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6726B1 - 비상 통합 관제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상 통합 관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6726B1
KR101016726B1 KR1020090007083A KR20090007083A KR101016726B1 KR 101016726 B1 KR101016726 B1 KR 101016726B1 KR 1020090007083 A KR1020090007083 A KR 1020090007083A KR 20090007083 A KR20090007083 A KR 20090007083A KR 101016726 B1 KR101016726 B1 KR 101016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call
unit
pager
integrated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7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7986A (ko
Inventor
서현구
Original Assignee
서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현구 filed Critical 서현구
Priority to KR1020090007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6726B1/ko
Publication of KR20100087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79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6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6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2Manually actuated calamity alarm transmitting arrangements emergency non-personal manually actuated alarm, activators, e.g. details of alarm push buttons mounted on an infra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험상황이나 위험상황이 우려되는 주차장 또는 위험지역에 비상호출기를 설치하여 영상 및 음성으로 중앙 경비실과 연결되며, 중앙 경비실에서는 카메라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바탕으로 위험을 감지하여 신속하게 출동하여 위급상황에 대처하도록 하는 비상 통합 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호출자의 조작에 의하여 통합 관제기를 호출하고, 상기 통합 관제기와 양방향 동시 통화를 수행하며 상기 통합 관제기로 영상을 전송하고, 비상 호출시 경광등 및 싸이렌을 출력하는 비상 호출기; 상기 비상 호출기와 상기 통합관제기간 중계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통합관제기간 DATA통신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비상호출기의 MUX기능 및 영상 증폭 기능을 수행하는 중계기; 상기 비상 호출기의 호출에 따라 상기 비상 호출기와의 통화를 수행하고, 상기 비상 호출기의 송신 영상을 확인하며, 상기 비상호출기와 강제 통화 연결 및 영상확인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중계기간 DATA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통합 관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비상, 위험상황, 주차장, 비상호출, 영상, 음성, 경비실, 카메라, 중계기

Description

비상 통합 관제 시스템{System for emergency integrated controlling}
본 발명은 비상 통합 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위험상황이나 위험상황이 우려되는 주차장 또는 위험지역에 비상호출기를 설치하여 영상 및 음성으로 중앙 경비실과 연결되며, 중앙 경비실에서는 카메라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바탕으로 위험을 감지하여 신속하게 출동하여 위급상황에 대처하도록 하는 비상 통합 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설부분 주차난 해소를 위해 빌딩 및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이 많이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지하주차장의 특성상, 도난 및 차량사고와 신변의 위협을 받는 등의 각종 위험요소들이 있어왔다. 이를 위하여 일반적으로 음성통화기능을 갖는 인터폰 시스템이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인터폰 시스템은 영상확인은 불가능하며 음성인식을 위주로 시스템을 설치되기 때문에 카메라를 통하여 위험 상황을 파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위험상황이나 위험상황이 우려되는 주차장 또는 위험지역에 비상호출기를 설치하여 영상 및 음성으로 중앙 경비실과 연결되며, 중앙 경비실에서는 카메라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바탕으로 위험을 감지하여 신속하게 출동하여 위급상황에 대처하도록 하는 비상 통합 관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영상신호는 DVR과 연동되어 상시녹화가 되며 필요시 조회 및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비상 통합 관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에 그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상 통합 관제 시스템는, 호출자의 조작에 의하여 통합 관제기를 호출하고, 상기 통합 관제기와 양방향 동시 통화를 수행하며 상기 통합 관제기로 영상을 전송하고, 비상 호출시 경광등 및 싸이렌을 출력하는 비상 호출기; 상기 비상 호출기와 상기 통합관제기간 