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5297A - 도광판용 유리판 - Google Patents

도광판용 유리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5297A
KR20170015297A KR1020167033034A KR20167033034A KR20170015297A KR 20170015297 A KR20170015297 A KR 20170015297A KR 1020167033034 A KR1020167033034 A KR 1020167033034A KR 20167033034 A KR20167033034 A KR 20167033034A KR 20170015297 A KR20170015297 A KR 201700152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glass layer
layer
refractive index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3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오야 와다
유스케 아라이
히로유키 히지야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15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52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76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 C03C3/083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aluminium oxide or an iron compound
    • C03C3/085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aluminium oxide or an iron compound containing an oxide of a divalent metal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34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34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 C03C17/36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being a metal
    • C03C17/3602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being a metal the metal being present as a layer
    • C03C17/3657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being a metal the metal being present as a layer the multilayer coating having optical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76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 C03C3/083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aluminium oxide or an iron compound
    • C03C3/085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aluminium oxide or an iron compound containing an oxide of a divalent metal
    • C03C3/087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aluminium oxide or an iron compound containing an oxide of a divalent metal containing calcium oxide, e.g. common sheet or container 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76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 C03C3/089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boron
    • C03C3/091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boron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76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 C03C3/089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boron
    • C03C3/091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boron containing aluminium
    • C03C3/093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boron containing aluminium containing zinc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76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 C03C3/095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rare earth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76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 C03C3/11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halogen or nitroge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4Scattering dots or dot-like elements, e.g. microbeads, scattering particles, nanoparticles
    • G02B6/0043Scattering dots or dot-like elements, e.g. microbeads, scattering particles, nanoparticle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5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8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varying in density, size, shape or depth along the light guide
    • G02B6/0061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varying in density, size, shape or depth along the light guide to provide homogeneous light output intensit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5Manufacturing aspects; Material aspec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유리판은, 제1 유리층, 상기 제1 유리층과는 반대측의 제2 유리층, 및 상기 제1 유리층과 상기 제2 유리층의 사이에 형성되는 중간 유리층인 제3 유리층을 갖고, 판 두께 방향으로 3층 구조를 갖는 도광판용 유리판이며, 상기 제1 유리층의 두께를 t1B1, 상기 제2 유리층의 두께를 t1B2, 상기 제3 유리층의 두께를 t1C, 상기 제1 유리층의 굴절률을 n1B1, 상기 제2 유리층의 굴절률을 n1B2, 상기 제3 유리층의 굴절률을 n1C라고 한 경우, t1C/(t1B1+t1B2+t1C)<0.03, n1C>n1B1, n1C>n1B2를 만족하는, 도광판용 유리판이다.

Description

도광판용 유리판 {GLASS PLATE FOR LIGHT-GUIDE PLATE}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도광판용 유리판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패널과, 액정 패널과 대향하는 도광판으로서의 유리판과, 유리판을 통하여 액정 패널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을 구비한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광원으로부터의 광은, 유리판의 단부면으로부터 내부로 들어가, 표면 반사를 반복하여 내부 전체에 퍼지고, 유리판에서의 액정 패널과의 대향면으로부터 나와, 액정 패널을 균일하게 비춘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4-252383호 공보
유리판의 성형 방법으로서는 퓨전법, 플로트법 등이 사용된다. 또한, 성형 후에 화학 강화 처리가 실시되는 경우가 있다.
퓨전법으로 성형된 경우, 또는 플로트법으로 성형된 후에 화학 강화된 경우, 유리판은 판 두께 방향으로 3층 구조를 갖는다.
또한, 퓨전법으로 성형된 후에 화학 강화된 경우, 유리판은 판 두께 방향으로 5층 구조를 갖는다.
종래, 3층 구조나 5층 구조의 도광판으로부터의 광의 휘도가 낮았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이며, 도광판으로부터의 광의 휘도를 개선한, 도광판용 유리판의 제공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제1 유리층, 상기 제1 유리층과는 반대측의 제2 유리층, 및 상기 제1 유리층과 상기 제2 유리층의 사이에 형성되는 중간 유리층인 제3 유리층을 갖고, 판 두께 방향으로 3층 구조를 갖는 도광판용 유리판이며,
상기 제1 유리층의 두께를 t1B1, 상기 제2 유리층의 두께를 t1B2, 상기 제3 유리층의 두께를 t1C, 상기 제1 유리층의 굴절률을 n1B1, 상기 제2 유리층의 굴절률을 n1B2, 상기 제3 유리층의 굴절률을 n1C라고 한 경우,
Figure pct00001
을 만족하는, 도광판용 유리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도광판으로부터의 광의 휘도를 개선한, 도광판용 유리판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청색 LED와 황색 형광체로 구성되는 백색 LED의 광 스펙트럼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청색 LED와 녹색 형광체와 적색 형광체로 구성되는 백색 LED의 광 스펙트럼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도광판용 유리판의 성형 방법으로서의 퓨전법의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도광판용 유리판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시뮬레이션 해석의 모델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시뮬레이션 해석에 사용한 투과 스펙트럼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제1 유리층의 두께와 제2 유리층의 두께가 동등한 경우에 있어서, 유리판의 판 두께에 대한 제3 유리층의 두께의 비율과, 유리판으로부터의 광의 휘도비와의 관계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제1 유리층의 굴절률과 제2 유리층의 굴절률이 동등한 경우에 있어서, 제1 유리층과 제3 유리층의 굴절률차와, 유리판으로부터의 광의 휘도비와의 관계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1 변형예에 따른 유리판의 성형 방법으로서의 플로트법의 설명도이다.
도 11은 제1 변형예에 따른 유리판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제1 유리층의 두께와 제2 유리층의 두께가 동등한 경우에 있어서, 유리판의 판 두께에 대한 제1 유리층의 두께의 비율과, 유리판으로부터의 광의 휘도비의 관계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제1 유리층의 굴절률과 제2 유리층의 굴절률이 동등한 경우에 있어서, 제1 유리층과 제3 유리층의 굴절률차와, 유리판으로부터의 광의 휘도비의 관계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제2 변형예에 따른 유리판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제1 유리층의 두께와 제5 유리층의 두께가 동등하고, 또한 제2 유리층의 두께와 제4 유리층의 두께가 동등한 경우에 있어서, 유리판의 판 두께에 대한 제1 유리층의 두께의 비율과, 유리판으로부터의 광의 휘도비의 관계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또는 대응하는 구성에는, 동일하거나 또는 대응하는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수치 범위를 나타내는 「내지」는 그 전후의 수치를 포함하는 범위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패널(10)과, 액정 패널(10)과 대향하는 도광판으로서의 유리판(20)과, 유리판(20)을 통하여 액정 패널(10)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30)을 구비한다. 또한, 액정 패널(10)측이 시인측이다.
액정 패널(10)은, 예를 들어 어레이 기판, 컬러 필터 기판 및 액정층 등으로 구성된다. 어레이 기판은, 기판 및 해당 기판 상에 형성되는 능동 소자(예를 들어 TFT) 등으로 구성된다. 컬러 필터 기판은, 기판 및 해당 기판 상에 형성되는 컬러 필터 등으로 구성된다. 액정층은, 어레이 기판과 컬러 필터 기판의 사이에 형성된다.
유리판(20)은, 액정 패널(10)과 대향한다. 유리판(20)은, 액정 패널(10)의 시인측과 반대측(이하, 후방이라고도 함)에 배치된다. 액정 패널(10)의 표시면(전방면)(11)과는 반대측의 면(후방면)(13)과, 유리판(20)의 전방면(21)이 평행하게 배치된다.
유리판(20)의 후방면(23)에는, 도광판으로부터 광을 취출하기 위해, 산란 구조가 형성된다. 산란 구조로서는, 유리판(20)의 후방면(23)에 도트(40)나 요철 구조가 형성되어도 되고, 유리판(20)의 후방면(23)에 복수의 렌즈가 형성되어도 된다. 도트(40)는 산란을 위해 기포 또는 입자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유리판(20)의 후방면(23)은, 유리판(20)의 전방면(21)에 대하여 평행으로 된다.
광원(30)은, 유리판(20)의 단부면(26)에 광을 조사한다. 광원(30)으로부터의 광은, 유리판(20)의 단부면(26)으로부터 내부에 들어가, 표면 반사를 반복하여 내부 전체에 퍼지고, 유리판(20)에서의 액정 패널(10)과의 대향면(전방면)(21)으로부터 나와, 액정 패널(10)을 후방으로부터 균일하게 비춘다. 유리판(20)과 액정 패널(10)의 사이에는 산란 필름, 휘도 상승 필름, 반사형 편광 필름, 3D 필름, 편광판 등이 배치되어도 된다. 유리판(20)의 후방에는 반사 필름 등이 배치되어도 된다. 광원(30), 유리판(20), 각종 광학 필름을 통합하여, 백라이트 유닛이라고 칭한다.
