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6390B1 - 엘리베이터의 통화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통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6390B1
KR101386390B1 KR1020120047923A KR20120047923A KR101386390B1 KR 101386390 B1 KR101386390 B1 KR 101386390B1 KR 1020120047923 A KR1020120047923 A KR 1020120047923A KR 20120047923 A KR20120047923 A KR 20120047923A KR 101386390 B1 KR101386390 B1 KR 101386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elevator
communication device
emergency call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7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4654A (ko
Inventor
손영선
Original Assignee
새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새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새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7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6390B1/ko
Publication of KR20130124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4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6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6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4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alarm systems, e.g. fire, police or burglar alarm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정전이나 고장으로 탑승객이 카 내부에 갇혀 외부에 도움을 요청하고자 카 내부의 비상 호출 장치로 건물 내 관리실의 인터폰 호출 시 관리자의 부재로 인터폰을 받지 않을 경우 이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엘리베이터 관리 회사 또는 수리 기사와 직접 통화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통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엘리베이터 통화 장치에 있어서 비상 호출 방법을 탑승객에게 안내하고 카 내부와 건물 관리실, 외부의 엘리베이터 관리회사와의 연결 상태를 상황에 따라 즉시 탑승객에게 안내하여 탑승객의 불안감을 감소시키고 언어 장애인이 외부에 구조를 요청할 때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통화장치{COMMUNICATION APPARATUS FOR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통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의 정전이나 고장으로 탑승객이 카 내부에 갇혀 외부에 도움을 요청하고자 카 내부의 비상 호출 장치로 건물 내 관리실의 인터폰 호출 시 관리자의 부재로 인터폰을 받지 않을 경우 이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엘리베이터 관리 회사 또는 수리 기사와 직접 통화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통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 직접통화장치에 있어 정전이나 고장으로 탑승객이 카에 갇히면 카 내에 설치된 인터폰의 비상호출 버튼(도 1 참조)을 눌러 외부에 구조 요청을 한다. 이때 건물 관리실에 관리자가 부재하여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여도 인터폰을 받지 않을 경우 이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공중 전화망으로 미리 지정된 엘리베이터 관리회사에 연결한다.
국내등록특허 공고번호 10-0090556호(1995.10.19)는 엘리베이터 감시장치 및 피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고발생시 갇혀있는 승객이 처음에 카내인터폰운 퉁해 엘리베이터감시반과 통화를 시도한 다음 일정시간이 지나도 감시반인터폰의 응답이 없는 엘리베이터 보수센터의 보수요원과 통화할 수 있도록 하여 공포감을 없애도록 함과 아울러 신속히 비상구출에 들어갈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 감시장치 및 피 제어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감시장치는 예로서, 탑승객은 엘리베이터의 고장 등으로 카 내부에 갇히게 되면 일반적으로 비상 호출 버튼을 누르고 외부의 도움을 요청하지만 일부 노약자나 장애우의 경우 대처 방법을 몰라 비상 호출 버튼을 누르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비상 호출 버튼을 누른 후 관리실에서 인터폰을 받지 않아 공중전화망을 통해 엘리베이터 관리 회사와 통화가 연결되는 동안 불안감이 증폭될 것이며 연결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재차 비상 호출 버튼을 누르는 등의 2차적인 행동을 취하게 된다. 