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1700A - 수불용성 스폰지에 자외선 차단기능을 지닌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화장품 - Google Patents

수불용성 스폰지에 자외선 차단기능을 지닌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화장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1700A
KR20170001700A KR1020160178959A KR20160178959A KR20170001700A KR 20170001700 A KR20170001700 A KR 20170001700A KR 1020160178959 A KR1020160178959 A KR 1020160178959A KR 20160178959 A KR20160178959 A KR 20160178959A KR 20170001700 A KR20170001700 A KR 20170001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smetic composition
less
cosmetic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8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8572B1 (ko
Inventor
박병규
강성수
박상욱
김경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ublication of KR20170001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8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85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46Imidazole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benzimid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6Aerosols; Fo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4Water-in-oil emulsions, e.g. Water-in-silicone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외선 차단 기능이 있는 화장료 조성물 및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수불용성 스폰지를 포함하는 화장품에 관한 것으로, 수불용성 스펀지에 자외선 차단제가 흡착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고, 이로써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자외선 차단제로부터 예상되는 자외선 차단 효과(자외선 차단 지수/등급)를 온전히 발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불용성 스폰지에 자외선 차단기능을 지닌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화장품{Cosmetics of water insoluble sponge containing cosmetic compositions of sunscreen function}
본 발명은 수불용성 스폰지에 함침하여 제공되는 우수한 자외선 차단기능을 가진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수불용성 스폰지에 함침시켜 제공하는 화장료 조성물에서 해당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자외선 차단제의 총 함량 대비 발휘되는 자외선 차단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음을 인식하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우수한 자외선 차단 효과를 발휘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러한 화장료 조성물이 수불용성 스폰지에 함침된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오염으로 인해 오존층이 파괴되어 자외선 노출이 심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자외선은 피부에 홍반, 부종, 주근깨, 피부암 등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다. 이에 따라 최근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제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삶이 윤택해지면서 생활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자 하는 욕구뿐만 아니라, 스키, 골프, 해수욕 등의 레저활동 인구가 늘어나면서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요구가 늘어가고 있고,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수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자외선은 파장에 따라 3개의 영역으로 구분되며, 200-290 nm의 파장은 자외선 C(UVC), 290-320 nm의 파장은 자외선 B(UVB), 및 320-400 nm의 파장은 자외선 A(UVA)로 분류된다. 그 중 UVC는 오존층을 통과하면서 지표면에 도달하지 못하고 소실되며, UVB는 피부의 표피까지 침투되어 홍반, 주근깨, 부종 등을 일으킨다. UVA는 피부의 진피까지 침투하여 피부암, 주름, 및 멜라닌 형성을 촉진하는 등, 피부 노화 및 피부자극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장파장 자외선(UVA)은 진피층 내 단백질의 변성, 모세혈관 확장, 핵산(DNA)의 파괴 등에 의한 피부노화를 촉진하여 경계의 대상으로 지목되고 있다. 한편, 피부의 표피 부분에서 대부분 흡수되는 중파장 자외선(UV-B)은 표피에 급격히 작용하여 화상을 입히기 때문에 유해 자외선이라 부르기도 한다. 장파장 자외선은 1년 내내 피부에 와 닿고 있지만 자각증상이 없기 때문에 자기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피부는 늙게 된다.
*
태양광 노출에 의한 위험이 알려지면서 자외선 차단 제품에 대한 대중들의 관심이 증가하였고, 이에 따라 다양한 자외선차단지수(Sun Protection Factor, SPF) 및 자외선A차단등급(Protection grade of UVA, PA)을 가지는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한편, 화장품의 제형과 관련해, 액상 화장품이 발림성이나 사용감이 우수하여 선호도가 높지만 손에 덜어 펴서 발라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 및 휴대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저점도 유화 제형인 액상 화장료 조성물을 SBR(styrene-butadiene rubber), BR(butadiene rubber), NBR(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ABS, PE(polyethylene), PVA(polyvinyl alcohol), EVA(ethylene vinyl acetate), PU(polyurethane) 등을 발포 가공한 수불용성 스폰지에 함침시켜, 사용 및 휴대가 간편한 화장품으로 개발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폴리우레탄 스폰지에 함침시킨 화장품이 대중적으로 사용되어오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수불용성 스폰지에 함침시킨 화장료 조성물에 자외선 차단 기능을 부여하고자 시도했으나, 자외선 차단 기능을 지닌 화장료 조성물을 수불용성 스펀지에 함침시킨 경우,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자외선 차단제의 총 함량에 따라 예상되는 자외선 차단 지수/등급에 비해 실제 발휘되는 자외선 차단 지수/등급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아울러,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문제의 원인이 수불용성 스펀지와 직접 접촉하는 유용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가 수불용성 스펀지에 흡착되어, 결과적으로 함침 전과 동일 농도로 자외선 차단제가 배출되지 않는데 있음을 밝혀냄으로써, 본 문제의 원인을 규명하였다.