광원(30)으로서는, 예를 들어 백색 LED가 사용된다. 백색 LED는, 예를 들어 청색 LED와, 청색 LED로부터의 광을 수광하여 발광하는 형광체로 구성되어도 된다. 형광체로서는, YAG계, 산화물, 알루민산염, 질화물, 산질화물, 황화물, 산황화물, 희토류 산황화물, 할로인산염 및 염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백색 LED는, 청색 LED와, 황색 형광체로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백색 LED는, 청색 LED와, 녹색 형광체와, 적색 형광체로 구성되어도 된다. 후자의 백색 LED로부터의 광은, 광의 3원색을 혼색한 것이기 때문에, 보다 연색성이 우수하다.
도 2는, 청색 LED와 황색 형광체로 구성되는 백색 LED의 광 스펙트럼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청색 LED와 녹색 형광체와 적색 형광체로 구성되는 백색 LED의 광 스펙트럼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3에 있어서, 횡축은 파장 λ(nm)이고, 종축은 강도 I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도광판용 유리판의 성형 방법으로서의 퓨전법의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도광판용 유리판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퓨전법은, 홈통형 부재(50)로부터 좌우 양측으로 흘러넘치기 시작하는 용융 유리(55)를, 홈통형 부재(50)의 좌우 양측면(51, 52)을 따라 유하시키고, 홈통형 부재(50)의 좌우 양측면(51, 52)이 교차하는 하단부(53) 부근에서 합류시켜 띠판형으로 성형한다. 용융 유리(55)에서의 홈통형 부재(50)와의 접촉면이, 용융 유리(55)의 맞춤면으로 된다. 맞춤면 부근에는, 홈통형 부재(50)로부터 용출되는 성분에 의해 이질층이 형성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퓨전법에 의해 성형된 유리판(20)은, 광 출사면으로서의 전방면(21)과 광 산란면으로서의 후방면(23)의 사이에, 전방면(21)측으로부터, 제1 유리층(22), 중간 유리층(제3 유리층. 이하 동일함)(25) 및 제2 유리층(24)을 이 순서대로 갖고, 판 두께 방향으로 3층 구조를 갖는다. 중간 유리층(25)은, 퓨전법에 의한 성형 시에 형성되는 이질층이며, 홈통형 부재(50)로부터의 용출 성분이 풍부하다.
본 실시 형태의 유리판(20)은, 하기 식 (1) 내지 (3)을 만족한다.
Figure pct00002
여기서, t1B1은 제1 유리층(22)의 두께, t1B2는 제2 유리층(24)의 두께, t1C는 중간 유리층(25)의 두께, n1B1은 제1 유리층(22)의 굴절률, n1B2는 제2 유리층(24)의 굴절률, n1C는 중간 유리층(25)의 굴절률이다. 굴절률은 각 층에서의 평균값이다. 각 층의 굴절률을 비교하는 경우, 굴절률은 헬륨의 d선(파장 587.6nm)에 있어서의 실온에서의 굴절률로 대표해도 된다. 각 층의 두께는, 광학 현미경, 혹은 후술하는 EPMA에 의한 지르코니아 등의 조성 분석의 결과, 혹은 후술하는 EPMA에 의한 조성 분석으로부터 산출된 굴절률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결정한다. EPMA에 의한 조성 분석으로부터 산출된 굴절률에 의해 결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광학 현미경에 의해 결정해도 된다.
유리판의 두께(t1B1+t1B2+t1C)는 도광판의 휘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0.2mm 이상인 경우에는 강성이 충분해져 바람직하고, 5mm보다 작은 경우에는 유리가 적당한 무게로 되고, 또한 퓨전법으로 성형하기에도 적합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홈통형 부재(50)의 양측면을 유하하는 용융 유리의 유량은 대략 동일하며, 제1 유리층(22)의 두께 t1B1과 제2 유리층(24)의 두께 t1B2는 대략 동일하다. 또한, 제1 유리층(22)의 두께 t1B1과 제2 유리층(24)의 두께 t1B2는 상이해도 된다.
홈통형 부재(50)의 양측면을 유하하는 용융 유리(55)의 조성 등은 대략 동일하며, 제1 유리층(22)의 굴절률 n1B1과 제2 유리층(24)의 굴절률 n1B2는 대략 동일하다.
중간 유리층(25)은, 성형 시에 형성되는 이질층이며, 홈통형 부재(50)의 성분이 풍부하다. 홈통형 부재(50)는, 예를 들어 지르코니아 등으로 형성된다. 지르코니아 성분이 풍부한 중간 유리층(25)의 굴절률 n1C는, 제1 유리층(22)의 굴절률 n1B1 및 제2 유리층(24)의 굴절률 n1B2보다 크다(n1C>n1B1, n1C>n1B2).
중간 유리층(25)의 굴절률 n1C는, 중간 유리층(25)의 조성, 보다 상세하게는 그 기준 조성으로부터의 어긋남(몰%)으로부터 구한다. 중간 유리층(25)의 조성은, EPMA(Electron Probe Micro Analyzer)에 의해 측정한다. 성분마다, 상기 기준 조성으로부터의 어긋남과, 표 1에 나타내는 아펜의 가성성 인자(출전: 에이.에이.아펜: 유리의 화학, 닛소 츠우신사(1974) PP.318)와의 곱을 구한다. 그들 곱의 합이, 중간 유리층(25)의 굴절률과, 기준 조성의 유리의 굴절률과의 차이이다. 기준 조성으로서는, 제1 유리층(22)이나 제2 유리층(24)의 조성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중간 유리층(25)의 조성은, 중간 유리층(25)의 두께 방향에 걸쳐, 균등한 간격으로 복수점 측정하고, 그들의 평균을 사용해도 된다. 굴절률의 어긋남은, 가시광의 전파장에서 균일하다고 생각해도 된다.
Figure pct00003
유리판(20)이, 퓨전법에 의해 성형된 것이며, 판 두께 방향으로 3층 구조를 갖는 경우, 상세하게는 후술하지만 상기 식 (1) 내지 (3)을 만족함으로써, 유리판(20)으로부터의 광의 휘도가 개선된다.
유리판(20)으로부터의 광의 휘도는, 시뮬레이션 해석에 의해 구하였다. 이 시뮬레이션 해석에는, 광선 추적 소프트(Light Tools: 사이버네트 시스템사제)를 사용하였다.
도 6은, 시뮬레이션 해석의 모델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모델에서는, 유리판(20A)은, 도 5에 도시하는 유리판(20)과 마찬가지로, 제1 유리층(22), 제2 유리층(24) 및 중간 유리층(25)의 3층 구조를 갖는 것으로 하였다. 이 모델에서는, 유리판(20A)의 사이즈는 10mm×600mm, 유리판(20A)의 두께는 2mm인 것으로 하였지만, 시뮬레이션 결과의 경향은 사이즈나 두께에 좌우되지는 않는다.
제1 유리층(22)의 두께 t1B1과 제2 유리층(24)의 두께 t1B2는 동일(t1B1=t1B2)한 것으로 하고, 제1 유리층(22)의 굴절률 n1B1과 제2 유리층(24)의 굴절률 n1B2는 동일(n1B1=n1B2)한 것으로 하였다. 또한, 제1 유리층(22)과 중간 유리층(25)의 계면, 및 제2 유리층(24)과 중간 유리층(25)의 계면은, 시뮬레이션 해석에서는 모델의 단순화로 인해 굴절률이 불연속으로 변화한다. 그러나, 실제의 굴절률은 연속적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프레넬 반사가 일어나지 않는 면으로 하였다.
유리판(20A)의 서로 평행한 단부면(26A, 27A)(크기 2mm×10mm, 거리 600mm) 중 한쪽 단부면(26A)으로부터 1mm 이격된 위치에 당해 단부면(26A)과 평행한 면 광원(30A)을 설치하였다. 또한, 광원을 면 광원으로 하지 않고, 복수의 점 광원을 배열해도, 결과의 경향은 변하지 않는다.
면 광원(30A)의 광 스펙트럼으로서는, 청색 LED와 적색 형광체와 녹색 형광체로 구성되는 백색 LED의 광 스펙트럼을 사용하였다. 면 광원(30A)으로부터 유리판(20A)의 단부면(26A)으로 입사하는 광선의 개수는 25만개로 하였다. 또한, 별도의 종류의 광원의 광 스펙트럼을 사용해도, 결과의 경향은 변하지 않는다.
