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0115U - 시트 화장지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시트 화장지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0115U
KR20170000115U KR2020150004386U KR20150004386U KR20170000115U KR 20170000115 U KR20170000115 U KR 20170000115U KR 2020150004386 U KR2020150004386 U KR 2020150004386U KR 20150004386 U KR20150004386 U KR 20150004386U KR 20170000115 U KR20170000115 U KR 2017000011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wall
toilet paper
housing cover
contact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43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8712Y1 (ko
Inventor
박유만
윤태일
최용신
이종수
변미선
Original Assignee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500043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712Y1/ko
Publication of KR201700001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1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7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71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 A47K10/42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dispensing from the bottom part of the dispens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시트 화장지 적층물을 안정적으로 수용하고, 원활하게 불출할 수 있는 시트 화장지 디스펜서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화장지 디스펜서는 베이스벽과 상기 베이스벽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하는 둘레벽과 상기 둘레벽의 내측에서 상기 베이스벽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가이드벽과 상기 가이드벽의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베이스벽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하며 불출구가 뚫린 지지벽을 구비하고, 다수의 개별 시트 화장지가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시트 화장지 적층물이 상기 가이드벽 사이에서 상기 지지벽 상에 수용되는 하우징과, 하단에서 상기 하우징의 지지벽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방 회전에 의해 상기 하우징을 개방하고 상방 회전에 의해 상기 하우징을 폐쇄하는 하우징 커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지지벽의 하면에 적어도 하나의 제1 마찰접촉면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 커버는 상기 하우징 커버의 상기 하우징에 대한 하방 회전 도중 상기 제1 마찰접촉면과 마찰의 면접촉을 하여 상기 하방 회전에 저항력을 인가하는 제2 마찰접촉면과 상기 제1 마찰접촉면과 면접촉을 하여 상기 하방 회전을 정지시키는 정지접촉면을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 커버의 하방 회전 방향에서의 제1 각도에서 상기 제1 마찰접촉면과 상기 제2 마찰접촉면이 상기 마찰의 면접촉을 개시하도록 상기 제2 마찰접촉면이 상기 제1 마찰접촉면에 대해 위치설정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 커버의 하방 회전 방향에서의 상기 제1 각도보다 큰 제2 각도에서 상기 정지접촉면이 상기 제1 마찰접촉면과 접촉하여 상기 하우징 커버의 하방 회전을 정지하도록 상기 정지접촉면이 상기 제1 마찰접촉면에 대해 위치설정되어 있다.

Description

시트 화장지 디스펜서{SHEET TISSUE PAPER DISPENSER}
본 고안은 시트 화장지의 적층물을 수용하고 시트 화장지 적층물로부터 한 장의 시트 화장지를 불출하기 위한 시트 화장지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시트 화장지의 적층물을 수용하고, 시트 화장지의 적층물로부터 한 장의 시트 화장지를 불출할 수 있도록 하는 시트 화장지 디스펜서가 당해 분야에 알려져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77915호는 절첩 시트 디스펜서의 일 예를 제안한다. 상기 문헌이 제안하는 디스펜서에서는, 절첩 시트가 장착 프레임의 저장 공간에서 상하방향으로 적층된다. 이러한 디스펜서에서는, 절첩 시트를 높게 적층하는 경우에 절첩 시트의 상측 일부가 앞으로 기울어져 쏟아질 수 있으므로 절첩 시트를 충전하는 데에 불편함이 있다. 또한, 디스펜서에 수용된 절첩 시트 적층물이 기울어진 상태에서는 절첩 시트를 원활하게 불출하기 어렵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77915호, 2014.06.24, 공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시트 화장지 적층물을 안정적으로 수용하고, 원활하게 불출할 수 있는 시트 화장지 디스펜서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화장지 디스펜서는 베이스벽과 상기 베이스벽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하는 둘레벽과 상기 둘레벽의 내측에서 상기 베이스벽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가이드벽과 상기 가이드벽의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베이스벽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하며 불출구가 뚫린 지지벽을 구비하고, 다수의 개별 시트 화장지가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시트 화장지 적층물이 상기 가이드벽 사이에서 상기 지지벽 상에 수용되는 하우징과, 하단에서 상기 하우징의 지지벽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방 회전에 의해 상기 하우징을 개방하고 상방 회전에 의해 상기 하우징을 폐쇄하는 하우징 커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지지벽의 하면에 적어도 하나의 제1 마찰접촉면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 커버는 상기 하우징 커버의 상기 하우징에 대한 하방 회전 도중 상기 제1 마찰접촉면과 마찰의 면접촉을 하여 상기 하방 회전에 저항력을 인가하는 제2 마찰접촉면과 상기 제1 마찰접촉면과 면접촉을 하여 상기 하방 회전을 정지시키는 정지접촉면을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 커버의 하방 회전 방향에서의 제1 각도에서 상기 제1 마찰접촉면과 상기 제2 마찰접촉면이 상기 마찰의 면접촉을 개시하도록 상기 제2 마찰접촉면이 상기 제1 마찰접촉면에 대해 위치설정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 커버의 하방 회전 방향에서의 상기 제1 각도보다 큰 제2 각도에서 상기 정지접촉면이 상기 제1 마찰접촉면과 접촉하여 상기 하우징 커버의 하방 회전을 정지하도록 상기 정지접촉면이 상기 제1 마찰접촉면에 대해 위치설정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마찰접촉면은 원호형 곡면을 포함하고, 상기 원호형 곡면은 상기 하우징 커버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편심되어 있는 중심을 가진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커버의 상기 하우징에 대한 하방 회전시 상기 제2 마찰접촉면이 상기 제1 마찰접촉면에 접촉한 후 상기 정지접촉면이 상기 제1 마찰접촉면과 면접촉하도록 상기 정지접촉면이 상기 제2 마찰접촉면에 접해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커버가 상기 하우징에 정합되어 있을 때의 상기 하우징 커버의 상기 회전 중심에 대한 각도를 폐쇄각도라고 할 때, 상기 제1 각도는 상기 폐쇄각도로부터 상기 하우징 커버의 하방 회전방향으로 75도 내지 85도이고 상기 제2 각도는 상기 폐쇄각도로부터 상기 하우징 커버의 하방 회전방향으로 150도 내지 170도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커버는 하단에서 연장하는 레그와 상기 레그의 상단에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 커버의 회전 방향을 따르는 둘레방향 표면을 갖는 캠 스토퍼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마찰접촉면과 상기 정지접촉면은 상기 캠 스토퍼의 둘레방향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가이드벽에 인접하게 상기 베이스벽에 제거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시트 화장지 적층물의 하측 부분을 수용하고 상기 시트 화장지 적층물을 지지하는 수용 브라켓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 브라켓은 바닥벽과 상기 바닥벽의 측방 가장자리에서 연장하는 측벽과 상기 바닥벽의 전방 가장자리에서 연장하는 전방벽을 가지며, 상기 수용 브라켓의 바닥벽이 상기 지지벽으로 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용 브라켓의 상기 바닥벽의 하면에 상기 제1 정지접촉면이 형성되는 핀을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측 및 내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한 쌍의 도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회전되어 상기 시트 화장지 적층물에 상하방향에서 접촉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단에서 상기 가이드벽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에서 상기 수용 브라켓의 상기 측벽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와이어 도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시트 화장지 적층물 상단에 안착되고 상기 가이드벽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상기 시트 화장지 적층물을 하방으로 압박하는 압박 추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용 브라켓은 상기 전방벽의 상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바닥벽의 