배출관이 설치된 하우징과;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유입관 및 상기 배출관이 연결되는 원통형의 세척통과; 상기 세척통을 가로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세척통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교반날개들과;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와; 상기 세척통의 내부로 세척수를 유입시키기 위한 세척수유입부;를 구비한다.
상기 교반날개는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의 바깥 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한쌍의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 사이에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양단부가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고정되는 블레이드를 구비한다.
상기 회전축의 회전시 상기 블레이드의 이동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블레이드에는 다수의 통수홀들이 형성된다.
상기 블레이드는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사각판이 비틀려 있는 형태를 갖는 제 1트위스트부재와, 상기 제 1트위스트부재와 이격되어 하방에 배치되며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사각판이 비틀려 있는 형태를 갖는 제 2트위스트부재로 구비되고, 상기 제 1트위스트부재와 상기 제 2트위스트부재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비틀리게 형성된다.
상기 세척통은 세척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다수의 유통홀들이 형성된 반원통형의 하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반원통형의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의 내측면에 나선형의 궤적을 따라 형성되는 나선깃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몸체는 하부에서 상부로 진행할수록 반지름이 점진적으로 커지도록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미리 절단된 폐그물을 이용함으로써 세척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회전축의 주위에 설치된 다수의 교반날개에 의해 폐그물의 세척효과를 높일 수 있고, 세척통의 내측에 형성된 나선깃에 의해 폐그물을 점진적으로 이동시키므로 세척된 폐그물의 배출이 매우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폐그물 세척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요부를 보여주는 절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폐그물 세척장치에 적용된 요부를 발췌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폐그물 세척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폐그물 세척장치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는 원통형의 세척통(20)과, 세척통(20)을 가로방향으로 관통하여 세척통(20)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는 회전축(30)과, 회전축(30)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교반날개들(40)과, 회전축(3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50)와, 세척통(20)의 내부로 세척수를 유입시키기 위한 세척수유입부(60)를 구비한다.
하우징(10)은 세척통(20)을 감싸는 것으로서, 베이스프레임(5) 위에 설치된다. 하우징(10)은 다수의 금속패널들을 조립하여 만들 수 있다.
하우징(10)에는 유입관(11)과 배출관(15)이 설치된다. 도시된 예에서 유입관(11)은 하우징(10)의 좌측 상부에 설치된다. 유입관(11)으로 잘게 절단된 폐그물이 유입된다. 유입관(11)의 하부는 세척통(20)과 연결된다. 따라서 유입관(11)으로 절단된 폐그물을 투입하면 폐그물은 세척통(20)의 내부로 유입된다.
배출관(15)은 도시된 예에서 하우징(10)의 우측에 설치된다. 배출관(15)은 하우징(10)의 후면방향으로 연장된다. 세척통(20)에서 세척된 폐그물은 배출관(1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하우징(10)의 상부에는 세척수유입부(60)가 설치된다. 세척수유입부(60)는 세척통(20)과 연결되어 세척수를 세척통(20)의 내부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세척수유입부(60)는 세척수가 공급되는 메인공급관(61)과, 메인공급관(61)으로부터 다수가 분기되어 세척통(20)의 일측에서부터 타측까지 일정 간격으로 연결되는 서브공급관들(63)을 구비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메인공급관(21)은 세척수저장탱크와 연결될 수 있다. 서브공급관들(63)은 메인공급관(61)에서 다수가 분기된다. 서브공급관들(63)은 유입관(11)과 배출관(15) 사이에 위치한다.
서브공급관들(63)은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설치된다. 서버공급관들(63)은 하우징(10)의 상부를 관통하여 세척통(20)과 연결된다. 세척수저장탱크에 저장된 세척수는 메인공급관(61)으로 유입되고, 메인공급관(61)으로 유입된 세척수는 서브공급관들(63)을 통해 다수의 경로로 분산되어 세척통(20)의 내부로 유입된다.
도시된 예에서 서브공급관들(63)은 직경이 모두 동일하게 형성되지만, 이와 달리 서브공급관들(63)은 직경이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가령, 우측에서부터 제 1서브공급관(65), 제 2서브공급관(66), 제 3서브공급관(67), 제 4서브공급관(68), 제 5서브공급관(69)이라고 하면 제 1서브공급관(65)의 직경이 가장 크고, 제 5서브공급관(69)의 직경이 가장 작다. 그리고 제 2서브공급관(66)은 제 1서브공급관(65)보다 직경이 더 작고, 제 3서브공급관(67)은 제 2서브공급관(66)보다 직경이 더 작고, 제 4서브공급관(68)은 제 3서브공급관(67)보다 직경이 더 작고, 제 5서브공급관(69)은 제 4서브공급관(68)보다 직경이 더 작다. 이와 같이 제 1서브공급관(65)에서 제 5서브공급관(69) 방향으로 진행할수록 서브공급관들(63)의 직경은 점차 작아진다. 이러한 서브공급관들(63)의 직경 구조에 의해 세척통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서브공급관들(63)을 통해 유입되는 세척수의 양이 점차 적어지면서 배출관(15) 방향으로 폐그물의 이동을 촉진시킬 수 있다.
