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316A -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3316A
KR20170003316A KR1020150093817A KR20150093817A KR20170003316A KR 20170003316 A KR20170003316 A KR 20170003316A KR 1020150093817 A KR1020150093817 A KR 1020150093817A KR 20150093817 A KR20150093817 A KR 20150093817A KR 20170003316 A KR20170003316 A KR 201700033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base film
region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3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8492B1 (ko
KR102418492B9 (ko
Inventor
이권형
이찬우
최재경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3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8492B1/ko
Priority to CN201511019738.3A priority patent/CN106328672B/zh
Priority to US14/984,421 priority patent/US9768399B2/en
Publication of KR20170003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316A/ko
Priority to US15/681,687 priority patent/US1038158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8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8492B1/ko
Publication of KR102418492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8492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H01L27/3251
    • H01L27/322
    • H01L27/3248
    • H01L27/326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colour filters or colour changing media [CC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10K59/8722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01L2227/3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기판이 패드영역가 구비된 하부기판보다 큰,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은, 플렉서블한 하부 베이스 필름 및 상기 하부 베이스 필름에 구비되는 유기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하부기판; 및 플렉서블한 상부 베이스 필름 및 수분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상부 베이스 필름에 도포된 멀티버퍼를 포함하는 상부기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본 발명은 유기발광표시패널에 관한 것이며, 특히,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 태블릿PC, 노트북 등을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전자제품에는 평판표시장치(FPD: Flat Panel Display)가 이용되고 있다. 평판표시장치에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및 유기발광표시장치(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등이 있다.
평판표시장치들 중에서, 유기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는, 스스로 발광하는 자발광소자를 이용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빠른 응답속도, 높은 발광효율, 높은 휘도 및 큰 시야각과 같은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차세대 평판표시장치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을 이용한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특히, 탑 에미션 방식의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을 나타낸다. 도 2는 기판이 장착되어 있는 종래의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의 평면도이다.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들은, 하단 방향으로 광을 출력하는 보텀 에미션 방식의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 및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방향으로 광을 출력하는 탑 에미션 방식의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로 구분될 수 있다.
탑 에미션 방식의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컬러필터(21), 상부 베이스 기판(투명 폴리이미드(PI))(22) 및 프런트 필름(23)을 포함하는 상부기판(20)과, 백 필름(11), 하부 베이스 기판(투명 폴리이미드(PI))(12), 멀티버퍼(13), 박막트랜지스터(14), 유기발광다이오드(15) 및 밀봉재(16)를 포함하는 하부기판(1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프런트 필름(23)은, 상기 상부기판(20)을 보호하는 상판 보호 필름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기판(10)의 액티브 영역에 상기 상부기판(20)이 합착되며, 인쇄회로기판(50)과 연결된 칩온필름(COF: Chip On Film)(40)을 상기 하부기판(10)에 구비된 패드(18)에 연결시키기 위해, 상기 하부기판의 패드영역가 오픈되어 있다.
보텀 에미션 방식의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에서는, 상부기판이 요구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보텀 에미션 방식의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에서는, 베이스 기판에 컬러필터와 유기발광다이오드가 적층된 후,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가 밀봉재를 통해 밀봉된다. 이 경우, 보텀 에미션 방식의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의 상단면에는 반사판이 합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첫째, 글래스 타입의 대면적 유기발광표시패널에서는, 사이드에서의 투습을 방지하지 위해, 패드영역에 도포되는 수지의 두께가 대략 400um 정도가 된다.
그러나,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의 두께가 얇기 때문에,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의 패드영역에 도포되는 수지(30)의 두께는 70um 이하가 된다. 따라서,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의 사이드로의 투습이 방지되기 어렵다.
이 경우, 투습 방지를 위해,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의 두께가 증가되면, 플렉서블 특성에 의한 효과가 감소된다.
상기 수지(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칩온필름(40)이 부착되는 본딩부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둘째, 투명 폴리이미드(PI)의 열팽창 특성 및 수축 특성과, 박막트랜지스터(TFT) 공정에서 고온 증착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무기막의 스트레스 차에 의해, 베이스기판으로부터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이 릴리스(Release)되면, 패드영역가 말리는 현상이 발생된다.
셋째, 투습방지를 위해 패드영역에 도포되는 수지에 의해, 릴리스(Release) 및 백필름 라미네이션(lamination) 공정 시, 척(Chuck)에 플렉서블 유기발광패널이 달라붙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넷째, 사이드에서의 투습을 방지하기 위해, 유기발광표시패널의 상단면에필름이 부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패드영역에 도포되는 수지에 의해 상기 필림이 유기발광표시패널의 사이드에 완벽하게 부착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필름에 의해 상기 수지가 덮혀지는 경우, 상기 수지에서 버블(Bubble)이 발생될 수 있다.
