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5434A - 환기용 모니터 - Google Patents

환기용 모니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5434A
KR20170015434A KR1020170013489A KR20170013489A KR20170015434A KR 20170015434 A KR20170015434 A KR 20170015434A KR 1020170013489 A KR1020170013489 A KR 1020170013489A KR 20170013489 A KR20170013489 A KR 20170013489A KR 20170015434 A KR20170015434 A KR 201700154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uilding
discharge
present
inn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3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덕현
김주형
Original Assignee
조덕현
김주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덕현, 김주형 filed Critical 조덕현
Priority to KR1020170013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5434A/ko
Publication of KR20170015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54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2Roof ventilation
    • F24F7/025Roof venti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by means of a built-in ventil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6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ro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기용 모니터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 내부의 공기를 효율적으로 배기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환기용 모니터는, 건물의 상부에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내측 공간이 상기 건물의 내부공간과 연결되는 골조부, 상기 골조부의 내측 공간에 각각 설치되는 설치부, 상기 설치부의 사이에 설치되는 송풍부, 상기 설치부의 내측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송풍부를 통해 이동된 공기가 상기 골조부의 사이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배출유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환기용 모니터{ROOF MONITOR FOR VENTILATION}
본 발명은 환기용 모니터에 관한 것이다.
환기용 모니터는 건물에 설치되어 건물 내부에 오염된 공기를 외부의 신선한 공기와 교환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건물 내부에 설치된 시설물이나 기계장치 등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내부온도를 조절하는 역할도 한다.
그러나, 종래의 환기용 모니터는 단순히 건물의 지붕에 송풍기나 환풍기 등을 설치하여 건물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흡입된 공기가 건물의 외부로 효율적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환기용 모니터의 내부에서 머물거나 다시 건물의 내부로 역류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923088호(2009.10.15) 등록특허공보 제10-1376553호(2014.03.14)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건물 내부의 공기를 효율적으로 배기할 수 있도록 한 환기용 모니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환기용 모니터는, 건물의 상부에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내측 공간이 상기 건물의 내부공간과 연결되는 골조부, 상기 골조부의 내측 공간에 각각 설치되는 설치부, 상기 설치부의 사이에 설치되는 송풍부, 상기 설치부의 내측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송풍부를 통해 이동된 공기가 상기 골조부의 사이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배출유도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배출유도부는 상기 설치부의 상면에 수직 설치되거나 또는 골조부의 측면을 향해 경사지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배출유도부는 상기 설치부의 상부에 좌,우 방향으로 대칭되면서 상기 골조부의 측면을 향해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설치부의 사이를 통과한 공기를 골조부의 측면으로 회절시킨다.
즉, 일단에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며 공기를 회절 시키는 보조 회절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배출유도부는 상기 골조부의 내측 공간 상부에 설치되며 그 폭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설치부의 사이를 통과한 공기가 골조부의 측면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배출유도부는 골조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골조부의 상부를 향해 라운딩 처리되어 상기 설치부의 사이를 통과한 공기가 골조부의 측면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배출 유도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골조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부가 개방된 반원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설치부의 사이를 통과한 공기가 골조부의 측면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배출 유도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환기용 모니터는, 배출유도부가 설치부의 송풍부를 통해 상부로 이동된 고온, 악취, 연기가 골조부의 사이를 통해 빠져나가도록 하므로서 배기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조 회절부 또는 배출 유도부가 배출유도부를 통과한 고온, 악취, 연기를 골조부의 사이로 회절시켜 빠져나가도록 하므로서 배기율이 보다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용 모니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용 모니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부분을 확대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용 모니터에 적용된 배출유도부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용 모니터에 적용된 배출유도부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용 모니터에 적용된 배출유도부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용 모니터에 적용된 배출유도부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용 모니터에 적용된 배출유도부의 제5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용 모니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용 모니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용 모니터에 적용된 배출유도부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환기용 모니터(1)는 골조부(10), 설치부(20), 송풍부(30), 배출유도부(40a, 40b, 40c, 40d, 40e)를 포함한다.
