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6553B1 - 실내 환기 및 정화 배기용 모니터 - Google Patents

실내 환기 및 정화 배기용 모니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6553B1
KR101376553B1 KR1020130103571A KR20130103571A KR101376553B1 KR 101376553 B1 KR101376553 B1 KR 101376553B1 KR 1020130103571 A KR1020130103571 A KR 1020130103571A KR 20130103571 A KR20130103571 A KR 20130103571A KR 101376553 B1 KR101376553 B1 KR 101376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ilter
air
filter unit
in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3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형
조덕현
Original Assignee
훼이스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훼이스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훼이스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3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65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6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6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환기 및 정화 배기용 모니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장 등의 건물 실내의 오염된 공기가 필터를 통해 여과된 후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필터를 원거리에서 세척하여 사용할 수 있는 실내 환기 및 정화 배기용 모니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내 환기 및 정화 배기용 모니터는, 오염물질을 발생하는 공장 등의 건축물의 상부에 배치되어 실내의 공기가 실외로 유동 될 수 있도록 하는 골조(10)의 내부에 배치되되, 실내의 유해가스가 통과되면서 정화되도록 하는 필터부(100); 상기 필터부(100)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되, 상기 골조(10)의 내부에서 회전되면서 상기 골조(10)의 내부를 폐쇄 또는 개방하면서 실내의 공기가 실외로 배기 되는 양을 조절하는 댐퍼부(200); 및 상기 필터부(1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필터부(100)의 상면에 물 또는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필터부(100)를 세척하는 세척부(3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실내 환기 및 정화 배기용 모니터{ROOF MONITOR FOR VENTILATION AND EXHAUST PURIFYING}
본 발명은 실내 환기 및 정화 배기용 모니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장 등의 건물 실내의 오염된 공기가 필터를 통해 여과된 후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필터를 원거리에서 세척하여 사용할 수 있는 실내 환기 및 정화 배기용 모니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체육관 내지 공장 등의 대형 시설물은 그 용도의 특성에 따른 각종 분진 및 가스 등이 발생 되어 실내 공기가 쉽게 오염된다. 오염된 실내 공기를 원활하게 환기시켜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상기 대형시설물들은 통풍장치를 설치하게 된다.
상기 대형 시설물에 적용되는 통풍장치는 크게 강제통풍수단과 자연통풍수단으로 구분되는데, 자연통풍수단은 재차 루프타입(Roof-Type)과 그릴타입(Grll-Type) 및 댐퍼타입(Damper-Type) 통풍장치로 구분된다.
루프타입 통풍장치는 건물의 지붕보에 설치되는 구조로서 직사각틀 형상의 지지프레임을 기초 골격으로 구성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저면과 측면에 각각 통풍기능을 수행하는 개구부와 스커트 지붕을 갖는 통풍구를 형성한다.
상술한 종래의 지붕 모니터는 측벽구성이 절곡된 형상을 가지고 통풍구의 형상이 항상 개구된 구조를 이루게 되는 것인바, 이에 우천시 박공지붕을 통해 빗물이 흘러내릴 경우, 흘러내리는 빗물은 측벽의 절곡 부위에 부딪히며 물보라 현상을 일으키게 됨에 따라 일부 물방울이 스커트 지붕에 의해 차단된다 하더라도 물보라 현상에 의해 수증기 형태로 분산되는 빗물은 통풍구 내로 유입되며, 상호 응집력에 의해 물방울로 맺혀 흘러내리게 되므로 건물 내부에 누수현상을 발생시키는 구조상의 문제점이 있다.
이렇게 지붕 모니터의 개방된 부위를 통해 외부의 우수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형상의 지붕모니터가 만들어졌고,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실내의 오염된 공기가 지붕 모니터를 통해 외부로 배기 되면서 환경오염의 문제가 발생 되었다.
그리고, 지붕 모니터는 특성상 지붕의 최상단에 위치하기 때문에 지붕 모니터의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지붕 모니터와, 지붕 모니터 하부의 내 벽면이 오염 공기에 의해 지저분해지고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등록특허 10-0990428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환기 및 정화 배기용 모니터는, 공장 등에서 실내의 오염된 공기가 외부로 배기 되면서 정화된 후 배기 될 수 있도록 하는 실내 환기 및 정화 배기용 모니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내 환기 및 정화 배기용 모니터는, 공장 등에서 실내의 오염된 공기가 외부로 배기 되는 양을 조절하면서도, 선택적으로 실내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는 것을 실내 환기 및 정화 배기용 모니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내 환기 및 정화 배기용 모니터는, 필터를 통해 실내의 오염공기를 정화한 후 외부로 배기 되도록 하고, 필터에 달라붙은 이물질을 원거리에서 세척 및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실내 환기 및 정화 배기용 모니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내 환기 및 정화 배기용 모니터는, 오염물질(먼지, 유해가스 등)을 발생하는 공장 등의 건축물의 상부에 배치되어 실내의 공기가 실외로 유동 될 수 있도록 하는 골조(10)의 내부에 고정 또는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되, 실내의 오염물질(먼지, 유해가스 등)이 통과되면서 정화되도록 하는 필터부(100); 및 상기 필터부(1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필터부(100)의 상면에 물 또는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필터부(100)를 세척하는 세척부(300);를 포함한다.
오염물질(먼지, 유해가스 등)을 발생하는 공장 등의 건축물의 상부에 배치되어 실내의 공기가 실외로 유동 될 수 있도록 하는 골조(10)의 내부에 배치되되, 실내의 오염물질(먼지, 유해가스 등)이 통과되면서 정화되도록 하는 필터부(100); 상기 필터부(100)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되, 상기 골조(10)의 내부에서 회전되면서 상기 골조(10)의 내부를 폐쇄 또는 개방하면서 실내의 공기가 실외로 배기 되는 양을 조절하는 댐퍼부(200); 및 상기 필터부(1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필터부(100)의 상면에 물 또는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필터부(100)를 세척하는 세척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부(100)는, 상기 골조(10)의 내벽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110)과, 상기 고정프레임(110)의 내측에 배치되어 실내에서 실외로 배기 되는 공기 중 먼지나 에어로졸을 포집하여 정화하는 제1필터(120)와, 상기 제1필터(120)와 적층 되도록 상기 고정프레임(110)의 내측에 배치되어 실내에서 실외로 배기 되는 공기 중 악취와 유해 가스를 제거하는 제2필터(130)를 포함한다.