KR 10-1257628 B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유용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가 수불용성 스펀지에 흡착하지 않도록, 자외선 차단제의 조성 및/또는 화장료 조성물의 상(phase)을 선택하고, 이로써 부가된 자외선 차단 기능이 온전히 발휘될 수 있으면서, 또한 우수한 자외선 차단 기능(SPF 30이상, PA++이상)을 발휘하는 동시에 백탁 문제가 없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러한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수불용성 스폰지를 포함하는 화장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수불용성 스폰지에 함침하여 제공하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최외상에 유용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최외상에 존재하되 수불용성 스폰지에 흡착하지 않는 유용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SPF 30이상 및 PA++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다음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ⅰ.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
ⅱ. 수불용성에서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으로 전환된 유기 자외선 차단제; 또는
ⅲ. 캡슐화된 유기 자외선 차단제.
또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수상 단독, 수중유형 에멀젼 또는 최외상이 수상인 다중 에멀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유중수형 또는 다중 에멀젼이고,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최외상 외에 유용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상기 수불용성 스폰지는 SBR(styrene-butadiene rubber), BR(butadiene rubber), NR(natural rubber) 또는 NBR(acrylonitrile-butadiene rubber)가 포함되는 소수성 단량체 고분자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파운데이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수불용성 스폰지와 상기 수불용성 스폰지에 함침시키는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하고, 최외상에 유용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최외상에 존재하되 수불용성 스폰지에 흡착되지 않는 유용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용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가 수불용성 스펀지에 흡착하지 않는 조성 및/또는 상(phase)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수불용성 스폰지에 함침하여 제공하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최외상에 유용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최외상에 존재하되 수불용성 스폰지에 흡착하지 않는 유용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하여, 우수한 자외선 차단 효과, 바람직하게 SPF 30 이상 및 PA++ 이상을 발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불용성 스폰지와 상기 수불용성 스폰지에 함침시키는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최외상에 유용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최외상에 존재하되 수불용성 스폰지에 흡착되지 않는 유용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 우수한 자외선 차단 효과, 바람직하게 SPF 30 이상 및 PA++ 이상을 발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을 제공한다.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자외선 차단제”에는 자외선을 산란, 반사 또는 흡수하는 등의 기전으로 피부에 도달한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는 성분이라면 모두 포함될 수 있으며, 예컨대, 무기 자외선 차단제, 유기 자외선 차단제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는 유기 자외선 차단제, 무기 자외선 차단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자외선 흡수 효과가 있고 백탁 현상이 없다는 장점이 있으며, 유용성, 수용성, 유분산성 또는 수분산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로 구분될 수 있다. 예컨대, 유용성 또는 유분산성으로는 4-메칠벤질리덴캠퍼, 디소듐페닐디벤즈아미다졸테트라설포네이트, 디에칠헥실부타미도프리아존,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에칠헥실디메칠파바, 글리세릴파바, 드로메트리졸,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 디갈로일트리올레이트, 3-(4-메칠벤질리덴)-캄파, 메틸안트라닐레이트,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 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벤조페논-3, 벤조페논-4, 벤조페논-8,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시녹세이트, 에칠헥실트리아존,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옥토크릴렌, 옥틸디메칠파바, 옥틸살리실레이트, 옥시벤존, 시녹세이트, 옥틸트리아존,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파라아미노안식향산, 호모살레이트, 이소아밀-p-메톡시신신나메이트,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및 폴리실리콘-15 등과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은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포닉애씨드 및 그 염류, 2-페닐벤즈이미다졸-5-설폰산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자외선 산란, 반사 효과가 있으나 백탁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예컨대,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및 지르코늄옥사이드, 칼슘 세륨 옥사이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부가된 자외선 차단 기능이 온전히 발휘될 수 없는 이유는 유용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가 수불용성 스폰지에 흡착되기 때문인 것으로 그 원인을 규명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화장료 조성물의 유용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 함량 또는 형태 등의 조절을 통해 본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며, 보다 바람직하게 화장료 조성물의 최외상에서의 유용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 함량 또는 형태 등의 조절을 통해, 본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용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 외의 자외선 차단제'는 종류/분산성(e.g.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 수불용성에서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으로 전환된 유기 자외선 차단제 또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 등이 포함), 함량 또는 화장료 조성물 내 위치를 선택하는데 있어, 수불용성 스폰지에의 흡착과 무관하게, 당업계에 속하는 통상의 기술자가 적절히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최외상 외에는' 어떠한 자외선 차단제가 포함되어도 무방하며, 예컨대 자외선 차단제의 종류/분산성/ 수·유용성(e.g. 유용성 또는 유분산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 수불용성에서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으로 전환된 유기 자외선 차단제 또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 등이 포함, 즉 유용성 또는 유분산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도 포함됨), 함량 등을 불문하고, 당업계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자외선 차단제라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다중 에멀젼, 유중수중유형(O1/W/O2) 또는 수중유중수형(W/O1/W)에서 '유상(O1)'에는 유용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여 어떠한 자외선 차단제라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제가 수불용성 스폰지에 흡착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흡착하지 않는"은 수불용성 스폰지로부터 배출된 (유기) 자외선 차단제의 농도가 함침 전의 (유기) 자외선 차단제의 농도의 90% 이상, 95% 이상, 97% 이상, 99% 이상, 100% 이상인 것을 의미한다.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1 이상의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의미한다.
