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235A - 전기 레인지의 화구표시모듈 - Google Patents

전기 레인지의 화구표시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3235A
KR20170003235A KR1020150093633A KR20150093633A KR20170003235A KR 20170003235 A KR20170003235 A KR 20170003235A KR 1020150093633 A KR1020150093633 A KR 1020150093633A KR 20150093633 A KR20150093633 A KR 20150093633A KR 20170003235 A KR20170003235 A KR 201700032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mounting
main body
main unit
u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3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1930B1 (ko
Inventor
이연창
Original Assignee
(주)쿠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쿠첸 filed Critical (주)쿠첸
Priority to KR1020150093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1930B1/ko
Publication of KR20170003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1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1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24C7/083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on tops, hot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착이 간편하고 사용자가 화구의 작동 영역 및 동작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전기 레인지의 화구표시모듈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용기가 놓이는 상판과 상기 상판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프레임과, 상기 고정 프레임과 결합되는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는 베이스 본체를 포함하는 전기 레인지의 화구의 사용상태를 표시하는 전기 레인지의 화구표시모듈로서, 상기 베이스 본체의 가장자리에는 각각 오목하게 형성되고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에는 내부에 발광소자에 의해 사용표시가 가능한 모듈 본체가 장착되며, 상기 모듈 본체는 다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모듈 본체의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에는 잘린 모서리부가 형성되며, 상기 장착홈의 내부에는 상기 모듈 본체의 잘린 모서리부와 대응되도록 경사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 레인지의 화구표시모듈{Display module for heating area of electric range}
본 발명은 전기 레인지의 화구표시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장착이 간편하고 사용자가 화구의 작동 영역 및 동작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전기 레인지의 화구표시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열코일을 사용하여 전기로 조리를 행할 수 있는 전기가열 조리기는, 불을 사용하지 않는 안전함과 피 가열물을 가열하기 위한 에너지 효율이 좋은 것 등으로 인해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전기가열 조리기는 가열 출력을 표시하기 위해 램프의 점등 등에 의한 표시방식이 이루어지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가열 조리기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종래의 가열 조리기(100)는 키친(101)에 조립된 조립형으로도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본체 윗면(102)에는 윗판(103)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윗판(103)에는 좌측 가열부분(104), 우측 가열부분(105), 중앙 가열부분(106)의 3개의 가열부분이 구비된다. 또한 본체 앞쪽 측면(107)에는 좌측에 로스터(108)를 구비하고, 우측에 각 가열부분(104,105,106)이나 로스터(108)의 가열 출력 및 장치의 전원 관리 등의 여러 가지 조작을 행하기 위한 조작부(109)를 구비한다.
그리고 각 가열부분(104,105,106)의 각각에 대응한 가열 출력을 사용자에게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10,111,112)가 마련되어 있다. 이 표시부(110,111,112)는 복수의 LED가 일렬로 배치되어 있고, 가열부분의 가열 출력에 응하여 좌로부터 차례로 점등하여 가고, 가열부분의 가열 출력이 최대일 때에 모든 LED가 점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기 조리기는, 불을 사용하지 않고서 가열 조리를 행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화구의 작동의 인식을 직감적으로 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전기 조리기는 LED나 램프로 표시된 표시부(110,111,112)가 각 가열부분(104,105,106)으로부터 떨어진 부위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가열영역에 대한 표시를 사용자가 직감적으로 인식하기 어려우며, 특히 근래에 사용되는 인덕션 레인지는 인덕션 화구와 열판 화구 등을 같이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방식의 다양한 전기 조리기 등이 개시되어 있다. 이에 다라 작동시 각각의 화구의 사용을 사용자가 쉽게 인지시킬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전기 레인지의 본체에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고, 화구의 작동 영역 및 동작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전기 레인지의 화구표시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르면, 용기가 놓이는 상판과 상기 상판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프레임과, 상기 고정 프레임과 결합되는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는 베이스 본체를 포함하는 전기 레인지의 화구의 사용상태를 표시하는 전기 레인지의 화구표시모듈로서, 상기 베이스 본체의 가장자리에는 각각 오목하게 형성되고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에는 내부에 발광소자에 의해 사용표시가 가능한 모듈 본체가 장착되며, 상기 모듈 본체는 다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모듈 본체의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에는 잘린 모서리부가 형성되며, 상기 장착홈의 내부에는 상기 모듈 본체의 잘린 모서리부와 대응되도록 경사벽이 형성된 전기 레인지의 화구표시모듈이 제공된다.
