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0291Y1 - 청정실 천정 설치용 공조관 연결형 순환 송풍 장치 - Google Patents

청정실 천정 설치용 공조관 연결형 순환 송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0291Y1
KR200380291Y1 KR20-2005-0001464U KR20050001464U KR200380291Y1 KR 200380291 Y1 KR200380291 Y1 KR 200380291Y1 KR 20050001464 U KR20050001464 U KR 20050001464U KR 200380291 Y1 KR200380291 Y1 KR 2003802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lean room
casing
blower
inner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14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원모
Original Assignee
수공아이엔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공아이엔씨(주) filed Critical 수공아이엔씨(주)
Priority to KR20-2005-00014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02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02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02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13/068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formed as perforated walls, ceilings or fl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parallelly-movabl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2013/0608Perforated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청정실 천정 설치용 공조관 연결형 순환 송풍 장치에 관한 것으로, 공조관과; 상기 공조관과 상부의 일측부가 연결되어 있으며, 하부가 개방된 중공 구조를 갖는 외부 케이싱과;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중공 구조를 갖는 내부 케이싱과; 상기 내부 케이싱의 외벽과 상기 외부 케이싱의 내벽 사이에 개재된 복수 개의 취부 부재와; 상기 내부 케이싱과 상기 외부 케이싱 사이에 형성된 순환 유로와; 양측 단부가 상기 내부 케이싱의 내측면에 취부되어 있으며, 복수 개의 통공이 형성된 마운팅 플레이트와;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에 장착된 송풍 팬 어셈블리와; 상기 송풍 팬 어셈블리의 하부에 대응된 상기 내부 케이싱의 하부에 내장된 필터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종래 기술에 의한 BFU 방식의 송풍기(BLOWER)에 의해 야기되던 난류, 기류의 혼란 및 심각한 소음 등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청정실 내부에 기류의 변화없이 FFU 방식의 청정도 및 수직 층류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일정 공간에 대응되는 청정실 내부의 공기를 자체 순환시켜 공기 순환을 위한 리턴 박스의 개수를 줄일 수 있어 용량이 큰 고가(高價)의 공조 시스템의 설치가 불필요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청정실 천정 설치용 공조관 연결형 순환 송풍 장치 {Air duct connection type wind-control device mounted on the roof of clean room}
본 고안은 와류 또는 기류의 혼란이 야기되지 않아 고 청정도를 유지할 수 있는 청정실 천정 설치용 공조관 연결형 송풍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청정실 내부의 일정 공간의 공기를 자체 순환시킬 수 있는 송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정실은 먼지가 전혀 없으며 외부와 차단 또는 격리된 공간으로서, 초고밀도집적회로나 유전자 조작 등과 같이 세포 속의 미소한 유전자를 다루는 곳에서와 같이 환경 조건이 품질에 큰 영향을 끼치는 분야에 광범위하게 적용된다.
이러한 청정실은 환경 조건의 하나로 먼지의 유무가 문제되는데,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의 미세한 것도 존재해서는 안 된다. 따라서 청정실은 외부로부터 먼지가 들어오지 않도록 방을 격리, 방안으로 들어오는 사람의 먼지를 문 밖에서 제거, 방안에 있는 사람에게 먼지가 나지 않는 특수복 착용 또는 필수적으로 방안의 먼지를 없애는 장치를 설비해야 한다
전술된 청정실의 청정도는 공조 시스템에 의해 크게 좌우된다. 현재, 청정실의 공조 시스템은 팬 필터 유니트 방식(Fan Filter Unit, 이하 "FFU"라 한다)과 브로우 팬 필터(Blower Filter Unit, 이하 "BFU"라 한다) 방식으로 크게 구별된다.
FFU 방식은 개별 방식의 수직 층류형으로 공기 조화기가 필요치 않고 자가 순환이 가능하여 저소음, 저진동, 저에너지 등의 초청정실을 구현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BFU 방식은 공기 조화기로 냉, 난방 부하 및 청정도에 필요한 풍량을 헤파 필터 박스(Hepa Filter Box)를 통하여 공급하고 청정도에 필요한 풍량만을 자체적으로 순환시키는 방식이다.
