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711Y1 - 롤 화장지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롤 화장지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711Y1
KR200488711Y1 KR2020150004385U KR20150004385U KR200488711Y1 KR 200488711 Y1 KR200488711 Y1 KR 200488711Y1 KR 2020150004385 U KR2020150004385 U KR 2020150004385U KR 20150004385 U KR20150004385 U KR 20150004385U KR 200488711 Y1 KR200488711 Y1 KR 2004887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roll
toilet paper
peripheral wall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43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0114U (ko
Inventor
박유만
윤태일
최용신
이종수
노기창
Original Assignee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500043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711Y1/ko
Publication of KR201700001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1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7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71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3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 A47K10/38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the web being rolled up with or without tearing edg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2010/3246Locking mechanisms for the hous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롤 화장지를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고, 화장지를 인출할 때 롤 화장지에 충분한 제동력을 가해 임의로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롤 화장지 디스펜서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 화장지 디스펜서는 베이스벽과 상기 베이스벽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하는 둘레벽과 상기 둘레벽의 내측에서 상기 베이스벽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지지벽을 구비하고, 롤 코어를 가지는 롤 화장지가 상기 지지벽 사이에 수용되는 하우징과, 상기 롤 화장지의 둘레방향 가장자리와 접하는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롤 코어에 삽입되는 코어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코어 홀더를 상기 하우징의 측방 내측으로 바이어스하면서 지지하며 상기 한 쌍의 지지벽 각각에 부착되는 한 쌍의 홀더 조립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롤 화장지 디스펜서{ROLL TISSUE PAPER DISPENSER}
본 고안은 롤 화장지를 수용하여 유지하는 롤 화장지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롤 화장지를 수용하여 유지할 수 있는 롤 화장지 디스펜서가 당해 분야에 알려져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2020호는 화장지 또는 핸드 타올 등의 롤 타입의 1회용 종이 제품을 공급하는 디스펜서의 일 예를 제안한다. 상기 문헌이 제안하는 디스펜서는 롤 타입의 종이 제품을 수용하는 본체 케이싱을 가지며, 본체 케이싱은 전방 개구를 가진 통 형상의 제1 본체 케이싱과 제1 본체 케이싱의 전방 개구를 차단하는 제2 본체 케이싱을 포함한다. 이러한 디스펜서에서는, 롤 타입의 종이 제품을 본체 케이싱의 내부에 장착하기 위해서 제2 본체 케이싱을 제1 본체 케이싱으로부터 분리시켜야 한다. 또한, 상기 문헌이 제안하는 디스펜서는, 본체 케이싱의 내부에서 자중에 의해 회전하여 롤 타입의 종이 제품을 가압하는 장력조절커버를 구비하지만, 이러한 장력조절커버로는 롤 타입의 종이 제품이 임의로 풀리지 않도록 하는 충분한 제동력을 가해주기 어렵다. 이와 같이, 상기 문헌에 따른 디스펜서는 사용상 번거로움이 있으며, 롤 타입 종이 제품의 원활한 공급을 달성하지 못한다.
한편, 예컨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3892호는 롤 타입의 페이퍼타올(페이퍼롤)을 수용하여 공급하는 페이퍼타올 디스펜서의 일 예를 제안한다. 상기 문헌이 제안하는 페이퍼타올 디스펜서에 의하면, 페이퍼롤은 박스 형태의 타올저장부 및 타올저장부의 전면을 개폐하는 롤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는데, 이때 페이퍼롤은 봉 형태의 롤거치대에 끼워져서 롤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거치된다. 이와 같은 페이퍼타올 디스펜서는, 페이퍼롤을 장착하기 위해서 롤거치대를 롤케이스로부터 분리시켜야 하는 사용상의 번거로움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2020호, 2011.03.02, 공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3892호, 2006.12.07, 등록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롤 화장지를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고, 화장지를 인출할 때 롤 화장지에 충분한 제동력을 가해 임의로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롤 화장지 디스펜서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 화장지 디스펜서는 베이스벽과 상기 베이스벽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하는 둘레벽과 상기 둘레벽의 내측에서 상기 베이스벽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지지벽을 구비하고, 롤 코어를 가지는 롤 화장지가 상기 지지벽 사이에 수용되는 하우징과, 상기 롤 화장지의 둘레방향 가장자리와 접하는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롤 코어에 삽입되는 코어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코어 홀더를 상기 하우징의 측방 내측으로 바이어스하면서 지지하며 상기 한 쌍의 지지벽 각각에 부착되는 한 쌍의 홀더 조립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홀더 조립체는, 상기 코어 홀더를 내측에 수용하고 상기 지지벽에 제거가능하게 부착되는 부싱과, 상기 부싱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코어 홀더를 상기 하우징의 측방 내측으로 바이어스하는 압축코일스프링을 더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어 홀더는 상기 경사면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상기 코어 홀더의 둘레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압면을 구비하며, 상기 가압면은 상기 압축코일스프링의 바이어스 힘에 의해 상기 롤 코어의 일단의 둘레방향 가장자리와 밀착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롤 화장지 디스펜서는 상기 한 쌍의 지지벽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롤 화장지와 마찰 접촉하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를 상기 롤 코어 쪽으로 바이어스하는 인장코일스프링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벽의 각각은 상기 지지벽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경사하고 상기 코어 홀더를 향하는 가이드 슬릿을 구비하고, 상기 스토퍼는 길이방향의 각 단에 상기 가이드 슬릿을 관통해 돌출하는 가이드 핀을 구비하고, 상기 인장코일스프링은 일단에서 상기 가이드 핀에 결합되고 타단에서 상기 지지벽에 결합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적어도 상기 롤 화장지와 마찰 접촉하는 면이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원통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롤 화장지 디스펜서는 상기 하우징의 베이스벽을 벽면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벽면에 결합되는 앵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앵커는 전방으로 L자형으로 돌출하는 걸림용 후크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벽은 상기 걸림용 후크에 걸리는 고정용 개구와 상기 걸림용 후크를 협지하는 한 쌍의 핑거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롤 화장지 디스펜서는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방 회전에 의해 상기 하우징을 개방하고 상방 회전에 의해 상기 하우징을 폐쇄하는 하우징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커버는 전방벽과 상기 전방벽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하는 둘레벽과 상기 둘레벽의 하측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상기 롤 화장지의 일부가 위치하는 불출구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베이스벽의 하단에 한 쌍의 힌지 구멍과 상기 한 쌍의 힌지 구멍의 각각의 둘레방향으로 소정 각도 범위로 연장하는 제1 마찰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 커버는 상기 하우징 커버의 둘레벽의 하단에 상기 한 쌍의 힌지 구멍에 각각 끼워지는 한 쌍의 힌지 핀과 상기 한 쌍의 힌지 핀의 각각에 상기 제1 마찰면부와 마찰의 면접촉을 하는 제2 마찰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마찰면부와 상기 제2 마찰면부의 마찰의 면접촉이 상기 하우징 커버의 하방 회전에 저항력을 인가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커버가 상기 하우징에 정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 커버의 둘레벽의 측방 가장자리의 위치를 0도로 가정할 때, 상기 제1 마찰면부와 