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938A - 박리 가능한 점착 필름용 보조 점착 테이프 - Google Patents

박리 가능한 점착 필름용 보조 점착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3938A
KR20170003938A KR1020167033130A KR20167033130A KR20170003938A KR 20170003938 A KR20170003938 A KR 20170003938A KR 1020167033130 A KR1020167033130 A KR 1020167033130A KR 20167033130 A KR20167033130 A KR 20167033130A KR 20170003938 A KR20170003938 A KR 201700039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adhesive tape
adhesive film
auxiliary
pu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3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르스텐 크라빙켈
마지 스미스
Original Assignee
테사 소시에타스 유로파에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사 소시에타스 유로파에아 filed Critical 테사 소시에타스 유로파에아
Publication of KR20170003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9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03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release feature on the carrier layer
    • C09J7/0296
    • C09J7/0207
    • C09J7/0253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4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41Polyolefin, e.g.rubber
    • C09J7/243Ethylene or propylene polymers
    • C09J2201/128
    • C09J2201/618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 both sides of the carrier, e.g. double-sided adhesive t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8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tape or sheet losing adhesive strength when being stretched, e.g. stretch adhesive

Abstract

보조 점착 테이프는, 고정된 물체의 에지 주위에서 45°보다 큰 분리 각으로 풀탭을 당김으로써 양면 점착되는 신장성 점착 필름을 분리하기 위한 분리 보조 수단으로 사용되며, 이때 상기 점착 필름은 점착 평면에서 유연하게 신장됨으로써 잔류물이 남지 않고 비파괴적인 방식으로 박리될 수 있고, 상기 점착 평면은 풀탭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단부를 가지며, 그리고 물체가 상기 점착 필름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보조 점착 테이프는 상기 에지에 점착되고, 그리고 지지체를 갖는 단면 점착 테이프이며, 이때 상기 지지체는 a) 저에너지 중합체로 이루어지고, b) 구조화된 표면을 갖는 두 가지 특성 중 한 가지 이상을 충족한다.

Description

박리 가능한 점착 필름용 보조 점착 테이프{ADHESIVE TAPE AID FOR A REDETACHABLE ADHESIVE FILM}
본 발명은, 고정된 물체의 에지 주위에서 45°보다 큰 분리 각(release angle)으로 풀탭(pull tab)을 당김으로써, 양면 점착되는 신장성 점착 필름(extensible adhesive film)을 분리하기 위한 분리 보조 수단 및 이에 적합하게 형성된 점착 필름에 관한 것이며, 이 경우 상기 점착 필름은 점착 평면에서 유연하게 신장됨으로써 잔류물이 남지 않고 비파괴적인 방식으로(in a residue-free and non-destructive manner) 박리 가능하며, 상기 점착 평면은 풀탭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단부를 갖고, 그리고 물체는 상기 점착 필름에 의해 고정된다.
점착 평면에서 유연하게 신장됨으로써 잔류물이 남지 않고 비파괴적인 방식으로 박리시킬 수 있는, 탄성 또는 가소성 측면에서 신장성이 높은 자가 점착 테이프 또는 필름(self-adhesive tape or self-adhesive film)은 예를 들면 US 4,024,312 A호, DE 33 31 016 C2호, WO 92/11332 A1호, WO 92/11333 A1호, DE 42 22 849 C1호, WO 95/06691 A1호, DE 195 31 696 A1호, DE 196 26 870 A1호, DE 196 49 727 A1호, DE 196 49 728 A1호, DE 196 49 729 A1호, DE 197 08 364 A1호, DE 197 20 145 A1호, DE 198 20 858 A1호, WO 99/37729 A1호 및 DE 100 03 318 A1호에 공지되어 있으며, 이하 박리 가능한 자가 점착 테이프(self-strippable adhesive tape)로도 명명된다.
상기와 같은 박리 가능한 자가 점착 테이프는 단면 또는 양면에 점착성을 갖는 점착 필름 스트립의 형태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점착 필름 스트립은 바람직하게 비점착성 풀탭 영역을 갖고, 분리 공정은 상기 풀탭 영역으로부터 시작된다. 상응하는 자가 점착 테이프의 개별적인 적용예는 특히 DE 42 33 872 C1호, DE 195 11 288 C1호, US 5,507,464 B1호, US 5,672,402 B1호 및 WO 94/21157 A1호에서 확인할 수 있다. 특정 실시 형태는 또한 DE 44 28 587 C1호, DE 44 31 914 C1호, WO 97/07172 A1호, DE 196 27 400 A1호, WO 98/03601 A1호 및 DE 196 49 636 A1호, DE 197 20 526 A1호, DE 197 23 177 A1호, DE 197 23 198 A1호, DE 197 26 375 A1호, DE 197 56 084 C1호, DE 197 56 816 A1호, DE 198 42 864 A1호, DE 198 42 865 A1호, WO 99/31 193 A1호, WO 99/37729 A1호, WO 99/63018 A1호, WO 00/12644 A1호 및 DE 199 38 693 A1호에 기재되어 있다.
