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251U - 휴대용 백 - Google Patents

휴대용 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3251U
KR20170003251U KR2020170003110U KR20170003110U KR20170003251U KR 20170003251 U KR20170003251 U KR 20170003251U KR 2020170003110 U KR2020170003110 U KR 2020170003110U KR 20170003110 U KR20170003110 U KR 20170003110U KR 20170003251 U KR20170003251 U KR 2017000325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heet
inlet
end portion
sheet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31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효
Original Assignee
김태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효 filed Critical 김태효
Priority to KR20201700031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3251U/ko
Publication of KR201700032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25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3/00Flexible luggage; Handbags
    • A45C3/001Flexible materia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26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6Reinforcements for edges, corners, or other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7/00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 A45C7/0059Flexible luggage; Hand ba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간단하고 효과적인 입구 개폐구조가 구현된 휴대용 백이 제공된다. 휴대용 백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 측이 개구되어 수용공간과 연통된 입구가 형성되며, 입구를 포함하는 적어도 일부는 굴절 가능한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주머니 또는 백(bag) 형상의 몸체, 및 일단부는 입구를 따라서 몸체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몸체의 외측으로 접혀 몸체 외측에 위치하며,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의 양 측단부는 각각 몸체에 접합되어 고정되는 굴절 가능한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덮개시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백{Portable bag}
본 고안은 간편하게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하고 효과적인 입구 개폐구조가 구현된 휴대용 백에 관한 것이다.
소비자들은 다양한 구매처에서 물건을 구입한다. 인터넷 등을 이용한 온라인 쇼핑이 확산되고 있지만 마트나 백화점 등에서 이루어지는 오프라인 쇼핑도 여전히 성행하고 있다. 오프라인 쇼핑은 물건을 직접 만져보고 즉시 구매할 수 있어 선호되고 있다.
마트나 백화점 등에서 물건을 구매하면 보통 이를 휴대가방에 수납하여 운반한다. 휴대가방은 종이, 비닐, 부직포 등과 같은 가볍고 가공이 용이한 재질로 제작되며 대량 생산되어 구매코너 등에 비치된다. 소비자는 이러한 휴대가방을 이용하여 구매한 물건을 비교적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휴대가방은 일회용으로 쓰고 버려지는 경우도 있으나 재질에 따라 반복 사용되는 경우도 많다.
그러나, 이러한 휴대가방은 대부분 단순 수납기능만을 제공하고 있어 불편한 점이 있다. 종래 휴대가방은 대부분 입구가 열려있는 획일화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입구를 묶거나 테이핑 하지 않는 한 내용물이 쏟아질 염려가 있다. 또한, 비가 오는 등의 경우에도 입구가 열려있어 이를 차단하기 어려우므로 수납된 물건을 완벽하게 보호하기도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를 해결하기 위해 휴대가방의 입구 부분에 버튼이나 조임 구조 등을 적용할 수도 있겠으나, 입구를 완벽하게 밀폐하기 어렵거나 휴대가방에 주름이 생겨 재차 사용하기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대량생산되는 휴대가방의 제작단가, 제작편의성 등을 감안할 때 종래의 다른 가방에 적용된 복잡한 형태의 커버구조를 휴대가방에 그대로 적용하기에도 매우 곤란한 문제가 있는바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85707호, (2000.07.01)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간단하고 효과적인 입구 개폐구조가 구현된 휴대용 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백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 측이 개구되어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된 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입구를 포함하는 적어도 일부는 굴절 가능한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주머니 또는 백(bag) 형상의 몸체; 및 일단부는 상기 입구를 따라서 상기 몸체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몸체의 외측으로 접혀 상기 몸체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일단부와 상기 타단부 사이의 양 측단부는 각각 상기 몸체에 접합되어 고정되는 굴절 가능한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덮개시트를 포함한다.
상기 덮개시트는 상기 타단부만이 상기 몸체로부터 이탈 가능한 자유단(free end)으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덮개시트는 상기 일단부의 길이가 상기 입구 둘레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덮개시트는 상기 일단부 및 상기 측단부가 상기 타단부와 상기 몸체 사이로 통과되면 뒤집어져 상기 입구를 폐쇄할 수 있다.
