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283Y1 - 알의 껍데기 및 성분 분리기구 - Google Patents

알의 껍데기 및 성분 분리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283Y1
KR200473283Y1 KR2020110009169U KR20110009169U KR200473283Y1 KR 200473283 Y1 KR200473283 Y1 KR 200473283Y1 KR 2020110009169 U KR2020110009169 U KR 2020110009169U KR 20110009169 U KR20110009169 U KR 20110009169U KR 200473283 Y1 KR200473283 Y1 KR 2004732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l
eggs
egg
yolk
sepa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91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2442U (ko
Inventor
김경용
Original Assignee
김경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용 filed Critical 김경용
Priority to KR20201100091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283Y1/ko
Publication of KR201300024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44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2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28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14Devices or machines for opening raw eggs or separating the conten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8Other culinary hand implements, e.g. spatulas, pincers, forks or like food holders, ladles, skimming ladles, cooking spoons; Spoon-holders attached to cooking pots
    • A47J43/284Hand implements for separating solids from liquids or liquids from liq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상의 알을 구성하고 있는 성분 중, 껍데기와 노른자위 및 흰자위를 일괄적으로 분리 해 내는 기구이다.
더 상세하게는 하향으로 내려갈 수록 점진적으로 협소해 지는 칼날과 같은 적어도 두개의 선이 하단으로 갈 수록 점진적으로 두꺼워지면서 양분되는 형상을 지남으로 알의 껍데기와 알의 내용물을 분리한 후, 알의 내용물이 낙하하는 홀 하단에서 껍데기 분리 판에 지지 고정되어 알의 내용물 중, 흰자위만이 여과되는 통공을 형성함으로써 분리하는 노른자위 분리 판을 탈, 부착 할 수 있도록 구비하여 구의 형태를 띄는 노른자위는 그대로 하향으로 자중에 의해 별도의 용기에 수집되도록 안내되고 흰자위는 통공으로 유입되어 저면부로 수집되도록 하였다.
통상의 알의 껍데기와 알의 내용물을 유입구에 투입함과 동시에 분리하고 분리된 알의 각각의 성분을 연속적으로 분리, 수집하도록 한 주방 조리기구이며 상업적으로 많은 량의 알을 사용함에 알의 각각의 성분을 대량으로 분리를 필요로 하는 데에 유용할 수 있는 알의 성분 분리기구이다.