부근까지 형성된 절결 구멍을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용 브라켓은 상기 전방벽의 내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레이션 열을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둘레벽은 상기 베이스벽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하는 제1 둘레벽과 상기 제1 둘레벽의 상측 가장자리 및 측방 가장자리의 일부에 결합되고 투명 또는 반투명 재료로 형성되는 제2 둘레벽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커버는 상기 제2 둘레벽의 가장자리와 접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불출구는 가장자리에 상기 베이스벽을 향해 오목한 보조 불출구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시트 화장지 디스펜서는 일단에서 상기 하우징의 둘레벽의 상측 내면에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 커버의 상측 내면에 로킹하는 탄성 래치와, 상기 하우징 커버의 상측 가장자리에 인접하게 상기 하우징 커버를 관통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커버가 상기 하우징에 정합될 때 상기 탄성 래치의 위에 위치하는 키홀과, 상기 키홀에 삽입되어 상기 탄성 래치와 상기 하우징 커버의 로킹을 해제하도록 상기 탄성 래치를 변형시키는 키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시트 화장지 디스펜서는 일단에서 상기 하우징의 둘레벽의 상측 내면에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 커버의 상측 내면에 로킹하는 탄성 래치와, 상기 하우징 커버의 둘레벽의 상측 가장자리에 인접하게 상기 하우징 커버를 관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연장하는 래치 바와, 상기 회전축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래치 바가 상기 탄성 래치의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탄성 래치의 변형을 저지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시트 화장지 디스펜서는 상기 하우징의 베이스벽을 벽면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벽면에 결합되는 앵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앵커는 전방으로 L자형으로 돌출하는 걸림용 후크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벽은 상기 걸림용 후크에 걸리는 고정용 개구와 상기 걸림용 후크를 협지하는 한 쌍의 핑거를 구비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시트 화장지 적층물을 수용하는 하우징에 하우징 커버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향상된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한다. 또한, 하우징 커버는 하우징에 대하여 부드럽게 열리도록 회전하므로, 이들의 결합 부분이 무리한 충격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수용 브라켓을 통해 디스펜서의 메이커가 의도하는 치수를 가지는 시트 화장지 적층물만을 수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의 내부에서 전방으로 열리고 닫히는 도어를 구비하여, 시트 화장지 적층물의 쏠림 및 기울어짐 등을 방지할 수 있고, 디스펜서로부터 개별 시트 화장지를 원활하게 불출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의 상부가 보이도록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하부가 보이도록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디스펜서의 배면이 보이도록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디스펜서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에 있어서, 하우징 커버를 개방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수용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수용 브라켓을 전방벽의 내면이 보이도록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시트 화장지 적층물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에 있어서, 하우징과 하우징 커버의 결합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하우징 및 하우징으로부터 하방으로 회전하는 하우징 커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에 채용되는 잠금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잠금 장치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 내지 도 21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잠금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에 채용되는 앵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3은 다른 실시예의 앵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디스펜서를 하우징 커버를 개방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시트 화장지 디스펜서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요소 또는 부품을 지시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전방', '전' 등의 방향용어는, 시트 화장지 디스펜서의 벽면에 고정되는 부분에 대하여 시트 화장지의 적층물 위치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고, '후방', '후' 등의 방향용어는 그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내측', '내' 등의 방향용어는 시트 화장지 디스펜서의 하우징의 내부를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고, '외측', '외' 등의 방향용어는 그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 화장지 디스펜서(이하, 간단히 '디스펜서'라고 한다)(1000)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디스펜서(1000)는 시트 화장지 적층물(10)(도 8 및 도 9 참조)을 수용하고 임의의 벽면에 고정되는 하우징(1100)을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시트 화장지 적층물(10)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다수의 일 단위의 개별 시트 화장지(sheet tissue paper)가 상하로 적층된 적층물(stack)을 포함한다. 개별 시트 화장지는 직사각형이며, 두 겹으로 접힌 상태로 또는 접히지 않은 상태로 디스펜서(1000)에 사용될 수 있다. 개별 시트 화장지가 두 겹으로 접힌 상태로 사용되는 사용예에서는, 시트 화장지 적층물(10)은 다수의 각기 두 겹으로 접힌 단위 시트 화장지가 상하로 적층된 적층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시트 화장지 적층물(10)은, 두 겹으로 접힌 개별 시트 화장지들이 하측의 개별 시트 화장의 하방으로의 불출에 이끌려 상측의 개별 시트 화장지의 일부가 하방으로 인출되도록 서로 교호적으로 적층된 적층물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0)은, 베이스벽(1110)과, 베이스벽(1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하는 둘레벽(1120)을 구비한다. 베이스벽(1110)은 임의의 벽면에 직접 또는 후술하는 앵커(1600)를 사용해 고정된다. 베이스벽(1110)은 사각형, 육각형 또는 기타 다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의 베이스벽(1110)은 상하로 긴 육각형 형상을 가진다.
둘레벽(1120)은 베이스벽(1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하는 제1 둘레벽(1121)과, 가장자리에서 제1 둘레벽(1121)의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제2 둘레벽(1122)을 구비한다. 베이스벽(1110)과 제1 둘레벽(1121)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된다. 제2 둘레벽(1122)은 제1 둘레벽(1121)과 다른 재료, 예컨대, 투명 또는 반투명 재료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2 둘레벽(1122)은 사용자가 디스펜서(1000)의 내부를 볼 수 있게 하며, 나아가 사용자에게 외관상 호감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둘레벽(1122)은 제1 둘레벽(1121)의 측방 가장자리의 일부 및 상측 가장자리에 결합된다. 즉, 제2 둘레벽(1122)은 제1 둘레벽(1121)의 좌측방 가장자리의 하부로부터 상측 가장자리를 지나 우측방 가장자리의 하부까지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디스펜서(1000)를 측방에서 볼 때, 제1 둘레벽(1121)은 하방으로 갈수록 베이스벽(1100) 쪽으로 기울어지는 측방 가장자리를 갖도록 형성되며, 제2 둘레벽(1122)은 제1 둘레벽(1121)의 측방 가장자리와 동일한 기울기로 기울어진 후측방 가장자리를 가진다. 또한, 디스펜서(1000)를 측방에서 볼 때, 베이스벽(1110)과 제2 둘레벽(1122)의 전측방 가장자리는 대략 평행하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100)은 둘레벽(1120)의 내측에 위치하며 베이스벽(1110)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가이드벽(1130)과 한 쌍의 가이드벽(1130)의 아래에 위치하고 베이스벽(1110)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하는 지지벽(1140)(도 4 참조)을 구비한다. 제1 둘레벽(1121)과 가이드벽(1130)의 사이에는 복수의 리브(1132)가 형성되어 있다. 시트 화장지 적층물(10)은 한 쌍의 가이드벽(1130)의 사이에 위치하고 지지벽(1140) 상에 수용된다. 지지벽(1140)에는 시트 화장지 적층물(10)의 개별 시트 화장지의 일부가 위치하는 불출구(1141)가 뚫려 있다. 사용자가 불출구(1141)를 통해 노출되어 있는 개별 시트 화장지의 일부를 하방으로 잡아당겨 시트 화장지 적층물(10)로부터 불출구(1141)를 통해 개별 시트 화장지를 불출할 수 있다. 시트 화장지 적층물(10)은 가이드벽(1130)의 상단 부근까지 위치할 수 있다. 디스펜서(1000)로부터 시트 화장지가 불출됨에 따라 시트 화장지 적층물(10)의 높이는 낮아지게 된다.
