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8002A - 수평 포장기 - Google Patents

수평 포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8002A
KR20170008002A KR1020150099172A KR20150099172A KR20170008002A KR 20170008002 A KR20170008002 A KR 20170008002A KR 1020150099172 A KR1020150099172 A KR 1020150099172A KR 20150099172 A KR20150099172 A KR 20150099172A KR 20170008002 A KR20170008002 A KR 201700080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sorption
line
groove
pa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9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2061B1 (ko
Inventor
이기출
Original Assignee
(주)대성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성정공 filed Critical (주)대성정공
Priority to KR1020150099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2061B1/ko
Publication of KR20170008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8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2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20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5/00Apparatus or devices for supporting or holding wrappers during wrapp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65B35/16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grip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급되는 대상물(예, 포장지)을 절단하고 절단된 포장지에 단위 글라스 기판을 적치하는 시간과 흡착 파괴로 인한 포장지 이탈을 줄이는 수평 포장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 포장기는, 단위 글라스 기판을 지지하도록 공급되는 포장지를 절단하는 커터, 상기 커터로 절단되어 이송되는 단위 포장지를 지지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이송된 상기 단위 포장지에 상기 단위 글라스 기판을 적치하는 제1로봇, 상기 지지대에 적치된 상기 단위 포장지와 상기 단위 글라스 기판을 함께 취출하는 제2로봇, 및 공급 대기 중인 포장지의 끝 설정 영역의 하면에 배치되어 상기 설정 영역을 부압으로 흡착하여 지지하는 흡착 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흡착 패드는, 상기 설정 영역에서 상기 포장지와 접촉하는 흡착 영역을 포함하고, 관통 구멍으로 형성되어 상기 흡착 영역에 부압을 작용시키는 흡착 홀, 및 상기 흡착 영역의 표면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흡착 홀에 연결되며 상기 흡착 영역에 부압을 더 작용시키도록 설정된 길이를 가지는 홈을 가진다.

Description

수평 포장기{HORIZONTALITY PACKING APPARATUS}
본 발명은 수평 포장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급되는 대상물(예, 포장지)을 절단하고 절단된 포장지에 단위 글라스 기판을 적치하는 시간을 줄이는 수평 포장기에 관한 것이다.
글라스 기판 제조 후, 단위 글라스 기판에 대응하도록 공급되는 포장지를 절단하는 공정, 절단된 단위 글라스 기판을 포장지에 적치하는 공정, 및 적치된 포장지와 단위 글라스 기판을 함께 이동하여 별도의 장소에 적층하는 공정들이 있을 수 있다.
단위 포장지는 사각형 4모퉁이에 클램프로 고정되고, 이 상태에서 단위 글라스 기판은 포장지 상에 적치된다. 이때, 단위 글라스 기판의 하강 작동에 의하여 단위 포장지 주위에 공기 유동이 발생된다.
포장지를 절단한 후, 단위 글라스 기판을 포장지에 적치할 때, 공급 대기 중인 포장지의 끝 일정 영역은 단위 글라스 기판에 의하여 발생된 공기 유동에 의하여 펄럭거리면서 이동될 수 있다.
이동된 포장지의 끝 일정 영역은 후에 적치되는 단위 글라스 기판과 불일치 되어 단위 글라스 기판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지 못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고, 포장지의 끝 일정 영역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공급 대기 중인 포장지의 하면에 흡착 패드가 배치된다.
흡착 패드는 진공 펌프에 연결되어 부압을 포장지의 하면에 작용시켜, 포장지의 하면을 진공 흡착력으로 고정시킨다. 이를 위하여, 흡착 패드는 복수의 흡착 홀들을 구비하고, 흡착 홀들을 통한 부압으로 포장지의 하면을 흡착하여 지지한다.
그러나 흡착 패드는 흡착 홀들을 통한 부압이 약하기 때문에, 진공 패드를 포장지의 하면에 완전히 흡착하기까지 상당한 시간을 소요하게 된다. 이 소요 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흡착 홀을 크게 하거나 부압을 크게 하는 경우, 포장지가 손상될 수 있으므로 흡착 홀을 크게 하거나 부압을 크게 하는 방법은 적용될 수 없다.