일 태양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최외상에는 유용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최외상"은 화장료 조성물이 수불용성 스폰지에 함침될 때 수불용성 스폰지와 직접 접촉면을 가장 많이 갖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단일의 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 (즉 단독수상 또는 단독유상) 해당 단일의 상을 최외상이라고 보고, 유중수형 에멀젼의 경우 최외상은 유상이고 수중유형 에멀젼의 경우 최외상은 수상이며, 다중 에멀젼을 '(X)/(X)n/Y'와 같이 기재하는 경우(상기 'X, Y'는 수상(water phase) 또는 유상(oil phase)일 수 있고, 수상이면 'W'로 약칭할 수 있으며, 유상이면 'O'로 약칭할 수 있음. 상기 'n'은 1 이상임), 상기 'Y'가 최외상에 해당하며, 일례로 유중수중유형(O1/W/O2)에서 최외상은 '유상(O2)'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않거나)"는 화장료 조성물의 최외상에 존재하는 함량이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총 중량 대비 10 중량% 미만, 9 중량% 미만, 8 중량% 미만, 7 중량% 미만, 6 중량% 미만, 5 중량% 미만, 4 중량% 미만, 3 중량% 미만, 2 중량% 미만, 1 중량% 미만, 0.5 중량% 미만, 0.05 중량% 미만, 0.0005 중량% 미만, 또는 가장 바람직하게 0.00001 중량% 미만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최외상에 포함된 유용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의 함량이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유기 자외선 차단제 총 함량 대비 10 중량% 미만, 9 중량% 미만, 8 중량% 미만, 7 중량% 미만, 6 중량% 미만, 5 중량% 미만, 4 중량% 미만, 3 중량% 미만, 2 중량% 미만, 1 중량% 미만, 0.5 중량% 미만, 0.05 중량% 미만, 0.0005 중량% 미만, 또는 가장 바람직하게 0.00001 중량% 미만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최외상에는, 자외선 차단제로 무기 자외선 차단제만 함유하고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전혀 함유하지 않는 경우도, 본 용어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최외상에는, 자외선 차단제로 수용성, 수분산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만 함유하고 유용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전혀 함유하지 않는 경우도, 본 용어에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양태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최외상에는 수불용성 스폰지에 흡착하지 않는 유용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흡착하지 않는"은 '수불용성 스펀지에 흡착된 (유용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의 중량'/'화장료 조성물의 최외상에 포함되는 (유용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의 중량' x 100 (%)로 환산한 값이 10 중량% 미만, 9 중량% 미만, 8 중량% 미만, 7 중량% 미만, 6 중량% 미만, 5 중량% 미만, 4 중량% 미만, 3 중량% 미만, 2 중량% 미만, 1 중량% 미만, 0.5 중량% 미만, 0.05 중량% 미만, 0.0005 중량% 미만, 또는 가장 바람직하게 0.00001 중량% 미만인 것을 의미하고, 상기 (유용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1 이상의 (유용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최외상에 존재하되 수불용성 스폰지에 흡착하지 않는 유용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화장료 조성물의 상 조절 및/또는 유용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의 조성을 선택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화장료 조성물의 상(phase) 선택 면에서, 화장료 조성물의 최외상을 수상으로 구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최외상이 수성인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예컨대, 단독수상, 유중수형, 또는 다중 에멀젼('(X)/(X)n/Y')에서 Y가 수상인 경우가 포함될 수 있다. 화장료 조성물의 최외상이 수상인 경우, 수상인 최외상에 존재하는 유용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혹은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으로 전환된 것이 바람직하고, 유용성 또는 유분산성이라면 캡슐화(encapsulation) 등의 방법으로 수상에 분산 가능하도록 개질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용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의 조성 선택 면에서, 수불용성 스폰지에 흡착하지 않도록 개질된 유용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어, "개질"이란 유기 자외선 차단제의 화학적 또는 물리적 변형을 모두 포괄하나, 예컨대 최외상에 존재하는 유용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와 수불용성 스폰지 간의 직접 접촉을 막는 방법(e.g. 