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9763A - 폐비닐 재활용 처리기 - Google Patents

폐비닐 재활용 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9763A
KR20090109763A KR20080035153A KR20080035153A KR20090109763A KR 20090109763 A KR20090109763 A KR 20090109763A KR 20080035153 A KR20080035153 A KR 20080035153A KR 20080035153 A KR20080035153 A KR 20080035153A KR 20090109763 A KR20090109763 A KR 200901097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vinyl
unit
guide roller
washing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35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형갑
용기 김
Original Assignee
태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강복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강복진 filed Critical 태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80035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09763A/ko
Publication of KR20090109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97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5/00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not covered by groups B29B7/00 - B29B13/00
    • B29B15/02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not covered by groups B29B7/00 - B29B13/00 of crude rubber, gutta-percha, or similar substances
    • B29B15/06Wash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29B2017/0213Specific separating techniques
    • B29B2017/0286Cleaning means used for separation
    • B29B2017/0289Washing the materials in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7/00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L2007/008Wide strips, e.g. films, web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비닐 재활용 처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거해 놓은 폐비닐 중에 주로 농업용으로 사용하고 난 후, 폐기되는 폐비닐을 녹여서 재생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폐비닐을 세척하고 절단장치로 이송하는 전반적인 작업을 일괄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특히 폐비닐을 세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폐비닐 처리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폐비닐 재활용 처리기는 폐비닐을 세척 및 절단장치로 이송하기 위한 콘베이어와 폐비닐의 이송량에 변화에 따른 원만한 이송을 위해서 텐션장치가 구비된 안내롤러와 폐비닐에 묻어 있는 흙과 같은 이물질을 세척하기 위한 1차 세척노즐과 2차 세척노즐, 그리고 특히 폐비닐을 길게 절단하는 동시에 다시 잘게 절단할 수 있도록 절단날들과 그 사이에 칼퀴들을 설치하여 절단날보다 칼퀴가 더 빠른 속도로 회전할 수 있게 절단장치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에 의한 폐비닐 재활용 처리기에 의하면, 콘베이어 및 안내롤러에 의해서 폐비닐을 신속하고 확실하게 이송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송작업시 편리함을 제공하고, 인건비도 대폭 절감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으며,
특히, 1차 세척 및 2차 세척으로 흙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여 깨끗한 상태로 만들어주고 1, 2차 절단으로 아주 잘게 절단하여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재생할 수 있는 양질의 폐비닐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폐비닐로 재생되는 제품에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 2차적인 효과도 기대할 수 있는 발명이다.
Figure P1020080035153
콘베이어부, 안내판, 갈고리, 안내롤러, 축핀, 절단장치부

