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4086U - 승강기 비상통화장치용 정보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승강기 비상통화장치용 정보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4086U
KR20170004086U KR2020160002861U KR20160002861U KR20170004086U KR 20170004086 U KR20170004086 U KR 20170004086U KR 2020160002861 U KR2020160002861 U KR 2020160002861U KR 20160002861 U KR20160002861 U KR 20160002861U KR 20170004086 U KR20170004086 U KR 2017000408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emergency call
mosquito
display
emerg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28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근
남보은
Original Assignee
청운대학교 인천캠퍼스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성진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운대학교 인천캠퍼스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성진전자 filed Critical 청운대학교 인천캠퍼스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201600028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4086U/ko
Publication of KR201700040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08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02Indicat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3/0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8Telephone se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hips, mines, or other places exposed to adverse environ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승강기용 비상통화장치 모기의 상태정보를 관리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표시하는 승강기 비상통화장치용 정보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승강기용 비상통화장치 모기와 결합하여 승강기용 비상통화장치 모기에서 발생하는 각종 정보를 관리자 및 감독자에게 실시간으로 표시하여 타업무 수행중에도 승강기용 비상통화장치 모기의 작동상태, 연결회선의 작동 여부, 비상호출신호 수신 등 관련 정보를 빠르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관리자의 관리실 내 근무 위치와 승강기용 비상통화장치의 설치 위치가 떨어져 있는 경우 승강기 비상통화장치용 정보 표시장치를 관리자의 책상 또는 상황정보를 표시하는 상황판 또는 실시간 감시시스템 화면에 OSD 방식으로 표시함으로써, 승강기용 비상통화장치 모기 상태정보를 관리자가 즉시 식별하고 조치를 취하여 승강기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승강기 비상통화장치용 정보 표시장치{Information display device for elevator emergency call device}
본 고안은 승강기용 비상통화장치 모기의 상태정보를 관리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표시하는 승강기 비상통화장치용 정보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승강기용 비상통화장치 모기와 결합하여 승강기용 비상통화장치 모기에서 발생하는 각종 정보를 관리자 및 감독자에게 실시간으로 표시하여 타업무 수행중에도 승강기용 비상통화장치 모기의 작동상태, 연결회선의 작동 여부, 비상호출신호 수신 등 관련 정보를 빠르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함으로 승강기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승강기 비상통화장치용 정보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강기에는 운행 중 고장이나 정전으로 인해 승객이 CAR 내부에 갇히게 되는 상황이 발생했을 때 비상호출버튼을 이용하여 관리실이나 경비실에 연락을 할 수 있는 인터폰이 설치되어있는데, 이를 비상통화장치 자기라고 한다.
비상통화장치 자기는 승강기 CAR 내부에 설치되어 통신기능과 호출버튼, 스피커로 구성되며, 통상 승강기 CAR 내부에 승강기 운행을 조작하는 패널과 장애인용 패널에 설치된다.
한편, 비상통화장치 자기로부터 발생한 신호를 수신하여 관리실이나 경비실 등 관리인이 상주하는 장소에 설치되어 있는 전화기로 연결하고, 관리실 전화기와 비상통화 장치 자기간 음성통화를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를 비상통화장치 모기라 한다. 비상통화장치 모기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비상통화장치 자기를 연결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비상통화장치 모기에는 전원 공급 여부, 승강기와 연결된 회선의 동작상태를 제품 본체에 장착된 LED를 통해 관리자 및 감독자들이 장치의 전원공급 여부, 회선의 연결상태 등을 확인한다.
또, 장치의 정상 작동 여부를 제품에 장착된 LED의 색상의 변화로 표시하여 관리자 및 감독관들이 장치의 작동 상태를 확인하거나 장치에 이상이 있음을 감지하여 그에 합당한 조치를 취할수 있도록 한다.
또, 회선방식을 사용하는 승강기용 비상통화장치 모기는 전화기에 부착된 CID 표시 장치를 정보표시 장치로 사용한다. 그 예로는 호출되는 회선의 번호 또는 특정 신호를 송신할 경우 FSK 방식으로 송신하여 전화기의 CID 수신부에서 그 신호를 해석하여 CID 표시장치에 표시한다.