유용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의 캡슐화), 또는 유용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와 수불용성 스폰지가 접촉하되 흡착 반응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방법(e.g. 화합물 구조의 변형, 수용성·수분산성으로의 변형 등)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고, 유용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는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10 중량% 미만, 9 중량% 미만, 8 중량% 미만, 7 중량% 미만, 6 중량% 미만, 5 중량% 미만, 4 중량% 미만, 3 중량% 미만, 2 중량% 미만, 1 중량% 미만, 0.5 중량% 미만, 0.05 중량% 미만, 0.0005 중량% 미만, 또는 가장 바람직하게 0.00001 중량% 미만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유용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의 함량이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유기 자외선 차단제 총 함량 대비 10 중량% 미만, 9 중량% 미만, 8 중량% 미만, 7 중량% 미만, 6 중량% 미만, 5 중량% 미만, 4 중량% 미만, 3 중량% 미만, 2 중량% 미만, 1 중량% 미만, 0.5 중량% 미만, 0.05 중량% 미만, 0.0005 중량% 미만, 또는 가장 바람직하게 0.00001 중량% 미만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우수한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갖는바, 바람직하게 자외선 차단지수(Sun Protection Factor, SPF) 30 이상 및/또는 자외선A 차단지수(Protection Factor of UVA, PFA) 4 이상, 자외선 A 차단등급(Protection grade of UVA, PF) ++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백탁현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상기 “자외선 차단지수(Sun Protection Factor, SPF)”는 UVB를 차단하는 제품의 차단효과를 나타내는 지수로 자외선차단제품을 도포하여 얻은 최소홍반량을 자왼선차단제품을 도포하지 않고 얻은 최소홍반량으로 나눈 값을 의미한다. 상기 “최소홍반량(Minumum Erythema Dose, MED)”은 UVB를 사람의 피부에 조사한 후 16~24시간의 범위내에, 조사영역의 전 영역에 홍반을 나타낼 수 있는 최소한의 자외선 조사량을 말한다. 자외선 차단지수 측정방법으로서, 피험자선정, 시험부위, 제품 무도포부위의 최소홍반량 측정, 제품 도포부위 최소홍반량 측정, 광원선정, 표준시료, 제품 도포량, 제품 도포면적 및 조사부위의 구획, 광량증가, 자외선차단지수 계산, 및 자외선차단지수 표시방법은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고시 제2013-28호, 2013.4.5. 시행, 「기능성화장품 심사에 관한 규정」의 별표 3의 제2장 자외선차단지수(SPF) 측정방법에 고시된 바에 따른다.
상기 “자외선A 차단지수(Protection Factor of UVA, PFA)”는 UVA를 차단하는 제품의 차단효과를 나타내는 지수로 자외선차단제품을 도포하여 얻은 최소지속형즉시혹화량을 자외선차단제품을 도포하지 않고 얻은 최소지속형즉시혹화량으로 나눈 값을 의미한다. 상기 “최소지속형즉시혹화량(Minimal Persistent Pigment darkening Dose, MPPD)”은 UVA를 사람의 피부에 조사한 후 2~4시간의 범위내에, 조사영역의 전 영역에 희미한 혹화가 인식되는 최소 자외선 조사량을 말한다. 또한, “자외선A 차단등급(Protection grade of UVA, PF)”은 UVA 차단효과의 정도를 의미한다. PFA 2이상이면 PA를 표시하며, PFA 2 이상 4 미만은 PA+, PFA 4 이상 8 미만은 PA++, 그리고 PFA 8이상은 PA+++로 표기할 수 있다(단, PFA 값의 소수점 이하는 버리고 정수로 표기한 것을 전제로 함). 자외선A 차단지수 측정방법으로서 피험자선정, 시험부위, 시험 전 최소지속형즉시흑화량 측정, 제품 무도포 및 도포부위의 최소지속형즉시흑화량 측정, 광원선정, 표준시료, 제품 도포량, 제품 도포면적 및 조사부위의 구획, 광량증가, 및 자외선A차단지수 계산에 관해서는,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고시 제2013-28호, 2013.4.5. 시행, 「기능성화장품 심사에 관한 규정」의 별표 3의 제4장 자외선A차단지수 측정방법에 고시된 바에 따른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우수한 자외선 차단 효과를 발휘하면서, 백탁현상은 거의 나타나지 않는바, 일 예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15중량% 이하, 14 중량% 이하, 13중량% 이하, 12중량% 이하, 11중량% 이하, 10중량% 이하, 9중량% 이하, 8중량% 이하, 7중량% 이하, 6중량% 이하, 5중량% 이하, 4중량% 이하, 3중량% 이하, 2중량% 이하, 또는 1중량% 이하로 사용할 수 있다.