Description

알의 껍데기 및 성분 분리기구 {The eeg's skin division, and segregating unit}
본 고안은 통상의 알을 구성하고 있는 껍데기와 노른자위 및 흰자위를 분리 해 내는 기구에 관련 되는 것이다.
종래에는 종래에는 통상의 알을 사용함에 있어서, 알의 껍데기와 알의 내용물을 수동으로 분리해서 사용하고 있다. 알의 껍데기와 알의 내용물을 우선 분리해 내기 위해서는 알의 껍데기 부분에 크랙을 주어 껍데기를 수작업으로 양분 한 후, 노른자위와 흰자위로 구성되는 알 내부의 내용물을 그대로 혼합하여 사용하거나 노른자위와 흰자위를 다시 분리한 후, 알의 성분에 따른 용도에 맞게 사용해 왔다.
알의 내용물 중, 흰자위와 노른자위의 분리하는 방법들은 여러가지가 있다.
흰자위와 노른자위를 분리하는 방법은 일정한 용기에 알의 내용물을 모두 담아두었다가 노른자위만을 숟가락이나 통공이 형성된 국자를 이용하여 떠 내어 분리할 수 있으며 이 이외에도 알의 내용물 중, 노른자위와 흰자위를 분리해 내는 기구들이 선행 기술로서 다수 공개 된 바 있다.
본 고안은 종래에 수작업으로 이루어 졌던 알의 껍데기와 알의 내용물을 분리하고, 알의 내용물 중 흰자위와 노른자위의 분리를 일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기구에 관련된 것이다.
본 고안은 주방에서 손을 이용하여 알의 껍데기와 알의 내용물을 분리하는 동작과 알의 내용물 중, 흰자위와 노른자위의 분리하는 원리를 응용, 개선한 기구이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통상의 알과 같이 껍데기와 흰자위, 노른자위로 구성되는 알의 껍데기와 내용물을 분리하고, 알의 내용물 중 흰자위와 노른자위로 구성된 성분을 일괄적으로 분리하는 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무난하게 해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통상의 알의 껍데기를 파괴하고 비집고 들어가 껍데기를 양분하여 벗겨내는 수단이 구성되어야 하였다. 이 역할을 통상의 알의 크기중 최소 크기보다 협소하게 마주보는 두개의 칼과 같은 선이 하단으로 갈 수록 점진적으로 더 협소, 및 근접 해지면서 통상의 알이 이 구간을 지나갈 때, 알의 크기보다 협소하게 구비 된 구간의 파쇄선에 의해 저지되고, 알이 진입하는 유입력과 자중에 의해 껍질이 파괴되고 파쇄선이 알의 내부로 침투하도록 하였다. 이때, 비집고 들어간 두 개의 파쇄선이 하향으로 내려갈수록 점차 두꺼워지면서 양분되어 멀어지는 형상을 구비하여 이구간을 지나도록 하여 껍데기를 양쪽으로 밀어내며 분리하게 하였다.
위와 같이 껍데기와 알의 내용물을 분리한 후, 껍데기는 자중에 의해 미끄러져 별도의 용기에 산적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알의 내용물은 자유낙하를 허용 하도록 홀을 형성하여 껍데기와 내용물을 분리하는 껍데기 분리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해결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껍데기 분리수단에 의해 내용물이 자유낙하 하면 알의 내용물 중, 흰자위와 노른자위를 분리하는 판 위에 안내되도록 하였다. 이윽고, 액체상태인 내용물은 노른자위 분리 판재의 곡면을 타고 흘러내리다가 흰자위는 판재에 형성된 통공으로 여과되고 노른자위는 둥근 구의 형태를 유지한 상태로 통공 위를 지나도록 안내하여 자중에 의해 미끄러져 내리는 판을껍데기 분리 판 이하에 지지 고정하되 탈, 부착 할 수 있도록 하는 노른자위 분리 판을 더 제공하여 해결하고자 한다.
상기한 고안이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통상의 계란과 같이 껍데기와 흰자위, 그리고 노른자위로 구성되는 각각의 알의 성분을 자중에 의해 낙하하는 속도만큼 빠르게 분리해 낼 수 있다.
첨부된 도면 1은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알의 껍데기 및 성분 분리기구를도시한 것으로 유입구 부분이 단면 투시된 사시도이다.
첨부된 도면 2는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알의 껍데기 및 성분 분리기구를 도시한 것으로 알의 껍데기와 알의 내용물을 분리하는 기능적 특성에 따라 조합되는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품도이다.
첨부된 도면 3은 알의 껍데기가 제거된 후, 알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홀을 설명하려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알의 껍데기 및 성분 분리기구"의 평면도이다.
첨부된 도면 4는 통상의 알이 바람직한 실시 예의 "알의 껍데기 및 성분 분리기구"에 의해 적용되는 모습을 묘사한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도면 1 내지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알의 껍데기 및 성분 분리기구는
통상의 알이, 껍데기 파쇄선으로 안내되는 유입구(10)와;,
상기 유입구(10) 내부에 제한된 공간내에 고정되어 하향으로 갈 수록 점진적으로 협소해지는 껍질 파쇄선(15)이 구비되고;,
상기 껍질 파쇄선(15)과 일체로 하단부로 갈 수록 점진적으로 두꺼워지거나 양분되는 껍데기 분리 판(12)과
