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0158A - 머루분말을 포함하는 샐러드 드레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머루분말을 포함하는 샐러드 드레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0158A
KR20170000158A KR1020150089006A KR20150089006A KR20170000158A KR 20170000158 A KR20170000158 A KR 20170000158A KR 1020150089006 A KR1020150089006 A KR 1020150089006A KR 20150089006 A KR20150089006 A KR 20150089006A KR 20170000158 A KR20170000158 A KR 20170000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ad dressing
powder
present
composition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9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빙동주
전순실
이지현
Original Assignee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89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0158A/ko
Publication of KR20170000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1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60Salad dressings; Mayonnaise; Ketchup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32Other phenolic compounds, polyphenols

Abstract

본 발명은 머루분말을 포함하는 샐러드 드레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머루분말을 특정 조성비로 첨가하여 샐러드 드레싱의 저장성을 개선시키고, 항산화 기능성을 부여할 뿐만 아니라 맛, 향미 및 전체기호도를 증진시킨 건강기능성 샐러드 드레싱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머루분말을 포함하는 샐러드 드레싱 조성물은 인체에 유용한 각종 생리활성 작용을 가지고 있는 머루분말의 첨가로 인해 높은 폴리페놀 함량을 통한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가지며, 이외에도 저장성 및 관능성(맛, 향미, 전체적 기호도 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머루분말을 포함하는 샐러드 드레싱 조성물의 경우 성인병 등 서구화 되어가는 식문화로 인해 유발되는 각종 질병들을 예방하기 위한 채소의 이용과 섭취를 증가시켜 소비자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머루분말을 포함하는 샐러드 드레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Composition for salad dressing comprising Vitis coignetiae Powder and process of preparation thereof}
본 발명은 머루분말을 포함하는 샐러드 드레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머루분말을 특정 조성비로 첨가하여 샐러드 드레싱의 저장성을 개선시키고, 항산화 기능성을 부여할 뿐만 아니라 맛, 향미 및 전체기호도를 증진시킨 건강기능성 샐러드 드레싱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사용되는 기호성 식품 중 조미식품은 간장, 된장 및 고추장 등의 전통 조미식품, 토마토케첩, 마요네즈 및 핫소스 등의 서양 소스류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서양 사람들은 육식을 주식으로 하였으므로 다양한 맛과 향을 가지는 소스를 즐겨 사용해 왔으나 우리나라에서는 곡류가 주식이었으므로 소스가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지 않다.
소스는 식품 본래의 향기를 유지하면서 음식의 풍미를 높여주는 것으로, 요리의 가치와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서양요리에서 맛과 색상을 부여하여 식욕을 증진시키고, 재료의 첨가로 영양가를 높이며 음식이 요리되는 동안 재료들이 서로 결합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소스의 일종인 드레싱은 일반적으로 재료를 끓이지 않고 혼합하여 만드는 것으로 차가운 소스로 분류되는데 종류는 많지만 드레싱의 기본은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식초와 식용유를 주로 한 프렌치 드레싱과 달걀노른자, 식용유, 식초로 만든 마요네즈 드레싱이다. 드레싱은 샐러드의 맛을 조절하고 향과 풍미를 제공하며 질감을 여러 종류의 샐러드에 첨가하면 그 맛을 증진시키고 소화를 도와줄 뿐만 아니라 시각적인 효과도 높여줄 수 있다.
한편, 현대인들은 과다한 육류 섭취로 인해 비만이나 성인병의 발생위험이 증가되고 있다. 이에 최근 소비자의 기호도는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채소나 서양의 특수 향신 야채를 이용한 샐러드의 소비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어린이나 청소년들의 경우 여전히 패스트푸드나 육류를 선호하고 채소류는 싫어하는 경향이 높다. 따라서 항암효과와 건강유지증진에 뛰어난 생리활성을 가지고 있는 채소의 이용과 섭취를 증가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서 생채소에 곁들여져 채소의 섭취를 증진시키는 건강기능성 드레싱에 대한 연구가 매우 활발하다.
기존의 기능성 부재료를 첨가한 샐러드 드레싱에 관한 연구로는 캐슈(Choi et al. Korean J Food. Cookery Sci. 25:39-44.), 복분자즙(Jung SJ 등 2008), 된장(Shim HJ 등 2008), 마늘(Jeong, 2007), 고추 후레이크(Kim, 2006), 삼백초추출물(Hwangbo, 2006), 스피루리나(Yang, 2005), 고추 조미유(Son MH 2004), Gums(Lee, 2003), 녹차(Park, 2002), 키위(Kim MH 등 2002) 등을 이용한 연구가 보고된 바 있다.
