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1681U - 자동 계란 분리기 - Google Patents

자동 계란 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1681U
KR20170001681U KR2020150007185U KR20150007185U KR20170001681U KR 20170001681 U KR20170001681 U KR 20170001681U KR 2020150007185 U KR2020150007185 U KR 2020150007185U KR 20150007185 U KR20150007185 U KR 20150007185U KR 20170001681 U KR20170001681 U KR 2017000168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gg
hole
egg yolk
yolk
separa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71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정혜
Original Assignee
홍정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정혜 filed Critical 홍정혜
Priority to KR20201500071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1681U/ko
Publication of KR201700016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68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14Devices or machines for opening raw eggs or separating the conten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14Devices or machines for opening raw eggs or separating the contents thereof
    • A47J43/145Machines therefor

Abstract

자동 계란 분리기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계란 분리기는 계란분리기는 일단부에 투입된 껍질이 제거된 계란을 경사면을 따라 흘러내리면서 난백은 아래로 분리시켜 배출하고 난황은 타단부로 배출하는 분리판과 상기 분리판의 아래측에 구비되어 분리되어 배출되는 난백을 보관하는 난백보관통, 및 상기 분리판의 타단부로 배출되는 난황이 낙하하여 보관되는 난황보관통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대량으로 날계란의 흰자와 알끈 그리고 노른자를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 계란 분리기{AUTOMATIC EGG SEPERATOR}
본 고안은 계란의 흰자와 노른자를 분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프레임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흰자와 알끈, 노른자를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는 자동 계란 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빵이나 제과 등의 요리재료로서 계란을 사용할 경우에는 계란껍질을 깨서 내용물 즉, 노른자와 흰자를 타 재료와 혼합하는 방식으로 주로 사용하게 된다.
여기서, 계란의 노른자와 흰자는 그 성분이 다르고 이에 따라 점성 등의 기타 물성 또한 차이가 있기 때문에 용도에 따라서는 노른자와 흰자를 분리하여 사용하게 된다.
계란의 노른자와 흰자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계란껍질을 깬 다음 노른자만을 계란껍질에 남기고 흰자는 흘려 내 보내어 별도의 용기에 남기는 방식 또는, 노른자가 흐트러지지 않게 노른자와 흰자를 모두 용기에 담은 다음, 노른자만을 수저 등을 이용하여 따로 떠내는 방식 등을 사용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이 노른자와 흰자를 분리하는 종래의 방식에 의하면 노른자가 흐트러지지 않도록 작업자가 많은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작업이 번거롭기 때문에 대량의 계란을 처리하는 경우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대량으로 날계란의 노른자와 흰자를 분리해야 할 경우에 맞는 대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 실용신안 공개번호 20-2009-0008745호에는 계란분리기에 관한 선행 문헌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선행 문헌은 그물망 형태의 거름망에 날계란의 흰자만이 통과되도록 하여 날계란의 노른자와 흰자를 분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 기술은 대량의 계란을 분리하기에는 효율적이지 못하며, 노른자가 흰자와 분리되지 않고 섞이게 되는 문제를 유발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계란 분리기들은 흰자와 노른자만 분리할 뿐 노른자에 붙어있는 알끈(달걀끈, 계란끈 또는 씰이라 함다)은 분리하지 못한다.
알끈은 흰자의 일부이나 풀게 될때 잘 안풀어지는 부분으로 요리의 미관을 격하시키는 역활을 하므로 이를 제거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09-0008745호(2009.08.31)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날계란의 흰자와 알끈, 그리고 노른자를 분리킬 수 있는 계란 분리기를 제공하는 하는 것을 제1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은 하나의 프레임 상에서 흰자와 알끈, 그리고 노른자를 분리할 수 있는 계란 분리기를 제공하는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계란분리기는 일단부에 투입된 껍질이 제거된 계란을 경사면을 따라 흘러내리면서 난백은 아래로 분리시켜 배출하고 난황은 타단부로 배출하는 분리판과 상기 분리판의 아래측에 구비되어 분리되어 배출되는 난백을 보관하는 난백보관통, 및 상기 분리판의 타단부로 배출되는 난황이 낙하하여 보관되는 난황보관통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분리판은 계란이 흘러내리는 경사면을 따라 장방형의 관통공을 수직방향 및 평행방향으로 각각 하나 이상 형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분리판은 계란이 흘러내리는 경사면에 수직으로 장방형의 제1 관통공을 하나 형성하고, 상기 제1 관통공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경사면에 평행방향으로 둘 이상 형성된 장방형의 제2 관통공과 상기 제2 관통공의 단부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경사면에 수직으로 둘 이상의 장방형의 제3 관통공을 형성한다.
