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2412U - 원터치형 지그헤드 채비 - Google Patents

원터치형 지그헤드 채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2412U
KR20170002412U KR2020150008546U KR20150008546U KR20170002412U KR 20170002412 U KR20170002412 U KR 20170002412U KR 2020150008546 U KR2020150008546 U KR 2020150008546U KR 20150008546 U KR20150008546 U KR 20150008546U KR 20170002412 U KR20170002412 U KR 2017000241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luer
fixing pin
lure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85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좌용
Original Assignee
정좌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좌용 filed Critical 정좌용
Priority to KR20201500085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2412U/ko
Publication of KR201700024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41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01K91/04Connecting devices for connecting lines to hooks or l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늘의 교체를 원터치로 신속,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루어(미끼)의 결합, 교체작업 역시 신속, 용이하여 간편하게 채비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한 원터치형 지그헤드 채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낚시줄을 연결하는 연결고리(2)가 형성된 무게추 헤드부(1) 하측에 루어(9)를 결합하는 루어고정핀(3)을 형성한 지그헤드 채비에 있어서, 상기 무게추 헤드부(1)에 수직하방으로 일정한 길이로 형성한 루어고정핀(3) 끝에 일측으로 하향경사지는 경사부(4)를 형성하고, 상기 경사부(4)의 끝에는 탈착고리(5)를 형성하여 3중바늘(8), 2중바늘(8A)을 선택적으로 탈착하여 결합할 수 있게 구성한 것에 요지가 있다.