알을 구성하고 있는 성분 중, 흰자위만이 여과되는 통공(14)이 형성되고 노른자위를 하단부까지 안내하는 노른자위 분리 판(13)이 껍데기 분리 판(12) 하단부에 탈, 부착이 가능하도록 지지, 고정되는 노른자위 분리 판(13)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껍데기 분리 판(12)과 껍데기 파쇄선(15)은 점진적으로 협소해져 알의 껍데기 부분을 파고드는 역할을 하는 기능과 상기 껍데기 파쇄선(15)이 하향으로 갈수록 두꺼워지면서 양분되어 알의 껍데기를 양분해 내어, 기능적으로 구간의 명칭이 다를 뿐, 유연하게 연결되는 일체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껍데기 분리 판(12)은 적어도 두 개의 판재가 일측 끝 부분이 마주본 상태로 접촉, 혹은 부착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상기 껍데기 파쇄선(15)이 하향으로 갈수록 두꺼워지면서 양분 된다고 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극한되지는 않는다.
본 고안은 제작 방식에 따라 상기 껍데기 파쇄선(15)이 하향으로 갈수록 두꺼워지는 일체형 성형물로서도 표현 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껍데기 분리 판(12)은 껍데기 파쇄선(15)이 유입구 거치구간(11)을 기준으로 그 이상을 껍데기 파쇄선(15), 상기 껍데기 파쇄선(15)이 점진적으로 두꺼워지면서 양분되기 시작하는 지점 이하를 껍데기 분리 판(12)으로 명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에 따르면 껍데기 분리 판(12)은 점진적으로 두꺼워지거나 양분되는 형상이며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부분에는 알의 내용물중 노른자위가 자유낙하 했을 때, 방해되지 않는 크기의 홀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른자위 분리판(13)은 껍데기 분리 판(12)에 형성된 홀 이하에 탈, 부착이 가능하도록 지지 고정된다. 이때, 상기 노른자위 분리판(13)은 도시한 바와 같이 하단부위에 통공(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노른자위 분리판(13)의 상단부위에는 낙하하는 알(e)의 내용물 중, 노른자위가 낙하할 때, 파괴되지 않게 하기 위해 통공(14)이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노른자위 분리판(13)의 통공(14)이 없는 상단부위가 껍데기 분리판(12)이 형성하고 있는 홀의 하단에서 상단에서 내려다 보았을 때, 홀을 가로막고 있는 상태로 탈, 부착이 가능하도록 지지 고정되어 구비된다.
노른자위 분리 판(13)의 윗부분은 자유낙하 하는 흰자위와 노른자위를 수용하되, 내용물의 낙하에 의해 노른자위가 파손되지 않도록 낙하하는 방향으로 경사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경사도가 하향할수록 점진적으로 완만해지는 형상을 구비하였다.
그러면 이제 "알의 껍데기 및 성분 분리기구"의 기능적 작동을 살펴보자.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도면 4에 따르면, 상기 유입구(10)로 알(e)이 투입되면 알(e)은 자중에 의해 낙하하면서 점진적으로 협소해지는 껍질 파쇠선(15)은 알(e)이 하단 부로 유입될수록 알 껍데기가 파괴 되면서 알(e)의 내부로 조여들듯 파고들어가게 된다.
이때, 유입구(10)에 의해 제한된 구간에서 알(e)의 껍데기 내부로 파고든 껍데기 파쇄선(15)은 점차 두꺼워지면서 양분되는 형상에 따라 알(e)이 하향 이동할수록 알의 껍데기가 껍데기 분리 판(12)의 면을 따라 벌어지게 된다. 그러면 알(e)의 내부에 있던 내용물은 양분된 껍데기 사이에서 자중에 의해 낙하하고, 껍데기는 껍데기 분리 판(12)의 면을 따라 미끄러져 내려가게 된다. 이때, 껍데기 분리 판(12)의 하단, 끝 부분에 별도의 용기를 구비한다면 껍데기는 껍데기 분리판(12)을 벗어나 용기(미 도시)에 쌓이게 될 것이다.
알의 내용물은 유입구(10)로부터 진행하던 방향으로 자중에 의해 자유낙하 하여 노른자위 분리 판(13)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면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른자위 분리 판(13)의 형상을 지남으로 액체상태인 흰자위는 노른자위 분리 판(13)의 면을 점성에 의해 타고 흘러내려 가다가 통공(14)을 통해 하단으로 여과되고 구 형태의 노른자위는 낙하 속도와 자중에 의해 통공(14) 위를 지나 마지막까지 미끄러져 내려간다.
이렇게 분리 된 노른자위 역시 노른자위 분리 판(13)의 마지막 부분에 별도의 용기(미도시)를 구비하면 노른자위만을 수집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알의 성분 중 흰자위는 껍데기 분리 판12)과 노른자위 분리 판(13)에서 흘러내리는 흰자위를 노른자위 분리 판 이하 저면부위에서 공통으로 수집되는 것이다.
또한, 유입구(10)에 투입되는 알의 유입력, 혹은 낙하속도가 빠르면 빠를수록 알의 껍데기 분리작동이 보다 신속하고 용이할 수 있다 하겠다.
따라서 유입구(10)로부터 알이 보다 높은 곳에서부터 투입이 되거나 여러 개의 알을 줄지어 강제로 투입하여 알의 유입력이 높아질 수 있으며 이렇게 유입력이 높아져도 알의 성분, 즉 노른자위와 흰자위를 분리하는데에는 지장을 주지 않는다.
10-유입구
11-유입구 거치구간
12-껍질 분리 판
13-노른자위 분리 판
14-통공
15-껍질 파쇄선
e-알