또한,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계란분리기는 일단부에 투입된 껍질이 제거된 계란을 난백은 아래로 분리시켜 배출하고 난황은 타단부로 배출하는 분리판과, 상기 분리판의 아래측에 구비되어 분리되어 배출되는 난백을 보관하는 난백보관통과, 상기 분리판의 타단부로 배출되는 난황이 낙하하여 보관되는 난황보관통, 및 제1 수직바와 상기 제1 수직바보다 높게 형성되는 제2 수직바를 형성하여 상기 분리판 탑재시 분리판을 경사지게 지지하고, 상기 제1 수직바와 제2 수직바를 수평바로 연결하여 고정하고 상기 수평바와 상기 분리판 사이에 상기 난백보관통과 상기 난황보관통이 탑재되는 프레임으로 구성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자동 계란분리기에 의하면, 대량으로 날계란의 흰자와 알끈 그리고 노른자를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하나의 프레임을 경사지게 설치하고 경사면을 따라 흘러 가는 날계란이 순차적으로 흰자와 알끈, 그리고 노른자를 분리할 수 있는 계란 분리기를 제공하는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계란분리기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분리판의 확대 사시도,
도 3은 분리판의 지지부를 확대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계란분리기의 일부 결합도,
도 5는 본 고안의 계란분리기의 전체 결합도,
그리고,
도 6은 계란의 일단면도를 예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6의 계란의 단면도를 참고하면, 계란은 최외각의 껍데기인 난각(210)과 난각(210) 내부에 내외난각막(212)이 위치하고, 내외난각막(212) 내부에 통상 흰자위라고 칭하는 난백(220)이 노른자위라고 하는 난황(240)을 둘러 보호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난황(240)은 얇은 막(난황막)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양쪽끝이 알끈(씰, chalaza)으로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의 계란은 요리시에 날계란의 노른자와 흰자를 분리하여 사용하는 데 보통 날계란의 노른자와 흰자를 분리하는 방법은 날계란의 껍질에 흠집을 조금내어 흰자를 덜어낸 후, 껍질 내부에 있는 노른자만을 그릇에 담아 분리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된다. 특히, 항상 대량으로 날계란의 노른자와 흰자를 분리해야 하는 음식 제조업체의 경우에는 작업시간이 매우 오래 걸려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날계란의 흰자와 알끈, 그리고 노른자를 분리시킬 수 있는 계란 분리기를 하나의 프레임 상에서 이루어지게 하는 계란 분리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계란분리기의 분리 사시도를 참고하면, 본 고안의 계란분리기는 계란의 난백과 난황을 분리하여 배출하는 분리판(110)과 이를 지지하는 프레임(12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분리판(110)은 일단부에 투입된 껍질이 제거된 계란을 난백은 아래로 분리시켜 배출하고 난황은 타단부로 배출하도록 구성한다.
이를 위하여 도 2의 분리판의 확대 사시도를 참고하면, 분리판(110)은 경사지게 프레임(120)에 설치하였을 때, 계란의 경사면에 따라 순서대로 수직과 수평방향의 관통공을 형성하여 난백과 알끈이 분리배출되도록 구성한다.
즉, 분리판(110)은 계란의 경사면에 수직으로 장방형의 제1 관통공(111)을 하나 형성하고, 제1 관통공(111)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경사면에 평행방향으로 둘 이상 형성된 장방형의 제2 관통공(112)과 제2 관통공(112)의 단부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경사면에 수직으로 둘 이상의 장방형의 제3 관통공(114)을 형성한다.
