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0620A - 모듈러 거주구 - Google Patents

모듈러 거주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0620A
KR20170000620A KR1020150089771A KR20150089771A KR20170000620A KR 20170000620 A KR20170000620 A KR 20170000620A KR 1020150089771 A KR1020150089771 A KR 1020150089771A KR 20150089771 A KR20150089771 A KR 20150089771A KR 20170000620 A KR20170000620 A KR 201700006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unit housing
flank
modular
par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9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0571B1 (ko
Inventor
박주신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89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0571B1/ko
Publication of KR20170000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0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0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02Cabins or other living spaces; Construction or arrangement thereof
    • B63B29/025Modular or prefabricated cabi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4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specially adapted for making walls

Abstract

본 발명의 제1단위 거주구 및 상기 제1단위 거주구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2단위 거주구로 이루어진 모듈러 거주구에 있어서, 상기 제1단위 거주구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제1 격벽, 상기 제1단위 거주구의 각 코너에 구비되며, 상기 제1 격벽이 각각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1 연결부, 상기 제2단위 거주구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제2 격벽 및 상기 제2단위 거주구의 각 코너에 구비되고, 상기 제2 격벽이 각각 슬라이딩 결합되며, 상기 제1 연결부와 결합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듈러 거주구{Modular Living Quarter System}
본 발명은 모듈러 거주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여러 개의 단위 거주구가 결합되어 형성된 모듈러 거주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는 거주구(Accommodation)가 설치되며, 거주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갑판(20)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거주구(10)에는 선원들이 거주할 수 있는 선실, 조타실, 제어실, 기타 편의시설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선박에 설치되는 거주구(10)는 안전 규정이 매우 까다롭고, 거주구에 설치되는 대부분의 제품들은 불이 잘 붙지 않거나 연기가 적게 발생하는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선행문헌(공개특허 제10-2012-0008976호)에 개시된 내용과 같이, 일반적으로 거주구는 의장 물품이 설치되지 않은 상태로 제작되어,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선박 몸체의 상부판에 올려져 용접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하나로 제작된 거주구는 선박 구조의 제한을 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선박 구조의 제한을 받지 않으며, 원하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는 거주구를 제작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08976호 (공개일: 2012.02.01)
본 발명은 각각의 단위 거주구들이 결합되어 형성된 모듈러 거주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제1단위 거주구 및 상기 제1단위 거주구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2단위 거주구로 이루어진 모듈러 거주구에 있어서, 상기 제1단위 거주구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제1 격벽, 상기 제1단위 거주구의 각 코너에 구비되며, 상기 제1 격벽이 각각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1 연결부, 상기 제2단위 거주구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제2 격벽 및 상기 제2단위 거주구의 각 코너에 구비되고, 상기 제2 격벽이 각각 슬라이딩 결합되며, 상기 제1 연결부와 결합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거주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거주구를 각각의 단위 거주구로 제작함으로써 선박 내 공간 활용이 용이할 수 있다.
둘째, 각각의 단위 거주구는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될 수 있어 설치와 해체 작업이 용이할 수 있다.