또한, 언어 장애인의 경우 인터폰이 연결되어도 음성으로 의사 전달이 불가능하여 구조 요청에 지장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0-0059273호(2000년10월05일)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엘리베이터의 정전이나 고장으로 탑승객이 카 내부에 갇혀 외부에 도움을 요청하고자 카 내부의 비상 호출 장치로 건물 내 관리실의 인터폰 호출 시 관리자의 부재로 인터폰을 받지 않을 경우 이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엘리베이터 관리 회사 또는 수리 기사와 직접 통화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외부의 엘리베이터 관리회사와의 연결 상태를 상황에 따라 즉시 탑승객에게 안내하여 탑승객의 불안감을 감소시키고 언어 장애인이 외부에 구조를 요청할 때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의 통화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외부에 설치되고, 현재 상태에 따른 메시지를 미리 설정된 다이얼톤 주파수로 변조하여 카통화장치로 송신하는 직접통화장치 및 엘리베이터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직접통화장치로부터 수신된 다이얼톤 주파수를 미리 설정된 메시지로 변환하여 음성과 화면으로 출력하는 카통화장치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통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통화장치는; 상기 액정표시장치 배면에 부착되어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누름동작에 의하여 온/오프되는 마이크로스위치; 상기 마이크로스위치의 온/오프를 감지하여 비상호출신호를 출력하고, 비상 호출 절차와 카 내부와 건물 관리실, 외부의 엘리베이터 관리회사와의 연결 상태를 츨력하는 마이크로컴퓨터;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에서 출력되는 비상 호출 절차 및 연결 상태를 화면 영상으로 출력하는 액정표시장치;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에서 출력되는 비상 호출 절차 및 연결 상태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스피커;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에서 출력되는 비상호출신호를 상기 직접통화장치에 전송하여 통화를 연결하는 통신장치; 및 외부기관 통신장치와 공중전화망으로 직접 연결할 수 있는 외부통신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통화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직접통화장치는; 상기 카통화장치의 통신장치로부터 출력되는 비상호출신호를 수신하여 통화를 연결하는 통신장치; 상기 통신장치로부터 수신된 비상호출신호에 따라 현재의 상태를 화면으로 표시하고, 현재의 통화 연결 상태나 비상호출이 있었는지의 여부 및 외부의 엘리베이터 관리회사와 통화 연결이 있었는지 등의 메시지를 표시하는 액정표시장치; 상기 통신장치로부터 수신된 비상호출신호에 따라 비상 호출이 발생한 엘리베이터의 호기를 표시하는 호기별 상태표시램프; 수신된 비상호출신호에 따라 현재의 상태를 판단하고, 현재의 통화 연결 상태나 비상호출이 있었는지의 여부 및 외부의 엘리베이터 관리회사와 통화 연결이 있었는지를 판단하며, 통화가 연결중일 때 송수화장치를 통하여 3자 통화 기능을 제공하는 마이크로컴퓨터; 상기 카통화장치와의 음성 통화를 제공하는 송수화장치; 및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의 판단에 따라 외부기관 통신장치와 공중전화망으로 직접 연결할 수 있는 외부통신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한대의 직접통화장치는 다수의 카통화장치와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액정표시장치 및 호기별 상태표시램프에는 각각의 엘리베이터의 현재 상태, 동시 비상 호출 여부를 표시하여 관리자가 쉽게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직접통화장치는; 상기 외부통신장치를 통하여 상기 외부기관 통신장치와 연결할 경우, 상기 외부기관 통신장치에 연결 직후 먼저‘비상 호출’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한다.
상기 직접통화장치는; 공중전화망을 통한 연결상태가 다이얼 수신중, 통화중, 통화 실패, 통화가 연결되었으나 음성 미수신, 상대의 통화 종료 및 후크의 눌림 등의 신호를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가 감시하여 그 상태를 파악하고, 파악된 상태에 따라 상기 외부통신장치를 통하여 통화 재연결, 통화 종료, 비상 호출 대기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통화장치에 의하면, 엘리베이터 통화 장치에 있어서 비상 호출 방법을 탑승객에게 안내하고 카 내부와 건물 관리실, 외부의 엘리베이터 관리회사와의 연결 상태를 상황에 따라 즉시 탑승객에게 안내하여 탑승객의 불안감을 감소시키고 언어 장애인이 외부에 구조를 요청할 때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비상호출 버튼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통화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3은 도 2의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도 2의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직접통화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전체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시스템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통화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통화장치는, 