Description

폐비닐 재활용 처리기{Waste vinyl recycling processor}
본 발명은 폐비닐 재활용 처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거해 놓은 폐비닐 중에 주로 농업용으로 사용하고 난 후, 폐기되는 폐비닐을 녹여서 재생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폐비닐을 세척하고 절단장치로 이송하는 전반적인 작업을 일괄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특히 폐비닐을 세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폐비닐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비닐을 소기의 목적으로 사용하고 폐기되는 폐비닐 중에는 생활 쓰레기에 포함되어 배출되는 각종의 폐비닐이 있고, 또 농가에서 농사를 짓고 난 후, 대량으로 배출되는 폐비닐로 크게 나누어 볼 수 있다.
주로 농가에서 사용하는 비닐은 내구성이 매우 약하여 시간이 지나면 수명을 다하게 되고, 또 강한 바람이나, 기타 외부적 요인 등에 의해서 쉽게 찢어지기 때문에 비닐하우스를 지을 때 사용한 비닐은 그 기능을 상실하는 순간 폐비닐이 되어 폐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폐기되는 폐비닐은 비닐하우스 내부에서 각종 작물을 재배할 때 사용한 것이 있고, 또한 노지에서 작물을 재배할 때에도 잡초 번식과 보온을 위하 여 비닐을 사용하기 때문에 매년 대단히 많은 비닐이 사용되고 또 그만큼 많은 양의 비닐이 폐비닐로 폐기된다.
그런데, 노동력 부족한 농촌에서는 농사용으로 사용한 후, 걷어낸 폐비닐을 즉시 처리하지 못하고 마을 입구나 외진 장소에 그대로 방치하거나 농토에 매립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어 폐비닐로 처리에 고심을 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상기와 같이 농토 주변에 방치된 폐비닐로 인해 농토 주변 환경이 매우 지저분해질 뿐만 아니라, 폐비닐이 장기간 방치될 경우 농경지에 묻히면서 토양 및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도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농업용으로 사용했던 폐비닐은 그 폭이 넓고 길이가 수십 미터에 달하기 때문에 폐비닐을 처리하는 작업이 상당히 어렵고, 또 많은 노동력을 요하기 때문에 폐비닐 수거 작업의 효율성이 매우 낮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폐비닐 재활용 처리기는 농업용으로 사용한 길이가 긴 폐비닐 녹여서 재생할 수 있도록 세척 및 절단장치로 신속하게 이송할 수 있도록 하여 폐비닐을 운반하고 세절과 배출에 따른 전반적인 처리 작업을 일괄적으로 처리하여 그에 따른 작업성 향상과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폐비닐을 잘게 절단할 수 있게 절단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잘게 절단된 폐비닐을 만들 수 있고, 또 흙과 같은 이물질을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폐비 닐 재생할 수 있는 여건을 충족시켜 보다 많은 폐비닐을 재생할 수 있도록 목적하는 바가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폐비닐 재활용 처리기는 폐비닐을 세척 및 절단장치로 이송하기 위한 콘베이어와 폐비닐의 이송량에 변화에 따른 원만한 이송을 위해서 텐션장치가 구비된 안내롤러와 폐비닐에 묻어 있는 흙과 같은 이물질을 세척하기 위한 1차 세척노즐과 2차 세척노즐, 그리고 특히 폐비닐을 길게 절단하는 동시에 다시 잘게 절단할 수 있도록 절단날들과 그 사이에 칼퀴들을 설치하여 절단날보다 칼퀴가 더 빠른 속도로 회전할 수 있게 절단장치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폐비닐 재활용 처리기에 의하면, 콘베이어 및 안내롤러에 의해서 폐비닐을 신속하고 확실하게 이송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송작업시 편리함을 제공하고, 인건비도 대폭 절감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으며,
특히, 1차 세척 및 2차 세척으로 흙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여 깨끗한 상태로 만들어주고 1, 2차 절단으로 아주 잘게 절단하여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재생할 수 있는 양질의 폐비닐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폐비닐로 재생되는 제품에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 2차적인 효과도 기대할 수 있는 발명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의 폐비닐 재활용 처리기에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폐비닐 