셋째, 각각의 단위 거주구를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어, 거주구의 크기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선박에 설치되는 거주구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거주구의 제1단위 거주구와 제2단위 거주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거주구의 제1단위 거주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거주구의 제2단위 거주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거주구의 제1 격벽 및 제2 격벽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거주구의 제1 격벽 및 제2 격벽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모듈러 거주구에 관한 것으로, 제1단위 거주구(50) 및 제2단위 거주구(60)와 같이 모듈 형태의 단위 거주구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제1단위 거주구(50)와 제2단위 거주구(60)는 각각 하나의 거주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제1단위 거주구(50)와 제2단위 거주구(60)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거주구는 제1 격벽(100) 및 제1 연결부(200)로 구성되는 제1단위 거주구(50) 및 제2 격벽(300) 및 제2 연결부(400)로 구성되는 제2단위 거주구(60)를 포함한다.
먼저, 제1단위 거주구(50)부터 살펴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위 거주구(50)는 제1 격벽(100)과 제1 연결부(20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1 격벽(100)은 제1단위 거주구(50)의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제1 격벽(100)은 제1단위 거주구(50)의 측벽(a) 또는 측벽(a)을 통해 형성된 공간의 천정이 되는 커버(b)일 수 있다.
또한, 제1 격벽(100)은 알루미늄(Aluminum)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알루미늄 재질은 스틸(STEEL) 재질에 비해 내식성이 우수하고, 경량화가 가능하다는 장점 있다. 다만, 알루미늄 재질은 용접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거주구는 제1 격벽(100)이 제1 연결부(200)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1 연결부(200)는 제1단위 거주구(50)의 높이방향(X)으로 배치되며, 바닥부재(80)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제1 연결부(200)는 제1단위 거주구(50)의 각 코너에 구비되어 제1단위 거주구(50)의 기둥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제1 격벽(100)은 각각 제1 연결부(200)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제1 연결부(200)와 함께 제1단위 거주구(50)의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격벽(100)과 제1 연결부(200)의 결합 구조를 살펴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부(200)는 제1단위 거주구(50)의 높이방향(X)을 따라 제1 삽입부(200a)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단위 거주구(50)의 측벽(a)을 이루는 제1 격벽(100)은 인접한 제1 연결부(200) 사이에 배치되며, 인접한 제1 연결부(200)와 대면되는 면에 각각 제1 삽입부(200a)에 삽입되는 제1 결합부(100a)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결합부(100a)가 제1 삽입부(200a)에 삽입됨에 따라 제1 격벽(100)과 제1 연결부(200)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단위 거주구(50)의 커버(b)를 이루는 제1 격벽(100)은 제1단위 거주구(50)의 상부에 구비되며, 각 코너에 구비된 제1 연결부(200)의 제1 삽입부(200a)에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제1 삽입부(200a)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 결합부(100a)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결합부(100a)가 제1 삽입부(200a)에 슬라이딩 결합됨에 따라 제1 격벽(100)이 제1 연결부(200)가 결합되어 제1단위 거주구(50)를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제2단위 거주구(60)를 살펴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단위 거주구(60)는 제2 격벽(300)과 제2 연결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격벽(300)은 앞서 설명한 제1 격벽(100)과 동일 또는 실질적으로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제2 연결부(400)는 제2단위 거주구(60)의 각 코너에 구비되고, 제2 격벽(300)이 각각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제1 연결부(200)와 마찬가지로 제2 연결부(400)는 바닥부재(80)에 높이방향(X)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연결부(400)는 제2단위 거주구(60)의 높이방향(X)을 따라 제2 삽입부(400a)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2단위 거주구(60)의 측면(a) 및 커버(b)를 이루는 제2 격벽(300)에 제2 결합부(300a)가 돌출 형성되어 제2 삽입부(400a)에 삽입됨에 따라 제2 격벽(300)과 제2 연결부(400)가 결합될 수 있다.
