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2112A - 국물의 모음과 활용이 편리한 도마 - Google Patents

국물의 모음과 활용이 편리한 도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2112A
KR20140042112A KR1020120108443A KR20120108443A KR20140042112A KR 20140042112 A KR20140042112 A KR 20140042112A KR 1020120108443 A KR1020120108443 A KR 1020120108443A KR 20120108443 A KR20120108443 A KR 20120108443A KR 20140042112 A KR20140042112 A KR 201400421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board
liquid
cutting
board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8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수영
Original Assignee
양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수영 filed Critical 양수영
Priority to KR1020120108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2112A/ko
Publication of KR20140042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21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05Cutting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vices For Warming Or Keeping Food Or Tableware Ho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국물의 모음과 활용이 편리한 도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김치와 같이 국물이 있는 음식물을 썰 대 국물이 도마 밖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며, 국물의 모음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모은 국물을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는 국물의 모음과 활용이 편리한 도마에 관한 것으로, 도마(100)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음식물 취급 시 음식물로부터 흘러나온 국물의 배출을 유도하도록 경사가 점진적으로 낮아지게 형성된 유도홈(110)과, 상기 유도홈(110) 중 경사가 낮은 부분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112)과, 상기 다수의 통공(112)이 형성된 도마(100)의 하부 일부분이 절개되어 형성된 보관공간(200)과, 상기 보관공간(200)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국물보관함(300)이 포함되며, 도마(100)의 가장자리에 도마(100)의 길이방향으로 경사가 점진적으로 낮아지게 유도홈(110)이 형성되어 평탄한 바닥에 도마가 올려져 있어도 국물의 배출이 원활한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유도홈(110) 중 경사가 낮은 부분에 다수의 통공(112)이 형성되고, 그 아래에 국물을 보관할 수 있는 국물보관함(300)을 설치하여 국물의 모음이 편리하며, 국물보관함(300)을 착탈할 수 있으므로 모아진 국물을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마(100) 및 국물보관함(300)의 세척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국물의 모음과 활용이 편리한 도마 {Cutting Board For Gathering The Liquor And Using}
본 발명은 국물의 모음과 활용이 편리한 도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김치와 같이 국물이 있는 음식물을 썰 대 국물이 도마 밖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며, 국물의 모음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모은 국물을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는 국물의 모음과 활용이 편리한 도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마는 칼로 음식의 재료를 썰거나 다질 때에 밑에 받치는 것으로, 두꺼운 나무토막이나 널조각, 플라스틱 따위로 만든다.
보통 도마는 단지 판재형상으로 단순한 형태로 형성되어 도마 이외의 다른 기능을 찾아볼 수 없었고, 김치 등과 같이 국물이 있는 음식물을 썰거나 다질 때에는 김치 국물이 도마 밖으로 흘러나와 주변을 지저분하게 하는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이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도마의 가장자리에 국물을 배출할 수 있는 홈을 만든 도마 기술도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평면 형상의 도마에 홈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평탄한 바닥에 도마를 올려 놓고 사용할 경우 국물의 배출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배출된 국물을 도마의 내부에 모이게 한 구조를 채택하고 있어, 모은 국물을 사용한 후 도마의 세척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도마에 형성된 국물 배출홈이 도마의 길이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평탄한 바닥에 도마가 올려져 있어도 국물 배출이 원활한 국물의 모음과 활용이 편리한 도마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국물이 모이는 배출홈에 통공을 형성하고, 그 아래에는 국물을 보관할 수 있는 보관함을 설치하여 국물의 모음이 편리하고, 모아진 국물을 찌개 요리나 기타 국물이 필요한 요리에 적절히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마의 