분리판(110)의 일단부에 껍질이 제거된 계란이 투입되면, 1차로 제1 관통공(111)을 통하여 난백이 분리되어 배출되고, 이어 수평방향의 제2 관통공(112)을 통과하면서, 제2 관통공(112)으로 잔여 난백이 분리되어 배출되고, 제3 관통공(114)을 통과하면서 알끈이 분리되어 배출되고, 난백과 알끈이 제거된 난황은 분리판(110)의 타단부로 낙하되도록 배출하는 것이다.
제1 관통공(111)은 일차로 난백을 분리배출할 수 있도록 제2 관통공(112)과 제3 관통공(114)의 폭보다는 넓게 형성하고, 제2 관통공(112)과 제3 관통공(114)은 다수 개 형성하여 다량으로 투입된 계란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분리판(110)은 다량으로 껍질이 제거된 계란이 투입되어 분리판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분리판(110)의 계란이 흘러내리는 길이 방향으로 양단부에 가이드부(113)를 돌출되게 형성한다.
이러한 분리판(110)은 다량의 계란이 투입되므로 프레임(120)에 경사지게 견고하게 지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분리판(110)의 하부 일측에는 지지핀(116)이 돌출되게 구비하고, 타측에는 삽입핀(115)이 돌출되게 구비된다.
삽입핀(115)은 프레임(120)의 제1 수직바(124a)의 상단부에 조립되는 제1 지지브라켓(141)의 상부에 관통홀(141a)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지지핀(116)은 프레임(120)의 제2 수직바(124b)의 상단부에 조립되는 제2 지지브라켓(142)의 단부에 걸쳐지도록 조립된다.
도 3의 분리판의 지지부를 확대도시한 도면을 참고하면, 제2 지지브라켓(142)의 단부에 지지핀(116)이 지지되고, 삽입핀(115)은 제1 지지브라켓(141)의 상부에 관통홀(141a)에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분리판(110)이 경사지게 설치되더라도 미끄러지지 않고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는 것이다.
분리판(110)에서 분리 배출된 난백과 난황은 별도의 보관통에 보관된다.
즉, 제1 관통공(111)과 제2 관통공(112)으로 분리 배출된 난백과 제3 관통공(114)으로 분리배출된 알끈은 난백보관통(150)에 낙하되어 보관되고, 분리판(110)의 단부로 분리되어 배출되는 난황은 난황보관통(160)에 보관된다.
난백보관통(150)과 난황보관통(160)은 분리판(110)의 하부에 설치되도록 프레임(120)에 지지되어 슬라이딩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프레임(120)은 한쌍의 제1 수직바(124a)와 제1 수직바(124a)보다 소정 높이 높게 형성되는 한쌍의 제2 수직바(124b)를 형성하고, 제1 수직바(124a)와 제2 수직바(124b)의 하부를 한쌍의 수평바(122)로 연결하여 고정하고 수평바(122)의 상부에 분리판(110) 하부 사이에 난백보관통(150)이 탑재된다.
한쌍의 수평바(122) 상부 배면에는 난백보관통(150)의 탑재시 더 이상 밀려나지 않도록 지지되게 함과 동시에 제1 수직바(124a)와 제2 수직바(124b)를 보다 견고히 결합하기 위한 연결바(126)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한쌍의 제1 수직바(124a)의 상단을 제1지지바(125a)로 상호 결합하고 제1지지바(125a)는 제1 브라켓(141)을 매개로 분리판(110)의 일측을 지지하게 한다.
또한, 한쌍의 제2 수직바(124b)의 상단을 제2지지바(125b)로 상호 결합하고 제2지지바(125b)는 제2 브라켓(142)을 매개로 분리판(110)의 타측을 지지하게 한다.
그리고, 제1 브라켓(141)과 제2 브라켓(142)에는 하부로 연장된 단턱지지판(132,133)을 각각 형성하고 각 단턱지지판(132,133)의 단부에는 난백보관통(150)의 상부가 슬라이딩 지지되게 하기 위하여 단턱(132a,133a)이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난백보관통(150)은 보다 손쉽게 프레임(120)에서 슬라이딩되어 착탈될 수 있다.
한편, 난황보관통(160)을 슬라이딩지지되게 하기 위하여, 한쌍의 제1 수직바(124a)와 동일한 높이의 제3 수직바(124c)를 형성하고, 제1 수직바(124a)와 제3 수직바(124c)의 하부를 한쌍의 수평바(122)로 연결하여 고정하고 수평바(122)의 상부에 분리판(110) 하부 사이에 난황보관통(160)이 슬라이딩 탑재된다.