즉, 제2 결합부(300a)가 제2 삽입부(400a)에 슬라이딩 결합됨에 따라 제2 격벽(300)이 제2 연결부(400)가 결합되어 제2단위 거주구(60)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거주구는 제1단위 거주구(50)와 제2단위 거주구(60)를 결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거주구는 제2 연결부(400)와 제1 연결부(200)가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제1 연결부(200) 및 제2 연결부(400) 중 어느 하나는 서로 대면되는 면에 제3 결합부(210)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제3 결합부(210)가 삽입되는 제3 삽입부(41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단위 거주구(50)와 제2단위 거주구(60)는 바닥부재(80)에 설치되며, 서로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제1 연결부(200)와 제2 연결부(400)의 서로 대면되는 면에 각각 제3 결합부(210)와 제3 삽입부(410)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위 거주구(50)에 제3 결합부(210)가 형성되면, 제2단위 거주구(60)에는 제3 결합부(210)에 대응되는 제3 삽입부(4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연결부(200)와 제2 연결부(400)가 결합됨에 따라 제1단위 거주구(50)와 제2단위 거주구(60)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1 연결부(200) 및 제2 연결부(400)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연결부(200)와 제2 연결부(400)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제1 격벽(100)과 제2 격벽(300)이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거주구는 제1단위 거주구(50) 및 제2단위 거주구(60)가 결합되어 형성됨으로써 여러 개의 거주 공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거주구의 제1 격벽(100)과 제2 격벽(300)은 다층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여러 층이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보면, 제1 격벽(100) 및 제2 격벽(300)은 제1 플랭크(500), 제2 플랭크(600), 보강부(700) 및 고정부재(8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랭크(500)는 제1단위 거주구(50) 및 제2단위 거주구(60)의 외측면(B)을 이룰 수 있다.
즉, 제1 플랭크(500)는 제1단위 거주구(50) 및 제2단위 거주구(60)의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외부측면에 제2 돌출부(510)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플랭크(600)는 제1단위 거주구(50) 및 제2단위 거주구(60)의 내측면(A)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제2 플랭크(600)에는 제2 고정홈(61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강부(700)는 제1 플랭크(500)와 제2 플랭크(60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보강부(700)는 제1 플랭크(500)를 향하는 일면에 제1 플랭크(500)에 형성된 제2 돌출부(510)가 삽입되도록 제1 고정홈(710)이 형성되고, 제2 플랭크(600)를 향하는 타면에는 제2 고정홈(610)에 삽입되는 제1 돌출부(720)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거 거주구의 제1 격벽(100) 제2 격벽(300)을 이루는 제1 플랭크(500), 보강부(700) 및 제2 플랭크(600)는 서로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플랭크(500), 보강부(700) 및 제2 플랭크(6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강부(700)가 복수개가 구비될 경우, 인접한 두 개의 보강부(700) 중 어느 하나에는 제3 고정홈(730)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제3 고정홈(730)에 삽입되는 제3 돌출부(74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강부(700)와 마찬가지로 제1 플랭크(500) 및 제2 플랭크(600)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원하는 크기의 제1 격벽(100) 및 제2 격벽(300)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고정부재(800)는 제1 플랭크(500), 보강부(700) 및 제2 플랭크(600)를 고정할 수 있다.
즉, 고정부재(800)는 머리부(800a)와 나사부(800b)로 형성되어 머리부(800a)는 제2 플랭크(600)에 형성된 함몰부(620)에 삽입됨으로써 제2 플랭크(600)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인접한 제1단위 거주구(50) 또는 제2단위 거주구(60) 사이의 이격거리를 줄일 수 있어 공간이 제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나사부(800b)는 함몰부(620)의 내부에 형성된 관통공(620a)에 삽입되어, 보강부(700)에 형성된 고정홀(750) 및 제1 플랭크(500)에 형성된 고정홀(550)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플랭크(500), 제2 플랭크(600) 및 보강부(700)가 흔들리지 않게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참조된 도면들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거주구는 제1단위 거주구(50)와 제2단위 거주구(60)를 포함하여, 각각의 거주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단위 거주구(50)와 제2단위 거주구(60)가 결합되어 여러 개의 공간으로 이루어진 모듈러 거주구를 형성할 수 있어, 설치 공간의 구조 및 크기에 따라 모듈러 거주구의 배치 및 크기를 가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거주구 20: 갑판
50: 제1단위 거주구 60: 제2단위 거주구
80: 바닥부재 100: 제1 격벽
100a: 제1 결합부 200: 제1 연결부
200a: 제1 삽입부 210: 제3 결합부
300: 제2 격벽 300a: 제2 결합부
400: 제2 연결부 400a: 제2 삽입부
410: 제3 삽입부 500: 제1 플랭크
510: 제2 돌출부 600: 제2 플랭크
610: 제2 고정홈 620: 함몰부
620a: 관통공 700: 보강부
710: 제1 고정홈 720: 제1 돌출부
730: 제3 고정홈 740: 제3 돌출부
550, 750: 고정홀 800: 고정부재
800a: 머리부 800b: 나사부
A: 내측면 B: 외측면
X: 높이방향 a: 측벽
b: 커버