처리기의 전체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콘베이어부를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도 2의 요부를 확대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안내롤러부를 보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폐비닐 절단장치부의 요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절단날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절단날의 상호 작용을 보이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폐비닐 재활용 처리기는 크게 폐비닐을 이송하기 위한 콘베이어부(1)와 안내롤러부(20)와 1차 세척부(30)와 2차 세척 및 폐비닐 절단장치부(40)로 구성된다.
상기 콘베이어부(1)는 폐비닐을 지면에서 폐비닐 처리기 본체의 상부에 안내롤러부(20)의 인근까지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콘베이어부를 구성하는 안내판(2) 사이로 돌설되어 폐비닐을 끌고 올라갈 수 있게 갈고리(3)들이 체인(4)에 연결되며,
상기 안내롤러부(20)는 복수개의 안내롤러(21)를 축핀(22)에 움직이도록 설치된 로드(23)의 하단에 각각 설치하고 상단에는 스프링(24)을 연결하여 안내롤러가 폐비닐의 부피에 따라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구성하며,
상기 세척부(30)는 세척수가 살수되는 1차 세척노즐(31)과 안내롤러(32)로 구성되고, 그 하부에 2차 세척을 위한 2차 세척노즐(33)이 구비되며,
상기 폐비닐 절단장치부(40)는 금강석 절단날(41)들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원동축(42)에 고정되고, 금강석 절단날(41)들 사이에는 베어링(44)에 의해서 원동축(42)에 움직이게 보스(45)들을 설치하며,
상기 보스(45)에 형성된 벨트홈(46)에는 V벨트(47)를 설치하고 칼퀴(43)들을 설치하여 상기 원동축(42)의 회전수보다 더 빠른 속도로 회전할 수 있게 구성하였다.
도면의 미설명부호 50은 폐비닐, 51은 절단된 폐비닐 배출을 위한 콘베이어, 52는 모터를 표시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폐비닐 재활용 처리기에 관한 작용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의한 폐비닐 재활용 처리기를 구성하는 콘베이어부(1)의 하단에 폐비닐(50)을 놓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폐비닐 재활용 처리기를 작동시켜주면, 콘베이어부(1)를 구성하는 갈고리(3)가 체인(4)에 의해서 이동하게 되므로 갈고리(3)가 폐비닐(50)을 끌고 올라간다.
상기와 같은 작용에 의해서 갈고리에 끌려 올라간 폐비닐은 안내롤러부(20)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안내롤(21)에 의해서 다시 이동하는데, 이때 폐비닐의 부피가 일정하지 않아도 안내롤러(21)가 로드(23) 및 축핀(22)에 의해서 움직이도록 설치되고 상단에 설치된 스프링(24)의 작용으로 폐비닐의 부피에 따라 상하로 움직이기 때문에 폐비닐이 뭉쳐진 경우에도 어느 정도 가압하면서 이동시켜준다.
상기 과정을 거쳐서 세척부(30)로 진입되면, 안내롤러(32)에 의해서 하부로 이동하게 되면서 1차 세척노즐(31)과 그 하부에 2차 세척노즐(33)에서 살수되는 물에 의해서 흙과 같은 이물질이 세척된다.
그리고, 소정의 간격을 두고 원동축(42)에 고정되어 회전되는 금강석 절단날(41)들에 의해서 소정의 길이로 절단되는 동시에 금강석 절단날(41)들 사이에 베어링(44)에 의해서 원동축(42)에 움직이게 보스(45)들에 고정된 칼퀴(43)들이 금강석 절단날(41)들 보다 더 빠른 속도로 회전하면서 폐비닐을 좀 더 잘게 만들어주면 콘베이어(51)에 낙하되고 배출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폐비닐 처리기의 전체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콘베이어를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도 2의 요부를 확대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안내롤러부를 보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폐비닐 절단장치의 요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절단날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절단날의 상호 작용을 보이기 위한 단면도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콘베이어부
2: 안내판
3: 갈고리
20: 안내롤러부
21,32: 안내롤러
22: 축핀
24: 스프링
30: 세척부
31,33: 세척노즐
40: 절단장치부
41: 절단날
42: 원동축
43: 칼퀴
45: 보스
47: V벨트

