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0196A -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0196A
KR20170010196A KR1020150100880A KR20150100880A KR20170010196A KR 20170010196 A KR20170010196 A KR 20170010196A KR 1020150100880 A KR1020150100880 A KR 1020150100880A KR 20150100880 A KR20150100880 A KR 20150100880A KR 20170010196 A KR20170010196 A KR 201700101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member
brake
drum
communication hole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0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선
장승훈
Original Assignee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1020150100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0196A/ko
Priority to PCT/KR2016/005719 priority patent/WO2017010682A1/ko
Publication of KR20170010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01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drive mechanism
    • B60N2/167Ratchet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and provided with brak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 B60N2/18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characterised by the drive mechanism
    • B60N2/1882Ratchet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 B60N2/1889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and provided with brak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레버에 연결되어 회전되고, 둘레를 따라 복수의 가압돌기가 형성된 클러치드럼; 클러치드럼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며 출력축으로 동력을 인출하고, 가압돌기에 가압되는 복수의 지지돌기가 둘레를 따라 형성된 브레이크드럼; 및 지지돌기의 양측에 마련되며, 기공이 없는 탄성재질로 형성되고, 일측이 개구되어 외부와 연통된 연통홀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PUMPING DEVICE OF SEA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쿠션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내부의 실내 앞쪽과 뒤쪽으로 설치된 운전석, 보조석 그리고 동승석 좌석의자인 시트(Seat)는 탑승객의 편안함을 위해, 여러 가지 편의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편의장치로서, 탑승객의 체형에 따라 앞뒤로 밀고 당겨 조절할 수 있는 슬라이딩(Sliding) 기능과 더불어 시트의 등받이에 대한 기울기를 조절하는 리클라이닝(Reclining) 기능 등이 구비된다. 이에 더해, 근래에 출시되거나 설정 기준 이상의 차량에 대해서 핸들 레버로부터 입력을 받아 시트쿠션의 높낮이를 조절해 탑승객에게 맞추도록 시트쿠션의 승강 기능을 하는 펌핑디바이스도 구비되고 있다.
이러한 펌핑디바이스는 크게 레버부(lever unit), 클러치부(Clutch Unit) 및 브레이크부(Brake Unit)로 구성되며, 상기 레버부는 사용자의 조작력을 입력받아 상기 클러치부에 전달하고, 상기 클러치부는 입력된 사용자의 조작력(회전력)을 시트쿠선의 링크수단으로 전달하는 작용을 하며, 상기 브레이크부는 역 입력되는 동력을 차단하여 동작 완료된 링크수단을 고정하는 작용을 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의 탄성부재(90)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폴리우레탄 소재로 기공이 형성된 상태이다. 그러나, 폴리우레탄 소재로 탄성부재(90)의 성형 시 소재자체가 갖는 성질에 의해 내구성이 약한 특징이 있다. 그러나, 탄성부재(90)는 브레이크드럼과 브레이크롤러 사이에 개재되어 반복되는 마찰이 가해지기 때문에 마모에 취약한 상태이다. 또한, 폴리우레탄 소재 자체는 유기용제에 약하기 때문에 펌핑디바이스 내부의 윤활제를 흡수하고 토출하는 현상의 반복 시 성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브레이크드럼과 브레이크롤러 사이에서 반복되는 마찰에도 강건한 탄성부재가 필요한 것이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1294382 B1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브레이크드럼과 브레이크롤러 사이에서 반복되는 마찰에도 강건한 탄성부재가 마련된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는 레버에 연결되어 회전되고, 둘레를 따라 복수의 가압돌기가 형성된 클러치드럼; 클러치드럼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며 출력축으로 동력을 인출하고, 가압돌기에 가압되는 복수의 지지돌기가 둘레를 따라 형성된 브레이크드럼; 및 지지돌기의 양측에 마련되며, 기공이 없는 탄성재질로 형성되고, 일측이 개구되어 외부와 연통된 연통홀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탄성부재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바 형상이고, 연장된 전후방향을 따라 연통홀이 형성되며, 가압돌기의 측방 가압시 연통홀의 부피가 축소되며 탄성변형될 수 있다.