중계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통합관제기간 DATA통신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비상호출기의 MUX기능 및 영상 증폭 기능을 수행하는 중계기; 상기 비상 호출기의 호출에 따라 상기 비상 호출기와의 통화를 수행하고, 상기 비상 호출기의 송신 영상을 확인하며, 상기 비상호출기와 강제 통화 연결 및 영상확인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중계기간 DATA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통합 관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상 호출기는; 호출자 및 주변 상황의 영상을 촬영하는 CCD 카메라부;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를 포함하며, 상기 통합 관제기 와 양방향 동시 통화를 수행하는 통화부; 호출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통합 관제기를 호출하는 비상 호출부; 상기 비상 호출부의 호출 신호를 통신 연결부를 통하여 상기 통합 관제기에 전송하고, 상기 통화부의 양방향 통화를 제어하며, 상기 CCD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상기 통합 관제기에 전송하는 제어부; 상기 비상 호출부의 작동시 경광등 및 싸이렌을 출력하는 비상 경보부; 상기 비상 호출부의 호출 신호, 상기 CCD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 및 상기 통화부의 양방향 통화를 상기 중계기를 거쳐 상기 통합 관제기에 전송하는 통신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통합 관제기는; 기기의 각부로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리시버 및 마이크를 포함하며, 상기 비상 호출기와 통화를 수행하는 통화부; 상기 비상호출기로부터 전송된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 연결부; 상기 통신 연결부를 통하여 연결되는 다수의 비상호출기중에 어느 하나의 특정 채널을 선택하여 통화를 수행하도록 하는 채널 설정부; 상기 비상 호출기의 송신 영상을 표시하는 LCD 화면 표시부; 상기 비상 호출기의 호출에 따라 경보를 출력하는 경보 출력부; 상기 통화부를 통하여 상기 비상 호출기와 양방향 통화를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비상 호출기의 호출에 따라 상기 경보 출력부를 구동시키고, 수신된 영상을 상기 LCD 화면 표시부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중앙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중계기는 DC12V 동작전원을 사용하며, 일정거리 이내에서 상기 비상 호출기의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합 관제기는 상기 비상호출기와 강제 통화 연결 및 영상확인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영상신호는 DVR과 연동되어 상시녹화가 되며 필요시 조회 및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비상 통합 관제 시스템에 의하면,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에서 신변의 위협을 받을때 벽이나 기타 위험지역에 설치해놓은 비상벨을 눌러 영상 및 음성으로 중앙 관제 센타와 연결되며, 중앙 관제 센타에서는 카메라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바탕으로 위험을 감지하여 신속하게 출동하여 위급상황에 대처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영상신호는 DVR과 연동되어 상시녹화가 되며 필요시 조회 및 검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 사고 및 도난 등을 감시하고 예방하는 효과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 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 통합 관제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상 호출기(100), 중계기(200) 및 통합 관제기(300)를 포함한다.
비상 호출기(100)는 호출자의 조작에 의하여 통합 관제기(300)를 호출하고, 상기 통합 관제기(300)와 양방향 동시 통화를 수행하며 통합 관제기(300)로 영상을 전송하고, 비상 호출시 경광등 및 싸이렌을 출력한다.
중계기(200)는 비상 호출기(100)와 통합관제기(300)간 중계기능을 수행하고, 중계기(200)와 통합관제기(300)간 DATA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비상 호출기(100)의 전원 공급(50M 이내시)으로 동작될 수 있으며, 비상호출기(100)의 MUX기능 및 영상 증폭 기능을 수행한다.
통합 관제기(300)는 비상 호출기(100)의 호출에 따라 비상 호출기(100)와 통화를 수행하고, 비상 호출기(100)의 송신 영상을 확인한다. 또한, 비상호출기(100)와 강제 통화 연결 및 영상확인 기능을 수행하고, 통합관제기(300)와 중계기(200)간 DATA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 통합 관제 시스템의 비상 호출기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의 비상 호출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상 호출기(100)는 CCD 카메라부(110), 통화부(120), 스피커(121), 마이크(122), 제어부(130), 비상 경보부(140), 비상 호출부(150) 및 통신 연결부(160)를 포함한다.
CCD 카메라부(110)는 호출자 및 주변 상황의 영상을 촬영하고, 통화부(120)는 상기 통합 관제기(300)와 양방향 동시 통화를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121)와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122)를 포함한다.
비상 호출부(150)는 호출자의 조작에 따라 통합 관제기(300)를 호출한다.