다섯째, 소스 드라이브 IC를 유기발광표시패널에 연결시키기 위해, 소스 드라이브 IC가 장착된 수 개 내지 수 십 개의 칩온필름(COF)이, 상기 패드영역에 부착된다.
각각의 칩온필름에 형성되어 있는 전극패드와, 상기 패드영역에 형성된 전극패드를 정렬시키는 공정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2개의 칩온필름(140)이 유기발광표시패널에 부착되는 경우, 12번의 정렬 공정이 요구된다.
또한, 12개의 칩온필름(140)들을 인쇄회로기판(50)에 부착시키기 위한 정렬 공정이 요구된다.
또한, 상기 정렬 공정들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상기 전극패드들 사이에 정렬 마진이 확보되어야 한다.
여섯째, 보텀 에미션 방식의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에서는, 상기 유기발광표시패널의 상단면에 반사판(예를 들어, FSM(Face Seal Metal) 또는 금속 시트(Metal Sheet))이 부착되는 공정이 요구된다. 따라서, 제조 공정이 복잡해 지며, 단가가 상승된다.
일곱째, 보텀 에미션 방식의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에서는, 상기 상부기판(20)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기판(10)의 액티브 영역에 합착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기판(20)을 상기 하부기판(10)의 액티브 영역에 정렬시키는 공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이며, 상부기판이 패드영역가 구비된 하부기판보다 큰,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은, 플렉서블한 하부 베이스 필름 및 상기 하부 베이스 필름에 구비되는 유기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하부기판; 및 플렉서블한 상부 베이스 필름 및 수분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상부 베이스 필름에 도포된 멀티버퍼를 포함하는 상부기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칩온필름(COF), 반사판 및 투습방지용 수지 등이 생략될 수 있다. 따라서, 제조 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으며, 제조 단가가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이드에서의 투습이 방지될 수 있기 때문에,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의 신뢰성이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칩온필름이 생략될 수 있기 때문에, 칩온필름을 유기발광표시패널에 정렬하는 공정 및 칩온필름을 인쇄회로기판에 정렬하는 공정이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키 얼라인 방식을 이용하여 하부기판과 상부기판이 합착될 수 있기 때문에, 탭(Tab) 본딩 공정이 단순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반사판이 생략될 수 있으며, 또한, 상부기판을 보호하기 위한 프런트 필름이 생략될 수 있다. 따라서,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의 두께가 감소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는 기판이 장착되어 있는 종래의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의 일실시예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의 상부기판 및 하부기판을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의 일실시예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의 상부기판 및 하부기판을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의 일실시예 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상세히 설명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의 일실시예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한 하부 베이스 필름 및 상기 하부 베이스 필름에 구비되는 유기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하부기판(110) 및 플렉서블한 상부 베이스 필름 및 수분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상부 베이스 필름에 도포된 멀티버퍼를 포함하는 상부기판(120)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기판(110)은,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가 배치되어 있는 액티브 영역(A/A)과, 상기 액티브 영역을 감싸고 있는 비표시영역으로 구분된다.
상기 비표시영역 중 패드영역(119)에는 상기 액티브 영역(A/A)에 배치된 데이터 라인들과 연결된 패드전극(118)들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상부기판(120)은, 상기 하부기판의 상기 비표시영역 중 상기 패드영역(119)을 제외한 영역과 상기 액티브 영역(A/A)에 대응되는 커버영역(128) 및 상기 패드영역(119)을 커버하는 연결영역(129)으로 구분된다.
상기 하부기판(110)과 상기 상부기판(120)은, 상기 상부기판(120) 중 상기 커버영역(128)에 도포되는 접착물질에 의해 합착된다.
상기 상부기판(120)의 상기 연결영역(129)에는, 상기 패드전극(118)들에 대응되는 연결배선(124)들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패드전극(118)들과 상기 연결배선(124)들은 이방전도성필름(ACF: Anisotropic Conductive Film)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배선(124)들은 데이터 드라이버 IC(152)가 장착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1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50)은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 IC(152) 및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 IC(152)가 장착되는 기판(151)을 포함한다. 상기 기판(151)에는 상기 연결배선(124)들을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 IC(152)와 연결시키는 배선들이 배치된다.