Description

원터치형 지그헤드 채비{ONE TOUCH-TYPE JIGHEAD FISHING TACKLE}
본 고안은 원터치형 지그헤드 채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바늘의 교체를 원터치로 신속,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루어(미끼)의 결합, 교체작업 역시 신속, 용이하여 간편하게 채비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한 원터치형 지그헤드 채비에 관한 것이다.
통상 루어낚시는 인조미끼에 물고기의 액션을 가하여 어류를 유인, 낚시하는 것으로, 이러한 루어낚시 중의 하나로 바늘 일체형 지그헤드에 웜 등의 루어를 끼워 사용하는 지그헤드 채비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지그헤드(JIG HEAD) 채비는 주물로 제작되어 무게추로 역할/기능하는 헤드부와 바늘이 일체로 형성되는 채비를 말하는 것으로, 바늘이 헤드부에 고정된 구조로 구성되어 바늘의 유동성을 확보하지 못함으로써 유인효과가 저조하고 사용이 불편한 등의 단점이 있다. 상기 지그헤드 채비에 대한 종래기술을 살펴본다.
참고문헌1에, 헤드부 내에 바늘귀가 들어갈 수 있는 입구를 형성하여 바늘이 헤드부 내에서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우수한 유인효과를 도모하고 간단히 제조할수 있도록 한 지그헤드가 개시되어 있다.
참고문헌2에, 바늘과 헤드부를 분리형으로 제조하여 간단한 공정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한 낚시용 지그헤드 및 지그헤드 제조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참고문헌3에, 낚시추의 무게와 낚시바늘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낚시용 지그헤드와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참고문헌4에, 지그헤드에서 바늘끝에 의한 밑걸림이 심한 문제점과 이로 인한 채비교체의 번잡함과 손실비용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지그헤드 채비가 개시되어 있다.
참고문헌5에, 낚시바늘과 추를 자유자재로 선택하여 조립하고, 간이한 동작으로 변경가능하도록 한 지그헤드 채비가 개시되어 있으며, 참고문헌6에, 싱커 해드를 그대로 사용하고 새로운 낚시바늘과 용이하게 교환가능한 지그헤드 채비가 개시되어 있다.
그 밖에 참고문헌7~10에서와 같이 물고기, 곤충형태 등으로 된 루어에 바늘이 결합된 루어낚시와, 참고문헌11~14에서와 같이 스피너가 달린 스피너 베이트 등의 루어일체형 낚시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에서 살핀 바와 같이 지그헤드 채비는 무게추인 헤드부에 바늘이 일체로 형성되어 여기에 자체적으로 루어를 일체로 결합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으나 이러한 지그헤드 채비는 고정형의 바늘로 인해 바늘의 유동성을 전혀 확보할 수 없으므로 다양한 전술로 낚시를 행할 수 없고 루어의 결합작업 역시 용이치 않은 단점이 있다.
즉, 무게추 해드부에 바늘 본체가 일체로 결합되어 탈착할 수 없는 구조로 되는 등 한번 정해진 형태와 구조를 변경하여 사용할 수 없고, 한번 바늘이 훼손되면 전부를 폐기하거나 수리하여 사용할 수 밖에 없으며, 원하는 구조와 형태의 다양한 바늘(여러 개의 바늘로 이루어진 3중바늘, 2중바늘 등의 여러 낚시바늘)을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기존 지그헤드 채비는 무게추 헤드부와 바늘 본체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이미 정해진 형태와 틀에서 변화를 줄 수 없는 획일적이고 단순한 채비만을 구성할 수 밖에 없으므로 대상어 등에 따라 다양한 바늘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없는 등의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848700호, 2008.07.28.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05716호, 2012.01.17.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12383호, 2013.02.04. 등록특허공보 제10-1144267호, 2012.05.11.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21774호, 2014.10.16.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62970호, 2015.06.08.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121096호, 2006.11.28.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9-040636호, 1999.12.06.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66747호, 2000.02.15.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4-000661호, 2014.02.03.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0-0018802호, 2000.10.25.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1114호, 2006.07.07.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2480호, 2006.03.28.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0838호, 2004.09.06
본 고안은 지그헤드 채비에 무게추 헤드부가 일체로 형성된 본체에 바늘을 원터치로 간단히 탈착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대상어 등에 따라 원하는 바늘을 결합하여 다양한 전술로 낚시할 수 있는 원터치형 지그헤드 채비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 본 고안은 루어는 물론 바늘을 신속하게 끼워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이로부터 채비의 다양화를 달성하여 빠른 채비의 구성으로 낚시의 신속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우수한 조과를 기대하며 낚시의 재미를 높일 수 있게 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낚시줄을 연결하는 연결고리가 형성된 무게추 헤드부 하측에 루어를 결합하는 루어고정핀을 형성한 지그헤드 채비에 있어서, 상기 무게추 헤드부에 수직하방으로 일정한 길이로 형성한 루어고정핀 끝에 일측으로 하향경사지는 경사부를 형성하고, 상기 경사부의 끝에는 탈착고리를 형성하여 3중바늘, 2중바늘 등의 바늘을 선택적으로 탈착, 결합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대상어나 채비 형태 등에 따라 원하는 바늘을 원터치로 손쉽게 끼워 사용할 수 있어 지그헤드 채비를 다양하면서도 빠르고 효과적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종래 단순하고 고정된 형태와 구조의 지그헤드 채비에서 벗어나 원하는 다양한 구조와 형태의 바늘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결합하여 채비의 간편화와 다양화를 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은 지그헤드 채비의 바늘유동성 확보와 채비의 다양화를 통해 우수한 조과를 기대할 수 있고 낚시의 재미를 높일 수 있는 등의 이익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늘 결합구조를 보인 일부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늘과 루어를 결합한 일사용상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부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바늘 결합구조를 보인 일부 분리 사시도
도 7은 도 5의 바늘과 루어를 결합한 일사용상태 사시도
본 고안은 무게추 헤드부에 바늘이 형성되어 루어를 끼워 결합하는 루어낚시에 있어서, 상기 무게추 헤드부에 루어를 삽입하는 루어고정핀을 형성하고 상기 루어고정핀에 원하는 바늘을 원터치로 탈착하여 결합할 수 있는 탈착고리를 형성하여 원터치형 지그헤드 채비를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또 본 고안은, 탈착고리가 루어고정핀에 고정되는 루어에 방해되지 않도록 루어고정핀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되게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무게추 헤드부는 일측에 본선과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고리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무게추 헤드부에는 하측에 루어를 끼워고정하는 루어고정핀이 형성되고, 루어고정핀 끝에 바늘을 탈착할 수 있는 탈착고리가 형성된다.
상기 루어고정핀 끝의 탈착고리에는 2중바늘(2개의 바늘로 이루어진 바늘), 3중바늘(3개의 바늘로 이루어진 바늘) 등, 원하는 바늘을 탈착하여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탈착고리는 루어고정핀의 끝으로부터 경사부로 연결되어 루어고정핀에 루어가 끼워 고정된 상태에서 루어 외측으로 노출되게 구성된다.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내용을 첨부 도면과 함께 살펴본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시예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사용상태 사시도이다.
대략 원형으로 형성되는 무게추 헤드부(1) 일측으로 낚시줄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고리(2)를 형성한다.
상기 연결고리(2)는 무게추 헤드부(1)의 수평방향 일측에 형성하고, 연결고리(2)에는 낚시줄을 연결하기위한 스냅훅 등을 결합한다.
상기 연결고리(2)가 형성된 무게추 헤드부(1)의 하측에는 루어(9)를 결합하는 루어고정핀(3)을 형성한다.
상기 루어고정핀(3)은 무게추 헤드부(1)에 수직하방으로 일정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한다.
그리고 루어고정핀(3) 끝에는 일측으로 하향경사지는 경사부(4)를 형성하고, 상기 경사부(4)의 끝에 3중바늘(8), 2중바늘(8A)을 선택적으로 탈착하여 결합하는 탈착고리(5)를 형성한다.
상기 탈착고리(5)는 상부에 개방부(6)를 형성하고 일측에 탄력편(7)을 형성하여 바늘(8)(8A)의 고리(81)가 탄력적으로 끼워져 탈착되게 한다.
즉, 바늘(8)(8A)의 고리(81)를 탄력편(7)과 개방부(6)를 통해 끼워넣거나 빼어내는 동작만으로 바늘(8)(8A)을 신속하고 손쉽게 탈착고리(5)에 탈착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바늘(8)(8A)은 도시한 예와 같이 3중바늘(3개의 바늘로 이루어진 바늘)(8), 2중바늘(2개의 바늘로 이루어진 바늘)(8A) 등, 여러 바늘종류를 선택하여 탈착고리(5)에 탈착결합할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무게추 헤드부(1) 하방의 루어고정핀(3)에 루어(9)를 끼워결합하고, 그 하단의 탈착고리(5)에는 3중바늘(8), 2중바늘(8A) 등 원하는 바늘을 원터치로 간편하게 결합하여 신속하면서 용이하게 지그헤드 채비를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탈착고리(5)는 루어(9)가 끼워져 고정되는 루어고정핀(3)의 일측 경사부(4) 끝에 형성되어 도시한 경우처럼 루어고정핀(3)에 고정된 루어(9)로부터 노출되어 3중바늘(8), 2중바늘(8A)이 결합되므로 루어고정핀(3)에 결합된 루어(9)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게 되어 루어(9)의 유인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탈착고리(5)에 결합된 3중바늘(8), 2중바늘(8A) 역시 루어고정핀(3)에 결합된 루어(9)에 방해받지 않게 되어 활발한 유동성을 갖게 되므로 챔질(바늘걸림) 작용 역시 적극적이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져 우수한 조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무게추 헤드부(1)의 직하방 루어고정핀(3) 하단 끝에 바늘(8)(8A)을 탈착 결합하는 탈착고리(5A)를 바로 형성하여 상기 탈착고리(5A)에 바늘(8)(8A)을 탈착할 수 있게 구성한 예이다.
상기와 같이 루어고정핀(3) 하단에 탈착고리(5A)를 바로 형성하여 구성하면, 무게추 헤드부(1) 하방의 루어고정핀(3)에 루어(9)를 끼워결합하고, 그 하단 탈착고리(5A)에 3중바늘(8), 2중바늘(8A) 등 원하는 바늘을 원터치로 간편하게 결합하여 신속하고 용이하게 지그헤드 채비를 구성하여 편리하게 낚시할 수 있다.
1:무게추 헤드부
2:연결고리
3:루어고정핀
4:경사부
5.5A:탈착고리
6:개방부
7:탄력편
8,8A:바늘
9:루어