흡착 패드가 구비되는 경우에도, 단위 글라스 기판이 단위 포장지에 적치될 때, 단위 글라스 기판을 지그재그로 이동시켜서 단위 글라스 기판이 포장지의 평면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하강된다.
따라서 단위 글라스 기판을 지그재그 상태로 하강 이동하여 포장지에 적치하는데 소요 시간이 길어지고, 시간 단축시 흡착 파괴 발생으로 포장지 이탈이 생기며, 단위 글라스 기판을 이송하는 로봇의 제어가 복잡해진다. 즉 수평 포장기의 생산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급되는 대상물(예, 포장지)을 절단하고 절단된 포장지에 단위 글라스 기판을 적치하는 시간과 흡착 파괴로 인한 포장지 이탈을 줄이는 수평 포장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 포장기는, 단위 글라스 기판을 지지하도록 공급되는 포장지를 절단하는 커터, 상기 커터로 절단되어 이송되는 단위 포장지를 지지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이송된 상기 단위 포장지에 상기 단위 글라스 기판을 적치하는 제1로봇, 상기 지지대에 적치된 상기 단위 포장지와 상기 단위 글라스 기판을 함께 취출하는 제2로봇, 및 공급 대기 중인 포장지의 끝 설정 영역의 하면에 배치되어 상기 설정 영역을 부압으로 흡착하여 지지하는 흡착 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흡착 패드는, 상기 설정 영역에서 상기 포장지와 접촉하는 흡착 영역을 포함하고, 관통 구멍으로 형성되어 상기 흡착 영역에 부압을 작용시키는 흡착 홀, 및 상기 흡착 영역의 표면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흡착 홀에 연결되며 상기 흡착 영역에 부압을 더 작용시키도록 설정된 길이를 가지는 홈을 가진다.
상기 흡착 패드는 상기 흡착 영역, 상기 흡착 홀 및 상기 홈을 구비하는 플레이트부, 및 상기 플레이트부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착 패드는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설정 영역에서 상기 커터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 포장기는, 상기 흡착 패드에 연결되는 진공 펌프, 상기 진공 펌프와 복수의 흡착 패드들을 공통으로 연결하는 진공 라인, 및 상기 진공 라인에 설치되는 진공 게이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홈은 일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라인 홈과 상기 제1라인 홈에 교차하여 형성되는 제2라인 홈을 포함하고, 상기 흡착 홀은 상기 제1라인 홈과 상기 제2라인 홈의 교차점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라인 홈과 상기 제2라인 홈은, 상기 제2라인 홈의 길이 방향 및 상기 제1라인 홈의 길이 방향으로 각각 이격되어 복수의 홈 그룹들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흡착 패드는, 상기 홈과 상기 흡착 홀을 형성하고, 상기 홈의 반대측에 진공 챔버를 형성하는 패드 플레이트, 및 상기 패드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진공 챔버를 기밀 설정하는 마감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착 패드는 하나로 구비되어, 상기 설정 영역에서 상기 커터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라인 홈과 상기 제2라인 홈은 상기 제1라인 홈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의 홈 그룹들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라인 홈은 상기 제1라인 홈의 길이 방향에서 하나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흡착 패드는 사각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은 동심원 구조의 복수의 라인 홈들을 포함하고, 상기 흡착 홀은 상기 라인 홈들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흡착 영역에 흡착 홀과 홈을 구비한 흡착 패드로 대상물(예, 포장지)을 흡착하여 지지하므로 보다 견고히 흡착하여 지지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는 공급되는 대상물(예, 포장지)을 절단하고 절단된 대상물에 단위 글라스 기판을 적치하는 시간과 흡착 파괴로 인한 포장치 이탈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평 포장기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평 포장기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적용되는 일 실시예의 흡착 패드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평 포장기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에 적용되는 일 실시예의 흡착 패드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평 포장기에 적용되는 변형된 흡착 패드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평 포장기에 적용되는 변형된 흡착 패드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평 포장기에 적용되는 변형된 흡착 패드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평 포장기에 적용되는 변형된 흡착 패드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평 포장기의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실시예의 수평 포장기(100)는 대상물(일례로써, 포장지)(1)을 절단하는 커터(2), 단위 포장지(11)를 지지하는 지지대(3), 제1로봇(4), 제2로봇(5) 및 흡착 패드(6)를 포함한다.
