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8802U - 루어낚시용 스피너 베이트 - Google Patents

루어낚시용 스피너 베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8802U
KR20000018802U KR2019990005023U KR19990005023U KR20000018802U KR 20000018802 U KR20000018802 U KR 20000018802U KR 2019990005023 U KR2019990005023 U KR 2019990005023U KR 19990005023 U KR19990005023 U KR 19990005023U KR 20000018802 U KR20000018802 U KR 2000001880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nner bait
body portion
dust
fishing
bra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50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준철
Original Assignee
백준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준철 filed Critical 백준철
Priority to KR20199900050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8802U/ko
Publication of KR200000188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8802U/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10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at least one flat rotating body having its axis of rotation substantially non-coincident with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body, e.g. spinn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12Artificial bait for fishing comprising a body rotating around its longitudinal axis, e.g. dev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루어낚시용 스피너 베이트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고 형성되며, 전면부로는 먹이대상의 형상이 구비되고, 후측으로는 걸림바늘(11)이 위치되며, 상기 걸림바늘(11)의 외측으로는 스커트(12)가 형성된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전면부에서 소정의 경사각을 유지하며 형성되고, 중간부로는 낚시줄(30)을 걸어 위치시킬 수 있도록, 걸림부(21)가 절곡되게 위치되며, 후측으로는 브레이드(40)를 장착시키는 연결부(22)가 형성된 지지암(20)과, 상기 몸체부(10)의 전면 하부에 형성되어 수중의 바닥 지형과, 수심을 감지하고, 릴링시 몸체부(10)의 요동과 함께 흙먼지를 유발시키는 더듬이부재(50)로 구성되므로, 사용자는 스피너 베이트(100)의 몸체부(10) 전면 하부에 수중의 바닥 지형과, 수심을 감지하며, 포획대상 어종으로 하여금 시각적으로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액션, 즉, 요동과 함께 흙먼지를 유발시키는 더듬이부재(50)가 형성되어져 포획대상 어종을 쉽게 포획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숙련자가 아닌 초보자도 단시간내에 포획기술을 습득하여 흥미감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품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루어낚시용 스피너 베이트 {Spinner bait for lure fishing}
본 고안은 루어낚시용 스피너 베이트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스피너 베이트의 몸체 저면에 바닥면과 접지되어 수심 및 바닥지형을 파악하고, 흙먼지의 발생 및 몸체가 요동될 수 있도록 하는 더듬이부재를 형성하여, 포획률을 향상시킬 수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루어(LURE)는 배스등과 같은 육식성 어종을 포획할 때 쓰이는 미끼로서 배스등이 은신하고 있는 장소와 위치 그리고 주변환경에 따라 사용되는 루어의 종류도 다양하게 적용된다.
그리고, 배스등과 같은 육식성 어종이 먹이를 사냥하는 습성은 먹이감이 다니는 길목에 은신하고 있다가 흙먼지를 일으키며 빠르게 움직이는 먹이를 폭획하는 습성을 갖고 있다.
한편, 루어낚시는 배스가 위치한 지형과 위치, 그리고 주변환경에 따라 채비법도 달라진다.
그리고, 통상적으로 배스의 활성도가 좋은 곳(잔가지가 듬성한곳)에서는 스피너베이트를 이용하여 브레이드가 보일정도의 수심대를 공략하며, 배스가 수심층에서 보고 차고 올라오는 형태의 릴링방법이 바람직 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스피너베이트를 이용한 테크닉으로는 잔가지와 같은 장애물에 루어가 툭툭 부딪힐 때 생기는 변칙적인 액션을 연출하는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이는 즉, 정상적인 액션일 때 보다 불규칙한 액션에 배스가 민감한 반응을 보이기 때문이다.
한편, 일반적으로 루어낚시에 사용되는 스피너베이트의 형상은 크게 몸체와 브레이드 그리고 암으로 구성되며, 바늘에 작은 물고기나 털로 장식되어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리고, 브레이드(회전날개)의 형태에 따라서 인디아나형, 윌로우프형, 콜로라도 형이 있다.
또한, 작동되는 기능 별로 여러 형태의 스피너가 있으며 스피너와 다른 종류의 루어를 연결한 컴비네이션 루어도 있다.