엘리베이터 외부에 설치되고, 현재 상태에 따른 메시지를 미리 설정된 다이얼톤 주파수로 변조하여 카통화장치(10)로 송신하는 직접통화장치(20) 및 엘리베이터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직접통화장치(20)로부터 수신된 다이얼톤 주파수를 미리 설정된 메시지로 변환하여 음성과 화면으로 출력하는 카통화장치(1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카통화장치(10)는; 상기 액정표시장치(11) 배면에 부착되어 상기 액정표시장치(11)의 누름동작에 의하여 온/오프되는 마이크로스위치(12); 상기 마이크로스위치(12)의 온/오프를 감지하여 비상호출신호를 출력하고, 비상 호출 절차와 카 내부와 건물 관리실, 외부의 엘리베이터 관리회사와의 연결 상태를 츨력하는 마이크로컴퓨터(13);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3)에서 출력되는 비상 호출 절차 및 연결 상태를 화면 영상으로 출력하는 액정표시장치(11);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3)에서 출력되는 비상 호출 절차 및 연결 상태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스피커(14);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3)에서 출력되는 비상호출신호를 상기 직접통화장치(20)에 전송하여 통화를 연결하는 통신장치(15); 및 외부기관 통신장치(30)와 공중전화망으로 직접 연결할 수 있는 외부통신장치(16)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직접통화장치(20)는; 상기 카통화장치(10)의 통신장치(15)로부터 출력되는 비상호출신호를 수신하여 통화를 연결하는 통신장치(21); 상기 통신장치(21)로부터 수신된 비상호출신호에 따라 현재의 상태를 화면으로 표시하고, 현재의 통화 연결 상태나 비상호출이 있었는지의 여부 및 외부의 엘리베이터 관리회사와 통화 연결이 있었는지 등의 메시지를 표시하는 액정표시장치(22); 상기 통신장치(21)로부터 수신된 비상호출신호에 따라 비상 호출이 발생한 엘리베이터의 호기를 표시하는 호기별 상태표시램프(23); 수신된 비상호출신호에 따라 현재의 상태를 판단하고, 현재의 통화 연결 상태나 비상호출이 있었는지의 여부 및 외부의 엘리베이터 관리회사와 통화 연결이 있었는지를 판단하며, 통화가 연결중일 때 송수화장치(25)를 통하여 3자 통화 기능을 제공하는 마이크로컴퓨터(24); 상기 카통화장치(10)와의 음성 통화를 제공하는 송수화장치(25); 및 상기 마이크로컴퓨터(24)의 판단에 따라 외부기관 통신장치(30)와 공중전화망으로 직접 연결할 수 있는 외부통신장치(26)를 포함한다.
상기 한대의 직접통화장치(20)는 다수의 카통화장치(10)와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액정표시장치(22) 및 호기별 상태표시램프(23)에는 각각의 엘리베이터의 현재 상태, 동시 비상 호출 여부를 표시하여 관리자가 쉽게 알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직접통화장치(20)는; 상기 외부통신장치(26)를 통하여 상기 외부기관 통신장치(30)와 연결할 경우, 상기 외부기관 통신장치(30)에 연결 직후 먼저‘비상 호출’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한다.
상기 직접통화장치(20)는; 공중전화망을 통한 연결상태가 다이얼 수신중, 통화중, 통화 실패, 통화가 연결되었으나 음성 미수신, 상대의 통화 종료 및 후크의 눌림 등의 신호를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24)가 감시하여 그 상태를 파악하고, 파악된 상태에 따라 상기 외부통신장치(26)를 통하여 통화 재연결, 통화 종료, 비상 호출 대기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은 도 2의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직접통화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전체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엘리베이터 비상호출 버튼의 위치의 키조작판 표판(1)에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11)를 장착하고 액정표시장치(11)의 뒷면에는 고정판(2)을 이용하여 마이크로 스위치(12)와 마이크로 컴퓨터(13)를 장착하고, 액정표시장치(11)의 표면을 누르면 마이크로 스위치(12)가 작동하여 액정표시장치(11) 자체가 비상호출 버튼의 기능을 하도록 한다. 액정표시장치(11)에 장착된 마이크로 컴퓨터(13)는 관리실의 직접통화장치(20)에서 보내오는 주파수를 수신하여 직접통화장치(20)의 상태에 따른 메시지를 액정표시장치(11)에 출력하도록 한다. 평상시에는 ‘비상 호출 정상 작동중’, ‘비상시 이 곳을 누르세요’ 등의 메시지를 화면으로 출력하고 액정 표시장치(11) 화면이 눌러져 비상 호출이 되면 ‘관리자와 연결중’, ‘잠시만 기다려 주세요’ 등의 메시지를 음성과 화면으로 출력한다. 관리실에서 인터폰을 받지 않을 경우 ‘관리자가 부재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리시면 엘리베이터 회사와 직접 연결됩니다’, ‘통화 연결중’ 등의 메시지를 음성과 화면으로 출력한다. 엘리베이터 회사의 제1번째의 전화가 통화중일 경우 ‘현재 통화중이므로 다른 번호로 연결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주십시오’, ‘통화 연결중’ 등의 메시지를 액정표시장치(11) 및 스피커(14)의 음성과 화면으로 출력하고, 통화가 연결되면 ‘통화가 연결되었습니다’ 메시지를 화면으로 출력한다.