그러나, 상기 패드전극(118)들은 데이터 드라이버 IC가 장착되어 있는 칩온필름(COF: Chip On Film)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칩온필름(COF)은 상기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각종 전기회로들이 배치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배선(124)들은 데이터 드라이버 IC가 장착되어 있는 칩온필름(COF)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칩온필름(COF)은 상기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각종 전기회로들이 배치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액티브 영역(A/A)에는 게이트 라인들과 데이터 라인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액티브 영역(A/A)에는, 상기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과 연결된 픽셀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기판(110)의 상기 비표시영역에는, 상기 게이트라인들에 순차적으로 스캔펄스를 공급하기 위한 게이트 드라이버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50) 또는 상기 비표시영역에 배치되는 타이밍 컨트롤러로부터 입력되는 게이트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게이트 라인들에 스캔펄스를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상기 스캔펄스가 입력되는 해당 수평라인의 각각의 픽셀에 형성되어 있는 스위칭 트랜지스터들이, 상기 스캔펄스에 의해 턴온되어, 각 픽셀로 영상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는, 상기 하부기판(110)과 독립되게 형성되어, 다양한 방식으로 상기 하부기판(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는 상기 비표시영역에 실장되는 게이트 인 패널(Gate In Panel : GIP)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가, 게이트 인 패널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하부기판(110)에 배치되어 있는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이 본 발명의 일예로서 설명된다.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공급되는 수직 동기신호, 수평 동기신호 및 클럭을 이용하여,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를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제어신호와,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 IC(152)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상기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영상데이터를 샘플링한 후에 이를 재정렬하여, 재정렬된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 IC(152)에 공급한다.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50) 또는 상기 비표시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50)에는, 상기 데이터라인들로 데이터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152)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152)는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로부터 입력된 영상데이터를 아날로그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게이트 라인에 상기 스캔펄스가 공급되는 1수평기간마다 1수평라인분의 데이터 전압을 상기 데이터 라인들에 공급한다. 즉,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152)는 감마전압 발생부(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감마전압들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데이터를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시킨 후 상기 데이터라 인들로 출력시킨다. 그러나,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152)는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패드전극(118)과 연결되는 칩온필름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연결배선(124)과 연결되는 칩온필름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액티브 영역(A/A)에 형성되는 각 픽셀에는, 광을 출력하는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를 구동하기 위한 픽셀 구동부가 배치된다.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는,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에서 발생된 빛이 상기 상부기판(120)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탑 에미션(Top Emission)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에서 발생된 빛이 상기 하부기판(110)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보텀 에미션(Bottom Emission)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애노드는 제1전원에 접속되고, 캐소드는 제2전원에 접속된다.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는, 상기 픽셀 구동부에 배치되는 구동 트랜지스터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의 크기에 대응되는 소정 휘도의 광을 출력한다.
상기 픽셀 구동부는, 상기 데이터 라인과 상기 게이트 라인에 접속되어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박막 트랜지스터들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픽셀 구동부는, 상기 게이트 라인에 스캔펄스가 공급될 때, 상기 데이터 라인으로 공급되는 데이터전압에 따라,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로 공급되는 전류량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1전원과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 사이에 접속되며, 스위칭 트랜지스터는,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와 상기 데이터 라인(DL)과 상기 게이트 라인(GL) 사이에 접속된다.
상기 설명에서는,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152),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 및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가 독립적으로 구성된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152) 또는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에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의 상부기판 및 하부기판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의 일실시예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은, 하단 방향으로 광을 출력하는 보텀 에미션 방식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도 있으며, 또는 상단 방향으로 광을 출력하는 탑 에미션 방식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도 있다.
보텀 에미션 방식을 이용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은,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한 하부 베이스 필름 및 상기 하부 베이스 필름에 구비되는 유기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하부기판(110) 및 플렉서블한 상부 베이스 필름 및 수분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상부 베이스 필름에 도포된 멀티버퍼를 포함하는 상부기판(120)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에서, 상기 하부기판(11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베이스 필름(112), 상기 하부 베이스 필름(112)에 배치되는 멀티버퍼(113), 상기 멀티버퍼(113)에 구비되는 박막트랜지스터(114), 상기 박막트랜지스터(114)의 상단에 배치되는 컬러필터(115), 상기 컬러필터(115)의 상단에 배치되는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116) 및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116)를 밀봉하는 밀봉재(117)를 포함한다.
첫째, 상기 하부 베이스 필름(112)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의 제조 과정에서, 유리기판과 같은 베이스기판 및 희생층 등으로 이루어진 보조기판 상에 형성된다. 상기 하부 베이스 필름(112)의 재질은 폴리이미드(PI)와 같은 플라스틱이 될 수 있다. 상기 보조기판은, 상기 하부기판(110)의 제조가 완료된 이후에, 상기 하부기판(110)으로부터 박리될 수 있다. 상기 보조기판이 박리된 후, 상기 하부 베이스 필름(112)의 저면에는 백필름(111)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베이스 필름(112)은,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phone; PES),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PAR), 폴리에테르 이미드(Polyetherimide; PEI),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elenen Napthalate; PEN),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olyethyelene Terepthalate; PET),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PPS), 폴리아릴 레이트(Polyally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카보네이트(PC), 셀룰로오스 트리 아세테이트(TAC), 및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 CAP)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베이스 필름(112)은, 예를 들어, 스핀 코팅(spin coating)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상기에서 제시된 물질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액상 물질이, 상기 보조기판을 구성하는 상기 희생층 상에 도포된 후, 상기 보조기판을 구성하는 상기 유리기판을 고속으로 회전시켜, 두께 균일도가 우수하고 얇은, 상기 하부 베이스 필름(11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베이스 필름(112)은, 롤 코팅(roll coating) 방식 및 슬릿 코팅(slit coating) 방식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두 가지 방식은 생산 효율성이 높은 편이다.