상기 모듈 본체의 상부면에는 상기 발광소자의 빛이 외부로 조사되도록 일정 문양의 표시 슬릿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모듈 본체의 하부에는 하방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된 장착단이 형성되고, 상기 모듈 본체의 측면에는 일정길이를 갖는 장착 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홈의 내측에는 상기 장착 슬릿에 끼워지는 장착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의 바닥면에는 상기 장착단이 끼워지는 장착공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모듈 본체는 상기 화구의 모서리마다 위치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모듈 본체는 탄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 본체의 상부에서 일정 높이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상판을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부에서 탄성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듈 본체의 잘린 모서리부를 장착홈의 경사벽에 맞춰 장착할 수 있어, 조립시 모듈 본체의 장착자세를 정 위치시킬 수 있어 조립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화구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화구의 사용시 이에 대한 사용 영역 및 사용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어 사용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 본체에서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상판을 지지함으로써 상판으로 전달되는 충격 대한 완충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가열 조리기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화구표시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화구표시 모듈이 베이스 본체에 장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화구표시 모듈이 케인스 본체의 내부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내부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화구표시 모듈이 케이스 본체의 평면상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화구표시 모듈의 일측 화구에 대한 배치상태를 보여주는 평면 구성도, 및
도 7은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화구표시 모듈의 타측 화구에 대한 배치상태를 보여주는 평면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화구표시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화구표시 모듈이 베이스 본체에 장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화구표시 모듈이 케인스 본체의 내부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내부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화구표시 모듈이 케이스 본체의 평면상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화구표시 모듈의 일측 화구에 대한 배치상태를 보여주는 평면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화구표시 모듈의 타측 화구에 대한 배치상태를 보여주는 평면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모듈 본체(10)가 직육면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모듈 본체(10)의 상면에는 대략 'ㄴ'자 형상으로 표시 슬릿(11)이 형성되는데, 이 표시 슬릿(11)은 내부의 발광소자(미도시)의 빛을 외부로 노출시킴으로써 화구의 사용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모듈 본체(10)의 일측 모서리에는 잘린 모서리부(15)가 형성된다. 이 잘린 모서리부(15)는 모듈 본체(10)의 장착시 모듈 본체(10)의 장착위치를 정위치 시키기 위한 일종의 가이드 역할을 한다. 즉 도 3을 참조하면 베이스 본체(20)에는 장착홈(21)이 형성되고 장착홈(21)의 일측 모서리에는 경사벽(25)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모듈 본체(10)의 잘린 모서리부(15)를 장착홈(21)의 경사벽(25)에 맞춰 장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듈 본체(10)의 장착시 사용자가 별도로 모듈 본체(10)의 장착방향을 확인할 필요없이 잘린 모서리부(15)를 경사벽(25)에 맞춰 장착함으로써 조립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한편, 모듈 본체(10)의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장착 슬릿(12)이 형성되고 바닥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장착단(13)이 형성된다. 또한 베이스 본체(2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장착홈(25)의 내측벽에는 모듈 본체(10)의 장착 슬릿(12)에 삽입되는 장착돌기(22)가 형성되고, 장착홈(25)의 바닥면에는 장착공(23)이 형성되어 모듈 본체(10)의 장착단(13)이 장착홈(21)의 장착공(23)에 끼워짐으로써 모듈 본체(10)가 장착홈(21)에 삽입된 상태가 고정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모듈 본체(10)는 탄성력을 갖는 수지(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베이스 본체(20)의 장착홈(21)에 설치된 모듈 본체(10)는 상판(40)을 케이스 본체(50) 내의 베이스 본체(20)로부터 상판(40)을 탄성 지지한다. 이에 따라 상판(40)에 용기 등이 올려지면서 발생되는 충격이 상판(30)으로 전달되는 것을 완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케이스 본체(50)에는 다수의 화구(A,B,C,D)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베이스 본체(20)의 모서리 부분에는 모듈 본체(10)가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화구(A,B,C,D)의 사용상태 및 사용영역을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를 참조하면, 베이스 본체(20,0')에는 워킹 코일(W,W')이 장착되고, 각 모서리에는 각각의 모듈 본체(10,10')가 장착될 수 있다. 이때 각 모듈 본체(10)에 형성된 잘린 모서리부(15)에 의해 표시 슬릿(11,'ㄴ'자 형상)이 정위치하도록 장착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베이스 본체(20)의 모서리의 영역에 화구가동 표시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모듈 본체(10)의 모서리부를 장착홈(21)의 경사벽에 맞춰 장착할 수 있어, 조립시 모듈 본체의 장착자세를 정 위치시킬 수 있어 조립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화구(A,B,C,D)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화구(A,B,C,D)의 사용시 이에 대한 사용 영역 및 사용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베이스 본체(30)에서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상판(30)을 지지함으로써 상판(30)으로 전달되는 충격 대한 완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모듈 본체
11: 표시 슬릿
12: 장착 슬릿
13: 장착단
15: 잘린 모서리부
20: 베이스 본체
21: 장착홈
22: 장착돌기
23: 장착공
25: 경사벽
30: 상판
40: 고정 프레임
50: 케이스 본체