제어부(130)는 상기 비상 호출부(150)의 호출 신호를 통신 연결부(160)를 통하여 통합 관제기(300)에 전송하고, 상기 통화부(120)의 양방향 통화를 제어한다. 아울러, CCD 카메라부(110)에서 촬영된 영상을 통합 관제기(300)에 전송한다.
비상 경보부(140)는 상기 비상 호출부(150)의 작동시 경광등 및 싸이렌을 출력한다.
통신 연결부(160)는 상기 비상 호출부(150)의 호출 신호, CCD 카메라부(110)에서 촬영된 영상 및 상기 통화부(120)의 양방향 통화를 중계기(200)를 거쳐 통합 관제기(300)에 전송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상 호출기(100)는 외형은 알루미늄 메탈 케이스를 적용하고, CCD 카메라부(110)는 핀 홀 컬러 카메라(PIN HOLE COLOR CAMER)를 적용한다. 통화방식은 양방향 동시통화를 적용하며, 전원으로 DC 12V 동작전원(50M이내-중계기에서 공급 / 100M이내-자체 DC 12V전원 사용)을 사용한다. 조도는 주변조도 1 LUX 에서 30Cm이내 영상식별이 가능하다.
한편, 중계기(200)는 DC 12V 동작전원을 사용하며, 비상 호출기(100)의 전원을 공급(거리가 50M 이내일 경우)받아 동작될 수 있다. 배선방식은 4선 개별배선(비상호출기와 중계기간) 방식을 사용한다. 이때, 중계기(200)와 통합관제기(300)간에는 UTP 4P 1선,동축 1선을 사용하고, 비상호출기(100)와 중계기(200)간에는 TIV0.65mm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 통합 관제 시스템의 통합 관제기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고, 도 5는 도 4의 통합 관제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통합 관제기(300)는 전원부(310), 중앙 제어부(320), 통화부(330), 리시버(331), 마이크(332), 통신 연결부(340), 채널 설정부(350), LCD 화면 표시부(360), 경보 출력부(370), MMC(371), 앰프(372), 스피커(373)를 포함한다.
전원부(310)는 기기의 각부로 동작 전원을 공급한다.
중앙 제어부(320)는 통화부(330)를 통하여 비상 호출기(100)와 양방향 통화를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비상 호출기(100)의 호출에 따라 경보 출력부(370)를 구동시키고, 수신된 영상을 LCD 화면 표시부(360)에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통화부(330)는 비상 호출기(100)와 통화를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통화부(330)는 리시버(331) 및 마이크(332)를 포함한다.
통신 연결부(340)는 비상호출기(100)로부터 전송된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통신 기능을 수행하며, 채널 설정부(350)는 다수의 비상호출기(100)중에 어느 하나의 특정 채널을 선택하여 통화를 수행한다.
LCD 화면 표시부(360)는 비상 호출기(100)의 송신 영상을 표시한다.
경보 출력부(370)는 비상 호출기(100)의 호출에 따라 경보를 출력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경보 출력부(370)는 MMC(371), 앰프(372) 및 스피커(373)를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통합 관제기(300)는 외형은 ABS 사출물로 7인치 LCD 일체형으로 구성하고, 핸드셋 양방향 동시통화를 지원한다. 또한, 전원은 외장 DC 12V, DESK형 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 상태를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호출자는 위급상황 발생시, 비상 호출기(100)의 비상 호출부(150)를 동작시킨다. 이때, 일반적으로 호출버튼(미도시)을 누름으로써 비상 호출부(15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호출 신호가 중계기(200)를 거쳐 통합 관제기(300)에 전달되고 상기 통합 관제기(300)에서 응답한다.
이후, 비상 호출기(100)와 통합 관제기(300)간에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한다.
한편, 통합 관제기(300)에서는 상기 비상 호출기(100)에서 호출신호가 발생하게 되면, LCD화면 표시부(360)의 LCD창에 비상 호출기(100)의 호출자 영상이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통합 관제기(300)측의 관리자가 송수화기를 들고 비상 호출기(100)의 호출자와 통화를 수행하며 필요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취한다. 이후, 송수화기 를 본체에 올려 놓으면 통화가 종료된다.