이 실시예의 디스펜서(1000)의 하우징(1100)은, 가이드벽(1130)에 인접하게 베이스벽(1110)에 제거가능하게 부착되고 시트 화장지 적층물(10)의 하측 부분을 수용하고 시트 화장지 적층물(10)을 지지하는 수용 브라켓(1150)을 구비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전술한 지지벽(1140)은 수용 브라켓(1150)의 바닥벽으로서 구현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필요한 경우, 전술한 하우징(1100)의 지지벽(1140)은 수용 브라켓(1150)의 바닥벽으로서 참조된다. 수용 브라켓(1150)은 베이스벽(1110)과 일체로 성형될 수 있거나, 별개로 마련된 수용 브라켓(1150)이 베이스벽(1110)에 나사체결 방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수용 브라켓(1150)은 나사체결 방식으로 베이스벽(1110)에 결합되어, 베이스벽(1110)과 일체로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수용 브라켓(1150)은 전술한 지지벽(1140)으로서 기능하는 바닥벽(1151BW)과, 바닥벽(1151BW)의 측방 가장자리에서 연장하는 측벽(1151LW)과, 바닥벽(1151BW)의 전방 가장자리에서 연장하는 전방벽(1151FW)을 가진다. 바닥벽(1151BW)과 측벽(1151LW) 간의 모서리의 외면, 바닥벽(1151BW)과 전방벽(1151FW) 간의 모서리의 외면은 라운드되어 있어, 사용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디스펜서(1000)를 전방에서 볼 때, 바닥벽(1151BW)은 소정의 곡률로 하방으로 볼록하게 만곡한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수용 브라켓(1150)은 그 횡단면에서는 하측이 긴 U자형을 취하며, 그 종단면에서는 L자형을 취한다. 수용 브라켓(1150)의 측벽(1151LW)의 후방 가장자리에는 나사가 통과하는 구멍(1159)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구멍(1159)을 통해 베이스벽(1110)에 대한 나사체결이 행해진다. 하우징(1100)은 후술하는 하우징 커버와의 힌지결합을 위한 구조물을 그 하단에, 상세하게는 전술한 지지벽(1140)을 형성하는 수용 브라켓(1150)의 바닥벽(1151BW)의 전단에 구비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수용 브라켓(1150)의 바닥벽(1151BW)의 전단에는 한 쌍의 커버 힌지(1153)가 형성되어 있으며, 각 커버 힌지(1153)에는 힌지 구멍(1152)이 하우징(1100)의 폭방향으로 뚫려 있다. 즉, 한 쌍의 커버 힌지(1153)가 요크 형태로 수용 브라켓(1150)의 바닥벽(1151BW)의 전단 하측에 마련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도 7을 참조하면, 전술한 지지벽(1140)의 불출구(1141)는 수용 브라켓(1150)의 바닥벽(1151BW)에 뚫려 있다. 불출구(1141)는 하우징(1100)의 폭방향에 걸쳐 수용 브라켓(1150)의 바닥벽(1151BW)에 뚫려 있다. 불출구(1141)는 직사각형, 마름모형, 장타원형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의 불출구(1141)는 디스펜서(1000)를 하방에서 볼 때 둥근 마름모형을 가진다. 또한, 이 실시예에 있어서, 불출구(1141)는 후방 가장자리에 베이스벽(1110)을 향해 오목한 보조 불출구(1142)를 구비한다. 보조 불출구(1142)는 불출구(1141)의 후방가장자리가 후방으로 둥글게 절결되어 형성된 것이다. 시트 화장지 적층물(10)을 수용한 디스펜서(1000)의 사용예에 있어서, 시트 화장지 적층물(10)로부터 개별 시트 화장지가 불출구(1141)를 통해 하부로 노출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예컨대 손가락을 보조 불출구(1142)를 통해 수용 브라켓(1150) 내로 삽입시켜 개별 시트 화장지를 불출구(1141)를 통해 하방으로 뽑아낼 수 있다.
수용 브라켓(1150)은 그 전방벽(1151FW)에 전방벽(1151FW)의 상측 가장자리가 하방으로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절결되어 형성된 절결 구멍(1154)를 구비한다. 절결 구멍(1154)은 전방벽(1151FW)의 상측 가장자리로부터 바닥벽(1151BW)의 부근까지 형성되어 있다. 사용자가 시트 화장지 적층물(10)을 가이드벽(1130) 사이에 위치시키고 수용 브라켓(1150)에 삽입할 때, 사용자는 손을 절결 구멍(1154)에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시트 화장지 적층물(10)의 보충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절결 구멍(1154)의 하측 가장자리가 바닥벽(1151BW) 부근에 위치하므로, 사용자는 시트 화장지 적층물(10)의 잔량을 절결 구멍(1154)을 통해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시하는 실시예에서는 절결 구멍(1154)이 전방벽(1151FW)의 중앙에 위치하지만, 절결 구멍(1154)은 전방벽(1151FW)의 측방 가장자리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도 있다.