상기 제2 마찰면부는 상기 하우징 커버가 상기 하우징에 대해 45도의 각도로 회전할 때 마찰의 마찰의 면접촉을 개시하도록 위치설정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커버는 상기 불출구의 적어도 일부의 가장자리에 배열되는 제1 세레이션 열과 상기 적어도 일부의 가장자리에 배열되고 상기 제1 세레이션 열과 접해있는 제2 세레이션 열을 더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불출구의 전방 가장자리 및 측방 가장자리 사이의 코너에 있어서 상기 제1 세레이션 열과 상기 제2 세레이션 열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세레이션은 나머지 세레이션과는 다른 크기 및 치수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둘레벽의 측방 가장자리는 상기 하우징의 베이스벽을 향해 기울어져 있고, 상기 하우징 커버의 둘레벽의 측방 가장자리는 상기 하우징의 둘레벽의 측방 가장자리와 동일한 기울기로 기울어져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롤 화장지 디스펜서는 일단에서 상기 하우징의 둘레벽의 상측 내면에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 커버의 둘레벽의 상측 내면에 로킹하는 탄성 래치와, 상기 하우징 커버의 둘레벽의 상측 가장자리에 인접하게 상기 하우징 커버의 둘레벽을 관통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커버가 상기 하우징에 정합될 때 상기 탄성 래치의 위에 위치하는 키홀과, 상기 키홀에 삽입되어 상기 탄성 래치와 상기 하우징 커버의 둘레벽과의 로킹을 해제하도록 상기 탄성 래치를 변형시키는 키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롤 화장지 디스펜서는 일단에서 상기 하우징의 둘레벽의 상측 내면에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 커버의 둘레벽의 상측 내면에 로킹하는 탄성 래치와, 상기 하우징 커버의 둘레벽의 상측 가장자리에 인접하게 상기 하우징 커버의 둘레벽을 관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연장하는 래치 바와, 상기 회전축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래치 바가 상기 탄성 래치의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탄성 래치의 변형을 저지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롤 화장지를 수용하는 하우징에 하우징 커버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롤 화장지를 장착할 때 향상된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한다. 또한, 하우징 커버는 하우징에 대하여 부드럽게 열리도록 회전하므로, 이들의 결합 부분에 무리한 충격이 가해져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에 롤 화장지를 밀어 넣음으로써 간편하게 롤 화장지를 장착할 수 있다. 또한, 화장지를 인출할 때 하우징의 내부에서 회전하는 롤 화장지에 충분한 제동력을 가해줄 수 있어, 롤 화장지의 의도하지 않은 풀림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 화장지 디스펜서를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디스펜서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디스펜서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디스펜서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의 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스토퍼 장치의 스토퍼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한 디스펜서에 있어서, 하우징 커버를 하우징으로부터 개방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7에 도시한 홀더 조립체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도 7에 도시한 디스펜서와 이에 장착되는 롤 화장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힌지 구멍이 형성된 하우징의 리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힌지 핀이 형성된 하우징 커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하우징으로부터 하우징 커버가 열린 디스펜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6은 힌지 구멍에 끼워진 힌지 핀의 회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한 커팅 날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의 잠금 장치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 장치가 구비되는 디스펜서의 상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 및 도 2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잠금 장치를 보인 도면이다.
도 2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에 채용되는 앵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앵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6은 도 25에 도시한 홀더 조립체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롤 화장지 디스펜서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요소 또는 부품을 지시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전방', '전' 등의 방향용어는, 롤 화장지 디스펜서의 벽면에 고정되는 부분에 대하여 롤 화장지가 위치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고, '후방', '후' 등의 방향용어는 그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내측', '내' 등의 방향용어는 롤 화장지 디스펜서의 하우징의 내부를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고, '외측', '외' 등의 방향용어는 그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롤 화장지(10)를 수용하여 유지하는 롤 화장지 디스펜서(이하, 간단히 '디스펜서'라고 한다)(1000)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일 실시예의 디스펜서(100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 화장지를 수용하고 임의의 벽면에 고정되는 하우징(1100)을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롤 화장지(10)는 원통형의 롤 코어(11)와 롤 코어(11)의 둘레에 롤 형상으로 다수의 겹으로 감기는 화장지(12)를 포함한다(도 10 내지 도 12 참조). 화장지(12)는 단위 시트가 절취선을 매개로 연속하는 형태 또는 절취선 없이 연속하는 시트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하우징(1100)은, 베이스벽(1110)과, 베이스벽(1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하는 둘레벽(1120)을 가진다. 베이스벽(1110)은 임의의 벽면에 직접 또는 후술하는 앵커(1600)를 통해 고정된다. 베이스벽(1110)은 사각형, 육각형 또는 기타 다각형 형상을 가지며, 이 실시예에서 베이스벽(1110)은 상변과 하변이 상대적으로 긴 육각형 형상을 가진다. 둘레벽(1120)은 그 상부가 그 하부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한다. 둘레벽(1120)은 상측 가장자리(1121T), 측방 가장자리(1121L) 및 하측 가장자리(1121B)를 가진다. 도 3에서와 같이 디스펜서(1000)를 측방에서 볼 때, 둘레벽(1120)의 측방 가장자리(1121L)는 하방으로 갈수록 베이스벽(1110)을 향해 기울어져 있다. 또한, 하우징(1100)은 둘레벽(1120)의 내측에 위치하며 베이스벽(1110)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지지벽(1130)을 가진다(도 5 참조). 롤 화장지(10)는 지지벽(1130)의 사이에 수용된다. 디스펜서(1000)를 측방에서 볼 때, 지지벽(1130)의 전방 가장자리(1131F)는 둘레벽(1120)의 측방 가장자리(1121L)보다 전방에 위치한다. 지지벽(1130)의 각각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하는 장타원형의 개구(1132)가 뚫려 있다. 각 개구(1132)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 화장지(10)를 회전가능하게 유지하는 홀더 조립체(1200)가 부착된다. 또한, 하우징(1100)은 베이스벽(1110)의 하부에서 전방으로 돌출하는 리브 구조물(1140)을 구비한다. 리브 구조물(1140)은 종방향 리브 블록(1141)과, 횡방향 리브 블록(1142)을 구비한다. 종방향 리브 블록(1141)은, 도시하지 않았지만, 세로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종방향 리브와, 복수의 종방향 리브를 연결하는 종방향 리브면을 포함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횡방향 리브 블록(1142)은, 도시하지 않았지만, 전후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횡방향 리브와, 복수의 횡방향 리브를 연결하는 횡방향 리브면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하우징(1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리브 구조물(1140)이 롤 화장지(10)와 마주하는 부분이 면(surface)으로 이루어진 블록 형상을 가지므로, 롤 화장지(10)로부터 미세하게 낙하하는 파티클이 복수의 종방향 리브 사이 및 복수의 횡방향 리브 사이에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디스펜서(1000)의 내부를 청결하게 유지 및 관리하기가 용이하다.
하우징(1100)의 베이스벽(1110)의 하단에, 상세하게는 횡방향 리브 블록(1142)의 외측 면(복수의 횡방향 리브 중 최외측에 위치하는 횡방향 리브의 외측면)의 전단 부근에 힌지 구멍(1144)이 뚫려 있다.
홀더 조립체(1200)는,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지지벽(1130)의 개구(1132)에 끼워져 지지벽(1130)에 제거가능하게 부착되는 부싱(1210)과, 적어도 일부가 부싱(1210)의 내부에 위치하고 부싱(1210)의 내면을 따라서 하우징(1100)의 측방 외측 및 측방 내측으로 이동가능한 코어 홀더(1220)와, 부싱(12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코어 홀더(1220)를 하우징(1100)의 측방 내측으로 바이어스하는 압축코일스프링(1230)을 포함한다.