탄성부재에는 중심축을 따라 연통홀이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는 우레탄고무로 성형될 수 있다.
지지돌기는 원통형상의 브레이크드럼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넥부와 넥부의 외측단부에서 양측으로 각각 연장된 헤드부로 구성되며, 탄성부재는 브레이크드럼의 외주면, 넥부의 측면 및 헤드부의 하면에 의해 형성되는 장착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는 지지돌기의 장착공간에서 브레이크드럼의 외주면, 넥부의 측면 및 헤드부의 하면에 밀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탄성부재는 가압돌기측으로 연장된 형상이며 장착공간에 위치된 상태에서 헤드부보다 더 가압돌기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클러치드럼의 가압돌기와 탄성부재 사이에는 브레이크롤러가 마련되어 가압돌기의 가압시 브레이크롤러가 탄성부재를 가압하고, 브레이크롤러의 최대 가압지점에서 브레이크롤러는 탄성부재에 의해 저지되어 헤드부에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탄성부재는 지지돌기의 측면에 연통홀이 축소되어 변형된 상태로 조립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에 따르면 탄성부재를 종래의 폴리우레탄이 아닌 기공이 없는 우레탄고무로 성형함으로써, 펌핑디바이스의 작동에 따른 브레이크드럼과 브레이크롤러의 반복되는 마찰에도 소재 자체의 내마모성이 좋은 성질에 의해 마모성능이 개선되고, 내구성 및 내유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중심측에 길이방향의 연통홀을 형성함으로써, 펌핑디바이스의 동작 및 조립시 탄성부재의 압축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어 펌핑디바이스의 조립성을 개선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중량을 감소시켜 경량화 및 원가절감의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의 제1탄성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의 제1탄성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클러치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
도 5는 도 3의 브레이크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의 탄성부재(90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의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3의 클러치부(10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이고, 도 5는 도 3의 브레이크부(20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이다.
본 발명은 통상적으로 엘라스토머(Elastomer)라고 칭하는 탄성력을 갖는 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탄성부재(900)라고 지칭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는 레버(미도시)에 연결되어 회전되고, 둘레를 따라 복수의 가압돌기(210)가 형성된 클러치드럼(200); 클러치드럼(20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며 출력축(600)으로 동력을 인출하고, 가압돌기(210)에 가압되는 복수의 지지돌기(120)가 둘레를 따라 형성된 브레이크드럼(100); 및 지지돌기(120)의 양측에 마련되며, 기공이 없는 탄성재질로 형성되고, 일측이 개구되어 외부와 연통된 연통홀(910)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탄성부재(900);를 포함한다.
탄성부재(90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바(Bar) 형상이고, 연장된 전후방향을 따라 연통홀(910)이 형성되며, 가압돌기(210)의 측방 가압시 연통홀(910)의 부피가 축소되며 탄성변형된다. 특히, 연통홀(910)은 탄성부재(900)의 중심축을 따라 연장형성되고, 탄성부재(900)는 우레탄고무(Urethane Rubber)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탄성부재(900)의 연통홀(910)의 단면은 사각형 또는 원형일 수 있으며, 그 형상은 설계나 환경에 따라 변경 가능할 것이다.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는 크게는 클러치부(1000)와 브레이크부(2000)로 나눌 수 있다. 클러치부(1000)의 전방측에는 레버부(미도시)가 마련되어 사용자의 조작력을 입력받아 샤프트(미도시)를 통해 클러치부(1000)에 전달하고, 클러치부(1000)는 입력된 사용자의 조작력을 브레이크부(2000)의 출력축(600)을 통해 시트 내부의 링크수단(미도시)으로 전달하는 작용을 하며, 브레이크부(2000)는 출력축(600)을 통해 역입력되는 동력을 차단하여 동작이 완료된 링크수단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클러치부(1000)는 가압부재(400)에서부터 클러치드럼(200)까지로 구성되고, 브레이크부(2000)는 탄성부재(900)에서부터 출력축(600)까지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특히, 브레이크부(2000)의 브레이크드럼(100)과 브레이크롤러(800) 사이에 마련되는 탄성부재(900)에 관한 것으로서, 펌핑디바이스의 작동에 따른 브레이크드럼(100)과 브레이크롤러(800)의 반복되는 마찰에 의한 탄성부재(900)의 마모성능을 개선하기 위하여 탄성부재(900)의 소재를 우레탄고무로 변경하고, 탄성부재(900)의 중심측에 길이방향의 연통홀(910)을 형성하는 구조인 것이다.