세척이 쉬운 국물의 모음과 활용이 편리한 도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마(100)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음식물 취급 시 음식물로부터 흘러나온 국물의 배출을 유도하도록 경사가 점진적으로 낮아지게 형성된 유도홈(110)과, 상기 유도홈(110) 중 경사가 낮은 부분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112)과, 상기 다수의 통공(112)이 형성된 도마(100)의 하부 일부분이 절개되어 형성된 보관공간(200)과, 상기 보관공간(200)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국물보관함(300)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상기 도마(100)의 상부 가장자리에서 상기 유도홈(110)의 경사가 높은 부위에 국물의 흐름 방향을 표시하는 경사표시부(120)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도마(100)의 가장자리에 도마(100)의 길이방향으로 경사가 점진적으로 낮아지게 유도홈(110)이 형성되어 평탄한 바닥에 도마가 올려져 있어도 국물의 배출이 원활한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유도홈(110) 중 경사가 낮은 부분에 다수의 통공(112)이 형성되고, 그 아래에 국물을 보관할 수 있는 국물보관함(300)을 설치하여 국물의 모음이 편리하며, 국물보관함(300)을 착탈할 수 있으므로 모아진 국물을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마(100) 및 국물보관함(300)의 세척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물의 모음과 활용이 편리한 도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물의 모음과 활용이 편리한 도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물의 모음과 활용이 편리한 도마의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물의 모음과 활용이 편리한 도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물의 모음과 활용이 편리한 도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물의 모음과 활용이 편리한 도마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물의 모음과 활용이 편리한 도마는, 도마(100)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음식물 취급 시 음식물로부터 흘러나온 국물의 배출을 유도하도록 경사가 점진적으로 낮아지게 형성된 유도홈(110)과, 상기 유도홈(110) 중 경사가 낮은 부분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112)과, 상기 다수의 통공(112)이 형성된 도마(100)의 하부 일부분이 절개되어 형성된 보관공간(200)과, 상기 보관공간(200)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국물보관함(300)이 포함된다.
아울러 상기 도마(100)의 상부 가장자리에서 상기 유도홈(110)의 경사가 높은 부위에 국물의 흐름 방향을 표시하는 경사표시부(120)가 더 포함된다.
상기 도마(100)는 음식물을 올려 놓고 칼 등을 이용하여 자를 때 받쳐 주는 것으로 장방형의 판재가 일체형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 유도홈(110)은 상기 도마(100)의 상부에서 도마(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 도마(100)의 형상을 따라 형성된다. 즉 도마(100)의 형상이 직사각형이라면, 도마(100)의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이때 상기 유도홈(110)의 깊이는 적어도 0.5 내지 0.9mm, 넓이는 1 내지 2Cm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유도홈(110)은 도마(100)가 평탄한 바닥에 놓였을 경우에도 음식물의 국물이 흐름이 원활하도록 도 3과 같이 유도홈(110)이 길이방향에서 한쪽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즉 유도홈(110)의 깊이를 최초 시작점의 깊이는 0.5로 형성하고, 끝 지점의 깊이는 0.9mm로 형성한 후 이 두 점을 원만하게 이어주면 경사가 형성된다.
이로써 도마(100)가 평탄한 바닥에 놓이더라도, 음식물의 국물 배출이 용이하게 된다.
한편 상기 도마(100)의 상부, 즉 상기 유도홈(110)의 경사가 높은 부분에는 음식물 국물의 흐름을 표시해주는 경사표시부(120)가 표시된다. 상기 경사표시부(120)는 화살표 모양으로 국물의 진행 방향을 알려준다. 사용자는 상기 경사표시부(120)를 보고 유도홈(100)의 경사가 높은 부분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통공(112)은 상기 유도홈(110) 중에서 가로방향에 형성되는 것으로, 앞서 설명한 유도홈(110)의 끝 지점의 가로방향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가 관통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통공(112)을 통해 국물이 배출되게 된다.
상기 보관공간(200)은 도마(100) 하부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보관공간(200)에는 국물보관함(300)이 탈부착된다. 이때 상기 보관공간(200)에는 가이드홈(210)이 형성되고, 상기 국물보관함(300)에는 가이드단턱(310)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210)에 상기 가이드단턱(310)이 끼워지고, 가이드되어 국물보관함(300)이 보관공간(200)에 탈부착 될 수 있다.
상기 국물보관함(300)은 장방형의 박스 형상으로 상기 보관공간(200)에 맞는 크기로 형성된다. 이로써 상기 국물보관함(300)이 상기 보관공간(200)에 설치되었을 때 튀어나오는 부분이 없도록 해준다.
한편 상기 국물보관함(300)의 외측에는 국물보관함(300)을 탈부착할 때 잡을 수 있는 손잡이(310)가 형성된다.
10 : 국물
100 : 도마 110 : 유도홈 112 : 통공 120 : 경사표시부
200 : 보관공간 210 : 가이드홈
300 : 국물보관함 310 : 가이드단턱 320 : 손잡이