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15 중량% 초과로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하면, 백탁현상이 문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자외선 차단제는 수불용성 스폰지에 거의 흡착하지 않는바, 수불용성 스폰지에 함침된 화장료 조성물에서 측정된 SPF 수치와 함침 전의 화장료 조성물의 SPF 수치의 차이가 2 이하, 1.5 이하, 1 이하, 0.5 이하, 0.1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수불용성 스폰지에 함침된 화장료 조성물에서 측정된 SPF 수치와 함침 전의 화장료 조성물의 PFA 수치의 차이가 0.5 이하, 0.4 이하, 0.3 이하, 0.2 이하, 0.1 이하, 0.05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수불용성 스폰지에의 흡착 억제 효과를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필요에 따라 색소, 항산화제, 활성제, 보습제, 약제, 금속이온 봉쇄제, 다가 알코올, 방부제 및 향료 등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는 성분의 종류, 함량 및 제형 등을 고려하여, 당업계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따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또는 화장품)은 예컨대, 메이크업 프라이머, 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스킨커버, 립스틱, 립그로스, 페이스파우더, 립라이너펜슬, 아이브라우펜슬, 아이섀도, 치크칼라, 콤팩트파우더, 트윈케익, 팩트, 파우더팩트, 아이브라우, 아이섀도우, 컨실러, 블러셔, 파우더 파운데이션 또는 에어리스 등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수불용성 스폰지]
본 발명에 따른 수불용성 스폰지는 화장료 조성물 함침(含浸)용으로 당업계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SBR(styrene-butadiene rubber), BR(butadiene rubber), NBR(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ABS, PE(polyethylene), PVA(polyvinyl alcohol), EVA(ethylene vinyl acetate), NR(natural rubber), PU(polyurethane) 등의 고분자를 발포 가공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불용성 스폰지에의 화장료 조성물 흡착 저해 효과가 두드러지게 발휘되는 것은 소수성 단량체 고분자를 발포 가공한 수불용성 스폰지일 수 있으며, 예컨대 SBR(styrene-butadiene rubber), NR(natural rubber), BR(butadiene rubber), NBR(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수불용성 스폰지에 함침하는 공정은 당업계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따를 수 있다.
[화장품]
본 발명은 수불용성 스폰지와 상기 수불용성 스폰지에 함침시키는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을 제공한다.
수불용성 스폰지와 이에 함침시키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설명은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상술한 내용으로 대신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에는 수불용성 스폰지 및 이에 함침된 화장료 조성물 외 당업계 통상의 기술자가 적절히 추가 구성(e.g. 퍼프)을 포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장품은 수불용성 스폰지, 상기 수불용성 스폰지에 함침시키는 화장료 조성물 및 퍼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 기능이 있는 화장료 조성물은 수불용성 스펀지에 함침하는 경우에도 수불용성 스펀지에의 자외선 차단제 흡착이 방지되는바,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자외선 차단제로부터 예상되는 자외선 차단 효과(자외선 차단 지수/등급)를 온전히 발휘할 수 있는 화장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파운데이션이 수불용성 스폰지에 함침된 화장품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 실시예>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유중수형 파운데이션 제조
아래 표 1에 기재된 성분 및 함량으로 유중수형 파운데이션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에서는 유용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EHMC),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IAMC),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EHS)) 및 무기 자외선 차단제(이산화티탄)를 포함하여 유중수형 파운데이션을 제조하였고, 이에 반해,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는 수용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애씨드(PBSA)) 및 무기 자외선 차단제(이산화티탄)를 포함하여 유중수형 파운데이션을 제조하였다.
유중수형 파운데이션은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유상조에 유상 성분과 점증제를 넣고, 80℃로 열을 가하여 균일하게 한 후, 피그먼트를 넣고 분산시켰다. 수상조에는 수상 성분을 넣고, 80℃로 열을 가하여 원료를 완전히 용해시킨 후, 피그먼트가 분산되어 있는 유상조에 첨가하여 호모믹서로 유화하여 저점도 자외선 차단 유화물을 제조하였다. 40ml 안정성 용기에 내용물을 채운 후, 25° 챔버에 하루 이상 보관한 후, 브룩필드 LVII 점도계에 spindle 4번을 이용하여 30rpm에서 1분간 작동시킨 후 25°에서 점도를 측정하였을 때 4,000 cps 의 점도가 나왔다.