상기 몸체 및 상기 덮개시트를 관통하며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그립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립홀은, 상기 입구 둘레의 상기 몸체 일 면을 관통하는 제1그립홀, 상기 입구 둘레의 상기 몸체 타 면을 관통하는 제2그립홀, 및 상기 덮개시트를 관통하며 상기 덮개시트의 개폐상태에 따라 제1그립홀 또는 상기 제2그립홀과 선택적으로 중첩되는 제3그립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덮개시트가 연결되지 않은 상기 입구 둘레의 상기 몸체에 접합되어 고정되는 보강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시트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보강그립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 및 상기 덮개시트는 부직포를 포함하는 재질로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덮개시트의 상기 측단부는 상기 몸체와 초음파 접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매우 간단하고, 효율적인 입구 개폐구조를 휴대용 백에 쉽게 구현할 수 있다. 특히, 휴대용 백의 재질특성을 활용하여 유연한 개폐구조를 구현하되 적절한 고정구조를 이용하여 개방 또는 폐쇄된 상태를 매우 견고히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용 백의 활용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개폐구조는 종래의 휴대용 백을 간단히 변형하여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 제작이 편리한 이점도 함께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백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휴대용 백의 입구부분이 개방 및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휴대용 백의 입구부분이 개방 및 폐쇄된 상태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덮개시트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휴대용 백의 입구 개폐과정을 예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백의 입구부분이 개방 및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휴대용 백의 입구부분이 개방 및 폐쇄된 상태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서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백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휴대용 백의 입구부분이 개방 및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휴대용 백의 입구부분이 개방 및 폐쇄된 상태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백(1)은 크게 몸체(10)와 덮개시트(20)를 포함한다. 몸체(10)는 입구(11)와 수용공간(12)이 형성된 주머니 또는 백(bag) 형상의 구조체이고, 덮개시트(20)는 몸체(10) 일 측에 연결된 유연한 재질의 시트 형상 구조체로서 몸체(10)의 입구(11)를 개폐한다. 특히, 덮개시트(20)는 종래의 가방 등에 형성된 입구 개폐방식과는 완전히 다른 방식으로 휴대용 백(1)의 입구를 개폐한다. 덮개시트(20)는 그 자신과 몸체(10)의 유연성을 이용하여 자유롭게 굴절되며(도 5 및 도 7참조) 내면과 외면이 반전되도록 완전히 뒤집어지는 방식으로 동작하여 휴대용 백(1)의 입구를 매우 효과적으로 개폐한다.
또한, 덮개시트(20)는 일단부(20a)가 몸체(10)에 연결되어 자유롭게 굴절되며 개폐 동작하되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단부(20c)가 몸체(10)에 고정되어 있어 별도 고정기구 없이도 개방 또는 폐쇄된 상태를 매우 견고히 유지한다. 즉, 종래 가방 등에 형성된 커버의 경우, 커버를 자유롭게 여닫기 위해 커버 양단을 고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커버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버튼 등의 고정구를 반드시 구비하여야만 하나, 본 고안은 휴대용 백(1)의 유연한 재질특성을 극대화하여 덮개시트(20)가 자유롭게 굴절되는 구조이므로 덮개시트(20)의 양 측단부(20c)를 고정하고 일단부(20a)를 몸체(10)에 연결한 상태로도 매우 용이하게 개폐동작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측단부(20c)를 몸체(10)에 접합하여 고정함으로써 몸체(10)와 덮개시트(20) 사이의 연결점을 증가시키고 이격된 부분은 최소화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11)를 개방하거나 폐쇄한 어느 상태로도 덮개시트(20)의 고정상태를 견고히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몸체(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수용공간(12)이 형성되고, 일 측이 개구되어 수용공간(12)과 연통된 입구(11)가 형성되며, 입구(11)를 포함하는 적어도 일부는 굴절 가능한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몸체(10)는 입구(11)와 수용공간(12)이 형성된 주머니 또는 백(bag) 형상으로 형성된다. 