둘째, 상기 멀티버퍼(113)는, 인캡슐레이션의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하부 베이스 필름(112)이 플렉서블 플라스틱이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수분 등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멀티버퍼(113)가 상기 하부 베이스 필름(112)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멀티버퍼(113)는, 의도되지 않은 파티클들 또는 정전기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레진과 같은 유기물질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장벽에 의한 방습을 위해, Al2O3나 SiO2와 같은 무기물질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셋째,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114)는,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가 될 수도 있으며,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가 될 수도 있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114)는, 상기 픽셀들 각각에 배치된다.
넷째,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114)의 상단에는 컬러필터(115)가 배치된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114)와 상기 컬러필터(115) 사이에는 평탄막 또는 보호막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컬러필터(115)는 각 픽셀에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컬러필터(115)는 백색 컬러필터(W), 적색 컬러필터(R), 녹색 컬러필터(G) 또는 청색 컬러필터(B)가 될 수 있다. 상기 백색 컬러필터(W)는 생략될 수도 있으며, 상기 색상들 이외에도 다른 색상을 갖는 컬러필터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114)의 상단에 배치될 수도 있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상기 액티브 영역(A/A)에는 복수의 픽셀들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픽셀들 각각에는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114)를 포함하는 픽셀 구동부가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픽셀들 각각에는, 어느 하나의 색상을 갖는 컬러필터(115)가 배치된다.
다섯째, 상기 컬러필터(115)의 상단에는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가 배치된다. 이 경우,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는 백색을 갖는다. 따라서, 도 4 및 도 5에는 백색 유기발광다이오드(WOLED)(116)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 상기 백색 유기발광다이오드(116)는 간단히 유기발광다이오드라 한다.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116)는 제1전극(예를 들어, 애노드 전극), 제2전극(예를 들어, 캐소드 전극) 및 발광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전극은 상기 구동트랜지스터와 연결된다.
여섯째,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116)는 상기 밀봉재(117)에 의해 밀봉된다.
상기 밀봉재(117)는, 수분침투를 방지하여, 상기 유기발광 다이오드(116)를 보호한다. 상기 밀봉재(117)는 종래의 유기발광표시패널에서 유기발광 다이오드를 밀봉하기 위한 밀봉재와 동일한 재질 및 공정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기판(110)은,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가 배치되어 있는 액티브 액티브 영역(A/A)과, 상기 액티브 영역을 감싸고 있는 비표시영역으로 구분된다.
상기 비표시영역 중 상기 패드영역(119)에는 상기 액티브 영역(A/A)에 배치된 데이터 라인들과 연결된 패드전극(118)들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하부기판(110)은, 상기 상부기판(120) 중 상기 커버영역(128)에 도포되는 접착물질(160)에 의해 합착된다. 이 경우, 상기 접착물질(160)은, 상기 하부기판(110) 중 상기 패드영역(119)을 제외한 전면에 도포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에는, 상기 접착물질(160)이, 상기 하부기판(110)의 상기 비표시영역에만 도포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접착물질(160)은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기판(110)에 도포될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상부기판(120)에 도포될 수도 있다.
상기 접착물질(160)은 접착성을 갖는 수지, 예를 들어, OCR(Optical Cear Resin이 될 수도 있으며, 또는 접착성을 갖는 필름, 예를 들어, OCA(Optical Clear Adhesive)가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에서, 상기 상부기판(12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베이스 필름(121) 및 상기 상부 베이스 필름(121)에 도포되는 멀티버퍼(122)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베이스 필름(121)은 상기 하부 베이스 필름(112)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멀티버터(122)는, 상기 상부기판(120)가 상기 하부기판(110)이 합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베이스 필름(121)을 통해 수분이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116)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상기 멀티버퍼(122)는, 레진과 같은 유기물질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장벽에 의한 방습을 위해, Al2O3나 SiO2와 같은 무기물질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멀티버퍼(122)의 상단, 즉, 상기 멀티버퍼(122) 중 상기 하부기판(110)과 마주보는 면에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배선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선들이 배치되는 경우, 상기 배선들의 상단에는 평탄화막(123)이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상부기판(120)은, 상기 하부기판(110)의 상기 비표시영역 중 상기 패드영역(119)을 제외한 영역과 상기 액티브 영역(A/A)에 대응되는 커버영역(128) 및 상기 패드영역(119)을 커버하는 연결영역(129)으로 구분된다.