한편, 머루(Vitis coignetiae)는 갈매나무목 포도과에 속하는 낙엽성 덩굴식물로 중국 및 한국에 분포하고 내한성 및 내병성이 강하며, 산에서 자생하고 있다. 머루는 페놀산(phenolic acids), 플라보노이드(flavonoids)와 같은 페놀 화합물과 안토시아닌 등의 기능성 색소 함유하고 있는 알칼리성 과실로 지방간, 고혈압, 심장병, 관절염 및 성인병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한 기능성에 불구하고 머루는 주로 신맛이 강하고 저장성이 낮아 대부분 발효를 통한 술로 이용될 뿐 머루를 이용한 식품의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현대인들이 자주 이용하는 샐러드 드레싱에 건강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머루분말을 특정 비율로 첨가하여 샐러드 드레싱을 제조하였으며, 이렇게 제조된 머루분말 함유 샐러드 드레싱 조성물의 경우 저장성이 개선되고, 총 폴리페놀 함량 증진을 통한 항산화 활성을 가질뿐만 아니라, 맛, 향미, 전체적인 기호도와 같은 관능 특성에서 우수하여 실제 제품에 적용하는 경우 상업적 가치가 크다는 점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국등록특허 제10-0792811호 한국등록특허 제10-1480476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저장성, 항산화 활성 및 관능미가 우수한 건강기능식 셀러드 드레싱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건강기능식 셀러드 드레싱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머루분말이 포함된 샐러드 드레싱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머루분말 이외에 추가로 마요네즈, 꿀, 양파즙, 레몬즙 및 요거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총 100중량부 대비 마요네즈 60~55중량부, 머루분말 0.5~3중량부, 꿀 14~15중량부, 양파즙 1~2중량부, 레몬즙 3~4중량부 및 요거트 21~22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저장성 및 관능성이 개선되고 항산화 활성이 부여된 샐러드 드레싱 조성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요네즈에 머루분말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머루분말이 포함된 샐러드 드레싱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머루분말 첨가 이전에 꿀, 요거트 및 양파즙을 상기 마요네즈에 첨가한 후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머루분말은 마요네즈와 머루분말의 합계 총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머루분말을 포함하는 샐러드 드레싱 조성물은 인체에 유용한 각종 생리활성 작용을 가지고 있는 머루분말의 첨가로 인해 높은 폴리페놀 함량을 통한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가지며, 이외에도 저장성 및 관능성(맛, 향미, 전체적 기호도 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머루분말을 포함하는 샐러드 드레싱 조성물의 경우 성인병 등 서구화 되어가는 식문화로 인해 유발되는 각종 질병들을 예방하기 위한 채소의 이용과 섭취를 증가시켜 소비자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머루분말 함유 샐러드 드레싱의 냉장(5℃) 저장기간 경과에 따른 총 폴리페놀 함량의 변화를 측정하여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0%는 머루분말이 포함되지 않은 대조군을 의미하며, 1%는 실험군 1, 2%는 실험군 2, 3% 실험군 3, 5%는 실험군 4를 각각 의미한다. 수치(값)는 3번의 연속실험을 통한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알파벳 소문자 a-e는 동일한 시료에서 유의적인 차이(P>0.05)를 가리키며, 알파벳 대문자 A-D는 동일 저장기간에서 유의적인 차이(P>0.05)를 가리킨다.
도 2는 본 발명의 머루분말 함유 샐러드드레싱의 냉장(5℃) 저장기간 경과에 따른 DPPH 소거활성 변화를 측정하여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0%는 머루분말이 포함되지 않은 대조군을 의미하며, 1%는 실험군 1, 2%는 실험군 2, 3% 실험군 3, 5%는 실험군 4를 각각 의미한다. 수치(값)는 3번의 연속실험을 통한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알파벳 소문자 a-c는 동일한 시료에서 유의적인 차이(P>0.05)를 가리키며, 알파벳 대문자 A-E는 동일 저장기간에서 유의적인 차이(P>0.05)를 가리킨다.
도 3은 본 발명의 머루분말 함유 샐러드드레싱의 냉장(5℃) 저장기간 경과에 따른 ABTS 소거활성 변화를 측정하여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0%는 머루분말이 포함되지 않은 대조군을 의미하며, 1%는 실험군 1, 2%는 실험군 2, 3% 실험군 3, 5%는 실험군 4를 각각 의미한다. 수치(값)는 3번의 연속실험을 통한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알파벳 소문자 a-c는 동일한 시료에서 유의적인 차이(P>0.05)를 가리키며, 알파벳 대문자 A-E는 동일 저장기간에서 유의적인 차이(P>0.05)를 가리킨다.
본 발명은 각종 생리활성을 가지고 있는 머루를 이용하여 항산화 기능성, 저장성 및 관능성이 모두 우수한 샐러드 드레싱을 제공함에 그 특징이 있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머루는 머루(Vitis coignetiae)는 갈매나무목 포도과에 속하는 낙엽성 덩굴식물로 중국 및 한국에 분포하고 내한성 및 내병성이 강하며, 산에서 자생하고 있다. 