여기서, BFU 방식은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는다.
1. 시스템의 구조가 간단하고, 운전비 및 설비비가 저렴하다.
2. 일반 청정실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시스템이다.
3. 실내의 구조 및 장비 배치에 따라 천정에 리턴 박스(Return Box)를 설치하거나 실내에 리턴 풍도를 설치하여 공기를 순환시킨다.
4. 공기 조화기 용량 범위 내에서 청정실의 확장이 비교적 편리하다.
5. 크린 벤치(Clean Bench) 및 크린 부스(Clean Booth) 등을 이용하여 국부적인 고청정도를 형성할 수 있다.
BFU 방식은 전술된 장점을 갖는 반면, 청정도를 유지하기 위한 풍량을 제공하기 위하여 송풍기를 사용함으로써 청정실 내부에 와류나 기류의 혼란이 야기되어 고 청정도를 유지하여야 하는 고 청정실에는 적용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본 출원인은 통상적인 BFU 방식의 시스템에 송풍팬을 구비하여 FFU 방식과 BFU 방식의 장점을 갖는 청정실 천정 설치용 공조관 연결형 송풍 장치(이하 "기출원 특허"이라 한다)를 출원하였다(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5-0001961호 출원일자: 2005.01.08).
본 출원인의 기출원 특허는 전술된 바와 같이 FFU 방식과 BFU 방식의 장점만을 갖는 반면, 청정실 내부의 바람직한 공기의 순환을 위하여 이에 대응된 복수 개의 리턴 박스를 부설하여야 하며 이로 인한 공조 시스템의 용량이 커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고안의 목적은, 청정실 내부의 와류 또는 기류의 혼란이 발생되지 않아 높은 청정도를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청정실 내부의 일정 범위의 공기를 자체적으로 순환시킬 수 있는 청정실 천정 설치용 공조관 연결형 순환 송풍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공조관과; 상기 공조관과 상부의 일측부가 연결되어 있으며, 하부가 개방된 중공 구조를 갖는 외부 케이싱과;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중공 구조를 갖는 내부 케이싱과; 상기 내부 케이싱의 외벽과 상기 외부 케이싱의 내벽 사이에 개재된 복수 개의 취부 부재와; 상기 내부 케이싱과 상기 외부 케이싱 사이에 형성된 순환 유로와; 양측 단부가 상기 내부 케이싱의 내측면에 취부되어 있으며, 복수 개의 통공이 형성된 마운팅 플레이트와;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에 장착된 송풍 팬 어셈블리와; 상기 송풍 팬 어셈블리의 하부에 대응된 상기 내부 케이싱의 하부에 내장된 필터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실 천정 설치용 공조관 연결형 순환 송풍 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고안의 상기 취부 부재는 복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고안은 상기 순환 유로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인 상기 외부 케이싱의 내벽에 취부된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 부재는 중심 부분이 개구된 판재 형상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청정실 천정 설치용 공조관 연결형 송풍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 - Ⅱ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송풍 장치의 공기 공급 및 순환 과정을 간략하게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의한 송풍 장치(300)는 송풍 팬 어셈블리(150)에 의해 강제 흡입된 공기를 마운팅 플레이트(140)에 형성된 복수 개의 통공(146)을 경유하여 균일하게 배분, 예컨대 송풍 압력의 편차를 감소시켜 청정실 전체의 기류 변화를 최소화하여 종래의 송풍기에 의한 난류 또는 기류 혼란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송풍 장치(300)는 청정실 내부의 일정 범위 공간의 공기를 순환시켜 리턴 박스(도시 안됨)의 개수를 줄일 수 있어 청정실 체적 대비 공조 시스템(도시 안됨)의 효율을 개선할 수 있도록 외부 케이싱(210)과 내부 케이싱(110)의 사이를 이격시켜 순환 유로(流路)(240)가 형성되어 있다.