Claims (1)

  1. 폐비닐을 지면에서 안내롤러부(20)의 인근까지 이송시킬 수 있도록 안내판(1)사이로 돌설된 갈고리(3)들이 체인(4)에 연결된 콘베이어부(1)와,
    복수개의 안내롤(21)이 축핀(22)에 움직이도록 설치된 로드(23)의 하단에 설치되고 상단에는 스프링(24)을 연결하여 안내롤러가 폐비닐의 부피에 따라 움직일 수 있게 구성된 안내롤러부(2)와,
    폐비닐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가 살수되는 1차 세척노즐(31)과 안내롤러(32)로 구성되고, 그 하부에 2차 세척을 위한 2차 세척노즐(33)이 구비된 세척부(30)와,
    폐비닐을 절단하기 위한 금강석 절단날(41)들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원동축(42)에 고정되고, 금강석 절단날(41)들 사이에는 베어링(44)에 의해서 원동축(42)에 움직이게 보스(45)들을 설치하며,
    상기 보스에 형성된 벨트홈(46)에는 V벨트(47)를 설치하고 칼퀴(43)들을 설치하여 원동축(42)의 회전수보다 더 빠른 속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절단장치부(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비닐 재활용 처리기.
KR20080035153A 2008-04-16 2008-04-16 폐비닐 재활용 처리기 KR200901097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35153A KR20090109763A (ko) 2008-04-16 2008-04-16 폐비닐 재활용 처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35153A KR20090109763A (ko) 2008-04-16 2008-04-16 폐비닐 재활용 처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9763A true KR20090109763A (ko) 2009-10-21

Family

ID=41537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35153A KR20090109763A (ko) 2008-04-16 2008-04-16 폐비닐 재활용 처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0976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22779A (zh) * 2019-01-21 2019-05-31 王春桃 一种塑钢门窗框架回收用分解设备
CN110421736A (zh) * 2019-09-09 2019-11-08 盛时永 一种二次回料塑料造粒制备方法
KR102088638B1 (ko) * 2019-08-16 2020-04-24 주식회사 사람과기술 폐차광막 재생 시스템
CN115735439A (zh) * 2022-12-30 2023-03-07 河南鸣皋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农用地膜回收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22779A (zh) * 2019-01-21 2019-05-31 王春桃 一种塑钢门窗框架回收用分解设备
CN109822779B (zh) * 2019-01-21 2021-04-23 新昌县万才建材科技有限公司 一种塑钢门窗框架回收用分解设备
KR102088638B1 (ko) * 2019-08-16 2020-04-24 주식회사 사람과기술 폐차광막 재생 시스템
CN110421736A (zh) * 2019-09-09 2019-11-08 盛时永 一种二次回料塑料造粒制备方法
CN115735439A (zh) * 2022-12-30 2023-03-07 河南鸣皋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农用地膜回收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0841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produce
KR20090109763A (ko) 폐비닐 재활용 처리기
KR20120012925A (ko) 정치어망 청소장치
KR101904650B1 (ko) 패각류 자동 세척장치
KR101070252B1 (ko) 폐비닐 또는 폐어망 세척장치
KR101390732B1 (ko) 폐비닐 세척장치에 설치되는 비닐 승강 회전부재
KR20100007034A (ko) 폐비닐 재활용 처리기
CN106072103B (zh) 一种适用于高杆白菜的智能洗菜切菜一体机
KR100922300B1 (ko) 폐비닐 재활용을 위한 탈수 및 건조 장치
CN218649971U (zh) 一种肉糜制品斩拌机
CN213320467U (zh) 一种鱿鱼深加工用切圈切条机
CN203482873U (zh) 装有刷毛的螺旋桨叶式清洗机
KR20100010584U (ko) 폐비닐 분리장치
KR100828004B1 (ko) 전통김치 가공을 위한 복합 자동화 장치
US669234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animal intestines
CN214207019U (zh) 一种贝类分选清洗装置
CN211569463U (zh) 一种花生输送装置
KR20120138859A (ko) 그물 세척장치
KR200255183Y1 (ko) 음식물 쓰레기 자동 선별기
KR20110020030A (ko) 폐비닐 세절기
KR101035242B1 (ko) 폐비닐 이송장치
CN213316080U (zh) 一种草腐菌深加工用菌菇分类筛选收集装置
GB2349804A (en) A washer for root crops and tubers
CN215224632U (zh) 酸菜自动清洗切割系统
CN220343469U (zh) 一种冻鱼片加工用消毒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