몸체(10)는 방형의 시트를 접거나 서로 이어 붙이는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수용공간(12)과 입구(11)를 포함하는 다양한 형상의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몸체(10)의 형상은 도면상에 도시된 직사각 형상으로 한정하여 이해할 필요는 없으며 그 밖에도 종래 가방이나 휴대가방 등에 적용된 여러 가지 다양한 형상이나, 그 외의 새로운 형상으로 몸체(10)를 형성할 수 있다. 몸체(10)는 특히, 입구(11)를 포함하는 적어도 일부가 굴절 가능한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몸체(10)는 입구(11)를 포함하는 부분뿐만 아니라 그 전체가 자유롭게 굴절 가능한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와 같을 필요는 없고, 몸체(10)의 입구(11)를 포함하는 주변부는 덮개시트(20)의 개폐동작을 위해 굴절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되 필요에 따라 그 외의 부분은 상대적으로 유연성이 떨어지거나 유연성을 갖지 않는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몸체(10)는 입구(11)를 포함하는 적어도 일부가 부직포와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10)를 이루는 굴절 가능한 재질은 부직포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비닐, 합성수지, 종이, 합성섬유 등의 다양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덮개시트(2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20a)는 입구(11)를 따라서 몸체(10)에 연결되고, 타단부(20b)는 몸체(10)의 외측으로 접혀 몸체(10) 외측에 위치한다. 일단부(20a)와 타단부(20b) 사이의 양 측단부(20c)는 각각 몸체(10)에 접합되어 고정되며, 덮개시트(20)는 그 전체가 굴절 가능한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덮개시트(20) 역시 방형 또는 일정한 폭으로 연장된 시트를 재단하여 접거나 이어 붙이는 방식으로 제조할 수 있다. 특히, 덮개시트(20)는 일단부(20a)가 몸체(10)에 연결된 상태로 재단하여 몸체(10)와 일체로 형성하고 측단부(20c)를 몸체(10)에 접합하여 고정하는 방식으로 매우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다.
덮개시트(20)는 일단부(20a), 타단부(20b), 및 일단부(20a)와 타단부(20b) 사이의 양 측단부(20c)를 포함하는 사각 형상의 시트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로써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각 단부의 형상과 이에 따른 전체적인 형상은 적절히 변형될 수 있다. 측단부(20c)에는 몸체(10)와 접합되어 형성된 스티치나 접합무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스티치나 접합무늬의 형상도 접합방식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 측단부(20c)는 덮개시트(20)의 일단부(20a)와 타단부(20b)가 아닌 몸체(10)에 접합된 단부를 의미하며 이러한 측단부(20c)는 후술하는 보강시트(30)와 연결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덮개시트(20)는 몸체(10)의 입구(11)를 따라 연결된 일단부(20a), 그 반대편의 타단부(20b), 및 일단부(20a)와 타단부(20b) 사이에 형성되고 몸체(10)에 접합되어 고정되는 측단부(20c)를 포함하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덮개시트(20)의 일단부(20a)는 몸체(10)의 입구(11) 둘레에 입구(11)를 따라서 굴절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덮개시트(20)의 타단부(20b)가 몸체(10) 외측으로 용이하게 접혀 몸체(10)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덮개시트(20)를 몸체(10)와 함께 재단하여 일체로 형성하는 경우 몸체(10)와 덮개시트(20)의 연결부위가 일단부(20a)로 기능할 수 있다. 덮개시트(20)의 일단부(20a)는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길이가 입구(11) 둘레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몸체(10)에 연결된 덮개시트(20)의 일단부(20a)는 몸체(10)의 형상, 휴대용 백(1)의 전체적인 형상 등에 대응하여 다양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시트(20)가 뒤집어진 상태로 입구(11)를 완전히 폐쇄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덮개시트(20)의 일단부(20a)를 입구(11) 둘레 길이의 절반 정도의 길이로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상황에 따라 이보다 짧은 길이로 덮개시트(20)를 몸체(10)에 연결하여 몸체(10)에 연결된 덮개시트(20)의 일단부(20a)를 상대적으로 짧게 변경할 수도 있다. 