구분 원료명 함량 (g)
비교예1 비교예2 실시예1 실시예2
유상성분 사이클로펜타실록산 17.0 20.0 25.0 25.0
페닐 트리메치콘 10.0 10.0 10.0 10.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2.0 2.0 2.0 2.0
디메치콘 2.0 2.0 2.0 2.0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7.5 7.5 0.0 0.0
피이지-10디메치콘 3.0 3.0 3.0 3.0
이소아밀P - 메톡시신나메이트 0.5 0.5 0.0 0.0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3.0 3.0 0.0 0.0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1.0 1.0 1.0 1.0
점증제 디스테아디모늄헥토라이트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피그먼트 이산화티탄 (자외선차단용) 8.0 4.0 4.0 8.0
이산화티탄 (안료급) 7.0 7.0 11.0 7.0
마이카 2.0 2.0 2.0 2.0
황색산화철 0.9 0.9 0.9 0.9
적색산화철 0.2 0.2 0.2 0.2
흑색산화철 0.1 0.1 0.1 0.1
수상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디프로필렌 글리콜 5.0 5.0 5.0 5.0
소금 1.0 1.0 1.0 1.0
트로메타민 0.0 0.0 2.5 2.5
페닐벤즈이미다졸 설포닉 애씨드 0.0 0.0 4.0 4.0
< 실험예> 수불용성 스폰지의 자외선 차단제 흡착 시험
비교예 1-2과 실시예 1-2의 파운데이션을 각각 SBR, NBR, 그리고 PU에 15g씩 함침한 후, 25° 챔버에서 하루 이상 보관하였다. 스폰지 표면에서 함침되지 않은 파운데이션은 제거한 후 다음을 진행하였다.
*먼저, 비교예 1-2과 실시예 1-2의 파운데이션이 함침된 스폰지를 각각 손으로 압박하여 파운데이션을 채득하였다.
식품의약품 안전처 고시 제2013-28호 기능성 화장품 기준 및 시험방법(KFCC)에 따라, 스폰지에 함침하기 이전의 파운데이션과 스폰지로부터 채득한 파운데이션을 각각 용매에 녹여 액체크로마토그래프법에 따라 자외부흡광광도계로 시험하여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EHMC),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애씨드(PBSA),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EHS), 그리고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IAMC)의 피크면적 AT 및 표준품의 피크면적 As를 구하여 함침 이전과 함침 이후의 변화된 값을 분석하였다.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의 양 (mg) = AT/ As X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표준품의 양(mg)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애씨드의 양 (mg) = AT/ As X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애씨드 표준품의 양(mg)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의 양 (mg) = AT/ As X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표준품의 양(mg)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의 양 (mg) = AT/ As X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표준품의 양(mg)
그 결과는 표 2(비교예1), 표 3(실시예1)과 같다.
스폰지
EHMC IAMC EHS PBSA
적용량
(g)
함침(%) 적용량
(g)
함침(%) 적용량
(g)
함침(%) 적용량
(g)
함침(%)
SBR 7.5 100.7 60.5 0.5 102.6 78.3 3.0 105.7 71.5 - - -
NBR 70.4 82.1 77.2 -
PU 95.1 93.3 94.6 -
스폰지
EHMC IAMC EHS PBSA
적용량
(g)
함침(%) 적용량
(g)
함침(%) 적용량
(g)
함침(%) 적용량
(g)
함침(%)
SBR - - - - - - - - - 4 101.3 98.8
NBR - - - 102.5
PU - - - 100.6
또한, 비교예 1-2과 실시예 1-2의 파운데이션이 함침된 스폰지를 이용해 인공피부(vitroskin)에 각각 고르게 도포하고 10분 방치 후 자외선차단지수 측정기(SPF-290S)를 이용하여 SPF, PFA 수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 4(비교예 1-2와 실시예 1-2에 대한 in-vitro SPF, in-vitro PFA 수치)와 같다.
비교예1 비교예 2 실시예1 실시예2
SPF PFA SPF PFA SPF PFA SPF PFA
함침전 53.0 9.2 34.4 4.3 33.4 4.6 57.8 9.5
SBR 37.3 6.4 18.6 3.2 32.9 4.3 56.4 9.1
NBR 42.8 7.2 21.5 3.3 34.1 4.6 56.7 9.4
PU 50.3 8.6 28.3 3.7 33.2 4.5 57.3 9.2
수불용성 스폰지의 자외선 차단제 흡착 시험 결과,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및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등과 같은 유용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가 유상에 있을 경우(비교예 1-2), 수불용성 스폰지에 흡착되어 크게 채득되는 양이 크게 감소하여 자외선 차단지수가 크게 떨어짐을 알 수 있으며 또한 자외선 차단 기능성 화장품법에 의거 주성분 함량이 90%에 미달되어 법적으로도 문제가 있음을 알수 있었다. 이에 반해, 페닐벤즈이미다졸 설포닉 애씨드와 같이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할 경우(실시예 1-2), 수불용성 스폰지에 흡착되지 않고 제대로 검출됨을 알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SPF 30이상, PFA 4이상의 우수한 자외선 차단 효과를 발휘함을 알 수 있었다.