Claims (1)

  1. 제1단위 거주구 및 상기 제1단위 거주구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2단위 거주구로 이루어진 모듈러 거주구에 있어서,
    상기 제1단위 거주구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제1 격벽;
    상기 제1단위 거주구의 각 코너에 구비되며, 상기 제1 격벽이 각각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1 연결부;
    상기 제2단위 거주구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제2 격벽; 및
    상기 제2단위 거주구의 각 코너에 구비되고, 상기 제2 격벽이 각각 슬라이딩 결합되며, 상기 제1 연결부와 결합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모듈러 거주구.
KR1020150089771A 2015-06-24 2015-06-24 모듈러 거주구 KR102190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9771A KR102190571B1 (ko) 2015-06-24 2015-06-24 모듈러 거주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9771A KR102190571B1 (ko) 2015-06-24 2015-06-24 모듈러 거주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620A true KR20170000620A (ko) 2017-01-03
KR102190571B1 KR102190571B1 (ko) 2020-12-15

Family

ID=57797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9771A KR102190571B1 (ko) 2015-06-24 2015-06-24 모듈러 거주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057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4164A (ja) * 1994-06-13 1995-12-22 Nippon Light Metal Co Ltd 防音、制振及び断熱用複合パネル
KR960004169A (ko) * 1994-07-28 1996-02-23 베른하르트 엠. 베크;크라우스 슈바이쩌 센터링 부시
KR970001353A (ko) * 1995-06-21 1997-01-24 정몽원 자동차의 충돌방지 경보장치
KR20120008976A (ko) 2010-07-21 2012-02-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거주구와 선박 몸체의 결합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4164A (ja) * 1994-06-13 1995-12-22 Nippon Light Metal Co Ltd 防音、制振及び断熱用複合パネル
KR960004169A (ko) * 1994-07-28 1996-02-23 베른하르트 엠. 베크;크라우스 슈바이쩌 센터링 부시
KR970001353A (ko) * 1995-06-21 1997-01-24 정몽원 자동차의 충돌방지 경보장치
KR20120008976A (ko) 2010-07-21 2012-02-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거주구와 선박 몸체의 결합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0571B1 (ko) 202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78140A1 (en) Wall fastener
KR20090013757A (ko) 선박용 파티션 모듈
KR20100112058A (ko) 유닛룸과 그 2단 설치 구조
WO2014203396A1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KR20170000620A (ko) 모듈러 거주구
JP7023781B2 (ja) 入隅部用保護カバー、入隅部用保護カバーの組付け構造、及び設置構造
JP6212166B2 (ja) 遮音カバー及び遮音構造
KR101711487B1 (ko) 거주구 벽면 구조체
KR20160003608U (ko) 거주구의 연기 또는 유해가스 차단구조체
US11352805B2 (en) Safety portal system
US20110056011A1 (en) Corner assemblies for swimming pools
JP7316153B2 (ja) パーティション
KR20200000835U (ko) 선박 소화전 구조물
JP5264568B2 (ja) 床下点検口
JP6687058B2 (ja) 壁面構造
JP6779749B2 (ja) 収納什器
JP5746242B2 (ja) 浴室ユニット、接合部材及び浴室ユニット製造方法
JP2633894B2 (ja) ブースの支持構造
KR101701481B1 (ko) 블래스트월
KR20210014939A (ko) 안정적인 거주구역 확보가 가능한 연구조사선 공간배치 방법 및 공간배치 구조
JP2011162955A (ja) 間仕切壁
JP2561966Y2 (ja) パネル間の隙間隠蔽装置
KR20220059808A (ko) 매립가능한 멀티탭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파티션
NL2012260C2 (nl) Module voor het modulair bouwen van een gebouw alsmede samenstel voorzien van dergelijke modules.
JP2020204167A (ja) 間仕切り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