Claims (4)

  1. 통상의 알의 성분인 껍데기와 알의 내용물을 분리하고 알의 내용물 중, 흰자위와 노른자위로 구성되는 각각의 성분을 분리하는 기구에 있어서,
    알을 껍데기 파쇄선으로 안내하는 유입구(10)와;,
    상기 유입구(10) 내부에 제한된 공간내에 고정되어 하향으로 갈 수록 점진적으로 협소해지는 껍데기 파쇄선(15)과;,
    상기 껍데기 파쇄선(15)이 점진적으로 두꺼워지면서 양분되는 껍데기 분리 판(12)과;,
    알의 흰자위만이 여과되는 통공(14)이 형성되고;,
    노른자위를 하단부까지 안내하며 상기 껍데기 분리 판(12)의 하단부에 탈, 부착이 가능하도록 지지 고정되는 노른자위 분리 판(13)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 특징인 알의 껍데기 및 성분 분리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10009169U 2011-10-14 2011-10-14 알의 껍데기 및 성분 분리기구 KR2004732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169U KR200473283Y1 (ko) 2011-10-14 2011-10-14 알의 껍데기 및 성분 분리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169U KR200473283Y1 (ko) 2011-10-14 2011-10-14 알의 껍데기 및 성분 분리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442U KR20130002442U (ko) 2013-04-24
KR200473283Y1 true KR200473283Y1 (ko) 2014-06-23

Family

ID=51490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9169U KR200473283Y1 (ko) 2011-10-14 2011-10-14 알의 껍데기 및 성분 분리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283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0626U (ko) * 1998-01-21 1998-03-30 지종훈 계란 노른자 분리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0626U (ko) * 1998-01-21 1998-03-30 지종훈 계란 노른자 분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442U (ko) 2013-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RP20161129T1 (hr) Modul za ekstrakciju soka kod sokovnika
CN106073537B (zh) 一种蒸汽加热破壁机
US6095038A (en) Egg white and yolk separator
CN100389712C (zh) 多功能汤勺
KR200473283Y1 (ko) 알의 껍데기 및 성분 분리기구
CN104920249B (zh) 蜂蜜自动化生产装置
CN102355839A (zh) 分离盖
US7472647B2 (en) Egg separators
US2476356A (en) Egg breaker and separator
KR200407285Y1 (ko) 계란 내용물 분리장치의 혼합 배출장치
KR20170001681U (ko) 자동 계란 분리기
US20130319260A1 (en) Egg white-yolk separator device
CN210252651U (zh) 差速分离机
CN101795748B (zh) 空气过滤装置
CN210143770U (zh) 一种碧根果开壳装置
CN202932792U (zh) 自动破蛋分离蛋清蛋黄一体器
US1492385A (en) Combined egg separator and lemon squeezer
KR200407281Y1 (ko) 계란 내용물 분리장치
CN207640266U (zh) 一种简易蛋黄分离装置
TWM513661U (zh) 蛋液分離器
CN202618206U (zh) 蛋黄蛋白快速分离器
CN103263230A (zh) 一种有益于饮食健康的除油器
CN205758210U (zh) 一种滤油托体餐碟
DE602007005324D1 (de) Zubehörteil, das eine Kombination aus einer Zitruspresse und einer Vorrichtung zum Trennen von Eiweiß und Eigelb roher Eier darstellt
CN210810670U (zh) 一种蛋液精细化过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