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2557B1 - 락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락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2557B1
KR102102557B1 KR1020190059375A KR20190059375A KR102102557B1 KR 102102557 B1 KR102102557 B1 KR 102102557B1 KR 1020190059375 A KR1020190059375 A KR 1020190059375A KR 20190059375 A KR20190059375 A KR 20190059375A KR 102102557 B1 KR102102557 B1 KR 102102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spring
closing spring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9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열
Original Assignee
김석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열 filed Critical 김석열
Priority to KR1020190059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25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2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2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3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 A47K10/38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the web being rolled up with or without tearing edg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2010/324Jumbo ro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2010/3246Locking mechanisms for the hous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락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펜서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디스펜서는, 점보 롤 타입 화장지가 내부에 마련되는 베이스 바디; 베이스 바디에 개폐 결합되는 개폐 바디; 및 개폐 바디를 베이스 바디에 락킹시키는 락 구조체를 포함하고, 락 구조체는 베이스 바디에 마련되는 구조체 바디 및 구조체 바디에 탄성력에 의해 승강되게 마련되어 개폐 바디에 마련된 개폐 바디 후크에 락킹되거나 락킹을 해제시키는 개폐 스프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락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펜서{LOCK STRUCTURE AND DISPENS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스펜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점보 롤 타입 화장지가 내부에 저장되는 디스펜스를 개폐시키는 락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중 화장실은 고속도로 휴게소, 공원, 경기장, 병원 등과 같이 다수인이 수시로 드나드는 건물 내에 시설된 화장실을 말하며, 각 개인이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화장실 실내에는 좌변기를 기준으로 파티션으로 구획된 화장실 부스가 설치된다.
통상 공중 화장실을 이용함에 있어 화장실의 내부 벽면에 설치된 휴지 디스펜서는 일반 롤 타입 휴지에 비해 감긴 횟수가 많은 점보 롤 타입의 휴지를 장착하여 이용자들이 요구하는 만큼 끊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휴지 디스펜서는 많은 화장실 부스 내부에 각각 설치되고, 화장실 청소를 겸한 관리자가 각 부스 내에 비치된 디스펜서를 육안으로 일일이 확인 및 체크하여 새로운 휴지로 교체하는 방식으로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대부분 관리자는 해당 구역의 화장실에 정해진 시간에 한정하여 화장실 내, 외부를 청소하거나 휴지를 공급해주고 있으며, 퇴근시간 이후에는 별도로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관리자는 휴지의 소모된 정도 즉, 휴지를 모두 소모하지 않았으나 남아 있는 상태에서 새로운 휴지로 교체하게 되고, 휴지가 남아 있는 것은 별도로 디스펜스의 외부에 꺼내놓게 되어 이용자가 개별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기존에 디스펜스의 락 장치는 키로 잠금 뭉치를 회전시켜 디스펜스의 전방 영역을 개방시키거나, 스프링을 주로 사용하고 키로 작동이 된다.
이 경우 잠금 뭉치로 인해 제조 단가가 상승 되고, 점보 롤 타입의 휴지를 교체하기 위해 키를 잠금 뭉치의 키홀에 맞춘 후 키를 회전시켜 잠금 구조를 해제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개선책이 요구된다.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9-00005095호(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2019. 01. 15.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별도의 잠금 뭉치를 구비하지 않고 스프링 방식을 채용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락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점보 롤 타입 화장지가 내부에 마련되는 베이스 바디; 상기 베이스 바디에 개폐 결합되는 개폐 바디; 및 상기 개폐 바디를 상기 베이스 바디에 락킹시키는 락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락 구조체는 상기 베이스 바디에 마련되는 구조체 바디 및 상기 구조체 바디에 탄성력에 의해 승강되게 마련되어 상기 개폐 바디에 마련된 개폐 바디 후크에 락킹되거나 상기 락킹을 해제시키는 개폐 스프링부를 포함하는 디스펜서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개폐 스프링부는, 상기 베이스 바디의 외부로 상단부가 노출되는 개폐 스프링 바디; 상기 개폐 스프링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개폐 바디 후크에 걸림 지지되는 걸림 후크; 상기 개폐 스프링 바디의 하측부에 마련되어 상기 개폐 스프링 바디를 탄성 지지하는 제1 스프링체; 및 상기 개폐 스프링 바디의 하측부에 상기 제1 스프링체와 이격되게 마련되며 상기 제1 스프링체와 수평 대칭되는 제2 스프링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프링체와 상기 제2 스프링체는 상기 구조체 바디에 마련된 스프링 수용홈에 수용되고, 상기 제1 스프링체와 상기 제2 스프링체는 상기 스프링 수용홈에 마련된 격벽에 의해 서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개폐 스프링 바디에는 상기 격벽의 상측부가 삽입되는 절개홀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스프링체와 상기 제2 스프링체는 각각, 상기 걸림 후크의 하부 영역의 상기 개폐 스프링 바디에 마련되는 직선부; 상기 직선부의 단부에서 상기 개폐 스프링 바디의 외측으로 연장 