상기 댐퍼부(200)는, 상기 골조(10)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회전축(210)과, 상기 회전축(210)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210)의 회전에 연동 되면서 상기 골조(10) 내부를 개폐하여 실내에서 실외로 유동 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댐퍼판(220)과, 상기 회전축(210)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210)이 양방향 회전 가능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230)와, 상기 모터(230)를 원거리에서 제어하여 상기 댐퍼판(220)의 개폐 정도를 제어하는 댐퍼제어기(240)를 포함한다.
상기 세척부(300)는, 상기 필터부(100)의 상부에 고정되어 상기 필터부(100)에 세척하는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310)과, 상기 분사노즐(310)에 연결되어 상기 분사노즐(310)에 세척수 또는 세척공기를 공급하는 공급관(320)과, 상기 분사노즐(310)로 세척수가 분사되는 것을 원거리에서 제어하는 세척제어기(330)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부(100)에 연결되어 상기 필터부(100)에 진동을 가하여 상기 필터부(100)에 흡착된 이물질을 털어서 제거하는 진동기(4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댐퍼부(200)는, 상기 댐퍼제어기(240)와 연결되면서 실내에 배치되어 실내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여 상기 댐퍼제어기(240)에 측정값을 전달하는 센서(250)가 더 포함되고, 상기 댐퍼제어기(240)는 상기 센서(250)로부터 측정값을 전달받아 상기 골조(10) 내부의 개폐를 통제한다.
상기 골조(10)의 하부에는, 실내의 공기를 상기 골조(10)를 통해 실외로 강제 배출시키는 환풍기(51)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1필터(120)와 제2필터(130)는, 각각 양각 형성되는 산(140)과, 음각 형성되는 골(150)이 교번 되게 형성되는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골조(10) 내부의 상기 필터부(100)의 하부에는, 상기 필터부(100)의 세척시 낙하 되는 세척수와 이물질의 유동을 안내하는 삼각형 형태의 안내판(160)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판(160)의 하부에는, 상기 안내판(160)의 테두리 하부에 이격 형성되되, 상기 골조(10) 내벽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안내판(160)을 타고 흐르는 세척수 및 이물질이 낙하 되면서 유입되어 상기 골조(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배출로(170)가 구비된다.
상기 골조(10) 내부의 상기 필터부(100)의 상부에는, 상기 필터부(100)를 거친 공기가 상기 골조(10)의 외부로 배기 될 수 있도록 개폐되는 루버(180)가 포함된다.
상기 루버(180)는, 상기 골조(10) 상에서 상기 루버(180)가 개폐될 수 있도록 왕복 운동 되는 루버실린더로드(195)가 구비되는 루버실린더(190)에 의해 원거리에서 개폐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내 환기 및 정화 배기용 모니터는, 실내의 오염된 공기가 정화된 상태로 배기될 수 있도록 하여 실내와 실외가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친환경을 구현하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내 환기 및 정화 배기용 모니터는, 지붕 최상단에 배치되는 지붕 모니터를 통해 실내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양을 조절가능하고, 선택적으로 실내와 실외의 공기소통을 단절 또는 개방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내 환기 및 정화 배기용 모니터는, 필터를 통해 실내의 오염공기가 배기 되면서 공기의 정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면서도 필터에 달라붙은 이물질을 원거리에서 주기적으로 세척 및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환기 및 정화 배기용 모니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환기 및 정화 배기용 모니터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환기 및 정화 배기용 모니터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환기 및 정화 배기용 모니터의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따른 필터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환기 및 정화 배기용 모니터의 다른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환기 및 정화 배기용 모니터의 또 다른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환기 및 정화 배기용 모니터의 또 다른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일 예로 공장 등의 건물 실내의 오염된 공기가 필터를 통해 여과된 후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필터를 원거리에서 세척하여 사용할 수 있는 실내 환기 및 정화 배기용 모니터 [특히, 필터부, 댐퍼부, 세척부 ]의 기술적 구성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환기 및 정화 배기용 모니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실내 환기 및 정화 배기용 모니터는, 공장 등의 실내의 공기가 지붕의 상부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골조(10)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골조(10)의 내부에는, 실내의 공기가 실외로 배기 되면서 정화되도록 하는 필터부(100)와, 상기 필터부(100)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척하는 세척부(300)가 형성된다.
상기 골조(10)에 대해서 설명하면, 상기 골조(10)는, 실내에서 오염물질 및 먼지 등을 발생하는 작업을 하는 공장 등의 건축물의 상측에 장착되어 상기 건축물의 내부와 소통되어 환기공간을 구비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골조(10)에는, 상기 골조(10)의 상부를 덮는 경사지붕(20)이 형성되고, 상기 골조(10)와 상기 경사지붕(20)의 양측에는 판 형상의 복수의 지지판(30), 그리고 복수의 상기 지지판(30)을 연결하며 상기 골조(10) 및 상기 지지판(30)을 감싸는 한 쌍의 외부측벽(40)을 포함한다.
상기 골조(10)는 건축물의 내부 공기가 건축물의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환기공간을 형성하는 측면프레임(11), 서로 마주보는 측면프레임(11)들을 연결하며 측면프레임(11)들을 지지하는 연결프레임(12), 상기 측면프레임(11)에 연결되어 있으며 지지판(30)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3)을 포함한다.
상기 측면프레임(11)은 환기용 모니터가 설치되는 건축물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가 이격 되어 배치된다.
상기 연결프레임(12)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11)을 연결하는 부재이다. 상기 연결프레임(12)의 개수는 측면프레임(11)의 길이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13)은 측면프레임(11)에 연결되는 지지판(30)을 지지하는 부재이다. 또한, 측면프레임(11)의 상측에 연결되는 지지프레임(13)은 측면프레임(11)을 연결하고 지지판(30)을 지지하며, 동시에 경사지붕(20)을 지지한다.
한편, 상기 필터부(100)는, 상기 골조(10) 내의 상기 연결프레임(12)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홀(411)이 형성되는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실내의 오염된 공기가 실외로 배기 될 경우, 상기 필터부(100)가 그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는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이다.