상기 상부기판(120)의 상기 연결영역(129)에는, 상기 패드전극(118)들에 대응되는 연결배선(124)들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패드전극(118)들과 상기 연결배선(124)들은 이방전도성필름(ACF: Anisotropic Conductive Film)(17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배선(124)들은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 IC(152)가 장착되어 있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의 상부기판 및 하부기판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의 일실시예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은, 하단 방향으로 광을 출력하는 보텀 에미션 방식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도 있으며, 또는 상단 방향으로 광을 출력하는 탑 에미션 방식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도 있다.
보텀 에미션 방식을 이용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기에서 설명되었다.
탑 에미션 방식을 이용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발광 표시패널은,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에서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내용은 생략되거나 또는 간단히 설명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은,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한 하부 베이스 필름(112) 및 상기 하부 베이스 필름에 구비되는 유기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하부기판(110) 및 플렉서블한 상부 베이스 필름 및 수분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상부 베이스 필름에 도포된 멀티버퍼를 포함하는 상부기판(120)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에서, 상기 하부기판(110)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베이스 필름(112), 상기 하부 베이스 필름(112)에 배치되는 멀티버퍼(113), 상기 멀티버퍼(113)에 구비되는 박막트랜지스터(114), 상기 박막트랜지스터(114)의 상단에 배치되는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116) 및 상기 유기발광다이오(116)들 밀봉하는 밀봉재(117)를 포함한다.
첫째, 상기 하부 베이스 필름(112)은, 제1실시예에서 설명된 상기 하부 베이스 필름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고,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동일한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베이스 필름(112)의 저면에는 백필름(111)이 부착될 수 있다.
둘째, 상기 멀티버퍼(113)는, 인캡슐레이션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멀티버퍼(113)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된 상기 멀티버퍼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고,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동일한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셋째,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114)는,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가 될 수도 있으며,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가 될 수도 있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114)는, 상기 픽셀들 각각에 배치된다.
넷째,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114)의 상단에는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가 배치된다. 이 경우,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는 백색을 갖을 수도 있으며, 또는, 다양한 색상을 가질 수도 있다. 그러나,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상기 상부기판(120)에 컬러필터(125)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116)는 백색 유기발광다이오드가 된다. 이하에서, 상기 백색 유기발광다이오드(116)는 간단히 유기발광다이오드라 한다.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116)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된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고,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동일한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다섯째,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116)는 상기 밀봉재(117)에 의해 밀봉된다.
상기 밀봉재(117)는, 수분침투를 방지하여, 상기 유기발광 다이오드(116)를 보호한다. 상기 밀봉재(117)는 종래의 유기발광표시패널에서 유기발광 다이오드를 밀봉하기 위한 밀봉재와 동일한 재질 및 공정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기판(110)은,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가 배치되어 있는 액티브 액티브 영역(A/A)과, 상기 액티브 영역을 감싸고 있는 비표시영역으로 구분된다.
상기 비표시영역 중 상기 패드영역(119)에는 상기 액티브 영역(A/A)에 배치된 데이터 라인들과 연결된 패드전극(118)들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하부기판(110)은, 상기 상부기판(120) 중 상기 커버영역(128)에 도포되는 접착물질(160)에 의해 합착된다. 이 경우, 상기 접착물질(160)은, 상기 하부기판(110) 중 상기 패드영역(119)을 제외한 전면에 도포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에는, 상기 접착물질(160)이, 상기 하부기판(110)의 상기 비표시영역에만 도포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접착물질(160)은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기판(110)에 도포될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상부기판(120)에 도포될 수도 있다.
상기 접착물질(160)은 접착성을 갖는 수지, 예를 들어, OCR(Optical Cear Resin이 될 수도 있으며, 또는 접착성을 갖는 필름, 예를 들어, OCA(Optical Clear Adhesive)가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에서, 상기 상부기판(120)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베이스 필름(121); 상기 상부 베이스 필름(121)에 도포되는 멀티버퍼(122) 및 상기 멀티버퍼(122)에 배치되는 컬러필터(125)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베이스 필름(121)은 상기 하부 베이스 필름(112)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멀티버터(122)는, 상기 상부기판(120)가 상기 하부기판(110)이 합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베이스 필름(121)을 통해 수분이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116)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상기 멀티버퍼(122)는, 레진과 같은 유기물질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장벽에 의한 방습을 위해, Al2O3나 SiO2와 같은 무기물질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멀티버퍼(122)의 상단, 즉, 상기 멀티버퍼(122) 중 상기 하부기판(110)과 마주보는 면에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배선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선들이 배치되는 경우, 상기 배선들의 상단에는 평탄화막(123)이 도포될 수 있다.
