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1487B1 - 거주구 벽면 구조체 - Google Patents

거주구 벽면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1487B1
KR101711487B1 KR1020150089765A KR20150089765A KR101711487B1 KR 101711487 B1 KR101711487 B1 KR 101711487B1 KR 1020150089765 A KR1020150089765 A KR 1020150089765A KR 20150089765 A KR20150089765 A KR 20150089765A KR 101711487 B1 KR101711487 B1 KR 101711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k
reinforcing portion
fixing
protrus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9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0617A (ko
Inventor
박주신
구정본
유남준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89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1487B1/ko
Publication of KR20170000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1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1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02Cabins or other living spaces; Construction or arrangement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4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specially adapted for making wall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주구 벽면 구조체는 거주구의 내측면을 이루는 제1 플랭크, 상기 거주구의 외측면을 이루며, 상기 제1 플랭크와 이격 형성되는 제2 플랭크, 상기 제1 플랭크와 상기 제2 플랭크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플랭크 및 상기 제2 플랭크와 각각 결합되는 보강부, 및 상기 제2 플랭크, 상기 보강부 및 상기 제1 플랭크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거주구 벽면 구조체{DECK HOUSE WALL STRUCTURE}
본 발명은 거주구 벽면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각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는 다층 구조의 거주구 벽면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는 거주구(Accommodation)가 설치되며, 거주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갑판(20)에 설치될 수 있으며, 거주구(10)에는 선원들이 거주할 수 있는 선실, 조타실, 제어실, 기타 편의시설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선박에 설치되는 거주구(10)는 안전 규정이 매우 까다롭고, 거주구(10)에 설치되는 대부분의 제품들은 불이 잘 붙지 않거나 연기가 적게 발생하는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선행문헌(한국 공개실용신안 20-2013-0000248호)에서와 같이 거주구를 이루는 격벽은 고정브라켓, 스틸패널 및 스틸패널 사이에 구비된 흡음재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금속소재의 격벽, 특히 알루미늄 재질의 격벽일 경우 용접보다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거주구 격벽이 접착에 의해 결합될 경우, 외부 충격 또는 선체 하중이 가해짐에 따라 격벽의 접착부위가 분리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3-0000248호 (공개일: 2013.01.09)
본 발명은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는 다층 구조의 거주구 벽면 구조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거주구의 내측면을 이루는 제1 플랭크, 상기 거주구의 외측면을 이루며, 상기 제1 플랭크와 이격 형성되는 제2 플랭크, 상기 제1 플랭크와 상기 제2 플랭크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플랭크 및 상기 제2 플랭크와 각각 결합되는 보강부, 및 상기 제2 플랭크, 상기 보강부 및 상기 제1 플랭크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거주구 벽면 구조체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보강부는 상기 제1 플랭크와 대면하는 일면에는 제1 고정홈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제2 플랭크와 대면하는 일면에는 제2 플랭크를 향해 제1 돌출부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플랭크에는 상기 제1 고정홈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2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플랭크에는 상기 제1 돌출부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2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2 플랭크를 향해 연장 형성된 제1 연장부재, 및 상기 제1 연장부재의 일단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연장부재와 소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된 제2 연장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플랭크의 외측면에는 상기 고정부개가 삽입되는 위치에 함몰부가 함몰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의 내부 일측에는 상기 보강부를 향해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부 및 상기 제1 플랭크에는 상기 관통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고정부재가 삽입되는 고정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주구 벽면 구조체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제1 플랭크, 제2 플랭크 및 보강부는 외부 충격 또는 선체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둘째, 제1 플랭크, 제2 플랭크 및 보강부는 슬라이딩 결합되므로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여 작업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셋째, 제1 플랭크, 제2 플랭크 및 보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거주구의 크기 조절이 용이할 수 있다.
넷째, 제1 격벽과 제2 격벽은 각각 방폭 및 방염 재질로 형성되어 안전한 거주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선박에 설치된 거주구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주구 벽면 구조체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주구 벽면 구조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주구 벽면 구조체의 보강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선박에 설치되는 거주구의 벽면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주구 벽면 구조체는 제1 플랭크(100), 제2 플랭크(200), 보강부(300) 및 고정부재(400)를 포함한다.
제1 플랭크(100)는 선박 거주구의 내측면(A)을 이룰 수 있다.