즉,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백(1)은 덮개시트(20) 및 입구(11) 주변부가 완전히 굴절되는 방식으로 개폐동작 하므로, 입구(11)나 몸체(10)가 보다 입체적인 형상으로 형성되어 변형이 용이하면 몸체(10)에 연결된 일단부(20a)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작더라도 덮개시트(20)가 뒤집어지면서 입구(11)를 축소시켜 용이하게 폐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직선상의 입구(11)를 갖는 몸체(10)를 기준으로 설명하며, 이러한 경우에는 입구(11)의 형상을 보존하면서 입구(11)를 완전히 폐쇄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덮개시트(20)의 일단부(20a)는 입구(11) 둘레의 절반 정도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시트(20)는 일단부(20a)는 몸체(10)에 연결되고, 측단부(20c)는 몸체(10)에 접합되어 고정되며, 타단부(20b)만이 몸체(10)로부터 이탈 가능한 자유단(free end)으로 유지된다. 즉, 덮개시트(20)는 타단부(20b)를 제외한 나머지 단부가 몸체(10)에 연결되어 있어 실질적으로 몸체(10)로부터 이격되거나 이탈 가능한 단부는 타단부(20b)로 한정된다. 덮개시트(20)는 몸체(10)에 연결된 일단부(20a)와 측단부(20c)가 타단부(20b)와 몸체(10) 사이로 통과되면 뒤집어져 도 2의 (b)와 같은 상태로 입구(11)를 폐쇄한다. 도 2의 (a) 및 (b)는 모두 몸체 일 면을 향하는 방향(각 도면상의 A방향)으로 동일하게 휴대용 백(1)을 바라본 것으로 덮개시트(20)는 뒤집어지면 도 2의 (b)와 같이 입구(11)를 덮어 완전히 폐쇄한다. 이러한 동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전술한 것처럼 입구(11) 둘레를 포함하는 몸체(10)의 적어도 일부와 덮개시트(20)는 모두 자유롭게 굴절이 가능한 유연한 재질로 형성된다. 덮개시트(20) 역시 부직포와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덮개시트(20)를 이루는 굴절 가능한 재질은 부직포 외에 비닐, 합성수지, 종이, 합성섬유 등의 다양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덮개시트(20)의 구체적인 동작 및 이에 따른 휴대용 백(1) 전체의 입구 개폐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휴대용 백(1)은 몸체(10) 및 덮개시트(20)를 관통하며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그립홀(13, 14, 21)을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그립홀은 입구(11) 둘레의 몸체(10) 일 면을 관통하는 제1그립홀(13), 입구(11) 둘레의 몸체(10) 타 면을 관통하는 제2그립홀(14), 및 덮개시트(20)를 관통하며 덮개시트(20)의 개폐상태에 따라 제1그립홀(13) 또는 제2그립홀(14)과 선택적으로 중첩되는 제3그립홀(21)을 포함할 수 있다. 덮개시트(20)의 위치는 도 3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11)의 개폐상태에 대응하여 변경되며 덮개시트(20)의 제3그립홀(21)은 입구(11)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몸체(10)의 제1그립홀(13)과, 입구(11)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보강그립홀(31)을 통해 몸체(10)의 제2그립홀(14)과 중첩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관통되고 적어도 일부는 서로 밀접하게 중첩되는 그립홀(13, 14, 21) 및 보조그립홀(31) 사이로 손가락을 넣어 휴대용 백(1)을 매우 용이하고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다.
즉, 그립홀(13, 14, 21)은 덮개시트(20)가 열려 입구(11)가 개방되거나 덮개시트(20)가 닫혀 입구(11)가 폐쇄된 어느 경우에도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견고하게 파지 가능한 손잡이의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한다. 각 그립홀(13, 14, 21)의 너비는 서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그 중 적어도 하나의 너비는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3그립홀(21)은 위치가 바뀌며 제1그립홀(13) 또는 제2그립홀(14) 및 보강그립홀(31)과 선택적으로 중첩되므로 다른 그립홀보다는 상대적으로 폭이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그립홀(13, 14, 21)과 보강그립홀(31)의 형상 및 너비 등을 적절히 변형할 수 있다.