상기 멀티버퍼(122) 또는 상기 평탄화막(123)의 상단에는, 컬러필터(125)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컬러필터(125)는 각 픽셀에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컬러필터(125)는 백색 컬러필터(W), 적색 컬러필터(R), 녹색 컬러필터(G) 또는 청색 컬러필터(B)가 될 수 있다. 상기 백색 컬러필터(W)는 생략될 수도 있으며, 상기 색상들 이외에도 다른 색상을 갖는 컬러필터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114)의 상단에 배치될 수도 있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상기 하부기판(110)의 상기 액티브 영역(A/A)에는 복수의 픽셀들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픽셀들 각각에는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114)를 포함하는 픽셀 구동부가 배치된다. 이 경우, 상기 상부기판(120)에는, 상기 픽셀들 각각에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색상을 갖는 컬러필터(125)가 배치된다.
상기 상부기판(120)은, 상기 하부기판(110)의 상기 비표시영역 중 상기 패드영역(119)을 제외한 영역과 상기 액티브 영역(A/A)에 대응되는 커버영역(128) 및 상기 패드영역(119)을 커버하는 연결영역(129)으로 구분된다.
상기 상부기판(120)의 상기 연결영역(129)에는, 상기 패드전극(118)들에 대응되는 연결배선(124)들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패드전극(118)들과 상기 연결배선(124)들은 이방전도성필름(ACF: Anisotropic Conductive Film)(17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배선(124)들은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 IC(152)가 장착되어 있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116)가 형성된 상기 하부기판(110)의 상기 액티브 영역(A/A)의 외곽부까지 연장된 상기 상부기판(12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칩온필름 및 반사판 등이 생략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이드에서의 투습이 방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부기판(120)에는 상기 멀티버퍼(122)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상부 베이스 기판(121)을 통해 침투된 수분이 상기 멀티버퍼(122)에 의해 차단된다. 따라서, 상기 수분이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116)로 침투할 수 있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종래의 유기발광표시패널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지(30)가 도포되는 영역이,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수지(30)를 통해 수분이 유기발광다이오드(16)로 침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부기판(120)이 상기 하부기판(110)의 전체 면을 커버하고 있으며, 상기 상부기판(120)에 구비된 상기 멀티버퍼(122)가 상기 하부기판(110)의 전체면을 커버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상부기판(120)을 통해 유입된 수분은 상기 멀티버퍼(122)에 의해 차단되어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116)로 전달될 수 없다. 이 경우, 상기 접착물질(160)이 도포되어 있는 영역의 측면, 즉,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의 측면을 통해 수분이 침투될 수 있으나, 상기 접착물질(160)이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으며, 상기 접착물질(160)이 도포된 영역의 폭은 상기 상부기판(120)의 두께와 비교할 때 상당히 크다.
따라서, 상기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의 측면을 통한 수분의 침투에 의한 영향보다, 상기 상부기판(120)을 통한 수분의 침투에 의한 영향이 더 크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기판(120)에 구비되어 있는 상기 멀티버퍼(122)에 의해, 상기 상부기판(120)을 통한 수분의 침투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각종 구동소자들이 배치된 상기 인쇄회로기판(150)과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의 본딩 공정이, 안정적으로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기 상부기판(120)은, 상기 하부기판(110)의 상기 액티브 영역(A/A), 상기 액티브 영역(A/A)의 외곽부에 형성된 비표시 영역 및 상기 비표시영역에 배치된 패드영역(119)을 모두 커버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부기판(120) 중 상기 패드영역(119)에 대응되는 상기 연결영역(129)에 상기 연결배선(124)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배선(124)들은 각종 구동소자들 및 상기 소스 드라이버 IC(152)가 배치된 상기 인쇄회로기판(150)에 형성된 배선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는 칩온필름이 적용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칩온필름을, 상기 하부기판(110)에 구비된 상기 패드영역(119)에 합착시키기 위한 정렬공정이 생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의 제조 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부기판(120)과 상기 하부기판(110)의 합착 오차가, ±5um 범위 내에서 관리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패드영역(119)과 상기 연결영역(129)의 합착시, 얼라인 공정이 추가적으로 요구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150)이 상기 연결영역(129)에 정렬되면, 상기 인쇄회로기판(150)에 형성되어 있는 배선들과 상기 연결영역(129)에 형성된 상기 연결배선(124)들 자동적으로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50)에 형성된 상기 배선들은,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 IC(152)와 상기 연결배선(124)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그러나, 상기 연결영역(129)이 반드시 상기 상부기판(120)에 구비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영역(129)이 상기 상부기판(120)에 구비되지 않은 경우, 종래와 같이, 상기 패드영역(119)에, 칩온필름이 부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부기판(120) 중 상기 하부기판(110)과 합착되는 면에, 상기 멀티버퍼(122)가 도포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의 사이드로 침투하는 수분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상기 상부기판(120)에 구비된 상기 멀티버퍼(122)에 의해, 투습 경로가 길어지기 때문에,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의 사이드로 침투되는 수분은 상기 멀티퍼버(122)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탑 에미션 방식의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인 경우, 상기 상부 베이스 필름(121)의 두께가 대략 50um 정도가 되면, 상기 상부 베이스 필름은 종래의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에 적용되는 상판 보호 필름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판 보호 필름이 생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의 두께는, 종래의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의 두께보다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보텀 에미션 방식의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인 경우, 상기 상부 베이스 필름(121)은, 종래의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에 적용되는 반사판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의 두께는, 종래의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의 두께보다 감소될 수 있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상기 상부 베이스 필름(121)의 두께가 두껍게 설정되면, 종래에 이용되던 상판 보호 필름 또는 반사판이 생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의 두께가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의 제조 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의 사이드에서의 투습을 방지하고, 패드영역에 본딩되는 칩온필름을 보호하기 위해, 종래의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에 도포된 수지(30)가, 도포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수지(30) 도포를 위한 공정이 생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의 제조 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하부기판(110)의 상기 패드영역(119)이 상기 상부기판(120)에 합착된다. 