하우징(10)의 하부에는 드레인관(17)이 설치된다. 폐그물의 세척 후 드레인관(17)을 통해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세척통(20)은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된다. 세척통(20)은 하우징(10)의 바닥판(19)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세척통(20)은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세척통(20)은 눕혀져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세척통(20)은 반원통형의 하부몸체(21)와, 반원통형의 상부몸체(25)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몸체(21)에는 세척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다수의 유통홀들(23)이 형성된다. 이러한 하부몸체(21)는 와이어메쉬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몸체(25)는 하부몸체(21)의 상부에 결합된다. 상부몸체(25)와 하부몸체(21)가 결합되어 원통형의 세척통을 이룬다. 상부몸체(25)는 하부몸체(21)와 달리 유통홀들이 형성되지 않는다.
상부몸체(25)의 일측은 유입관(11)과 연결되고, 타측은 배출관(15)과 연결된다. 그리고 유입관(11)과 배출관(15) 사이에 다수의 서브공급관들(63)이 위치하여 상부몸체(25)에 연결된다.
도시된 예에서 상부몸체(21)와 하부몸체(25)는 단면 형상이 다르다. 하부몸체(21)는 반경이 동일한 반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반면에 상부몸체(25)는 반경이 동일하지 않은 반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상부몸체(25)는 단면이 타원형이다.
상부몸체(25)는 하부에서 상부로 진행할수록 반지름이 점진적으로 커진다. 즉, 회전축(30)의 회전중심에서 상부몸체의 내측면까지의 거리는 위치마다 다르다. 상부몸체(25)의 하부 위치에서는 회전축(30)의 회전중심에서 상부몸체(25)의 내측면까지의 거리가 짧고, 상부몸체(25)의 상부 위치에서는 회전축(30)의 회전중심에서 상부몸체(25)의 내측면까지의 거리가 길다.
상부몸체(25)의 내측면에는 나선깃(27)이 형성된다. 나선깃(27)은 상부몸체(25)의 내측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된다. 나선깃(27)의 돌출길이는 상부몸체(25)의 하부에서 상부로 진행할수록 점진적으로 커진다.
나선깃(27)은 나선형의 궤적을 따라 형성된다. 즉, 세척통(20)의 내측면과 접하는 나선형의 궤적을 그린다고 가정할 경우, 상부몸체(25)에 그려지는 나선형의 궤적에 나선깃(27)이 형성된다. 따라서 일정각도로 비틀어지는 나선깃(27)이 다수가 형성된다. 이러한 나선깃(27)에 의해 회전축(30)이 회전하면 세척통(20)의 폐그물은 배출관(15)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회전축(30)은 세척통(20)을 가로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회전축(30)은 세척통(20)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된다. 회전축(30)의 일단은 하우징(10)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고, 회전축(30)의 타단은 하우징(10)의 타측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회전축(3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50)는 베이스프레임(5)에 설치되는 전기모터(51)와, 전기모터(51)의 구동축에 결합된 구동풀리(53)와, 회전축(30)의 일단에 결합된 종동풀리(55)와, 구동풀리(53)와 종동풀리(53)를 연결하는 벨트(57)로 이루어진다.
회전축(30)에는 일정간격으로 교반날개들(40)이 설치된다.
교반날개(40)는 회전축(3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회전축(30)의 바깥 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한쌍의 지지플레이트(41)(42)와, 지지플레이트(41)(42) 사이에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양단부가 지지플레이트(41)(42)에 고정되는 블레이드(43)를 구비한다.
도시된 예에서 블레이드(43)는 사각판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블레이드는 회전축(30)에 회전에 의해 세척수를 교반하여 폐그물을 세척한다.
회전축(30)의 회전시 블레이드(43)의 이동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 블레이드(43)에는 다수의 통수홀들(45)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예에서 하나의 블레이드(43)에 8개의 통수홀들(65)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교반날개(40)가 회전할 때 통수홀(65)을 통해 물이 통과하므로 물과의 접촉저항을 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블레이드의 모습을 도 5에 도시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블레이드는 제 1트위스트부재(70) 및 제 2트위스트부재(75)로 구비된다.
제 1트위스트부재(70) 및 제 2트위스트부재(75)는 한쌍의 지지플레이트(41) (42)사이에서 상하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설명의 편의상 좌측의 지지플레이트를 좌측지지플레이트(41)라 하고, 우측의 지지플레이트를 우측지지플레이트(42)라 한다.