한편, 상기 통합 관제기(300)는 상기 비상호출기(100)와 강제 통화 연결 및 영상확인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영상신호는 통상의 DVR(미도시)과 연동되어 상시녹화가 되며 필요시 조회 및 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에서 신변의 위협을 받을때 벽이나 기타 위험지역에 설치해놓은 비상벨을 눌러 영상 및 음성으로 중앙 관제 센타와 연결되며, 중앙 관제 센타에서는 카메라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바탕으로 위험을 감지하여 신속하게 출동하여 위급상황에 대처하도록 한다.
또한, 영상신호는 DVR과 연동되어 상시녹화가 되며 필요시 조회 및 검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 사고 및 도난 등을 감시하고 예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 통합 관제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 통합 관제 시스템의 비상 호출기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3은 도 2의 비상 호출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 통합 관제 시스템의 통합 관제기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5는 도 4의 통합 관제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비상 호출기 110 : CCD 카메라부
120 : 통화부 121 : 스피커
122 : 마이크 130 : 제어부
140 : 비상 경보부 150 : 비상 호출부
160 : 통신 연결부 200 : 중계기
300 : 통합 관제기 310 : 전원부
320 : 중앙 제어부 330 : 통화부
331 : 리시버 332 : 마이크
340 : 통신 연결부 350 : 채널 설정부
360 : LCD 화면 표시부 370 : 경보 출력부
371 : MMC 372 : 앰프
373 : 스피커

Claims (5)

  1. 호출자의 조작에 의하여 통합 관제기를 호출하고, 상기 통합 관제기와 양방향 동시 통화를 수행하며 상기 통합 관제기로 영상을 전송하고, 비상 호출시 경광등 및 싸이렌을 출력하는 비상 호출기;
    상기 비상 호출기와 상기 통합관제기간 중계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통합관제기간 DATA통신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비상호출기의 MUX기능 및 영상 증폭 기능을 수행하는 중계기;
    상기 비상 호출기의 호출에 따라 상기 비상 호출기와의 통화를 수행하고, 상기 비상 호출기의 송신 영상을 확인하며, 상기 비상호출기와 강제 통화 연결 및 영상확인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중계기간 DATA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통합 관제기를 포함하는 비상 통합 관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비상 호출기는;
    호출자 및 주변 상황의 영상을 촬영하는 CCD 카메라부;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를 포함하며, 상기 통합 관제기와 양방향 동시 통화를 수행하는 통화부;
    호출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통합 관제기를 호출하는 비상 호출부;
    상기 비상 호출부의 호출 신호를 통신 연결부를 통하여 상기 통합 관제기에 전송하고, 상기 통화부의 양방향 통화를 제어하며, 상기 CCD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상기 통합 관제기에 전송하는 제어부;
    상기 비상 호출부의 작동시 경광등 및 싸이렌을 출력하는 비상 경보부;
    상기 비상 호출부의 호출 신호, 상기 CCD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 및 상기 통화부의 양방향 통화를 상기 중계기를 거쳐 상기 통합 관제기에 전송하는 통신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합 관제기는;
    기기의 각부로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리시버 및 마이크를 포함하며, 상기 비상 호출기와 통화를 수행하는 통화부;
    상기 비상호출기로부터 전송된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 연결부;
    상기 통신 연결부를 통하여 연결되는 다수의 비상호출기중에 어느 하나의 특정 채널을 선택하여 통화를 수행하도록 하는 채널 설정부;
    상기 비상 호출기의 송신 영상을 표시하는 LCD 화면 표시부;
    상기 비상 호출기의 호출에 따라 경보를 출력하는 경보 출력부;
    상기 통화부를 통하여 상기 비상 호출기와 양방향 통화를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비상 호출기의 호출에 따라 상기 경보 출력부를 구동시키고, 수신된 영상을 상기 LCD 화면 표시부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중앙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통합 관제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는
    DC12V 동작전원을 사용하며, 일정거리 이내에서 상기 비상 호출기의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통합 관제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제기는
    상기 비상호출기와 강제 통화 연결 및 영상확인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영상은 DVR과 연동되어 상시녹화가 되며 필요시 조회 및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통합 관제 시스템.