마련되는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의 단부에서 상기 개폐 스프링 바디의 중앙부로 연장 마련되는 굴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조체 바디는 상기 베이스 바디에 마련된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구조체 바디의 결합 후크는 상기 하우징에 마련된 후크 체결편에 걸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개폐 스프링부는 서로 이격되게 한 쌍이 마련되고, 한 쌍의 상기 개폐 스프링부는, 상면부가 편평하게 마련되는 한 쌍의 개폐 스프링 바디; 상기 한 쌍의 개폐 스프링 바디의 상단부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개폐 바디 후크에 걸림 결합되는 한 쌍의 걸림 후크; 및 상기 한 쌍의 개폐 스프링 바디의 하부에 서로 수평 대칭되게 마련되어 상기 구조체 바디에 마련된 스프링 수용홈에 수용되는 한 쌍의 제3 스프링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락 구조체는, 상기 베이스 바디의 일측부를 관통하여 상기 한 쌍의 개폐 스프링 바디의 상기 상면부를 가압하는 개폐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개폐 바디를 베이스 바디에 락킹시키는 락 구조체로서, 상기 베이스 바디에 마련되는 구조체 바디 및 상기 구조체 바디에 탄성력에 의해 승강되게 마련되어 상기 개폐 바디에 마련된 개폐 바디 후크에 락킹되거나 상기 락킹을 해제시키는 개폐 스프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 스프링부의 상단부는 상기 베이스 바디의 외부로 노출되어 별도의 키없이 상기 상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락킹을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 구조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락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펜서로, 별도의 잠금 뭉치를 구비하지 않고 스프링 방식을 채용하여 베이스 바디에 마련되는 구조체 바디와 구조체 바디에 탄성력에 의해 승강되게 마련되어 개폐 바디에 마련된 개폐 바디 후크에 락킹되거나 락킹을 해제시킴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쉽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있어 특징적인 스프링체를 포함하는 개폐 스프링부가 적용되어 락킹되거나 락킹을 해제 구조가 간단하고 사용이 용이하면서도, 내구성이 크고 부품 구조의 단순화로 유지 보수가 용이한 새로운 락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나아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특징적인 개폐 스프링부의 구조를 통해 푸시를 입력받는 구조나 키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개폐기를 사용하는 구조등 다양한 형태로의 적용이 가능하여 사용 환경에 따라 다양한 락킹 및 락킹 해제 구조로의 적용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사용이 편리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락 구조체를 포함하는 디스펜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락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베이스 바디와 개폐 바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락 구조체를 포함하는 디스펜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주요부로써 개폐키가 구조체 바디로부터 분리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개폐키가 개폐 스프링부에 접촉된 상태에서 개폐 스프링부의 하부가 구조체 바디에 수용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락 구조체를 포함하는 디스펜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락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베이스 바디와 개폐 바디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1)는, 점보 롤 타입 화장지가 내부에 마련되는 베이스 바디(100)와, 베이스 바디(100)에 개폐 결합되는 개폐 바디(200)와, 개폐 바디(200)를 베이스 바디(100)에 락킹시키는 락 구조체(300)를 구비한다.
베이스 바디(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 구조체(300)의 설치 장소로 제공될 수 있고, 베이스 바디(100)에는 개폐 바디(200)의 하측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베이스 바디(100)의 상측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이 마련될 수 있고, 이 하우징(110)에는 락 구조체(30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하우징(11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 체결편(111)이 마련되고, 이 후크 체결편(111)에는 락 구조체(300)의 결합 후크(430)가 탈착 가능하게 걸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베이스 바디(100)의 상면부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바디홀(120)이 마련되고, 이 베이스 바디홀(120)을 통해 개폐 스프링 바디(510)의 상단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바디(1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베이스 바디(100)의 외부로 노출된 개폐 스프링 바디(510)의 상단부를 눌러서 도 2에 도시된 걸림 후크(520)와 도 7에 도시된 개폐 바디 후크(210)의 락킹을 해제하여 개폐 바디(200)를 베이스 바디(1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때 개폐 바디(200)의 하부는 베이스 바디(100)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축 결합되어 있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 바디(100)의 내벽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대(130)가 마련되고, 이 걸이대(130)에는 점보 롤 타입 화장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베이스 바디(100)의 하부에는 화장지를 절단하는 한 쌍의 절단날(140)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한 쌍의 절단날(140)이 마련된 영역의 플레이트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홀(150)이 마련될 수 있고, 이 결합홀(150)에는 개폐 바디(200)의 하부에 마련된 축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 예에서 베이스 바디(100)의 내측 테두리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결합 플랜지(160)가 마련될 수 있고, 이 복수의 결합 플랜지(160)는 개폐 바디(200)에 끼워 맞춤 결합될 수 있다.