휴대용 백(1)은 덮개시트(20)가 연결되지 않은 입구(11) 둘레의 몸체(10)에 보강시트(30)를 포함할 수 있다. 보강시트(30)는 도 1의 (a)와 같이 덮개시트(20)가 형성된 몸체(10)의 일 면(도면상의 A방향으로 바라보는 면) 반대편에 형성된다. 보강시트(30)는 도 1의 (b)와 같이 덮개시트(20)가 형성된 몸체(10) 일 면 반대편의 타 면(도면상의 B방향으로 바라보는 면)에 덮개시트(2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보강시트(30)는 그 전체가 몸체(10)에 완전히 고정되며, 따라서 단부 전체를 통해서 스티치나 접합무늬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덮개시트(20)의 측단부(20c)는 접합무늬 등을 경계로 하여 보강시트(30)와 연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보강시트(30)는 몸체(10) 일부 특히, 입구(11) 둘레에 접합되어 몸체(10)의 강성을 보강한다. 보강시트(30)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시트(20)가 열린 상태에서 그 반대편에 위치하여 쇼핑이 이루어지는 동안 덮개시트(20)와 함께 몸체(10) 양 면을 보다 균형 있게 보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그 일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보강그립홀(31)을 이용하여 복수 개의 그립홀(13, 14, 21)과 함께 보다 견고하게 파지되는 손잡이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보강시트(30) 역시 전술한 덮개시트(20)와 마찬가지로 몸체(10)와 연결된 형태로 함께 재단하여 몸체(10)와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몸체(10)와 덮개시트(20), 보강시트(30)를 부직포를 포함하는 재질로 일체로 형성하고 덮개시트(20)의 측단부(20c)와 보강시트(30) 전체를 몸체(10)와 초음파 접합하는 방식으로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백(1)은 몸체(10), 덮개시트(20), 및 보강시트(30) 등을 함께 재단하여 일체로 형성하는 방식으로 견고하며 효과적인 개폐구조를 매우 간편하게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덮개시트의 동작 및 이에 따른 휴대용 백 전체의 입구 개폐동작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덮개시트(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20a)는 몸체(10)의 입구(11) 둘레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부(20b)는 몸체(10) 외측으로 접혀 몸체(10) 외측에 위치하며, 측단부(20c)는 몸체(10)에 접합되어 고정된다. 특히, 타단부(20b)는 자유단으로 유지되어 덮개시트(20)에 외력을 가하여 굴절시키면 몸체(10)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된다. 예를 들어, 도시된 것처럼 몸체(10)에 고정된 측단부(20c)에 외력을 가하여 입구(11) 내측으로 가압하면 덮개시트(20)와 몸체(10)의 입구(11) 주변부가 굴절되면서 타단부(20b)가 몸체(10)로부터 상승하여 이격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시트(20)의 측단부(20c)를 입구(11) 내측으로 가압하여 접는 동시에 덮개시트(20)의 타단부(20b)를 들어올려 몸체(10)로부터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덮개시트(20)와 입구(11) 주변부가 자유롭게 변형되면서 덮개시트(20)의 타단부(20b)와 몸체(10) 사이에 간격(C)이 생겨난다. 상기 간격(C) 사이로 덮개시트(20)의 일단부(20a)와 입구(11) 쪽으로 접힌 측단부(20c)를 빼내면 덮개시트(20)의 양 면이 완전히 뒤집어진 상태로 반전된다. 즉, 덮개시트(20)와 몸체(10)의 유연성을 이용하여 몸체(10)에 접합된 측단부(20c)를 해체하지 않고도 덮개시트(20)를 뒤집을 수 있다.
덮개시트(20)가 뒤집어지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11)가 덮개시트(20)의 내측으로 수용되어 폐쇄된다. 덮개시트(20)의 타단부(도 5의 20b참조)는 덮개시트(20)가 뒤집어짐에 따라 원래 위치에서 몸체(10)의 반대편 면으로 이동하여 밀착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도 5의 간격(C) 사이로 덮개시트(20)의 일단부(20a)와 입구(11)쪽으로 접힌 측단부(20c)를 빼내면 덮개시트(20)의 양 면이 완전히 뒤집어진 상태로 반전되고 뒤집어진 덮개시트(20)와 굴절된 입구(11) 주변부를 완전히 펼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상태로 전환된다.
이 때, 몸체(10)에 접합된 덮개시트(20)의 측단부(20c)는 덮개시트(20)가 접히거나 굴절되는 동안 몸체(10)로부터 완전히 이탈되거나 흘러내리지 않도록 고정해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11)가 폐쇄된 상태에서도 덮개시트(20)의 움직임을 저지하여 견고한 지지구조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덮개시트(20)를 뒤집어 입구(11)를 폐쇄하고 폐쇄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이와 반대 방향으로 다시 덮개시트(20)를 뒤집으면 덮개시트(20)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되돌려 입구(11)를 개방할 수 있다.