또, 스피너베이트는 배스외에 산천어, 송어낚시와 꺽지, 그리고 끄리 낚시에서도 좋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바와 같이 종래의 루어낚시용 스피너 베이트는 바닥의 지형파악 및 수심등을 파악할 수 있는 별도의 더듬이부재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다.
따라서, 사용자의 감각에 의존하여야 하므로, 초보자의 경우 수심파악과 바닥지형을 파악하지 못하여 배스의 포획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루어낚시에 있어서 중요한 바닥면 감지 및 지형파악등은 단시간내에 이루어 질 수 없으므로 루어낚시의 흥미를 저하시키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또, 바닥면의 지형 및 바닥수심등을 파악한 후 지형지물을 이용한 액션등이 필요하나 이역시 초보자의 경우 매우 힘든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스피너 베이트의 몸체 저면에 바닥면과 접지되어 수심 및 바닥지형을 파악하고, 흙먼지의 발생 및 몸체가 요동될 수 있도록 하는 더듬이부재를 형성하여, 포획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루어낚시용 스피너 베이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루어낚시의 기본적인 기술이면서 포획률을 상승시키는 바닥면 감지능력과 수심파악능력 등을 쉽게 습득할 수 있어 루어낚시의 흥미감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한 루어낚시용 스피너 베이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품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루어낚시용 스피너 베이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루어낚시용 스피너 베이트의 형상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 루어낚시용 스피너 베이트의 암 후측에 형성된 스냅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인이 적용된 스피너 베이트를 이용하여 낚시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부 11 - 걸림바늘
12 - 스커트 20 - 지지암
21 - 걸림부 22 - 연결부
30 - 낚시줄 40 - 브레이드
50 - 더듬이부재 60 - 스냅고리
61 - 탄성핀 62 - 걸림고리
이러한 본 고안의 구성은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고 형성되며, 전면부로는 먹이대상의 형상이 구비되고, 후측으로는 걸림바늘(11)이 위치되며, 상기 걸림바늘(11)의 외측으로는 스커트(12)가 형성된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전면부에서 소정의 경사각을 유지하며 형성되고, 중간부로는 낚시줄(30)을 걸어 위치시킬 수 있도록, 걸림부(21)가 절곡되게 위치되며, 후측으로는 브레이드(40)를 장착시키는 연결부(22)가 형성된 지지암(20)과;
상기 몸체부(10)의 전면 하부에 형성되어 수중의 바닥 지형과, 수심을 감지하고, 릴링시 몸체부(10)의 요동과 함께 흙먼지를 유발시키는 더듬이부재(50)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피너 베이트(100)의 몸체부(10) 전면 하부에 수중의 바닥 지형과, 수심을 감지하며, 포획대상 어종으로 하여금 시각적으로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액션, 즉, 요동과 함께 흙먼지를 유발시키는 더듬이부재(50)를 형성하여, 포획대상 어종을 쉽게 포획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숙련자가 아닌 초보자도 단시간내에 포획기술을 습득하여 흥미감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품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인 루어낚시용 스피너 베이트의 형상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고안 루어낚시용 스피너 베이트의 암 후측에 형성된 스냅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이 적용된 스피너 베이트를 이용하여 낚시하는 상태를 사용상태도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 ∼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루어낚시용 스피너 베이트(100)의 몸체부(10)는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고 형성되며, 전면부로는 먹이대상의 형상이 구비되고, 후측으로는 걸림바늘(11)이 위치되며, 상기 걸림바늘(11)의 외측으로는 스커트(12)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바늘(11)의 외측부로 스커트(12)가 형성되는 이유는 릴링시 걸림바늘(11)을 감추기 위한 목적과, 포획대상 어종으로 시각적인 흥미를 유발시키 위하여 탄성이 양호한 여러가닥의 주로 고무줄로 이루어진 스커트(12)가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0)의 전면부에서 소정의 경사각을 유지하며 형성되는 지지암(20)은, 중간부로는 낚시줄(30)을 걸어 위치시킬 수 있도록, 걸림부(21)가 절곡되게 위치되며, 후측으로는 브레이드(40)를 장착시키는 연결부(22)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암(20)의 연결부(22)에 브레이드(40)를 장착하는 이유는 포획대상 어종으로 하여금 시각적인 흥미를 유발시키는 기능과 함께 스피너 베이트(100)를 사용하는 지역이 배스의 활성도가 좋은 곳에서 사용되므로, 브레이드(40)를 장착하므로써, 사용자는 브레이드(40)가 보일정도의 수심대를 공략하여 조과를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몸체부(10)의 전면 하부로는 수중의 바닥 지형과, 수심을 감지하고, 릴링시 몸체부(10)의 요동과 함께 흙먼지를 유발시켜 배스의 포획률을 상승시키는 더듬이부재(50)가 형성된다.