유리판(20)의 투과율은, 실측값으로부터 얻어진 내부 투과율(투과 거리 10mm)(도 7 참조)과, 각 광선의 이동 거리에 기초하여 산출하였다. 도 7은, 시뮬레이션 해석에 사용한 투과 스펙트럼(투과 거리 10mm)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에 있어서, 횡축은 파장 λ(nm), 종축은 내부 투과율 T(%)이다.
유리판(20A)의 표면 중, 단부면(27A), 좌우 양측면(28A, 29A)에서의 광의 반사율은, 이들 면에 반사율 98%의 반사 테이프를 붙이는 것을 상정하여, 98%로 하였다. 그렇게 하여, 전방면(21A)으로부터 균일하게 광이 취출되도록, 후방면(23A)에는 볼록 렌즈를 육방 격자형으로 배열하고, 그 볼록 렌즈의 크기는 면 광원(30A)으로부터 이격될 수록 크게 설정하였다. 또한, 후방면(23A)으로부터 0.1mm 이격된 위치에 후방면(23A)과 평행한 광 반사면(31A)(반사율 98%)을 설치하였다. 광 반사면(31A)은, 후방면(23A)을 투과한 광을 후방면(23A)을 향하여 반사한다. 또한, 광 반사면(31A)은, 백라이트 유닛에서의 반사 시트에 상당한다.
표 2 및 도 8은, 유리판(20A)으로부터의 광의 휘도비 L/L0과, 유리판(20A)의 판 두께에 대한 중간 유리층(25)의 두께의 비율(t1C/(t1B1+t1B2+t1C))과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낸다. 유리판(20A)으로부터의 광의 휘도 L은, 전방면(21A)으로부터 취출되는 각 파장의 광의 평균 휘도이다. 휘도비 L/L0은, 제1 유리층(22)과 제2 유리층(24)과 중간 유리층(25)에서 굴절률이 동일한(n1B1=n1B2=n1C) 경우의 휘도 L0을 1로서 규격화한 값이다. 제1 유리층(22)과 제2 유리층(24)은, 동일한 굴절률, 동일한 두께를 갖는 것으로 하였다. 제1 유리층(22)의 굴절률 n1B1은, 가시광의 전파장에 있어서 1.520으로 하였다. 중간 유리층(25)의 굴절률 n1C는, 가시광의 전파장에 있어서 제1 유리층(22)의 굴절률 n1B1보다 0.015 크게 설정하였다(n1C-n1B1=0.015). 또한, 굴절률의 분산을 고려해도, 결과의 경향은 변하지 않는다.
Figure pct00004
표 2 및 도 8로부터, 유리판(20A)의 판 두께에 대한 중간 유리층(25)의 두께의 비율(t1C/(t1B1+t1B2+t1C))이 0.03 미만이면, 3층 구조에 의한 휘도 저하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유리판(20A)의 판 두께에 대한 중간 유리층(25)의 두께의 비율(t1C/(t1B1+t1B2+t1C))은, 바람직하게는 0.02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미만이다.
유리판(20A)의 판 두께에 대한 중간 유리층(25)의 두께의 비율(t1C/(t1B1+t1B2+t1C))은, 홈통형 부재(50)의 양측면을 유하하는 용융 유리(55)의 유속이나 온도로 조절할 수 있다. 유속이 클수록, 홈통형 부재(50)로부터의 용출이 적고, 중간 유리층(25)의 두께의 비율이 줄어든다. 또한, 온도가 낮을수록, 홈통형 부재(50)로부터의 용출이 적고, 중간 유리층(25)의 두께의 비율이 줄어든다.
표 3 및 도 9는, 유리판(20A)으로부터의 광의 휘도비 L/L0과, 중간 유리층(25)과 제1 유리층(22)의 굴절률차(n1C-n1B1)와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낸다. 여기서 제1 유리층(22)과 제2 유리층(24)은, 동일한 굴절률, 동일한 두께를 갖는 것으로 하였다. 또한, 제1 유리층(22)의 굴절률 n1B1은, 가시광의 전파장에 있어서 1.520으로 하였다. 제1 유리층(22)의 굴절률 n1B1과 중간 유리층(25)의 굴절률 n1C의 차(n1C-n1B1)는 가시광의 전파장에 있어서 표 3에 나타내는 값으로 하였다. 유리판(20A)의 판 두께에 대한 중간 유리층(25)의 두께의 비율(t1C/(t1B1+t1B2+t1C))은 0.0025(일정)로 하였다.
Figure pct00005
표 3 및 도 9로부터, 중간 유리층(25)의 굴절률 n1C가 제1 유리층(22)의 굴절률 n1B1이나 제2 유리층(24)의 굴절률 n1B2보다 크면, 3층 구조에 의한 휘도 저하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중간 유리층(25)의 굴절률 n1C는, 홈통형 부재(50)의 재질 등으로 조절할 수 있다. 홈통형 부재(50)가 지르코니아로 형성되는 경우, 중간 유리층(25)은 제1 유리층(22) 및 제2 유리층(24)보다 지르코니아 성분이 풍부하고, 제1 유리층(22) 및 제2 유리층(24)보다 높은 굴절률을 갖는다.
또한, 유리판(20A)으로부터의 광의 휘도는, 제1 유리층(22)과 중간 유리층(25)의 계면의 단면 형상이나 제2 유리층(24)과 중간 유리층(25)의 계면의 단면 형상을 굴곡이 있는 면으로 형성함으로써도 개선할 수 있다. 이들 계면이 평행인 평면인 경우, 이들 계면에 대한 입사각이 전반사각 이상인 광은 중간 유리층(25)에 갇힌다. 한편, 이들 계면의 단면 형상이 굴곡이 있는 면이면, 광은 계면에서의 반사를 반복하는 동안에 계면을 통과할 수 있고, 광의 갇힘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굴곡의 주기나 진폭은 일정해도 되고, 일정하지 않아도 된다. 계면의 단면 형상을 굴곡이 있는 면으로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홈통형 부재(50)의 양측면을 유하하는 용융 유리(55)의 온도차의 변동, 홈통형 부재(50)의 요동 등을 들 수 있다. 하기의 제1 변형예에 있어서, 광의 갇힘을 방지하기 위해, 계면의 단면 형상을 물결형으로 형성해도 된다. 또한, 하기의 제1 변형예에 있어서 계면의 단면 형상을, 굴곡을 갖는 면으로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유리를 수분과 접촉시킴으로써 칼슘을 포함하는 결정을 부분적으로 석출시킨 후에 화학 강화 처리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하기의 제2 변형예에 있어서 마찬가지이다.
도 10은, 제1 변형예에 따른 유리판의 성형 방법으로서의 플로트법의 설명도이다. 도 11은, 제1 변형예에 따른 유리판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로트법은, 욕조(60) 내의 용융 금속(예를 들어 용융 주석)(61) 상에 연속적으로 공급한 용융 유리(65)를, 용융 금속(61) 상에서 유동시킴으로써 띠판형으로 성형한다. 성형 후, 화학 강화 처리하여 유리판(20B)이 얻어진다. 화학 강화는, 유리 표면의 이온 반경이 작은 이온(예를 들어 Na 이온)을 이온 반경이 큰 이온(예를 들어 K 이온)으로 이온 교환함으로써 압축 응력층을 형성한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로트법에 의해 성형된 후에 화학 강화된 유리판(20B)은, 광 출사면으로서의 전방면(21B)과 광 산란면으로서의 후방면(23B)의 사이에, 전방면(21B)측으로부터, 제1 유리층(22B), 중간 유리층(제3 유리층. 이하 동일함)(25B), 및 제2 유리층(24B)을 이 순서대로 갖고, 판 두께 방향으로 3층 구조를 갖는다. 제1 유리층(22B) 및 제2 유리층(24B)은, 이온 교환에 의해 형성되는 압축 응력층이다. 중간 유리층(25B)은, 압축 응력층의 형성의 반작용에 의해 형성되는 인장 응력층이다.
본 변형예의 유리판(20B)은, 하기 식 (4) 내지 (7)을 만족한다.