수용 브라켓(1150)은, 전방벽(1151FW)의 내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하고 다수의 세레이션(serration)으로 이루어지는 세레이션 열(1155)을 구비한다. 세레이션 열(1155)의 세레이션은 개별 시트 화장지에 찢김 또는 걸림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수용 브라켓(1150)이 수용할 수 있는 시트 화장지 적층물만이 디스펜서(1000)에 사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디스펜서(1000)의 메이커가 의도하는 치수를 가지는 시트 화장지 적층물만이 디스펜서(1000)에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의도하는 치수와는 다른 치수를 가지는 시트 화장지 적층물이 사용되는 경우, 이러한 시트 화장지 적층물의 개별 시트 화장지는 세레이션 열(1155)의 세레이션이 유발하는 걸림 작용에 의해 디스펜서(1000)로부터 원활하게 불출될 수 없다. 세레이션 열(1155)은 전방벽(1151FW)의 내면에 한 줄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시트 화장지 적층물(10)은 개별 시트 화장지가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것이므로 상하방향으로는 구조적 안정성이 취약하다. 따라서, 시트 화장지 적층물(10)이 디스펜서(1000)에 수용되어 있을 때, 시트 화장지 적층물(10)의 상측 일부가 앞으로(즉, 하우징(1100)의 전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으며, 이는 시트 화장지 적층물(10)의 안정적인 안착과 원활한 불출을 방해할 수 있다. 실시예의 디스펜서(1000)는 시트 화장지 적층물(10)의 상측 일부가 전방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한 쌍의 도어(1300)를 구비한다(도 8 및 도 9 참조). 각 도어(1300)는 하우징(1100)에 하우징(1100)의 외측 및 내측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도어(1300)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의 선재 또는 판재로 이루어지며, C자형, U자형, V자형, W자형 등의 형상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도어(1300)는 금속 선재로 이루어지는 와이어 도어(1310)를 포함한다. 와이어 도어(1310)를 회전가능하게 하우징(1100)에 결합시키기 위해, 각 가이드벽(1130)의 상단에는 상하방향으로 힌지구멍이 뚫린 상방 도어 힌지(1131)가 마련되어 있고, 수용 브라켓(1150)의 각 측벽(1151LW)의 상단에는 도어 힌지(1131)에 대응하는 하방 도어 힌지(1156)가 마련되어 있다. 각 와이어 도어(1310)는 상단에서 가이드벽(1130)의 상방 도어 힌지(113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에서 수용 브라켓(1150)의 측벽(1151LW)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하우징(1100)에 회전가능하게 유지된다. 또한, 각 와이어 도어(1310)는 와이어 도어(1310)를 약간 변형시켜서 하우징(1100)으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각 와이어 도어(1310)는 하우징(1100)의 외측 및 내측으로 회전가능하다. 시트 화장지 적층물(10)을 하우징(1100)에 수용하고, 와이어 도어(1310)를 하우징(1100)의 내측으로 회전시켜서 시트 화장지 적층물(10)을 폐쇄하면, 와이어 도어(1310)는 시트 화장지 적층물(10)에 상하방향에서 접촉하여, 시트 화장지 적층물(10)은 전방으로 기울어지는 현상 없이 원활하게 불출될 수 있다. 또한, 와이어 도어(1310)가 제공하는 높이만큼 시트 화장지 적층물(10)이 하우징(1100)에 수용될 수 있다.
실시예의 디스펜서(1000)는, 시트 화장지 적층물(10)의 원활한 불출을 보조하도록 시트 화장지 적층물(10)의 상단에 놓여 시트 화장지 적층물(10)을 중력에 의해 하방으로 압박하는 압박 추(1400)를 구비한다. 압박 추(1400)는 시트 화장지 적층물(10)의 가로 및 폭에 대응하는 가로 및 폭을 가질 수 있다. 압박 추(1400)는 가이드벽(1130) 사이에서 시트 화장지 적층물(10)의 상부에 안착된다. 와이어 도어(1310)를 하우징(1100)의 내측으로 회전시켜 와이어 도어(1310)가 시트 화장지 적층물(10)을 유지하고 있을 때, 압박 추(1400)는 그 전단에서 와이어 도어(1310)와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압박 추(1400)는 가이드벽(1130)과 와이어 도어(1310)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시트 화장지 적층물(10)을 하방으로 압박하면서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디스펜서(1000)는 하우징(1100)에 수용된 시트 화장지 적층물(10)을 엄폐하기 위한 하우징 커버(1200)를 구비한다. 하우징 커버(1200)는 그 하단에서 하우징(1100)의 지지벽(114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하우징 커버(1200)는 하우징(1100)에 대해 하방으로 회전하여 하우징(1100)을 개방하고 상방으로 회전하여 하우징(1100)을 폐쇄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하우징 커버(1200)는 하우징(1100)의 베이스벽(1110)과 대략 상사(相似)하는 형상을 가진다. 하우징 커버(1200)가 상방으로 회전하여 하우징(1100)과 정합되면, 하우징 커버(1200)는 그 가장자리에서 하우징(1100)의 둘레벽(1120)의 제2 둘레벽(1122)의 가장자리와 접한다.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하우징 커버(1200)는 그 하단에서 하우징(1100)의 지지벽(1140)의 하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수용 브라켓(1150)의 바닥벽(1151BW)이 하우징의 지지벽(1140)으로서 기능하므로, 하우징 커버(1200)는 수용 브라켓(1150)의 바닥벽(1151BW)의 하면에 마련된 커버 힌지(115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해, 하우징 커버(1200)는 수용 브라켓(1150)의 커버 힌지(1153)의 힌지 구멍(1152)에 각각 끼워지는 한 쌍의 힌지 핀(1211)을 구비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하우징 커버(1200)는 그 하측 가장자리에서 하방으로 비스듬히 연장하는 한 쌍의 레그(1212)와 각 레그(1212)의 선단에 마련되어 있고 하우징 커버(1200)의 회전방향을 따르는 둘레방향 표면을 가지는 캠 스토퍼(1213)를 구비한다. 힌지 핀(1211)은 각 캠 스토퍼(1213)에 마련되어 있으며, 하우징(1100)의 내측(즉, 하우징 커버(1200)의 내측)으로 돌출한다. 힌지 핀(1211)이 힌지 구멍(1152)에 끼워져, 하우징 커버(1200)가 하우징(1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하우징 커버(1200)가 하우징(1100)에 정합되어 있는 상태에서(즉, 이 실시예에 있어서, 하우징 커버(1200)가 제2 둘레벽(1122)과 접해 있는 상태에서), 하우징 커버(1200)의 회전 중심(예컨대, 디스펜서(1000)를 측방에서 볼 때 하우징 커버(1200)의 힌지 핀(1211)의 중심점)에 대한 각도를 폐쇄각도라고 할 때, 하우징 커버(1200)는 상기 폐쇄각도로부터 하우징 커버(1200)의 하방 회전방향으로 제1 각도(A1)까지는 자유 회전을 실행하고, 하우징 커버(1200)의 하방 회전방향으로 제1 각도(A1)로부터 제2 각도(A2)까지는 마찰력에 의해 구속되는 회전을 실행하며, 제2 각도(A2)에서는 또는 제2 각도(A2) 이상의 각도에서는 하우징(1100)에 대한 회전을 정지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하우징 커버(1200)의 하방 회전방향으로, 제1 각도(A1)는 75도 내지 85도로 되고 제2 각도(A2)는 제1 각도(A1)의 2배로 설정되는 150도 내지 170도로 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각도(A1)는 약 80도로 되고 제2 각도(A2)는 약 160도로 된다. 따라서, 하우징 커버(1200)는 하우징(1100)에 대하여 하방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폐쇄각도로부터 제1 각도(A1)까지는 자유 회전을 실행하고, 제1 각도(A1)로부터 제2 각도(A2)까지는 마찰력에 의해 구속되는 회전을 실행하며, 제2 각도(A2)에서는 하우징(1100)에 대하여 정지한다. 이와 같이, 하우징 커버(1200)가 하우징(1100)에 대하여 하방 회전할 때, 제1 각도(A1)와 제2 각도(A2) 사이에서 마찰력에 의해 구속되는 회전을 실행하므로, 하우징 커버(1200)는 하우징(1100)에 대하여 제1 각도(A1)와 제2 각도(A2) 사이에서 급격한 회전이 아닌 부드러운 회전을 실행하며, 제2 각도(A2) 부근에서는 급격한 정지 동작이 아닌 부드러운 정지 동작을 실행하게 된다.
