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6631A - 유기 폐기물 처리장치용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유기 폐기물 처리장치용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6631A
KR20190036631A KR1020170125762A KR20170125762A KR20190036631A KR 20190036631 A KR20190036631 A KR 20190036631A KR 1020170125762 A KR1020170125762 A KR 1020170125762A KR 20170125762 A KR20170125762 A KR 20170125762A KR 20190036631 A KR20190036631 A KR 201900366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ganic waste
casing
along
rotary
screw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5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3791B1 (ko
Inventor
홍길상
이종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신기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신기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신기공
Priority to KR1020170125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3791B1/ko
Publication of KR20190036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6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3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379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4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08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5Screw-conveyors
    • B65G2812/0577Screw-conveyors for bulk material
    • B65G2812/0594Screw-conveyors for bulk material with parallel scre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 폐기물 처리장치용 이송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유기 폐기물을 이송하면서 유기 폐기물을 잘게 파쇄할 수 있는 유기 폐기물 처리장치용 이송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폐물 처리장치용 이송장치는 케이싱과, 이송수단 및 파쇄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싱은 일측에 유입구와, 타측에 유출구가 형성된다.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일측에서 상기 타측을 따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장착된 제1회전축과, 상기 제1회전축이 회전하면 상기 케이싱 내부에 수용된 유기 폐기물을 상기 일측에서 상기 타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을 따라 축방향으로 결합된 스크류와, 원주면을 따라 톱니날이 형성된 원형의 절삭날을 상기 톱니날이 상기 스크류에서 노출되도록 상기 스크류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스크류에 복수 장착되도록 구비하며, 일정 간격 이격하여 상기 케이싱 내부에 장착된다. 상기 파쇄수단은 상기 일측에서 상기 타측을 따라 상기 한 쌍의 제1회전축의 상부의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장착된 제2회전축과, 상기 제2회전축에 축방향을 따라 복수개 장착된 원형의 회전판과, 상기 톱니날이 상기 회전판에서 노출되도록 상기 회전판의 원주면을 따라 상기 회전판에 복수 장착된 상기 절삭날을 구비하며, 상기 이송수단에 이송되는 상기 유기 폐기물이 상기 회전판에 장착된 절삭날로 절개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제1회전축 사이에 장착된다.

Description

유기 폐기물 처리장치용 이송장치{Transfer apparatus for organic waste treatment system}
본 발명은 유기 폐기물 처리장치용 이송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유기 폐기물을 이송하면서 유기 폐기물을 잘게 파쇄할 수 있는 유기 폐기물 처리장치용 이송장치에 대한 것이다.
음식물 쓰레기, 도축공장 폐기물, 축산분뇨, 식품제조공장에서 배출되는 유기 폐기물은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며, 수분 함유량이 많아서 그 처리가 용이하지 아니하다. 그래서 종래의 유기 페기물 처리장치는 유기폐기물을 이송한 후 분쇄장치에서 잘게 분쇄한 후 수분을 탈수하여 그 찌꺼기를 처리한다.