포장지(1)는 커터(2)의 일측에서 커터(2)의 하방을 경유하여 연속적으로 공급되며, 커터(2)에 의하여 사각형의 단위 포장지(11)로 절단된다. 단위 포장지(11)는 단위 글라스 기판(41)을 지지하도록 단위 글라스 기판(41)보다 큰 면적으로 형성 및 공급된다.
단위 포장지(11)는 단위 글라스 기판들(41) 사이마다 배치되는 간지로 사용되며, 단위 글라스 기판들(41)을 적층하여 취급 및 이동할 때,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단위 글라스 기판들(41)의 파손을 방지한다. 예를 들면, 포장지(1) 및 단위 포장지(11)는 합성수지 또는 종이로 형성될 수 있다.
커터(2)는 연속적으로 이송 공급되는 포장지(1)를 단위 글라스 기판(41)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는 단위 포장지(11)로 절단한다. 따라서 이송 후 절단된 단위 포장지(11)는 커터(2)의 인접 측에서 지지대(3) 측의 제1로봇(4) 작동 영역(A1)으로 더 이송되어 단위 글라스 기판(41)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대(3)는 이송되는 단위 포장지(11)를 지지하고, 단위 포장지(11)에 단위 글라스 기판(41)을 적치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지지대(3)는 포장지(1)가 공급되어 커터(2)에 의하여 절단될 수 있도록 커터(2)의 하방으로 더 연장 형성된다.
제1로봇(4)은 지지대(3)와 별도의 공간에서 공급되는 단위 글라스 기판(41)을 진공 흡착하여, 지지대(3)에 이송된 단위 포장지(11) 위에 적치한다. 이를 위하여, 제1로봇(4)은 단위 글라스 기판(41)을 진공 흡착으로 취급할 수 있도록 로봇 팔(42)에 글라스 취급부(43)를 구비한다.
적치 후 단위 포장지(11)와 단위 글라스 기판(41)은 지지대(3) 측의 제1로봇(4) 작동 영역(도 1에서 단위 글라스 기판(41)이 놓여진 영역(A1))에서 제2로봇(5)의 작동 영역(A2)으로 이송되어 제2로봇(5)에 의하여 지지대(3)로부터 취출된다.
제2로봇(5)에 의하여, 단위 포장지(11)와 단위 글라스 기판(41)이 제2로봇(5)의 작동 영역(A2)으로부터 취출될 때, 대기 중인 포장지(1)는 클램프(51)로 고정된 상태로 커터(2)의 하방을 통과하여 지지대(3) 상으로 이송된다.
이송 완료 후, 커터(2)가 하강하여(도 1의 실선 위치) 포장지(1)를 절단하고 절단된 단위 포장지(11)는 더 이송되어 지지대(3) 상의 제1로봇(4) 작동 영역(A1)에 배치된다.
그리고 커터(2)는 단위 포장지(11) 측으로 설정된 범위(L)로 이송되어(도 1의 이점 쇄선 위치), 지지대(3)의 제1로봇(4) 작동 영역(A1)의 전방에서 대기 중인 포장지(1)가 이송될 때, 하강하여 포장지(1)의 진행을 막음으로써 포장지(1)의 끝 위치를 설정한다.
이로써, 대기 중인 포장지(1)의 끝 설정 영역(A)이 설정된다. 설정 영역(A)은 커터(2)와 포장지(1) 끝 사이에 설정된다. 즉 설정 영역(A)은 커터(2)의 이동 범위(L)와 포장지(1)의 폭으로 설정된다.