전술한 박리 가능한 점착 필름 스트립의 바람직한 적용 범위에는 특히 가정, 직장 및 사무실 영역에서 이루어지는, 무게가 가벼운 물체 내지 중간 정도인 물체를 잔류물이 남지 않고 비파괴적인 방식으로 다시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는 것이 포함된다. 가정 및 사무실 영역에서 적용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두께가 400㎛가 넘는 상당히 두꺼운 제품이 고려된다.
- 예컨대, 휴대폰, 디지털 카메라 또는 랩톱 제조 시와 같은 - 가전 산업 분야에서는, 제품 사용 후 폐기 시 개별 부품들을 분리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수요가 더욱 증가하고 있다. 분리가 가능한 경우 일부 부품들은 재사용되거나 재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혹은 적어도 분리 폐기가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박리 가능한 점착성 접합(adhesive bonding)은 상기와 같은 산업 분야에서 큰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특히, 높은 유지력을 갖고, 원하는 경우 쉽게 제거될 수 있는 점착 테이프는, 예를 들면 분리를 위해 먼저 가열됨으로써 예비 처리 공정을 거쳐야 하는 점착 스트립을 대체할 수 있는 유용한 대안을 제시한다.
장착 과정 중에도 쉽게 박리 가능한 점착성 접합은, 전체 부품을 불량품으로 폐기하는 대신, 올바르게 설치되지 않았거나 정렬되지 않은 구성 요소를 제거하고, 다시 조정한 다음 고정할 수 있기 위해 바람직하다. 일 예로서 제조 공정이 끝날 무렵에 삽입되는 휴대폰의 배터리가 언급될 수 있다. 배터리가 적합한 위치에 올바른 방향 설정으로 배치되지 않은 경우 장치는 사용될 수 없다. 배터리의 재배치가 가능하지 않다면, 예컨대 디스플레이와 같이 이미 장착되어 있고 그리고 일부 값이 비싼 구성 요소를 포함하여 전체 장치를 폐기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배터리를 다시 배치할 수 있는 가능성이 주어진다면, 불량품이 줄고, 아울러 비용도 상당히 절감될 것이다.
또한, 가전제품 분야에서 사용되는 특정 구성 요소의 분리 가능성은 결함이 있는 부품을 간단한 방식으로 교체할 수 있기 위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휴대폰 또는 디지털 카메라의 배터리는 장치 내에 점착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배터리의 충전은 장치 내에서 이루어진다. 그러나 결함으로 인해 배터리를 교체해야 하는 경우, 점착성 접합을 분리시켜야 한다.
가전제품 분야에서는 가능한 한 얇은 점착 스트립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단말기 장치는 가능한 한 슬림(slim)해야 하고, 그리고 모든 개별 구성 요소 역시 적은 공간을 차지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우 점착 스트립의 분리는, 점착면과 신장 방향의 각이 작으면 작을수록 분리력이 작기 때문에 이상적으로는 점착 평면에서 점착 스트립을 신장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가전 장치의 개별 부품들은 서로 매우 가깝게 놓여 있기 때문에, 점착 테이프를 신장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이 없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 신장은 오로지 점착면에 대해 상대적으로 큰 각도로만 이루어질 수 있는데, 최악의 경우에는 90° 또는 심지어는 훨씬 더 큰 각도로만 가능하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큰 각도로 분리할 경우에는 요구되는 힘이 눈에 띄게 증가한다.