부싱(1210)은 그 안에 코어 홀더(1220)를 수용한다. 부싱(1210)은 통체(1211)와, 통체(1211)의 내측 단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플랜지(1212)와, 통체(1211)의 외측 단에 위치하는 바닥(1213)과, 바닥(1213)의 중앙에 뚫린 구멍(1214)을 가진다. 통체(1211)의 횡단면 형상은 개구(1132)의 형상에 대응한다.
코어 홀더(1220)의 길이는 부싱(1210)의 길이보다 길다. 코어 홀더(1220)는 홀더부(1221)와 홀더부(1221)로부터 하우징(1100)의 측방 외측으로 연장하는 축(1222)을 가진다. 홀더부(1221)는 절두된 장타원형 기둥의 형상을 가진다. 롤 화장지(10)가 하우징(1100)에 수용될 때, 홀더부(1221)는 롤 화장지(10)의 롤 코어(11)에 롤 코어(11)의 길이방향에서의 단부로부터 내부로 삽입된다. 홀더부(1221)는 부싱(1210)의 통체(1211)의 내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된다. 홀더부(1221)의 외측 단 부근에서의 횡단면 형상은 통체(1211)의 횡단면 형상에 대응한다. 따라서, 코어 홀더(1220)는 통체(1211)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하우징(1100)의 측방 외측과 측방 내측으로 이동만 가능하며, 통체(1211)에 대해 회전할 수 없다. 축(1222)은 부싱(1210)의 구멍(1214)을 관통해 연장한다. 코어 홀더(1220)는 축(1222)의 외측 단에 결합되는 스토퍼(1223)를 구비한다. 스토퍼(1223)에 의해, 코어 홀더(1220)가 부싱(1210)으로부터 하우징(1100)의 측방 내측으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코어 홀더(1220)는 롤 화장지(10)의 둘레방향 가장자리와 접촉하여, 롤 화장지(10)를 하우징(1100)으로 밀어 넣는 힘에 대한 반작용으로 부싱(1210)의 내측으로, 즉 하우징(1100)의 측방 외측으로 후퇴한다. 이를 위해, 코어 홀더(1220)는 그 내측 단에 롤 화장지(10)의 둘레방향 가장자리와 접촉하는 경사면(1224)을 구비한다. 경사면(1224)은 하우징(1100)의 전방으로 갈수록 기울어져 있다. 즉, 경사면(1224)은 베이스벽(1110)에 대하여 둘레벽(1120) 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압축코일스프링(1230)은 부싱(1210)의 바닥(1213)의 내면과 코어 홀더(1220)의 홀더부(1221)의 외면 사이에서 코어 홀더(1220)의 축(1222) 둘레에 배치된다. 압축코일스프링(1230)은 소정량 압축된 상태에서 부싱(1210)의 바닥(1213)의 내면과 코어 홀더(1220)의 홀더부(1221)의 외면 사이에 위치하여, 코어 홀더(1220)를 하우징(1100)의 측방 내측으로 바이어스한다. 일 실시예에서는, 코어 홀더(1220)를 하우징(1100)의 측방 내측으로 바이어스하기 위하여 압축코일스프링(1230)을 사용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코어 홀더(1220)를 하우징(1100)의 측방 내측으로 바이어스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홀더 조립체(1200)는, 부싱(1210)의 플랜지(1212)가 하우징(1100)의 지지벽(1130)의 외측에 있도록 하우징(1100)의 지지벽(1130)의 개구(1132)에 부싱(1210)의 통체(1211)를 맞대고 플랜지(1212)에 마련된 나사구멍(1215)(도 5 참조)을 통해 나사를 지지벽(1130)에 체결하여, 하우징(1100)의 지지벽(1130)에 제거가능하게 부착된다. 일 실시예에서는, 부싱(1210)의 플랜지(1212)가 하우징(1100)의 지지벽(1130)의 외측에 위치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부싱(1210)의 플랜지(1212)는 지지벽(113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부싱(1210)의 통체(1211)는 지지벽(1130)의 개구(1132)에 끼워맞춰지고 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나사결합을 통해 지지벽(1130)에 제거가능하게 부착된다.
디스펜서(1000)는 수용한 롤 화장지(10)의 의도하지 않는 풀림을 방지하는 스토퍼 장치(1300)를 구비한다(도 5 및 도 6 참조). 스토퍼 장치(1300)는 롤 화장지(10)의 화장지(12)와 항상 접촉하여 롤 화장지(10)에 마찰력을 제공함으로써, 롤 화장지(10)의 의도하지 않은 회전을 저지해 의도하지 않은 풀림을 방지한다.
스토퍼 장치(1300)는 롤 화장지(10)의 외주면과 마찰 접촉하는 스토퍼(1310)와, 스토퍼(1310)를 롤 화장지(10)의 롤 코어(11) 쪽으로(또는 홀더 조립체(1200)의 코어 홀더(1220) 쪽으로) 바이어스하는 인장코일스프링(1320)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스토퍼(1310)는 적어도 롤 화장지(10)와 마찰 접촉하는 면이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원통체를 포함한다(원통체의 원주방향 표면이 롤 화장지(10)에 접촉). 이러한 스토퍼(1310)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내구성을 강화하기 위해 원통체의 내부에 십자형 횡단면을 가지는 바와 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된 다수의 원형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1310)는 하우징(1100)의 지지벽(1130)의 사이에 배치되며 인장코일스프링(1320)의 바이어스 힘에 의해 롤 코어(11) 쪽으로 이동된다.
스토퍼(131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하우징(1100)의 지지벽(1130)의 각각에는 가이드 슬릿(1133)이 뚫려 있다. 가이드 슬릿(1133)은 지지벽(1130)의 상단에서 하단 쪽으로 경사하며 코어 홀더(1220)를 향하고 있다. 즉, 가이드 슬릿(1133)의 상단은 지지벽(1130)의 상단 부근에 위치하고, 가이드 슬릿(1133)의 하단은 개구(1132) 부근에 위치한다. 스토퍼(1310)는 그 길이방향의 각 단에 가이드 슬릿(1133)을 관통해 지지벽(1130)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가이드 핀(1313)을 구비한다. 가이드 핀(1313)은 가이드 슬릿(1133)을 따라 이동가능하다. 또한, 각 지지벽(1130)은 상측의 전단에 지지벽(1130)의 외부로 돌출한 스프링 핀(1134)을 가진다. 인장코일스프링(1320)은 지지벽(1130)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일단에서 가이드 핀(1313)에 결합되고 타단에서 스프링 핀(1134)에 결합된다.
가이드 슬릿(1133)의 경사와 인장코일스프링(1320)의 바이어스 힘에 의해, 스토퍼(1310)는 롤 코어(11) 쪽으로 이동한다. 롤 화장지(10)가 디스펜서(1000)에 수용되어 있지 않은 자유 상태에서, 스토퍼(1310)는 홀더 조립체(1200) 부근에 위치할 수 있다(도 10 참조). 롤 화장지(10)를 디스펜서(1000)에 장착하기 위해 롤 화장지(10)를 하우징(1100)의 지지벽(1130) 사이로 밀어 넣으면, 스토퍼(1310)는 롤 화장지(10)가 미는 힘과 롤 화장지(10)의 반경방향의 두께에 의해 지지벽(1130)의 상단 부근에 위치한다(도 11 및 도 12 참조). 롤 화장지(10)가 상당량 소모됨에 따라 롤 화장지(10)의 반경방향 두께가 감소하게 된다. 스토퍼(1310)가 인장코일스프링(1320)의 바이어스 힘에 의해 롤 코어(11) 쪽으로 바이어스되므로, 스토퍼(1310)는 롤 화장지(10)의 반경방향 두께의 감소에 맞추어, 롤 화장지(10)의 외주면과 접촉을 유지하면서 롤 코어(11) 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토퍼(1310)가 롤 화장지(10)에 인장코일스프링(1320)의 바이어스 힘 하에서 상시 접촉하여 롤 화장지(10)에 마찰력을 제공하므로, 롤 화장지(10)의 의도하지 않은 회전 및 그에 따른 롤 화장지(10)의 의도하지 않은 풀림이 상시 방지될 수 있다.