그러나 CID 표시장치가 없는 전화기를 사용하거나, CID 표시장치가 있는 전화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정보 수신 후 수 초간 화면에 표시하고 통화시간 등 다른 정보를 표시하기 위하여 표시화면에서 삭제되어 통화 상대방의 위치 또는 해당 승강기 번호를 확인하기 위해 상대방에게 문의하는 하거나 저장된 CID 번호를 확인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 승강기용 비상통화장치의 동작을 표시하는 전원LED, 회선 이용 상태 LED 등을 사용할 경우 관리자의 관리실 내 근무 위치와 승강기용 비상통화장치의 설치 위치가 떨어져 있는 경우가 많아 표시되는 LED 상태정보를 관리자가 즉시 식별하고 조치를 취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고안은 관리자가 승강기용 비상통화장치 모기의 상태정보를 즉시 확인할 수 있도록 승강기 비상통화장치용 정보 표시장치를 이용하여 승강기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승강기 비상통화장치용 정보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승강기용 비상통화장치 모기의 상태정보를 관리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표시하는 승강기 비상통화장치용 정보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승강기용 비상통화장치 모기로부터 상태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하는 상태정보에 해당하는 상태 표시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승강기용 비상통화장치 모기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지시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제어부에서 지시하는 소리를 재생하는 스피커; 승강기용 비상통화장치 모기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제어하는 제어부; 승강기 비상통화장치용 정보 표시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시리얼통신을 위한 커넥터 등 유선방식 또는 블루투스, WIFI, Zigbee, 3G/LTE 등 무선방식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는 LCD 액정에 직접 값을 표시하는 방식 또는 기존의 영상감시시스템 모니터에 대해 값을 화면상에 직접 표시하는 OSD 방식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 표시된 값과 실제값이 상이할 경우 사용자가 임의로 값을 수정할 수 있는 설정버튼을 포함하는 설정 기능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 통신부, 전원부, 메모리, 스피커를 내장하고, 표시부의 정보를 표시하는 부분이 노출된 형태를 가지는 케이스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에 조도센서를 장착하고, 조도센서의 값에 따라 액정 또는 백라이트의 밝기 값을 자동 조정하는 기능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승강기용 비상통화장치 모기와 결합하여 승강기용 비상통화장치 모기에서 발생하는 각종 정보를 관리자 및 감독자에게 실시간으로 표시하여 타업무 수행중에도 승강기용 비상통화장치 모기의 작동상태, 연결회선의 작동 여부, 비상호출신호 수신 등 관련 정보를 빠르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함으로 승강기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관리자의 관리실 내 근무 위치와 승강기용 비상통화장치의 설치 위치가 떨어져 있는 경우 승강기 비상통화장치용 정보 표시장치를 관리자의 책상 또는 상황정보를 표시하는 상황판 또는 실시간 감시시스템 화면에 OSD 방식으로 표시함으로써, 승강기용 비상통화장치 모기 상태정보를 관리자가 즉시 식별하고 조치를 취하여 승강기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승강기 비상통화장치용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이다.
도 2는 승강기 비상통화장치용 표시장치의 기능 구성도이다.
도 3은 승강기 비상통화장치용 표시장치의 전면부이다.
도 4는 승강기 비상통화장치용 표시장치의 후면부이다.
도 5는 승강기 비상통화장치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고안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승강기 비상통화장치용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의 실시 예다. 승강기 비상통화장치용 표시장치의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정보를 화면에 표시한다. 상태정보의 종류는 비상통화장치 단독 모기이면 "MA" 복수 모기 타입이면 마스터 장비이면 "MA" 병렬로 연결된 모기가 있으면 "S1", "S2"에 점등이 된다. 상기 방법은 각각의 액정을 연결된 모기 수량만큼 액정을 장착할 수도 있고, 하나의 액정에 다른 값을 번갈아 표시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 승강기용 비상통화장치 모기에 설정된 시간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한다. 시간정보는 현재시간과, 승강기용 비상통화장치 모기에 설정된 시간이 상이할 수 있기 때문에 모기의 시간 정보를 표시한다.