지지체 없이 설계되는 매우 얇은 박리 가능한 점착 스트립 사용 시에는 스트립 파단이 증가한다. 그러나 점착 스트립이 끊어질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분리가 더 이상 불가능한데, 그 이유는 점착 스트립의 나머지 부분이 점착 라인으로 다시 되돌아가고, 따라서 풀탭을 사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끊어지지 않는 정도의 우수한 파단 강도를 갖는 접착 물질에서 빈번하게 관찰될 수 있는 사항으로는, 90° 각도에서 신장 시 힘은 테이프가 더 이상 연장되지 않을 정도로 크고, 이러한 경우 분리도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바로 이러한 점에서 분리가 이루어지는 에지를 형성하는 해결책이 주어질 수 있다. DE 197 29 706 A1호에서는 가전 분야에서 훅(hook)과 관련하여 상기와 같은 해결책이 설명된다. 이때 에지는 예컨대, 폴리에틸렌과 같이 가능한 한 낮은 정지마찰(static friction)과 미끄럼마찰을 갖는 재료로부터 선택된다. 그러나 예컨대 상기와 같은 에지를 갖는 배터리와 같이, 부품의 에지는 제조 공정에서 많은 비용 또는 시간을 필요로 한다.
또한, 예를 들어 배터리와 같은 개별 부품이 미끄럼마찰이 적은 재료로 이루어진 에지를 갖도록 변경하는 것은 매우 복잡하게 보인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변경은, 부품 그리고 이러한 부품의 제조에 사용되는 재료가 다수의 추가적인 요건을 충족해야 하기 때문에 항상 가능하지는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최대 135°, 특히 90°까지의 분리 각으로의 신장이 필요하도록 설치된 점착 필름의 분리 시, 이러한 필름의 파단 경향을 감소시키고, 그리고 상기와 같은 박리 각에서도 높은 안정성과 함께 상기 점착 필름의 완벽한 박리 가능성을 보장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도입부에 언급된 분리 보조 수단으로서 보조 점착 테이프가 사용됨으로써 해결되며, 이 경우 상기 보조 점착 테이프는 박리가 이루어지는 고정될 물체의 에지 주위에 점착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보조 점착 테이프는 지지체를 갖는 단면 점착 테이프이며, 이때 상기 지지체는 하기 두 가지 특성 중 한 가지 이상을 충족한다:
a) 상기 지지체가 저에너지 중합체(low-energy polymer)로 이루어짐,
b) 상기 지지체가 구조화된 표면을 가짐.
놀랍게도, 에지 주위에 저에너지 중합체 후면 또는 구조화된 후면을 갖는 점착 테이프를 설치하여 이러한 에지 주위에서 큰 각도로 분리 시, 상응하는 점착 테이프를 갖지 않은 경우보다 파단 수가 적은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보조 점착 테이프는 이러한 보조 점착 테이프의 점착력이 비교적 낮더라도, 유연하게 신장함으로써 분리 가능한 점착 테이프의 분리 공정 중에 분리되지 않는다는 점이 더욱 놀라웠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의미에서 "저에너지"라는 표현은 40mN/m 미만의 표면 장력(surface tension)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표면 장력은 에탄올-시험 잉크를 사용하여 검출하였다. 상기 시험 잉크는 상이한 크기의 표면 장력으로 두 단계에서 이용할 수 있었다. 먼저 표면에 높은 표면 장력을 갖는 잉크를 도포하였다. 붓질(brush stroke)의 가장자리가 2초간 변하지 않고 안정적인 경우, 표면 우수하게 습윤될 수 있었다. 이 경우 기질(substrate)의 표면 장력은 적어도 시험 잉크 값에 상응했다. 테스트 잉크의 붓질이 수축되면, 다음으로 낮은 시험 잉크를 속행하였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계적으로 재료의 표면 장력의 값에 근접했다. 재료의 표면 장력은 최소 2초 동안 마지막으로 습윤되는 시험 잉크 값에 상응했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분리 각"은 점착 평면 쪽으로 박리 시 풀탭이 형성하는 각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경우에서 상기 분리 각은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90°, 특히 60° 내지 90°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90°이며, 다시 말해 분리가 점착 평면에 수직으로 이루어진다.
그 외에 본 발명의 의미에서 "점착 필름"이라는 개념은, 단지 점착 필름의 연장과 관련하여, 즉 점착 필름의 길이 대 폭 비율과 관련하여 상기 점착 필름과 구분되는 점착 테이프 또한 명시적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점착 평면에서 유연하게 신장됨으로써 잔류물이 남지 않고 비파괴적인 방식으로 박리 가능한, 모든 양면 접착되는 신장성 점착 필름에 적합하다. 특히, 상기 점착 필름은 양면 점착성으로 형성되어 있다.
점착 필름으로는, 파단 강도가 보장되는 신장성 지지체를 갖는 필름뿐만 아니라 접착 물질로만 이루어진 필름도 사용될 수 있다.