디스펜서(1000)는 하우징(1100)에 수용된 롤 화장지(10)를 엄폐하기 위한 하우징 커버(1400)를 구비한다. 하우징 커버(1400)는 하우징(1100)의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하우징 커버(1400)는 하우징(1100)에 대해 하방으로 회전하여 하우징(1100)을 개방하고 상방으로 회전하여 하우징(1100)을 폐쇄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하우징 커버(1400)는 대략 하우징(1100)과 상사(相似)하는 또는 하우징(1100)과 180도 회전대칭되는 형상을 가진다(도 1 내지 도 4 참조). 하우징 커버(1400)는 하우징(1100)의 베이스벽(1110)의 평면 형상에 대략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전방벽(1410)과 전방벽(14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하는 둘레벽(1420)을 가진다. 둘레벽(1420)은 상측 가장자리(1421T)와, 측방 가장자리(1421L)와, 하측 가장자리(1421B)를 가진다. 둘레벽(1420)의 상측 가장자리(1421T), 측방 가장자리(1421L) 및 하측 가장자리(1421B)는 하우징(1100)의 둘레벽(1120)의 상측 가장자리(1121T), 측방 가장자리(1121L) 및 하측 가장자리(1121B)에 각각 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하우징 커버(1400)가 하우징(1100)에 정합되어 있는 디스펜서(1000)를 측방에서 볼 때, 하우징 커버(1400)의 둘레벽(1420)의 측방 가장자리(1421L)는 베이스벽(1110) 쪽으로 기울어져 있는 하우징(1100)의 둘레벽(1120)의 측방 가장자리(1121L)와 동일한 기울기로 기울어져 하우징(1100)의 둘레벽(1120)의 측방 가장자리(1121L)와 접한다.
하우징 커버(1400)는 둘레벽(1420)의 하측 가장자리(1421B)에 위치하고 롤 화장지(10)로부터 풀린 화장지(12)의 일부가 위치하는 불출구(1430)를 구비한다. 불출구(1430)는 둘레벽(1420)의 하부가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절결되어 형성된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하우징 커버(1400)는 하우징(1100)과의 회전결합을 위해 하우징(1100)의 리브 구조물(1140)에 마련된 힌지 구멍(1144)에 끼워지는 한 쌍의 힌지 핀(1441)을 구비한다. 힌지 핀(1441)은 둘레벽(1420)의 하단에, 상세하게는 하측 코너 부근에 위치한다. 상세하게는, 힌지 핀(1441)은 둘레벽(1420)의 측방 가장자리(1421L)와 하측 가장자리(1421B) 사이의 코너에 하우징(110)의 측방 내측(즉, 하우징 커버(1400)의 측방 내측)으로 돌출하는 보스(1443)로부터 하우징(1100)의 측방 내측으로 돌출해 있다. 보스(1443)는 대향하는 한 쌍의 변이 라운드진 마름모 형상의 단면을 가진다. 힌지 핀(1441)이 힌지 구멍(1144)에 끼워져, 하우징 커버(1400)가 하우징(1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힌지 핀(1441)은 외주면에서 돌출하는 끼움 돌기(1444)를 가지며, 힌지 구멍(1144)은 이러한 힌지 핀(1441)이 회전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상보적인 형상을 가진다. 힌지 핀(1441)을 힌지 구멍(1144)에 끼우면, 끼움 돌기(1444)는 힌지 구멍(1144)이 형성된 횡방향 리브 블록(1142)의 최외측 리브를 관통하여 위치한다.
하우징 커버(1400)는, 하우징(1100)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까지는 자유 회전을 실행하고 상기 소정의 각도로부터 그 이상의 각도까지는 마찰력에 의해 구속되는 회전을 실행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하우징 커버(1400)가 하우징(1100)에 정합되어 있는 디스펜서(1000)의 측면도에 있어서 둘레벽(1420)의 측방 가장자리(1421L)의 위치를 0도로 가정할 때, 상기 소정의 각도(α)는 하우징 커버(1400)의 하우징(1100)에 대한 회전에 있어서 약 45도로 된다(도 15의 (a) 참조). 또한, 하우징 커버(1400)가 하우징(1100)에 정합되어 있는 디스펜서(1000)의 측면도에 있어서 둘레벽(1420)의 측방 가장자리(1421L)의 위치를 0도로 가정할 때, 상기 소정의 각도(α)로부터 그 이상의 각도(β)는 하우징 커버(1400)의 하우징(1100)에 대한 회전에 있어서 약 87도로 된다(도 15의 (b) 참조). 여기서, 상기 87도는 불출구(1430)에 인접한 하우징 커버(1400)의 둘레벽(1420)의 외면이 하우징(1100)의 리브 구조물(1140)과 접촉할 때의 각도로 된다. 즉, 45도 이상과 87도 이하의 각도에서는, 하우징 커버(1400)는 하우징(1100)에 대하여 마찰력에 의해 구속되는 회전을 실행한다.
이러한 구속 회전과 관련하여, 힌지 구멍(1144)이 마련된 횡방향 리브 블록(1142)의 외면에는 힌지 구멍(1144)의 아래에서 전후방향으로 연장하는 마찰 돌기(1143)가 돌출 형성되고, 마찰 돌기(1143)의 상면에 제1 마찰면부(1145)가 형성되어 있다(도 13 참조). 또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마찰면부(1145)와 마찰의 면접촉을 하는 제2 마찰면부(1442)가 보스(1443)의 라운드진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제1 마찰면부(1145)와 제2 마찰면부(1442) 간의 마찰의 면접촉이 하우징 커버(1400)의 하우징(1100)에 대한 하방 회전에 저항력을 인가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1 마찰면부(1145)와 제2 마찰면부(1442)는, 하우징 커버(1400)가 전술한 0도를 기준점으로 하여 45도까지 회전하면 이들 제1 마찰면부(1145)와 제2 마찰면부(1442)가 마찰의 면접촉을 개시하도록 위치설정되어 있다(도 16의 (a) 및 도 16의 (b) 참조). 따라서, 하우징 커버(1400)가 전술한 45도 이상으로 회전할 때는, 제1 마찰면부(1145)와 제2 마찰면부(1442)가 마찰 접촉하여 제공하는 마찰력에 의해 하우징 커버(1400)의 회전이 저지되므로, 하우징 커버(1400)는 전술한 45도 이상 및 87도 이하의 각도 범위에서는 하우징(1100)에 대하여 부드럽게 하방으로 회전할 수 있다(도 16의 (b) 및 도 16의 (c) 참조).