전술한 하우징 커버의 구속 회전은 하우징(1100)의 제1 마찰접촉면과 하우징 커버(1200)의 캠 스토퍼(1213)의 둘레방향 표면에 위치하는 제2 마찰접촉면 간의 마찰의 면접촉에 의해 달성되고, 전술한 하우징 커버의 정지는 하우징(1100)의 제1 마찰접촉면과 캠 스토퍼(1213)의 둘레방향 표면에 위치하는 정지접촉면 간의 면접촉에 의해 달성된다. 이러한 면접촉을 달성하기 위해, 하우징 커버(1200)의 하방 회전 방향에서의 제1 각도(A1)에서 제1 마찰접촉면과 제2 마찰접촉면이 상기 마찰의 면접촉을 개시하도록 제2 마찰접촉면이 제1 마찰접촉면에 대해 위치설정되어 있고, 제1 각도(A1)보다 큰 제2 각도(A2)에서 정지접촉면이 상기 제1 마찰접촉면과 접촉하여 하우징 커버(1200)의 하방 회전을 정지하도록 정지접촉면이 제1 마찰접촉면에 대해 위치설정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하우징(1100)은 전술한 지지벽(1140)의 하면에 하나의 또는 한 쌍의 제1 마찰접촉면(1143)을 구비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수용 브라켓(1150)의 바닥벽(1151BW)의 하면이 상기 제1 마찰접촉면(1143)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수용 브라켓(1150)은 지지벽(1140)[바닥벽(1151BW)]의 하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핀(1144)과 그 선단의 표면에 제1 마찰접촉면(1143)을 가질 수 있다. 핀(1144)의 제1 마찰접촉면(1143)은 베이스벽(1110)에 수직하게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하우징 커버(1200)는 전술한 캠 스토퍼(1213)의 각각에 그 둘레방향 표면을 따라 제2 마찰접촉면(1214)과 정지접촉면(1215)을 구비한다. 하우징 커버(1200)가 하우징(1100)에 대해 하방으로 회전할 때, 제2 마찰접촉면(1214)과 정지접촉면(1215) 모두 이에 대응하는 지지벽(1140)의 제1 마찰접촉면(1143), 예컨대 수용 브라켓(1150)의 바닥벽(1151BW)의 하면에 차례로 면접촉한다. 즉, 하우징 커버(1200)가 하우징(1100)에 대해 하방 회전할 때, 제2 마찰접촉면(1214)이 제1 마찰접촉면(1143)에 접촉한 후, 정지접촉면(1215)이 제1 마찰접촉면(1143)에 면접촉하도록, 정지접촉면(1215)이 제2 마찰접촉면(1214)에 접해 있다.
제2 마찰접촉면(1214)은 캠 스토퍼(1213)의 둘레방향 표면의 소정 구간에 걸쳐 원호형 곡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제2 마찰접촉면(1214)을 형성하는 원호형 곡면의 중심은 힌지 핀(1211)의 중심점(하우징 커버(1200)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편심되어 있다. 따라서, 하우징 커버(1200)가 하우징(1100)에 대해 하방 회전할 때, 제2 마찰접촉면(1214)은 상기 폐쇄각도로부터 제1 각도(A1)까지는 수용 브라켓(1150)의 바닥벽(1151BW)의 하면에 있는 제1 마찰접촉면(1143)과 접촉하지 않고, 하우징 커버(1200)가 하우징(1100)에 대해 제1 각도(A1)로 회전하면, 제2 마찰접촉면(1214)은 수용 브라켓(1150)의 바닥벽(1151BW)의 제1 마찰접촉면(1143)과 면접촉을 시작하고, 하우징 커버(1200)가 하우징(1100)에 대해 제1 각도(A1)로부터 제2 각도(A2)로 회전하는 동안에는 이러한 면접촉을 유지한다. 즉, 제2 마찰접촉면(1214)의 마찰 면접촉의 개시점은 상기 폐쇄각도에 대해 제1 각도(A1)로 위치하고, 제2 마찰접촉면(1214)의 마찰 면접촉의 종료점은 상기 폐쇄각도에 대해 제2 각도(A2)로 위치한다. 하우징 커버(1200)가 하우징(1100)에 대해 제1 각도(A1)로부터 제2 각도(A2)로 회전하는 동안에는, 캠 스토퍼(1213)의 제2 마찰접촉면(1214)과 수용 브라켓(1150)의 바닥벽(1151BW)의 하면의 제1 마찰접촉면(1143) 간의 마찰의 면접촉이 하우징 커버(1200)의 하방 회전에 저항력을 인가하여, 하우징 커버(1200)의 부드러운 회전을 실현한다. 정지접촉면(1215)은 제2 마찰접촉면(1214)의 상기 마찰 면접촉의 종료점에 인접하여 캠 스토퍼(1213)의 둘레방향 표면의 소정 구간에 걸쳐 평평한 표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 커버(1200)가 하우징(1100)에 대해 하방으로 제2 각도(A2)로 회전하면, 정지접촉면(1215)은 대략 그 전체에서 수용 브라켓(1150)의 바닥벽(1151BW)의 하면에 면접촉하여, 하우징 커버(1200)의 하우징(1100)에 대한 하방 회전을 정지시킨다.
이 실시예의 디스펜서(1000)에서는, 하우징 커버(1200)의 하방 회전방향을 따르는 캠 스토퍼(1213)의 둘레방향 표면(즉, 제2 마찰접촉면(1214)과 정지접촉면(1215))이 수용 브라켓(1150)의 바닥벽(1151BW)의 하면에 있는 제1 마찰접촉면(1143)과 직접 면접촉을 행한다. 다른 예로서, 전술한 수용 브라켓(1150)과 같은 부품을 구비하지 않고 지지벽(1140)이 베이스벽(1110)에 일체로 되어 있는 실시예를 고려할 경우, 이러한 지지벽(1140)의 하면에서 선단의 표면이 제1 마찰접촉면(1158)으로 되는 상기 핀(도시하지 않음)이 돌출할 수 있다.
디스펜서(1000)는 하우징 커버(1200)가 하우징(1100)에 정합되어 있을 때 하우징 커버(1200)를 하우징(1100)에 로킹하기 위한 잠금 장치(1500)를 구비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잠금 장치(1500)는 하우징 커버(1200)의 상측 내면에 로킹하는 탄성 래치(1510)와 탄성 래치(1510)와 하우징 커버(1200) 간의 로킹을 해제하기 위한 키(1520)를 포함한다.
탄성 래치(1510)는 하우징(1100)의 둘레벽(1120)의 상측 내면에 둘레벽(1120)의 상측 가장자리를 넘어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결합된다(도 5 참조). 하우징(1100)의 둘레벽(1120)에는 그 상측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연장하고 함몰된 리세스(1123)가 형성되어 있다. 리세스(1123)는 제2 둘레벽(1122)의 상측 가장자리로부터 제1 둘레벽(1121)으로 연장한다. 하우징 커버(1200)의 상측 가장자리에는 그 중앙에 리세스(1123)에 끼워지는 러그(1220)가 돌출해 있다.