상기 더듬이부재(50)는 몸체부(10)의 전면 하부에 수직으로 위치되며, 더듬이부재(50)의 길이는 스피너 베이트(100)의 크기등에 따라 조절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0)의 전면 하부에 더듬이부재(50)를 형성하므로, 릴링시 스피너 베이트(100)가 바닥면과 접지되면서 이동되는 관계로 정상적인 액션이 아닌 불규칙적인 액션이 발생된다.
이는 배스가 정상적인 액션보다는 불규칙적인 민감한 반응을 보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스피너 베이트(100)의 전면하부에 더듬이부재(50)를 형성하므로써 사용자는 수심 및 바닥지형을 파악할 수 있고, 릴링시 더듬이부재(50)가 바닥면과 접지되면서 요동과 함께 흙먼지 수반되므로 배스로 하여금 시각적인 흥미를 유발시켜 공격토록 하여 포획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몸체부(10)의 후측에 형성되어 브레이드(40)를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걸림부(21)에는 선택적으로 브레이드(40)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스냅고리(60)를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스냅고리(60)의 형상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를 갖는 탄성핀(61)을 후크형으로 절곡시켜 사용한다.
즉, 상기 지지암(20)의 걸림부(21)에 후크형으로 형성된 탄성핀(61)을 끼워 위치시킨 후 중앙부에 스냅고리(60)를 형성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상기 스냅고리(60)의 조작은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탄성핀(61)의 양단부를 절곡시킨 후 걸림고리(62)를 형성하여 자체 탄성력에 의해 일측단부에 형성된 걸림고리(62)를 사용자가 눌러 단속 또는 해제하는 방식으로 브레이드(40)를 용이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걸림부(21)의 설치된 탄성핀(61)의 중앙부에는 자체 탄성력에 의해 작동되는 스냅고리(6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지형 및 수심 어종등에 따라 선택되어야 하는 브레이드(40)를 쉽고 간편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특정한 브레이드(40)가 이미 부착되어져 있는 스피너 베이트 전체를 일일이 구입하지 않고도 해당 브레이드(40)만을 간단히 교체 사용할 수 있으므상품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첫째, 스피너 베이트(100)의 몸체부(10) 하부에 수심 및 바닥지형을 파악할 수 있는 더듬이부재(50)를 형성하므로, 초보자도 쉽고 간편하게 수심 및 바닥지형을 파악할 수 있어 배스의 포획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상기 더듬이부재(50)가 릴링시 바닥면과 접촉된 후 이동되므로 몸체부(10)가 유동될 수 있는 것이며, 이와 동시에 흙먼지도 발생되어 배스가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다.
셋째, 바닥면과 접촉되면서 발생되는 유동 및 흙먼지 등에 의해 규칙적인 릴링에도 자연스럽게 불규칙한 액션이 발생되어 배스의 포획률을 증대 시킬 수 있다.
넷째, 초보자도 단시간 내에 배스포획 기술을 습득할 수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감을 증대시킬 수 있다.
다섯째, 특정한 브레이드(40)가 이미 부착되어져 있는 스피너 베이트 전체를 일일이 구입하지 않고도 해당 브레이드(40)만을 간단히 교체 사용할 수 있으므상품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품의 상품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고 형성되며, 전면부로는 먹이대상의 형상이 구비되고, 후측으로는 걸림바늘(11)이 위치되며, 상기 걸림바늘(11)의 외측으로는 스커트(12)가 형성된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전면부에서 소정의 경사각을 유지하며 형성되고, 중간부로는 낚시줄(30)을 걸어 위치시킬 수 있도록, 걸림부(21)가 절곡되게 위치되며, 후측으로는 브레이드(40)를 장착시키는 연결부(22)가 형성된 지지암(20)과;
    상기 몸체부(10)의 전면 하부에 형성되어 수중의 바닥 지형과, 수심을 감지하고, 릴링시 몸체부(10)의 요동과 함께 흙먼지를 유발시키는 더듬이부재(5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루어낚시용 스피너 베이트.