디스펜서(1000)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 커버(1400)의 불출구(1430)의 전방 가장자리 및 측방 가장자리의 일부에 형성되어 있는 커팅 날(1450)을 구비한다. 예컨대, 사용자는 롤 화장지(10)로부터 풀린 화장지(12)의 일부를 불출구(1430)의 커팅 날(1450)에 대고 디스펜서(1000)의 전방으로 당겨냄으로써, 상기 화장지(12)의 일부를 롤 화장지(10)로부터 끊어낼 수 있다. 불출구(1430)의 전방 가장자리 및 측방 가장자리의 일부를 형성하면서 둘레벽(1420)으로부터 돌출해 있는 릿지부(1422)의 자유단을 따라 커팅 날(1450)이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커팅 날(1450)은,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세레이션(serration)을 포함한다. 상세하게는, 커팅 날(1450)은 다수의 세레이션으로 이루어지는 제1 세레이션 열(1451)과 다수의 세레이션으로 이루어지는 제2 세레이션 열(1452)을 포함한다. 제1 세레이션 열(1451)은 불출구(1430)의 전방 가장자리 및 측방 가장자리의 일부에 걸쳐 연장하며, 하우징 커버(1400)가 하우징(1100)에 정합되어 있을 때, 제1 세레이션 열(1451)은 하우징(1100)을 향한다. 제2 세레이션 열(1452)은 제1 세레이션 열(1451)의 외측에 위치하며, 제1 세레이션 열(1451)과 인접해 있다. 이와 같이, 커팅 날(1450)은 두 열의 세레이션으로 이루어져, 일종의 이중 날로서 작용하여, 롤 화장지(10)의 절단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제1 세레이션 열(1451)과 제2 세레이션 열(1452)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에 있어서, 불출구(1430)의 측방 가장자리와 전방 가장자리 사이의 코너에 위치하는 세레이션은 다른 나머지 세레이션과 상이한 크기 및 치수를 가진다. 또는, 불출구(1430)의 측방 가장자리와 전방 가장자리 사이의 코너에 있어서, 제1 세레이션 열(1451)과 제2 세레이션 열(1452)은 이들의 세레이션이 서로 교호적으로 위치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롤 화장지(10)의 일부를 커팅 날(1450)을 사용해 롤 화장지(10)로부터 끊어낼 때, 롤 화장지(10)의 일부의 절단은 불출구(1430)의 측방 가장자리와 전방 가장자리 사이의 코너 부분에 위치하는 세레이션을 이용하여 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불출구(1430)의 측방 가장자리와 전방 가장자리 사이의 코너 부분에 위치하는 세레이션들이 다른 나머지의 세레이션과는 다른 길이, 높이 등을 가지는 경우, 또는 불출구(1430)의 측방 가장자리와 전방 가장자리 사이의 코너 부분에 위치하는 세레이션들이 서로 교호적으로 배열되는 경우, 롤 화장지(10)의 일부를 절단하는 힘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디스펜서(1000)는 하우징 커버(1400)가 하우징(1100)에 정합되어 있을 때 하우징 커버(1400)를 하우징(1100)에 로킹하기 위한 잠금 장치(1500)를 구비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잠금 장치(1500)는, 도 19 및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 커버(1400)의 둘레벽(1420)의 상측 내면에 로킹하는 탄성 래치(1510)와 탄성 래치(1510)와 하우징 커버(1400) 간의 로킹을 해제하기 위한 키(1520)를 포함한다.
탄성 래치(1510)는 하우징(1100)의 둘레벽(1120)의 상측 내면에 둘레벽(1120)의 상측 가장자리(1121T)를 넘어 돌출하도록 결합된다(도 10 참조). 하우징(1100)의 둘레벽(1120)의 상측 가장자리(1121T)에는 그 중앙에 리세스(1122)(도 5 참조)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우징 커버(1400)의 둘레벽(1420)의 상측 가장자리(1421T)에는 그 중앙에 리세스(1122)에 삽입되는 러그(1423)(도 7 참조)가 둘레벽(1420)의 상측 가장자리(1421T)에서 돌출해 있다.
탄성 래치(1510)는 탄성 판(1511)과 탄성 판(1511)의 중간에 형성되고 상방으로 돌출한 누름 버튼(1512)을 구비한다. 탄성 판(1511)은 그 후단에서 나사 등에 의해 하우징(1100)의 둘레벽(1120)의 상측 내면에 결합된다. 즉, 탄성 판(1511)은 외팔보 형태로 하우징(1100)의 둘레벽(1120)의 상단에 위치한다. 따라서, 탄성 판(1511)의 후단은 고정단으로 되고 전단은 자유단으로 된다. 탄성 판(1511)의 그 자유단부에 하우징(1100)의 내측으로(하방으로) 절곡되어 있는 절곡부(1513)를 구비하며, 절곡부(1513)와 누름 버튼(1512)의 사이에 위치하고 탄성 판(1511)에 뚫린 로킹 구멍(1514)을 구비한다. 절곡부(1513)를 포함하는 탄성 판(1511)의 자유단부는 리세스(1122) 내에 위치한다. 로킹 구멍(1514)에는 하우징 커버(1400)의 둘레벽(1120)의 러그(1423)의 내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로킹 핀(1424)이 삽입된다. 로킹 핀(1424)은 하우징(1100)을 향하는 부분에 경사면을 가진다. 하우징(1100)의 둘레벽(1120)에는 상측 가장자리(1121T)에 인접하게 누름 버튼(1512)이 삽입되는 버튼 구멍(1123)이 뚫려 있다. 누름 버튼(1512)은 하우징의 둘레벽(1120)의 외부에 그 자체로 돌출하거나 또는 버튼 커버(1515)에 씌워져 돌출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누름 버튼(1512)은 하우징의 둘레벽(1120)의 외부로 돌출하지 않도록, 예컨대 둘레벽(1120)의 외면과 대략 동일평면에 있도록 버튼 구멍(1123)에 삽입될 수 있다. 하우징 커버(1400)가 하우징(1100)에 정합될 때, 하우징 커버(1400)의 둘레벽(1420)의 상측 가장자리(1421T)가 하우징(1100)의 둘레벽(1120)의 상측 가장자리(1121T)에 근접하면, 로킹 핀(1424)은 그 경사면에서 탄성 래치(1510)의 절곡부(1513)에 접촉하게 된다. 하우징 커버(1400)를 하우징(1100) 쪽으로 더 회전시킴에 따라, 탄성 래치(1510)는 로킹 핀(1424)의 상기 경사면과 절곡부(1513) 간의 작용에 의해 하방으로 휘게 되며, 이어서 로킹 핀(1424)이 로킹 구멍(1514)에 삽입되면 탄성 래치(1510)가 원위치로 복귀하여, 탄성 래치(1510)가 하우징 커버(1400)로 로킹한다. 누름 버튼(1512)이 하방으로 눌리면, 탄성 판(1511)이 그 고정단을 중심으로 하여 하방으로 휘어지며, 그에 따라 로킹 핀(1424)이 로킹 구멍(1514)으로부터 분리되어, 하우징 커버(1400)와 탄성 래치(1510) 간의 로킹이 해제될 수 있다. 누름 버튼(1512)이 하우징(1100)의 둘레벽(1120)의 외부로 돌출하지 않는 경우에는, 누름 버튼(1512)은 용이하게 눌릴 수 없으므로, 키(1520)를 사용하지 않고서는 하우징 커버(1400)와 하우징(1100) 간의 로킹을 해제할 수 없다.