개폐 바디(200)는, 베이스 바디(1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점보 롤 타입 화장지의 교체를 쉽게 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개폐 바디(200)의 상측부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바디 후크(210)가 마련되고, 이 개폐 바디 후크(210)에는 도 2에 도시된 걸림 후크(520)가 걸림 결합될 수 있다.
락 구조체(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바디(100)의 하우징(110)에 마련되며, 사용자의 가압력에 의해 개폐 바디 후크(210)와의 걸림 결합이 해제되어 개폐 바디(200)의 열림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즉 본 실시 예에서 락 구조체(300)는 별도의 키 없이 사용자의 가압력으로 작동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락 구조체(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체 바디(400)와, 하부는 구조체 바디(400)에 수용되고 상단부는 베이스 바디(100)의 베이스 바디홀(120)을 통해 베이스 바디(100)의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의 가압력 장소로 제공되는 개폐 스프링부(500)를 포함한다.
락 구조체(300)의 구조체 바디(4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납작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그 전방부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수용홈(410)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스프링 수용홈(41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420)에 의해 2개의 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고, 구획된 각각의 스프링 수용홈(410)에는 제1 스프링체(530)와 제2 스프링체(540)가 각각 수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구조체 바디(400)의 후방벽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결합 후크(430)가 이격 마련되고, 이 한 쌍의 결합 후크(4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에 마련된 후크 체결편(111)에 걸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구조체 바디(400)의 양측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원 연장부(440)가 마련되고, 이 한 쌍의 타원 연장부(440)는 하우징(110)의 내측벽에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 예에서 구조체 바디(400)의 상측부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 플랜지(450)가 마련되고, 이 돌출 플랜지(4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에 마련된 개방 영역을 통해 베이스 바디(100)의 천장벽에 지지되어 구조체 바디(400)의 상부 영역을 지지할 수 있다.
락 구조체(300)의 개폐 스프링부(500)는, 상단부가 베이스 바디(10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되어 사용자의 가압력 장소로 제공되며, 사용자가 개폐 스프링부(500)의 상단부를 가압시 개폐 바디 후크(210)와의 걸림 결합이 해제되어 개폐 바디(200)의 상부를 베이스 바디(100)로부터 열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개폐 스프링부(5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스프링 바디(510)와, 개폐 스프링 바디(510)의 전방벽에 마련되어 개폐 바디(200)의 개폐 바디 후크(210)와 걸림 결합되는 걸림 후크(520)와, 개폐 스프링 바디(510)의 하부에 마련되어 개폐 스프링 바디(510)를 탄성 지지하는 제1 스프링체(530)와, 제1 스프링체(530)와 이격되도록 개폐 스프링 바디(510)에 마련되어 개폐 스프링 바디(510)를 탄성 지지하는 제2 스프링체(540)를 포함한다.
개폐 스프링부(500)의 개폐 스프링 바디(5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가 베이스 바디(100)의 외부로 노출되게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가 개폐 스프링 바디(510)의 상단부를 하방으로 가압하면 제1 스프링체(530)와 제2 스프링체(540)가 수축되면서 개폐 스프링 바디(510)는 하강되고, 이로 인해 걸림 후크(520)와 개폐 바디 후크(210, 도 7 참고)의 걸림 결합은 해제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개폐 스프링 바디(5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납작한 판 형상을 가질 수 있고, 개폐 스프링 바디(510)의 좌우 측벽은 구조체 바디(400)에 마련된 스프링 수용홈(410)에 접촉되면서 승강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개폐 스프링 바디(510)의 전방 하측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홈(511)이 마련되고, 이 바디홈(511)은 제1 스프링체(530)와 제2 스프링체(540)의 신축이 간섭받지 않고 이루어지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 예에서 개폐 스프링 바디(510)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홀이 마련되고, 이 절개홀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420)이 일부분 삽입될 수 있다. 그 결과 개폐 스프링 바디(510)의 승강시 절개홀에 삽입된 격벽(420)이 개폐 바디(200)의 승강을 가이드할 수 있어 그 승강이 더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개폐 스프링 바디(510)의 걸림 후크(5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스프링 바디(510)의 전병벽에 마련되어 개폐 바디(200)의 개폐 바디 후크(210)에 걸림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걸림 후크(520)는 개폐 스프링 바디(510)와 같이 승강되며, 사용자가 개폐 스프링 바디(510)를 하방으로 가압시 개폐 스프링 바디(510)와 같이 하강되어 개폐 바디 후크(210)와의 걸림 결합이 해제되고, 사용자가 개폐 스프링 바디(510)에 가하는 힘을 해제하면 제1 스프링체(530)와 제2 스프링체(540)의 탄성 복원에 의해 개폐 스프링 바디(510)와 같이 상승되어 개폐 바디 후크(210)에 걸림 결합될 수 있다.