Claims (5)

  1. 용기가 놓이는 상판과 상기 상판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프레임과, 상기 고정 프레임과 결합되는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는 베이스 본체를 포함하는 전기 레인지의 화구의 사용상태를 표시하는 전기 레인지의 화구표시모듈로서,
    상기 베이스 본체의 가장자리에는 각각 오목하게 형성되고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에는 내부에 발광소자에 의해 사용표시가 가능한 모듈 본체가 장착되며,
    상기 모듈 본체는 다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모듈 본체의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에는 잘린 모서리부가 형성되며,
    상기 장착홈의 내부에는 상기 모듈 본체의 잘린 모서리부와 대응되도록 경사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레인지의 화구표시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본체의 상부면에는 상기 발광소자의 빛이 외부로 조사되도록 일정 문양의 표시 슬릿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레인지의 화구표시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본체의 하부에는 하방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된 장착단이 형성되고,
    상기 모듈 본체의 측면에는 일정길이를 갖는 장착 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홈의 내측에는 상기 장착 슬릿에 끼워지는 장착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의 바닥면에는 상기 장착단이 끼워지는 장착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레인지의 화구표시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본체는 상기 화구의 모서리마다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레인지의 화구표시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본체는 탄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 본체의 상부에서 일정 높이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상판을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부에서 탄성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레인지의 화구표시모듈.


KR1020150093633A 2015-06-30 2015-06-30 전기 레인지의 화구표시모듈 KR102101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3633A KR102101930B1 (ko) 2015-06-30 2015-06-30 전기 레인지의 화구표시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3633A KR102101930B1 (ko) 2015-06-30 2015-06-30 전기 레인지의 화구표시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235A true KR20170003235A (ko) 2017-01-09
KR102101930B1 KR102101930B1 (ko) 2020-04-17

Family

ID=57810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3633A KR102101930B1 (ko) 2015-06-30 2015-06-30 전기 레인지의 화구표시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19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73291B2 (en) 2017-03-27 2023-10-03 Resonac Corporation Polishing liquid, polishing liquid set, and polishing meth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59493A (ja) * 2007-08-30 2009-03-19 Panasonic Corp 誘導加熱調理器
JP2014123427A (ja) * 2011-12-26 2014-07-03 Panasonic Corp 誘導加熱調理器
JP2014123425A (ja) * 2011-04-08 2014-07-03 Panasonic Corp 誘導加熱調理器
JP5607050B2 (ja) * 2009-07-24 2014-10-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加熱調理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59493A (ja) * 2007-08-30 2009-03-19 Panasonic Corp 誘導加熱調理器
JP5607050B2 (ja) * 2009-07-24 2014-10-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加熱調理器
JP2014123425A (ja) * 2011-04-08 2014-07-03 Panasonic Corp 誘導加熱調理器
JP2014123427A (ja) * 2011-12-26 2014-07-03 Panasonic Corp 誘導加熱調理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73291B2 (en) 2017-03-27 2023-10-03 Resonac Corporation Polishing liquid, polishing liquid set, and polish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1930B1 (ko) 2020-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50886C (en)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
RU2597270C2 (ru) Газовая горелка,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прибора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ищи
ES2659666B1 (es) Aparato de cocina con placa de coccion y dispositivo extractor de humos
KR102270491B1 (ko) 유도 가열 조리기기
KR20170003235A (ko) 전기 레인지의 화구표시모듈
US20190195508A1 (en) Induction heating cooker an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thereof
JP6415599B2 (ja) 加熱調理器
EP3037734B1 (en) Portable cooking assembly with a foldable hood
EP2947960A1 (en) Induction cooking device
JP2015036609A (ja) 加熱調理器
JP5013977B2 (ja) 組込式加熱調理器
KR20170003230A (ko) 전기 렌지의 화구 표시장치
KR20170001393U (ko) 가스 레인지
JP2016091684A (ja) スタンド型led照明器具
EP3522680A1 (en) User interface for a domestic appliance
EP3410011A1 (en) Gas burner assembly, preferably for a gas cooking hob
CA2854172A1 (en) Cooking hood led light
JP2017219288A (ja) 暖房機器
JP6810602B2 (ja) 加熱調理器のスピーカー固定構造
JP6615694B2 (ja) 暖房機器
JP6227929B2 (ja) 加熱調理器
ITMI20020094U1 (it) Piano di cottura
JP2008111626A (ja) 加熱調理器
KR101864495B1 (ko) 안정적인 상하이동이 가능한 조작유닛 및 이것이 설치된 가전기기
JP6723106B2 (ja) 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