점착 필름의 풀탭은 비점착성으로 형성된 점착 필름의 단부 영역이다. 이러한 영역은, 신장성 지지체의 양면에 접착제를 도포함으로써 형성되는 점착 필름의 경우 일 영역에 접착제를 도포하지 않음으로써, 또는 지지체를 갖는 또는 지지체를 갖지 않는 접착 필름의 경우 두 점착면을 커버로 덮음으로써 제공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커버의 외측면 자체는 점착되지 않는다. 하나의 점착 필름은 다수의 풀탭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점착 필름은 바람직하게 정확히 하나의 풀탭을 갖는다. 이 경우 풀탭은 점착 필름의 신장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모서리 주위에 점착되는 사용될 보조 점착 테이프를 위한 저에너지 중합체를 기재로 하는 지지체는 예를 들면 HDPE, LDPE와 같은 폴리에틸렌 필름 또는 폴리프로필렌을 함유하는 공중합체가 고려된다. 그러나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또는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와 같은 플루오르화 중합체를 기재로 한 필름도 사용될 수 있다.
구조화된 지지체는 또한 몇 가지 예를 들자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폴리프로필렌(PP)과 같은 다른 플라스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때 구조화는 스탬핑뿐만 아니라 표면 에칭에 의해서도 수행될 수 있다. 구조화는 예를 들어 그루브(groove) 또는 마름모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조화는 또한 특히 에칭 경우에 그러하듯이 임의의 형태일 수도 있다. 이 경우, DIN EN ISO 4287:2010 규격에 따라 값을 측정했을 때, 구조화의 평균 거칠기 값(Ra)은 0.5㎛보다 큰 값을 가져야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평균 거칠기 값은 0.8㎛보다 크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보다 크다.
저에너지 또는 구조화된 플라스틱을 기재로 한 지지체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단면 보조 점착 테이프는, 점착 필름이 제거되는 물체의 에지 주위에 점착된다. 이 경우 상기 보조 점착 테이프는 점착 필름이 도포되기 전에 점착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과제는, 하기와 같은 층들을 포함하는 다층 점착 필름에 의해서 해결된다:
a) 양면 점착되는 신장성 점착 필름; 상기 점착 필름은 점착 평면에서 유연하게 신장됨으로써 잔류물이 남지 않고 비파괴적인 방식으로 분리될 수 있고, 상기 점착 평면은 풀탭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단부를 가지며,
b) 단면 보조 점착 테이프; 상기 보조 점착 테이프의 지지체가 하기 두 가지 특성 중 한 가지 이상을 충족하며;
ⅰ) 상기 지지체가 저에너지 중합체로 이루어짐,
ⅱ) 상기 지지체가 구조화된 표면을 가짐,
이 경우 상기 보조 점착 테이프는 상기 풀탭에 인접하는 영역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박리 가능한 점착 필름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풀탭을 덮고, 이 경우 상기 보조 점착 테이프의 점착되지 않는 지지체 면은 상기 박리 가능한 점착 필름 및 풀탭과 마주한다.
그 외에 풀탭 영역에서는 보조 점착 테이프가 풀탭과 점착 연결되어 있지 않은데, 그 이유는 2개의 비점착성 표면이 만나기 때문이며, 이는 풀탭은 정의에 따르면 비점착성으로 형성되어 있고 보조 점착 테이프의 점착성 면은 고정될 물체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조 점착 테이프와 풀탭은 풀탭 영역에서만 겹쳐 있다.
상기와 같은 다층 점착 필름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단일 접착 단계만 필요한데, 그 이유는 보조 점착 테이프와 박리 가능한 점착 필름이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며, 그 결과 상기 보조 점착 테이프와 점착 필름이 고정될 물체에 함께 점착된다.
이 경우 양면 점착되는 신장성 점착 필름으로는 위에서 박리 가능한 점착 테이프로서 명명된 공지된 점착 필름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예를 들면 위의 도입부에 언급된 문서들에 기재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보조 점착 테이프는 균일한 박리 과정이 보장되도록 양면 점착 필름의 전체 폭에 걸쳐 연장된다.
보조 점착 테이프는 점착 필름의 점착성 영역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 보조 점착 테이프는 풀탭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단지 박리 가능한 점착 필름의 일부분에 걸쳐서만 연장된다. 마찬가지로, 보조 점착 테이프가 점착성 영역으로부터 풀탭의 일부분에 걸쳐 연장되는 것도 특히 유리하다.
이때 신장이 이루어지는 방향은 길이 방향으로 표기된다.