즉, 상기 필터부(100)는, 오염물질(먼지, 유해가스 등)을 발생하는 공장 등의 건축물의 상부에 배치되되 실내의 공기가 실외로 유동 될 수 있도록 하는 골조(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실내의 오염물질(먼지, 유해가스 등)이 통과되면서 정화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필터부(100)는, 다수 개가 적층 되게 형성되어 오염공기의 정화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필터부(100)는, 상기 골조(10)의 내부를 폐쇄하며 배치되되, 상기 골조(10) 내에 거치 된 채로 회전되면서 상기 골조(10)의 내부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축(미도시)에 연결되어 그 회전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부(100)는, 오염공기의 원활한 정화를 위하여 먼지 등의 오염물이 최대한 많이 집진 될 수 있도록 동일 면적에서 최대한 큰 부피를 형성하기 위해 'V'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필터부(100)에 대한 내용은 하기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세척부(300)는, 상기 필터부(1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필터부(100)의 상면에 물 또는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필터부(100)를 세척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세척부(300)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원거리에서 상기 세척부(300)가 동작 되도록 하여 상기 필터부(100)를 세척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세척부(300)에 대한 내용은 하기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골조(10) 내부의 상기 필터부(100)의 상부에는, 상기 필터부(100)를 거친 공기가 상기 골조(10)의 외부로 배기 될 수 있도록 개폐되는 루버(louver)(180)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루버(180)는, 길고 가능 평판을 수평이나 수직 혹은 격자 모양으로 개구부의 앞면에 설치하여 직사광이나 비를 막고, 통풍이나 환기를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상기 루버(180)는, 상기 골조(10) 상에서 상기 루버(180)가 개폐될 수 있도록 왕복 운동 되는 루버실린더로드(195)가 구비되는 루버실린더(190)에 의해 원거리에서 개폐될 수 있다.
즉, 원거리에서 사용자가 상기 루버실린더(190)를 제어하여 상기 루버실린더로드(195)가 상기 루버(180)를 개폐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루버(180) 및 루버실린더(190)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사용되고, 생략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환기 및 정화 배기용 모니터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환기 및 정화 배기용 모니터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실내 환기 및 정화 배기용 모니터는, 공장 등의 실내의 공기가 지붕의 상부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골조(10)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골조(10)의 내부에는, 실내의 공기가 실외로 배기 되면서 정화되도록 하는 필터부(100)와, 상기 필터부(10)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골조(10) 내부를 개폐하면서 실내의 공기가 실외로 배기 되는 양을 조절하는 댐퍼부(200)와, 상기 필터부(100)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척하는 세척부(300)가 형성된다.
상기 골조(10)에 대해서 설명하면, 상기 골조(10)는, 실내에서 오염물질 및 먼지 등을 발생하는 작업을 하는 공장 등의 건축물의 상측에 장착되어 상기 건축물의 내부와 소통되어 환기공간을 구비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골조(10)에는, 상기 골조(10)의 상부를 덮는 경사지붕(20)이 형성되고, 상기 골조(10)와 상기 경사지붕(20)의 양측에는 판 형상의 복수의 지지판(30), 그리고 복수의 상기 지지판(30)을 연결하며 상기 골조(10) 및 상기 지지판(30)을 감싸는 한 쌍의 외부측벽(40)을 포함한다.
상기 골조(10)는 건축물의 내부 공기가 건축물의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환기공간을 형성하는 측면프레임(11), 서로 마주보는 측면프레임(11)들을 연결하며 측면프레임(11)들을 지지하는 연결프레임(12), 상기 측면프레임(11)에 연결되어 있으며 지지판(30)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3)을 포함한다.
상기 측면프레임(11)은 환기용 모니터가 설치되는 건축물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가 이격 되어 배치된다.
상기 연결프레임(12)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11)을 연결하는 부재이다. 상기 연결프레임(12)의 개수는 측면프레임(11)의 길이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13)은 측면프레임(11)에 연결되는 지지판(30)을 지지하는 부재이다. 또한, 측면프레임(11)의 상측에 연결되는 지지프레임(13)은 측면프레임(11)을 연결하고 지지판(30)을 지지하며, 동시에 경사지붕(20)을 지지한다.
상기 측면프레임(11), 연결프레임(12), 지지프레임(13)을 포함하는 골조(10)는 강철 소재의 철봉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 외에도 건축물의 상측에 설치되어 환기용 모니터의 기초 뼈대를 이룰 수 있는 다른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경사지붕(20)은 골조(10)의 상측에 대어지는 판 형상의 부재이다.
상기 경사지붕(20)은 상기 골조(10)의 상부를 폐쇄하여 실내의 공기가 상기 골조(10)의 양측으로 배기 될 수 있도록 하면서 외부의 우수 또는 공기가 상기 골조(10)의 상부로 진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담당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경사지붕(20)은 금속,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건축물 내부의 채광을 위하여 경사지붕의 일부분에는 투명한 재질의 채광판이 형성되어 외부의 빛이 실내로 입사하도록 할 수 있다.
종래 측면프레임(11)과 외부측벽(40)을 철봉 등 골조 형상의 부재를 이용하여 연결하던 것과 달리, 본 발명은 판 형상으로 형성된 지지판(30)으로 측면프레임(11)과 외부측벽(40)을 연결하여 연결강도를 보강하였다.
또한, 상기 측면프레임(11)과 외부측벽(40)을 연결하는 지지판(30)만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측면프레임(11), 연결프레임(12) 및 지지프레임(13) 등은 판 형상이 아닌 골조로 이루어져 있어 태풍 등 강한 풍속의 바람에 손상이 가지 아니한다.
그리고, 상기 외부측벽(40)과 골조(10)가 판 형상의 지지판(30)에 의해 연결되므로 상기 외부측벽(40)의 외부측면에서 강한 바람이 불어와도 외부측벽(40)의 형태가 변하는 등의 손상이 발생하지 아니한다.
한편, 상기 지지판(30)은, 테두리 외면이 면을 이루기 때문에 상기 지지판(30)이 측면프레임(11) 및 외부측벽(40)과 볼트 등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지지판(30) 플랜지의 역할을 하여 상기 측면프레임(11) 및 외부측벽(40)과 볼트, 리벳, 나사못 등에 의해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고층에서의 작업이 용이하게 되어 인부들의 설치 작업이 편리해질 수 있다.
상기 외부측벽(40)의 단면은 각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각 없이 둥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측벽(40)은 종래와 같이 용접에 의해 지지판(30)과 연결될 수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볼트, 리벳 또는 나사못과 같은 별도의 볼트 등에 의해 상기 지지판(30)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외부측벽(40)은 강판 또는 아연도강판 등 칼라강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칼라강판으로 외부측벽(40)을 형성하는 경우, 일반 강판에 비해 내부식성이 강하여 산성비 등에 노출되어도 부식이 일어나는 정도가 약하다는 효과가 있다.
