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8387Y1 - 웜루어 원터치 샷 - Google Patents

웜루어 원터치 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8387Y1
KR200478387Y1 KR2020150000175U KR20150000175U KR200478387Y1 KR 200478387 Y1 KR200478387 Y1 KR 200478387Y1 KR 2020150000175 U KR2020150000175 U KR 2020150000175U KR 20150000175 U KR20150000175 U KR 20150000175U KR 200478387 Y1 KR200478387 Y1 KR 2004783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m
needle
coupling pin
lure
lu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01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화규
Original Assignee
김화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화규 filed Critical 김화규
Priority to KR20201500001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3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3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38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웜루어를 원터치로 신속하게 끼워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채비를 구성할 수 있게 하며 역동적인 훅킹(Hooking)으로 낚시효율성을 높여 우수한 조과를 거둘 수 있도록 한 원터치 샷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연결고리(6)가 형성되어 본선(7)에 연결되는 추(3)와; 상기 추(3) 일측에 형성되어 웜루어(W)를 끼워 결합하는 웜루어 결합핀(PIN)(2)과; 상기 웜루어 결합핀(2)에 형성되어 2중바늘(4)이 결합디는 고리(21)와; 상기 추(3) 일측에 형성된 웜루어 결합핀(1) 하측에 형성되어 2중바늘(5)이 결합되는 바늘 결합핀(PIN)(2)과; 상기 바늘 결합핀(2)에 형성되어 상기 2중바늘(5)이 결합디는 고리(21);로 웜루어 원터치 샷을 구성한 것에 요지가 있다.

Description

웜루어 원터치 샷{WORM LURE ONE-TOUCH SHOT}
본 고안은 웜루어 원터치 샷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웜루어를 원터치로 신속하게 끼워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채비를 구성할 수 있게 하며 역동적인 훅킹(Hooking)으로 낚시효율성을 높여 우수한 조과를 거둘 수 있도록 한 원터치 샷에 관한 것이다.
주로 웜(Worm:연질합성수지로 된 벌레형태의 인조미끼)으로 된 루어를 바늘에 끼워 사용하는 웜루어 낚시는 다양한 형태와 구조로 공지되어 있으며, 이러한 웜루어 낚시는 지그헤드(ZIG HEAD:추) 일측에 바늘을 형성하여 바늘에 웜을 끼워 낚시가 이루지도록 한 구조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하 본 고안에서는 지그헤드에 바늘을 형성한 지그헤드 채비를 포함하여 웜을 끼워 사용하는 채비를 웜루어 낚시로 통칭한다.)
상기한 웜루어 낚시는 지그헤드에 낚시줄을 연결하기 위한 고리와, 바늘이 형성되어 웜루어를 끼워 사용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참고문헌 1 내지 참고문헌10에서와 같이 다양한 형태와 구조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종래 웜루어 낚시의 문제점을 첨부 도면을 통해 상펴본다.
도 1은 종래 웜루어 낚시의 구성을 보인 것으로, 도 1의 (가)(나)에서와 같이 추(20)(지그헤드; 이하 추라 함)에 바늘(10)이 형성되고 또 낚시줄(40)에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고리(30)가 형성되어 추(20)에 형성된 바늘(10)에 웜루어(W)를 끼워 캐스팅후 릴링 동작에서 바늘(10)에 결합된 웜루어(W)가 대상어를 유인하여 포획하도록 채비를 구성한다.
상기 웜루어 낚시는 추(20) 일측의 바늘(10)에 웜루어(W)를 끼워 결합하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는 등의 여러 단점이 있다.
즉, 웜루어(W)를 바늘(10) 끝에서부터 끼워넣어 결합하게 되는 데, 휘어진 바늘(10) 끝에서 웜루어(W)를 강제로 삽입하는 과정이 용이치 않아 신속하게 웜루어(W)를 끼워 사용할 수 없고, 또 웜루어(W)는 실제 웜과 흡사한 외형과 움직임을 발휘할 수 있도록 주로 실리콘재질 등으로 성형되어있어 바늘(10)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웜루어(W)가 쉽게 찢어지는 등으로 훼손되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휘어진 바늘(10) 끝을 통해 결합된 웜루어(W)는 바늘(10)에 전체가 고정되어 구속됨으로써 움직임이 제한되어 웜루어(W)가 유연성을 전혀 발할 수 없게 되고 이에 따라 수중에서 실제 웜에 가까운 동작을 기대할 수 없어 유인효과가 저조할 수 밖에 없었다.