탄성 래치(1510)는 탄성 판(1511)과 탄성 판(1511)의 중간에 형성되고 상방으로 돌출한 누름 버튼(1512)을 구비한다. 디스펜서(1000)을 측방에서 볼 때, 탄성 판(1511)은 이단으로 절곡되어 있는 형상을 가진다. 탄성 판(1511)은 그 후단에서 나사 등에 의해 하우징(1100)의 제1 둘레벽(1121)의 상측 내면에 결합된다. 즉, 탄성 판(1511)은 외팔보 형태로 하우징(1100)의 둘레벽(1120)의 상단에 위치한다. 따라서, 탄성 판(1511)의 후단은 고정단으로 되고 전단은 자유단으로 된다. 탄성 판(1511)은 그 자유단부에 하우징(1100)의 내측으로(하방으로) 절곡되어 있는 절곡부(1513)를 구비하며, 절곡부(1513)와 누름 버튼(1512)의 사이에 위치하고 탄성 판(1511)에 뚫린 로킹 구멍(1514)을 구비한다. 절곡부(1513)를 포함하는 탄성 판(1511)의 자유단부는 리세스(1123) 내에 위치한다. 로킹 구멍(1514)에는 하우징 커버(1200)의 러그(1220)의 내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로킹 핀(1221)이 삽입된다. 로킹 핀(1221)은 하우징(1100)을 향하는 부분에 경사면을 가진다. 하우징(1100)의 제1 둘레벽(1121)에는 그 상측 가장자리에 인접하게 누름 버튼(1512)이 삽입되는 버튼 구멍(1124)이 뚫려 있다. 누름 버튼(1512)은 하우징의 제1 둘레벽(1121)의 외부로 돌출하지 않도록 버튼 구멍(1124)에 삽입된다. 하우징 커버(1200)가 하우징(1100)에 정합될 때, 하우징 커버(1200)의 상측 가장자리가 하우징(1100)의 제2 둘레벽(1122)의 상측 가장자리에 근접하면, 로킹 핀(1221)은 그 경사면에서 탄성 래치(1510)의 절곡부(1513)에 접촉하게 된다. 하우징 커버(1200)를 하우징(1100) 쪽으로 더 회전시킴에 따라, 탄성 래치(1510)는 로킹 핀(1221)의 상기 경사면과 절곡부(1513) 간의 작용에 의해 하방으로 휘게 되며, 이어서 로킹 핀(1221)이 로킹 구멍(1514)에 삽입되면 탄성 래치(1510)가 원위치로 복귀하여, 탄성 래치(1510)가 하우징 커버(1200)에 로킹한다. 누름 버튼(1512)이 하방으로 눌리면, 탄성 판(1511)이 그 고정단을 중심으로 하여 하방으로 휘어지며, 그에 따라 로킹 핀(1221)이 로킹 구멍(1514)으로부터 분리되어, 하우징 커버(1200)와 탄성 래치(1510) 간의 로킹이 해제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누름 버튼(1512)이 하우징(1100)의 둘레벽(1120)의 외부로 돌출하지 않으므로, 누름 버튼(1512)은 용이하게 눌릴 수 없고, 따라서, 하우징 커버(1200)와 하우징(1100) 간의 로킹이 확보될 수 있다.
시트 화장지 적층물(10)을 교체하기 위해 하우징 커버(1200)와 하우징(1100) 간의 로킹을 해제하여 하우징 커버(1200)를 하방 회전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로킹을 해제하기 위해 키(1520)가 사용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키(1520)는 한 쌍의 삽입 레그(1521)를 가진다. 또한, 하우징 커버(1200)의 상부의 일부인 러그(1220)에는 키(1520)의 삽입 레그(1521)가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키홀(1222)이 러그(1220)를 관통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키홀(1222)은, 하우징 커버(1200)가 하우징(1100)에 정합될 때 탄성 판(1511)의 위에 위치하도록 러그(1220)에 형성되어 있다. 키(1520)의 삽입 레그(1521)를 키홀(1222)에 삽입하면, 키(1520)의 삽입 레그(1521)가 탄성 판(1511)을 하방으로 누르게 되며, 이러한 누름에 의해 탄성 판(1511)이 하방으로 휘어지거나 변형하면서 러그(1220)의 로킹 핀(1221)과 탄성 래치(1510)의 로킹 구멍(1514) 간의 결합이 해제된다. 따라서, 키(1520)의 삽입 레그(1521)를 키홀(1222)에 삽입함으로써, 하우징(1100)에 마련된 탄성 래치(1510)와 하우징 커버(1200) 간의 로킹이 해제될 수 있고, 하우징 커버(1200)를 하우징(1100)에 대해 하방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누름 버튼(1512')이 하우징(1100)의 둘레벽(1120)의 외부로 돌출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누름 버튼(1512')이 눌릴 수 있으므로 키(1520)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러그(1220)의 로킹 핀(1221)과 탄성 래치(1510)의 로킹 구멍(1514) 간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즉, 하우징(1100)에 마련된 탄성 래치(1510)와 하우징 커버(1200) 간의 로킹을 해제하여 하우징 커버(1200)를 하우징(1100)에 대해 하방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디스펜서(1000)의 잠금 장치의 다른 예를 설명한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탄성 래치(2510)는 탄성 판(2511)과, 누름 버튼(2512)과, 로킹 후크(2514)를 구비한다. 탄성 판(2511)은 그 일단에서 하우징(1100)의 제1 둘레벽(1121)의 상측 내면에 외팔보 형태로 고정되며, 탄성 판(2511)의 타단은 자유단으로 된다. 로킹 후크(2514)는 탄성 판(2511)의 자유단에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100)을 측방에서 볼 때, 로킹 후크(2514)는 하우징 커버(1200)의 러그(1220)와 접촉하여 탄성 판(2511)을 하방으로 휘게 하도록, 로킹 후크(2514)는 역V자형으로 절곡되어 있다. 누름 버튼(2512)은 탄성 판(2511)의 중간에 배치되어 있으며, 하우징(1100)의 제1 둘레벽(1121)에 뚫린 버튼 구멍(2124)에 삽입된다. 버튼 구멍(2124)과 누름 버튼(2512)은 버튼 구멍(1124)과 누름 버튼(1512)에 비해 큰 크기를 가지며, 누름 버튼(2512)은 버튼 구멍(2124)을 통해 하우징(1100)의 제1 둘레벽(1121)의 외부로 약간 돌출할 수 있다. 하우징 커버(1200)의 러그(1220)의 하면에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킹 후크(2514)에 걸림결합하는 로킹 돌기(2221)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 커버(1200)가 하우징(1100)에 정합되어 있을 때, 로킹 후크(2514)가 로킹 돌기(2221)에 걸림결합하여, 하우징 커버(1200)와 하우징(1100) 간의 로킹이 달성된다. 또한, 누름 버튼(2512)을 눌러서 탄성 판(2511)을 하방으로 휘게하여 로킹 후크(2514)가 로킹 돌기(2221)로부터 분리되게 함으로써, 하우징 커버(1200)와 하우징(1100) 간의 로킹은 해제될 수 있다.