Figure pct00006
여기서, t2E1은 제1 유리층(22B)의 두께, t2E2는 제2 유리층(24B)의 두께, t2B는 중간 유리층(25B)의 두께, n2E1은 제1 유리층(22B)의 굴절률, n2E2는 제2 유리층(24B)의 굴절률, n2B는 중간 유리층(25B)의 굴절률이다. 굴절률은 각 층에서의 평균값이다. 각 층의 굴절률을 비교하는 경우, 굴절률은 헬륨의 d선(파장 587.6nm)에서의 실온에서의 굴절률로 대표해도 된다. 각 층의 두께는, 오리하라 세이사쿠쇼사제 표면 응력계 FSM-6000 등의 표면 응력 측정 장치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유리판의 두께(t2E1+t2E2+t2B)는 도광판의 휘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0.2mm 이상인 경우에는 강성이 충분해져 바람직하고, 5mm보다 작은 경우에는 유리가 적당한 무게로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제1 유리층(22B)과 제2 유리층(24B)의 화학 강화 조건(처리 온도, 처리 시간, 처리액 등)이 동일한 경우, 제1 유리층(22B)의 두께 t2E1과 제2 유리층(24B)의 두께 t2E2는 대략 동일하다. 또한, 제1 유리층(22B)의 두께 t2E1과 제2 유리층(24B)의 두께 t2E2는 상이해도 된다.
제1 유리층(22B)과 제2 유리층(24B)의 화학 강화 조건(처리 온도, 처리 시간, 처리액 등)이 동일한 경우, 제1 유리층(22B)의 굴절률 n2E1과 제2 유리층(24B)의 굴절률 n2E2는 대략 동일하다. 또한, 제1 유리층(22B)의 굴절률 n2E1과 제2 유리층(24B)의 굴절률 n2E2는 상이해도 된다.
제1 유리층(22B)이나 제2 유리층(24B)은, 중간 유리층(25B)보다 K 성분이 증가하고 Na 성분이 감소한다. 그로 인해, 제1 유리층(22B)의 굴절률 n2E1 및 제2 유리층(24B)의 굴절률 n2E2는, 중간 유리층(25B)의 굴절률 n2B보다 크다(n2B<n2E1, n2B<n2E2).
제1 유리층(22B)의 굴절률 n2E1은, 중간 유리층(25B)의 굴절률 n2B로부터의 어긋남으로부터 구한다. 굴절률의 어긋남은, 투과형 2광속 간섭 현미경에 의해, 제1 유리층(22B)에서 발생하는 간섭 줄무늬가 중간 유리층(25B)에서 발생하는 간섭 줄무늬에 대하여 얼마만큼 어긋나 있는지를 관찰함으로써 구해진다. 구체적으로는, 간섭 줄무늬가 N개 어긋나 있다고 하면, 굴절률의 어긋남은 N×λ/t이다. 여기서, λ는 관찰에 사용한 광의 파장이고, t는 관찰에 사용한 시료의 두께이다. 또한, 제1 유리층(22B)의 굴절률 n2E1의 중간 유리층(25B)의 굴절률 n2B로부터의 어긋남은, 제1 유리층(22B)의 두께 방향에 걸쳐 균등한 간격으로 복수점 측정하고, 그들의 평균을 사용해도 된다. 굴절률의 어긋남은, 가시광의 전파장에서 균일하다고 생각해도 된다.
유리판(20B)이, 플로트법에 의해 성형된 후에 화학 강화된 것이며, 판 두께 방향으로 3층 구조를 갖는 경우, 상세하게는 후술하지만 상기 식 (4) 내지 (7)을 만족함으로써, 유리판(20B)으로부터의 광의 휘도가 개선된다.
유리판(20B)으로부터의 광의 휘도는, 시뮬레이션 해석에 의해 구하였다. 이 시뮬레이션 해석에는, 광선 추적 소프트(Light Tools: 사이버네트 시스템사제)를 사용하였다. 시뮬레이션 해석의 모델로서는, 도 6의 모델을 사용하였다. 이 모델에서는, 유리판(20A)은, 도 11에 도시하는 유리판(20B)과 마찬가지로, 제1 유리층(22B), 제2 유리층(24B) 및 중간 유리층(25B)의 3층 구조를 갖는 것으로 하였다.
이 모델에서는, 유리판(20A)의 사이즈는 10mm×600mm, 유리판(20A)의 두께는 2mm인 것으로 하였지만, 시뮬레이션 결과의 경향은 사이즈나 두께에는 좌우되지 않는다. 면 광원(30A)의 광 스펙트럼으로서는, 청색 LED와 적색 형광체와 녹색 형광체로 구성되는 백색 LED의 광 스펙트럼을 사용하였지만, 별도의 종류의 광원의 광 스펙트럼을 사용해도, 결과의 경향은 변하지 않는다. 또한, 광원을 면 광원으로 하지 않고, 복수의 점 광원을 배열해도, 결과의 경향은 변하지 않는다.
표 4 및 도 12는, 유리판(20A)으로부터의 광의 휘도비와, 유리판(20A)의 판 두께에 대한 제1 유리층(22B)의 두께의 비율(t2E1/(t2E1+t2E2+t2B))과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낸다. 제1 유리층(22B)과 제2 유리층(24B)은, 동일한 굴절률 및 동일한 두께를 갖는 것으로 하였다. 중간 유리층(25B)의 굴절률 n2B는, 가시광의 전파장에 있어서 1.520으로 하였다. 제1 유리층(22B)의 굴절률 n2E1은, 가시광의 전파장에 있어서 중간 유리층(25B)의 굴절률 n2B보다 0.015 크게 설정하였다(n2E1-n2B=0.015). 또한, 굴절률의 분산을 고려해도, 결과의 경향은 변하지 않는다.
Figure pct00007
표 4 및 도 12로부터, 유리판(20B)의 판 두께에 대한 제1 유리층(22B)의 두께의 비율(t2E1/(t2E1+t2E2+t2B))이 0.08 미만이면, 3층 구조에 의한 휘도 저하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유리판(20B)의 판 두께에 대한 제1 유리층(22B)의 두께의 비율(t2E1/(t2E1+t2E2+t2B))은, 바람직하게는 0.06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0.04 미만이다. 유리판(20B)의 판 두께에 대한 제2 유리층(24B)의 두께의 비율(t2E2/(t2E1+t2E2+t2B))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유리판(20B)의 판 두께에 대한 제1 유리층(22B)의 두께의 비율(t2E1/(t2E1+t2E2+t2B))은, 화학 강화 조건(처리 온도, 처리 시간, 처리액 등)으로 조절할 수 있다. 처리 온도가 낮을수록, 이온 교환의 반응이 늦고, 제1 유리층(22B)의 두께의 비율이 줄어든다. 또한, 처리 시간이 짧을수록, 제1 유리층(22B)의 두께가 줄어든다. 유리판(20B)의 판 두께에 대한 제2 유리층(24B)의 두께의 비율(t2E2/(t2E1+t2E2+t2B))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표 5 및 도 13은, 유리판(20B)으로부터의 광의 휘도비와, 제1 유리층(22B)과 중간 유리층(25B)의 굴절률차(n2E1-n2B)와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낸다. 중간 유리층(25B)의 굴절률 n2B는 가시광의 전파장에 있어서 1.520으로 하였다. 제1 유리층(22B)의 굴절률 n2E1과 제2 유리층(24B)의 굴절률 n2E2는 동일(n2E1=n2E2)한 것으로 하고, 또한 제1 유리층(22B)의 굴절률 n2E1과 중간 유리층(25B)의 굴절률 n2B의 차(n2E1-n2B)는 표 5에 나타내는 값으로 하였다. 유리판의 판 두께에 대한 제1 유리층(22B)의 두께의 비율(t2E1/(t2E1+t2E2+t2B))은 0.02(일정)로 하였다. 또한, 굴절률의 분산을 고려해도, 결과의 경향은 변하지 않는다.
Figure pct00008
표 5 및 도 13으로부터, 중간 유리층(25B)의 굴절률 n2B가 제1 유리층(22B)의 굴절률 n2E1이나 제2 유리층(24B)의 굴절률 n2E2보다 작으면, 3층 구조에 의한 휘도 저하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4는, 제2 변형예에 따른 유리판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하는 유리판(20C)은, 퓨전법에 의해 성형된 후에 화학 강화된 것이다. 유리판(20C)은, 광 출사면으로서의 전방면(21C)과, 광 산란면으로서의 후방면(23C)의 사이에, 전방면(21C)측으로부터, 제1 유리층(41C), 제2 유리층(42C), 제3 유리층(43C), 제4 유리층(44C), 제5 유리층(45C)을 이 순서대로 갖는다.