상기 외부측벽(40)에는 실내에서 상기 골조(10)의 내부로 유동 되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 가능하도록 돌출되어 있는 복수의 돌출부(4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41)는 외부측벽(40)의 외측면에 전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지만, 상기 외부측벽(40) 외측의 하부에만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돌출부(41)는 홀(411)과 덮개부(412)를 포함한다.
실내와 실외를 서로 소통하여 건축물의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외부측벽(40)에 홀(411)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골조(10)는 막대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실내에서 상기 골조(10)로 상승한 공기는, 상기 외부측벽(40)에 형성되는 홀(411)을 통해 실내에서 실외로 배기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덮개부(412)는 빗물이나 먼지 등 외부 이물질은 상기 골조(10)의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홀(411)의 둘레를 따라 외부측벽(40)에서 돌출되어 있다. 또한,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배출 가능하도록 덮개부(412)의 일측은 개방되어 있다.
내부 공기는 배출되고 외부 이물질은 유입되지 못하도록 상기 덮개부(412)는 지면을 향하고 있는 일면이 개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골조(10)의 하부를 이루는 상기 연결프레임(12)의 하부에는 환풍기(51)가 설치되어 있다. 환풍기(51)는 서로 마주하는 측면프레임(11)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12)마다 구비되어 복수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환풍기(51)는 건축물 내부 공기가 강제적으로 승강 되도록 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건축물 실내에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유입하고자 할 때에는 환풍기(51)를 역회전하여 외부 공기가 건축물 내부로 유입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도 한다.
이러한 건축물 내부 공기의 강제 배기의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환풍기(51)는 골조(10)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필터부(100)는, 상기 골조(10) 내의 상기 연결프레임(12)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홀(411)이 형성되는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실내의 오염된 공기가 실외로 배기 될 경우, 상기 필터부(100)가 그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는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이다.
즉, 상기 필터부(100)는, 오염물질(먼지, 유해가스 등)을 발생하는 공장 등의 건축물의 상부에 배치되되 실내의 공기가 실외로 유동 될 수 있도록 하는 골조(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실내의 오염물질(먼지, 유해가스 등)이 통과되면서 정화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필터부(100)는, 다수 개가 적층 되게 형성되어 오염공기의 정화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필터부(100)에 대한 내용은 하기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댐퍼부(200)는, 상기 필터부(100)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되, 상기 골조(10)의 내부에서 회전되면서 상기 골조(10)의 내부를 폐쇄 또는 개방하면서 실내의 공기가 실외로 배기 되는 양을 조절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즉, 공장 내에서는 오염공기를 지속적으로 배출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공장 내에서 오염된 공기가 발생 되지 않을 경우, 상기 댐퍼부(200)는, 상기 골조(10) 상에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실내의 오염된 공기의 배기 되는 양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댐퍼부(200)는 상기 골조(10) 상에서 개방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댐퍼부(200)는 상기 골조(10)의 하부를 이루는 상기 연결프레임(12)의 상부와 상기 필터부(100)의 하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댐퍼부(200)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연결프레임(12)과 상기 환풍기(5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댐퍼부(200)에 대한 내용은 하기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세척부(300)는, 상기 필터부(1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필터부(100)의 상면에 물 또는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필터부(100)를 세척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세척부(300)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원거리에서 상기 세척부(300)가 동작 되도록 하여 상기 필터부(100)를 세척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세척부(300)에 대한 내용은 하기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골조(10) 내부의 상기 필터부(100)의 상부에는, 상기 필터부(100)를 거친 공기가 상기 골조(10)의 외부로 배기 될 수 있도록 개폐되는 루버(louver)(180)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루버(180)는, 상기 측면프레임(11)과 다른 측면프레임 사이에 부양된 채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루버(180)는, 길고 가능 평판을 수평이나 수직 혹은 격자 모양으로 개구부의 앞면에 설치하여 직사광이나 비를 막고, 통풍이나 환기를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상기 루버(180)는, 상기 골조(10) 상에서 상기 루버(180)가 개폐될 수 있도록 왕복 운동 되는 루버실린더로드(195)가 구비되는 루버실린더(190)에 의해 원거리에서 개폐될 수 있다.
즉, 원거리에서 사용자가 상기 루버실린더(190)를 제어하여 상기 루버실린더로드(195)가 상기 루버(180)를 개폐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루버(180) 및 루버실린더(190)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사용되고, 생략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환기 및 정화 배기용 모니터의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따른 필터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도 4 및 도 5를 살펴보면,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공장 등의 실내의 공기가 지붕의 상부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골조(10)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골조(10)의 내부에는, 실내의 공기가 실외로 배기 되면서 정화되도록 하는 필터부(100)와, 상기 필터부(100)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골조(10) 내부를 개폐하면서 실내의 공기가 실외로 배기 되는 양을 조절하는 댐퍼부(200)와, 상기 필터부(100)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척하는 세척부(30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골조(10)에 대한 상기의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필터부(100)는, 오염물질(먼지, 유해가스 등)을 발생하는 공장 등의 건축물의 상부에 배치되되 실내의 공기가 실외로 유동 될 수 있도록 하는 골조(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실내의 오염물질(먼지, 유해가스 등)이 통과되면서 정화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 필터부(100)는, 상기 측면프레임(11)에 고정되되 상기 연결프레임(12)의 상부에 이격 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필터부(100)는, 상기 골조(10)의 내벽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110)과, 상기 고정프레임(110)의 내측에 배치되어 실내에서 실외로 배기 되는 공기 중 먼지나 에어로졸을 포집하여 정화하는 제1필터(1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부(100)는, 상기 제1필터(120)와 적층 되도록 상기 고정프레임(110)의 내측에 배치되어 실내에서 실외로 배기 되는 공기 중 악취와 유해 가스를 제거하는 제2필터(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프레임(110)은, 상기 골조(10)의 측벽을 이루는 측면프레임(11)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실내의 공기가 상기 필터부(100)가 형성된 위치로 강재로 이송되도록 하기위해 상기 골조(10) 하부에 형성되는 환풍기(51)가 사용된다.