또한, 바늘(10)이 추(20)에 결합된 구조를 변경할 수 없어 정해진 바늘(10)에 일반적인 웜루어(W)를 끼운 획일화된 형태로만 사용 가능하였다.
즉, 추(20)에 바늘(10)이 결합된 구조로 그 형태가 고정되어 채비의 형태나 구조를 사용자가 변경할 수 없고 또 웜루어(W)를 쉽게 결합할 수 없었다.
한편, 참고문헌1에는 웜루어를 바늘에 끼워 고정시키지 않고 별도의 웜부착구에 결합하도록 한 웜루어 낚시가 개시되어 있는 데, 상기 웜루어 낚시는 추에서 돌출된 웜부착구에 웜루어를 끼우고 다시 웜루어의 몸에 바늘을 끼워 웜루어를 고정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기존 채비와 같이 웜루어를 신속하게 끼워 사용할 수 없고 웜루어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등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웜루어가 웜부착구에 살짝 끼워진 형태로 얕게 고정되어 캐스팅과 릴링 과정에서 웜루어가 웜부착구로부터 분리될 우려가 높고 웜루어의 고정을 위해 바늘을 유동가능하게 구성하여야 하는 등의 여러 문제점으로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다.
이하에는 본 고안의 배경기술로서, 상기 웜루어 낚시와는 또 다른 종류의 루어낚시에 대해 살펴본다.
참고문헌11 내지 참고문헌14에서와 같이, 합성수지/목재 등의 재질로서 물고기, 곤충형태 등으로 루어를 구성하고 삼중바늘(3개의 바늘을 하나로 합체한 바늘) 등을 결합한 루어낚시와, 참고문헌 15내지 참고문헌18에서와 같이 스피너가 달린 베이트와, 스피너 및 여러 유인수단이 콤비(combination)를 이룬 스피너 베이트 등의 루어일체형 낚시(이하, 상기 웜루어 낚시와 구별하기 위해 일체형 루어낚시로 통칭한다.)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일체형 루어낚시는 생물 미끼와 유사한 형상으로 본체가 형성되어 자체적으로 인조미끼(루어)를 일체로 구성하고 있으므로 이미 전술한 웜루어 낚시와 달리 웜루어를 끼워야 하는 불편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 일체형 루어낚시 역시 전술한 웜루어 낚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한번 정해진 형태와 구조를 변경하여 사용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여러 종류와 다양한 형태의 루어를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체가 루어로 형성된 일체형 루어낚시와 웜루어 낚시는 이미 정해진 형태와 틀에서 변화를 줄 수 없는 획일적이고 단순한 채비 만을 구성할 수 밖에 없어 대상어 등에 따라 그 형태와 구조 변화를 줄 수 없고 웜루어 역시 다양한 종류와 형태의 것으로 선택할 수 없어 원하는 형태와 구조로 채비를 구성할 수 있는 폭이 좁은 단점이 있다.
(참고문헌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06212호, 2007.01.11. (참고문헌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44988호, 2007.05.02. (참고문헌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81128호, 2008.09.08. (참고문헌4)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12383호, 2013.02.04. (참고문헌5)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44267호, 2012.05.11. (참고문헌6)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42178호, 2013.03.11. (참고문헌7)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45486호, 2014.09.26. (참고문헌8)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21774호, 2014.10.16. (참고문헌9)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6963호, 2005.06.17. (참고문헌10)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9862호, 2006.06.26. (참고문헌1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121096호, 2006.11.28. (참고문헌12)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9-040636호, 1999.12.06. (참고문헌13)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66747호, 2000.02.15. (참고문헌14)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4-000661호, 2014.02.03. (참고문헌15)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0-0018802호, 2000.10.25. (참고문헌16)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1114호, 2006.07.07. (참고문헌17)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2480호, 2006.03.28. (참고문헌18)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0838호, 2004.09.06.