이 포장지(1)는 폭 방향 양측에서 승강 후 클램핑 작동되는 클램프(51)로 고정되어, 커터(2)의 하방에서 지지대(3) 상으로 이송 완료 후, 커터(2)에 의하여 단위 포장지(11)로 절단된다.
흡착 패드(6)는 공급 대기 중인 포장지(1)의 끝 설정 영역(A)의 하면에 배치되어 포장지(1)의 끝 설정 영역(A)을 부압으로 고정시킨다. 대기 중인 포장지(1)의 끝 설정 영역(A)은 흡착 패드(6)의 부압에 의하여 지지대(3) 측에 흡착 지지된다.
따라서 제1로봇(4)이 단위 글라스 기판(41)을 하강하여 지지대(3) 상의 작동 영역(A1)의 단위 포장지(11)에 적치할 때, 지지대(3) 주위에 공기 유동이 발생되지만, 대기 중인 포장지(1)의 끝 설정 영역(A)은 펄럭거리지 않고 흡착 패드(6)에 흡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제1로봇(4)에 의하여 단위 글라스 기판(41)이 작동 영역(A1)의 단위 포장지(11)에 바로 하강하여 적치되므로 단위 글라스 기판(41)을 이동하여 단위 포장지(11)에 적치하는 소요 시간이 단축되고, 흡착 파괴로 인한 단위 포장지(11) 이탈을 줄이며, 제1로봇(4)의 제어가 단순해진다. 즉 수평 포장기(100)의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평 포장기의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수평 포장기(100)에서, 흡착 패드(6)는 복수로 구비되어, 포장지(1)의 끝 설정 영역(A)에서 커터(2)의 길이 방향(포장지(1)의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일례로써, 흡착 패드(6)는 6개로 구비되어 포장지(1)의 폭 방향 양단에 좁은 간격으로 2개씩 배치되어 양단을 견고하게 흡착하고, 중간에 보다 큰 간격으로 2개 배치되어 중간 부분을 흡착한다.
제1실시예의 수평 포장기(100)는 흡착 패드(6)에 연결되는 진공 펌프(61), 진공 펌프(61)와 복수의 흡착 패드들(6)을 공통으로 연결하는 진공 라인(62), 및 진공 라인(62)에 설치되어 부압 정도를 측정하는 진공 게이지(63)를 더 포함한다.
진공 펌프(61)에서 생성되는 부압은 진공 라인(62)을 통하여 흡착 패드(6)에 연결되어, 흡착 패드(6)에 배치되는 포장지(1)의 끝 설정 영역(A)을 부압으로 흡착하여 지지한다.
진공 게이지(63)는 종래의 진공 펌프에 장착되는 것과 달리, 진공 라인(62)에 설치되어 흡착 패드(6) 및 진공 라인(62)의 부압 상태를 나타내게 되므로 흡착 패드(6) 및 진공 라인(62)에서 부압이 해제되는 것을 보다 정확히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도 3은 도 2에 적용되는 일 실시예의 흡착 패드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Ⅳ-Ⅳ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흡착 패드(6)는 플레이트부(601)와 플레이트부(601)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외부 장치인 수평 포장기(100)의 지지대(3)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지지부(602)를 포함한다.
플레이트부(601)는 대상물인 포장지(1)와 접촉하는 표면에 형성되는 흡착 영역(SA)을 포함하고, 관통 구멍으로 형성되어 흡착 영역(SA)에 부압을 작용시키는 흡착 홀(611) 및 홈(612)를 포함한다.
홈(612)는 흡착 영역(SA)의 표면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흡착 홀(611)에 연결되어 흡착 홀(611)을 통하여 부압이 작용되는 흡착 영역(SA)에 부압을 더 작용시키도록 설정된 길이를 가진다.
즉 플레이트부(601)는 서로 연결된 흡착 홀(611)과 홈(612)을 통하여 흡착 영역(SA)에 부압을 작용시키며, 흡착 영역(SA)의 넓은 범위를 통하여 설정 영역(A)에 부압을 크게 작용시킬 수 있다.