즉, 상기 환풍기(51)의 동작에 의해 실내의 공기가 상기 필터부(100)가 형성된 위치로 강제이송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상기 환풍기(51)를 통해 강제이송된 오염공기는 상기 제1필터(120)와 제2필터(130)를 거치면서 정화된 후 외부측벽(40)에 다수 개가 형성되는 돌출부(41)의 홀(411)을 통해 외부로 배기 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필터부(100)의 배치위치는 상기 골조(10)의 상기 측편프레임(11)에 고정되되, 상기 홀(411)이 형성된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필터(120)로는, 전치필터(prefilter)가 사용될 수 있고, 실내의 먼지 등 비교적 입자가 큰 먼지나 에어로졸을 포집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제1필터(120)는 난연성 및 불연성 재료인 함석 또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금속프레임과 글래스화이버를 여재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필터(130)로는, 활성탄필터(charcoalfilter)가 사용될 수 있고, 공기 중의 증기를 흡착하여 공기를 정화하고,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악취와 유해 가스 등을 제거하는 여과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제2필터(130)는 활성탄층을 사각의 틀에 부착시켜 사용하게 된다.
이때, 활성탄층은 야자껍질, 목재, 석탄 등을 원료로 하여 고온에서 소성 활성화 시켜 분자크기 정도의 미세기공이 형성되게 되면서 피 흡착질 분자인 오염물질이 활성탄층에 흡착되도록 하여 공기를 정화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필터부(100)의 필터는, 일 실시 예일 뿐 실내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시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면 다양한 종류와 형태의 필터가 사용될 수 있고, 미세먼지나 세균 및 곰팡이 등의 유해물질을 여과하는 후단 여과기 등도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부(100)의 필터로, 상기 제1필터(120)에서 걸러주지 못하는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미세유리섬유(micro glass fiber)로 이루어진 미디움필터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2필터(120, 130)의 배치위치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고, 전기집진필터 등 다양한 종류의 필터가 사용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특히, 상기 필터부(100)에는, 상기 필터부(100)에 연결되어 상기 필터부(100)에 진동을 가하여 상기 필터부(100)에 흡착된 이물질을 털어서 제거하는 진동기(vibrator)(400)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진동기(400)는, 상기 고정프레임(110)의 상면 또는 하면에 배치되어 진동이 발생 되도록 하여 상기 제1필터(120)와 상기 제2필터(130)에 흡착된 이물질을 털어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진동기(400)는, 전기를 제공받아 상기 고정프레임(110) 상에서 진동을 발생하여 상기 제1필터(120)와 상기 제2필터(130)가 흔들리면서 상기 제1필터(120)와 상기 제2필터(130)에 흡착된 이물질이 이탈되면서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진동기(400)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원거리에서 상기 진동기(400)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진동기(400)를 통해 주기적으로 상기 제1필터(120)와 상기 제2필터(130)에 흡착된 이물질을 털어내어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제1필터(120)와 제2필터(130)는, 오염된 공기의 집진을 유도하기 위해, 각각 양각 형성되는 산(140)과, 음각 형성되는 골(150)이 교번 되게 형성되는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120)와 제2필터(130)는, 단면이 'V' 형태 또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필터(120)와 제2필터(130)의 형상으로 인해, 오염된 공기가 상기 제1필터(120)와 제2필터(130)를 통과시에 오염된 공기가 통과되는 면적을 최대화하여 오염된 공기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효율을 최적화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필터(120)와 제2필터(130)의 형태는 일 실시 예일 뿐, 상기 필터부(100)에서 오염된 공기의 이물질을 원활하게 걸러낼 수 있다면 상기 제1필터(120)와 제2필터(130)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이렇게, 상기 제1필터(120)와 제2필터(130)는,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걸러내어 정화된 공기가 상기 돌출부(41)에 형성되는 상기 홀(411)을 통해 실외로 배기 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상기 제1필터(120)와 제2필터(130)는, 상기 제1필터(120)와 제2필터(130)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기 세척부(300)에 의해 물 또는 공기를 통해 주기적으로 세척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댐퍼부(200)가 회전되면서 상기 제1필터(120)와 제2필터(130)로 유입되는 오염공기의 양이 제어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환기 및 정화 배기용 모니터의 다른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도 6을 살펴보면,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공장 등의 실내의 공기가 지붕의 상부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골조(10)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골조(10)의 내부에는, 실내의 공기가 실외로 배기 되면서 정화되도록 하는 필터부(100)와, 상기 필터부(10)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골조(10) 내부를 개폐하면서 실내의 공기가 실외로 배기 되는 양을 조절하는 댐퍼부(200)와, 상기 필터부(100)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척하는 세척부(30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댐퍼부(200)는, 상기 필터부(100)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되, 상기 골조(10)의 내부에서 회전되면서 상기 골조(10)의 내부를 폐쇄 또는 개방하면서 실내의 공기가 실외로 배기 되는 양을 조절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골조(10)는 건축물의 내부 공기가 건축물의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환기공간을 형성하는 측면프레임(11), 서로 마주보는 측면프레임(11)들을 연결하며 측면프레임(11)들을 지지하는 연결프레임(12)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상기 댐퍼부(200)는, 상기 골조(10)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회전축(210)과, 상기 회전축(210)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210)의 회전에 연동 되면서 상기 골조(10) 내부를 개폐하여 실내에서 실외로 유동 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댐퍼판(22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댐퍼부(200)는, 상기 회전축(210)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210)이 양방향 회전 가능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230)와, 상기 모터(230)를 원거리에서 제어하여 상기 댐퍼판(220)의 개폐 정도를 제어하는 댐퍼제어기(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댐퍼부(200)는, 상기 댐퍼제어기(240)와 연결되면서 실내에 배치되어 실내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여 상기 댐퍼제어기(240)에 측정값을 전달하는 센서(250)가 더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210)은, 상기 모터(23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댐퍼판(220)을 양방향으로 회전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댐퍼판(220)은, 상기 회전축(210)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210)이 회전되는 방향으로 연동 되게 회전되면서 상기 골조(10) 내부를 개폐하여 실내의 공기가 상기 댐퍼판(220)을 통과하는 양을 제어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모터(230)는, 상기 댐퍼판(220)의 회전이 상기 연결프레임(12)에 간섭되지 않는다면, 상기 골조(10) 하부에 형성된 상기 연결프레임(12)의 상면에 부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댐퍼판(220)의 회전에 상기 연결프레임(12)이 간섭된다면, 상기 모터(230)는 상기 연결프레임(12) 위에 별도로 설치되는 지지대(15)를 통해 견고하게 고정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댐퍼판(220)은, 실내에 오염되지 않은 공기가 형성될 경우, 개방하여 실내의 공기가 환풍기(51)의 강제이송을 통해 외부측벽(40)에 다수 개가 형성되는 홀(411)을 통해 외부로 배기 되게 된다.