머루는 페놀산(phenolic acids), 플라보노이드(flavonoids)와 같은 페놀 화합물과 안토시아닌 등의 기능성 색소 함유하고 있는 알칼리성 과실로 지방간, 고혈압, 심장병, 관절염 및 성인병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한 기능성에 불구하고 머루는 주로 신맛이 강하고 저장성이 낮아 대부분 발효를 통한 술로 이용될 뿐 머루를 이용한 식품의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채소를 곁들일 수 있는 샐러드 드레싱용 조성물에 있어서, 머루분말을 특정 조성비로 첨가하여 저장성 및 항산화 기능성과 더불어 관능성이 향상된 샐러드 드레싱용 조성물을 최초로 제공하였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샐러드 드레싱용 조성물은 머루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이외에도 추가로 마요네즈, 꿀, 양파즙, 레몬즙 및 요거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 총 100중량부 대비 마요네즈 60~55중량부, 머루분말 0.5~3중량부, 꿀 14~15중량부, 양파?j 1~2중량부, 레몬즙 3~4중량부 및 요거트 21~22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비율로 구성되는 본 발명의 샐러드 드레싱용 조성물은 머루분말을 포함하지 않은 샐러드 드레싱에 비하여 저장성이 개선되며; 총 폴리페놀 함량이 높아 항산화 활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맛, 향미, 전체적 기호도 등의 관능적 특성도 개선되는 효과를 가진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샐러드 드레싱용 조성물은 발명의 목적을 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통상적인 방법 및 함량에 따라 각종 식품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식품에 편리하게 사용되는 임의의 천연 및/또는 인공 감미료를 본 발명의 조성물 내 사용할 수 있다. 적합한 감미료는 수크로스, 푸럭토스, 덱스트로스, 콘 시럽 고형물, 사카린 및 아스파탐을 포함하지만 그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나아가 더욱 추가적인 식품 첨가제 성분으로서 토마토 펄프, 소고기 추출물, 미세결정 셀루로오즈, 머스타드 분말, 오렌지 껍질, 펙틴, 칼슘, 식물 및/또는 과일 퓌레, 탈지유, 버터밀크, 노른자, 탈수된 사우어 크림, 무지방 분유, 베이컨, 치즈 및 잘게 자른 야채와 같은 식품 입자, 소금, 후추, 크산탄 및 알긴 유도체와 같은 검(gum), 에멀션화제, 전분, 식이 섬유, 조미료 및 향신료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머루분말을 포함하는 샐러드 드레싱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마요네즈에 머루분말을 첨가하고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머루분말은 수확한 머루를 깨끗하게 세척한 후 건조시킨 다음,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말화한 것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시중에서 판매되는 머루분말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마요네즈는 일반적으로 식물성 기름, 물, 난황-함유 물질 및 산성화 성분으로부터 제조된 진하고 유화되고 비-주입성인 식품 드레싱이다. 상기 마요네즈는 상업적으로 구입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제조법에 따라 실제로 제조된 것이어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에 지장이 없다.
본 발명의 일구체예에서, 상기 샐러드 드레싱 조성물의 제조는 (a) 마요네즈에 꿀, 요거트 및 양파즙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 및 (b) 상기 혼합물에 레몬즙 및 머루분말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마요네즈에 꿀, 요거트 및 양파즙을 첨가한 후 2-5분간 교반하면서 혼합하는 단계이며, 상기 (b) 단계는 마요네즈에 꿀, 요거트 및 양파즙을 첨가하여 혼합한 혼합물에 레몬즙과 머루분말을 추가로 첨가하여 다시 2-5분간 교반하면서 혼합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일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머루분말은 마요네즈와 머루분말의 합계 총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첨가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실험재료
본 실험에 사용된 머루는 전라북도 무주군에서 2013년 9월 말경에 수확한 머루를 동결 건조하여 -20C에서 냉동 보관하면서 시료로 사용하였다. 마요네즈(오뚜기 골드마요네즈, 오뚜기, 울산, 한국), 꿀(동서벌꿀, 동서식품, 충북 진천군, 한국), 요거트(요플레 플레인, 빙그레, 남양주, 한국), 레몬즙(ELMAC LEMON JUICE, Elmac Aggro, Howrah, India), 양파를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통계처리
모든 실험 결과는 SPSS 프로그램(SPSS 12.0 for windows, SPSS Inc., Chicago, IL, USA)을 이용하여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각 측정 평균값 간의 유의성은 P<0.05 수준으로 Duncan의 다중범위 시험법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SAS Software 9.3(SAS Institute Inc., Cary, NC, USA)을 이용하여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과 주성분 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을 하였다. 실험 결과 값들 사이의 상관관계는 Pearson의 상관분석을 이용하였고 주성분 분석에는 covariance matrix를 사용하였다.
<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머루분말 함유 샐러드 드레싱의 제조
본 발명의 머루분말 함유 샐러드 드레싱을 제조하기 위하여 구성성분의 배합비는 하기 표 1에서 자세히 나타내었다. 제조방법은 마요네즈 400g에 꿀 100 g, 요거트 150g 및 양파즙 10 g을 먼저 blender(Sunbeam Mixmaster(2476-001), Sunbeam Appliance Company, Oak Brook, IL, USA)로 3분간 교반하고 레몬즙과 머루 분말을 4g, 8g, 12g 및 20g 각각을 첨가하여 3분간 교반하여 균질화한 후 5℃에 냉장 보관하여 분석시료로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샐러드 드러셍의 구성성분 및 함량
성분(g) 대조군 실험군 1 실험군 2 실험군 3 실험군 4
마요네즈 400 396 392 388 380
머루분말 0 4 8 12 20
100 100 100 100 100
양파즙 10 10 10 10 10
레몬즙 25 25 25 25 25
플레인 요거트 150 150 150 150 150
< 실험예 1>
본 발명에 따른 머루분말이 함유된 샐러드 드레싱의 품질 특성 분석
<1-1> 저장중 점도의 변화 측정
저장 중 샐러드 드레싱의 점도 변화 측정은 회전식 점도계(Visco star plus, Fungilab, Barcelona, Spain)를 이용하여 50mL 비커에 시료 40g을 담은 후 spindle L4, rpm 20, shear rate 116.7 s-1, 5℃의 조건에서 측정하였으며, spindle 회전 후 1분이 되었을 때의 값을 각 시료당 9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서 자세히 나타내었다.