홈(612)은 일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라인 홈(621)과 제1라인 홈(621)에 교차하여 형성되는 제2라인 홈(622)을 포함한다. 흡착 홀(611)은 제1라인 홈(621)과 제2라인 홈(622)의 교차점에 형성된다.
따라서 흡착 영역(SA)의 흡착 홀(611)을 통하여 포장지(1)의 끝 설정 영역(A)에 작용하는 부압은 흡착 홀(611)에 연결되는 흡착 영역(SA)의 홈(612), 즉 제1, 제2라인 홈(621, 622)을 통하여 포장지(1)의 끝 설정 영역(A)에 더 작용할 수 있다.
흡착 홀(611)에 설정된 부압이 작용하는 경우, 제1, 제2라인 홈(621, 622)은 흡착 영역(SA)에서 부압의 작용 면적을 증대시켜, 포장지(1)의 끝 설정 영역(A)에 대한 흡착 패드(6)의 흡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제1, 제2라인 홈(621, 622)은 흡착 영역(SA)의 흡착 홀(611)을 증대시키지 않으므로 포장지(1)의 끝 설정 영역(A)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포장지(1)의 끝 설정 영역(A)에 대한 흡착 패드(6)의 높은 흡착력을 발휘할 수 있게 한다.
일 실시예의 흡착 패드(6)에서, 제1라인 홈(621)은 x축 방향으로 신장 형성되고 복수로 구비되어 제2라인 홈(622)의 길이 방향(y축 방향)으로 각각 이격되고, 제2라인 홈(622)은 y축 방향으로 신장 형성되고 복수로 구비되어 제1라인 홈(621)의 길이 방향(x축 방향)으로 각각 이격된다.
이러한 제1라인 홈(621)과 제2라인 홈(622)은 복수의 홈 그룹들(G)을 형성한다. 일례로써, 홈 그룹들(G)은 x, y축 방향에서 각각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행 4열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홈 그룹들(G)은 흡착 영역(SA)의 흡착 홀(611)에 작용하는 부압을 포장지(1)의 끝 설정 영역(A)에 보다 균일하게 작용시킬 수 있다.
또한, 흡착 패드(6)는 체결부재(633)로 서로 체결되는 패드 플레이트(631)와 마감 플레이트(632)를 포함한다. 패드 플레이트(631)는 플레이트부(601)와 지지부(602)를 설정하고, 플레이트부(601)의 흡착 영역(SA)에 홈(612; 제1, 제2라인 홈((621, 622))과 흡착 홀(611)을 형성하고, 흡착 영역(SA) 및 홈(612)의 반대측에 진공 챔버(634)를 형성한다.
마감 플레이트(632)는 패드 플레이트(631)의 진공 챔버(634) 측에 결합되어 진공 챔버(634)를 기밀 구조로 설정한다. 또한 마감 플레이트(632)는 진공 라인(62)에 연결되는 연결 홀(635)을 구비한다.
따라서 진공 라인(62)에 연결되는 연결 홀(635)에 작용하는 부압은 진공 챔버(634), 흡착 영역(SA)의 흡착 홀(611) 및 홈(612; 제1, 제2라인 홈((621, 622))을 통하여 포장지(1)의 끝 설정 영역(A)에 견고하게 작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실시예 및 기 설명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생략하고, 서로 다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평 포장기의 구성도이고, 도 6은 도 5에 적용되는 일 실시예의 흡착 패드의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2실시예의 수평 포장기(200)에서, 흡착 패드(26)는 하나로 구비되어, 포장지(1)의 끝 설정 영역(A)에서 커터(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편의상, 제2실시예의 수평 포장기(200)에 적용되는 흡착 패드(26)의 플레이트부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지지부를 생략하고, 플레이트부에 형성되는 흡착 영역(SA2)에 대하여 설명한다.
흡착 영역(SA2)의 홈(712)에서, 제1라인 홈(721)과 제2라인 홈(722)은 복수의 홈 그룹들(G2)을 형성하며, 복수의 홈 그룹들(G2)은 제1라인 홈(721)의 길이 방향(x축 방향)으로 이격된다. 흡착 영역(SA2)의 흡착 홀(711)은 제1, 제2라인 홈(721, 722)의 교차점에 형성된다.