제1 유리층(41C) 및 제5 유리층(45C)은, 이온 교환에 의해 형성되는 압축 응력층이다. 제2 유리층(42C), 제3 유리층(43C) 및 제4 유리층(44C)은, 압축 응력층의 형성의 반작용에 의해 형성되는 인장 응력층이다. 제3 유리층(43C)은, 퓨전법에 의한 성형 시에 형성되는 이질층이며, 홈통형 부재(50)로부터의 용출 성분이 풍부하다.
본 변형예의 유리판(20C)은, 하기 식 (8) 내지 (16)을 만족한다.
Figure pct00009
여기서, t3E1은 제1 유리층(41C)의 두께, t3B1은 제2 유리층(42C)의 두께, t3C는 제3 유리층(43C)의 두께, t3B2는 제4 유리층(44C)의 두께, t3E2는 제5 유리층(45C)의 두께, n3E1은 제1 유리층(41C)의 굴절률, n3B1은 제2 유리층(42C)의 굴절률, n3C는 제3 유리층(43C)의 굴절률, n3B2는 제4 유리층(44C)의 굴절률, n3E2는 제5 유리층(45C)의 굴절률이다. 굴절률은 각 층에서의 평균값이다. 각 층의 굴절률을 비교하는 경우, 굴절률은 헬륨의 d선(파장 587.6nm)에서의 실온에서의 굴절률로 대표해도 된다. 각 층의 두께의 측정 방법에 대해서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유리판의 두께(t3E1+t3B1+t3C+t3B2+t3E2)는 도광판의 휘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0.2mm 이상인 경우에는 강성이 충분해져 바람직하고, 5mm보다 작은 경우에는 유리가 적당한 무게로 되고, 또한 퓨전법에서의 성형에도 적합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제1 유리층(41C)과 제5 유리층(45C)의 화학 강화 조건(처리 온도, 처리 시간, 처리액 등)이 동일한 경우, 제1 유리층(41C)의 두께 t3E1과 제5 유리층(45C)의 두께 t3E2는 대략 동일하다. 또한, 제1 유리층(41C)의 두께 t3E1과 제5 유리층(45C)의 두께 t3E2는 상이해도 된다.
제1 유리층(41C)이나 제5 유리층(45C)은, 제2 유리층(42C)이나 제4 유리층(44C)보다 K 성분이 증가하고 Na 성분이 감소한다. 그로 인해, 제1 유리층(41C)의 굴절률 n3E1은, 제2 유리층(42C)의 굴절률 n3B1이나 제4 유리층(44C)의 굴절률 n3B2보다 크다(n3E1>n3B1, n3E1>n3B2). 마찬가지로, 제5 유리층(45C)의 굴절률 n3E2는, 제2 유리층(42C)의 굴절률 n3B1이나 제4 유리층(44C)의 굴절률 n3B2보다 크다(n3E2>n3B1, n3E2>n3B2).
홈통형 부재(50)의 양측면을 유하하는 용융 유리의 유량이 동일한 경우, 제2 유리층(42C)의 두께 t3B1과 제4 유리층(44C)의 두께 t3B2는 대략 동일하다. 또한, 제2 유리층(42C)의 두께 t3B1과 제4 유리층(44C)의 두께 t3B2는 상이해도 된다.
홈통형 부재(50)의 양측면을 유하하는 용융 유리(55)의 조성 등은 대략 동일하며, 제2 유리층(42C)의 굴절률 n3B1과 제4 유리층(44C)의 굴절률 n3B2는 대략 동일하다.
제3 유리층(43C)은, 성형 시에 형성되는 이질층이며, 홈통형 부재(50)의 성분이 풍부하다. 홈통형 부재(50)는, 예를 들어 지르코니아 등으로 형성된다. 지르코니아 성분이 풍분한 제3 유리층(43C)의 굴절률 n3C는, 제2 유리층(42C)의 굴절률 n3B1 및 제4 유리층(44C)의 굴절률 n3B2보다 크다(n3C>n3B1, n3C>n3B2).
유리판(20C)이, 퓨전법에 의해 성형된 후에 화학 강화된 것이며, 판 두께 방향으로 5층 구조를 갖는 경우, 상세하게는 후술하지만 상기 식 (8) 내지 (16)을 만족함으로써, 유리판(20C)으로부터의 광의 휘도가 개선된다.
유리판(20C)으로부터의 광의 휘도는, 시뮬레이션 해석에 의해 구하였다. 이 시뮬레이션 해석에는, 광선 추적 소프트웨어(Light Tools: 사이버네트 시스템사제)를 사용하였다. 시뮬레이션 해석의 모델로서는, 도 6의 모델을 사용하였다.
이 모델에서는, 유리판(20A)은, 도 14에 도시하는 유리판(20C)과 마찬가지로, 제1 유리층(41C), 제2 유리층(42C), 제3 유리층(43C), 제4 유리층(44C), 제5 유리층(45C)의 5층 구조를 갖는 것으로 하였다.
이 모델에서는, 유리판(20A)의 사이즈는 10mm×600mm, 유리판(20A)의 두께는 2mm인 것으로 하였지만, 시뮬레이션 결과의 경향은 사이즈나 두께에 좌우되지는 않는다. 면 광원(30A)의 광 스펙트럼으로서는, 청색 LED와 적색 형광체와 녹색 형광체로 구성되는 백색 LED의 광 스펙트럼을 사용하였지만, 별도의 종류의 광원의 광 스펙트럼을 사용해도, 결과의 경향은 변하지 않는다. 또한, 광원을 면 광원으로 하지 않고, 복수의 점 광원을 배열해도, 결과의 경향은 변하지 않는다.
표 6 및 도 15는, 유리판(20A)으로부터의 광의 휘도비와, 유리판(20A)의 판 두께에 대한 제1 유리층(41C)의 두께의 비율(t3E1/(t3E1+t3B1+t3C+t3B2+t3E2))과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낸다. 여기서, 제1 유리층(41C)과 제5 유리층(45C)은 동일한 굴절률 및 동일한 두께를 갖고, 제2 유리층(42C)과 제4 유리층(44C)은 동일한 굴절률 및 동일한 두께를 갖는 것으로 하였다. 제2 유리층(42C)의 굴절률 n3B1은, 가시광의 전파장에 있어서 1.520으로 하였다. 제1 유리층(41C)의 굴절률 n3E1은, 가시광의 전파장에 있어서 제2 유리층(42C)의 굴절률 n3B1보다 0.015 크게 설정하였다(n3E1-n3B1=0.015). 제3 유리층(43C)의 굴절률 n3C는, 가시광의 전파장에 있어서 제2 유리층(42C)의 굴절률 n3B1보다 0.015 크게 설정하였다(n3C-n3B1=0.015).
Figure pct00010
표 6 및 도 15로부터, 유리판(20A)의 판 두께에 대한 제1 유리층(41C)의 두께의 비율(t3E1/(t3E1+t3B1+t3C+t3B2+t3E2))이 0.08 미만이면, 5층 구조에 의한 휘도 저하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유리판(20A)의 판 두께에 대한 제1 유리층(41C)의 두께의 비율(t3E1/(t3E1+t3B1+t3C+t3B2+t3E2))은, 바람직하게는 0.06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0.04 미만이다.
이상, 도광판용 유리판이나 액정 표시 장치의 실시 형태 등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 등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한 변형, 개량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의 액정 표시 장치는 투과형이지만, 반사형이어도 되며, 유리판(20)은 액정 패널(10)의 전방에 배치되어도 된다. 광원(30)으로부터의 광은, 유리판(20)의 단부면으로부터 내부에 들어가고, 유리판에서의 액정 패널(10)과의 대향면(후방면)으로부터 나와, 액정 패널(10)을 전방으로부터 균일하게 비춘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의 광원은 백색 LED이지만, 형광관이어도 된다. 또한, 백색 LED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청색 LED 대신에 청색 LED보다 파장이 짧은 자외선 LED를 사용하여 형광체를 발광시켜도 된다. 또한, 형광체 방식의 백색 LED가 아니라, 3색 LED 방식의 백색 LED가 사용되어도 된다.
도광판용 유리판의 화학 조성은, 다종다양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5에서의 제1 유리층인 유리층(22), 제2 유리층인 유리층(24), 도 11에서의 제3 유리층인 유리층(25B), 도 14에서의 제2 유리층인 유리층(42C), 제4 유리층인 유리층(44C)은, 하기의 유리 조성이어도 된다.