관리실의 직접통화장치(20)에는 카통화장치(10)와 통화가 가능한 인터폰등의 송수화장치(25)와 마이크로 컴퓨터(24)가 내장되어 비상 호출이 있을 경우 인터폰 수신 상태를 감시하며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도 인터폰을 수신하지 않을 경우 외부통신장치(26)를 동작시켜 공중전화망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미리 설정된 외부기관 통신장치(30) 즉, 외부의 엘리베이터 관리회사로 통화를 연결한다.
직접통화장치(20)의 마이크로컴퓨터(24)는 만약, 엘리베이터 관리회사가 통화중이거나 전화를 받지 않을 경우 직접통화 장치는 연결을 중단하고, 미리 설정된 제2, 제3의 전화번호로 연결을 시도하며 연결이 될 때까지 연결 시도를 반복한다.
또한, 직접통화장치(20)에 액정표시장치(22)를 장착하여 현재의 상태를 화면으로 표시하여 관리자가 자리를 비웠다가 다시 돌아왔을 때 현재의 통화 연결 상태나 비상호출이 있었는지의 여부와 외부의 엘리베이터 관리회사와 통화 연결이 있었는지 등의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통화가 연결중일 때 인터폰 송수화기를 들면 자동으로 3자 통화가 가능하도록 한다.
직접통화장치(20)에 내장된 마이크로컴퓨터(24)는 정상 대기중, 인터폰 수신중, 외부 공중전화망 통화연결 시도중, 외부 공중전화망 통화 연결 시도하였으나 상대 전화의 통화중, 외부 공중전화망 통화 성공 등의 직접통화장치의 연결 상태를 파악하여 각 상태에 따른 코드를 미리 설정하여 설정된 코드를 다이얼 톤 주파수로 변조하여 카통화장치(10)의 액정표시장치(11) 및 마이크로 컴퓨터(13)로 송신한다.
카통화장치(10)의 액정표시장치(11)에 장착된 마이크로 컴퓨터(13)는 다이얼 톤 주파수를 수신하여 미리 설정된 코드로 변환하여 그 코드에 따른 메시지를 화면과 음성으로 출력하게 한다. 다이얼 톤 주파수를 송수신 방식으로 적용하여 기존의 인터폰 선로를 통하여 통신할 수 있어 선로를 교체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직접통화장치(20)는 한 대의 직접 통화 장치(20)로 여러대의 승강기 인터폰 즉, 카통화장치(10)를 수신할 수 있도록 각 호기별 수신할 수 있는 단자를 구성한다. 직접통화장치(20)는 어느 호기에서 비상 호출이 있었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액정표시장치(22) 화면에 호기를 표시하며 동시에 다수 호기의 비상 호출이 있을 경우 동시에 비상 호출이 있음을 화면에 표시하여 관리자가 알 수 있도록 한다.
관리자가 부재중이어서 공중전화망으로 외부의 엘리베이터 회사와 통화 연결 중에 다른 호기에서 동시에 비상 호출이 있을 경우 카 내부에 다른 통화 연결 중 신호를 송신하여 카 내부에 설치된 액정표시장치(22)에 ‘다른 호기 통화 연결중’, ‘통화가 끝나면 자동으로 연결됩니다.’ 등의 메시지를 음성과 화면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직접통화장치는 엘리베이터 회사의 수신자에게 특정음을 송신하여 동시에 비상 호출이 있음을 알 수 있도록 하여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제1번째 호기와 통화가 종료되면 직접 통화장치는 제2번째의 비상 호출 호기와 외부의 엘리베이터 회사와의 통화를 자동으로 연결한다.
직접통화장치(20)는 카통화장치(10)의 탑승객에게 언어 장애가 있을 경우를 대비하여 공중전화망으로 외부의 엘리베이터 회사와 통화가 연결되었을 경우 ‘비상 호출입니다’의 메시지를 수신자에게 음성으로 제일 먼저 출력한 후 통화를 연결하여 수신된 전화가 엘리베이터 카 내부 탑승객에 의한 구조 요청임을 알 수 있도록 한다.