샐러드 드레싱의 냉장(5℃) 보관시 저장기간 경과에 따른 점도 변화
시료 저장기간(주, weeks)
0 1 2 3 4
대조군 5,134.39
±135.24eB1 )2)
6,572.98
±176.74bB
6,429.18
±621.66cC
7,885.28
±653.26aB
5,666.92
±165.68dC
실험군 1 5,472.20
±126.99cA
5,349.83
±91.42cD
8,263.18
±326.99aA
8,069.57
±287.76aB
6,907.58
±217.29bA
실험군 2 5,083.59
±194.40dB
6,590.48
±159.27cB
7,315.51
±331.31bB
8,603.58
±427.95aA
6,731.93
±228.16cA
실험군 3 4,837.48
±71.86eC
6,732.96
±152.93cA
8,189.70
±315.76bA
8,764.21
±335.99aA
5,984.49
±199.89dB
실험군 4 4,421.39
±73.10cD
5,719.19
±149.05bC
7,631.46
±244.61aB
7,762.26
±287.87aB
5,717.40
±150.59bC
Values are meanstandard deviation (n=9).
1)Means with different small letters (a-e) in each row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2)Means with different capital letters (A-D) in each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본 실험에서는 저장기간 0일차에서 머루 분말 1% 첨가군(실험군 1)이 5,472.20 cp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며(P<0.05), 머루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낮아졌다(P< 0.05). 저장기간 중의 점도에서 3주차까지 실험군들의 점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4주차에는 실험군들 모두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첨가군들의 점도는 5,717.40~6,907.58 cp로 대조군(5,666.92 cp)보다 높게 나타나 머루 분말 첨가가 저장 시 드레싱의 유화력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실험군 1 및 실험군 2에서 저장기간 4주차에도 대조군 및 다른 실험군 대비 높은 점도를 형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참고로, 점도는 유동식품에 대한 저항성을 나타내며 점도가 높다는 것은 유동 식품의 흐름이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분산된 유지 입자의 이동성과 응집하려는 성질을 감소시켜 안정된 상태가 유지되며, 점도가 높을수록 지방구 크기의 확장을 억제하고 유화력을 지속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마요네즈와 같은 유화식품의 품질 유지를 위해서는 유화안정성이 중요하며, 유화안정성은 유화물의 온도 변화, 압력, 진동 등의 조건에서 유화물을 안정화하려는 것으로 점도, 지방구의 입도 분포, 유화제 농도와 종류, 구성성분 등에 영향을 받는다.
<1-2> 저장중 pH와 총산도 변화 측정
저장 중 샐러드 드레싱의 pH와 총산도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이를 위해 드레싱 시료를 1개월 동안 냉장보관(5℃) 하면서 각 실험구별 10g의 시료를 pH meter(pH-200L, ISTEK, Seoul, Korea)로 측정하였고, 총산도는 0.1 N NaOH로 pH 8.5까지 적정한 후 소모된 0.1 N NaOH의 양을 mL 수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 및 표 4에서 자세히 나타내었다.
샐러드 드레싱의 냉장(5℃) 보관시 저장기간 경과에 따른 pH 변화
시료 저장기간(주, weeks)
0 1 2 3 4
대조군 3.65
±0.05bA1 )2)
3.76
±0.03aA
3.70
±0.02bA
3.65
±0.01bA
3.64
±0.01bA
실험군 1 3.56
±0.01bB
3.60
±0.01aB
3.57
±0.01bB
3.56
±0.01bB
3.60
±0.01aB
실험군 2 3.49
±0.01dC
3.61
±0.01aB
3.56
±0.01bB
3.50
±0.01cdC
3.52
±0.02cD
실험군 3 3.46
±0.01cC
3.53
±0.01aC
3.49
±0.01bC
3.46
±0.01cD
3.54
±0.02aC
실험군 4 3.40
±0.01dD
3.46
±0.01bD
3.43
±0.01cD
3.46
±0.01bD
3.51
±0.03aD
Values are meanstandard deviation (n=3).
1)Means with different small letters (a-d) in each row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2)Means with different capital letters (A-D) in each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샐러드 드레싱의 저장기간 경과에 따른 pH 변화는 상기 표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저장기간 0일차에서 대조군이 3.65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며(P<0.05), 실험군 1에서 3.56, 실험군 2에서 3.49, 실험군 3에서 3.46 및 실험군 4에서 3.40으로 나타나 머루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pH값이 유의적으로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P<0.05).
샐러드 드레싱의 냉장(5℃) 보관시 저장기간 경과에 따른 총산도 변화
시료 저장기간(주, weeks)
0 1 2 3 4
대조군 5.60
±0.02dE1 )2)
6.08
±0.06bE
6.18
±0.04aE
6.08
±0.07bE
5.86
±0.05cE
실험군 1 7.43
±0.03aD
6.75
±0.05cD
6.70
±0.02cD
7.08
±0.07bD
7.16
±0.13bD
실험군 2 8.29
±0.04aC
8.08
±0.03bC
7.70
±0.05dC
7.93
±0.04cC
7.86
±0.07cC
실험군 3 9.28
±0.04aB
8.76
±0.06bB
8.52
±0.10cB
8.22
±0.08dB
8.26
±0.12dB
실험군 4 10.43
±0.04abA
10.69
±0.12aA
10.33
±0.04bcA
10.36
±0.05bcA
10.10
±0.35cA
Values are meanstandard deviation (n=3).
