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237A - 인덕션 레인지의 전용 용기 - Google Patents

인덕션 레인지의 전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3237A
KR20170003237A KR1020150093635A KR20150093635A KR20170003237A KR 20170003237 A KR20170003237 A KR 20170003237A KR 1020150093635 A KR1020150093635 A KR 1020150093635A KR 20150093635 A KR20150093635 A KR 20150093635A KR 20170003237 A KR20170003237 A KR 201700032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inner member
main body
induction range
container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3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홍기
Original Assignee
(주)쿠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쿠첸 filed Critical (주)쿠첸
Priority to KR1020150093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3237A/ko
Publication of KR20170003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2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조 공정이 간단하고 보온성을 향상시키는 인덕션 렌지의 전용 용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유도기전력을 통해 조리가 이루어지도록 상판에 올려지는 인덕션 레인지의 전용 용기로서,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의 내주면을 따라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절곡부가 형성되고 용기형상을 갖는 내측부재; 상기 내측 부재와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용기 본체의 측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용기 본체의 외주방향으로 형성된 외측부재; 및 상기 내측부재와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용기 본체의 바닥면을 형성하며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진 바닥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인덕션 레인지의 전용 용기{A pot for induction range}
본 발명은 인덕션 레인지의 전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보온성을 향상시킨 인덕션 레인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덕션 레인지(Induction Heating Range; 약칭하여 '인덕션 레인지'라 한다)는, 전원을 공급받아 고전압이 인가되어 자장을 발생하기 위한 코일이 내장되어 있으며, 이러한 인덕션 레인지는 코일에 고전압이 인가되면 자장이 유도되고, 이 자장이 미치는 영역에 있는 금속체가 가열되는 원리를 이용한 가열장치를 말한다.
상기한 인덕션 레인지는 불꽃이나 유해가스 등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화재의 위험성이 없으며, 가스를 열원으로 사용할 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일산화탄소 등의 유해가스를 방지할 수 있고, 실내 산소의 소모가 적어 쾌적한 실내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인덕션 레인지는 용기를 가열하는 도중에 그릴에 손이 닿아도 화상의 우려가 없으며 불꽃이 없기 때문에 화재 및 폭발의 위험성이 없으며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그릴에 신체부위가 접촉되어도 화상을 입지 않는 장점을 지니고 있어 최근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상기한 인덕션 레인지에서는 불꽃을 이용하는 통상의 조리용기를 사용할 수 없으며, 상기 인덕션 레인지에서 발생하는 자장에 의해 자기 유도되도록 하기 위하여 그릴에 닿는 부분인 바닥면이 전도체로 형성된 조리용기만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조리용기를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라 하며, 약칭으로는 IH 전용 용기라 한다.
상기한 IH 전용 용기는 자장의 유도를 위하여 바닥면이 철(Fe) 성분을 함유한 금속, 즉 전도성 금속으로 형성되어야만 한다. 다시 말해서, 인덕션 레인지에서는 고전압에 의해 발생하는 자장과의 자기감응이 가능한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조리용기만 사용할 수 있고, 조리용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알루미늄과 같은 비철금속으로 이루어진 조리용기나 석기 및 도자기 종류로 이루어진 조리용기는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인덕션 레인지에서 냄비나 프라이팬, 주전자 및 압력밥솥과 같은 통상의 조리용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비철금속으로 이루어진 조리용기 본체의 바닥면에 철 성분을 함유한 도전판을 부착하고 있다. 다시 말해서 통상의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는 바닥면 부분이 비철금속과 철계 금속의 이종 재질의 접합에 의해 제작되고 있다.