입구(11) 폐쇄과정을 도 7을 참조하여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백(1)의 덮개시트(20) 양 측단부(20c)를 가압하여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11) 내측으로 접는다. 이로 인해 덮개시트(20) 및 입구(11) 주변부가 자유롭게 변형되며 덮개시트(20)의 타단부(20b)가 몸체(10)로부터 이탈하여 이격된다. 이를 지속하여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시트(20)의 측단부(20c)를 입구(11) 측으로 완전히 밀어 넣으면, 덮개시트(20)의 타단부(20b)가 완전히 몸체(10)로부터 이탈하여 뒤집어진다. 이 때 덮개시트(20)의 타단부(20b)와 몸체(10) 사이로 입구(11)에 연결된 덮개시트(20)의 일단부와 접힌 측단부(20c)를 빼내어 뒤집으면 도 7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시트(20)의 양 면이 완전히 반전된다. 반전된 덮개시트(20)의 타단부(20b)는 입구(11)를 지나 몸체(10)의 반대편 면으로 이동하며, 반전된 덮개시트(20)의 측단부(20c) 및 일단부(20a) 등 나머지 부분을 당겨 펼치면 도 7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백(1)의 입구(11)가 완전히 폐쇄된 상태로 전환된다.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휴대용 백(1)의 입구(11)는 다시 원래의 형태를 유지하고 덮개시트(20)는 뒤집어진 상태로 입구(11)를 폐쇄한다. 특히, 덮개시트(20)는 이와 같이 입구(11)를 폐쇄한 상태에서도 별도의 고정구조 없이 측단부(20c)의 접합구조에 의해 안정적으로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휴대용 백(1)의 입구(11)를 매우 용이하게 폐쇄할 수 있고, 다시 반대 방향으로 덮개시트(20)를 뒤집어 입구(11)를 개방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용 백(1)의 입구(11)를 자유롭게 개폐하여 물건을 수납하거나 수납된 물건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백(1)은 덮개시트(20)의 측단부(20c) 고정구조로 인해 입구(11)가 개방되거나 또는 폐쇄된 상태로 매우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이와 같이 입구(11)가 개방 또는 폐쇄된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되는 그립홀(13, 14, 21)과 보강그립홀(31)을 이용하여 휴대용 백(1)을 매우 안정적으로 파지하여 물건을 운반할 수 있다.
이하,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이 간결하고 명확하도록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나는 부분에 대해 중점적으로 설명을 진행하며, 그 밖의 사항들에 대한 설명은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전술한 설명으로 설명을 대신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백의 입구부분이 개방 및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휴대용 백의 입구부분이 개방 및 폐쇄된 상태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백(1-1)은 덮개시트(20)에 형성되어 덮개시트(20)를 몸체(10)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부착부(22)를 포함한다. 부착부(2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시트(20)의 일 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에 접합된 보강시트(30) 일 면에 부착부(22)가 부착되는 부착면(32)을 형성할 수 있다. 부착부(22) 및 부착면(32)은 예를 들어 벨크로(Velcro)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10)나 보강시트(30)의 재질에 따라서 별도의 부착면(32) 없이 벨크로로 이루어진 부착부(22)만으로 덮개시트(20)를 몸체(10)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할 수도 있다. 부착부(22)를 포함하는 덮개시트(20) 역시 전술한 실시예와 완전히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하며 전술한 바와 같이 일단부(20a) 및 측단부(20c)가 타단부(20b)와 몸체(10) 사이로 통과되면 뒤집어져 입구(11)를 완전히 폐쇄한다. 특히,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백(1-1)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시트(20)가 입구(11)를 폐쇄하고 몸체(10)에 밀착되면 덮개시트(20)에 형성된 부착부(22)가 부착면(32)에 부착되어 보다 견고한 밀폐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백(1-1)은 몸체(10)가 평평한 저면을 포함하는 박스와 같은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 수용공간(12)이 확장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몸체(10)는 내부에 수용공간(12)이 형성되고 수용공간(12)과 연통된 입구(11)가 형성되어 있는 여러 가지 매우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일부가 도시된 바와 같은 박스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 역시 하나의 예일 뿐으로 필요에 따라 몸체(10)의 형상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구현할 수 있다. 몸체(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입구(11)를 포함하는 적어도 일부가 굴절 가능한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주머니 또는 백(bag) 형상인 한도 내에서 제약 없이 다양한 형태로 변형 가능하다.