본 고안은 웜루어를 원터치로 손쉽게 끼워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빠른 채비의 구성으로 낚시의 신속성과 효율성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 본 고안은 웜루어를 신속하게 끼워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채비의 형태와 구조를 변화시켜 사용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또 본 고안은 웜루어의 신속한 결합과 함께 일체형 루어 등도 함께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채비를 다양화할 수 있게 하여 우수한 조과를 기대케 하고 낚시의 재미를 배가시킬 수 있는 등의 이점을 도모코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청구항1]에 기재된 고안에 따르면; 연결고리가 형성되어 본선에 연결되는 추; 상기 추 일측에 형성되어 웜루어를 끼워 결합하는 웜루어 결합핀; 상기 웜루어 결합핀에 형성되어 바늘이 결합되는 고리; 상기 웜루어 결합핀이 형성된 추 하측에 형성되어 바늘이 결합되는 바늘 결합핀과 고리로 이루어진 웜루어 원터치 샷에 있어서, 상기 웜루어 결합핀은 철선을 꼬아 형성하여 탄성과 강성을 함께 발휘할 수 있게 하고 그 끝에는 고리를 형성하여 2중바늘을 꿰어 결합할 수 있게 하며, 상기 웜루어 결합핀 끝의 고리는 끝을 뾰족하게 형성하여 웜루어를 끼워결합하는 작업을 용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고안은 웜루어를 원터치로 손쉽게 끼워 사용할 수 있어 채비를 빠르고 효과적으로 구성할 수 있어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낚시를 즐길 수 있다.
본 고안은 기존 획일화된 형태와 구조의 루어낚시에서 벗어나 여러 형태와 구조로 채비를 변화시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은 웜루어 단독으로 또는 일체형 루어도 함께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등, 채비의 다양화로 우수한 조과를 기대할 수 있고 낚시의 재미를 증대시킬 수 있는 등의 많은 이익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지그헤드 채비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도 4, 도 5는 본 고안의 일사용상태도
도 6, 도 7은 본 고안의 일부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및 정면도
도 8, 도 9는 본 고안의 일부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및 정면도
도 10, 도 11은 본 고안의 일부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및 정면도
도 12, 도 13은 본 고안의 일부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및 정면도
본 고안은 추(지그헤드) 일측에 바늘이 형성되고 바늘에 웜루어를 끼워 결합하는 웜루어 낚시에 있어서, 상기 추 일측에 웜루어 결합핀(PIN)과 바늘 결합핀(PIN)을 각각 형성하여 웜루어 결합핀에는 웜루어를, 바늘 결합핀에는 바늘을 결합할 수 있도록 웜루어 원터치 샷을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웜루어가 결합되는 웜루어 결합핀과 바늘이 결합되는 바늘 결합핀은 추 일측에 상하로 각각 형성한다.
상기 웜루어 결합핀은 바늘 결합핀의 상측에 형성하는 것으로, 웜루어 결합핀은 웜루어를 끼워 결합할 수 있도록 가늘고 길게 형성하고, 상기 웜루어 결합핀 하측의 바늘 결합핀은 상부의 웜루어 결합핀 보다 짧게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웜루어 결합핀은 가늘고 긴 철선으로 형성하여 연성과 함께 가소성을 가지도록 구성하여 끝단을 통해 웜루어를 한번에 용이하게 끼울 수 있게 하고 끼운 상태에서 웜루어 결합핀을 소정 방향으로 변형시켜 채비를 구성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웜루어 결합핀의 끝에는 고리를 형성하여 여기에 2중(3개의 바늘로 이루어진 바늘)을 끼워 결합할 수 있게 하고, 바늘 결합핀의 끝에도 역시 고리를 형성하여 여기에 2중 바늘을 끼워 결합할 수 있게 구성한다.
이하에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내용을 첨부 도면과 함께 살펴본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정면도,도 4, 도 5는 본 고안의 일사용상태도이다.
상기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거나 변경되는 것은 아니며 이러한 예시에 기초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는 당연하다.
추(3) 일측에 웜루어(W)를 끼워 결합하기 위한 웜루어 결합핀(PIN)(1)을 형성하고, 상기 웜루어 결합핀(1) 하측에 바늘 결합핀(PIN)(2)을 각각 형성한다.
상기 웜루어 결합핀(1)과 바늘 결합핀(2)이 일측에 형성되는 추(3)는 도시한 예와 같이 흡사 곤충이나 작은 물고기 류의 머리형태 처럼 앞쪽으로 뾰족하게 형성하고, 그 반대측에 웜루어 결합핀(1)과 바늘 결합핀(2)을 형성한다.
상기 웜루어 결합핀(1)과 바늘 결합핀(2)은 도시한 예와 같이 추(3) 일측으로 일방향으로 나란히 간격을 두고 형성하여 웜루어 결합핀(1)에 웜루어(W)를 끼우는 과정에서 하측의 바늘 결합핀(2)이 방해되지 않게 한다.