그러나 IH 전용 용기는 제조단계(특히 도전판 장착공정)가 복잡하고 용기 두께가 얇아 보온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선행문헌>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2-0091528호(공개일자:2012. 08. 20.)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제조 공정이 간단하고 보온성을 향상시키는 인덕션 렌지의 전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르면, 유도기전력을 통해 조리가 이루어지도록 상판에 올려지는 인덕션 레인지의 전용 용기로서,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의 내주면을 따라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절곡부가 형성되고 용기형상을 갖는 내측부재; 상기 내측 부재와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용기 본체의 측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용기 본체의 외주방향으로 형성된 외측부재; 및 상기 내측 부재와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용기 본체의 바닥면을 형성하며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진 바닥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인덕션 레인지의 전용 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외측 부재와 내측 부재 사이에는 보온을 위한 단열 공기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부재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내측부재의 바닥면과 상기 바닥판의 사이에는 바닥 공기층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내측부재의 바닥면과 상기 외측 부재 및 상기 바닥판은 서로 고온압착에 의해 형성된 결합영역에서 고정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형태의 감소된 직경을 갖는 내측부재가 용기형상으로 이루고, 이 내측부재와의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도록 외측부재가 고온압착방식에 의해 내측부재의 외측면에 고정되고, 유도가열이 가능하도록 도전판으로서 바닥판이 용기 바닥면에 공기층을 형성하도록 내측부재에 결합영역을 통해 간편하게 설치되며, 이에 따라 용기의 보온성을 향상시키고 간편하게 유도가열이 가능한 전용 용기를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레인지의 전용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레인지의 전용 용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 영역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
도 4는 도 2의 'B' 영역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레인지의 전용 용기의 단열 공기층을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레인지의 전용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레인지의 전용 용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 영역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2의 'B' 영역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레인지의 전용 용기의 단열 공기층을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용기는 용기 본체(10)의 내측부(20)와 외측부(30)와 바닥부(40)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내측부(20)는 내주연을 따라 안쪽으로 절곡된 절곡부(11)를 형성하고 절곡부(11)의 하부로 형성되어 용기 형상을 이루도록 내측 부재(12)가 형성된다.
한편 내측부재(12)의 측면에는 용기 본체(10)의 외측면을 형성하고 내측부재(12)와 일정간격 이격된 외측 부재(60)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내측 부재(12)와 외측 부재(60) 사이에는 단열 공기층(5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단열 공기층(50)이 용기 본체(10)의 측벽을 따라 형성됨으로써 내부의 보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내측부(20)의 용기 바닥면(13)의 하부에는 용기 바닥면(13)과 일정간격을 두고 바닥판(71)이 형성된다. 이 바닥판(71)은 유도가열이 가능하도록 도전판으로서 기능을 한다.
이때 용기 바닥면(13)과 바닥판(71) 사이에는 바닥 공기층(70)이 형성됨으로써 보온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바닥판(71)의 가장자리와 외측부재(60)의 말단부는 내측부재(12)에 고온압착에 의한 결합영역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용기 본체(10)의 내부 선단에 절곡부(11)를 형성하여 용기 형상의 내측부재(12)를 형성하고, 이에 용기 본체(10)을 형성하도록 외측부재(60)를 내측부재(12)의 측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하고 말단을 내측부재(12)에 고온압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이들 사이에 단열 공기층(50)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내측부재(12)의 용기 바닥면(13)의 하부에도 일정간격을 두고 바닥판(71)을 형성하도록 바닥판(71)의 가장자리를 외측부재(60)의 말단에 겹친 상태에서 고온 압착하여 용기 바닥면(13)과 바닥판(71) 사이에 바닥 공기층(70)이 형서오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형태의 감소된 직경을 갖는 내측부재(12)가 용기형상으로 이루고, 이 내측부재(12)와의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도록 외측부재(60)가 고온압착방식에 의해 내측부재(12)의 외측면에 고정되고, 유도가열이 가능하도록 도전판으로서 바닥판(71)이 용기 바닥면(13)에 공기층을 형성하도록 내측부재(12)에 결합영역(55)을 통해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용기의 보온성을 향상시키고 간편하게 유도가열이 가능한 전용 용기를 제작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용기 본체
11: 절곡부
12: 내측 부재
20: 내측부
30: 외측부
40: 바닥부
50: 단열 공기층
60: 외측 부재
70: 바닥 공기층
71: 바닥판