단, 수불용성 스폰지의 경우 SBR이나 NBR에서 자외선 차단제 흡착이 크게 일어나고, PU의 경우 자외선 차단제 흡착이 일어나지만 SBR이나 NBR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게 일어나, SBR 또는 NBR 스폰지에 함침한 경우 보다 우수한 자외선 차단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Claims (10)

  1. 수불용성 스폰지와 상기 수불용성 스폰지에 함침시키는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고,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로서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애씨드(PSBA)를 포함하고,
    유용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유기 자외선 차단제의 총 중량 대비 10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수상 단독, 수중유형 에멀젼 또는 화장료 조성물의 최외상이 수상인 다중 에멀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유중수형 에멀젼 또는 화장료 조성물의 최외상이 유상인 다중 에멀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4. 수불용성 스폰지; 및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애씨드(PSBA)를 수상에 포함하고, 최외상에 유용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지 않는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유중수형 에멀젼 또는 화장료조성물의 최외상이 유상인 다중 에멀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6.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추
    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7.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다음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ⅰ.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애씨드 외의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
    ⅱ. 수불용성에서 수분산성으로 전환된 유기 자외선 차단제; 또는
    ⅲ. 캡슐화된 유기 자외선 차단제.
  8.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은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기자외선 차단제의 중량 대비 수불용성 스폰지에 흡착된 자외선 차단제의 중량이 10중량%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9.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불용성 스폰지는 SBR(styrene-butadiene rubber), BR(butadiene rubber), NR(natural rubber) 또는 NBR(acrylonitrilebutadiene rubber)가 포함되는 소수성 단량체 고분자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10.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파운데이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KR1020160178959A 2015-01-28 2016-12-26 수불용성 스폰지에 자외선 차단기능을 지닌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화장품 KR1019685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13647 2015-01-28
KR1020150013647 2015-01-28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0367A Division KR101691532B1 (ko) 2015-01-28 2015-12-16 수불용성 스폰지에 자외선 차단기능을 지닌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화장품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8674A Division KR102092297B1 (ko) 2015-01-28 2019-04-02 수불용성 스폰지에 자외선 차단기능을 지닌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화장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700A true KR20170001700A (ko) 2017-01-04
KR101968572B1 KR101968572B1 (ko) 2019-04-12

Family

ID=56711314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9816A KR20160092899A (ko) 2015-01-12 2015-08-04 수불용성 스폰지에 자외선 차단기능을 지닌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화장품
KR1020150171599A KR101694460B1 (ko) 2015-01-28 2015-12-03 수불용성 스폰지에 자외선 차단기능을 지닌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화장품
KR1020150180367A KR101691532B1 (ko) 2015-01-28 2015-12-16 수불용성 스폰지에 자외선 차단기능을 지닌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화장품
KR1020160178959A KR101968572B1 (ko) 2015-01-28 2016-12-26 수불용성 스폰지에 자외선 차단기능을 지닌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화장품
KR1020190038674A KR102092297B1 (ko) 2015-01-28 2019-04-02 수불용성 스폰지에 자외선 차단기능을 지닌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화장품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9816A KR20160092899A (ko) 2015-01-12 2015-08-04 수불용성 스폰지에 자외선 차단기능을 지닌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화장품
KR1020150171599A KR101694460B1 (ko) 2015-01-28 2015-12-03 수불용성 스폰지에 자외선 차단기능을 지닌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화장품
KR1020150180367A KR101691532B1 (ko) 2015-01-28 2015-12-16 수불용성 스폰지에 자외선 차단기능을 지닌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화장품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8674A KR102092297B1 (ko) 2015-01-28 2019-04-02 수불용성 스폰지에 자외선 차단기능을 지닌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화장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5) KR2016009289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3030A (ko) * 2016-06-30 2018-01-09 (주)아모레퍼시픽 유중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함침재를 포함하는 화장품