상기 골조부(10)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용 모니터(1)의 골조 역할을 하는 것으로, 건물(120)의 상부에 설치되는 받침프레임(130)의 상부에 설치되며, 다수개가 받침프레임(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상기 골조부(10)는 'ㄴ'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브라켓(140)을 통해 상기 받침프레임(130)의 상부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건물(120)은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 중앙부분이 개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받침프레임(130)은 상,하부가 개방되고 상기 건물(120)의 내부 공간 및 골조부(10)의 내측 공간과 연결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건물(120)은 출입구가 구비되어 있으며 공장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물(120)에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거나 또는 유출될 수 있는 흡기부와 배기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 공간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외부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흡음판이 설치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골조부(10)는 상기 건물(120)의 상부에 수직 설치되며 좌,우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며 사각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수직부(11), 양측이 상기 수직부(11)의 상부에 고정되고 사각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수평부(12)로 나뉘어 구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골조부(10)는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 공간은 상기 건물(120)의 내부공간과 연결된다.
부가적으로, 상기 각각의 수직부(11)의 외측면에는 사각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부(50)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고정부(50)에는 측벽(60)이 연결된다.
상기 측벽(60)은 그 단면 형상이 반원형 또는 반타원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측벽(60)은 상기 골조부(10)를 둥그렇게 감싸는 구조가 된다.
또한, 상기 측벽(60)과 마주하는 골조부(10)의 일면에는 배출 통로부(70)가 하측을 향해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골조부(10)의 내측에 있는 기체는 상기 수직부(11)의 사이와 배출 통로부(70)와 고정부(50)의 사이를 거쳐 자연스럽게 빠져나간다.
상기 수평부(12)의 상부에는 지붕(80)이 설치된다. 상기 지붕(80)의 상부에는 파형 강판(100)이 설치되어 상기 지붕(80)의 강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측벽(60)에는 파형 강판(110)이 설치된다. 상기 파형 강판(110)은 상기 측벽(60)을 덮어 골조부(10)가 외풍이나 빗물 등의 외부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게 한다.
이때, 상기 파형 강판(110)은 다수개가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작업자는 상기 파형 강판(110)의 사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환기용 모니터(1)의 내부 및 외부로 출입하여 유지보수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형 강판(110)은 측벽(60)이 풍하중에 대한 버팀강성을 갖도록 하여 비교적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는 건물(120)에 상부에 설치되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용 모니터(1)가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파형 강판(110)의 일단과 타단에는 상기 파형 강판(110)의 사이 공간을 밀폐하기 위한 덮개부(111)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설치부(20)는 사각형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골조부(10)의 내측 공간에 각각 위치되며 양측이 상기 수직부(11)에 결합된다.
상기 송풍부(30)는 상기 설치부(20)의 상부에 사각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부(90)를 통해 결합된다.
상기 송풍부(30)는 건물(120) 내부공간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거나 또는 건물(120) 외부의 공기를 건물(120)의 내부로 공급시켜 준다.
하나의 예시에서 하절기에는 송풍기를 가동하여 외부 공기를 공장 등의 건물(120) 내부로 공급한다. 이에 따라 건물(120) 내부 쾌적도를 높여 줄 수 있다. 또한, 고온 발열이나 유해 물질 발생 공정에서 발생하는 악취나 연기를 골조부(10)의 내측 공간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골조부(10)의 내측 공간으로 이동된 고온, 악취, 연기(이하 '기체'라고 함)는 상기 수직부(11)의 사이와 고정부(50)를 사이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수직부(11)의 사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배출 통로부(70)의 안내를 받아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배출유도부(40a)는 상기 송풍부(30)를 통해 이동된 기체가 상기 골조부(10)의 사이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것으로, 상기 설치부(20)의 상면에 설치되며, 사각형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출유도부(40a)는 상기 설치부(20)들과 교차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설치부(20)의 폭 방향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상기 배출유도부(40a)의 사이에는 기체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배출유도부(40a)는 상기 설치부(20)의 상면에 수직 설치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유도부(40a)가 상기 설치부(20)의 상면에 수직 설치될 경우, 기체는 상기 배출유도부(40a)들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들을 통해 분할된 상태로 통과하기 때문에 서로 충돌되지 않고 상기 골조부(10)의 내측 공간으로 용이하게 이동되어 수직부(11)의 사이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유도부(40a)들의 사이 공간과 골조부(10)의 내측 공간 간의 압력차로 인해 기체가 상기 배출유도부(40a)의 사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이동속도가 빨라져 보다 효율적인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출유도부(40a)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조부(10)의 측면에 해당되는 수직부(11)를 향해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설치부(20)의 중앙부분을 중심으로 좌측에 위치되는 배출유도부(40a)는 좌측에 위치된 수직부(11)를 향해 경사지게 설치되고, 우측에 위치되는 배출유도부(40a)는 우측에 위치된 수직부(11)를 향해 경사지게 설치된다.