종래의 탄성부재가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소재로 사각기둥 형상이었으나, 본 발명에서의 탄성부재(9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우레탄고무 소재로 성형하고, 사각기둥형상이되, 중심측에 길이방향으로 연통홀(910)이 형성된다. 또한, 기공이 없는 우레탄고무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반복되는 브레이크드럼과 브레이크롤러와의 마찰로 인한 마모에 대응할 수 있어 내구성 및 내유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더구나, 중심측에 연통홀(910)을 형성함으로써, 펌핑디바이스의 동작 시 압축부피를 많이 감소시킬 수 있어 펌핑디바이스의 조립 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도 3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의 구성을 좀 더 상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
브레이크드럼(100)의 중심측에는 내주면에 제1기어치(150)가 형성된 관통홀(140)이 형성되고, 관통홀(140)에는 브레이크드럼(100)의 후방측에서 출력축(600)이 관통결합된다. 출력축(600)은 플랜지(630)를 중심으로 전방측에는 제1기어치(150)와 치합되는 제2기어치(610)가 형성되고, 후방측에는 링크수단의 랙 혹은 섹터기어 등과 치합되는 피니언기어(620)가 형성된다. 또한, 최후방측에는 중심측에 관통홀(710)이 형성된 하우징커버(700)가 출력축(600)에 관통결합되어 브레이크드럼(100)을 커버한다.
브레이크드럼(100)은 원통형상이며, 지지돌기(120)는 브레이크드럼(100)의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넥부와 넥부의 외측단부에서 양측으로 각각 연장된 헤드부로 구성되며, 탄성부재(900)는 브레이크드럼(100)의 외주면, 넥부의 측면 및 헤드부의 하면에 의해 형성되는 장착공간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탄성부재(900)는 지지돌기(120)의 장착공간에서 브레이크드럼(100)의 외주면, 넥부의 측면 및 헤드부의 하면에 밀착되어 지지된다.
또한, 탄성부재(900)는 가압돌기(210)측으로 연장된 형상이며 장착공간에 위치된 상태에서 헤드부보다 더 가압돌기(210)측으로 연장됨으로써, 브레이크롤러(800)가 지지돌기(120)측으로 가압시 탄성부재(900)에 의해 지지돌기(120)의 헤드부와 접촉하지 않게된다. 즉, 클러치드럼(200)의 가압돌기(210)와 탄성부재(900) 사이에는 브레이크롤러(800)가 마련되어 가압돌기(210)의 가압시 브레이크롤러(800)가 탄성부재(900)를 가압하게 되는데, 이때, 브레이크롤러(800)의 최대 가압지점에서 브레이크롤러(800)는 탄성부재(900)에 의해 저지되어 지지돌기(120)의 헤드부에 접촉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펌핑디바이스의 동작시 지지돌기(120)와 브레이크롤러(800)의 간섭으로 인한 소음이 제거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브레이크드럼(100)의 지지돌기(120)는 관통홀(140)을 중심으로 동심방사형으로 형성되며, 지지돌기(120)와 지지돌기(120)의 사이에는 브레이크드럼(100)의 반지름방향 외측으로 소정의 높이로 돌출된 걸림턱(130)이 형성된다.