이렇게 상기 댐퍼판(220)이 개방되었다는 의미는 상기 댐퍼판(220)이 상기 골조(10)의 길이방향인 상하의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를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댐퍼판(220)이 폐쇄되었다는 의미는 상기 댐퍼판(220)이 상기 골조(10)의 폭 방향인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상태를 의미한다.
한편, 상기 댐퍼제어기(240)는, 상기 센서(250)로부터 측정값을 전달받아 상기 골조(10) 내부의 개폐를 통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댐퍼제어기(240)는, 상기 골조(10)에는 환풍기(51)의 작동을 통제할 수 있다.
상기 댐퍼제어기(240)는 스위치로 이루어져 환풍기(51)의 작동 여부를 수동으로 통제할 수 있다. 또는 환풍기(51)의 동작 강도를 조절하여 건축물 내부 공기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댐퍼부(200)는, 상기 필터부(100)의 하부와 상기 환풍기(51)의 상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환풍기(51)를 통해 강제이송된 오염된 공기를 포함하는 공기가 상기 댐퍼부(200)의 상기 댐퍼판(220)의 개폐 상태에 따라, 상기 필터부(100)로 이송되거나 또는 상기 댐퍼판(220)에 의해 차단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댐퍼판(220)은, 상기 회전축(210)의 회전에 따라 다양한 경사를 가지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여, 실내의 공기가 상기 댐퍼판(220)의 고정형태에 따라 외부로 이송될 수 있는 양이 조절되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댐퍼판(220)이 개방될 경우 오염된 공기를 포함하는 공기가 상기 필터부(100)로 이송되어 정화된 후, 상기 외부측벽(40)에 다수 개가 형성되는 상기 홀(411)을 통해 외부로 배기 되게 된다.
한편, 상기 댐퍼부(200)에 포함되는 상기 센서(250)는, 상기 골조(10)의 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환풍기(51)의 하부에 상기 환풍기(51)와 연결되도록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센서(250)는 건축물 내부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여 댐퍼제어기(240)에 연결되어 상기 댐퍼제어기(240)에 측정값을 전달한다.
상기 센서(250)는 일례로 건축물 내부에 잔존하는 공기의 양을 측정하는 센서 또는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내부 공기의 배출량 또는 이동 속도를 감지하여 내부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댐퍼제어기(240)는 센서(250)로부터 건축물 내부 공기의 오염도에 대한 측정값을 전달받아 환풍기(51)의 작동을 자동적으로 통제할 수 있다.
일례로 댐퍼제어기(240)는 건축물 내부의 오염공기의 농도가 200㎍/㎥이상이면 환풍기(51)를 작동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때, 환풍기(51)의 동작을 강, 약으로 구분하여 오염농도가 300㎍/㎥ 이상이면 댐퍼제어기(240)는 환풍기(51)의 동작 강도를 약에서 강으로 변환하여 실내 공기의 배기 효율이 높아지도록 통제할 수 있다.
이때, 건축물 내부의 오염공기 농도에 따라 상기 댐퍼제어기(240)가 환풍기(51)를 작동하도록 하는 동작에서 건축물 내부의 오염공기 농도는 일 실시 예일 뿐,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하여 상기 댐퍼제어기(240) 및 상기 환풍기(510)가 작동되도록 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여기서, 상기 댐퍼판(240)은, 상기 회전축(210)과 상기 모터(230)를 통해 상기 골조(10)를 개방하였지만,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실린더(미도시)와 실린더로드(미도시)를 통해 상기 댐퍼판(240)이 상기 골조(10)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환기 및 정화 배기용 모니터의 또 다른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도 7을 살펴보면,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공장 등의 실내의 공기가 지붕의 상부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골조(10)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골조(10)의 내부에는, 실내의 공기가 실외로 배기 되면서 정화되도록 하는 필터부(100)와, 상기 필터부(10)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골조(10) 내부를 개폐하면서 실내의 공기가 실외로 배기 되는 양을 조절하는 댐퍼부(200)와, 상기 필터부(100)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척하는 세척부(300)가 형성된다.
상기 골조(10)에 대한 상기와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세척부(300)는, 상기 필터부(1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필터부(100)의 상면에 물 또는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필터부(100)를 세척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세척부(300)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원거리에서 상기 세척부(300)가 동작 되도록 하여 상기 필터부(100)를 세척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세척부(300)는, 상기 필터부(100)의 상부에 고정되어 상기 필터부(100)에 세척하는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310)과, 상기 분사노즐(310)에 연결되어 상기 분사노즐(310)에 세척수 또는 세척공기를 공급하는 공급관(32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척부(300)는, 상기 분사노즐(310)로 세척수가 분사되는 것을 원거리에서 제어하는 세척제어기(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사노즐(310)은, 상기 필터부(100)의 상부 전면에 물 또는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필터부(100)이 흡착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분사노즐(310)은 상기 필터부(100)의 상부에 이격 된 채로, 상기 필터부(100)를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급관(320)은, 상기 분사노즐(310)에 세척수 또는 세척공기를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공급관(320)은, 상기 골조(10)의 외부에서 상기 측면프레임(11)을 관통하여 상기 분사노즐(310)이 상기 필터부(1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실내에서 상기 골조(10)의 내부로 진입되어 상기 분사노즐(310)이 상기 필터부(1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세척제어기(330)는, 실내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세척제어기(330)를 통해 세척수 또는 세척공기가 상기 필터부(100)에 공급되어 상기 필터부(100)를 세척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여기서, 상기 분사노즐(310)을 통해 세척수 또는 세척공기가 공급될 경우, 상기 분사노즐(310)이 상기 필터부(100)에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압력으로 세척수 또는 세척공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콘프레샤(미도시) 등의 압력발생기가 사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세척부(300)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필터부(100)를 원거리에서도 주기적으로 세척가능하게 되므로, 상기 필터부(100)의 교체시기를 연장시킬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환기 및 정화 배기용 모니터의 또 다른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도 8을 살펴보면,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공장 등의 실내의 공기가 지붕의 상부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골조(10)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골조(10)의 내부에는, 실내의 공기가 실외로 배기 되면서 정화되도록 하는 필터부(100)와, 상기 필터부(10)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골조(10) 내부를 개폐하면서 실내의 공기가 실외로 배기 되는 양을 조절하는 댐퍼부(200)와, 상기 필터부(100)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척하는 세척부(300)가 형성된다.