1)Means with different small letters (a-d) in each row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2)Means with different capital letters (A-E) in each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한편, 머루 분말을 첨가한 샐러드 드레싱의 저장기간에 따른 총산도 측정 결과 대조군은 5.60mL로 유의적으로 가장 낮았으며 머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대조군과 모든 실험군에서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총산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참고로, pH와 산도는 저장성을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로 미생물의 생육에 영향을 주며 pH 6.8~7.2에서 미생물의 최적 성장을 이룬다고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험군 1 및 2에서 저장기간 4주차에도 대조군 및 다른 실험군 대비 적정 pH와 산도 값을 가짐에 따라 저장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3> 저장중 수분함량 및 수분활성도 변화 측정
저장 중 샐러드 드레싱의 수분함량 및 수분활성도를 측정하였으며, 이를 위해 드레싱 시료를 1개월 동안 냉장보관(5℃) 하면서 각 실험구별 수분함량은 시료 2 g을 수분측정기(MB45, Ohaus, Greifensee, Switzerland)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수분활성도는 시료 8g을 수분활성도 측정기(HP23-AW, Rotronic, Bassersdorf, Switzerland)에 넣어 각 시료당 3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는 하기 표 5 및 표 6에서 자세히 나타내었다.
샐러드 드레싱의 냉장(5℃) 보관시 저장기간 경과에 따른 수분함량 변화
시료 저장기간(주, weeks)
0 1 2 3 4
대조군 33.29
±0.25bA1 )2)
34.52
±0.13aA
34.29
±0.76aA
34.30
±0.35aA
34.26
±0.11aA
실험군 1 32.70
±0.28bAB
33.39
±0.30abB
33.43
±0.33abB
34.02
±0.71aAB
33.30
±0.20abB
실험군 2 32.55
±0.24bB
32.30
±0.15cC
33.08
±0.09aBC
32.90
±0.21abBC
32.85
±0.41abBC
실험군 3 31.90
±0.39nsC
32.21
±0.01C
32.35
±0.45C
31.89
±0.94CD
32.50
±0.56C
실험군 4 31.47
±0.46nsC
31.60
±0.64D
31.14
±0.17D
30.92
±0.66D
30.94
±0.57D
Values are meanstandard deviation (n=3).
1)Means with different small letters (a-c) in each row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2)Means with different capital letters (A-D) in each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ns: not significant.
저장 0일차에서 대조군은 33.29%로 가장 높았으며, 실험군 1의 경우 32.70%, 실험군 2의 경우 32.55%, 실험군 3의 경우 31.90% 및 실험군 4의 경우 31.47%로 각각 수분함량이 측정되어 머루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수분함량이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P<0.05). 이는 마요네즈 함량(17.34%)이 감소되고 머루분말(3.76%) 첨가량 증가로 인한 것으로 생각되며, 농촌진흥청에서 제시한 국가표준식품성분표에 따르면 마요네즈(난황)의 수분 함량은 16.7%, 마요네즈를 기반으로 하는 사우전드 아일랜드 드레싱의 수분 함량은 37.4%로 이보다 다소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대조군과 실험군 2까지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실험군 3 및 실험군 4는 각각 31.89~32.50%, 30.92~31.60%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샐러드 드레싱의 냉장(5℃) 보관시 저장기간 경과에 따른 수분활성도 변화
시료 저장기간(주, weeks)
0 1 2 3 4
대조군 0.924
±0.005aA1 )2)
0.910
±0.005bA
0.895
±0.006cB
0.915
±0.007abA
0.924
±0.005aA
실험군 1 0.912
±0.008aAB
0.900
±0.010bAB
0.889
±0.001cB
0.901
±0.002bB
0.901
±0.002bB
실험군 2 0.902
±0.009nsB
0.903
±0.007AB
0.907
±0.003A
0.908
±0.006AB
0.902
±0.001B
실험군 3 0.910
±0.010aAB
0.903
±0.002abAB
0.895
±0.005bB
0.902
±0.010abB
0.901
±0.003abB
실험군 4 0.912
±0.003aAB
0.896
±0.005bcB
0.889
±0.003bB
0.898
±0.006bcB
0.904
±0.005abB
Values are meanstandard deviation (n=3).
1)Means with different small letters (a-c) in each row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2)Means with different capital letters (A,B) in each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저장 0일차에는 대조군의 수분활성도가 0.924로 측정되어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머루분말을 첨가한 실험군 1 내지 4는 수분활성도가 0.902~0.912 값으로 나타나 대조군에 비해 대체적으로 낮은 수분활성도를 보여주었다. 한편, 저장 4주차에는 머루분말 첨가군들이 0.901~0.914로 저장 초기보다 전체적으로 낮은 수분활성도를 보였다.
참고로, 수분활성도는 pH와 함께 식품의 안전성과 미생물의 번식과 관련된 인자로 일반세균의 성장에 필요한 최저 수분활성도는 0.85이며, 그 이상에서는 식품에서 세균 번식 가능성이 높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대조군 대비 머루분말을 함유하는 실험군 1 내지 4에서 수분활성도가 두드러지게 낮은 값을 나타냄에 따라, 머루분말 첨가로 인해 샐러드 드레싱의 저장성이 개선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1-4> 저장중 색도의 변화 측정
저장 중 샐러드 드레싱의 색도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각 실험구별 시료를 1개월 동안 냉장보관(5℃) 하면서 10ml씩 취하여 직경 2cm, 높이 1cm의 셀(cell)에 넣고 색차계(Chroma Meter, CR-200b, Minolta, Osaka, Japan)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색도는 L(명도), a(+적색도/-녹색도), b(+황색도) 값으로 나타내었다. 각 시료당 9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이때 사용된 표준색판은 L=97.10, a=+0.13, b= +1.88이었다.
그 결과는 하기 표 7에서 자세히 나타내었다.