외부 케이싱(210)은 상부의 일측부에 공조관(120)과 연통되도록 공조관 연결구(212)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는 개방된 중공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본 고안의 공조관 연결구(212)는 하나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 개의 공조관 연결구가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외부 케이싱(210)의 상부에도 형성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 둔다.
그리고, 공조관(120)은 덕트 또는 배관이며, 공기 조절기(130)가 제공되어 있다. 여기서, 공기 조절기(130)는 공조관(120)의 외부에 취부된 조절 핸들(132)과 조절 핸들(132)의 조작에 의해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되, 공조관(120) 내부에 설치된 공기 조절편(134)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외부 케이싱(210)은 상부면에 복수 개의 설치용 체결구(170)가 형성되어 있으며, 여기서 설치용 체결구(170)는 소위 아이 볼트(eye bolt)이다.
내부 케이싱(110)은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중공 구조로서, 상부 및 하부 케이싱(112)(114)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후술되는 송풍 팬 어셈블리(150)가 취부된 마운팅 플레이트(140)와 필터 어셈블리(160)가 내장되어 있다.
마운팅 플레이트(140)는 양단에 절곡된 취부 단부(144)가 상부 케이싱(112)의 내부 내측면에 취부되어 내장된 것으로, 하측부에 송풍 팬 어셈블리(150)가 안착되는 개구부(번호 없음)가 형성되어 있으며, 개구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대칭적으로 절곡부(142)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절곡부(142)에는 복수 개의 통공(146)이 형성되어 있으며, 통공(146)의 크기(또는 내경)는 절곡부(142)의 중심 부분에 형성된 통공(146)이 가장 크게 형성되어 있어 송풍 공기의 양이 분배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송풍 팬 어셈블리(150)는 마운팅 플레이트(140)의 개구부에 안착되어 취부된 모터(152)와, 모터(152)의 회전축과 연결된 송풍 날개부(154)와, 송풍 날개부(154)로부터 송풍되는 공기를 유도하도록 취부된 송풍 가이드부(158)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송풍 팬 어셈블리(150)는 송풍 날개부(156)를 보호하기 위하여 그레이트 형상을 갖는 덮개부(156)가 송풍 날개부(156)와 이격되도록 송풍 날개부(156)의 상부에 제공되어 있다.
필터 어셈블리(160)는 송풍 팬 어셈블리(150)의 하부에 대응된 상부 케이싱(112)에 내장되어 있다. 여기서, 필터 어셈블리(160)는 필터(162)와, 필터(162)를 보지(保持)하며 전술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싱(112)의 내부 내측면에 취부되는 필터 고정부(164)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필터 어셈블리(160)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함은 물론, 필터 어셈블리(160)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하측 방향으로 정확하게 유도하기 위하여 상부 케이싱(112)의 하단부와 연결되는 하부 케이싱(114)이 제공되어 있다. 즉, 본 고안의 내부 케이싱(110)은 전술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싱(112)과 하부 케이싱(114)으로 구분되어 있다.
하부 케이싱(114)은 양단부가 상부 케이싱(112)의 하단 양측부와 탈착이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있으며 중심 부분에 공기 토출구(114a)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220"은 외부 케이싱(210)의 하단 내벽과 내부 케이싱(110)의 하단 외벽 사이에 형성된 공기 순환용 "개구부"로서, 청정실 내부의 공기는 전술된 송풍 팬 어셈블리(150)에 의해 유발된 흡입압에 본 고안에 의한 개구부(220)를 통해 청정 공기가 유입된다.
본 고안에 의한 송풍 장치(300)는 청정실 내부의 일정 공간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도록 외부 케이싱(210)과 내부 케이싱(110)의 사이에 이격되어 형성된 순환 유로(流路)(240)가 제공되어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내부 케이싱(110)은 송풍 팬 어셈블리(150), 마운팅 플레이트(140) 및 필터 어셈블리(160)가 내장되어 있다.
여기서, 본 고안에 의한 순환 유로(240)는 내부 케이싱(110)의 외벽과 외부 케이싱(210)의 내벽 사이에 이격 형성된 틈새(또는 공간)로서, 순환 유로(240)의 하단부는 개구부(220)이다.