본 발명을 위한 다수의 적용 분야가 고려될 수 있는 동시에 예상 가능하다. 본 발명은 가전제품 산업에 특히 적합하다. 이 경우 "가전제품"은 엔터테인먼트, 통신 및 사무실 관련 영역에서 사용되는 전자 장치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제조, 특히 상기와 같은 영역에서 사용되는 장치의 산업용 제조에 적용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하기에는 본 발명의 대상과 관련한 목록에서 특별히 언급된 대표 제품에 의해서 불필요하게 제한됨 없이, 제조 공정에서 본 발명이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는 몇몇 장치가 열거되어 있다.
Figure pct00001
카메라, 디지털 카메라, 사진 부속 장치(예: 노출계, 플래시 장치, 조리개, 카메라 바디, 렌즈 등), 필름 카메라, 비디오 카메라,
Figure pct00002
소형 컴퓨터(모바일 컴퓨터, 휴대용 컴퓨터, 계산기), 랩톱, 노트북, 넷북, 울트라북, 태블릿 컴퓨터, 핸드헬드, 전자 다이어리 및 수첩(소위 "전자 수첩(Electronic Organizer)" 또는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팜탑), 모뎀,
Figure pct00003
마우스, 문자 패드, 그래픽 태블릿, 마이크, 스피커, 게임 콘솔, 게임 패드, 리모컨, 원격 조종기, 터치 패널("터치 패드")과 같은 컴퓨터 부속 장치 및 전자 장치용 제어 유닛,
Figure pct00004
모니터, 디스플레이, 스크린, 터치 스크린 (센서 스크린, "터치 스크린 장치"), 프로젝터,
Figure pct00005
전자책("E-Book")용 판독기,
Figure pct00006
소형 TV, 포켓형 TV, 영화 재생기, 비디오 재생기,
Figure pct00007
라디오(소형 및 포켓형 라디오 포함), 워크맨, 디스크맨(시디 플레이어), 음악 재생기(예: CD, DVD, 블루레이, 카세트 테이프, USB, MP3, 헤드폰용),
Figure pct00008
무선 전화, 휴대폰, 스마트폰, 휴대용 무전기, 핸즈프리 장치, 무선 호출기(삐삐),
Figure pct00009
휴대용 제세동기, 혈당 측정기, 혈압 측정기, 만보계, 심박수 모니터,
Figure pct00010
손전등, 레이저 포인터,
Figure pct00011
모바일 탐지기, 광학 확대기, 망원경, 야간 투시 장치,
Figure pct00012
GPS 장치, 내비게이션 장치, 위성 통신용 웨어러블 인터페이스 장치,
Figure pct00013
데이터 저장 장치(USB 스틱, 외장 하드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Figure pct00014
손목시계, 디지털 시계, 회중 시계, 목걸이 시계, 스톱워치.
도 1은 베이스에 고정되어 있는 2개의 부품의 횡단면을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품(10 및 20) 그리고 신장 방법으로 분리할 수 있는 점착 테이프(40)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1은 베이스에 고정되어 있는 2개의 부품의 횡단면을 보여준다. 이 경우 다시 분리 가능한 부품(10)은 당겨서 분리할 수 있는 점착 스트립(40)에 의해 베이스(30)와 연결되어 있다. 인접한 부품(20)에 의해, 점착 평면에서 점착 스트립의 신장은 가능하지 않은데, 이 때문에 상기 부품(40)의 에지 주위에서는 큰 분리 각으로만 분리가 가능하다. 분리는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위쪽으로 실시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품(10 및 20) 그리고 신장 방법으로 분리할 수 있는 점착 테이프(40)의 구조를 보여준다. 그러나 도 2의 경우 분리될 부품의 에지 주위에 저에너지 중합체 또는 구조화된 중합체를 기재로 하는 지지체를 갖는 단면 점착 테이프가 점착된다. 분리는 부품(10)의 본래 에지가 아닌 새롭게 형성된 에지 주위에서 이루어지며, 그 결과 부품 에지의 영향이 감소된다.
실시예
반지름 3mm의 에지가 있는 폴리스티렌 샘플을 tesa 70420, 두께 200㎛의 단면 점착 테이프 1개를 사용하여 알루미늄판에 점착하였다. 상기 점착 테이프의 폭은 15mm였고, 점착 길이는 40mm였다. 점착 라인으로부터 돌출하는 점착 테이프의 풀탭 영역의 길이는 30mm였다.
점착 스트립의 분리는 점착면을 기준으로 하여 90 ° 각도에서 1,000mm/min의 속도로 실시되었다.