제 1트위스트부재(70)는 상부에 배치되고, 제 2트위스트부재(75)는 하부에 배치된다. 제 1트위스트부재(70)와 제 2트위스트부재(75)와 일정거리 이격된다.
제 1트위스트부재(70)는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사각판이 일정 방향으로 비틀려 있는 형태를 갖는다. 가령, 제 1트위스트부재(70)는 90도 각도로 비틀어진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제 1트위스트부재(70)는 좌측지지플레이트(41)에서 우측지지플레이트(42) 방향으로 진행시 시계 방향으로 비틀어진다.
그리고 제 2트위스트부재(75)는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사각판이 비틀려 있는 형태를 갖는다. 제 2트위스트부재(75)는 제 1트위스트부재(70)와 반대방향으로 비틀리게 형성된다. 이러한 제 2트위스트부재(75)는 좌측지지플레이트(41)에서 우측지지플레이트(42) 방향으로 진행시 반시계 방향으로 비틀어진다.
이와 같이 제 1트위스트부재(70)와 제 2트위스트부재(75)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비틀리게 형성됨으로써 폐그물의 세척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회전축(30)의 회전시 제 1트위스트부재(70)의 주위에서는 세척수가 어느 한 방향으로 선회류를 형성하고, 제 2트위스트부재(75)의 주위에서는 반대 방향의 선회류를 형성한다. 서로 반대 방향의 선회류 흐름이 제 1트위스트부재(70)와 제 2트위스트부재(75) 사이에서 충돌하면서 격렬한 난류가 형성되어 폐그물의 세척효과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제 1 및 제 2트위스트부재(70)(75)에는 이동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 다수의 통수홀들(71)(77)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달리 제 1 및 제 2트위스트부재에는 통수홀들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하우징 11: 유입관
15: 배출관 20: 세척통
21: 하부몸체 25: 상부몸체
27: 나선깃 30: 회전축
40: 교반날개 50: 구동부
60: 세척수유입부

Claims (5)

  1. 절단된 폐그물이 유입되는 유입관 및 상기 폐그물이 세척되어 배출되는 배출관이 설치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유입관 및 상기 배출관이 연결되는 원통형의 세척통과;
    상기 세척통을 가로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세척통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교반날개들과;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와;
    상기 세척통의 내부로 세척수를 유입시키기 위한 세척수유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교반날개는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의 바깥 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한쌍의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 사이에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양단부가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고정되는 블레이드를 구비하며,
    상기 블레이드는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사각판이 비틀려 있는 형태를 갖는 제 1트위스트부재와, 상기 제 1트위스트부재와 이격되어 하방에 배치되며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사각판이 비틀려 있는 형태를 갖는 제 2트위스트부재로 구비되고,
    상기 제 1트위스트부재와 상기 제 2트위스트부재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비틀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그물 세척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통은 세척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다수의 유통홀들이 형성된 반원통형의 하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반원통형의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의 내측면에 나선형의 궤적을 따라 형성되는 나선깃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몸체는 하부에서 상부로 진행할수록 반지름이 점진적으로 커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그물 세척장치.

KR1020180021614A 2018-02-23 2018-02-23 폐그물 세척장치 KR101854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614A KR101854415B1 (ko) 2018-02-23 2018-02-23 폐그물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614A KR101854415B1 (ko) 2018-02-23 2018-02-23 폐그물 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4415B1 true KR101854415B1 (ko) 2018-05-03

Family

ID=62244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1614A KR101854415B1 (ko) 2018-02-23 2018-02-23 폐그물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441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78313A (zh) * 2018-09-02 2018-12-11 临武县华湘再生资源回收有限公司 从再生纸厂废渣中回收纸浆的设备
KR102104649B1 (ko) * 2019-12-05 2020-04-24 김준섭 폐비닐 세척장치