동일하게 한쌍의 수평바(122) 상부 배면에는 난황보관통(160)의 탑재시 더 이상 밀려나지 않도록 지지되게 함과 동시에 제1 수직바(124a)와 제3 수직바(124c)를 보다 견고히 결합하기 위한 연결바(126)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한쌍의 제1 수직바(124a)의 상단을 제3지지바(125c)로 상호 결합하여 견고히 결합되게 함과 동시에 제3 브라켓(131)을 매개로 난황보관통(160)의 일측을 지지하게 한다.
그리고, 제1 브라켓(141)의 타측에 구비된 단턱(132b)과 제3 브라켓(131)의 일측에 구비된 단턱(131a)에 난황보관통(160)의 상부가 슬라이딩 지지되게 구성한다.
도 4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계란분리기의 일부 결합도를 보면, 분리판(110)의 지지핀(116)이 제2 지지브라켓(142)의 단부에 지지되고, 삽입핀(115)은 제1 지지브라켓(141)의 상부에 관통홀(141a)에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경사지게 설치된다.
도 5의 본 고안의 계란분리기의 전체 결합도를 보면, 제1, 2 지지브라켓의 단턱지지판(132,133)에 난백보관통(150)의 상부가 슬라이딩되어 탑재되고, 단턱(132b)과 제3 브라켓(131)의 일측에 구비된 단턱(131a)에 난황보관통(160)의 상부가 슬라이딩 지지되게 탑재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계란 분리기의 작동을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껍질이 제거된 계란을 분리판(110)의 일측에 투입하면, 분리판(110)이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계란은 경사면을 따라 흘러내리게 된다.
먼저 제1 관통공(111)을 통하여 1차로 난백이 분리 배출되어 난백보관통(150)에 낙하됨과 동시에 제1 관통공(111)을 통과한 난백이 일부 제거된 계란은 제2 관통공(112)을 통과하면서 모두 분리배출되어 난백보관통(150)에 투입된다.
제2 관통공(112)을 통과한 계란은 알끈과 난황으로 구성되어 있어, 제3 관통공(114)을 통과하면서 알끈을 분리배출하여 난백보관통(150)에 보관되게 하고, 알끈이 제거된 난황은 분리판(110)의 단부에서 낙하하여 난황보관통(160)에 보관된다.
상술한 과정을 반복하여 난백보관통(150)가 난황보관통(160)이 가득차게 되면 난백보관통(150)가 난황보관통(160)을 슬라이딩되게 분리하여 배출하고, 다시 탑재시키면 계란 분리 작업을 계속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10 : 분리판 111 : 제1 관통공
112 : 제2 관통공 113 : 가이드부
114 : 제3 관통공 115 : 삽입핀
116 : 지지핀 120 : 프레임
122 : 수평바 124a : 제1 수직바
124b : 제2 수직바 124c : 제3 수직바
125a : 제1지지바 125b : 제2지지바
125c : 제3지지바 126 : 연결바
141 : 제1 지지브라켓 141a : 관통홀
142 : 제2 지지브라켓 150 : 난백보관통
160 : 난황보관통

Claims (6)

  1. 계란의 난백과 난황을 분리하여 배출하는 계란분리기에 있어서,
    일단부에 투입된 껍질이 제거된 계란을 경사면을 따라 흘러내리면서 난백은 아래로 분리시켜 배출하고 난황은 타단부로 배출하는 분리판;
    상기 분리판의 아래측에 구비되어 분리되어 배출되는 난백을 보관하는 난백보관통;및
    상기 분리판의 타단부로 배출되는 난황이 낙하하여 보관되는 난황보관통;
    를 포함하는 계란분리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은
    계란이 흘러내리는 경사면을 따라 장방형의 관통공을 수직방향 및 평행방향으로 각각 하나 이상 형성한 계란분리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은
    계란이 흘러내리는 경사면에 수직으로 장방형의 제1 관통공을 하나 형성하고, 상기 제1 관통공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경사면에 평행방향으로 둘 이상 형성된 장방형의 제2 관통공과 상기 제2 관통공의 단부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경사면에 수직으로 둘 이상의 장방형의 제3 관통공을 형성한 계란분리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난백보관통은
    상기 분리판의 제1 관통공과 제2 관통공 그리고 제3 관통공을 통하여 낙하하는 난백을 보관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계란분리기.