제2 플랭크(200)는 선박 거주구의 외측면(B)을 이루며 제1 플랭크(100)와 이격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강부(300)는 제1 플랭크(100)와 제2 플랭크(20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주구 벽면 구조체는 제1 플랭크(100), 보강부(300) 및 제2 플랭크(200)으로 이루어진 다층 구조의 거주구 벽면 구조체이다.
구체적으로 제1 플랭크(100) 부터 살펴보면, 제1 플랭크(100)는 선박 거주구의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플랭크(100)는 거주구의 편의 또는 안전을 고려하여 단열 재질로 형성되거나 방염 처리가 될 수 있다.
한편, 제1 플랭크(100)에는 보강부(300)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2 돌출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플랭크(100)는 제1 플랭크(100)의 외측면에 구비된 보강부(300)와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제1 플랭크(100)와 보강부(300)의 결합구조는 이후 보강부(300)를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선박 거주구의 외측면(B)을 이루는 제2 플랭크(200)는 알루미늄(Aluminum) 재질로 형성될 수 될 수 있다.
알루미늄 재질은 스틸(STEEL) 재질에 비해 내식성이 우수하고, 경량화가 가능하다는 장점 있다. 다만, 알루미늄 재질은 용접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제2 플랭크(200)와 보강부(300)가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플랭크(200)에는 보강부(300)에 형성된 제1 돌출부(320)와 결합되는 제2 고정홈(21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보강부(300)의 제1 돌출부(320)가 제2 플랭크(200)의 제2 고정홈(210)에 삽입되어 제2 플랭크(200)와 보강부(300)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주구 벽면 구조체의 보강부(300)는 제1 플랭크(100) 및 제2 플랭크(200)와 각각 슬랑딩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강부(300)는 제1 플랭크(100)와 대면하는 일면에 제1 고정홈(310)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내용과 같이, 제1 함몰홈(310)에는 제1 플랭크(100)의 제2 돌출부(110)가 삽입될 수 있으며, 제2 돌출부(110)가 제1 함몰홈(310)에 삽입됨에 따라 제1 플랭크(100)와 보강부(300)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보강부(300)는 제2 플랭크(200)와 대면하는 일면에 제2 플랭크(200)를 향해 제1 돌출부(320)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 돌출부(320)는 제2 플랭크(200)에 형성된 제2 고정홈(210)에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제1 돌출부(320)는 제1 연장부재(320a)와 제2 연장부재(32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장부재(320a)는 제2 플랭크(200)를 향해 연장 형성되고, 제2 연장부재(320b)는 제1 연장부재(320a)의 일단에 구비되며, 제1 연장부재(320a)와 소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2 플랭크(200)의 제2 고정홈(210)은 제1 돌출부(320)의 모양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돌출부(320)의 제2 연장부재(320b)가 제1 연장부재(320a)와 소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제2 플랭크(200)는 보강부(300)와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주구 벽면 구조체는 고정부재(400)를 포함한다.
고정부재(400)는 제1 플랭크(100), 제2 플랭크(200), 보강부(300)를 관통하여 고정할 수 있다.
즉, 고정부재(400)는 제1 플랭크(100), 보강부(300) 및 제2 플랭크(200)에 의해 이루어진 다층 구조의 거주구 벽면 구조체를 연결하여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고정부재(400)는 제2 플랭크(200)의 외측면으로부터 제1 플랭크(100)를 향해 삽입될 수 있다.
제2 플랭크(200)의 외측면에는 고정부개(400)가 삽입되는 위치에 함몰부(220)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함몰부(220)의 내부 일측에는 보강부(300)를 향해 관통공(220a)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주구 벽면 구조체의 고정부재(400)는 머리부(400a)와 나사부(400b)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부재(400)가 제2 플랭크(200)에 삽입되면, 고정부재(400)의 머리부(400a)는 제2 플랭크(200)에 형성된 함몰부(220)에 삽입되며, 함몰부(220)에 의해 고정부재(400)의 머리부(400a)가 제2 플랭크(200)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고정부재(400)의 머리부(400a)가 제2 플랭크(200)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제2 플랭크(200)의 외측면에 다른 구조물을 설치 시 고정부재(400)에 의해 설치 공간이 제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고정부재(400)의 나사부(400b)는 함몰부(220)의 내부에 형성된 관통공(220a)에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보강부(300)와 제1 플랭크(100)에는 관통공(220a)과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홀(150, 350)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부재(400)의 나사부(400b)는 관통공(220a)을 통해 보강부(300)에 형성된 고정홀(350) 및 제1 플랭크(100)에 형성된 고정홀(150)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부재(400)에 의해 제2 플랭크(200), 보강부(300) 및 제1 플랭크(100)가 하나로 연결되어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주구 벽면 구조체는 보강부(300), 제1 플랭크(100) 및 제2 플랭크(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보강부(300)가 복수 개로 구비될 경우를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부(300)는 인접한 제1 보강부(330) 및 제2 보강부(34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제1 보강부(330)에는 제3 고정홈(330a)이 형성되고, 제2 보강부(340)에는 제3 돌출부(340a)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돌출부(340a)가 제3 고정홈(330a)에 삽입됨으로써 제1 보강부(330)와 제2 보강부(340)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주구 벽면 구조체는 제1 플랭크(100), 보강부(300) 및 제2 플랭크(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복수개가 구비되어 제1 플랭크(100), 보강부(300) 및 제2 플랭크(200)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플랭크(100), 보강부(300) 및 제2 플랭크(200)의 길이를 가변하여 원하는 크기의 거주구를 형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거주구 20: 갑판
100: 제1 플랭크 110: 제2 돌출부
200: 제2 플랭크 210: 제2 고정홈
220: 함몰부 220a: 관통공
300: 보강부 310: 제1 고정홈
320: 제1 돌출부 320a: 제1 연장부재
320b: 제2 연장부재 330: 제1 보강부
330a: 제3 고정홈 340: 제2 보강부
340a: 제3 돌출부 150, 350: 고정홀
400: 고정부재 400a: 머리부
400b: 나사부 A: 내측면
B: 외측면