그리고 상기 웜루어 결합핀(1) 끝에는 도시한 예와 같은 2중바늘(4;바늘이 2개 형성된 바늘)을 결합할 수 있도록 고리(11)를 형성한다.
상기 웜루어 결합핀(1)은 철선을 꼬아 형성함으로써 강성과 함께 탄성을 발휘할 수 있게 하며, 특정 방향이나 형태로 구부렸을 때 탄성을 유지하면서 가소성에 의해 그 형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또 끝단의 고리(11)는 타원형으로 형성하거나 선측을 돌출시켜 뾰족하게 형성함으로써 웜루어(W)를 끼워 결합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웜루어 결합핀(1) 하측에는 바늘 결합핀(2)을 형성하고 그 끝에 고리(21)를 형성하여 여기에 2중 바늘(5)을 결합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웜루어 결합핀(1)의 고리(11)과 바늘 결합핀(2)의 고리(21)에 결합되는 2중 바늘(4)(5)은 당연히 3중 바늘 등 다양한 바늘로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2중 바늘(4)(5)로 실시함이 더 유리하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에서 다시 살펴본다.
한편, 상기 바늘 결합핀(2)은 전술한 바와 같이 웜루어 결합핀(1) 하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하며, 웜루어 결합핀(1) 보다 작은 길이로 형성한다.
상기 바늘 결합핀(2)은 웜루어 결합핀(1) 보다 적어도 1/2 이하의 길이로 형성하거나 도시한 예와 같이 1/3이하의 길이로 형성하는 것이 웜루어 결합핀(1)에 웜루어(W)를 끼워 결합하는 작업에 방해되지 않는 등으로 유리한다.
또 웜루어 결합핀(1)에 결합된 웜루어(W)의 전후로 바늘(4)(5)이 배치되므로 조과에 더욱 유리한 이점을 기대할 수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은 웜루어 결합핀(1)에 웜루어(W)를 원터치로 끼워 결합할 수 있다. 연질의 웜루어(W)를 웜루어 결합핀(1) 끝의 고리(11)를 통해 끼워 넣기하면 쉽게 원터치로 웜루어(W)를 웜루어 결합핀(1)에 끼울 수 있고, 또 끝의 고리(11)에 2중 바늘(4)을 꿰어 결합하면 되므로 신속하게 채비를 구성할 수 있다.
2중 바늘(4)의 경우에는 3중 바늘과 달리 한쪽 바늘 끝을 고리(11)에 끼우면 바로 고리(11)에 결합되므로 바늘을 결합하기 위한 후크 등이 없이도 손쉽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웜루어(W)를 결합한 웜루어 결합핀(1)은 그 자체로 탄성을 가지고 있어 웜루어(W)의 움직임을 구속하지 않고 또 도시한 예와 같이 원하는 방향이나 형태로 변형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뛰어난 유인효과를 거둘 수 있다.
상기 웜루어 결합핀(1)과 바늘 결합핀(2)이 일측에 형성된 추(3) 상부로는 본선(7)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고리(6)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연결고리(6)는 도 6, 도 7과 같이 추(3) 일측에 형성하는 등으로 실시할 수 있다.
즉, 도시한 예와 같이 웜루어 결합핀(1)과 바늘 결합핀(2)의 반대 방향에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8 내지 도 11은 본 고안의 일부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추(3) 일측의 웜루어 결합핀(1A)을 2개 복선 구조로 실시하거나 웜루어 결합핀(1B)을 단선으로 실시한 예이다.
즉, 도시한 예와 같이 선측에 고리(11)를 형성한 2개 복선 구조로 웜루어 결합핀(1A)을 형성하여 실시하거나 1개 단선으로 웜루어 결합핀(1B)을 형성하여 강성 유지와 함께 탄성을 발휘할 수 있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웜루어 결합핀(1)은; 도 12 및 도 13과 같이 선측에 고리(11) 대신에 웜루어(W)의 결합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하고 임의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미늘(12)을 형성한 웜루어 결합핀(1C)를 구성하는 등으로도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 도면에 사용한 부호에 대해 간략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1/1A/1B/1C: 웜루어 결합핀
11: 고리 12:미늘
2:바늘 결합핀 21:고리
3:추 4,5:2중 바늘
6:연결고리 7:본선
W:웜루어(WORM )
전술한 부호의 설명을 포함하여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 기재된 용어는 본 고안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는 물론 도면을 포함한 전체 기재내용으로 보아서 그 기술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하여야 하는 것이지 사전적 의미에 한정함으로써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개념을 불분명하게 해석하여서는 아니될 것이다.