바람직한 유리판의 조성으로서는, 하기의 3종류(유리 조성 A, 유리 조성 B, 유리 조성 C를 갖는 유리)를 대표적인 예로서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리에서의 유리 조성은, 여기에 있어서 나타낸 유리 조성의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리 조성 A를 갖는 유리판으로서는, 산화물 기준의 질량 백분율 표시로, SiO2를 60 내지 80%, Al2O3을 0 내지 7%, MgO를 0 내지 10%, CaO를 0 내지 20%, SrO를 0 내지 15%, BaO를 0 내지 15%, Na2O를 3 내지 20%, K2O를 0 내지 10%, Fe2O3을 5 내지 100ppm 포함하는 것이면 바람직하다. 이 경우의 유리의 헬륨의 d선(파장 587.6nm)에서의 실온에서의 굴절률은 1.45 내지 1.60이다.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어 표 7의 예 1 내지 예 4 및 예 15를 들 수 있다.
또한, 유리 조성 B를 갖는 유리판으로서는, 산화물 기준의 질량 백분율 표시로, SiO2를 45 내지 80%, Al2O3을 7% 초과 30% 이하, B2O3을 0 내지 15%, MgO를 0 내지 15%, CaO를 0 내지 6%, SrO를 0 내지 5%, BaO를 0 내지 5%, Na2O를 7 내지 20%, K2O를 0 내지 10%, ZrO2를 0 내지 10%, Fe2O3을 5 내지 100ppm 포함하는 것이면 바람직하다. 이 경우의 유리의 헬륨의 d선(파장 587.6nm)에서의 실온에서의 굴절률은, 예를 들어 1.45 내지 1.60이다. 이 경우의 유리 조성은, 이온 교환이 용이하고, 화학 강화하기 쉽다.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어 표 7의 예 5 내지 예 11을 들 수 있다.
또한, 유리 조성 C를 갖는 유리판으로서는, 산화물 기준의 질량 백분율 표시로, SiO2를 45 내지 70%, Al2O3을 10 내지 30%, B2O3을 0 내지 15%, MgO, CaO, SrO 및 BaO를 합계로 5 내지 30%, Li2O, Na2O 및 K2O를 합계로 0% 이상 3% 미만, Fe2O3을 5 내지 100ppm 포함하는 것이면 바람직하다. 이 경우의 유리의 헬륨의 d선(파장 587.6nm)에서의 실온에서의 굴절률은, 예를 들어 1.45 내지 1.60이다.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어 표 7의 예 12 내지 예 14를 들 수 있다.
상기 성분을 갖는 본 발명의 유리판의 유리의 조성의 각 성분의 조성 범위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SiO2는, 유리의 주성분이다.
SiO2의 함유량은, 유리의 내후성, 실투 특성을 유지하기 위해, 산화물 기준의 질량 백분율 표시로, 유리 조성 A에 있어서는, 바람직하게는 6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3% 이상이고, 유리 조성 B에 있어서는, 바람직하게는 4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이상이고, 유리 조성 C에 있어서는, 바람직하게는 4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이상이다.
한편, SiO2의 함유량은, 용해를 용이하게 하고, 기포 품질을 양호한 것으로 하기 위해, 또한 유리 중의 2가 철(Fe2 +)의 함유량을 낮게 억제하고, 광학 특성을 양호한 것으로 하기 위해, 유리 조성 A에 있어서는, 바람직하게는 8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5% 이하이고, 유리 조성 B에 있어서는, 바람직하게는 8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이하이고, 유리 조성 C에 있어서는, 바람직하게는 7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5% 이하이다.
Al2O3은, 유리 조성 B 및 C에 있어서는 유리의 내후성을 향상시키는 필수 성분이다. 본 발명의 유리에 있어서 실용상 필요한 내후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Al2O3의 함유량은, 유리 조성 A에 있어서는, 바람직하게는 1%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이상이고, 유리 조성 B에 있어서는, 바람직하게는 7% 초과,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상이고, 유리 조성 C에 있어서는,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3% 이상이다.
단, 2가 철(Fe2 +)의 함유량을 낮게 억제하고, 광학 특성을 양호한 것으로 하고, 기포 품질을 양호한 것으로 하기 위해, Al2O3의 함유량은, 유리 조성 A에 있어서는, 바람직하게는 7%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이하이고, 유리 조성 B에 있어서는, 바람직하게는 3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3% 이하이고, 유리 조성 C에 있어서는, 바람직하게는 3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하이다.
B2O3은, 유리 원료의 용융을 촉진하고, 기계적 특성이나 내후성을 향상시키는 성분이지만, 휘발에 의한 맥리(ream)의 생성, 노벽의 침식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B2O3의 함유량은, 유리 조성 A에 있어서는,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이하이고, 유리 조성 B 및 C에 있어서는, 바람직하게는 1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이하이다.
Li2O, Na2O 및 K2O와 같은 알칼리 금속 산화물은, 유리 원료의 용융을 촉진하고, 열팽창, 점성 등을 조정하는 데 유용한 성분이다.
그로 인해, Na2O의 함유량은, 유리 조성 A에 있어서는, 바람직하게는 3%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 이상이다. Na2O의 함유량은, 유리 조성 B에 있어서는, 바람직하게는 7%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상이다. 단, 용해 시의 청징성을 유지하고, 제조되는 유리의 기포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Na2O의 함유량은, 유리 조성 A 및 B에 있어서는, 2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5% 이하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유리 조성 C에 있어서는, 3%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K2O의 함유량은, 유리 조성 A 및 B에 있어서는,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 이하이고, 유리 조성 C에 있어서는, 바람직하게는 2%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이하이다.
또한, Li2O는 임의 성분이지만, 유리화를 용이하게 하고, 원료로부터 유래하는 불순물로서 포함되는 철 함유량을 낮게 억제하고, 배치 비용을 낮게 억제하기 위해, 유리 조성 A, B 및 C에 있어서, Li2O를 2% 이하 함유시킬 수 있다.
또한, 이들 알칼리 금속 산화물의 합계 함유량(Li2O+Na2O+K2O)은, 용해 시의 청징성을 유지하고, 제조되는 유리의 기포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유리 조성 A 및 B에 있어서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보다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5%이고, 유리 조성 C에 있어서는,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 보다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이다.
MgO, CaO, SrO 및 BaO와 같은 알칼리 토금속 산화물은, 유리 원료의 용융을 촉진하고, 열팽창, 점성 등을 조정하는 데 유용한 성분이다.
MgO는, 유리 용해 시의 점성을 낮추고, 용해를 촉진하는 작용이 있다. 또한, 비중을 저감시키고, 유리판에 흠집이 생기기 어렵게 하는 작용이 있기 때문에, 유리 조성 A, B 및 C에 있어서, 함유시킬 수 있다. 또한, 유리의 열팽창 계수를 낮게, 실투 특성을 양호한 것으로 하기 위해, MgO의 함유량은, 유리 조성 A에 있어서는,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 이하이고, 유리 조성 B에 있어서는, 바람직하게는 1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이하이고, 유리 조성 C에 있어서는,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이하이다.
CaO는, 유리 원료의 용융을 촉진하고, 또한 점성, 열팽창 등을 조정하는 성분이므로, 유리 조성 A, B 및 C에 있어서 함유시킬 수 있다. 상기 작용을 얻기 위해서는, 유리 조성 A에 있어서는, CaO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3%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이상이다. 또한, 실투를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는, 유리 조성 A에 있어서는, 바람직하게는 2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고, 유리 조성 B에 있어서는, 바람직하게는 6%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 이하이다.
SrO는, 열팽창 계수의 증대 및 유리의 고온 점도를 낮추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효과를 얻기 위해, 유리 조성 A, B 및 C에 있어서, SrO를 함유시킬 수 있다. 단, 유리의 열팽창 계수를 낮게 억제하기 위해, 유리 조성 A 및 C에 있어서는, 15%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유리 조성 B에 있어서는, 5%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BaO는, SrO와 마찬가지로 열팽창 계수의 증대 및 유리의 고온 점도를 낮추는 효과가 있다. 상기 효과를 얻기 위해, 유리 조성 A, B 및 C에 있어서, BaO를 함유시킬 수 있다. 단, 유리의 열팽창 계수를 낮게 억제하기 위해, 유리 조성 A 및 C에 있어서는, 15%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유리 조성 B에 있어서는, 5%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알칼리 토금속 산화물의 합계 함유량(MgO+CaO+SrO+BaO)은, 열팽창 계수를 낮게 억제하고, 실투 특성을 양호한 것으로 하고,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유리 조성 A에 있어서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보다 바람직하게는 13% 내지 27%이고, 유리 조성 B에 있어서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이고, 유리 조성 C에 있어서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이다.