  5. 계란의 난백과 난황을 분리하여 배출하는 계란분리기에 있어서,
    일단부에 투입된 껍질이 제거된 계란을 난백은 아래로 분리시켜 배출하고 난황은 타단부로 배출하는 분리판;
    상기 분리판의 아래측에 구비되어 분리되어 배출되는 난백을 보관하는 난백보관통;
    상기 분리판의 타단부로 배출되는 난황이 낙하하여 보관되는 난황보관통;및
    제1 수직바와 상기 제1 수직바보다 높게 형성되는 제2 수직바를 형성하여 상기 분리판 탑재시 분리판을 경사지게 지지하고, 상기 제1 수직바와 제2 수직바를 수평바로 연결하여 고정하고 상기 수평바와 상기 분리판 사이에 상기 난백보관통과 상기 난황보관통이 탑재되는 프레임;
    을 포함하는 계란분리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은
    계란이 흘러내리는 경사면에 수직으로 장방형의 제1 관통공을 하나 형성하고, 상기 장방형의 제1 관통공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경사면에 평행방향으로 둘 이상 형성된 장방형의 제2 관통공과 상기 제2 관통공의 단부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경사면에 수직으로 둘 이상의 장방형의 제3 관통공을 형성한 계란분리기.









KR2020150007185U 2015-11-05 2015-11-05 자동 계란 분리기 KR2017000168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185U KR20170001681U (ko) 2015-11-05 2015-11-05 자동 계란 분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185U KR20170001681U (ko) 2015-11-05 2015-11-05 자동 계란 분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681U true KR20170001681U (ko) 2017-05-15

Family

ID=58716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7185U KR20170001681U (ko) 2015-11-05 2015-11-05 자동 계란 분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1681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27315A (zh) * 2017-12-20 2018-04-20 天台县甬圣腾宇工业设计有限公司 智能蛋黄分离器
CN110151020A (zh) * 2019-06-20 2019-08-23 江苏仁康蛋业有限公司 一种蛋清快速分离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8745A (ko) 2007-07-18 2009-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히스토그램 등화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8745A (ko) 2007-07-18 2009-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히스토그램 등화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27315A (zh) * 2017-12-20 2018-04-20 天台县甬圣腾宇工业设计有限公司 智能蛋黄分离器
CN110151020A (zh) * 2019-06-20 2019-08-23 江苏仁康蛋业有限公司 一种蛋清快速分离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01681U (ko) 자동 계란 분리기
RU274005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ов с эргономичным обслуживаемым блоком
KR101689806B1 (ko) 생선 계량투입장치의 생선공급 컨베이어장치
KR20140004985A (ko) 수저분리장치
KR20140042112A (ko) 국물의 모음과 활용이 편리한 도마
JP5174545B2 (ja) 基板の切断装置
US2827936A (en) Egg cracker
JP2009273454A (ja) 卵の黄身分け器
TWI558355B (zh) 分離軌道與使用該分離軌道的蛋黃蛋白分離裝置
KR200359298Y1 (ko) 계란 포장용 상자
US20160066548A1 (en) Bird feeder
KR20210053514A (ko) 자동 튀김 장치
CN207627181U (zh) 蛋清蛋黄分离器
KR20070116780A (ko) 식기세척기내에 날붙이류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
CN208557415U (zh) 现代果蔬休闲食品包装料斗存放架
CN109292278A (zh) 多层可拆卸式鸡蛋包装存储装置
CN108523815A (zh) 碗篮组件和洗涤电器
KR200473283Y1 (ko) 알의 껍데기 및 성분 분리기구
US2527694A (en) Capsule counter
CN208910160U (zh) 碗篮组件和洗涤电器
JP6196404B1 (ja) チョーク粉受け
US1502770A (en) Egg separator
CN208910159U (zh) 碗篮组件及洗涤电器
US1633856A (en) Container for fruit-canning apparatus
US20130220916A1 (en) Device for easily removing products from vess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