KR1020090007083A 2009-01-29 2009-01-29 비상 통합 관제 시스템 KR1010167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7083A KR101016726B1 (ko) 2009-01-29 2009-01-29 비상 통합 관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7083A KR101016726B1 (ko) 2009-01-29 2009-01-29 비상 통합 관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7986A KR20100087986A (ko) 2010-08-06
KR101016726B1 true KR101016726B1 (ko) 2011-02-23

Family

ID=42754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7083A KR101016726B1 (ko) 2009-01-29 2009-01-29 비상 통합 관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67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3654B1 (ko) 2012-12-05 2013-06-27 주식회사 시큐인포 아이피 카메라가 부착된 브이오아이피 기반의 방범용 비상벨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방범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6825B1 (ko) * 2013-04-19 2013-12-04 주원통신 주식회사 학교폭력 및 범죄 예방을 위한 감시시스템
KR102356666B1 (ko) * 2017-04-24 2022-01-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로그 데이터 기반의 공공안전 위험상황 감지, 예측, 대응 방법 및 장치
KR102227288B1 (ko) * 2019-06-18 2021-03-12 (주)파크원에이피에스 주차 영상유도관제 및 비상벨과 방범 통합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6961A (ja) 2002-03-04 2003-09-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ネットワーク型緊急通報システム
JP2003346262A (ja) * 2002-05-22 2003-12-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ネットワーク型緊急通報システム
KR20070010554A (ko) * 2005-07-19 2007-01-24 (주) 현대엔에스 실시간 비상벨 보안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이용한 실시간보안감시방법
KR100754898B1 (ko) * 2006-04-26 2007-09-04 홍상기 유, 무선 통신을 통해 음성통화 및 영상전송이 가능한비상호출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6961A (ja) 2002-03-04 2003-09-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ネットワーク型緊急通報システム
JP2003346262A (ja) * 2002-05-22 2003-12-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ネットワーク型緊急通報システム
KR20070010554A (ko) * 2005-07-19 2007-01-24 (주) 현대엔에스 실시간 비상벨 보안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이용한 실시간보안감시방법
KR100754898B1 (ko) * 2006-04-26 2007-09-04 홍상기 유, 무선 통신을 통해 음성통화 및 영상전송이 가능한비상호출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3654B1 (ko) 2012-12-05 2013-06-27 주식회사 시큐인포 아이피 카메라가 부착된 브이오아이피 기반의 방범용 비상벨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방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7986A (ko) 2010-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0026B1 (ko) 하이브리드형 방범용 가로등시스템
KR100754898B1 (ko) 유, 무선 통신을 통해 음성통화 및 영상전송이 가능한비상호출 시스템
JP2010282316A (ja) 防犯灯ポール及び緊急通報システム
KR101016726B1 (ko) 비상 통합 관제 시스템
JP2005071064A (ja) ホーム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101342448B1 (ko) 원격 감시 장치와 그 방법
GB2395336A (en) Portable security device
CN100382599C (zh) 联络方法和联络装置
KR101685481B1 (ko) 현관감시방법
KR100913310B1 (ko) 비상 경보 시스템
JP2013042389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3864972B2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3143990U (ja) 監視カメラシステム
JP4921758B2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20120059998A (ko) 엘이디 전등 제어와 연동된 보안 시스템
KR101600401B1 (ko) 비상벨 인터폰 연동 감시 카메라 시스템
KR101416076B1 (ko) 감시카메라 비상호출 시스템
KR20180064762A (ko) 실내 공간에 위치하는 비명 감지기
KR101693215B1 (ko) 자가 설치 및 운용 가능한 무인경비시스템을 위한 통합센서관제장치 및 방법
KR20170004086U (ko) 승강기 비상통화장치용 정보 표시장치
KR20090078854A (ko) 비상호출 신속 대응을 위한 인터라넷 또는 인터넷을 이용한씨씨티브이 통합 보안 시스템
US20180350215A1 (en) Multi-functional network camera control apparatus
JP5022569B2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100609735B1 (ko) 인터넷 망을 이용한 무인원격 화상경비 장치
KR200332862Y1 (ko)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사무실 원격감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