제1실시예는 흡착 패드들(6) 사이에 부압이 작용하지 않는데 비하여, 제2실시예에 적용되고 하나로 형성되는 흡착 패드(26)는 포장지(1)의 끝 설정 영역(A)에 대하여 부압이 작용하지 않는 부분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평 포장기에 적용되는 변형된 흡착 패드의 평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실시예의 수평 포장기(200)에서, 흡착 패드(36)는 하나로 구비되어, 포장지(1)의 끝 설정 영역(A)에서 커터(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편의상, 제2실시예의 수평 포장기(200)에 적용되는 변형된 흡착 패드(36)에서 플레이트부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지지부를 생략하고, 플레이트부에 형성되는 흡착 영역(SA3)에 대하여 설명한다.
흡착 영역(SA3)의 홈(713)에서, 제1라인 홈(731)과 제2라인 홈(722)은 제1라인 홈(731)의 길이 방향(x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의 홈 그룹들(G3)을 형성한다. 이때, 제1라인 홈(731)은 제1라인 홈(731)의 길이 방향(x축 방향)에서 하나로 연결된다. 즉 복수의 홈 그룹들(G3)은 제1라인 홈(731)으로 연결된다. 흡착 영역(SA3)의 흡착 홀(732)은 제1, 제2라인 홈(731, 722)의 교차점에 형성된다.
도 5 및 도 도 6의 흡착 패드(26)는 홈 그룹들(G2)을 흡착 영역(SA2)에 복수로 구비하고 있으나, 도 7의 흡착 패드(36)는 흡착 영역(SA3)에 홈 그룹들(G3)을 제1라인 홈(731)의 길이 방향(x축 방향)에서 하나로 연결하고 있다.
따라서 도 5 및 도 도 6의 흡착 패드(26)에 비하여, 도 7의 흡착 패드(36)는 홈 그룹들(G3)을 연결하는 제1라인 홈(731) 부분에서도 부압을 작용시키므로 포장지(1)의 끝 설정 영역(A)에 대하여 부압이 작용하지 않는 부분을 더욱 줄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평 포장기에 적용되는 변형된 흡착 패드의 평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실시예의 수평 포장기(100)에 적용되는 변형된 흡착 패드(46)는 플레이트부(801)와 플레이트부(801)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외부 장치인 수평 포장기의 지지대(3)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지지부(802)를 포함한다.
플레이트부(801)는 대상물인 포장지(1)와 접촉하는 표면에 형성되는 흡착 영역(SA4)을 포함하고, 관통 구멍으로 형성되어 흡착 영역(SA4)에 부압을 작용시키는 흡착 홀(832) 및 홈(812)를 포함한다.
흡착 영역(SA4)의, 홈(812)에서, 제1라인 홈(821)과 제2라인 홈(822)은 제2라인 홈의 길이 방향 및 제1라인 홈의 길이 방향으로 각각 연결된다. 흡착 영역(SA4)의 흡착 홀(832)은 제1, 제2라인 홈(821, 822)의 교차점에 형성된다.
도 3의 흡착 패드(6)는 홈 그룹들(G) 사이에서 부압이 작용하지 않는 부분이 있는데 비하여, 도 8의 흡착 패드(46)는 부압이 작용하지 않는 부분이 제거되므로 포장지(1)의 끝 설정 영역(A)에 대한 흡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평 포장기에 적용되는 변형된 흡착 패드의 평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실시예의 수평 포장기(100)에 적용되는 변형된 흡착 패드(56)는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다른 실시예들(도 1 내지 도 8)과 달리 원형으로 형성된다.
편의상, 제1실시예에 적용되는 변형된 흡착 패드(56)에서 플레이트부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지지부를 생략하고, 플레이트부에 형성되는 흡착 영역(SA5)에 대하여 설명한다.