상기 골조(10)에 대한 상기와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세척부(300)는, 상기 필터부(1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필터부(100)의 상면에 물 또는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필터부(100)를 세척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상기 골조(10) 내부의 상기 필터부(100)의 하부에는, 상기 필터부(100)의 세척시 낙하 되는 세척수와 이물질의 유동을 안내하는 삼각형 형태의 안내판(16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판(160)의 하부에는, 상기 안내판(160)의 테두리 하부에 이격 형성되되, 상기 골조(10) 내벽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안내판(160)을 타고 흐르는 세척수 및 이물질이 낙하 되면서 유입되어 상기 골조(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배출로(170)가 구비된다.
상기 필터부(100)에는, 상기 필터부(100)에 연결되어 상기 필터부(100)에 진동을 가하여 상기 필터부(100)에 흡착된 이물질을 털어서 제거하는 진동기(vibrator)(400)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진동기(400)는, 상기 고정프레임(110)의 상면 또는 하면에 배치되어 진동이 발생 되도록 하여 상기 필터부(100)에 흡착된 이물질을 털어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세척부(300)와 상기 진동기(400)를 통해 상기 필터부(100)에서 이탈되어 낙하 되는 이물질은 상기 필터부(100)의 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안내판(160)에 모두 낙하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안내판(160)은, 상기 필터부(100)의 세척시 낙하 되는 세척수와 이물질의 유동에 간섭되지 않은 채로, 상기 측면프레임(11)에 고정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안내판(160)은, 상기 필터부(100)의 하부에 배치되되, 단면이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필터부(100)에서 상기 안내판(160)으로 낙하 되는 이물질이 상기 안내판(160)의 상면을 타고 양측으로 유동 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이렇게 상기 안내판(160)의 양측으로 유동 된 이물질은 상기 배출로(170)로 유입되게 된다.
상기 배출로(170)는, 상기 안내판(160)의 양측 테두리 하부에 상기 안내판(160)과 이격 된 상태로 상기 측면프레임(11)에 고정배치되게 된다.
상기 배출로(170)는, 내부로 이물질이 수용된 상태로 유동 될 수 있도록 음각 형성되는 요홈(172)이 형성된다.
즉, 상기 진동기(400)의 진동과 상기 세척부(300)의 세척을 통해 상기 필터부(100)에 흡착된 이물질이 상기 안내판(160)으로 낙하 된 후, 그 이물질이 상기 안내판(160)의 경사면을 따라 유동 되어 상기 배출로(170)의 요홈(172)으로 진입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안내판(160)과 상기 배출로(170)의 사이는 상호 이격 되게 형성되어, 그 사이 공간을 통해 상기 댐퍼부(200)를 지난 공기가 상기 필터부(100)로 유동 되는데 전혀 간섭되지 않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상기 배출로(170)의 요홈(172)으로 진입된 이물질은 상기 배출로(170)에서 유동 되어 이물질저장조(미도시)로 이송되어 저장된 후 차후에 폐기되거나, 상기 골조(10)의 외부로 배출되어 폐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실내의 오염된 공기가 정화된 상태로 배기될 수 있도록 하여 실내와 실외가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친환경을 구현하는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지붕 최상단에 배치되는 지붕 모니터를 통해 실내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양을 조절가능하고, 선택적으로 실내와 실외의 공기소통을 단절 또는 개방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더불어, 필터를 통해 실내의 오염공기가 배기 되면서 공기의 정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면서도 필터에 달라붙은 이물질을 원거리에서 주기적으로 세척 및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골조 11 : 측면프레임
12 : 연결프레임 13 : 지지프레임
15 : 지지대
20 : 경사지붕 30 : 지지판
40 : 외부측벽 41 : 돌출부
411 : 홀 412 : 덮개부
51 : 환풍기
100 : 필터부 110 : 고정프레임
120 : 제1필터 130 : 제2필터
140 : 산 150 : 골
160 : 안내판 170 : 배출로
172 : 요홈
200 : 댐퍼부 210 : 회전축
220 : 댐퍼판 230 : 모터
240 : 댐퍼제어기 250 : 센서
300 : 세척부 310 : 분사노즐
320 : 공급관 330 : 세척제어기
400 : 진동기

Claims (12)

  1. 삭제
  2. 오염물질을 발생하는 공장 등의 건축물의 상부에 배치되어 실내의 공기가 실외로 유동 될 수 있도록 하는 골조(10)의 내부에 배치되되, 실내의 유해가스가 통과되면서 정화되도록 하는 필터부(100);
    상기 필터부(100)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되, 상기 골조(10)의 내부에서 회전되면서 상기 골조(10)의 내부를 폐쇄 또는 개방하면서 실내의 공기가 실외로 배기 되는 양을 조절하는 댐퍼부(200); 및
    상기 필터부(1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필터부(100)의 상면에 물 또는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필터부(100)를 세척하는 세척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골조(10) 내부의 상기 필터부(100)의 하부에는 상기 필터부(100)의 세척시 낙하 되는 세척수와 이물질의 유동을 안내하는 삼각형 형태의 안내판(160)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판(160)의 하부에는 상기 안내판(160)의 테두리 하부에 이격 형성되되, 상기 골조(10) 내벽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안내판(160)을 타고 흐르는 세척수 및 이물질이 낙하 되면서 유입되어 상기 골조(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배출로(17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기 및 정화 배기용 모니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100)는,
    상기 골조(10)의 내벽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110)과,
    상기 고정프레임(110)의 내측에 배치되어 실내에서 실외로 배기 되는 공기 중 먼지나 에어로졸을 포집하여 정화하는 제1필터(120)와,
    상기 제1필터(120)와 적층 되도록 상기 고정프레임(110)의 내측에 배치되어 실내에서 실외로 배기 되는 공기 중 악취와 유해 가스를 제거하는 제2필터(130)를 포함하는 실내 환기 및 정화 배기용 모니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부(200)는,
    상기 골조(10)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회전축(210)과,
    상기 회전축(210)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210)의 회전에 연동 되면서 상기 골조(10) 내부를 개폐하여 실내에서 실외로 유동 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댐퍼판(220)과,
    상기 회전축(210)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210)이 양방향 회전 가능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230)와,
    상기 모터(230)를 원거리에서 제어하여 상기 댐퍼판(220)의 개폐 정도를 제어하는 댐퍼제어기(240)를 포함하는 실내 환기 및 정화 배기용 모니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300)는,
    상기 필터부(100)의 상부에 고정되어 상기 필터부(100)에 세척하는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310)과,
    상기 분사노즐(310)에 연결되어 상기 분사노즐(310)에 세척수 또는 세척공기를 공급하는 공급관(320)과,
    상기 분사노즐(310)로 세척수가 분사되는 것을 원거리에서 제어하는 세척제어기(330)를 포함하는 실내 환기 및 정화 배기용 모니터.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100)에 연결되어 상기 필터부(100)에 진동을 가하여 상기 필터부(100)에 흡착된 이물질을 털어서 제거하는 진동기(400)를 더 포함하는 실내 환기 및 정화 배기용 모니터.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부(200)는,
    상기 댐퍼제어기(240)와 연결되면서 실내에 배치되어 실내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여 상기 댐퍼제어기(240)에 측정값을 전달하는 센서(250)가 더 포함되고,
    상기 댐퍼제어기(240)는 상기 센서(250)로부터 측정값을 전달받아 상기 골조(10) 내부의 개폐를 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기 및 정화 배기용 모니터.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골조(10)의 하부에는,
    실내의 공기를 상기 골조(10)를 통해 실외로 강제 배출시키는 환풍기(51)를 더 포함하는 실내 환기 및 정화 배기용 모니터.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터(120)와 제2필터(130)는,
    각각 양각 형성되는 산(140)과, 음각 형성되는 골(150)이 교번 되게 형성되는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기 및 정화 배기용 모니터.