Claims (2)

  1. 낚시줄을 연결하는 연결고리(2)가 형성된 무게추 헤드부(1) 하측에 루어(9)를 결합하는 루어고정핀(3)을 갖는 지그헤드 채비에 있어서,
    상기 무게추 헤드부(1)에 수직하방으로 일정한 길이로 형성한 루어고정핀(3) 끝에 일측으로 하향경사지는 경사부(4)를 형성하고,
    상기 경사부(4)의 끝에는 탈착고리(5)를 형성하여 3중바늘(8), 2중바늘(8A)을 선택적으로 탈착하여 결합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지그헤드 채비.
  2. 낚시줄을 연결하는 연결고리(2)가 형성된 무게추 헤드부(1) 하측에 루어(9)를 결합하는 루어고정핀(3)을 형성한 지그헤드 채비에 있어서,
    상기 무게추 헤드부(1)에 수직하방으로 일정한 길이로 형성한 루어고정핀(3) 끝에 탈착고리(5)를 형성하여 3중바늘(8), 2중바늘(8A)을 선택적으로 탈착하여 결합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지그헤드 채비.
KR2020150008546U 2015-12-24 2015-12-24 원터치형 지그헤드 채비 KR2017000241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8546U KR20170002412U (ko) 2015-12-24 2015-12-24 원터치형 지그헤드 채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8546U KR20170002412U (ko) 2015-12-24 2015-12-24 원터치형 지그헤드 채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412U true KR20170002412U (ko) 2017-07-04