WO2018159651A1 (ja) * 2017-03-03 2018-09-07 株式会社資生堂 化粧品
KR101985171B1 (ko) 2017-11-29 2019-06-03 코스맥스 주식회사 친수성 겔화제 및 폴리올을 포함하는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16020B2 (ja) * 2004-06-28 2008-07-09 ロレアル 親水性スクリーニング剤を含む水中油型ファインエマルション
JP2008247816A (ja) * 2007-03-30 2008-10-16 Kose Corp 油中水型日焼け止め化粧料
KR20090100643A (ko) * 2008-03-20 2009-09-24 (주)아모레퍼시픽 발포 우레탄 폼에 함침시켜 제조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조성물
KR20110056820A (ko) * 2009-11-23 2011-05-31 (주)아모레퍼시픽 자외선 c(uvc) 차단용 조성물
WO2013046770A1 (ja) * 2011-09-30 2013-04-04 株式会社 資生堂 水中油型乳化化粧料
KR101257628B1 (ko) 2011-03-24 2013-04-29 (주)아모레퍼시픽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발포 우레탄 폼을 포함하는 화장품
KR20130116205A (ko) * 2012-04-13 2013-10-23 (주)아모레퍼시픽 발포 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담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54065B1 (fr) * 2003-04-28 2008-06-27 Oreal Emulsion eau-dans-huile solide utilisable en cosmetique
KR20060024612A (ko) * 2004-09-14 2006-03-1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자외선 차단 화장료 함침 시트
KR20130116182A (ko) * 2012-04-12 2013-10-23 (주)아모레퍼시픽 개선된 사용감을 가지는 발포 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16020B2 (ja) * 2004-06-28 2008-07-09 ロレアル 親水性スクリーニング剤を含む水中油型ファインエマルション
JP2008247816A (ja) * 2007-03-30 2008-10-16 Kose Corp 油中水型日焼け止め化粧料
KR20090100643A (ko) * 2008-03-20 2009-09-24 (주)아모레퍼시픽 발포 우레탄 폼에 함침시켜 제조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조성물
KR20110056820A (ko) * 2009-11-23 2011-05-31 (주)아모레퍼시픽 자외선 c(uvc) 차단용 조성물
KR101257628B1 (ko) 2011-03-24 2013-04-29 (주)아모레퍼시픽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발포 우레탄 폼을 포함하는 화장품
WO2013046770A1 (ja) * 2011-09-30 2013-04-04 株式会社 資生堂 水中油型乳化化粧料
KR20130116205A (ko) * 2012-04-13 2013-10-23 (주)아모레퍼시픽 발포 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담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4460B1 (ko) 2017-01-09
KR101691532B1 (ko) 2016-12-30
KR20190038789A (ko) 2019-04-09
KR20160092899A (ko) 2016-08-05
KR20160092912A (ko) 2016-08-05
KR101968572B1 (ko) 2019-04-12
KR102092297B1 (ko) 2020-03-23
KR20160092910A (ko) 2016-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1370B1 (ko) 스폰지 폼에 함침시켜 제조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품
CN110559197B (zh) 一种防晒乳及其制备方法
KR20190038789A (ko) 수불용성 스폰지에 자외선 차단기능을 지닌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화장품
KR20140127272A (ko) 새로운 차광계
GB2028131A (en) Sunblock formulations containing polyethylene
KR100968715B1 (ko) 유기계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하지 않은 자외선 차단용화장료 조성물
KR20110001539A (ko) 유기자외선 차단제가 담지된 중공성 구형 실리카 복합안료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55833B1 (ko) 파우더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1142233B1 (ko) 자외선 차단용 고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BR102012000372A2 (pt) Composição cosmética aquosa de protetor solar e uso da mesma, método cosmético para aplicação da referida composição, método cosmético para prevenir e controlar a oleosidade da pele, método cosmético para proteger a pele dos danos causados pela radiação ultravioleta, e produto cosmético
JP6113871B2 (ja) 水不溶性スポンジに紫外線遮断機能を有する化粧料組成物が含浸された化粧品
KR101965202B1 (ko) 무기 자외선 차단제
KR101542917B1 (ko) 수불용성 스폰지에 자외선 차단기능을 지닌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화장품
ES2409170T5 (es) Procedimiento para el aumento del factor de protección solar de un preparado cosmético y/o dermatológico
KR101964163B1 (ko) 자외선 차단기능의 화장료 조성물을 지닌 탄력망 화장품
WO2015124233A1 (de) Kosmetische oder dermatologische zubereitungen mit einem gehalt an einem oder mehreren biphenylamin-derivaten und verwendung von einem oder mehreren biphenylamin-derivaten zur bräunung der haut
KR101776175B1 (ko) 지속성이 우수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EP2813264A1 (en) Uv protection agent containing bismuth oxychloride
KR20120033593A (ko) 자외선 차단용 복합분산액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20058940A (ko)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JP6742258B2 (ja) 水不溶性スポンジに紫外線遮断機能を有する化粧料組成物が含浸された化粧品
KR102050640B1 (ko) 유무기 자외선 차단제가 혼합된 자외선 차단용 분산물과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35537A (ko) 자외선 차단기능의 화장료 조성물을 지닌 탄력망 화장품
US20090053154A1 (en) Mixtures of ethylhexyl p-methoxycinnamate and ethylhexyl salicylate
KR20160086728A (ko) 수불용성 스폰지에 자외선 차단기능을 지닌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화장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