CN111361048A (zh) * 2020-04-08 2020-07-03 秦长枝 一种圆珠笔芯回收预处理装置
CN111468468A (zh) * 2020-04-30 2020-07-31 童家玮 一种建筑防护网清洗设备及使用方法
CN112404009A (zh) * 2020-11-26 2021-02-26 潮地(杭州)餐饮娱乐管理有限公司 一种聚氯乙烯再生预处理设备
KR102395317B1 (ko) 2021-04-22 2022-05-09 배덕관 전처리용 폐어망 세척장치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9746B1 (ko) * 2005-09-16 2007-02-07 지앤테크 주식회사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교반장치
KR100748704B1 (ko) * 2006-07-18 2007-08-13 주식회사 청일화학 폐비닐 세척장치
KR20080034867A (ko) * 2008-04-02 2008-04-22 안성호 폐비닐 세척장치
KR20100010584U (ko) * 2009-04-20 2010-10-28 길현익 폐비닐 분리장치
KR20100117846A (ko) * 2009-04-27 2010-11-04 이정호 폐비닐 세척장치
KR101070252B1 (ko) * 2011-08-23 2011-10-06 주식회사 엔에스알 폐비닐 또는 폐어망 세척장치
JP2014087770A (ja) * 2012-10-31 2014-05-15 Toho Tenax Co Ltd 撹拌機
JP5670707B2 (ja) * 2010-11-17 2015-02-18 株式会社御池鐵工所 廃棄物の破砕分別装置
KR101508605B1 (ko) * 2014-09-19 2015-04-08 김유학 교반기용 임펠러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용 교반기
CN106582354A (zh) * 2016-12-27 2017-04-26 郑州吉音动漫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自洗装置的缓冲型化工搅拌设备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9746B1 (ko) * 2005-09-16 2007-02-07 지앤테크 주식회사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교반장치
KR100748704B1 (ko) * 2006-07-18 2007-08-13 주식회사 청일화학 폐비닐 세척장치
KR20080034867A (ko) * 2008-04-02 2008-04-22 안성호 폐비닐 세척장치
KR20100010584U (ko) * 2009-04-20 2010-10-28 길현익 폐비닐 분리장치
KR20100117846A (ko) * 2009-04-27 2010-11-04 이정호 폐비닐 세척장치
JP5670707B2 (ja) * 2010-11-17 2015-02-18 株式会社御池鐵工所 廃棄物の破砕分別装置
KR101070252B1 (ko) * 2011-08-23 2011-10-06 주식회사 엔에스알 폐비닐 또는 폐어망 세척장치
JP2014087770A (ja) * 2012-10-31 2014-05-15 Toho Tenax Co Ltd 撹拌機
KR101508605B1 (ko) * 2014-09-19 2015-04-08 김유학 교반기용 임펠러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용 교반기
CN106582354A (zh) * 2016-12-27 2017-04-26 郑州吉音动漫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自洗装置的缓冲型化工搅拌设备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특허공보 특허 제 5670707호(2015.02.18.) 1부. *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78313A (zh) * 2018-09-02 2018-12-11 临武县华湘再生资源回收有限公司 从再生纸厂废渣中回收纸浆的设备
KR102104649B1 (ko) * 2019-12-05 2020-04-24 김준섭 폐비닐 세척장치
CN111361048A (zh) * 2020-04-08 2020-07-03 秦长枝 一种圆珠笔芯回收预处理装置
CN111468468A (zh) * 2020-04-30 2020-07-31 童家玮 一种建筑防护网清洗设备及使用方法
CN111468468B (zh) * 2020-04-30 2023-11-10 童家玮 一种建筑防护网清洗设备及使用方法
CN112404009A (zh) * 2020-11-26 2021-02-26 潮地(杭州)餐饮娱乐管理有限公司 一种聚氯乙烯再生预处理设备
CN112404009B (zh) * 2020-11-26 2022-04-01 湖南中塑新能源有限公司 一种聚氯乙烯再生预处理设备
KR102395317B1 (ko) 2021-04-22 2022-05-09 배덕관 전처리용 폐어망 세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4415B1 (ko) 폐그물 세척장치
CA1121740A (en) Separation of solids from liquids by screening
CN109940786B (zh) 一种白色垃圾回收设备
CN107381872B (zh) 一种工业污水高效处理装置
CN106512489B (zh) 石材切割污水资源化处理系统
KR20170132524A (ko) 오염토양을 파쇄 및 선별하는 습식 드럼 파쇄장치
CN111153552B (zh) 养殖污水处理装置
CN108751637B (zh) 污泥中杂物清理装置
CN109322295A (zh) 一种有利于环境保护的水上垃圾处理装置
KR102104649B1 (ko) 폐비닐 세척장치
CN211488106U (zh) 一种用于垃圾分类的分离装置
CN216404226U (zh) 一体化飞灰水洗脱盐装置
CN217627753U (zh) 一种污水处理用叠螺机
KR102211491B1 (ko) 조류 제거 선박
CN204566463U (zh) 塑料碎片处理机心轴结构
CN217699559U (zh) 一种垃圾分选设备
CN214653857U (zh) 一种废旧塑料颗粒加工废水处理工艺设备
CN210525576U (zh) 一种废塑料清洗破碎设备
KR100428498B1 (ko) 이물질 분리장치
KR100462979B1 (ko) 건축폐기물 세척 및 선별장치
KR101576805B1 (ko) 폐비닐 세척장치
CN208305474U (zh) 一种再生塑料回收利用装置
CN213771798U (zh) 一种高效节能的油泥处理装置
KR200175678Y1 (ko) 건축용 모래의 선별 및 세척장치
CN211753104U (zh) 一种涡旋式排污前置过滤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