따라서, 종래의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에서 발생되는 패드영역의 말림 현상이, 본 발명에서는 발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부기판(120)과 상기 하부기판(110)을 합착시키기 위한 접착물질(160)이, 상기 상부기판(120)과 상기 하부기판(110) 중, 상기 패드영역(119)와 상기 연결영역(129)을 제외한, 전영역에 도포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부 베이스 필름(121)이 플렉서블 하기 때문에, 상기 연결영역(129)이 꺽여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착물질(160)에 의해 상기 상부기판과 상기 하부기판이 합착된 후, 상기 연결영역(129)이 상기 패드영역(119)와 반대 방향으로 꺽여진 상태에서, 상기 패드영역(119)에 상기 이방전도성필름(ACF: Anisotropic Conductive Film)(170)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패드영역에 상기 이방전도성필름(170)이 부착된 후, 상기 연결영역(129)이 원상태로 복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연결영역(129)이 상기 이방전도성필름(170)에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패드영역(119)에 구비된 상기 패드전극(118)과 상기 연결영역(129)부에 구비된 상기 연결배선(124)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판 보호 필림 또는 반사판이 생략될 수 있다. 따라서, 상판 보호 필름 또는 반사판의 부착 공정 중에, 이물질이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의 표면에 부착되지 않는다. 따라서,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에 암점이 발생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의 수율이 개선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 하부기판 120 : 상부기판
129 : 연결영역 128 : 커버영역
119 : 패드영역 118 : 패드전극
124 : 연결배선

Claims (6)

  1. 플렉서블한 하부 베이스 필름 및 상기 하부 베이스 필름에 구비되는 유기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하부기판; 및
    플렉서블한 상부 베이스 필름 및 수분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상부 베이스 필름에 도포된 멀티버퍼를 포함하는 상부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기판은,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가 배치되어 있는 액티브 액티브 영역과, 상기 액티브 영역을 감싸고 있는 비표시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비표시영역 중 패드영역에는 상기 액티브 영역에 배치된 데이터 라인들과 연결된 패드전극들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기판은, 상기 하부기판의 상기 비표시영역 중 상기 패드영역을 제외한 영역과 상기 액티브 영역에 대응되는 커버영역, 및 상기 패드영역을 커버하는 연결영역으로 구분되는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기판과 상기 상부기판은, 상기 상부기판 중 상기 커버영역에 도포되는 접착물질에 의해 합착되는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기판의 상기 연결영역에는, 상기 패드전극들에 대응되는 연결배선들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패드전극들과 상기 연결배선들은 이방전도성필름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배선들은 데이터 드라이버 IC가 장착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기판은, 상기 하부 베이스 필름; 상기 하부 베이스 필름에 구비되는 박막트랜지스터;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의 상단에 배치되는 컬러필터; 상기 컬러필터의 상단에 배치되는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를 밀봉하는 밀봉재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기판은, 상기 하부 베이스 필름; 상기 하부 베이스 필름에 구비되는 박막트랜지스터;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의 상단에 배치되는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들 밀봉하는 밀봉재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기판은, 상기 베이스 필름; 상기 상부 베이스 필름에 도포된 상기 멀티버퍼; 및 상기 멀티버퍼에 배치되는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
KR1020150093817A 2015-06-30 2015-06-30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 KR102418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3817A KR102418492B1 (ko) 2015-06-30 2015-06-30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
CN201511019738.3A CN106328672B (zh) 2015-06-30 2015-12-29 柔性有机发光显示面板
US14/984,421 US9768399B2 (en) 2015-06-30 2015-12-30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US15/681,687 US10381582B2 (en) 2015-06-30 2017-08-21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3817A KR102418492B1 (ko) 2015-06-30 2015-06-30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316A true KR20170003316A (ko) 2017-01-09
KR102418492B1 KR102418492B1 (ko) 2022-07-06
KR102418492B9 KR102418492B9 (ko) 2022-12-05

Family

ID=57683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3817A KR102418492B1 (ko) 2015-06-30 2015-06-30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9768399B2 (ko)
KR (1) KR102418492B1 (ko)
CN (1) CN10632867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8295A (ko) * 2017-08-14 2019-02-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61370B2 (en) * 2011-10-05 2019-04-16 Apple Inc. Displays with minimized border regions having an apertured TFT layer for signal conductors
US10379889B2 (en) * 2015-06-15 2019-08-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onitoring and reporting performance of collaboration services using a monitoring service native to the collaboration service
JP2017009625A (ja) * 2015-06-16 2017-01-12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ならびに電子機器
US10255834B2 (en) * 2015-07-23 2019-04-09 X-Celeprint Limited Parallel redundant chiplet system for controlling display pixels