2개의 상이한 테이프를 사용하여, 이 테이프를 분리되어야 할 폴리스티렌의 에지에 점착하였다. 한 점착 테이프에는 아크릴레이트 및 HDPE 지지체를 사용하였고, 다른 한 점착 테이프에는 아크릴레이트 및 1㎛의 평균 거칠기를 갖는 에칭된 PET 지지체를 사용하였다.
10회에 걸쳐 각각 상이한 에지 조건으로 시험을 실시하고, 이때 분리 시 파단된 점착 스트립 수를 기록하였다.
실시예 번호
에지 형성 10회의 시험에서 측정된 파단 수
1
변경 사항 없음 3
2
PE 점착 테이프 사용 1
3
에칭된 PET 지지체 사용 1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에서 파단 발생 경향이 상당히 감소하였다.

Claims (8)

  1. 고정된 물체의 에지 주위에서 45°보다 큰 분리 각(release angle)으로 풀탭(pull tab)을 당김으로써, 양면 점착되는 신장성 점착 필름(extensible adhesive film)을 분리하기 위한 분리 보조 수단으로 사용되는 보조 점착 테이프의 용도로서,
    이때 상기 점착 필름은 점착 평면에서 유연하게 신장됨으로써 잔류물이 남지 않고 비파괴적인 방식으로(in a residue-free and non-destructive manner) 박리될 수 있고, 상기 점착 평면은 풀탭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단부를 가지며, 그리고 물체는 상기 점착 필름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보조 점착 테이프는 상기 에지에 점착되고, 지지체(carrier)를 갖는 단면 점착 테이프이며, 이때 상기 지지체는
    a) 저에너지 중합체(low-energy polymer)로 이루어지고, 그리고
    b) 구조화된 표면을 갖는 두 가지 특성 중 한 가지 이상을 충족하는, 보조 점착 테이프의 용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가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점착 테이프의 용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가 중합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체의 표면이 0.5㎛보다 큰 평균 거칠기 값(Ra)을 갖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점착 테이프의 용도.
  4. 하기 층들을 포함하는 다층 점착 필름으로서,
    a) 양면 점착되는 신장성 점착 필름; 이때 상기 점착 필름은 점착 평면에서 유연하게 신장됨으로써 잔류물이 남지 않고 비파괴적인 방식으로 박리될 수 있고, 상기 점착 평면은 풀탭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단부를 가지며,
    b) 단면 보조 점착 테이프; 이때 상기 단면 보조 점착 테이프의 지지체가
    ⅰ) 저에너지 중합체로 이루어지고, 그리고
    ⅱ) 구조화된 표면을 갖는 두 가지 특성 중 한 가지 이상을 충족하며,
    이 경우 상기 보조 점착 테이프는 상기 풀탭에 인접하는 영역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박리 가능한 점착 필름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풀탭을 덮고, 이 경우 상기 보조 점착 테이프의 비점착성 지지체 면은 상기 박리 가능한 점착 필름 및 풀탭과 마주하는, 다층 점착 필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점착 테이프가 상기 양면 점착되는 점착 필름의 전체 폭에 걸쳐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점착 필름.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점착 테이프가 상기 풀탭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상기 박리 가능한 점착 필름의 일부분에 걸쳐서만 그리고 점착성 영역으로부터는 상기 풀탭의 일부분에 걸쳐서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점착 필름.
  7. 물체를 다시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점착 필름의 용도로서, 이 경우 상기 점착 필름의 보조 점착 테이프가 점착되어 있는 고정된 물체의 에지 주위에서 45°보다 큰 분리 각으로 상기 풀탭을 당김으로써 분리가 이루어지는, 점착 필름의 용도.
  8. 가전제품 산업(consumer-electronics industry)에서 사용되는 제1항 내지 제3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용도.