도 4 내지 5에서 볼 수 있듯이, 브레이크드럼(100)의 지지돌기(120)에는 양측으로 사각기둥 형상이되 중심에는 연통홀(910)이 형성된 탄성부재(900)가 마련되고, 탄성부재(900)의 외측에는 원기둥형상의 브레이크롤러(800)가 각각 결합된다. 따라서, 브레이크드럼(100)과 브레이크롤러(800)의 동작에 따른 반복적인 마찰이 발생하더라도, 우레탄고무가 가진 특성상 내마모성이 좋기 때문에 탄성부재(900)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또한, 탄성부재(900)는 지지돌기(120)의 측면 장착공간에 연통홀(910)이 축소되어 변형된 상태로 조립됨으로써, 연통홀이 형성되지 않은 종래의 탄성부재에 대비하여 축소된 부피를 줄일 수 있어 작업자가 보다 용이하게 조립을 할 수 있어 조립공정이 간편하고, 효율적이게 되는 장점이 있다.
브레이크드럼(100)에는 브레이크드럼(100)측으로 절곡된 복수의 가압돌기(210)가 형성된 클러치드럼(200)이 전방측에서 결합되고, 지지돌기(120)의 사이사이에 가압돌기(210)가 마련되되, 가압돌기(210)는 걸림턱(130)의 상측에 맞닿도록 결합되어 클러치드럼(200)의 회전 시 양측의 브레이크롤러(800)를 가압하게 되는 구조이다.
또한, 클러치드럼(200)의 안착면(220)에는 인풋캠(300)이 전방측에서 결합되되, 인풋캠(300)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가압턱(330)이 형성되고, 가압턱(330)의 양측면에는 클러치롤러(310)가 마련되어 인풋캠(300)의 회전력이 클러치드럼(200)에 전달되게 된다. 가압턱(330)과 가압턱(330)의 사이에는 가압부재(400)가 마련되되 압축된 상태로 조립되어 지속적으로 클러치롤러(310)를 가압턱(330)측으로 가압하게 된다. 인풋캠(200)의 전에는 중심측에 관통홀(520)이 형성되고, 관통홀(520)의 외측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복수의 플랜지(510)가 형성된 하우징(500)이 결합된다. 하우징(500)의 전방측에는 레버부와 결합되는 레버브라켓(530)이 마련된다. 레버브라켓(530)은 레버의 상하조작력을 회전력으로 변환하고 이를 클러치부(100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의 동작을 살펴보도록 한다. 도 4는 도 3의 클러치부(10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이고, 도 5는 도 3의 브레이크부(20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이다. 도 3과 도 4는 락킹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펌핑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작동하기 전에는 락킹된 상태로 유지된다. 락킹상태에서 시트쿠션의 높낮이 조절을 위해 사용자가 레버를 가압하여 레버에 동작이 입력되면, 락킹이 해제되고, 락킹이 해제된 상태에서 시트쿠션의 높낮이가 조절된 후 레버에 가한 압력이 제거되면 다시 도 3 내지 도 4의 락킹상태가 되어 유지되는 것이다.
먼저, 도 3을 통해 클러치부(1000)측에서 본 동작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레버가 가압되어 동작이 입력되면, 샤프트의 힌지축(350)을 중심으로 인풋캠(300)이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인풋캠(300)의 가압턱(330)이 클러치롤러(310a)를 화살표 A방향으로 가압하여 클러치롤러(310a)는 인풋캠(300)과 클러치드럼(200) 사이에서 끼이게 되어 인풋캠(300)과 클러치드럼(200)이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나, 클러치롤러(310a)와 클러치롤러(310b)의 사이에 마련된 가압부재(400)는 클러치롤러(310a)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클러치롤러(310b)를 가압하여 클러치롤러(310b)가 하우징(500)의 플랜지(510)에 걸려서 더 이상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게 된다. 이때, 압력이 제거되면, 압축되었던 가압부재(400)가 원상복귀되면서 인풋캠(300)의 가압턱(330)에 의해 이동되었던 클러치롤러(310a)를 초기 위치로 이동시키면서 인풋캠(300) 역시 초기위치로 이동되며, 이러한 동작의 반복에 의해서 시트쿠션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한 동작은 반대방향으로도 성립한다.