탄성 래치(2510)를 고정하기 위해 보조 래치(2520)가 러그(1220)에 마련되어 있다. 보조 래치(2520)는, 도 20 및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 커버(1200)의 상부의 일부인 러그(1220)에 러그(1220)를 관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회전축(2521)과 회전축(2521)으로부터 연장하는 래치 바(2522)와 회전축(2521)에 삽입되어 회전축(2521)을 회전시키기 위한 키(2523)를 포함한다. 회전축(2521)은 하우징 커버(1200)의 상부의 일부인 러그(1220)를 관통해 러그(12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회전축(2521)의 하단은 러그(1220)의 아래에 위치하며, 래치 바(2522)는 회전체(2521)의 하단으로부터 연장한다. 래치 바(2522)는 회전축(2521)의 회전에 의해 탄성 판(2511)의 하면 아래에 위치한다. 래치 바(2522)가 탄성 판(2511)의 하면 아래에 위치하면, 탄성 판(2511)은 래치 바(2522)에 걸려 하방으로 휘어지거나 변형할 수 없으며, 따라서 로킹 후크(2514)는 로킹 돌기(2221)로부터 분리될 수 없다. 이와 같이, 도 17 내지 도 21에 도시하는 실시예의 의하면, 하우징 커버(1200)가 하우징(1100)과 정합되어 있을 때, 래치 바(2522)가 탄성 판(2512)의 아래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누름 버튼(2512)을 눌러서 로킹 후크(2514)와 로킹 돌기(2221) 간의 걸림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키(2523)를 회전축(2521)에 삽입해 회전축(2521)을 회전시켜 래치 바(2522)를 탄성 판(2512)의 아래에 위치시키면, 탄성 판(2512)의 하방으로의 휨 또는 변형이 저지되어 탄성 래치(2510)가 고정되며, 따라서, 하우징 커버(1200)와 하우징(1100) 간의 로킹이 확보될 수 있다.
디스펜서(1000)는 하우징(1100)의 베이스벽(1110)을 예컨대 임의의 수직 벽면 또는 경사 벽면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수직 벽면 또는 경사 벽면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펜서(1000)는 벽면에 고정되는 앵커(anchor)(1600)를 구비한다. 앵커(1600)는,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판 형상이며, 예컨대 나사공(1610)을 통해 나사가 상기 벽면에 체결되어 상기 벽면에 결합될 수 있다. 앵커(1600)는 적어도 하나의 직사각형 개구(1621)와, 개구(1621)의 하측 가장자리로부터 L자형으로 전방으로 돌출하여 연장하는 걸림용 후크(1622)를 구비한다. 또한, 앵커(1600)는 걸림용 후크(1622)의 상단 부근에 뚫린 나사공(1623)을 구비한다. 걸림용 후크(1622)가 L자형으로 연장하므로, 걸림용 후크(1622)의 내면과 개구(1621)의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며, 이 공간에 하우징(1100)의 베이스벽(1110)의 일부가 끼워질 수 있다.
앵커(1600)와의 결합을 위해, 하우징(1100)의 베이스벽(1110)은 베이스벽(1110)에 뚫린 한 쌍의 사각형의 고정용 개구(1111)와, 각 고정용 개구(1111)의 상방에 위치하는 한 쌍의 핑거(1112)와, 핑거(1112)의 사이에서 베이스벽(1110)에 뚫린 나사공(1113)을 가진다(도 3 및 도 5 참조). 고정용 개구(1111)의 상하 길이는 걸림용 후크(1622)의 상하 길이보다 길며, 좌우 폭은 걸림용 후크(1622)의 폭보다 약간 크다. 앵커(1600)가 고정된 벽면에 걸림용 후크(1622)가 고정용 개구(1111) 내에 위치하도록 베이스벽(1110)을 접촉시킨 후, 하우징(1100)을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고정용 개구(1111)의 상측 가장자리부터 베이스벽(1110)의 일부가 걸림용 후크(1622)과 개구(1621)의 사이로 삽입되면서, 걸림용 후크(1622)의 상단부는 핑거(1112)의 사이에 협지된다. 고정용 개구(1111)의 상측 가장자리가 걸림용 후크(1622)과 접촉하여 걸림용 후크(1622)에 걸리면, 걸림용 후크(1622)의 나사공(1623)은 베이스벽(1110)의 나사공(1113)과 정렬되며, 나사공(1623)을 통해 나사공(1113)에 나사를 체결함으로써, 하우징(1100)은 앵커(1600)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앵커(1600)를 사용하지 않고 하우징(1100)은 벽면에 고정될 수도 있다. 예컨대, 베이스벽(1110)의 가장자리 부근에 통공(1114)에 벽면에 돌출된 핀을 삽입시켜서 통공(1114)과 이러한 핀을 결합시킴으로써, 하우징(1100)은 벽면에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의 디스펜서의 앵커는 1개의 개구와 1개의 걸림용 후크를 가질 수 있다. 도 23은 이러한 앵커를 도시한다. 이러한 앵커의 구조에 맞추어, 하우징의 베이스벽(1110)이 대응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24는 다른 실시예의 디스펜서를 설명한다. 도 24에 도시하는 디스펜서(3000)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의 디스펜서(1000)와 비교하여, 수용 브라켓(3140)의 전방벽(3141FW) 및 측벽(3141LW)의 높이가 낮으며, 이에 맞추어 와이어 도어(1310)가 더욱 길게 형성되어 있고, 수용 브라켓(1150)의 전방벽(1151FW)은 절결 구멍(1154)을 구비하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0, 3000: 디스펜서 1100: 하우징
1110: 베이스벽 1120: 둘레벽
1130: 가이드벽 1150, 3140: 수용 브라켓
1200: 하우징 커버 1300: 도어
1400: 압박 추 1310: 와이어 도어
1500: 잠금 장치 1510: 탄성 래치
1520: 키 1600: 앵커

Claims (17)

  1. 베이스벽과 상기 베이스벽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하는 둘레벽과 상기 둘레벽의 내측에서 상기 베이스벽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가이드벽과 상기 가이드벽의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베이스벽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하며 불출구가 뚫린 지지벽을 구비하고, 다수의 개별 시트 화장지가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시트 화장지 적층물이 상기 가이드벽 사이에서 상기 지지벽 상에 수용되는 하우징과,
    하단에서 상기 하우징의 지지벽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방 회전에 의해 상기 하우징을 개방하고 상방 회전에 의해 상기 하우징을 폐쇄하는 하우징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지지벽의 하면에 적어도 하나의 제1 마찰접촉면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 커버는 상기 하우징 커버의 상기 하우징에 대한 하방 회전 도중 상기 제1 마찰접촉면과 마찰의 면접촉을 하여 상기 하방 회전에 저항력을 인가하는 제2 마찰접촉면과 상기 제1 마찰접촉면과 면접촉을 하여 상기 하방 회전을 정지시키는 정지접촉면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 커버의 하방 회전 방향에서의 제1 각도에서 상기 제1 마찰접촉면과 상기 제2 마찰접촉면이 상기 마찰의 면접촉을 개시하도록 상기 제2 마찰접촉면이 상기 제1 마찰접촉면에 대해 위치설정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 커버의 하방 회전 방향에서의 상기 제1 각도보다 큰 제2 각도에서 상기 정지접촉면이 상기 제1 마찰접촉면과 접촉하여 상기 하우징 커버의 하방 회전을 정지하도록 상기 정지접촉면이 상기 제1 마찰접촉면에 대해 위치설정되어 있는
    시트 화장지 디스펜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마찰접촉면은 원호형 곡면을 포함하고, 상기 원호형 곡면은 상기 하우징 커버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편심되어 있는 중심을 가지는
    시트 화장지 디스펜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커버의 상기 하우징에 대한 하방 회전시 상기 제2 마찰접촉면이 상기 제1 마찰접촉면에 접촉한 후 상기 정지접촉면이 상기 제1 마찰접촉면과 면접촉하도록 상기 정지접촉면이 상기 제2 마찰접촉면에 접해 있는
    시트 화장지 디스펜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커버가 상기 하우징에 정합되어 있을 때의 상기 하우징 커버의 상기 회전 중심에 대한 각도를 폐쇄각도라고 할 때, 상기 제1 각도는 상기 폐쇄각도로부터 상기 하우징 커버의 하방 회전방향으로 75도 내지 85도이고 상기 제2 각도는 상기 폐쇄각도로부터 상기 하우징 커버의 하방 회전방향으로 160도 내지 170도인
    시트 화장지 디스펜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커버는 하단에서 연장하는 레그와 상기 레그의 상단에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 커버의 회전 방향을 따르는 둘레방향 표면을 갖는 캠 스토퍼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마찰접촉면과 상기 정지접촉면은 상기 캠 스토퍼의 둘레방향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시트 화장지 디스펜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가이드벽에 인접하게 상기 베이스벽에 제거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시트 화장지 적층물의 하측 부분을 수용하고 상기 시트 화장지 적층물을 지지하는 수용 브라켓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 브라켓은 바닥벽과 상기 바닥벽의 측방 가장자리에서 연장하는 측벽과 상기 바닥벽의 전방 가장자리에서 연장하는 전방벽을 가지며,