KR1020167033130A 2014-04-30 2015-03-30 박리 가능한 점착 필름용 보조 점착 테이프 KR201700039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4208264.1 2014-04-30
DE102014208264.1A DE102014208264A1 (de) 2014-04-30 2014-04-30 Hilfsklebeband für eine wiederablösbare Klebefolie
PCT/EP2015/056893 WO2015165674A1 (de) 2014-04-30 2015-03-30 Hilfsklebeband für eine wiederablösbare klebefoli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938A true KR20170003938A (ko) 2017-01-10

Family

ID=52781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3130A KR20170003938A (ko) 2014-04-30 2015-03-30 박리 가능한 점착 필름용 보조 점착 테이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3137567B1 (ko)
JP (1) JP6532482B2 (ko)
KR (1) KR20170003938A (ko)
CN (1) CN108463529B (ko)
DE (1) DE102014208264A1 (ko)
PL (1) PL3137567T3 (ko)
WO (1) WO20151656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37762B2 (ja) * 2015-12-25 2020-01-29 日東電工株式会社 セット
EP3405118A1 (en) * 2016-01-21 2018-11-28 The Cleveland Clinic Found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assisting with submucosal dissections
DE102017203092A1 (de) * 2017-02-24 2018-08-30 Tesa Se Wiederablösbarer Haftklebestreifen
CN107722855A (zh) * 2017-08-29 2018-02-23 张家港康得新光电材料有限公司 胶带组件、具有其的电池仓及移动设备
DE102018214237A1 (de) 2018-05-28 2019-11-28 Tesa Se Wiederablösbarer Haftklebestreifen
KR102599481B1 (ko) 2018-08-14 2023-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 접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JP6933305B2 (ja) * 2019-03-04 2021-09-08 Dic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粘着テープおよび接着体
WO2020179464A1 (ja) * 2019-03-04 2020-09-10 Dic株式会社 粘着テープおよび接着体
KR20210145135A (ko) * 2019-03-26 2021-12-01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접착체, 접착체의 조립 방법, 및 접착체의 해체 방법
CN114597547A (zh) * 2022-03-31 2022-06-07 合肥国轩高科动力能源有限公司 可拆卸大模组

Family Cites Families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24312A (en) 1976-06-23 1977-05-17 Johnson & Johnson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having extensible and elastic backing composed of a block copolymer
DE3331016A1 (de) 1983-04-06 1984-10-11 Beiersdorf Ag, 2000 Hamburg Klebfolie fuer wiederloesbare klebbindungen
TW215105B (ko) * 1990-12-20 1993-10-21 Minnesota Mining & Mfg
US5516581A (en) 1990-12-20 1996-05-1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Removable adhesive tape
CA2096936A1 (en) 1990-12-20 1992-06-21 Karl W. Kreckel Removable adhesive tape
DE4222849C2 (de) 1992-07-11 2000-02-10 Beiersdorf Ag Verwendung eines Streifens einer Klebefolie für wiederlösbare Verklebung
DE4233872C2 (de) 1992-09-30 1994-07-28 Beiersdorf Ag Wiederablösbarer, selbstklebender Haken
EP0690688A1 (en) 1993-03-23 1996-01-10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Article support using stretch releasing adhesives
JP3547747B2 (ja) 1993-08-31 2004-07-28 ミネソタ マイニング アンド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カンパニー 再剥離可能な泡粘着テープ
US5507464A (en) 1994-03-22 1996-04-1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Article support using stretch releasing adhesives
DE4428587C2 (de) 1994-08-12 1996-06-13 Beiersdorf Ag Klebfolienstreifen
DE4431914C2 (de) 1994-09-08 1996-10-17 Beiersdorf Ag Streifen einer Klebfolie für eine rückstandsfrei wiederlösbare Verklebung und dessen Verwendung
DE19511288C2 (de) 1995-03-28 1997-04-03 Beiersdorf Ag Verwendung eines doppelseitig klebenden Klebfolien-Abschnittes für eine Fixierung oder Aufhängung eines Gegenstandes
EP0843709B1 (en) 1995-08-11 1999-03-0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Removable adhesive tape with controlled sequential release
DE19531696A1 (de) 1995-08-29 1997-03-06 Beiersdorf Ag Mehrfache Verwendung eines Klebfolien-Laminats
FR2751338B1 (fr) 1996-07-17 1998-09-04 Plasto Sa Adhesif double face demontable
DE19729706A1 (de) 1996-09-13 1998-03-26 Beiersdorf Ag Wiederlösbare, selbstklebende Vorrichtung
DE19649727A1 (de) 1996-11-30 1998-06-04 Beiersdorf Ag Klebeband
DE19649729A1 (de) 1996-11-30 1998-06-04 Beiersdorf Ag Klebeband
DE19649728A1 (de) 1996-11-30 1998-06-18 Beiersdorf Ag Klebeband
DE19649636A1 (de) 1996-12-02 1998-06-04 Beiersdorf Ag Verwendung eines Klebeband-Abschnitts
DE19708364A1 (de) 1997-03-01 1998-09-03 Beiersdorf Ag Haltevorrichtung