상기 배출유도부(40a)가 상기 설치부(20)의 상면에 경사지게 설치될 경우, 기체는 배출유도부(40)의 사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흐름방향이 수직부(11) 측으로 바뀌게 된다. 이로 인해 기체는 골조부(10)의 내부에서 머무르거나 맴돌지 않고 상기 수직부(11)의 사이로 자연스럽게 배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환기용 모니터에 적용된 배출유도부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용 모니터에 적용된 배출유도부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치부(20)의 상부에는 상기 설치부(20)의 사이를 통과한 기체를 수직부(11) 측으로 회절시키기 위한 배출유도부(40b)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배출유도부(40b)가 설치부(20)와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경우 설치부(20)의 사이를 통과한 기체가 배출유도부(40b)에 의해 다시 설치부(20)의 사이로 역류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설치부(20)의 중앙부분에는 사각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부(90)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부(90)의 상부에 상기 배출유도부(40b)를 설치하여 설치부(20)와 배출유도부(40b)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하므로서, 기체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배출유도부(40b)는 좌, 우 방향으로 대칭되며, 도 5를 기준으로 좌측에 위되는 배출유도부(40b)는 좌측에 위치된 수직부(11)를 향해 경사지게 설치되고, 우측에 위치되는 배출유도부(40b)는 우측에 위치된 수직부(11)를 향해 경사지게 설치된다.
이러한 배출유도부(40b)는 설치부(20)의 사이를 통과한 기체가 수직부(11)의 사이로 회절되도록 유도하여 골조부(1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므로서, 기체의 배출효과를 향상시킨다.
부가적으로, 상기 배출유도부(40b)의 상단에는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보조 회절부(401b)가 형성된다.
상기 보조 회절부(401b)는 상기 배출유도부(40b)와 동일하게 수직부(11)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설치부(20)의 사이를 통과한 기체가 수직부(11)의 사이로 이동되도록 유도하여 골조부(1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보조 회절부(401b)는 기체가 배출유도부(40b)를 타고 넘어가지 않도록 차단막 역할을 하게 되어, 기체가 골조부(10)의 내부에서 머무르거나 맴돌지 않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환기용 모니터에 적용된 배출유도부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용 모니터에 적용된 배출유도부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유도부(40c)는 그 폭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V' 형상이다.
이로 인해 설치부(20)의 사이를 통과한 기체는 상기 골조부(10)의 내부에서 머물지 못하고 상기 배출유도부(40c)에 의해 수직부(11)로 회절되어 상기 수직부(11)의 사이를 통해 자연스럽게 빠져나가게 된다.
다음으로, 도 7 및 도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환기용 모니터에 적용된 배출유도부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용 모니터에 적용된 배출유도부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용 모니터에 적용된 배출유도부의 제5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유도부(40d)는 좌,우 방향으로 대칭되는 제1몸체부(401d)와 제2몸체부(402d)로 나뉘어 구성된다.