Claims (6)

  1. 연결고리(6)가 형성되어 본선(7)에 연결되는 추(3); 상기 추(3) 일측에 형성되어 웜루어(W)를 끼워 결합하는 웜루어 결합핀(PIN)(1); 상기 웜루어 결합핀(1)에 형성되어 바늘이 결합되는 고리(11); 상기 웜루어 결합핀(1)이 형성된 추(3) 하측에 형성되어 바늘이 결합되는 바늘 결합핀(2)과 고리(21)로 이루어진 웜루어 원터치 샷에 있어서,
    상기 웜루어 결합핀(1)은 철선을 꼬아 형성하여 탄성과 강성을 함께 발휘할 수 있게 하고 그 끝에는 고리(11)를 형성하여 2중바늘(4)을 꿰어 결합할 수 있게 하며,
    상기 웜루어 결합핀(1) 끝의 고리(11)는 끝을 뾰족하게 형성하여 웜루어(W)를 끼워결합하는 작업을 용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웜루어 원터치 샷.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2020150000175U 2015-01-09 2015-01-09 웜루어 원터치 샷 KR2004783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175U KR200478387Y1 (ko) 2015-01-09 2015-01-09 웜루어 원터치 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175U KR200478387Y1 (ko) 2015-01-09 2015-01-09 웜루어 원터치 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8387Y1 true KR200478387Y1 (ko) 2015-10-02

Family

ID=54342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0175U KR200478387Y1 (ko) 2015-01-09 2015-01-09 웜루어 원터치 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387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973U (ko) 2017-04-07 2018-10-17 김화규 루어낚시 채비
KR20190000392U (ko) 2017-08-03 2019-02-13 김화규 회전편대 루어채비
KR20190026387A (ko) 2017-09-05 2019-03-13 권택성 낚시용 루어
KR20190001671U (ko) 2017-12-22 2019-07-02 김화규 웜루어 원터치 채비
KR20220002766U (ko) 2021-05-14 2022-11-22 김화규 유동형 웜루어 채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11076A (ja) * 2011-11-28 2013-06-10 Fujiwara:Kk 餌針付きジグヘッド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11076A (ja) * 2011-11-28 2013-06-10 Fujiwara:Kk 餌針付きジグヘッド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973U (ko) 2017-04-07 2018-10-17 김화규 루어낚시 채비
KR20190000392U (ko) 2017-08-03 2019-02-13 김화규 회전편대 루어채비
KR20190026387A (ko) 2017-09-05 2019-03-13 권택성 낚시용 루어
KR20190001671U (ko) 2017-12-22 2019-07-02 김화규 웜루어 원터치 채비
KR20220002766U (ko) 2021-05-14 2022-11-22 김화규 유동형 웜루어 채비
KR20230170875A (ko) 2021-05-14 2023-12-19 김화규 유동형 웜루어 채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8387Y1 (ko) 웜루어 원터치 샷
KR101586279B1 (ko) 웜루어 원터치 샷
US2989817A (en) Weighted hook with dual eyes
JP2008167754A (ja) 釣り具
US20140150329A1 (en) Fishing Lure
US10219497B2 (en) Fish collecting device
US20090145017A1 (en) Fishing Bait Including Fly Tying Materials
KR200407643Y1 (ko) 낚시용 탈착 인조미끼
US20080066370A1 (en) Fish hook with two eyelets
JP2011172500A (ja) プラスチックルアー
US20110296738A1 (en) Fishing lure
US3405475A (en) Fish lure
US20120000112A1 (en) Flexible shaft spinnerbait fishing lure assembly with"V" shaped stabilizer
US8959827B1 (en) Enhanced action fishing lures
US3138892A (en) Fishing lure
KR20190001671U (ko) 웜루어 원터치 채비
US20090100740A1 (en) Triangular shaped cedar plug fishing lure and method
KR20160002940U (ko) 3바늘 결합형 루어 채비
KR20200000292U (ko) 루어 바늘
US2039039A (en) Artificial bait
JP3191193U (ja) ルアーおよびルアー用部材
JP3217356U (ja) 釣り具
JP2015019600A (ja) 釣り用ルアー
KR200479484Y1 (ko) 중공형 로드 및 그립을 구비한 루어 낚시대
US3864863A (en) Fish l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