롤 화장지(10)를 교체하기 위해 하우징 커버(1400)와 하우징(1100)간의 로킹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누름 버튼(1512)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또는 누름 버튼(1512)과 함께 키(1520)가 사용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키(1520)는 한 쌍의 삽입 레그(1521)를 가진다. 또한, 하우징 커버(1400)의 러그(1423)는 키(1520)의 삽입 레그(1521)가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키홀(1425)이 둘레벽(1420)의 일부인 러그(1423)를 관통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키홀(1425)은, 하우징 커버(1400)가 하우징(1100)에 정합될 때 탄성 판(1511)의 위에 위치하도록 러그(1423)에 형성되어 있다. 키(1520)의 삽입 레그(1521)를 키홀(1425)에 삽입하면, 키(1520)의 삽입 레그(1521)가 탄성 판(1511)을 하방으로 누르게 되며, 이러한 누름에 의해 탄성 판(1511)이 하방으로 휘어지거나 변형하면서 러그(1423)의 로킹 핀(1424)과 탄성 래치(1510)의 로킹 구멍(1514) 간의 결합이 해제된다. 따라서, 키(1520)의 삽입 레그(1521)를 키홀(1425)에 삽입함으로써, 하우징(1100)에 마련된 탄성 래치(1510)와 하우징 커버(1400) 간의 로킹이 해제될 수 있고, 하우징 커버(1400)를 하우징(1100)에 대해 하방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하우징 커버(1400)와 하우징(1100) 간의 로킹을 해제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에서는 키(1520)를 사용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며, 디스펜서(1000)의 잠금 장치의 다른 예를 설명한다. 탄성 래치(2510)는 탄성 판(2511)과, 누름 버튼(2512)과, 로킹 후크(2514)를 구비한다. 탄성 판(2511)은 그 일단에서 하우징(1100)의 둘레벽(1120)의 상측 내면에 외팔보 형태로 고정되며, 탄성 판(2511)의 타단은 자유단으로 된다. 로킹 후크(2514)는 탄성 판(2511)의 자유단에 형성되어 있다. 로킹 후크(2514)는 하우징 커버(1400)의 러그(1423)와 접촉하여 탄성 판(2511)을 하방으로 휘게 하도록, 하우징(1100)을 측방에서 볼 때 로킹 후크(2514)는 역V자형으로 절곡되어 있다. 누름 버튼(2512)은 탄성 판(2511)의 중간에 배치되어 있으며, 하우징(1100)의 둘레벽(1120)에 뚫린 버튼 구멍(2123)에 삽입된다. 버튼 구멍(2123)과 누름 버튼(2512)은 버튼 구멍(1123)과 누름 버튼(1512)에 비해 큰 크기를 가지며, 누름 버튼(2512)은 버튼 구멍(2123)을 통해 하우징(1100)의 둘레벽(1120)의 외부로 약간 돌출할 수 있다. 하우징 커버(1400)의 러그(1423)의 하면에는 로킹 후크(2514)에 걸림결합하는 로킹 돌기(2424)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 커버(1400)가 하우징(1100)에 정합되어 있을 때, 로킹 후크(2514)가 로킹 돌기(2424)에 걸림결합하여, 하우징 커버(1400)와 하우징(1100) 간의 로킹이 달성된다. 또한, 누름 버튼(2512)을 눌러서 탄성 판(2511)을 하방으로 휘게 하여 로킹 후크(2514)가 로킹 돌기(2424)로부터 분리되게 함으로써, 하우징 커버(1400)와 하우징(1100) 간의 로킹은 해제될 수 있다.
탄성 래치(2510)를 고정하기 위해 보조 래치(2520)가 러그(1423)에 마련되어 있다. 보조 래치(2520)는 하우징 커버(1400)의 둘레벽(1420)의 일부인 러그(1423)를 관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회전축(2521)과 회전축(2521)으로부터 연장하는 래치 바(2522)와 회전축(2521)에 삽입되어 회전축(2521)을 회전시키기 위한 키(2523)를 포함한다. 회전축(2521)은 러그(1423)를 관통해 러그(142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회전축(2521)의 하단은 러그(1423)의 아래에 위치하며, 래치 바(2522)는 회전축(2521)의 하단으로부터 연장한다. 래치 바(2522)는 회전축(2521)의 회전에 의해 탄성 판(2511)의 하면 아래에 위치한다. 래치 바(2522)가 탄성 판(2511)의 하면 아래에 위치하면, 탄성 판(2511)은 래치 바(2522)에 걸려 하방으로 휘어지거나 변형할 수 없으며, 따라서 로킹 후크(2514)는 로킹 돌기(2424)로부터 분리될 수 없다. 이와 같이, 하우징 커버(1400)가 하우징(1100)과 정합되어 있을 때, 래치 바(2522)가 탄성 판(2511)의 아래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누름 버튼(2512)을 눌러서, 로킹 후크(2514)와 로킹 돌기(2424) 간의 걸림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키(2523)를 회전축(2521)에 삽입해 회전축(2521)을 회전시켜 래치 바(2522)를 탄성 판(2511)의 아래에 위치시키면, 탄성 판(2511)의 하방으로의 힘 또는 변형이 저지되어 탄성 래치(2510)가 고정되며, 따라서, 하우징 커버(1400)와 하우징(1100) 간의 로킹이 확보될 수 있다.
디스펜서(1000)는 하우징(1100)의 베이스벽(1110)을 예컨대 임의의 수직 벽면 또는 경사 벽면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벽면 또는 경사면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펜서(1000)는 벽면에 고정되는 앵커(anchor)(1600)를 구비한다. 도 23을 참조하면, 앵커(1600)는 평판 형상이며, 예컨대 나사공(1610)을 통해 나사가 상기 벽면에 체결되어 상기 벽면에 결합될 수 있다. 앵커(1600)는 적어도 하나의 직사각형 개구(1621)와, 개구(1621)의 하측 가장자리로부터 L자형으로 전방으로 돌출하여 연장하는 걸림용 후크(1622)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앵커(1600)는 2개의 개구(1621) 및 2개의 걸림용 후크(1622)를 가진다. 또한, 앵커(1600)는 걸림용 후크(1622)의 상단 부근에 뚫린 나사공(1623)을 구비한다. 걸림용 후크(1622)가 L자형으로 연장하므로, 걸림용 후크(1622)의 내면과 개구(1621)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며, 이 공간에 하우징(1100)의 베이스벽(1110)의 일부가 끼워질 수 있다.
앵커(1600)와의 결합을 위해, 하우징(1100)의 베이스벽(1110)은 베이스벽(1110)에 뚫린 사각형의 한 쌍의 고정용 개구(1111)와, 고정용 개구(1111) 각각의 상방에 위치하는 한 쌍의 핑거(1112)와, 핑거(1112)의 사이에서 베이스벽(1110)에 뚫린 나사공(1113)을 가진다(도 5 참조). 고정용 개구(1111)의 상하 길이는 걸림용 후크(1622)의 상하 길이보다 길며, 좌우 폭은 걸림용 후크(1622)의 폭보다 약간 크다. 앵커(1600)가 고정된 벽면에 걸림용 후크(1622)가 고정용 개구(1111) 내에 위치하도록 베이스벽(1110)을 접촉시킨 후, 하우징(1100)을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고정용 개구(1111)의 상측 가장자리로부터 베이스벽(1110)의 일부가 걸림용 후크(1622)와 개구(1621)의 사이로 삽입되면서, 걸림용 후크(1622)의 상단부는 핑거(1112)의 사이에 협지된다. 고정용 개구(1111)의 상측 가장자리가 걸림용 후크(1622)와 접촉하여 걸림용 후크(1622)에 걸리면, 걸림용 후크(1622)의 나사공(1623)은 베이스벽(1110)의 나사공(1113)과 정렬되며, 나사공(1623)을 통해 나사공(1113)에 나사를 체결함으로써, 하우징(1100)은 앵커(1600)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앵커(1600)를 사용하지 않고 하우징(1100)의 벽면에 고정될 수도 있다. 예컨대, 베이스벽(1110)의 코너에 마련된 통공(1114)(도 2 참조)에 벽면에 돌출된 핀을 삽입시켜서 통공(1114)과 이러한 핀을 결합시킴으로써, 하우징(1100)은 벽면에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의 디스펜서의 앵커는 1개의 개구와 1개의 걸림용 후크를 가질 수 있다. 도 24는 이러한 앵커를 도시한다. 이에 맞추어, 하우징의 베이스벽(1110) 또한 1개의 고정용 개구 및 1쌍의 핑거를 가질 수 있다.