  10. 삭제
  1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골조(10) 내부의 상기 필터부(100)의 상부에는,
    상기 필터부(100)를 거친 공기가 상기 골조(10)의 외부로 배기 될 수 있도록 개폐되는 루버(180)가 포함되는 실내 환기 및 정화 배기용 모니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루버(180)는,
    상기 골조(10) 상에서 상기 루버(180)가 개폐될 수 있도록 왕복 운동 되는 루버실린더로드(195)가 구비되는 루버실린더(190)에 의해 원거리에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기 및 정화 배기용 모니터.
KR1020130103571A 2013-08-30 2013-08-30 실내 환기 및 정화 배기용 모니터 KR101376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3571A KR101376553B1 (ko) 2013-08-30 2013-08-30 실내 환기 및 정화 배기용 모니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3571A KR101376553B1 (ko) 2013-08-30 2013-08-30 실내 환기 및 정화 배기용 모니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6553B1 true KR101376553B1 (ko) 2014-03-20

Family

ID=50649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3571A KR101376553B1 (ko) 2013-08-30 2013-08-30 실내 환기 및 정화 배기용 모니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6553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9205A (ko) 2014-12-08 2016-06-16 조덕현 환기용 모니터
KR20160081294A (ko) 2014-12-31 2016-07-08 장희정 공조장치 일체형 환기용 모니터
KR20170015434A (ko) 2017-01-31 2017-02-08 조덕현 환기용 모니터
WO2017099497A1 (ko) * 2015-12-09 2017-06-15 유건렬 홈 공기청정화 시스템
KR20180003524A (ko) 2017-12-29 2018-01-09 조덕현 환기용 모니터
KR101964903B1 (ko) * 2018-05-24 2019-08-07 주식회사 디에이피 개방공간용 공기정화장치
KR102360701B1 (ko) 2021-01-22 2022-02-14 김주형 작업통로를 구비한 지붕의 환기장치
KR102670933B1 (ko) * 2023-06-28 2024-06-03 (주)포스코이앤씨 세정시스템이 구비된 워크웨이 일체형 모니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0123B1 (ko) * 2011-03-24 2012-10-25 한국 창호 자동화 주식회사 공압식 다각 시스템 루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0123B1 (ko) * 2011-03-24 2012-10-25 한국 창호 자동화 주식회사 공압식 다각 시스템 루버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9205A (ko) 2014-12-08 2016-06-16 조덕현 환기용 모니터
KR20160081294A (ko) 2014-12-31 2016-07-08 장희정 공조장치 일체형 환기용 모니터
WO2017099497A1 (ko) * 2015-12-09 2017-06-15 유건렬 홈 공기청정화 시스템
KR20170068320A (ko) * 2015-12-09 2017-06-19 유건렬 홈 공기청정화 시스템
KR101962411B1 (ko) * 2015-12-09 2019-03-26 유건렬 홈 공기청정화 시스템
KR20170015434A (ko) 2017-01-31 2017-02-08 조덕현 환기용 모니터
KR20180003524A (ko) 2017-12-29 2018-01-09 조덕현 환기용 모니터
KR101964903B1 (ko) * 2018-05-24 2019-08-07 주식회사 디에이피 개방공간용 공기정화장치
KR102360701B1 (ko) 2021-01-22 2022-02-14 김주형 작업통로를 구비한 지붕의 환기장치
KR102670933B1 (ko) * 2023-06-28 2024-06-03 (주)포스코이앤씨 세정시스템이 구비된 워크웨이 일체형 모니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6553B1 (ko) 실내 환기 및 정화 배기용 모니터
CN113574324B (zh) 塔式空气净化装置及其空气净化方法
CN103055613B (zh) 带自洁装置的空气过滤装置
KR20180080803A (ko) 옥외 미세먼지 및 오염물질 제거를 위한 도로 주변의 실외용 공기청정시스템
CN204134434U (zh) 一种大灰量喷漆废气处理装置
CN110354603A (zh) 一种喷漆漆雾除尘废气净化一体机
CN104436928B (zh) 一种湿式除尘装置
CN104776521A (zh) 一种双层幕墙式大楼空气净化系统及空气净化方法
CN201181066Y (zh) 一种空气净化加湿器
KR200492136Y1 (ko) 차량 도장부스의 방지시설
KR102256209B1 (ko) 실내 공기 정화장치
CN107345701A (zh) 一种净化加湿单元及新型空气净化环保产品
CN102758463A (zh) 一种挖掘机除尘装置
CN108758909A (zh) 一种适用于城市户外公共场所的自动化灰尘净化装置
CN210278614U (zh) 一种泡沫除尘装置及具有其的烤漆房
CN202254147U (zh) 轨道车辆空调机组二次新风进风结构
CN204141786U (zh) 一种净化式新风设备
CN105088995A (zh) 道路除尘系统
KR102462508B1 (ko) 도장부스의 정화장치
CN103071345A (zh) 一种新型抗结露袋式除尘器
CN104492173A (zh) 一种三级空气过滤系统
KR102161633B1 (ko) 분진 및 온실가스 저감장치
KR102085298B1 (ko) 옥외 설치형 공기청정시스템
KR200366738Y1 (ko) 도장용 터빈이 장착된 집진기
CN107781916B (zh) 一种空气净化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