샐러드 드레싱의 냉장(5℃) 보관시 저장기간 경과에 따른 색도 변화
색도 시료 저장기간(주, weeks)
0 1 2 3 4
L 대조군 61.17
±0.62aA1 )2)
61.01
±0.26abA
59.01
±0.68cA
60.56
±0.40bA
61.15
±0.30aA
실험군 1 51.56
±0.51aB
50.56
±0.18cB
49.66
±0.41eB
50.05
±0.13dB
50.99
±0.17bB
실험군 2 45.52
±0.39aC
43.92
±0.10cC
41.69
±0.42eC
43.15
±0.23dC
44.74
±0.04bC
실험군 3 40.94
±1.34aD
38.64
±0.76cD
38.39
±0.32cD
38.53
±0.20cD
40.09
±0.01bD
실험군 4 35.42
±0.38aE
32.40
±1.28cE
30.82
±0.16eE
31.55
±0.18dE
33.86
±0.01bE
a 대조군 -2.50
±0.09aE
-2.61
±0.17bE
-2.82
±0.05dE
-2.71
±0.09cE
-2.89
±0.06dE
실험군 1 6.15
±0.11aD
5.87
±0.05bD
5.72
±0.08cD
5.53
±0.07dD
4.89
±0.04eD
실험군 2 9.19
±0.09cC
9.36
±0.09bC
10.03
±0.08aC
9.23
±0.05cC
8.15
±0.04dC
실험군 3 11.87
±0.30abB
11.94
±0.18aB
11.77
±0.07bB
11.73
±0.09bB
10.15
±0.02cB
실험군 4 14.85
±0.22bA
16.10
±1.95aA
14.96
±0.11bA
14.74
±0.03bA
12.15
±0.05cA
b 대조군 12.21
±0.31dA
12.72
±0.17cA
13.79
±0.83aA
13.20
±0.19bA
12.97
±0.06bcA
실험군 1 7.55
±0.06dB
8.77
±0.28cC
9.48
±0.03aC
9.55
±0.05aC
9.09
±0.16bB
실험군 2 6.84
±0.20dC
8.37
±0.06cC
9.54
±0.14aBC
9.61
±0.04aC
8.80
±0.04bC
실험군 3 6.86
±0.16eC
8.54
±0.38dC
9.36
±0.06bC
9.59
±0.08aC
8.84
±0.07cC
실험군 4 6.60
±0.26cD
9.75
±1.39aB
9.87
±0.09aB
9.97
±0.09aB
8.53
±0.10bD
Values are meanstandard deviation (n=9).
1)Means with different small letters (a-e) in each row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2)Means with different capital letters (A-E) in each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명도는 대조군이 61.17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고 머루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낮아졌으며(P<0.05), 머루분말 첨가군들은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적색도는 머루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높아졌으며(P<0.05), 저장이 증가할수록 실험군들 모두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황색도는 머루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낮아졌으며(P<0.05), 명도 및 적색도와는 반대로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실험군들 모두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머루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명도가 감소하고 적색도가 증가한 것은 머루의 안토시아닌 색소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 실험예 2>
본 발명에 따른 머루분말이 함유된 샐러드 드레싱의 항산화 활성 분석
<2-1> 저장중 총 폴리페놀 함량 변화 측정
저장 중 샐러드 드레싱의 총 폴리페놀 함량 변화를 조사하였으며, 이를 위해 드레싱 시료를 1개월 동안 냉장보관(5℃) 하면서 각 실험구별 총 폴리페놀 함량은 Folin-Ciocalten 방법(Slinkard K, Singleton VL. 1977. Total phenol analysis: automation and comparison with manual method. Am J Enol Vitic 28: 49-55.)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간략하게는, 시료 5g을 70% 에탄올 용액 50 mL를 가하고 24시간(20℃) 동안 100 rpm으로 shaking water bath(VS- 1205SW1, Vision Scientific Co., Ltd., Bucheon, Korea)에서 추출시킨 후 3,000 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 하여 상층액을 시료로 사용하였다. 시료 0.1 mL에 증류수 1.3 mL와 2 N Folin-Ciocalteu 시약(Sigma-Aldrich Co., St. Louis, MO, USA) 0.1 mL를 첨가하고 7% Na2CO3(Junsei Chemical Co., Ltd., Tokyo, Japan) 1 mL를 가하여 2시간 방치하였다. 반응물의 흡광도는 725 nm(OPTIZEN POP, Mecasys, Daejeon, Korea)에서 3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나타내었고 gallic acid(Sigma-Aldrich Co.)를 이용한 표준곡선으로 양을 환산하였다.
그 결과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은 총 폴리페놀 함량이 측정되지 않은 반면, 머루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폴리페놀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저장기간 0주차_실험군 1: 38.20 μg/mL, 실험군 2: 78.42 μg/mL, 실험군 3: 137.98 μg/mL, 실험군 4: 208.64 μg/mL).