이때 종래의 유기 폐기물 처리장치는 닭이나 오리 등의 폐사체가 있을 경우 그 분쇄력이 좋을 않을 뿐만 아니라 이송장치에서 분쇄장치로 이송한 후 분쇄장치에서만 분쇄한다. 그래서 분쇄효율이 좋지 아니하여 결론적으로 유기 폐기물의 처리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유기 폐기물 처리장치에 있어서, 유기 폐기물을 이송하면서 분쇄할 수 있는 유기 폐기물 처리장치용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닭이나 오리 등 뼈가 굵어서 단단한 유기 폐기물을 이송하면서 분쇄할 수 있는 유기 폐기물 처리장치용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폐물 처리장치용 이송장치는 케이싱과, 이송수단 및 파쇄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싱은 일측에 유입구와, 타측에 유출구가 형성된다.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일측에서 상기 타측을 따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장착된 제1회전축과, 상기 제1회전축이 회전하면 상기 케이싱 내부에 수용된 유기 폐기물을 상기 일측에서 상기 타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을 따라 축방향으로 결합된 스크류와, 원주면을 따라 톱니날이 형성된 원형의 절삭날을 상기 톱니날이 상기 스크류에서 노출되도록 상기 스크류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스크류에 복수 장착되도록 구비하며, 일정 간격 이격하여 상기 케이싱 내부에 장착된다. 상기 파쇄수단은 상기 일측에서 상기 타측을 따라 상기 한 쌍의 제1회전축의 상부의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장착된 제2회전축과, 상기 제2회전축에 축방향을 따라 복수개 장착된 원형의 회전판과, 상기 톱니날이 상기 회전판에서 노출되도록 상기 회전판의 원주면을 따라 상기 회전판에 복수 장착된 상기 절삭날을 구비하며, 상기 이송수단에 이송되는 상기 유기 폐기물이 상기 회전판에 장착된 절삭날로 절개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제1회전축 사이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의 유기 폐물 처리장치용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절삭날은 상기 회전판 또는 상기 스크류에 착탈할 수 있게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절삭날을 구비한 이송수단과, 파쇄수단을 포함한 이송장치를 제공함으로 인하여 유기 폐기물을 이송함과 동시에 이를 파쇄할 수 있다. 그래서 유기 폐기물을 파쇄하여 파쇄장치로 공급할 수 있어서 유기 폐기물의 처리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톱니날이 형성된 절삭날이 스크류 및 회전판에 착탈할 수 있게 장착된다. 이 경우 일정 기간 사용 후 톱니날이 마모되면 사용되지 아니한 톱니날이 스크류 또는 회전판에 돌출되도록 절삭날을 회전시킬 수 있다. 그래서 절삭날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 폐기물 처리장치용 이송장치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실시예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실시예의 내부가 투시된 정면도,
도 4는 도 1의 실시예의 이송수단의 도면,
도 5는 도 4의 이송수단의 스크류에 장착된 절삭날의 도면,
도 6은 도 1의 실시예의 파쇄수단의 도면,
도 7은 도 6의 회전판에 장착된 절삭날의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기 폐기물 처리장치용 이송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는 유기 폐기물 처리장치에 사용된다. 유기 폐기물 처리장치는 일반적으로 유기폐기물을 이송하는 이송장치, 이송장치로 이송된 유기물을 파쇄하는 파쇄장치, 파쇄된 유기폐기물에서 이물질을 걸러내고 수분을 제거하는 선별장치 및 탈수장치 등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는 유기 폐기물 처리장치에 사용되는 이송장치이다.
본 실시예의 이송장치는 케이싱(10)과, 이송수단(20) 및 파쇄수단(30)을 포함한다.
케이싱(10)은 유기 폐기물을 수용하며, 일측에는 유입구(1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유출구(13)가 형성된다. 유입구(11)를 통해서 케이싱(10) 내부로 유기 폐기물이 유입되고, 유입된 유기 폐기물은 케이싱(10) 내부에서 파쇄되면서 이송되어 유출구(13)로 배출된다. 이때 배출된 유기 폐기물은 유기 폐기물 처리장치의 파쇄장치로 공급될 수 있다.
이송수단(20)은 케이싱(10)의 내부에 한 쌍이 장착되어 유입구(11)로 유입되는 유기 폐기물을 유출구(13)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이송수단(20)은 제1회전축(21)과, 스크류(23) 및 절삭날(15)을 구비한다.
제1회전축(21)은 케이싱(10)의 내부에서 케이싱(10)의 유입구(11)에서 유출구(13)를 따라 장착되며, 이때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다.
스크류(23)는 제1회전축(21)이 회전하면 유입구(11)로 유입된 유기 폐기물이 유출구(13)로 이송될 수 있도록 제1회전축(21)의 외주면을 따라 축방향으로 제1회전축(21)에 결합된다.
절삭날(15)은 원형의 원판으로 형성되며, 원주면을 따라 톱니날(16)이 형성된다. 스크류(23)가 회전할 때 스크류(23)로 이송되는 유기 폐기물을 파쇄할 수 있도록 절삭날(15)은 톱니날(16)이 스크류(23)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스크류(23)의 외주면을 따라 스크류(23)에 복수 개 장착된다. 이때 절삭날(15)은 스크류(23)에 탈착할 수 있게 장착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절삭날(15)은 볼트-너트(a)로 스크류(23)에 장착된다. 즉 절삭날(15)과 스크류(23)에 볼트를 삽입한 후 너트로 체결하면 절삭날(15)은 스크류(23)에 고정결합된다. 그리고 절삭날(15)이 장기간 사용되어 노출된 톱니날(16)이 마모되면 너트를 풀어서 사용되지 아니한 톱니날(16)이 스크류(23)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절삭날(15)을 회전시킨 후 너트를 조이면 새로운 톱니날(16)로 유기 폐기물을 파쇄할 수 있다.