본 발명의 유리판의 유리의 유리 조성에 있어서는, 유리의 내열성 및 표면 경도의 향상을 위해 임의 성분으로서 ZrO2를, 유리 조성 A, B 및 C에 있어서, 10% 이하, 바람직하게는 5% 이하 함유시켜도 된다. 단, 10% 초과이면, 유리가 실투하기 쉬워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유리판의 유리의 유리 조성에 있어서는, 유리의 용해성 향상을 위해, Fe2O3을, 유리 조성 A, B 및 C에 있어서, 5 내지 100ppm 함유시켜도 된다. 또한, 여기서 Fe2O3량은, Fe2O3으로 환산한 전체 산화철량을 가리킨다. 전체 산화철량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질량ppm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질량ppm이다. 상기 전체 산화철량이 5ppm 미만인 경우에는, 유리의 적외선의 흡수가 극단적으로 나빠지고, 용해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어렵고, 또한 원료의 정제에 엄청난 비용이 들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전체 산화철량이 100ppm 초과인 경우에는, 유리의 착색이 커지고, 가시광 투과율이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의 유리판의 유리는, 청징제로서 SO3을 함유해도 된다. 이 경우, SO3 함유량은, 질량 백분율 표시로 0% 초과 0.5% 이하가 바람직하다. 0.4%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3%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0.25%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유리판의 유리는, 산화제 및 청징제로서 Sb2O3, SnO2 및 As2O3 중 하나 이상을 함유해도 된다. 이 경우, Sb2O3, SnO2 또는 As2O3의 함유량은, 질량 백분율 표시로 0 내지 0.5%가 바람직하다. 0.2%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1%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단, Sb2O3, SnO2 및 As2O3은, 유리의 산화제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유리의 Fe2+의 양을 조절할 목적에 따라 상기 범위 내에서 첨가해도 된다. 단, As2O3은, 환경면에서 적극적으로 함유시키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유리판의 유리는, NiO를 함유해도 된다. NiO를 함유하는 경우, NiO는, 착색 성분으로서도 기능하므로, NiO의 함유량은, 상기 유리 조성의 합량에 대하여, 10pp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NiO는, 파장 400 내지 700nm에서의 유리판의 내부 투과율을 저하시키지 않는다고 하는 관점에서, 1.0pp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5ppm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리판의 유리는, Cr2O3을 함유해도 된다. Cr2O3을 함유하는 경우, Cr2O3은 착색 성분으로서도 기능하므로, Cr2O3의 함유량은, 상기 유리 조성의 합량에 대하여, 10pp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Cr2O3은, 파장 400 내지 700nm에서의 유리판의 내부 투과율을 저하시키지 않는다고 하는 관점에서, 1.0pp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5ppm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리판의 유리는, MnO2를 함유해도 된다. MnO2를 함유하는 경우, MnO2는, 가시광을 흡수하는 성분으로서도 기능하므로, MnO2의 함유량은, 상기 유리 조성의 합량에 대하여, 50pp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MnO2는, 파장 400 내지 700nm에서의 유리판의 내부 투과율을 저하시키지 않는다고 하는 관점에서, 10pp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리판의 유리는, TiO2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TiO2를 함유하는 경우, TiO2는, 가시광을 흡수하는 성분으로서도 기능하므로, TiO2의 함유량은, 상기 유리 조성의 합량에 대하여, 1000pp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iO2는, 파장 400 내지 700nm에서의 유리판의 내부 투과율을 저하시키지 않는다고 하는 관점에서, 함유량을 500ppm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0ppm 이하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리판의 유리는, CeO2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CeO2에는 철의 레독스를 낮추는 효과가 있고, 파장 400 내지 700nm에서의 유리의 흡수를 작게 할 수 있다. 그러나, CeO2를 다량으로 함유하는 경우, CeO2는, 가시광을 흡수하는 성분으로서도 기능하고, 또한, 철의 레독스를 3% 미만으로 지나치게 낮추어 버릴 가능성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CeO2의 함유량은, 상기 유리 조성의 합량에 대하여, 1000pp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CeO2의 함유량은, 500ppm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00ppm 이하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300ppm 이하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250ppm 이하로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리판의 유리는, CoO, V2O5 및 CuO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들 성분을 함유하는 경우, 가시광을 흡수하는 성분으로서도 기능하므로, 상기 성분의 함유량은, 상기 유리 조성의 합량에 대하여, 10pp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이들 성분은, 파장 400 내지 700nm에서의 유리판의 내부 투과율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11
본 출원은 2014년 6월 4일에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4-116095호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일본 특허 출원 제2014-116095호의 전체 내용을 본 출원에 원용한다.
10: 액정 패널
20: 도광판용 유리판
30: 광원

Claims (12)

  1. 제1 유리층, 상기 제1 유리층과는 반대측의 제2 유리층, 및 상기 제1 유리층과 상기 제2 유리층의 사이에 형성되는 중간 유리층인 제3 유리층을 갖고, 판 두께 방향으로 3층 구조를 갖는 도광판용 유리판이며,
    상기 제1 유리층의 두께를 t1B1, 상기 제2 유리층의 두께를 t1B2, 상기 제3 유리층의 두께를 t1C, 상기 제1 유리층의 굴절률을 n1B1, 상기 제2 유리층의 굴절률을 n1B2, 상기 제3 유리층의 굴절률을 n1C라고 한 경우,
    Figure pct00012

    을 만족하는, 도광판용 유리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리층 및 상기 제2 유리층은, 산화물 기준의 질량 백분율 표시로, SiO2를 60 내지 80%, Al2O3을 0 내지 7%, MgO를 0 내지 10%, CaO를 0 내지 20%, SrO를 0 내지 15%, BaO를 0 내지 15%, Na2O를 3 내지 20%, K2O를 0 내지 10%, Fe2O3을 5 내지 100ppm 포함하는, 도광판용 유리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리층 및 상기 제2 유리층은, 산화물 기준의 질량 백분율 표시로, SiO2를 45 내지 80%, Al2O3을 7% 초과 30% 이하, B2O3을 0 내지 15%, MgO를 0 내지 15%, CaO를 0 내지 6%, SrO를 0 내지 5%, BaO를 0 내지 5%, Na2O를 7 내지 20%, K2O를 0 내지 10%, ZrO2를 0 내지 10%, Fe2O3을 5 내지 100ppm 포함하는, 도광판용 유리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리층 및 상기 제2 유리층은, 산화물 기준의 질량 백분율 표시로, SiO2를 45 내지 70%, Al2O3을 10 내지 30%, B2O3을 0 내지 15%, MgO, CaO, SrO 및 BaO를 합계로 5 내지 30%, Li2O, Na2O 및 K2O를 합계로 0% 이상 3% 미만, Fe2O3을 5 내지 100ppm 포함하는, 도광판용 유리판.
  5. 제1 유리층, 상기 제1 유리층과는 반대측의 제2 유리층, 및 상기 제1 유리층과 상기 제2 유리층의 사이에 형성되는 중간 유리층인 제3 유리층을 갖고, 판 두께 방향으로 3층 구조를 갖는 도광판용 유리판이며,
    상기 제1 유리층의 두께를 t2E1, 상기 제2 유리층의 두께를 t2E2, 상기 제3 유리층의 두께를 t2B, 상기 제1 유리층의 굴절률을 n2E1, 상기 제2 유리층의 굴절률을 n2E2, 상기 제3 유리층의 굴절률을 n2B라고 한 경우,
    Figure pct00013

    을 만족하는, 도광판용 유리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유리층은, 산화물 기준의 질량 백분율 표시로, SiO2를 60 내지 80%, Al2O3을 0 내지 7%, MgO를 0 내지 10%, CaO를 0 내지 20%, SrO를 0 내지 15%, BaO를 0 내지 15%, Na2O를 3 내지 20%, K2O를 0 내지 10%, Fe2O3을 5 내지 100ppm 포함하는, 도광판용 유리판.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유리층은, 산화물 기준의 질량 백분율 표시로, SiO2를 45 내지 80%, Al2O3을 7% 초과 30% 이하, B2O3을 0 내지 15%, MgO를 0 내지 15%, CaO를 0 내지 6%, SrO를 0 내지 5%, BaO를 0 내지 5%, Na2O를 7 내지 20%, K2O를 0 내지 10%, ZrO2를 0 내지 10%, Fe2O3을 5 내지 100ppm 포함하는, 도광판용 유리판.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유리층은, 산화물 기준의 질량 백분율 표시로, SiO2를 45 내지 70%, Al2O3을 10 내지 30%, B2O3을 0 내지 15%, MgO, CaO, SrO 및 BaO를 합계로 5 내지 30%, Li2O, Na2O 및 K2O를 합계로 0% 이상 3% 미만, Fe2O3을 5 내지 100ppm 포함하는, 도광판용 유리판.