직접통화장치(20)는 공중전화망으로 외부의 엘리베이터 회사와 통화 연결에 있어 다이얼 수신중, 통화중, 통화 실패, 통화가 연결되었으나 음성 미수신, 상대의 통화 종료, 후크의 눌림 등의 신호를 마이크로 컴퓨터(24)가 감시하여 자동으로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하며 파악된 상태에 따라 직접통화장치(20)가 자동으로 통화 재연결, 통화 종료, 비상 호출 대기 등의 기능을 수행하게 한다.
직접통화장치(20)에는 별도의 배터리가 내장되어 건물 내부의 정전 시에도 그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포괄하는 것은 아니므로,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권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카통화장치 11 : 액정표시장치
12 : 마이크로스위치 13 : 마이크로컴퓨터
14 : 스피커 15 : 통신장치
20 : 직접통화장치 21 : 통신장치
22 : 액정표시장치 23 : 호기별 상태표시램프
24 : 마이크로컴퓨터 25 : 송수화장치
26 : 외부통신장치 30 : 외부기관 통신장치

Claims (5)

  1. 엘리베이터 외부에 설치되고, 현재 상태에 따른 메시지를 미리 설정된 다이얼톤 주파수로 변조하여 카통화장치(10)로 송신하는 직접통화장치(20); 및 엘리베이터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직접통화장치(20)로부터 수신된 다이얼톤 주파수를 미리 설정된 메시지로 변환하여 음성과 화면으로 출력하는 카통화장치(10)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통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통화장치(10)는; 액정표시장치(11)의 배면에 부착되어 상기 액정표시장치(11)의 누름동작에 의하여 온/오프되는 마이크로스위치(12); 상기 마이크로스위치(12)의 온/오프를 감지하여 비상호출신호를 출력하고, 비상 호출 절차와 카 내부와 건물 관리실, 외부의 엘리베이터 관리회사와의 연결 상태를 츨력하는 마이크로컴퓨터(13);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3)에서 출력되는 비상 호출 절차 및 연결 상태를 화면 영상으로 출력하는 액정표시장치(11);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3)에서 출력되는 비상 호출 절차 및 연결 상태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스피커(14);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3)에서 출력되는 비상호출신호를 상기 카통화장치(10)의 통신장치(15)로부터 출력되는 비상호출신호를 수신하여 통화를 연결하는 통신장치(21)와, 상기 통신장치(21)로부터 수신된 비상호출신호에 따라 현재의 상태를 화면으로 표시하고, 현재의 통화 연결 상태나 비상호출이 있었는지의 여부 및 외부의 엘리베이터 관리회사와 통화 연결이 있었는지 등의 메시지를 표시하는 액정표시장치(22)와, 상기 통신장치(21)로부터 수신된 비상호출신호에 따라 비상 호출이 발생한 엘리베이터의 호기를 표시하는 호기별 상태표시램프(23)와, 수신된 비상호출신호에 따라 현재의 상태를 판단하고, 현재의 통화 연결 상태나 비상호출이 있었는지의 여부 및 외부의 엘리베이터 관리회사와 통화 연결이 있었는지를 판단하며, 통화가 연결중일 때 송수화장치(25)를 통하여 3자 통화 기능을 제공하는 마이크로컴퓨터(24)와, 상기 카통화장치(10)와의 음성 통화를 제공하는 송수화장치(25)와, 상기 마이크로컴퓨터(24)의 판단에 따라 외부기관 통신장치(30)와 공중전화망으로 직접 연결할 수 있는 외부통신장치(26)를 포함하는 직접통화장치(20)에 전송하여 통화를 연결하는 통신장치(15); 및 외부기관 통신장치(30)와 공중전화망으로 직접 연결할 수 있는 외부통신장치(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통화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대의 직접통화장치(20)는 다수의 카통화장치(10)와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액정표시장치(22) 및 호기별 상태표시램프(23)에는 각각의 엘리베이터의 현재 상태, 동시 비상 호출 여부를 표시하여 관리자가 쉽게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통화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직접통화장치(20)는;
    정전시 동작 가능한 별도의 배터리가 내장되며,
    외부통신장치(26)를 통하여 외부기관 통신장치(30)와 연결할 경우, 상기 외부기관 통신장치(30)에 연결 직후 액정표시장치에 먼저‘비상 호출’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통화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직접통화장치(20)는;
    공중전화망을 통한 연결상태가 다이얼 수신중, 통화중, 통화 실패, 통화가 연결되었으나 음성 미수신, 상대의 통화 종료 및 후크의 눌림 등의 신호를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24)가 감시하여 그 상태를 파악하고, 파악된 상태에 따라 외부통신장치(26)를 통하여 통화 재연결, 통화 종료, 비상 호출 대기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통화장치.