Family

ID=59315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8546U KR20170002412U (ko) 2015-12-24 2015-12-24 원터치형 지그헤드 채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2412U (ko)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0636U (ko) 1998-05-04 1999-12-06 진광훈 부력이 조절되는 낚시 루어
KR200166747Y1 (ko) 1999-07-06 2000-02-15 박동하 플러그루어
KR20000018802U (ko) 1999-03-29 2000-10-25 백준철 루어낚시용 스피너 베이트
KR20040012480A (ko) 2002-08-02 2004-02-11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액체방울 토출 장치, 전기 광학 장치의 제조 방법, 전기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
KR20040021114A (ko) 2002-09-02 2004-03-10 주식회사 엔조이삼육오 개인 컨텐츠 몰의 구축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0360838Y1 (ko) 2004-05-19 2004-09-06 최석민 가변 스피너 베이트 루어
KR20060121096A (ko) 2005-05-23 2006-11-28 코이치 이토 낚시용 루어
KR100848700B1 (ko) 2007-01-31 2008-07-28 손황 지그 헤드
KR20120005716A (ko) 2010-07-09 2012-01-17 율촌화학 주식회사 Led 백라이트 유닛
KR101144267B1 (ko) 2011-11-16 2012-05-11 최홍준 평행한 이중의 바늘허리가 구비되는 루어낚시용 지그헤드
KR20130012383A (ko) 2011-07-25 2013-02-04 김영수 친환경 루어 낚시용 지그헤드 및 그 지그헤드 제조방법
KR20140000661U (ko) 2012-07-19 2014-02-03 남정대 배낚시용 인조미끼
KR20140121774A (ko) 2013-03-28 2014-10-16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지그헤드, 지그헤드용 낚싯바늘 및 지그헤드용 추
KR20150062970A (ko) 2013-11-29 2015-06-08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지그 헤드

Patent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0636U (ko) 1998-05-04 1999-12-06 진광훈 부력이 조절되는 낚시 루어
KR20000018802U (ko) 1999-03-29 2000-10-25 백준철 루어낚시용 스피너 베이트
KR200166747Y1 (ko) 1999-07-06 2000-02-15 박동하 플러그루어
KR20040012480A (ko) 2002-08-02 2004-02-11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액체방울 토출 장치, 전기 광학 장치의 제조 방법, 전기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
KR20040021114A (ko) 2002-09-02 2004-03-10 주식회사 엔조이삼육오 개인 컨텐츠 몰의 구축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0360838Y1 (ko) 2004-05-19 2004-09-06 최석민 가변 스피너 베이트 루어
KR20060121096A (ko) 2005-05-23 2006-11-28 코이치 이토 낚시용 루어
KR100848700B1 (ko) 2007-01-31 2008-07-28 손황 지그 헤드
KR20120005716A (ko) 2010-07-09 2012-01-17 율촌화학 주식회사 Led 백라이트 유닛
KR20130012383A (ko) 2011-07-25 2013-02-04 김영수 친환경 루어 낚시용 지그헤드 및 그 지그헤드 제조방법
KR101144267B1 (ko) 2011-11-16 2012-05-11 최홍준 평행한 이중의 바늘허리가 구비되는 루어낚시용 지그헤드
KR20140000661U (ko) 2012-07-19 2014-02-03 남정대 배낚시용 인조미끼
KR20140121774A (ko) 2013-03-28 2014-10-16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지그헤드, 지그헤드용 낚싯바늘 및 지그헤드용 추
KR20150062970A (ko) 2013-11-29 2015-06-08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지그 헤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6214B1 (ko) 지그 헤드
KR200478387Y1 (ko) 웜루어 원터치 샷
US2989817A (en) Weighted hook with dual eyes
KR101586279B1 (ko) 웜루어 원터치 샷
KR200407643Y1 (ko) 낚시용 탈착 인조미끼
KR20200001212U (ko) 두족류 생미끼 채비
KR20180000363U (ko) 주꾸미 낚시채비
US2164415A (en) Fish lure
JP2014158459A (ja) 頭足類捕獲用釣具
KR101362350B1 (ko) 루어낚시대
CN203214372U (zh) 一种电风扇摇头支撑装置
KR20170002412U (ko) 원터치형 지그헤드 채비
KR20160002940U (ko) 3바늘 결합형 루어 채비
KR200412480Y1 (ko) 스피너 베이트
US10165766B2 (en) Horizontally balanced symmetrical fishing lure
KR20190001671U (ko) 웜루어 원터치 채비
JP2013243983A (ja) 釣用ルアー
JP2006197903A (ja) 釣り用ルアー
KR20190026387A (ko) 낚시용 루어
KR200479484Y1 (ko) 중공형 로드 및 그립을 구비한 루어 낚시대
KR20180001557U (ko) 웜루어 낚시의 웜루어 이탈방지장치
US20130145674A1 (en) Trailer Connection and Hook System
KR102669737B1 (ko) 유동형 웜루어 채비
KR20220002766U (ko) 유동형 웜루어 채비
CN218977769U (zh) 一种可更换式串钩线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