도 25 및 도 26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의 디스펜서를 설명한다. 도 25 및 도 26에 도시하는 디스펜서(3000)는 롤 화장지(10)의 의도하지 않은 풀림을 방지하기 위해 전술한 스토퍼 장치를 구비하지 않는다. 디스펜서(3000)는 롤 화장지(10)의 롤 코어에 삽입되는 홀더 조립체(3200)가 롤 화장지(10)를 유지하면서 롤 화장지(10)의 의도하지 않은 회전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디스펜서(3000)의 홀더 조립체(3200)는 하우징(1100)의 지지벽(1130)의 개구(1132)에 끼워지는 부싱(3210)과, 적어도 일부가 부싱(3210)의 내부에 위치하고 부싱(3210)의 내면을 따라서 하우징(1100)의 측방 외측 및 측방 내측으로 이동가능한 코어 홀더(3220)와, 부싱(32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코어 홀더(3220)를 부싱(3210)의 외부를 향해 바이어스하는 압축코일스프링(3230)을 구비한다. 부싱(3210)은 전술한 부싱(1210)과 유사하게 구성되지만, 전술한 부싱(1210)과 비교할 때 그 바닥이 링형의 테두리(3215)로부터 내측으로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있다.
코어 홀더(3220)는 부싱(3210)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길이를 가진다. 코어 홀더(3220)는, 부싱(3210)의 통체(3211) 내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는 홀더부(3221)와 홀더부(3221)로부터 연장하는 축(3222)을 가진다. 홀더부(3221)의 외측 단 부근에서의 횡단면 형상은 부싱(3210)의 통체(3211)의 장타원형 횡단면 형상에 대응한다. 또한, 코어 홀더(3220)는 홀더부(3221)의 내측 단에 형성되고 롤 화장지(10)의 둘레방향 가장자리와 접촉하여 코어 홀더(3220)를 하우징(1100)의 측방 외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경사면(3224)을 가진다. 또한, 코어 홀더(3220)는 경사면(1224)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가압면(3225)을 구비한다. 가압면(3225)은 코어 홀더(3220)의 둘레방향으로 연장하며, 하우징(1100)의 내측을 향해 테이퍼되어 있다. 코어 홀더(3220)의 작동 방식은 전술한 홀더 조립체(1200)의 코어 홀더(1220)의 작동방식과 동일하다.
롤 화장지(10)를 하우징(1100)에 수용하기 위해 롤 화장지(10)를 하우징(1100)에 삽입하면, 경사면(3224)과 롤 화장지(10)의 접촉에 의해 코어 홀더(3220)는 부싱(3210)의 통체(3211) 내부로(즉, 하우징(1100)의 측방 외측으로) 압축코일스프링(1230)의 힘에 저항하면서 후퇴한다. 롤 화장지(10)가 하우징(1100)에 수용되면, 코어 홀더(3220)의 홀더부(3221)가 롤 코어(11)에 삽입되며, 롤 코어(11)는 그 일단의 둘레방향 가장자리에서 코어 홀더(3330)의 가압면(3225)과 밀착된다. 따라서, 코어 홀더(3220)는 압축코일스프링(1230)의 바이어스 힘에 의해 가압면(3225)을 통해 롤 코어(11)를 압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롤 화장지(10)의 회전에 저항력을 제공하여 롤 화장지(10)의 의도하지 않은 회전과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0, 3000: 롤 화장지 디스펜서 1100: 하우징
1110: 베이스벽 1120: 둘레벽
1130: 지지벽 1140: 리브 구조물
1200: 홀더 조립체 1210: 부싱
1220: 코어 홀더 1230: 압축코일스프링
1300: 스토퍼 장치 1310: 스토퍼
1320: 인장코일스프링 1400: 하우징 커버
1410: 전방벽 1420: 둘레벽
1430: 불출구 1450: 커팅 날
1500: 잠금 장치 1510: 탄성 래치
1520: 키 1600: 앵커
3200: 홀더 조립체 3210: 부싱
3220: 코어 홀더 3230: 압축코일스프링

Claims (15)

  1. 베이스벽과 상기 베이스벽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하는 둘레벽과 상기 둘레벽의 내측에서 상기 베이스벽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지지벽을 구비하고, 롤 코어를 가지는 롤 화장지가 상기 지지벽 사이에 수용되는 하우징과,
    상기 롤 화장지의 둘레방향 가장자리와 접하는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롤 코어에 삽입되는 코어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코어 홀더를 상기 하우징의 측방 내측으로 바이어스하면서 지지하며 상기 한 쌍의 지지벽 각각에 부착되는 한 쌍의 홀더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지지벽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롤 화장지와 마찰 접촉하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를 상기 롤 코어 쪽으로 바이어스하는 인장코일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지지벽의 각각은 상기 지지벽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코어 홀더를 향하는 가이드 슬릿을 구비하고,
    상기 스토퍼는 길이방향의 각 단에 상기 가이드 슬릿을 관통해 돌출하는 가이드 핀을 구비하고,
    상기 인장코일스프링은 일단에서 상기 가이드 핀에 결합되고 타단에서 상기 지지벽에 결합되는
    롤 화장지 디스펜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조립체는, 상기 코어 홀더를 내측에 수용하고 상기 지지벽에 제거가능하게 부착되는 부싱과, 상기 부싱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코어 홀더를 상기 하우징의 측방 내측으로 바이어스하는 압축코일스프링을 더 구비하는
    롤 화장지 디스펜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홀더는 상기 경사면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상기 코어 홀더의 둘레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압면을 구비하며,
    상기 가압면은 상기 압축코일스프링의 바이어스 힘에 의해 상기 롤 코어의 일단의 둘레방향 가장자리와 밀착되는
    롤 화장지 디스펜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적어도 상기 롤 화장지와 마찰 접촉하는 면이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원통체를 포함하는
    롤 화장지 디스펜서.
  7. 베이스벽과 상기 베이스벽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하는 둘레벽과 상기 둘레벽의 내측에서 상기 베이스벽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지지벽을 구비하고, 롤 코어를 가지는 롤 화장지가 상기 지지벽 사이에 수용되는 하우징과,
    상기 롤 화장지의 둘레방향 가장자리와 접하는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롤 코어에 삽입되는 코어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코어 홀더를 상기 하우징의 측방 내측으로 바이어스하면서 지지하며 상기 한 쌍의 지지벽 각각에 부착되는 한 쌍의 홀더 조립체 및
    상기 하우징의 베이스벽을 벽면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벽면에 결합되는 앵커를 포함하고,
    상기 앵커는 전방으로 L자형으로 돌출하는 걸림용 후크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벽은 상기 걸림용 후크에 걸리는 고정용 개구와 상기 걸림용 후크를 협지하는 한 쌍의 핑거를 구비하는
    롤 화장지 디스펜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방 회전에 의해 상기 하우징을 개방하고 상방 회전에 의해 상기 하우징을 폐쇄하는 하우징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커버는 전방벽과 상기 전방벽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하는 둘레벽과 상기 하우징 커버의 둘레벽의 하측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상기 롤 화장지의 일부가 위치하는 불출구를 구비하는
    롤 화장지 디스펜서.