도 4는 도 3의 클러치부(1000)의 동작에 따라 브레이크부(2000)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3에서 클러치드럼(200)이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이므로, 클러치드럼(200)의 가압돌기(210a)도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가압돌기(210a)가 브레이크롤러(800a)와 접촉되어 있다가, 가압돌기(210a)가 브레이크롤러(800a)를 가압함으로써, 브레이크롤러(800a)에 의해 브레이크드럼(100)이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다. 따라서, 레버로부터 입력된 압력이 클러치부(1000)를 통해 브레이크부(2000)로 전달되어 출력축(600)을 통해 링크수단으로 전달되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동작은 화살표 B의 반대방향으로도 성립한다. 그러나, 만약, 링크수단측에서 출력축(600)을 통해 정상적인 동력의 흐름과 반대로 외부의 회전력이 펌핑디바이스의 내부로 입력된다면, 브레이크롤러(800b)가 브레이크드럼(100)의 걸림턱(130)과 가압돌기(210b) 사이에 끼이게되어 브레이크드럼(100)이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펌핑디바이스의 동작 안정성이 확보되는 강건한 구조를 갖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는 탄성부재를 종래의 폴리우레탄이 아닌 기공이 없는 우레탄고무로 성형함으로써, 펌핑디바이스의 작동에 따른 브레이크드럼과 브레이크롤러의 반복되는 마찰에도 소재 자체의 내마모성이 좋은 성질에 의해 마모성능이 개선되고, 내구성 및 내유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중심측에 길이방향의 연통홀을 형성함으로써, 펌핑디바이스의 동작 및 조립시 탄성부재의 압축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어 펌핑디바이스의 조립성을 개선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중량을 감소시켜 경량화 및 원가절감의 효과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브레이크드럼 120 : 지지돌기
130 : 걸림턱 140 : 관통홀
150 : 제1기어치 200 : 클러치드럼
210 : 가압돌기 220 : 안착면
230 : 관통홀 300 : 인풋캠
310 : 클러치롤러 320 : 가이드돌기
330 : 가압턱 340 : 관통홀
350 : 힌지축 400 : 가압부재
500 : 하우징 510 : 플랜지
520 : 관통홀 530 : 레버브라켓
540 : 가이드홀 600 : 출력축
610 : 제2기어치 620 : 피니언기어
630 : 플랜지 700 : 하우징커버
710 : 관통홀 800 : 브레이크롤러
900 : 탄성부재 910 : 연통홀
1000 : 클러치부 2000 : 브레이크부

Claims (9)

  1. 레버에 연결되어 회전되고, 둘레를 따라 복수의 가압돌기가 형성된 클러치드럼;
    클러치드럼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며 출력축으로 동력을 인출하고, 가압돌기에 가압되는 복수의 지지돌기가 둘레를 따라 형성된 브레이크드럼; 및
    지지돌기의 양측에 마련되며, 기공이 없는 탄성재질로 형성되고, 일측이 개구되어 외부와 연통된 연통홀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탄성부재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바 형상이고, 연장된 전후방향을 따라 연통홀이 형성되며, 가압돌기의 측방 가압시 연통홀의 부피가 축소되며 탄성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3. 청구항 1에 있어서,
    탄성부재에는 중심축을 따라 연통홀이 연장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4. 청구항 1에 있어서,
    탄성부재는 우레탄고무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5. 청구항 1에 있어서,
    지지돌기는 원통형상의 브레이크드럼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넥부와 넥부의 외측단부에서 양측으로 각각 연장된 헤드부로 구성되며, 탄성부재는 브레이크드럼의 외주면, 넥부의 측면 및 헤드부의 하면에 의해 형성되는 장착공간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6. 청구항 5에 있어서,
    탄성부재는 지지돌기의 장착공간에서 브레이크드럼의 외주면, 넥부의 측면 및 헤드부의 하면에 밀착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7. 청구항 5에 있어서,
    탄성부재는 가압돌기측으로 연장된 형상이며 장착공간에 위치된 상태에서 헤드부보다 더 가압돌기측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8. 청구항 7에 있어서,
    클러치드럼의 가압돌기와 탄성부재 사이에는 브레이크롤러가 마련되어 가압돌기의 가압시 브레이크롤러가 탄성부재를 가압하고, 브레이크롤러의 최대 가압지점에서 브레이크롤러는 탄성부재에 의해 저지되어 헤드부에 접촉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9. 청구항 1에 있어서,