한편 저장기간 경과에 따라 폴리페놀 함량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세하게는, 저장기간 4주차에는 실험군 1에서 12.64 μg/mL, 실험군 2에서 77.98 μg/mL, 실험군 3에서 106.87μg/mL 및 실험군 4에서 163.09 μg/mL로 각각 폴리페놀 함량이 측정됨에 따라, 조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머루분말 첨가군들 모두 총 폴리페놀 함량이 다소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결과를 통해 머루분말 첨가로 인해 기능성 활성물질인 폴리페놀 함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2> 저장중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의 변화 측정
저장 중 샐러드 드레싱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각 실험구별 시료를 1개월 동안 냉장보관(5℃) 하면서 1,1-Diphenyl-β-picrylhydrazyl(DPPH, Sigma-Aldrich Co.) 라디칼에 대한 소거 효과는 Blois(Blois MA.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간략하게는, 시료 1mL와 5×10-4 M DPPH 용액 3mL를 5초 동안 혼합하고 이를 암실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UV-스펙트로포토미터(U-1800, Hitachi Co., Ltd., Tokyo, Japan)로 540nm에서 흡광도를 3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아래와 같은 수식으로부터 도출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1-Abs/Abc)×100
상기 수식에서 Abc는 517nm에서 시료 무첨가 DPPH 용액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값이며, Abs는 517nm에서 시료를 포함하는 DPPH 용액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값이다.
그 결과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8.67%로 매우 낮게 나타난 반면, 본 발명의 머루분말을 첨가한 실험군의 경우 머루분말 첨가량에 비례하여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이 유의적으로 증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저장기간 0주차_실험군 1: 34.43%, 시험군 2: 42.43%, 실험군 3: 53.26, 실험군 4: 62.62%).
한편, 저장기간 4주차에는 대조군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이 5.31%, 실험군 1의 경우 21.63%, 실험군 2의 경우 29.35%, 실험군 3의 경우 43.33%, 실험군 4의 경우 53.67%로 나타나 저장기간에 증가함에 따라 실험군들은 다소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때, 양성대조군(positive control)으로 사용된 0.1% BHT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92.11%로 나타났다.
<2-3> 저장중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의 변화 측정
저장 중 샐러드 드레싱의 ABTS 라디칼 소거활성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각 실험구별 시료를 1개월 동안 냉장보관(5℃) 하면서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Biglari 등(Biglari F, Alkarkhi AFM, Easa AM. 2008. Antioxidant acivity and phenolic content of various data palm (Phoenix dactylifera) fruits from Iran. Food Chem 107: 1636-1641.)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간략하게는, 7mM의 2,2'-azobis(2-aminopropane) dihydrochloride (Sigma-Aldrich Co.)는 2.45mM의 ABTS와 혼합한 후 23℃의 암소에서 16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ABTS 용액의 농도는 734nm(OPTIZEN POP, Mecasys)에서 흡광도가 0.700±0.005 정도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시료 0.1mL와 3.9mL ABTS 용액을 혼합한 후 23℃에서 10분간 반응시키면서 734nm에서 흡광도를 3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아래와 같은 수식으로부터 도출하였다.
ABTS 라디칼 소거활성(%)=(1-Abs/Abc)×100
상기 수식에서 Abc는 517nm에서 시료 무첨가 ABTS 용액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값이며, Abs는 517nm에서 시료를 포함하는 ABTS 용액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값이다.
그 결과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의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8.27%로 나타난 반면, 본 발명의 머루분말을 첨가한 실험군의 경우 머루분말 첨가량에 비례하여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이 유의적으로 증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저장기간 0주차_실험군 1: 13.17%, 실험군 2: 12.51%, 실험군 3: 17.45%, 실험군 4: 22.16%). 한편,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실험군들 모두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이 다소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때, 양성대조군(positive control)으로 사용된 0.1% BHT의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98.15%로 나타났다.
< 실험예 3>
본 발명에 따른 머루분말이 함유된 샐러드 드레싱의 관능검사
본 발명의 머루분말 함유 샐러드 드레싱의 소지자 기호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관능검사는 순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조리과학 실험실에서 순천대학교 학생 73명을 대상으로 9점 척도법을 이용하여 소비자 검사를 실시하였다. 소비자 검사는 제품의 색(color), 향미(flavor), 질감(texture), 맛(taste)의 기호도 및 전체적인 기호도(overall acceptability)로서 대단히 좋아한다: 9점, 좋지도 싫지도 않다: 5점, 대단히 싫어한다: 1점으로 나타내었다. 샐러드드레싱을 제조한 후 5°C에서 24시간 저장한 후 시료로 사용하였고 시료의 제시는 1인분 분량을 20 g으로 정하였으며, 동반 식품으로는 양상추를 제공하였다. 관능검사에 참여한 소비자는 나이와 성별 등을 기록하고 각 시료를 평가한 후에 입안을 헹굴 수 있도록 물과 시료 뱉는 겁을 제공하였다.
관능검사 결과는 하기 표 8에서 자세히 나타내었다.
머루분말 함유 샐러드 드레싱의 소비자 기호도 평가
평가항목 시 료
대조군 실험군 1 실험군 2 실험군 3 실험군 4
5.92
±1.46a
5.51
±1.56a
5.55
±1.33a
5.42
±1.55a
4.82
±1.71b
향미 4.99
±1.65bc
5.47
±1.56ab
5.58
±1.46a
5.36
±1.48abc
4.86
±1.54c
질감 5.55
±1.39ab
5.78
±1.54a
5.64
±1.35ab
5.52
±1.44ab
5.15
±1.30b
5.26
±1.98a
5.77
±1.90a
5.58
±1.94a
5.22
±1.83a
4.49
±1.80b
전체 기호도 5.27
±1.88a
5.71
±1.87a
5.49
±1.76a
5.08
±1.87ab
4.49
±1.73b
Values are meanstandard deviation (n=73).