또, 승강기용 비상통화장치 모기가 정상 작동하는지, 비상호출이 발생한 상태인지, 장치에 문제가 있어 점검이 필요한지에 대한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한다.
또, 승강기용 비상통화장치 모기에 공급되는 입력 전원의 종류를 수신하여 표시한다. 외부전원에 의해 공급을 받을 경우는 "DC", 외부전원이 정전되어 내부 배터리를 사용하는 경우 "BATT", 장치의 전원 스위치가 꺼져있을 경우는 "OFF"를 표시한다. "OFF" 신호는 주기적으로 전원 상태 신호가 도착하지 않을 경우 전원 스위치가 꺼져있을 경우라 가정하고 표시한다.
또, 비상호출 발생시 승강기용 비상통화장치 모기가 외부에 있는 유지보수 담당자나 업체에 자동으로 전화를 연결할 수 있는데 이때 전화국선이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연결되어 있는 경우 "ON", 연결되지 않을 경우 "OFF", 그 외 비정상일 경우는 "CHK"로 표시한다.
또, 승강기용 비상통화장치 모기와 관리실 간 전화기가 연결되어 있어야 관리실에서 비상통화에 응답할 수 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연결되어 있는 경우 "ON", 연결되지 않을 경우 "OFF", 그 외 비정상일 경우는 "CHK"로 표시한다.
또, 승강기용 비상통화장치 모기는 주기적으로 장치관리시스템인 "비상통화장치 관리시스템"에 주기적으로 상태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연결되어 있는 경우 "ON", 연결되지 않을 경우 "OFF", 그 외 비정상일 경우는 "CHK"로 표시한다.
또, 승강기용 비상통화장치 모기는 최대 8개 회선의 내선을 제공하는데 각 내선의 동작 여부를 확인하여 표시한다. 이는 승강기에 설치된 비상통화장치 자기와 모기가 연결되어 있어야 승강기로부터 비상호출 신호를 받을 수 있는데 회선의 단절 등을 수는 주기적으로 장치관리시스템인 "비상통화장치 관리시스템"에 주기적으로 상태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연결되어 있는 경우 "NOR", 연결되지 않을 경우 또는 비정상일 경우는 "CHK"로 표시한다.
또, 승강기 관리실 내부 조명에 따라 승강기 비상통화장치용 표시장치 화면의 밝기를 자동 조절하기 위해 조도센서를 설치하여 운용할 수 있다.
도 2는 승강기 비상통화장치용 표시장치의 기능 구성도이다. 승강기용 비상통화장치 모기(800)로부터 발생한 상태정보는 통신부(101)를 통해 제어부(102)에 전달된다. 제어부(102)에서는 정보를 분석한 후 그에 해당하는 상태정보 표시 값을 메모리(105)에서 참조하여 해당하는 값을 표시부(104)로 전송한다. 전송된 상태정보가 표시되는 실시예는 상기 도 1과 같다.
또, 전원부(103)를 통해 승강기 비상통화장치용 표시장치(100)에 적절한 전원을 한다.
또, 제어부(102)에서 필요할 때 스피커(106)를 통해서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 표시부(104)의 밝기를 자동 조절하기 위해 조도센서(107)를 활용할 수도 있다.
도 3은 승강기 비상통화장치용 표시장치의 전면부(200)이다. 승강기 비상통화장치용 표시장치(200)는 승강기용 비상통화장치 모기(800)의 상태정보를 표시하는 화면(201), 탁상용 설치를 위한 받침대(205), 승강기 비상통화장치용 표시장치(200) 전원스위치(202), 비상통화장치 모기로부터 신호선을 연결하는 커넥터(203), 승강기 비상통화장치용 표시장치(200)에 전원선을 연결하는 전원 잭(204)으로 구성된다.
또, 장치 외부의 밝기에 따라 화면의 밝기를 자동 조절하기 위해 조도센서(206)를 부착할 수도 있다.