    탄성부재는 지지돌기의 측면에 연통홀이 축소되어 변형된 상태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KR1020150100880A 2015-07-16 2015-07-16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KR2017001019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880A KR20170010196A (ko) 2015-07-16 2015-07-16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PCT/KR2016/005719 WO2017010682A1 (ko) 2015-07-16 2016-05-30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880A KR20170010196A (ko) 2015-07-16 2015-07-16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0196A true KR20170010196A (ko) 2017-01-26

Family

ID=57757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0880A KR20170010196A (ko) 2015-07-16 2015-07-16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70010196A (ko)
WO (1) WO201701068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28194A (zh) * 2020-06-29 2022-01-14 福州明芳汽车部件工业有限公司 兼具磨耗和晃动防止功能的离合机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45556B (zh) * 2018-02-13 2024-03-15 福州明芳汽车部件工业有限公司 座椅高低调整装置的改良型刹车机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382B1 (ko) 2012-06-28 2013-08-08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3776A (ja) * 1999-10-25 2001-07-17 Toyo Tire & Rubber Co Ltd 複合防振ブッシュ
KR100784620B1 (ko) * 2006-12-29 2007-12-11 주식회사다스 차량 시트쿠션용 펌핑장치
JP5447787B2 (ja) * 2009-04-07 2014-03-19 Nok株式会社 往復動用密封装置
KR101417523B1 (ko) * 2012-12-27 2014-07-10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KR101405994B1 (ko) * 2013-06-03 2014-06-27 대원정밀공업(주) 차량 시트의 펌핑 디바이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382B1 (ko) 2012-06-28 2013-08-08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28194A (zh) * 2020-06-29 2022-01-14 福州明芳汽车部件工业有限公司 兼具磨耗和晃动防止功能的离合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10682A1 (ko) 2017-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33418B2 (en) Fitting for a vehicle seat
KR101417523B1 (ko)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US20140373663A1 (en) Locking device for an adjustable steering column
EP1905640A2 (en) Seat device for vehicle
KR101491884B1 (ko)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KR101491883B1 (ko)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KR20180002241A (ko) 자동차 시트의 높이 조절장치
KR101315793B1 (ko) 시트의 회전장치
KR20120107547A (ko) 자동차 부품의 위치 고정용 전동 클램핑 장치
KR20170010196A (ko)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KR101787990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닝장치
KR100785624B1 (ko) 시트의 사이클로이드 타입 리클라이닝 장치
KR101058472B1 (ko) 차량용 리클라이닝 장치
KR101330996B1 (ko) 리어시트백 어셈블리의 조립장치
KR101230848B1 (ko)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CN112078446B (zh) 用于车辆座椅的座椅高度调节设备
KR101725410B1 (ko)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KR101970139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KR101943962B1 (ko) 자동차 시트의 높이 조절장치
CN105599685B (zh) 用于机动车辆的后视镜组件
CN107933383B (zh) 一种电动座椅及其角度调节装置
KR102142008B1 (ko) 자동차 시트의 높이 조절장치
US6681910B1 (en) Drive which acts on both sides and for use in adjusting devices in motor vehicles
KR101047555B1 (ko) 차량용 시트의 럼버 서포트 엑츄에이터
EP1961609A3 (fr) Ensemble de réception en coulissement d'une tige crantée de montage d'un appui-tête comprenant un moyen d'absorption d'énergi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