WO2019221486A1 (ko) * 2018-05-14 2019-11-21 주식회사 엘지화학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US11164917B1 (en) 2018-09-14 2021-11-02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illuminated display borders
KR20200053133A (ko) * 2018-11-08 2020-05-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20200065126A (ko) * 2018-11-29 2020-06-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10165077A (zh) * 2019-05-28 2019-08-23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有机发光二极管显示面板及其封装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8380A (ko) * 2010-12-17 2012-06-27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50002118A (ko) * 2013-06-28 2015-01-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타입 유기전계 발광소자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7518A (en) * 1974-03-11 1977-09-13 John Harland Anderson Solar heating cell
JP4184189B2 (ja) * 2003-08-13 2008-11-19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発光型表示装置
TWI297095B (en) * 2003-10-02 2008-05-21 Au Optronics Corp Bonding pad structure for a display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TWI250481B (en) * 2004-11-10 2006-03-01 Toppoly Optoelectronics Corp Active matrix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fabrication method thereof and electric device employing the same
TWI405496B (zh) * 2004-12-13 2013-08-11 Sanyo Electric Co 有機電場發光元件之封裝方法,及發光面板以及顯示面板之製造方法
KR101015851B1 (ko) * 2009-02-09 2011-02-23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8872751B2 (en) * 2009-03-26 2014-10-2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interconnected transistors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8599565B2 (en) * 2009-04-21 2013-12-03 Fujitsu Component Limited Touchscreen panel,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fabricating touchscreen panel
JP5370944B2 (ja) * 2010-03-17 2013-12-1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タッチ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9208709B2 (en) * 2010-05-05 2015-12-08 Apple Inc. Backlight for a display
KR101521114B1 (ko) 2010-12-03 2015-05-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20066352A (ko) * 2010-12-14 2012-06-2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13045522A (ja) * 2011-08-22 2013-03-04 Sony Corp 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0261370B2 (en) * 2011-10-05 2019-04-16 Apple Inc. Displays with minimized border regions having an apertured TFT layer for signal conductors
KR101913839B1 (ko) * 2012-04-10 2018-12-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것의 테스트 방법
WO2014024440A1 (ja) * 2012-08-08 2014-02-13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US9214507B2 (en) * 2012-08-17 2015-12-15 Apple Inc. Narrow border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KR101984245B1 (ko) * 2012-12-13 2019-05-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03258793A (zh) * 2013-03-29 2013-08-2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coa阵列基板的制备方法、阵列基板及显示装置
KR102205588B1 (ko) * 2014-02-24 2021-01-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WO2015190360A1 (ja) * 2014-06-10 2015-12-17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機能付き音声伝達装置
KR20160114510A (ko) * 2015-03-24 2016-10-05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터치 패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8380A (ko) * 2010-12-17 2012-06-27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50002118A (ko) * 2013-06-28 2015-01-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타입 유기전계 발광소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8295A (ko) * 2017-08-14 2019-02-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005280A1 (en) 2017-01-05
CN106328672B (zh) 2019-06-28
US20170346026A1 (en) 2017-11-30
US10381582B2 (en) 2019-08-13
CN106328672A (zh) 2017-01-11
KR102418492B1 (ko) 2022-07-06
US9768399B2 (en) 2017-09-19
KR102418492B9 (ko) 202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8492B1 (ko) 플렉서블 유기발광표시패널
KR102597750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EP3432379B1 (en) Display device
KR101736930B1 (ko) 플렉서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US9323291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KR102233565B1 (ko) 표시장치
US10788693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US10062864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1538893B2 (en) Display device
KR20140082248A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KR20150010364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40106014A (ko) 표시 장치
TWI619244B (zh) 有機發光二極體顯示器
KR101951366B1 (ko)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소자 및 연성 회로기판의 본딩방법
KR20150000571A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TWI423718B (zh) 有機電致發光裝置及具有此有機電致發光裝置的電子裝置
KR20150002939A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193783B1 (ko) 유기 발광 표시장치
US11751444B2 (en) Display device
KR102353277B1 (ko) 유기발광표시장치
US20210063802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172899B1 (ko) 패드부를 포함하는 터치표시장치
KR102067963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35148A (ko) 표시장치
KR102569692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