상기 제1몸체부(401d)와 제2몸체부(402d)는 하단이 서로 연결되고 상단은 상기 수평부(12)의 저면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1몸체부(401d)와 제2몸체부(402d)는 상기 연결되는 하단 부분을 기준으로 상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멀어지며 수평부(12)를 향해 라운딩 처리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유도부(40e)는 상부가 개방된 반원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출유도부(40d,40e)는 상기 배출유도부(40c)와 동일하게 설치부(20)의 사이로 통과한 기체가 상기 골조부(10)의 내부에서 머물지 못하고 수직부(11)로 회절되도록 하여 상기 수직부(11)의 사이를 통해 자연스럽게 빠져 나가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골조부 11 : 수직부
12 : 수평부 20 : 설치부
30 : 송풍부
40a, 40b, 40c, 40d, 40e : 배출유도부
401b : 보조 회절부 401d : 제1몸체부
402d : 제2몸체부 50 : 고정부
60 : 측벽 70 : 배출 통로부
80 : 지붕 90 : 지지부
100, 110 : 파형 강판 111 : 덮개부
120 : 건물 130 : 받침프레임
140 : 브라켓

Claims (1)

  1. 건물의 상부에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내측 공간이 상기 건물의 내부공간과 연결되는 골조부, 상기 골조부의 내측 공간에 각각 설치되는 설치부, 상기 설치부의 사이에 설치되는 송풍부, 상기 설치부의 내측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송풍부를 통해 이동된 공기가 상기 골조부의 사이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배출유도부를 포함하는 환기용 모니터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도부는 상기 설치부(20)의 상면에 설치부(20)들과 교차되는 형태로 수직 설치되거나 또는 골조부의 측면을 향해 좌,우 대칭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고, 설치부(20)의 중앙부분에 설치된 지지부(90)에 의해 설치부와 배출유도부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하여 기체의 역류를 방지하도록 하며, 상기 배출유도부 단부에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설치부 사이를 통과한 공기를 골조부의 측면으로 회절시키는 보조 회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용 모니터.
KR1020170013489A 2017-01-31 2017-01-31 환기용 모니터 KR201700154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3489A KR20170015434A (ko) 2017-01-31 2017-01-31 환기용 모니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3489A KR20170015434A (ko) 2017-01-31 2017-01-31 환기용 모니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4882A Division KR20160069205A (ko) 2014-12-08 2014-12-08 환기용 모니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4177A Division KR101996430B1 (ko) 2017-12-29 2017-12-29 환기용 모니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5434A true KR20170015434A (ko) 2017-02-08

Family

ID=58155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3489A KR20170015434A (ko) 2017-01-31 2017-01-31 환기용 모니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15434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088B1 (ko) 2009-03-05 2009-10-22 주식회사 훼이스 지능형 배기 장치
KR101376553B1 (ko) 2013-08-30 2014-03-20 훼이스건설 주식회사 실내 환기 및 정화 배기용 모니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088B1 (ko) 2009-03-05 2009-10-22 주식회사 훼이스 지능형 배기 장치
KR101376553B1 (ko) 2013-08-30 2014-03-20 훼이스건설 주식회사 실내 환기 및 정화 배기용 모니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252400A (en) Means providing a coordinated air flow in an enclosure
US5080003A (en) Apparatus for ventilating the interior of high speed elevator cars
JP6526976B2 (ja) 多段式栽培装置
KR20160069205A (ko) 환기용 모니터
KR101996430B1 (ko) 환기용 모니터
WO2017110117A1 (ja) 塗装ブース及び整流装置
KR20170015434A (ko) 환기용 모니터
HUT55900A (en) Apparatus for producing fresh air zone
JP5916344B2 (ja) 吹出口装置
FI80778B (fi) Luftridao.
JP6896244B2 (ja) 吹出口装置
JP2008089786A (ja) 通風体感装置及び涼感比較体感装置
KR101852479B1 (ko) 가변형 다방향 토출구를 구비한 지능형 송풍기
CA2880363C (en) Air-curtain device
DK0609727T3 (da) Ventilationshus til placering i en gennemgående åbning.
JP2007178065A (ja) クリーンルーム用還気装置
JP7102033B2 (ja) クリーンブース
JP6581393B2 (ja) 空気調和機
JP2550225Y2 (ja) 床下と天井裏の換気装置
JPH0225065Y2 (ko)
JP2005331184A (ja) 空調吹出口ユニット
JP2021167722A (ja) クリーンブース
JPH07214327A (ja) プッシュプル式換気装置
KR200380291Y1 (ko) 청정실 천정 설치용 공조관 연결형 순환 송풍 장치
TW202305291A (zh) 潔淨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