Claims (2)

  1. 도마(100)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음식물 취급 시 음식물로부터 흘러나온 국물의 배출을 유도하도록 경사가 점진적으로 낮아지게 형성된 유도홈(110)과, 상기 유도홈(110) 중 경사가 낮은 부분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112)과, 상기 다수의 통공(112)이 형성된 도마(100)의 하부 일부분이 절개되어 형성된 보관공간(200)과, 상기 보관공간(200)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국물보관함(300)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국물의 모음과 활용이 편리한 도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마(100)의 상부 가장자리에서 상기 유도홈(110)의 경사가 높은 부위에 국물의 흐름 방향을 표시하는 경사표시부(120)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국물의 모음과 활용이 편리한 도마.
KR1020120108443A 2012-09-28 2012-09-28 국물의 모음과 활용이 편리한 도마 KR201400421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443A KR20140042112A (ko) 2012-09-28 2012-09-28 국물의 모음과 활용이 편리한 도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443A KR20140042112A (ko) 2012-09-28 2012-09-28 국물의 모음과 활용이 편리한 도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2112A true KR20140042112A (ko) 2014-04-07

Family

ID=50651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8443A KR20140042112A (ko) 2012-09-28 2012-09-28 국물의 모음과 활용이 편리한 도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4211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95879A (zh) * 2016-03-29 2016-05-25 浙江工业大学 多功能便捷切菜板
CN107581943A (zh) * 2017-11-11 2018-01-16 蔡勇霞 一种组合式切菜板
KR20190002711U (ko) 2018-04-20 2019-10-30 최현지 다기능 도마
KR20220112924A (ko) * 2021-02-05 2022-08-12 김영창 국물흐름방지용 도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95879A (zh) * 2016-03-29 2016-05-25 浙江工业大学 多功能便捷切菜板
CN107581943A (zh) * 2017-11-11 2018-01-16 蔡勇霞 一种组合式切菜板
KR20190002711U (ko) 2018-04-20 2019-10-30 최현지 다기능 도마
KR20220112924A (ko) * 2021-02-05 2022-08-12 김영창 국물흐름방지용 도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4990B2 (en) Cutting board with removable drip pan system
KR20140042112A (ko) 국물의 모음과 활용이 편리한 도마
CN108851655A (zh) 餐具收纳篮
AU2013206523B2 (en) Improved cooking assembly
US6644639B1 (en) Cutting board
KR101483671B1 (ko) 기능성 도마
CN109288086A (zh) 水槽及水槽式清洗机
CN205391039U (zh) 多功能厨房收纳装置
GB2470556A (en) Food preparation aid
CN208988794U (zh) 一种新型洗碗机下碗篮
KR20120003918U (ko) 도마용 수납세트
US20140252709A1 (en) Clean Cut
CN211130783U (zh) 一种带有集水槽的菜板
CN203168973U (zh) 切割砧板系统及其切割砧板
JP5661548B2 (ja) 水切りラック
CN209377092U (zh) 餐具收纳篮
KR101107941B1 (ko) 다목적 위생 도마 받침대
JP3159572U (ja) 水切りまな板
CN105147158A (zh) 一种多功能厨房储物装置
JP2006326244A (ja) 流し台用水切り具
CN215077711U (zh) 一种蒸汽式空气炸锅的废水收集结构
KR102446266B1 (ko) 국물흐름방지용 도마
KR20190002711U (ko) 다기능 도마
CN208610189U (zh) 一种新型橱柜
CN207492690U (zh) 组合式砧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