Claims (7)

  1. 거주구의 내측면을 이루는 제1 플랭크;
    상기 거주구의 외측면을 이루며, 상기 제1 플랭크와 이격 형성되는 제2 플랭크;
    상기 제1 플랭크와 상기 제2 플랭크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플랭크 및 상기 제2 플랭크와 각각 결합되는 보강부; 및
    상기 제2 플랭크, 상기 보강부 및 상기 제1 플랭크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부는,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1 보강부 및 제2 보강부로 이루어지는 거주구 벽면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제1 플랭크와 대면하는 일면에는 제1 고정홈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제2 플랭크와 대면하는 일면에는 제2 플랭크를 향해 제1 돌출부가 돌출 형성되는 거주구 벽면 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랭크에는 상기 제1 고정홈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2 돌출부가 형성되는 거주구 벽면 구조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랭크에는 상기 제1 돌출부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2 고정홈이 형성되는 거주구 벽면 구조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2 플랭크를 향해 연장 형성된 제1 연장부재; 및
    상기 제1 연장부재의 일단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연장부재와 소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된 제2 연장부재;를 포함하는 거주구 벽면 구조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랭크의 외측면에는 상기 고정부재가 삽입되는 위치에 함몰부가 함몰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의 내부 일측에는 상기 보강부를 향해 관통공이 형성되는 거주구 벽면 구조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 및 상기 제1 플랭크에는 상기 관통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고정부재가 삽입되는 고정홀이 형성되는 거주구 벽면 구조체.
KR1020150089765A 2015-06-24 2015-06-24 거주구 벽면 구조체 KR101711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9765A KR101711487B1 (ko) 2015-06-24 2015-06-24 거주구 벽면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9765A KR101711487B1 (ko) 2015-06-24 2015-06-24 거주구 벽면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617A KR20170000617A (ko) 2017-01-03
KR101711487B1 true KR101711487B1 (ko) 2017-03-13

Family

ID=57797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9765A KR101711487B1 (ko) 2015-06-24 2015-06-24 거주구 벽면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1487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4164A (ja) * 1994-06-13 1995-12-22 Nippon Light Metal Co Ltd 防音、制振及び断熱用複合パネル
JP2003528999A (ja) * 1999-07-29 2003-09-30 ドナティ グループ エッセ・ピィ・アー 高強度壁およびカバーアセンブリ用建設サンドイ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
KR20130000248U (ko) 2011-07-01 2013-01-0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및 해양설비의 거주구 격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617A (ko) 2017-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501303A (ja) 管状開口の内壁と少なくとも部分的に開口に挿入される少なくとも1本のチューブまたはダクトとの間のスペースを封止するシステム
KR101391454B1 (ko) 내진설계가 적용되고 불연성 도료가 코팅된 건축용 패널
KR101711487B1 (ko) 거주구 벽면 구조체
WO2014203396A1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KR102494443B1 (ko) 벽 구조
JP6212166B2 (ja) 遮音カバー及び遮音構造
US11624185B2 (en) Penetration part fireproof coating material
JP5906270B2 (ja) 足場つなぎ部材用の取り付け治具
KR102561470B1 (ko) 방연 및 방화용 트랜싯
JP2016089328A (ja) 窓枠構造
JP2013104269A (ja) 見切具
KR20170001363A (ko) 격벽 관통용 파이프 결합 어셈블리
JP6664888B2 (ja) 延長取付具
JP2008144490A (ja) パネル連結用アングル材
JP2015148327A (ja) 化粧カバー、及び保護カバーの配設構造
JP5431258B2 (ja) 屋外貫通孔カバー
JP2010196434A (ja) プレハブ式建築物のパネル連結手段
JP5001823B2 (ja) 化粧柱構造
US20180268799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n acoustic dampening panel
JP5828445B2 (ja) 浴室天井の組み立て方法
JP6915849B2 (ja) 建築物と建築方法
KR102190571B1 (ko) 모듈러 거주구
JP6900244B2 (ja) ハッチを装備した壁開口部用のフレームの構築方法、及びフレーム構造
KR20130143329A (ko) 방화문 프레임
JP2021031991A (ja) 天井連結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