  9. 제1 유리층, 제2 유리층, 제3 유리층, 제4 유리층 및 제5 유리층을 이 순서대로 갖고, 판 두께 방향으로 5층 구조를 갖는 도광판용 유리판이며
    상기 제1 유리층의 두께를 t3E1, 상기 제2 유리층의 두께를 t3B1, 상기 제3 유리층의 두께를 t3C, 상기 제4 유리층의 두께를 t3B2, 상기 제5 유리층의 두께를 t3E2, 상기 제1 유리층의 굴절률을 n3E1, 상기 제2 유리층의 굴절률을 n3B1, 상기 제3 유리층의 굴절률을 n3C, 상기 제4 유리층의 굴절률을 n3B2, 상기 제5 유리층의 굴절률을 n3E2라고 한 경우,
    Figure pct00014

    을 만족하는, 도광판용 유리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리층 및 상기 제4 유리층은, 산화물 기준의 질량 백분율 표시로, SiO2를 60 내지 80%, Al2O3을 0 내지 7%, MgO를 0 내지 10%, CaO를 0 내지 20%, SrO를 0 내지 15%, BaO를 0 내지 15%, Na2O를 3 내지 20%, K2O를 0 내지 10%, Fe2O3을 5 내지 100ppm 포함하는, 도광판용 유리판.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리층 및 상기 제4 유리층은, 산화물 기준의 질량 백분율 표시로, SiO2를 45 내지 80%, Al2O3을 7% 초과 30% 이하, B2O3을 0 내지 15%, MgO를 0 내지 15%, CaO를 0 내지 6%, SrO를 0 내지 5%, BaO를 0 내지 5%, Na2O를 7 내지 20%, K2O를 0 내지 10%, ZrO2를 0 내지 10%, Fe2O3을 5 내지 100ppm 포함하는, 도광판용 유리판.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리층 및 상기 제4 유리층은, 산화물 기준의 질량 백분율 표시로, SiO2를 45 내지 70%, Al2O3을 10 내지 30%, B2O3을 0 내지 15%, MgO, CaO, SrO 및 BaO를 합계로 5 내지 30%, Li2O, Na2O 및 K2O를 합계로 0% 이상 3% 미만, Fe2O3을 5 내지 100ppm 포함하는, 도광판용 유리판.
KR1020167033034A 2014-06-04 2015-05-14 도광판용 유리판 KR201700152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16095 2014-06-04
JPJP-P-2014-116095 2014-06-04
PCT/JP2015/063913 WO2015186486A1 (ja) 2014-06-04 2015-05-14 導光板用のガラス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5297A true KR20170015297A (ko) 2017-02-08

Family

ID=54766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3034A KR20170015297A (ko) 2014-06-04 2015-05-14 도광판용 유리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70066681A1 (ko)
JP (1) JPWO2015186486A1 (ko)
KR (1) KR20170015297A (ko)
CN (1) CN106461191A (ko)
TW (1) TW201605644A (ko)
WO (1) WO20151864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8195B1 (ko) * 2016-06-13 2019-12-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리 도광판 및 그 제조 방법
CN106242270A (zh) * 2016-08-11 2016-12-21 东旭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玻璃用组合物、铝硼硅酸盐玻璃及其制备方法和应用以及导光板
CN109715574B (zh) 2016-09-16 2022-04-05 康宁股份有限公司 具有碱土氧化物作为改性剂的高透射玻璃
CN106441656A (zh) * 2016-09-18 2017-02-22 北京杰福科技有限公司 玻璃表面应力检测装置
WO2018101220A1 (ja) * 2016-12-01 2018-06-07 旭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
JP2019020723A (ja) 2017-07-12 2019-02-07 Hoya Candeo Optronics株式会社 導光板、画像表示装置
KR102642282B1 (ko) * 2017-07-12 2024-02-28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도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CN107608115A (zh) * 2017-09-30 2018-01-1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用于显示面板的基板和显示面板
CN110272204B (zh) * 2019-06-28 2022-05-1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复合盖板玻璃、全反射显示装置、铬铝石英玻璃及制备方法
CN115038907A (zh) * 2020-01-31 2022-09-09 Agc株式会社 带光源的照明体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2383A (ja) 2003-02-21 2004-09-09 Mitsui Chemicals Inc 反射体用基板及びそれを用いた反射体、サイドライト型バックライト装置、液晶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13594A (en) * 1997-02-25 1999-06-22 Iimura; Keiji Flat panel light source device and passive display device utilizing the light source device
JP5201519B2 (ja) * 2004-10-01 2013-06-05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基板
JP4640188B2 (ja) * 2006-01-18 2011-03-02 三菱電機株式会社 面状光源装置
KR101606600B1 (ko) * 2008-02-26 2016-03-25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실리케이트 유리용 청징제
US8906506B2 (en) * 2008-05-02 2014-12-09 Toyo-Sasaki Glass Co., Ltd. Glass article
CN103553330A (zh) * 2008-05-02 2014-02-05 东洋佐佐木玻璃株式会社 玻璃物品
JP5867953B2 (ja) * 2008-06-27 2016-02-24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強化ガラスおよび強化用ガラス
CN101561116A (zh) * 2009-05-25 2009-10-21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导光板、背光模块及显示装置
US9637408B2 (en) * 2009-05-29 2017-05-02 Corsam Technologies Llc Fusion formable sodium containing glass
US8802581B2 (en) * 2009-08-21 2014-08-12 Corning Incorporated Zircon compatible glasses for down draw
CN102235640B (zh) * 2010-04-26 2013-06-19 颖台科技股份有限公司 多层导光装置
KR101853984B1 (ko) * 2010-06-21 2018-05-02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유리판, 유리판의 연마 방법, 유리판의 제조 방법 및 유리판의 제조 장치
JP2012036074A (ja) * 2010-07-12 2012-02-23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ガラス板
CN102374497A (zh) * 2010-08-17 2012-03-14 海洋王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导光板和led光源组件
KR101305612B1 (ko) * 2010-09-30 2013-09-09 아반스트레이트 가부시키가이샤 유리판 제조 방법
US8993465B2 (en) * 2011-01-25 2015-03-31 Corning Incorporated Glass composition having high thermal and chemical stability
WO2013129368A1 (ja) * 2012-02-27 2013-09-06 旭硝子株式会社 無アルカリガラスの製造方法
US8746010B2 (en) * 2012-03-12 2014-06-10 Corning Incorporated Methods for reducing zirconia defects in glass sheets
KR102472676B1 (ko) * 2012-05-31 2022-11-30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높은 내손상성을 갖는 지르콘 호환가능한, 이온 교환가능한 유리
CN103332868B (zh) * 2013-06-24 2016-01-13 武汉利之达科技有限公司 一种梯度折射率玻璃片及其制备方法
CN103395247B (zh) * 2013-07-30 2015-05-13 深圳欧菲光科技股份有限公司 盖板玻璃及其制备方法
US9643884B2 (en) * 2013-08-15 2017-05-09 Corning Incorporated Alkali-doped and alkali-free boroaluminosilicate glas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2383A (ja) 2003-02-21 2004-09-09 Mitsui Chemicals Inc 反射体用基板及びそれを用いた反射体、サイドライト型バックライト装置、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461191A (zh) 2017-02-22
JPWO2015186486A1 (ja) 2017-05-25
TW201605644A (zh) 2016-02-16
US20170066681A1 (en) 2017-03-09
WO2015186486A1 (ja) 2015-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15297A (ko) 도광판용 유리판
JP7150116B2 (ja) 高透過率ガラス
JP7267982B2 (ja) 導光板、及びバックライトを有する光学ディスプレイ
TWI657276B (zh) 包含玻璃物件的光導板與顯示裝置
WO2016031345A1 (ja) ガラス板
WO2015178254A1 (ja) 導光板用のガラス板
WO2016181864A1 (ja) ガラス板
US2019018536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aminated backlight unit
JP2019517726A (ja) 光抽出特徴部を含むガラス物品
JP7145147B2 (ja) アルカリ土類酸化物を改質剤として含む高透過性ガラス
TWI753147B (zh) 高透射性玻璃
TW201944110A (zh) 導光板
JP2017107738A (ja) 導光板用のガラス板
WO2016182054A1 (ja) ガラス板
KR20210002654A (ko) 저알칼리 고투과 유리
JP2016076478A (ja) 導光板用のガラス板
TWI841418B (zh) 高透光玻璃
WO2016031828A1 (ja) ガラス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