Means with the same letters (a-c) in the row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색은 대조군이 5.92로 가장 높았으나 실험군 4를 제외하고는 대조군과 실험군들(실험군1 내지 3)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지 않았다(P>0.05). 향미는 실험군 2에서 가장 높게(5.58) 나타났으며, 질감은 실험군 1에서 5.78로 나타나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다(P<0.05). 맛은 실험군 1에서 5.77로 가장 높았으나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P>0.05), 실험군 4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P<0.05). 전체적인 기호도는 실험군 1 및 2에서 각각 5.71, 5.49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며(P<0.05), 실험군 3까지는 평균 이상의 점수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관능검사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실험군 1 및 실험군 2의 경우 색, 향미, 질감, 맛,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모두 우수한 평가를 받은바, 향후 시제품 적용시 실험군 1 및 2의 머루분말 첨가 함량을 고려하는 경우 수요자의 니즈를 충분히 충족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머루분말이 포함된 샐러드 드레싱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머루분말 이외에 추가로 마요네즈, 꿀, 양파즙, 레몬즙 및 요거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샐러드 드레싱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총 100중량부 대비 마요네즈 60~55중량부, 머루분말 0.5~3중량부, 꿀 14~15중량부, 양파즙 1~2중량부, 레몬즙 3~4중량부 및 요거트 21~22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샐러드 드레싱 조성물.
  4. 제1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저장성 및 관능성이 개선되고 항산화 활성이 부여된 샐러드 드레싱 조성물.
  5. 마요네즈에 머루분말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머루분말이 포함된 샐러드 드레싱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머루분말 첨가 이전에 꿀, 요거트 및 양파즙을 상기 마요네즈에 첨가한 후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루분말이 포함된 샐러드 드레싱 조성물의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머루분말은 마요네즈와 머루분말의 합계 총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루분말이 포함된 샐러드 드레싱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50089006A 2015-06-23 2015-06-23 머루분말을 포함하는 샐러드 드레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001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9006A KR20170000158A (ko) 2015-06-23 2015-06-23 머루분말을 포함하는 샐러드 드레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9006A KR20170000158A (ko) 2015-06-23 2015-06-23 머루분말을 포함하는 샐러드 드레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158A true KR20170000158A (ko) 2017-01-02

Family

ID=57810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9006A KR20170000158A (ko) 2015-06-23 2015-06-23 머루분말을 포함하는 샐러드 드레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015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8912A (ko) 2017-12-27 2019-07-05 재단법인 홍천메디칼허브연구소 머루 블랙썬 품종을 이용한 브랜디의 제조방법
CN113966798A (zh) * 2020-07-23 2022-01-25 健茂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提升类sod活性的树葡萄饮品制造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811B1 (ko) 2006-08-17 2008-01-1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오가피를 함유한 드레싱
KR101480476B1 (ko) 2013-01-29 2015-01-12 박찬희 샐러드용 단감 드레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811B1 (ko) 2006-08-17 2008-01-1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오가피를 함유한 드레싱
KR101480476B1 (ko) 2013-01-29 2015-01-12 박찬희 샐러드용 단감 드레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8912A (ko) 2017-12-27 2019-07-05 재단법인 홍천메디칼허브연구소 머루 블랙썬 품종을 이용한 브랜디의 제조방법
CN113966798A (zh) * 2020-07-23 2022-01-25 健茂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提升类sod活性的树葡萄饮品制造方法
CN113966798B (zh) * 2020-07-23 2024-02-02 健茂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提升类sod活性的树葡萄饮品制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1204B1 (ko) 김치소스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67483B1 (ko) 흰목이 버섯분말을 포함하는 증점용 식품첨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EP2131662B1 (en) Process of producing tomato paste
JP2009219469A (ja) サラダの製造方法
JP4839355B2 (ja) 低カロリー野菜飲料
KR101250161B1 (ko) 오디분말을 포함하는 샐러드드레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00158A (ko) 머루분말을 포함하는 샐러드 드레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5916306B2 (ja) 野菜酢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加工食品
KR20140083507A (ko) 오디를 첨가한 샐러드 드레싱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903633B1 (ko) 유산균 블루베리 발효액을 이용한 발효 삼채의 제조방법
KR101019235B1 (ko) 오미자 및 복분자 당절임 즙을 함유하는 콜로이드 입자형 김치소스 및 그 제조방법
KR101080348B1 (ko) 고농도의 천연 비타민 c를 함유한 채소를 이용한 콜로이드 입자형 김치 소스의 제조방법
KR20110038849A (ko) 갈비덮밥소스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53308B1 (ko) 김치유산균이 함유된 배 및 유자 드레싱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080347B1 (ko) 오미자 및 복분자 당절임 즙을 함유하는 콜로이드 입자형 외국인용 김치 소스의 제조방법
KR20140141735A (ko) 새싹분말을 이용한 잼 및 샐러드 드레싱류의 제조방법
KR101666855B1 (ko) 아이스크림 프리믹스 조성물
KR102214623B1 (ko) 들기름 이용 메밀의 고유한 맛과 향이 최대한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막국수의 맛과 풍미를 함께 향상시킬 수 있는 막국수용 양념장 조성물
Taşkın et al. Incorporation of Opuntia spp. into Food Systems
KR20140142179A (ko) 새싹분말을 이용한 잼의 제조방법
Gindi et al. Optimizing the Acceptability of Jam From Baccaurea Angulata Fruit Peel
JP2008005703A (ja) 動植物類の造粒方法
KR20160131474A (ko) 중국향(向) 김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10787B1 (ko) 고초균 발효를 통한 간기능 개선 또는 면역기능 증진된 대추류 발효액 제조방법
KR101269624B1 (ko) 토란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