흡착 영역(SA5)의 홈(912)에서, 제1라인 홈(921)과 제2라인 홈(922)은 제2라인 홈(922)의 길이 방향 및 제1라인 홈(921)의 길이 방향으로 각각 연결된다. 흡착 영역(SA5)의 흡착 홀(92)은 제1, 제2라인 홈(921, 922)의 교차점에 형성된다. 도 9의 흡착 패드(56)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사각형과 원형 이외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을 예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평 포장기에 적용되는 변형된 흡착 패드의 평면도이다. 편의상, 제1실시예에 적용되는 변형된 흡착 패드(66)에서 플레이트부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지지부를 생략하고, 플레이트부에 형성되는 흡착 영역(SA6)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실시예의 수평 포장기(100)에 적용되는 흡착 패드(66)에서, 흡착 영역(SA6)의 홈(913)은 동심원 구조의 복수의 라인 홈들(931, 932)을 포함한다. 흡착 영역(SA6)의 흡착 홀(933)은 라인 홈들(931, 932) 각각에 형성된다. 도 10의 라인 홈들(931, 932)은 동심원 구조로 형성되어, 직선 이외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을 예시한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라인 홈들은 직경 방향으로 형성되는 방사선 홈들(미도시)로 연결될 수 있고, 이 경우, 서로의 교차점에 흡착 홀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 포장지 2: 커터
3: 지지대 4: 제1로봇
5: 제2로봇 6: 흡착 패드
11: 단위 포장지 36, 46, 56, 66: 흡착 패드
41: 단위 글라스 기판 42: 로봇 팔
43: 글라스 취급부 51: 클램프
61: 진공 펌프 62: 진공 라인
63: 진공 게이지 100, 200: 수평 포장기
601, 801: 플레이트부 602, 802: 지지부
611, 711, 732, 832, 92, 933: 흡착 홀
612, 712, 713, 812, 912, 913: 홈
621, 721, 731, 821, 921: 제1라인 홈
622, 722, 822, 922: 제2라인 홈
631: 패드 플레이트 632: 마감 플레이트
633: 체결부재 634: 진공 챔버
635: 연결 홀 931, 932: 라인 홈
A: 설정 영역 G, G2, G3: 홈 그룹
L: 이동 범위 SA, SA2, SA3, SA4, SA5, SA2: 흡착 영역

Claims (12)

  1. 단위 글라스 기판을 지지하도록 공급되는 포장지를 절단하는 커터;
    상기 커터로 절단되어 이송되는 단위 포장지를 지지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이송된 상기 단위 포장지에 상기 단위 글라스 기판을 적치하는 제1로봇;
    상기 지지대에 적치된 상기 단위 포장지와 상기 단위 글라스 기판을 함께 취출하는 제2로봇; 및
    공급 대기 중인 포장지의 끝 설정 영역의 하면에 배치되어 상기 설정 영역을 부압으로 흡착하여 지지하는 흡착 패드
    를 포함하며,
    상기 흡착 패드는,
    상기 설정 영역에서 상기 포장지와 접촉하는 흡착 영역을 포함하고, 관통 구멍으로 형성되어 상기 흡착 영역에 부압을 작용시키는 흡착 홀, 및 상기 흡착 영역의 표면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흡착 홀에 연결되며 상기 흡착 영역에 부압을 더 작용시키도록 설정된 길이를 가지는 홈을 가지는 수평 포장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 패드는,
    상기 흡착 영역, 상기 흡착 홀 및 상기 홈을 구비하는 플레이트부, 및
    상기 플레이트부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수평 포장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 패드는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설정 영역에서 상기 커터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수평 포장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 패드에 연결되는 진공 펌프,
    상기 진공 펌프와 복수의 흡착 패드들을 공통으로 연결하는 진공 라인, 및
    상기 진공 라인에 설치되는 진공 게이지를 더 포함하는 수평 포장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일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라인 홈과 상기 제1라인 홈에 교차하여 형성되는 제2라인 홈을 포함하고,
    상기 흡착 홀은
    상기 제1라인 홈과 상기 제2라인 홈의 교차점에 형성되는 수평 포장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라인 홈과 상기 제2라인 홈은
    상기 제2라인 홈의 길이 방향 및 상기 제1라인 홈의 길이 방향으로 각각 이격되어 복수의 홈 그룹들을 형성하는 수평 포장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 패드는,
    상기 홈과 상기 흡착 홀을 형성하고, 상기 홈의 반대측에 진공 챔버를 형성하는 패드 플레이트, 및
    상기 패드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진공 챔버를 기밀 설정하는 마감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수평 포장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 패드는
    하나로 구비되어, 상기 설정 영역에서 상기 커터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수평 포장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라인 홈과 상기 제2라인 홈은
    상기 제1라인 홈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의 홈 그룹들을 형성하는 수평 포장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라인 홈은
    상기 제1라인 홈의 길이 방향에서 하나로 연결되는 수평 포장기.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 패드는
    사각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수평 포장기.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동심원 구조의 복수의 라인 홈들을 포함하고,
    상기 흡착 홀은
    상기 라인 홈들 각각에 형성되는 수평 포장기.