    상기 수용 브라켓의 바닥벽이 상기 지지벽으로 되어 있는
    시트 화장지 디스펜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브라켓의 상기 바닥벽의 하면에 상기 제1 정지접촉면이 형성되는 핀을 구비하는
    시트 화장지 디스펜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측 및 내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한 쌍의 도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회전되어 상기 시트 화장지 적층물에 상하방향에서 접촉가능한
    시트 화장지 디스펜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단에서 상기 가이드벽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에서 상기 수용 브라켓의 상기 측벽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와이어 도어를 포함하는
    시트 화장지 디스펜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화장지 적층물 상단에 안착되고 상기 가이드벽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상기 시트 화장지 적층물을 하방으로 압박하는 압박 추를 더 포함하는
    시트 화장지 디스펜서.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브라켓은 상기 전방벽의 상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바닥벽의 부근까지 형성된 절결 구멍을 구비하는
    시트 화장지 디스펜서.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브라켓은 상기 전방벽의 내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레이션 열을 구비하는
    시트 화장지 디스펜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벽은 상기 베이스벽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하는 제1 둘레벽과 상기 제1 둘레벽의 상측 가장자리 및 측방 가장자리의 일부에 결합되고 투명 또는 반투명 재료로 형성되는 제2 둘레벽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커버는 상기 제2 둘레벽의 가장자리와 접하는
    시트 화장지 디스펜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출구는 가장자리에 상기 베이스벽을 향해 오목한 보조 불출구를 구비하는
    시트 화장지 디스펜서.
  15. 제1항에 있어서,
    일단에서 상기 하우징의 둘레벽의 상측 내면에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 커버의 상측 내면에 로킹하는 탄성 래치와,
    상기 하우징 커버의 상측 가장자리에 인접하게 상기 하우징 커버를 관통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커버가 상기 하우징에 정합될 때 상기 탄성 래치의 위에 위치하는 키홀과,
    상기 키홀에 삽입되어 상기 탄성 래치와 상기 하우징 커버의 로킹을 해제하도록 상기 탄성 래치를 변형시키는 키를 더 포함하는
    시트 화장지 디스펜서.
  16. 제1항에 있어서,
    일단에서 상기 하우징의 둘레벽의 상측 내면에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 커버의 상측 내면에 로킹하는 탄성 래치와,
    상기 하우징 커버의 둘레벽의 상측 가장자리에 인접하게 상기 하우징 커버를 관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연장하는 래치 바와,
    상기 회전축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래치 바가 상기 탄성 래치의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탄성 래치의 변형을 저지하는
    시트 화장지 디스펜서.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베이스벽을 벽면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벽면에 결합되는 앵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앵커는 전방으로 L자형으로 돌출하는 걸림용 후크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벽은 상기 걸림용 후크에 걸리는 고정용 개구와 상기 걸림용 후크를 협지하는 한 쌍의 핑거를 구비하는
    시트 화장지 디스펜서.
KR2020150004386U 2015-06-30 2015-06-30 시트 화장지 디스펜서 KR2004887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386U KR200488712Y1 (ko) 2015-06-30 2015-06-30 시트 화장지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386U KR200488712Y1 (ko) 2015-06-30 2015-06-30 시트 화장지 디스펜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115U true KR20170000115U (ko) 2017-01-09
KR200488712Y1 KR200488712Y1 (ko) 2019-03-08

Family

ID=57797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4386U KR200488712Y1 (ko) 2015-06-30 2015-06-30 시트 화장지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712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7915A (ko) 2011-10-17 2014-06-24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과충전 방지 장치를 갖는 절첩 시트 디스펜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07160B2 (en) * 2001-07-30 2003-08-19 Kimberly-Clark Worldwide Easy loading dispenser
JP5667793B2 (ja) * 2010-06-19 2015-02-12 力 浅岡 ロールペーパーホルダー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7915A (ko) 2011-10-17 2014-06-24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과충전 방지 장치를 갖는 절첩 시트 디스펜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8712Y1 (ko) 2019-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35260C (en) Paper towel cabinet with paper towel support bar
KR100738705B1 (ko)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용 스탠드
RU2577730C2 (ru) Выда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дуктов и покрывающий элемент для выдач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US8978925B2 (en) Paper towel cabinet with paper towel module
HUE029011T2 (en) Table napkin dispenser
RU2572170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дачи согнутых листовых изделий, снабженное устройством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переполнения
EP2809212A1 (en) Sheet product dispenser
JPH0873050A (ja) 紙葉類保持装置
RU2731594C1 (ru) Выда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дачи листовых продуктов
KR20080107438A (ko) 테이프 디스펜서
US6619504B2 (en) Multiple roll holder unit
KR200488712Y1 (ko) 시트 화장지 디스펜서
JP5579519B2 (ja) 薄葉紙ディスペンサー
US4322042A (en) Toilet paper container and dispenser
KR200488711Y1 (ko) 롤 화장지 디스펜서
RU2732476C1 (ru) Диспенсер для выдачи гигиенических бумажных изделий
CN209915833U (zh) 抽纸盒
JP4133450B2 (ja) 収納家具の天板、収納家具
JP6829826B2 (ja) 薄葉紙ディスペンサー
JP2014233412A (ja) 化粧用コンパクトケース
JP6125356B2 (ja) ウェットティッシュ容器
JP3633443B2 (ja) ファイル用具
KR200481302Y1 (ko) 컵홀더
WO2004000081A1 (ja) 傘保管装置及び傘保持錠
JP3752554B2 (ja) ファイル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