DE19720145A1 (de) 1997-05-14 1998-11-19 Beiersdorf Ag Doppelseitiges Klebeband und seine Verwendung
DE19723177A1 (de) 1997-06-03 1998-12-10 Daimler Benz Ag Spannungsgesteuerter wellenlängenselektiver Photodetektor
DE19723198A1 (de) 1997-06-03 1998-12-10 Dynamit Nobel Ag Drückwalz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tirnverzahnten Werkstückes
US6972141B1 (en) 1997-12-12 2005-12-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movable adhesive tape laminate and separable fastener
DE19756084C2 (de) 1997-12-17 2002-05-02 Tesa Ag Zerstörungs- und rückstandsfrei wiederlösbares Befestigungssystem für innen und außen
DE19756816C1 (de) 1997-12-19 1999-02-04 Beiersdorf Ag Bilderrahmen mit Eckbefestigung
US6120867A (en) 1998-01-27 2000-09-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movable tape laminate
DE19820858A1 (de) 1998-05-09 1999-11-18 Beiersdorf Ag Klebeband
US6106937A (en) 1998-06-05 2000-08-2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tretch release adhesive article with enhanced removal feature
US6162534A (en) 1998-08-31 2000-12-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tretch release adhesive article with secondary release member
DE19842865A1 (de) 1998-09-19 2000-03-30 Beiersdorf Ag Klebfolienstreifen
DE19842864A1 (de) 1998-09-19 2000-03-30 Beiersdorf Ag Klebfolienstreifen
DE19938693A1 (de) 1999-08-14 2001-02-22 Beiersdorf Ag Klebfolienstreifen und seine Verwendung
DE10003318B4 (de) 2000-01-27 2009-04-16 Tesa Ag Haftklebemasse und ihre Verwendung
DE10036616A1 (de) * 2000-07-27 2002-02-14 Tesa Ag Abschnitt eines Klebestreifens
DE10063854A1 (de) * 2000-12-21 2002-09-05 Tesa Ag Wiederablösbare Vorrichtung
DE102009023206B4 (de) * 2008-10-21 2010-11-11 Tesa Se Verwendung eines zumindest einseitig klebend ausgerüsteten Klebebands mit einem Folienträger als Gleitklebeband
WO2010141248A1 (en) * 2009-06-04 2010-12-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tretch releas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s
DE102010030019A1 (de) * 2010-06-14 2011-12-15 Tesa Se Zumindest einseitig klebend ausgerüstetes Klebeband mit einem flächigen Träger
JP2013182767A (ja) * 2012-03-01 2013-09-12 Nec Saitama Ltd 電池パック取外し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463529A (zh) 2018-08-28
JP2017518404A (ja) 2017-07-06
CN108463529B (zh) 2020-12-15
JP6532482B2 (ja) 2019-06-19
PL3137567T3 (pl) 2018-04-30
EP3137567A1 (de) 2017-03-08
EP3137567B1 (de) 2017-12-27
DE102014208264A1 (de) 2015-11-05
WO2015165674A1 (de) 2015-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03938A (ko) 박리 가능한 점착 필름용 보조 점착 테이프
US20150315421A1 (en) Auxiliary adhesive tape for a removable adhesive film
KR101549475B1 (ko) 투명 도전성 필름용 표면 보호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투명 도전성 필름
JP6664166B2 (ja) 携帯電子機器用粘着シート
AU2011224276B2 (en) Protective adhesive film, method of adhering protective adhesive film to a device, and device comprising protective adhesive film
JP6106232B2 (ja) グラファイトシート用粘着シート
JP2011132522A (ja) 導電膜貼付用粘着剤及び導電膜貼付用粘着シート
US20180230342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on the basis of acrylonitrile butadiene rubbers
JP2016151006A (ja) 粘着シート、そ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JP2006206782A (ja) 平面ディスプレイ貼付用機能性フィルム及びその貼付方法
JP2016199619A (ja) 両面テープ
CN110691828A (zh) 粘合片
KR20150066790A (ko) 커버 테이프
KR101894734B1 (ko) 적층 점착 시트 및 적층체
US20210201102A1 (en) Flexibl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s
JP6307175B2 (ja) 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テープ
JP2016155950A (ja) 粘着シート、そ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JP6166644B2 (ja) 粘着テープ
KR102457158B1 (ko) 분리 가능한 감압 접착 스트립
US20220073791A1 (en) Process for produc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based on 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and adhesive tape comprising said adhesive
JPH0676347U (ja) 両面粘着体
CN207891298U (zh) 热硬化型复合胶带
KR101854050B1 (ko)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용 보호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JP6469425B2 (ja) 電子機器
JP2018012783A (ja) 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および画像表示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