KR1020150099172A 2015-07-13 2015-07-13 수평 포장기 KR1017320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9172A KR101732061B1 (ko) 2015-07-13 2015-07-13 수평 포장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9172A KR101732061B1 (ko) 2015-07-13 2015-07-13 수평 포장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8002A true KR20170008002A (ko) 2017-01-23
KR101732061B1 KR101732061B1 (ko) 2017-05-02

Family

ID=57989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9172A KR101732061B1 (ko) 2015-07-13 2015-07-13 수평 포장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20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86645A (zh) * 2021-04-26 2021-07-09 新疆兴霍光电科技有限公司 玻璃基板抓取的工艺方法和玻璃基板抓取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797B1 (ko) * 2011-03-31 2011-05-25 한국뉴매틱(주) 진공 그리퍼 장치
KR101354690B1 (ko) * 2012-03-28 2014-01-28 주식회사 이엔지코리아 터치스크린 패널의 조립장치에 적용되는 패널 이송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86645A (zh) * 2021-04-26 2021-07-09 新疆兴霍光电科技有限公司 玻璃基板抓取的工艺方法和玻璃基板抓取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2061B1 (ko) 2017-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61064B2 (ja) 吸着テーブルの製造方法並びに吸着テーブル
KR20130036154A (ko) 접합 장치
CN101144920B (zh) 基板检查装置
KR20120046084A (ko) 기판 반송용 핸드 및 그것을 구비한 기판 반송 장치
KR20140043678A (ko) 척 테이블
WO2016062038A1 (zh) 用于封装母板的真空吸附系统及吸附方法、封装装置
CN103730400A (zh) 一种多尺寸晶圆对中装置
KR101732061B1 (ko) 수평 포장기
CN109786299A (zh) 载台及使用载台的晶圆搬送方法及加工装置
KR20100130954A (ko) 패널 기판 반송 장치 및 표시 패널 모듈 조립 장치
KR20170008003A (ko) 흡착 패드
CN106316089A (zh) 基板分割装置及基板分割方法
CN106654065A (zh) 一种用于柔性屏基板的剥离设备及柔性屏的制造方法
US20230058931A1 (en) Support device for supporting a substrate, method of processing a substrate and semiconductor substrate
CN1981567A (zh) 基板处理装置和安装器
KR102418893B1 (ko) 플랜지 단부면 수정 장치, 절단 장치, 플랜지 단부면 수정 방법 및 절단품의 제조 방법
KR20200081392A (ko) 레이저 가공 장치
KR20140020740A (ko) 흡착정반
CN215468793U (zh) 激光切割机及其吸平治具
KR101578876B1 (ko) 기판이송용 로봇핸드
JP2010093103A (ja) 分割加工用治具
CN208157386U (zh) 一种大型贴灯机及其定位机构
KR20180044547A (ko) 진공 흡착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레이저 절단 장치
JP2012028702A (ja) 半導体結晶固定治具
JP2002205298A (ja) 板状被切断物の切断方法およ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