특히, 본 고안은 내부 케이싱(110)을 외부 케이싱(210)에 취부시키는 복수 개의 취부 부재(230)이 구비되어 있다.
취부 부재(230)은 내부 케이싱(110)의 상부 케이싱(112)의 외벽과 외부 케이싱(210)의 내벽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것으로 복수 개의 관통공(232)이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송풍 장치(300)는 순환되는 공기를 유도하여 송풍 팬 어셈블리(150)로 제공하기 위하여 외부 케이싱(210)의 내벽에 가이드 부재(250)가 취부되어 있다.
여기서, 가이드 부재(250)는 순환 유로(240)의 상단 보다 높은 외부 케이싱(210)의 내벽에 위치되며, 외부 케이싱(210)의 내벽으로부터 중심 방향을 향하여 취부되어 있다. 따라서, 가이드 부재(250)는 전술된 기능 이외에 공조관(120)으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순환 유로(240)를 통해 청정실로 토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제공된 것이다.
가이드 부재(250)의 형상은 중심 부분이 개구된 판재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의한 송풍 장치(300)는 도 3(편의상 번호가 기재되어 있지 않음)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공조관(120)으로부터 유입된 공기는 송풍 팬 어셈블리(150)의 상측부를 통해 강제 흡입되어 송풍 날개부(154)로부터 송풍 가이드부(156)를 경유하여 수평 방향으로 토출된 후 마운팅 플레이트(140)에 형성된 복수 개의 통공(132)을 통해 필터 어셈블리(160)에 수직으로 공급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송풍 공기가 FFU 방식과 유사하게 수직 층류를 형성한 상태에서 청정실의 하부로 균일하게 분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 다음, 본 고안에 의한 송풍 장치(300)는 청정실 내부의 일정 공간에 해당되는 공기는 송풍 팬 어셈블리(150)에 의해 유발된 흡입압, 예컨대 송풍 팬 어셈블리(150)의 상부측에 형성되는 흡입압에 의해 개구부(220)를 통해 청정 공기가 유입되고, 순환 유로(240)를 거쳐 가이드 부재(250)를 따라 다시 송풍 팬 어셈블리(150)를 통해 필터 어셈블리(150)를 거쳐 다시 청정실 내부로 토출시킨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송풍 장치(300)의 공기 공급 및 순환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공기 공급
공조 시스템(도시 안됨) -> 공조관(120) -> 송풍 팬 어셈블리(150) -> 마운팅 플레이트(140)의 통공(146) -> 필터 어셈블리(160) -> 토출 개구부(114a) -> 청정실
공기 순환
청정실 -> 개구부(220) -> 순환 유로(240)/관통공(232) -> 가이드 부재(250) -> 송풍 팬 어셈블리(150) -> 마운팅 플레이트(140)의 통공(146) -> 필터 어셈블리(160) -> 토출 개구부(114a) -> 청정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은 전술된 실시예에 한정되어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의 변형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임은 자명하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종래 기술에 의한 BFU 방식의 송풍기(BLOWER)에 의해 야기되던 난류, 기류의 혼란 및 심각한 소음 등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청정실 내부에 기류의 변화없이 FFU 방식의 청정도 및 수직 층류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일정 공간에 대응되는 청정실 내부의 공기를 자체 순환시켜 공기 순환을 위한 리턴 박스의 개수를 줄일 수 있어 공조 시스템의 최적화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청정실 천정 설치용 공조관 연결형 순환 송풍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 - Ⅱ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송풍 장치의 공기 공급 및 순환 과정을 간략하게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내부 케이싱 112 : 상부 케이싱
114 : 하부 케이싱 114a : 토출 개구부
120 : 공조관
130 : 공기 조절기
132 : 조절 핸들 134 : 공기 조절편
140 : 마운팅 플레이트
142 : 절곡부 144 : 취부 단부
146 : 통공
150 : 송풍 팬 어셈블리
152 : 모터 154 : 송풍 날개부
156 : 덮개부 158 : 송풍 가이드부
160 : 필터 어셈블리
162 : 필터 고정부 164 : 필터
170 : 설치용 체결구
210 : 외부 케이싱 212 : 공조관 연결구
220 : 개구부
230 : 취부 부재 232 : 관통공
240 : 순환 유로(流路)
250 : 가이드 부재