Claims (4)

  1. 유도기전력을 통해 조리가 이루어지도록 상판에 올려지는 인덕션 레인지의 전용 용기로서,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의 내주면을 따라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절곡부가 형성되고 용기형상을 갖는 내측부재;
    상기 내측 부재와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용기 본체의 측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용기 본체의 외주방향으로 형성된 외측부재; 및
    상기 내측 부재와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용기 본체의 바닥면을 형성하며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진 바닥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레인지의 전용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부재와 내측 부재 사이에는 보온을 위한 단열 공기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레인지의 전용 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부재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내측부재의 바닥면과 상기 바닥판의 사이에는 바닥 공기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레인지의 전용 용기.
  4. 제1항이 있어서,
    상기 내측부재의 바닥면과 상기 외측 부재 및 상기 바닥판은 서로 고온압착에 의해 형성된 결합영역에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레인지의 전용 용기.
KR1020150093635A 2015-06-30 2015-06-30 인덕션 레인지의 전용 용기 KR201700032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3635A KR20170003237A (ko) 2015-06-30 2015-06-30 인덕션 레인지의 전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3635A KR20170003237A (ko) 2015-06-30 2015-06-30 인덕션 레인지의 전용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237A true KR20170003237A (ko) 2017-01-09

Family

ID=57811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3635A KR20170003237A (ko) 2015-06-30 2015-06-30 인덕션 레인지의 전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323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35570A1 (ko) * 2017-08-16 2019-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열기기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35570A1 (ko) * 2017-08-16 2019-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열기기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CN111033128A (zh) * 2017-08-16 2020-04-17 Lg电子株式会社 加热设备及具备其的烹饪设备
US20200245804A1 (en) * 2017-08-16 2020-08-06 Lg Electronics Inc. Heating apparatus and cooking apparatus including same
KR20210107593A (ko) * 2017-08-16 2021-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열기기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US11832752B2 (en) 2017-08-16 2023-12-05 Lg Electronics Inc. Heating apparatus and cooking apparatus including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03651A (ko) 전자유도가열식 밥솥용 인덕션 코일가열부
KR20160124487A (ko) 일회용 조리 용기
KR101480272B1 (ko) 인덕션 렌지용 조리 용기
KR20170003237A (ko) 인덕션 레인지의 전용 용기
US11304269B2 (en) Cooking utensil
KR101627817B1 (ko) 전기레인지용 패드
JP2012110636A (ja) 誘導加熱調理器用調理容器
CN201691660U (zh) 锅具
KR101854835B1 (ko) 인덕션 레인지용 불판
JP5918276B2 (ja) 調理器具
JP7300591B2 (ja) 加熱コイルユニット及び加熱調理器
US11402104B2 (en) Coil heating element with a heat transfer disk
JP7336642B2 (ja) 加熱調理器
KR102058599B1 (ko) 열 충격 완화를 위한 유도가열 전용 세라믹 용기
TWM619558U (zh) 鍋具導熱部改良結構
KR19990073452A (ko) 전자파유도가열기용의자성체알루미늄조리기의제조방법
JP6419743B2 (ja) 加熱用調理器及び電子レンジ
KR20180013586A (ko) 세라믹 조리 용기용 열전도 패드
JP2005063740A (ja) 加熱調理器
KR101867911B1 (ko) 인덕션 레인지용 불판
KR101867909B1 (ko) 인덕션 레인지용 불판(ih)
JP2006210215A (ja) 電磁誘導加熱調理器用加熱補助装置
JP3186375U (ja) 電磁調理器用調理器具
JP2021178075A (ja) 土鍋
JP2021029574A (ja) Ih/直火両用の調理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