이와 같이, 부착부(22)가 형성된 덮개시트(20)를 이용하여 보다 견고하게 입구(11)를 밀폐하고 내용물을 보호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부착부(22)가 벨크로로 이루어진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부착부(22)를 이와 같이 한정하여 이해할 필요는 없다. 부착부(22)는 덮개시트(20)에 형성되고 부착력을 가져 몸체(10) 또는 몸체(10)와 연결된 부분(예를 들어, 보강시트 등)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복적인 접착에도 접착력을 유지하는 접착제 층을 포함하는 등의 방식으로 부착부(22)를 구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백(1-1)에 물건을 수납하고 입구(11)를 폐쇄하여 매우 용이하게 운반하고 보호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휴대용 백 10: 몸체
11: 입구 12: 수용공간
13: 제1그립홀 14: 제2그립홀
20: 덮개시트 20a: 일단부
20b: 타단부 20c: 측단부
21: 제3그립홀 22: 부착부
30: 보강시트 31: 보강그립홀
32: 부착면
C: 간격

Claims (7)

  1.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 측이 개구되어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된 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입구를 포함하는 적어도 일부는 굴절 가능한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주머니 또는 백(bag) 형상의 몸체; 및
    일단부는 상기 입구를 따라서 상기 몸체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몸체의 외측으로 접혀 상기 몸체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일단부와 상기 타단부 사이의 양 측단부는 각각 상기 몸체에 접합되어 고정되는 굴절 가능한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덮개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 및 상기 덮개시트를 관통하며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그립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그립홀은,
    상기 입구 둘레의 상기 몸체 일 면을 관통하는 제1그립홀,
    상기 입구 둘레의 상기 몸체 타 면을 관통하는 제2그립홀, 및
    상기 덮개시트를 관통하며 상기 덮개시트의 개폐상태에 따라 상기 제1그립홀 또는 상기 제2그립홀과 선택적으로 중첩되는 제3그립홀을 포함하는 휴대용 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시트는 상기 타단부만이 상기 몸체로부터 이탈 가능한 자유단(free end)으로 유지되는 휴대용 백.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시트는 상기 일단부의 길이가 상기 입구 둘레의 길이보다 짧은 휴대용 백.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시트는 상기 일단부 및 상기 측단부가 상기 타단부와 상기 몸체 사이로 통과되면 뒤집어져 상기 입구를 폐쇄하는 휴대용 백.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시트가 연결되지 않은 상기 입구 둘레의 상기 몸체에 접합되어 고정되는 보강시트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백.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시트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보강그립홀을 더 포함하는 휴대용 백.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및 상기 덮개시트는 부직포를 포함하는 재질로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덮개시트의 상기 측단부는 상기 몸체와 초음파 접합되는 휴대용 백.
KR2020170003110U 2017-06-16 2017-06-16 휴대용 백 KR2017000325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110U KR20170003251U (ko) 2017-06-16 2017-06-16 휴대용 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110U KR20170003251U (ko) 2017-06-16 2017-06-16 휴대용 백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8393 Division 2016-03-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251U true KR20170003251U (ko) 2017-09-19

Family

ID=60571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3110U KR20170003251U (ko) 2017-06-16 2017-06-16 휴대용 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3251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5707Y1 (ko) 1998-02-28 2000-07-01 김종만 휴대용쇼핑백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5707Y1 (ko) 1998-02-28 2000-07-01 김종만 휴대용쇼핑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34581Y2 (ja) 特に旅行に用いる手提げ鞄
KR200472711Y1 (ko) 포장상자용 손잡이
KR20170003251U (ko) 휴대용 백
JPH11147572A (ja) 収納袋、収納袋の開口部取付部材
KR101345495B1 (ko) 절첩식 가방
JP2004042918A (ja) 把手付き手提げ袋
JPH08889Y2 (ja)
JP6968482B2 (ja) 携帯用ハンカチ保持具
JP2020110263A (ja) 物品入れ
WO2023008339A1 (ja) 収納バッグ
JP3234439U (ja) 飛沫感染防止カバー
JP3166957U (ja)
KR200310935Y1 (ko) 휴대용 쇼핑백
JPH07315393A (ja) 収納袋
AU2009100279A4 (en) A Reusable Carry Bag and Pouch
JP2530467Y2 (ja) 化粧料等の容器
JP3139524U (ja) 買物袋
JP3954828B2 (ja) 手提げ袋
JP3049463U (ja) 合成樹脂製の袋
JP3086976U (ja) 簡易閉鎖型上蓋付手提げ袋
TWI607932B (zh) 軟式籃體的包裝方法及包裝結構
JPH0647766Y2 (ja) 袋口形成具
JP2003144216A (ja) 包装用手提げ袋
JP3128224U (ja) 包装袋
KR200470366Y1 (ko) 곡물용 포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