300 : 송풍 장치

Claims (3)

  1. 공조관과;
    상기 공조관과 상부의 일측부가 연결되어 있으며, 하부가 개방된 중공 구조를 갖는 외부 케이싱과;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중공 구조를 갖는 내부 케이싱과;
    상기 내부 케이싱의 외벽과 상기 외부 케이싱의 내벽 사이에 개재된 복수 개의 취부 부재와;
    상기 내부 케이싱과 상기 외부 케이싱 사이에 형성된 순환 유로와;
    양측 단부가 상기 내부 케이싱의 내측면에 취부되어 있으며, 복수 개의 통공이 형성된 마운팅 플레이트와;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에 장착된 송풍 팬 어셈블리와;
    상기 송풍 팬 어셈블리의 하부에 대응된 상기 내부 케이싱의 하부에 내장된 필터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실 천정 설치용 공조관 연결형 순환 송풍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취부 부재는 복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실 천정 설치용 공조관 연결형 순환 송풍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 유로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인 상기 외부 케이싱의 내벽에 취부된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 부재는 중심 부분이 개구된 판재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실 천정 설치용 공조관 연결형 순환 송풍 장치.
KR20-2005-0001464U 2005-01-18 2005-01-18 청정실 천정 설치용 공조관 연결형 순환 송풍 장치 KR2003802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1464U KR200380291Y1 (ko) 2005-01-18 2005-01-18 청정실 천정 설치용 공조관 연결형 순환 송풍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1464U KR200380291Y1 (ko) 2005-01-18 2005-01-18 청정실 천정 설치용 공조관 연결형 순환 송풍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4379A Division KR100481689B1 (ko) 2005-01-18 2005-01-18 청정실 천정 설치용 공조관 연결형 순환 송풍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0291Y1 true KR200380291Y1 (ko) 2005-03-29

Family

ID=43681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1464U KR200380291Y1 (ko) 2005-01-18 2005-01-18 청정실 천정 설치용 공조관 연결형 순환 송풍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029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1689B1 (ko) 청정실 천정 설치용 공조관 연결형 순환 송풍 장치
EP1788317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KR101260944B1 (ko) 크린룸용 팬필터유닛
KR910006190B1 (ko) 청정실장치
US20150219348A1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JP2012202558A (ja) クリーンルーム空調システム
AU747404B2 (en) Blower and fan, blower and fan system, and method for supplying wind using the blower and fan system
JP6348689B2 (ja) 送風装置及び空調システム
EP2163831B1 (en) Air conditioner
JP3561191B2 (ja) クリーンルーム
KR100485000B1 (ko) 청정실 천정 설치용 공조관 연결형 송풍 장치
KR100854760B1 (ko) 바닥용 선회 취출구
KR200380291Y1 (ko) 청정실 천정 설치용 공조관 연결형 순환 송풍 장치
KR200382092Y1 (ko) 청정실 천정 설치용 공조관 연결형 송풍 장치
KR20070064907A (ko) 공기조화기
JP3516507B2 (ja) クリーンルームシステム
JP2018200254A (ja) 環境試験装置及び熱処理装置
KR102003645B1 (ko) 철도차량용 객차통로 에어 순환장치
JP2010048468A (ja) 空気調和機
JP2016099034A (ja) 空気調和装置、空気調和装置の調整方法及び空気調和設備の製造方法
JP3558775B2 (ja) ファンコイルユニットの取付構造
PT667946E (pt) Dispositivo associado a uma unidade de ar condicionado para grandes espacos
JP2016038117A (ja) 吹出チャンバ装置およびダクト型空気調和機
KR20010001969U (ko) 천정형 에어컨의 공기유출 조정장치
JP3688472B2 (ja) 浴室暖房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