이송수단(20)은 케이싱(10)의 내부의 하부에서 일정간격 이격하여 한 쌍이 장착된다. 그래서 유입구(11)로 공급된 유기 폐기물은 이송수단(20)이 회전하면 스크류(23)에 의하여 유출구(13)로 이송된다.
파쇄수단(30)은 이송수단(20)으로 이송되는 유기 폐기물은 파쇄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파쇄수단(30)은 케이싱(10)의 내부에 장착되며 한 쌍의 이송수단(20)의 사이에서 이송수단(20)의 상부에 위치한다. 유기 폐기물을 파쇄하기 위하여 파쇄수단(30)은 제2회전축(31)과, 회전판(33) 및 절삭날(15)을 구비한다. 제2회전축(31)은 유입구(11)에서 유출구(13)를 따라 한 쌍의 제1회전축(21)의 사이에서 제1회전축(21)의 상부에 위치한다.
회전판(33)은 원형으로 형성되며 제2회전축(33)에 축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씩 이격되어 복수 개 장착된다.
절삭날(15)은 제2회전축(31)이 회전할 때 유기 폐기물을 파쇄할 수 있도록 톱니날(16)이 회전판(33)에서 노출될 수 있도록 회전판의 외주면을 따라 장착된다. 물론 이때에도 절삭날(15)은 볼트-너트(a) 등의 수단으로 회전판(33)에 탈착할 수 있게 장착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케이싱(10)의 유입구(11)로 유기 폐기물이 공급된다. 그러면 제1회전축(21) 및 제2회전축(33)이 모터 등의 수단에 의하여 회전한다. 제1회전축(21)이 회전하면 유기 폐기물은 케이싱(10)의 유출구(13) 쪽으로 이송된다. 이때 이송되는 유기 폐기물은 이송수단(20)의 스크류(23) 및 파쇄수단(30)의 회전판(33)에 장착된 절삭날(15)에 의하여 파쇄되면서 이송된다. 그리고 절삭날(15)의 톱니날(16)이 반복적이 사용에 의하여 무뎌진 경우에는 새로운 톱니날(16)이 노출되도록 절삭날(15)을 회전시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케이싱(10)의 내부에서 유기 폐기물을 이송시키는 한편 유기 폐기물을 파쇄할 수 있다. 그리고 유기 폐기물을 파쇄하는 절삭날(15)의 톱니날(16)이 무뎌지면 절삭날(15)을 회전시켜 새로운 톱니날(16)로 유기 폐기물을 파쇄할 수 있다.
10 : 케이싱 11 : 유입구
13 : 유출구 15 : 절삭날
16 : 톱니날 20 : 이송수단
21 : 제1회전축 23 ; 스크류
30 : 파쇄수단 31 : 제2회전축
33 : 회전판

Claims (2)

  1. 일측에 유입구와, 타측에 유출구가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일측에서 상기 타측을 따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장착된 제1회전축과, 상기 제1회전축이 회전하면 상기 케이싱 내부에 수용된 유기 폐기물을 상기 일측에서 상기 타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을 따라 축방향으로 결합된 스크류와, 원주면을 따라 톱니날이 형성된 원형의 절삭날을 상기 톱니날이 상기 스크류에서 노출되도록 상기 스크류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스크류에 복수 장착되도록 구비하며, 일정 간격 이격하여 상기 케이싱 내부에 장착된 이송수단과,
    상기 일측에서 상기 타측을 따라 상기 한 쌍의 제1회전축의 상부의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장착된 제2회전축과, 상기 제2회전축에 축방향을 따라 복수개 장착된 원형의 회전판과, 상기 톱니날이 상기 회전판에서 노출되도록 상기 회전판의 원주면을 따라 상기 회전판에 복수 장착된 상기 절삭날을 구비하며, 상기 이송수단에 이송되는 상기 유기 폐기물이 상기 회전판에 장착된 절삭날로 절개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제1회전축 사이에 장착된 파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폐기물 처리장치용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날은 상기 회전판 또는 상기 스크류에 착탈할 수 있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폐기물 처리장치용 이송장치.