도 4는 승강기 비상통화장치용 표시장치의 후면부(300)이다. 승강기 비상통화장치용 표시장치(200) 후면부(300)에는 제품의 정보를 표시하는 라벨(301), 승강기 비상통화장치용 표시장치(200) 내부의 발열을 냉각하기 위한 방열구(302), 스피커 소리 전달을 위한 스피커 부착면(303)으로 구성된다.
또, 상기 승강기 비상통화장치용 표시장치의 전면부(200)와 승강기 비상통화장치용 표시장치의 후면부(300)는 나사 등으로 연결한다.
도 5는 승강기 비상통화장치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승강기에 설치된 비상통화장치(자기)(600)로부터 비상신호가 호출되면 비상통화장치(모기)(800)는 그 신호를 관리실 전화기(700)로 연결한다. 관리실 전화기(700)가 일정 시간 응답이 없으면 비상통화장치(모기)(800)는 연결된 전화국선(PSTN)을 통해 승강기 유지보수업체(500)를 자동으로 호출한다. 만약 승강기 유지보수업체(500)도 응답이 없으면 119(400)으로 자동 연결하여 승객을 안전하게 구조할 수 있도록 한다.
또, 비상통화장치(모기)(800)는 상기 비상호출 신호 발생 이외에도 주기적으로 비상통화장치(모기)(800)의 상태정보를 승강기 비상통화장치용 표시장치(900)에 전송하여 관리실 담당자가 승강기용 비상통화장치 시스템의 작동상태를 승강기 비상통화장치용 표시장치(900)에 표시할수 있도록 한다.
도 2에서,
100 : 승강기 비상통화장치용 표시장치
101 : 승강기용 비상통화장치 모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102 : 승강기용 비상통화장치 모기의 신호를 제어하는 제어부
103 : 승강기 비상통화장치용 표시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104 : 제어부에서 출력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105 : 승강기용 비상통화장치 모기의 신호에 대응하는 상태메시지를 저장하는 메모리
106 : 제어부에서 출력하는 소리를 재생하는 스피커
107 : 상기 표시부 주변의 밝기 값을 파악하는 조도센서
도 3에서,
200 : 승강기 비상통화장치용 표시장치 케이스의 전면부
201 : 승강기 비상통화장치용 표시장치 디스플레이
202 : 승강기 비상통화장치용 표시장치의 전원스위치
203 : 승강기용 비상통화장치 모기와 연결하는 컨넥터(RJ11 또는 RJ45
204 : 승강기 비상통화장치용 표시장치의 전원연결단자
205 : 승강기 비상통화장치용 표시장치의 받침대
206 : 승강기 비상통화장치용 표시장치의 조도센서
도 4에서
300 : 승강기 비상통화장치용 표시장치 케이스의 후면부
301 : 승강기 비상통화장치용 표시장치 제작정보를 표시하는 라벨
302 : 방열구
303 : 스피커 부착면
도 5에서
400 : 승강기용 비상통화장치 모기가 자동 연결하는 119센터
500 : 승강기용 비상통화장치 모기가 자동 연결하는 승강기 유지보수업체
600 : 승강기 내부에 설치되는 비상통화장치 자기
700 : 승강기용 비상통화장치 모기에 연결된 관리실의 전화기(다국선전화기)
800 : 승강기용 비상통화장치 모기
900 : 승강기 비상통화장치용 표시장치

Claims (3)

  1. 승강기용 비상통화장치 모기의 상태정보를 관리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표시하는 승강기 비상통화장치용 정보 표시장치(100)에 관한 것으로,
    승강기용 비상통화장치 모기로부터 상태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101);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하는 상태정보에 해당하는 상태 표시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105);
    승강기용 비상통화장치 모기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제어하는 제어부(102);
    상기 제어부에서 지시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104);
    상기 제어부에서 지시하는 소리를 재생하는 스피커(106);
    승강기 비상통화장치용 정보 표시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0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비상통화장치용 정보 표시장치(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101)는 시리얼통신을 위한 커넥터(203) 등 유선방식 또는 블루투스, WIFI, Zigbee, 3G/LTE 등 무선방식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비상통화장치용 정보 표시장치(100)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201)는 LCD 액정에 직접 값을 표시하는 방식 또는 기존의 영상감시시스템 모니터에 대해 값을 화면상에 직접 표시하는 OSD 방식 등 또는 조도센서(206)를 장착하고, 조도센서의 값에 따라 액정 또는 백라이트의 밝기 값을 자동 조정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비상통화장치용 정보 표시장치(100)
KR2020160002861U 2016-05-26 2016-05-26 승강기 비상통화장치용 정보 표시장치 KR2017000408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861U KR20170004086U (ko) 2016-05-26 2016-05-26 승강기 비상통화장치용 정보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861U KR20170004086U (ko) 2016-05-26 2016-05-26 승강기 비상통화장치용 정보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086U true KR20170004086U (ko) 2017-12-06