KR1020120047923A 2012-05-07 2012-05-07 엘리베이터의 통화장치 KR101386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7923A KR101386390B1 (ko) 2012-05-07 2012-05-07 엘리베이터의 통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7923A KR101386390B1 (ko) 2012-05-07 2012-05-07 엘리베이터의 통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4654A KR20130124654A (ko) 2013-11-15
KR101386390B1 true KR101386390B1 (ko) 2014-04-18

Family

ID=49853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7923A KR101386390B1 (ko) 2012-05-07 2012-05-07 엘리베이터의 통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63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4086U (ko) * 2016-05-26 2017-12-06 청운대학교 인천캠퍼스 산학협력단 승강기 비상통화장치용 정보 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9710B1 (ko) * 2015-01-05 2016-07-15 경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승강기용 비상통화 시스템
JP6443261B2 (ja) * 2015-08-03 2018-12-26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ホームエレベータの利用者救出システムおよび利用者救出方法
CN110329858A (zh) * 2019-08-02 2019-10-15 通力电梯有限公司 电梯轿厢的对讲装置、电梯轿厢的操作面板以及电梯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8012Y1 (ko) * 2005-09-15 2006-02-07 (주)에이치피엔알티 엘리베이터의 비상통화시스템
KR20070116758A (ko) * 2007-10-23 2007-12-11 우진전장 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응급 호출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8012Y1 (ko) * 2005-09-15 2006-02-07 (주)에이치피엔알티 엘리베이터의 비상통화시스템
KR20070116758A (ko) * 2007-10-23 2007-12-11 우진전장 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응급 호출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4086U (ko) * 2016-05-26 2017-12-06 청운대학교 인천캠퍼스 산학협력단 승강기 비상통화장치용 정보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4654A (ko) 2013-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6390B1 (ko) 엘리베이터의 통화장치
JP2007174542A (ja) 集合住宅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100859756B1 (ko) 엘리베이터 비상 통화 장치 및 그 비상 통화 방법
US9125178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center modul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method and program for relaying wireless communication
KR20140034384A (ko) 엘리베이터 비상통화 장치
JP2744112B2 (ja) エレベータ非常通報時の表示装置
JP2010083604A (ja) エレベータの非常通話システム
KR200408012Y1 (ko) 엘리베이터의 비상통화시스템
KR101865788B1 (ko) 엘리베이터용 유무선 자동전환 비상화상통화시스템
KR100894340B1 (ko) 승강기 신호검출시스템
KR20170004086U (ko) 승강기 비상통화장치용 정보 표시장치
JP4179526B2 (ja) 受話器の掛け忘れによる着信不能防止装置
KR101339314B1 (ko) 엘리베이터 비상 통화 장치
JPH09151044A (ja) エレベータの非常通報時の表示装置
CN102344068A (zh) 电梯的地震救援运行方法及装置
CN108569601A (zh) 一种电梯运行状态显示及通讯系统
JP3125993U (ja) テレビインターホン装置
JP7316557B1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102072305B1 (ko) 승강기용 비상 전화기의 설정값 모니터링 방법
JP2008087918A (ja) エレベータ連絡装置
KR101553925B1 (ko) 소화전 통화 시스템
KR101332548B1 (ko) 긴급상황 확인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긴급상황 확인 방법
KR200470606Y1 (ko) 엘리베이터 비상통화 연결장치
CN203064926U (zh) 电梯运行状态显示及通讯系统
KR102659298B1 (ko) 비상통화호출승객 신상정보 활용기능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비상통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