KR1020170125762A 2017-09-28 2017-09-28 유기 폐기물 처리장치용 이송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20837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5762A KR102083791B1 (ko) 2017-09-28 2017-09-28 유기 폐기물 처리장치용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5762A KR102083791B1 (ko) 2017-09-28 2017-09-28 유기 폐기물 처리장치용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6631A true KR20190036631A (ko) 2019-04-05
KR102083791B1 KR102083791B1 (ko) 2020-05-27

Family

ID=66104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5762A Expired - Fee Related KR102083791B1 (ko) 2017-09-28 2017-09-28 유기 폐기물 처리장치용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3791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7022Y1 (ko) * 1997-12-03 2000-01-15 최돈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211904Y1 (ko) * 2000-06-23 2001-02-01 정태연 슬러지 처리장치
KR200284147Y1 (ko) * 2002-03-29 2002-07-27 주식회사 에스오이엔지 재활용품 파쇄장치
KR100444614B1 (ko) * 2003-02-04 2004-08-16 디프러스 주식회사 음식물쓰레기 선별 및 이물질 분리방법과 그 장치
JP2005161369A (ja) * 2003-12-03 2005-06-23 Arcadia Trading:Kk 生ごみ処理装置
KR200388572Y1 (ko) * 2005-02-25 2005-06-30 주식회사 아론텍 무주축 스파이럴 스크류형 건조장치의 봉투 봉입형 투입물절단장치
KR20060129635A (ko) * 2005-06-13 2006-12-18 위계정 산업폐기물 및 폐차량 처리용 슈레더
KR200455342Y1 (ko) * 2009-04-20 2011-09-01 길현익 폐비닐 분리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7022Y1 (ko) * 1997-12-03 2000-01-15 최돈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211904Y1 (ko) * 2000-06-23 2001-02-01 정태연 슬러지 처리장치
KR200284147Y1 (ko) * 2002-03-29 2002-07-27 주식회사 에스오이엔지 재활용품 파쇄장치
KR100444614B1 (ko) * 2003-02-04 2004-08-16 디프러스 주식회사 음식물쓰레기 선별 및 이물질 분리방법과 그 장치
JP2005161369A (ja) * 2003-12-03 2005-06-23 Arcadia Trading:Kk 生ごみ処理装置
KR200388572Y1 (ko) * 2005-02-25 2005-06-30 주식회사 아론텍 무주축 스파이럴 스크류형 건조장치의 봉투 봉입형 투입물절단장치
KR20060129635A (ko) * 2005-06-13 2006-12-18 위계정 산업폐기물 및 폐차량 처리용 슈레더
KR200455342Y1 (ko) * 2009-04-20 2011-09-01 길현익 폐비닐 분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3791B1 (ko) 2020-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2308B1 (ko) 음식물 쓰레기 분쇄 탈수장치
KR101607094B1 (ko) 유압전단식 분쇄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101204601B1 (ko) 폐사 어류를 이용한 유기질 비료 생산장치
CN101229524B (zh) 动物类危险固体废物破碎机
KR101823349B1 (ko) 가축분의 원통형 입상화장치
US8136749B2 (en) Chicken carcass composter
KR20120139104A (ko) 복합폐기물 파쇄기
KR100811437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996719B1 (ko) 불가사리 분쇄 및 건조장치
KR200432685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433588Y1 (ko) 다용도 분쇄 장치
KR101446246B1 (ko) 수분유출 방지용 음식물 분쇄기
KR20190036631A (ko) 유기 폐기물 처리장치용 이송장치
KR200414796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200013347A (ko) 폐가축처리장치
KR20070082135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60039403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탈수 및 분쇄기
CN211635503U (zh) 一种混合垃圾固液分离破碎处理装置
KR20190036633A (ko) 유기 폐기물 처리장치용 파쇄장치
JP2937921B2 (ja) 貝類減容装置
KR20030054134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341496B1 (ko) 분쇄망 안전받침과 분리가 용이한 음식물 분쇄기
CN222644879U (zh) 刨花板原料处理装置
KR20090073390A (ko) 도어 배출 장치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
KR20150044185A (ko) 폐사 또는 살처분된 가축 슬러리의 분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1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6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2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2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