Family

ID=61259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2861U KR20170004086U (ko) 2016-05-26 2016-05-26 승강기 비상통화장치용 정보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4086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2305B1 (ko) * 2018-08-27 2020-01-31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승강기용 비상 전화기의 설정값 모니터링 방법
CN113800348A (zh) * 2021-09-14 2021-12-17 合肥学院 智慧社区电梯管理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8067A (ko) * 2001-04-04 2002-10-18 전동균 전자 액자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JP2005206309A (ja) * 2004-01-22 2005-08-04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KR20070117603A (ko) * 2007-09-18 2007-12-12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
KR20080030406A (ko) * 2006-09-30 2008-04-04 베타웨이브 주식회사 발신자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1386390B1 (ko) * 2012-05-07 2014-04-18 새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통화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8067A (ko) * 2001-04-04 2002-10-18 전동균 전자 액자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JP2005206309A (ja) * 2004-01-22 2005-08-04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KR20080030406A (ko) * 2006-09-30 2008-04-04 베타웨이브 주식회사 발신자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KR20070117603A (ko) * 2007-09-18 2007-12-12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
KR101386390B1 (ko) * 2012-05-07 2014-04-18 새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통화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2305B1 (ko) * 2018-08-27 2020-01-31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승강기용 비상 전화기의 설정값 모니터링 방법
CN113800348A (zh) * 2021-09-14 2021-12-17 合肥学院 智慧社区电梯管理系统
CN113800348B (zh) * 2021-09-14 2023-03-24 合肥学院 智慧社区电梯管理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5871B1 (ko) 방범용 cctv 로컬용 통합 제어 감시 장치
CN107176522A (zh) 智能型电梯对讲监视和轿厢显示监测一体系统
KR20170004086U (ko) 승강기 비상통화장치용 정보 표시장치
JP2009046291A (ja) 異常発生時のエレベータかご情報通信システム
KR101386390B1 (ko) 엘리베이터의 통화장치
JP6013234B2 (ja) ナースコールシステム
KR101016726B1 (ko) 비상 통합 관제 시스템
JP2008211658A (ja) ナースコールシステム
JP2013042389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101531869B1 (ko) 원격 관리형 자동 제세동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0894340B1 (ko) 승강기 신호검출시스템
CN110482357A (zh) 一种电梯远程控制和双向视频对讲装置
JP6344715B2 (ja) インターホン親機及び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4901588B2 (ja) テレビドアホン装置
CN111232790A (zh) 电梯紧急报警装置、系统
JP6026876B2 (ja) ナースコールシステム
JP2005352875A (ja) ナースコールシステム
JP2020174958A (ja) 透析装置監視システム
JP3125993U (ja) テレビインターホン装置
JP5976894B1 (ja) エレベータの遠隔監視システム及び制御装置
CN218572671U (zh) 一种高空作业安全带监控装置
KR101555182B1 (ko) 위급 상황 신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211945789U (zh) 电梯紧急报警装置、系统
CN204087415U (zh) 一种报警系统传输装置及报警系统
JP5709330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およびこれに利用するコンテンツ送信制御装置、コンテンツ送信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