  2.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의 후측에 형성되어 브레이드(40)를 장착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걸림부(21)에는 선택적으로 브레이드(40)의 용이한 교체를 위하여,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탄성핀(61)의 양단부를 절곡시켜 걸림고리(62)를 형성한 후 자체 탄성력으로 단속 및 해제되는 스냅고리(60)를 형성하여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루어낚시용 스피너 베이트.
KR2019990005023U 1999-03-29 1999-03-29 루어낚시용 스피너 베이트 KR2000001880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5023U KR20000018802U (ko) 1999-03-29 1999-03-29 루어낚시용 스피너 베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5023U KR20000018802U (ko) 1999-03-29 1999-03-29 루어낚시용 스피너 베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802U true KR20000018802U (ko) 2000-10-25

Family

ID=54760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5023U KR20000018802U (ko) 1999-03-29 1999-03-29 루어낚시용 스피너 베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8802U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6279B1 (ko) 2015-09-15 2016-01-19 김화규 웜루어 원터치 샷
KR20160002940U (ko) 2016-08-03 2016-08-23 정좌용 3바늘 결합형 루어 채비
KR20170002412U (ko) 2015-12-24 2017-07-04 정좌용 원터치형 지그헤드 채비
KR20180001638U (ko) 2016-11-24 2018-06-01 정좌용 지그헤드 채비
KR20180002973U (ko) 2017-04-07 2018-10-17 김화규 루어낚시 채비
KR20190000392U (ko) 2017-08-03 2019-02-13 김화규 회전편대 루어채비
KR20190001671U (ko) 2017-12-22 2019-07-02 김화규 웜루어 원터치 채비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6279B1 (ko) 2015-09-15 2016-01-19 김화규 웜루어 원터치 샷
KR20170002412U (ko) 2015-12-24 2017-07-04 정좌용 원터치형 지그헤드 채비
KR20160002940U (ko) 2016-08-03 2016-08-23 정좌용 3바늘 결합형 루어 채비
KR20180001638U (ko) 2016-11-24 2018-06-01 정좌용 지그헤드 채비
KR20180002973U (ko) 2017-04-07 2018-10-17 김화규 루어낚시 채비
KR20190000392U (ko) 2017-08-03 2019-02-13 김화규 회전편대 루어채비
KR20190001671U (ko) 2017-12-22 2019-07-02 김화규 웜루어 원터치 채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36801A (en) Fishing lure
US5090151A (en) Fishing lure with releasable hook
US4640041A (en) Spinner bait with arms of different diameter
US5499470A (en) Fishing lure
US5918406A (en) Wiggling fishing lure
US5664364A (en) Fishhook
US5040325A (en) Rotating fishing rig
US11266136B2 (en) Spinner bait with hydro-drive rattle
US20140259867A1 (en) Fishing lure attachment system
US6155000A (en) Rattle bait fishing lure
US20140059916A1 (en) Rubber or soft plastic fishing spoon lure
US10492478B1 (en) Weedless fishing lure jig with offset bait
US5930941A (en) Fishing lure having three points of support
US8938907B2 (en) Anti-snag fishing device
US20050086849A1 (en) Wobbling fishing lure
US6895711B1 (en) Soft bait secured in place on a fishing hook
US5253446A (en) Flow-through fishing lure
US4976060A (en) Weedless fish lure
US20040172874A1 (en) Fishing lure assembly having concealed retractable hooks
KR20000018802U (ko) 루어낚시용 스피너 베이트
US5787634A (en) Saltwater fishing lure
US4551940A (en) Fishing lure
US5381623A (en) Fish lure
US4751789A (en) Swivel jig fishing lure
US5301452A (en) Bait-carrying hook and l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