  9. 베이스벽과 상기 베이스벽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하는 둘레벽과 상기 둘레벽의 내측에서 상기 베이스벽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지지벽을 구비하고, 롤 코어를 가지는 롤 화장지가 상기 지지벽 사이에 수용되는 하우징과,
    상기 롤 화장지의 둘레방향 가장자리와 접하는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롤 코어에 삽입되는 코어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코어 홀더를 상기 하우징의 측방 내측으로 바이어스하면서 지지하며 상기 한 쌍의 지지벽 각각에 부착되는 한 쌍의 홀더 조립체 및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방 회전에 의해 상기 하우징을 개방하고 상방 회전에 의해 상기 하우징을 폐쇄하는 하우징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베이스벽의 하단에 한 쌍의 힌지 구멍과 상기 한 쌍의 힌지 구멍의 각각의 둘레방향으로 소정 각도 범위로 연장하는 제1 마찰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 커버는 상기 하우징 커버의 둘레벽의 하단에 상기 한 쌍의 힌지 구멍에 각각 끼워지는 한 쌍의 힌지 핀과 상기 한 쌍의 힌지 핀의 각각에 상기 제1 마찰면부와 마찰의 면접촉을 하는 제2 마찰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마찰면부와 상기 제2 마찰면부의 마찰의 면접촉이 상기 하우징 커버의 하방 회전에 저항력을 인가하는
    롤 화장지 디스펜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커버가 상기 하우징에 정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 커버의 둘레벽의 측방 가장자리의 위치를 0도로 가정할 때, 상기 제1 마찰면부와 상기 제2 마찰면부는 상기 하우징 커버가 상기 하우징에 대해 45도의 각도로 회전할 때 마찰의 마찰의 면접촉을 개시하도록 위치설정되어 있는
    롤 화장지 디스펜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커버는 상기 불출구의 적어도 일부의 가장자리에 배열되는 제1 세레이션 열과 상기 적어도 일부의 가장자리에 배열되고 상기 제1 세레이션 열과 접해있는 제2 세레이션 열을 더 구비하는
    롤 화장지 디스펜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불출구의 전방 가장자리 및 측방 가장자리 사이의 코너에 있어서 상기 제1 세레이션 열과 상기 제2 세레이션 열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세레이션은 나머지 세레이션과는 다른 크기 및 치수를 갖는
    롤 화장지 디스펜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둘레벽의 측방 가장자리는 상기 하우징의 베이스벽을 향해 기울어져 있고, 상기 하우징 커버의 둘레벽의 측방 가장자리는 상기 하우징의 둘레벽의 측방 가장자리와 동일한 기울기로 기울어져 있는
    롤 화장지 디스펜서.
  14. 제8항에 있어서,
    일단에서 상기 하우징의 둘레벽의 상측 내면에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 커버의 둘레벽의 상측 내면에 로킹하는 탄성 래치와,
    상기 하우징 커버의 둘레벽의 상측 가장자리에 인접하게 상기 하우징 커버의 둘레벽을 관통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커버가 상기 하우징에 정합될 때 상기 탄성 래치의 위에 위치하는 키홀과,
    상기 키홀에 삽입되어 상기 탄성 래치와 상기 하우징 커버의 둘레벽과의 로킹을 해제하도록 상기 탄성 래치를 변형시키는 키를 더 포함하는
    롤 화장지 디스펜서.
  15. 제8항에 있어서,
    일단에서 상기 하우징의 둘레벽의 상측 내면에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 커버의 둘레벽의 상측 내면에 로킹하는 탄성 래치와,
    상기 하우징 커버의 둘레벽의 상측 가장자리에 인접하게 상기 하우징 커버의 둘레벽을 관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연장하는 래치 바와,
    상기 회전축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래치 바가 상기 탄성 래치의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탄성 래치의 변형을 저지하는
    롤 화장지 디스펜서.
KR2020150004385U 2015-06-30 2015-06-30 롤 화장지 디스펜서 KR2004887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385U KR200488711Y1 (ko) 2015-06-30 2015-06-30 롤 화장지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385U KR200488711Y1 (ko) 2015-06-30 2015-06-30 롤 화장지 디스펜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114U KR20170000114U (ko) 2017-01-09
KR200488711Y1 true KR200488711Y1 (ko) 2019-03-08

Family

ID=57797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4385U KR200488711Y1 (ko) 2015-06-30 2015-06-30 롤 화장지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71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2557B1 (ko) * 2019-05-21 2020-04-20 김석열 락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25833A (ja) * 2001-07-30 2005-09-02 キンバリー クラーク ワールドワイド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装填が容易なディスペンサ
JP2012000346A (ja) * 2010-06-19 2012-01-05 Tsutomu Asaoka ロールペーパーホルダー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3892Y1 (ko) 2006-09-28 2006-12-13 맹윤섭 페이퍼타월 디스펜서
KR200458150Y1 (ko) 2009-08-21 2012-01-20 이용준 디스펜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25833A (ja) * 2001-07-30 2005-09-02 キンバリー クラーク ワールドワイド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装填が容易なディスペンサ
JP2012000346A (ja) * 2010-06-19 2012-01-05 Tsutomu Asaoka ロールペーパーホルダー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114U (ko) 2017-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97443B2 (en) Center-pull paper towel dispenser
US7997522B2 (en) Center-pull paper towel dispenser
US8561847B2 (en) Dispenser housing with locking mechanism
CA2635260C (en) Paper towel cabinet with paper towel support bar
CA2576909C (en) Dispenser for multiple rolls of sheet material
RU2634238C1 (ru) Раздатчик гигиенической бумаги и способ выдачи гигиенической бумаги
KR20100100683A (ko) 디스펜서 하우징
US20060284001A1 (en) Roll holder and dispenser for paper products
KR20020010620A (ko) 습윤 와이퍼지용 분배 시스템 및 방법
JPH03148478A (ja) シート・ディスペンサー
KR101548472B1 (ko) 과충전 방지 장치를 갖는 절첩 시트 디스펜서
CA2287733A1 (en) Dispenser for horizontally dispensed centerflow sheet products
KR20080075626A (ko) 원터치 개방이 가능한 물티슈 용기
CA3041498A1 (en) Locking assembly for a dispenser and dispenser
KR200488711Y1 (ko) 롤 화장지 디스펜서
DK2686262T3 (en) AN ANTI-USE SYSTEM FOR A FOLI DISPENSER
KR20020082835A (ko) 분배 장치 및 방법
JP7256176B2 (ja) ディスペンサ
US20200245823A1 (en) Tamper resistant latch for product dispensers
KR101871142B1 (ko) 버튼식 화장지 회전거치대
KR200488712Y1 (ko) 시트 화장지 디스펜서
KR100707386B1 (ko) 매입형 화장지 거치대
EP3697277B1 (en) Dispenser of web material from rolls
KR200433899Y1 (ko) 매입형 화장지 거치대
CA3176524A1 (en) Overload protection for a lock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