개폐 스프링부(500)의 제1 스프링체(530)는, 개폐 스프링 바디(510)를 탄성 지지하는 것으로, 구조체 바디(400)에 마련된 스프링 수용홈(410)에 수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스프링체(5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스프링 바디(510)의 하부에 마련되는 제1 직선부(531)와, 제1 직선부(531)의 단부에서 개폐 스프링 바디(510)의 외측으로 연장 마련되는 제1 수평부(532)와, 제1 수평부(532)의 단부에서 개폐 스프링 바디(510)의 중앙부로 굴곡 연장되는 제1 굴곡부(533)와, 제1 굴곡부(533)에 마련되는 제1 보강 블록(534)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는 사용자가 개폐 스프링 바디(510)를 가압 시 제1 굴곡부(533)가 신축되면서 개폐 스프링 바디(510)를 승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제1 보강 블록(534)은 제1 굴곡부(533)의 저면부에 마련될 수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결합 후크(430)의 상면부에 제2 보강 블록(544)과 같이 지지될 수 있다.
개폐 스프링부(500)의 제2 스프링체(540)는, 제1 스프링체(530)와 수평 대칭되게 이격 마련되어 개폐 스프링 바디(510)를 탄성 지지하는 것으로, 구조체 바디(400)에 마련된 스프링 수용홈(410)에 수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스프링체(5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스프링 바디(510)의 하부에 마련되며 제1 직선부(531)와 이격 배치되는 제2 직선부(541)와, 제2 직선부(541)의 단부에서 개폐 스프링 바디(510)의 외측으로 연장 마련되는 제2 수평부(542)와, 제2 수평부(542)의 단부에서 개폐 스프링 바디(510)의 중앙부로 굴곡 연장되는 제2 굴곡부(543)와, 제2 굴곡부(543)에 마련되는 제2 보강 블록(544)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는 사용자가 개폐 스프링 바디(510)를 가압 시 제2 굴곡부(543)가 신축되면서 개폐 스프링 바디(510)를 승강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락 구조체를 포함하는 디스펜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주요부로써 개폐키가 구조체 바디로부터 분리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개폐키가 개폐 스프링부에 접촉된 상태에서 개폐 스프링부의 하부가 구조체 바디에 수용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펜서(1a)는, 점보 롤 타입 화장지가 내부에 마련되는 베이스 바디(100)와, 베이스 바디(100)에 개폐 결합되는 개폐 바디(200)와, 개폐 바디(200)를 베이스 바디(100)에 락킹시키는 락 구조체(300a)를 구비한다.
본 실시 예에서 락 구조체(300a)는 키에 의해 개폐되는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다.
이하에서 본 실시 예와 전술한 실시예의 차이점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각 도면에 제시되며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베이스 바디(100)에 마련된 베이스 바디홀(12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이 이격 마련될 수 있고, 이 한 쌍의 베이스 바디홀(120)에는 개폐키(600)의 한 쌍의 다리(610)가 각각 삽입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한 쌍의 베이스 바디홀(120)로 삽입되는 개폐키(600)의 한 쌍의 다리(610)는 개폐 스프링부(500a)의 상면부를 가압하여 베이스 바디(100)와 개폐 바디(200)의 걸림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락 구조체(300a)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베이스 바디(100)의 하우징(110)에 마련되며, 사용자의 가압력에 의해 개폐 바디 후크(210)와의 걸림 결합이 해제되어 개폐 바디(200)의 열림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즉 본 실시 예에서 락 구조체(300a)는 키를 사용하여 작동되는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락 구조체(300a)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체 바디(400)와, 하부는 구조체 바디(400)에 수용되고 상면부는 편평하게 마련되며 베이스 바디(10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개폐 스프링부(500a)와, 베이스 바디(100)의 한 쌍의 베이스 바디홀(120)을 관통하여 한 쌍의 개폐 스프링 바디(510a)의 상면부를 가압하는 개폐키(600)를 포함한다.
락 구조체(300a)의 구조체 바디(400)에는, 전술한 실시예의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락 구조체(300a)의 개폐 스프링부(500a)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되게 한 쌍이 마련되고, 한 쌍의 개폐 스프링부(500a)는, 상면부가 편평하게 마련되는 한 쌍의 개폐 스프링 바디(510a)와, 한 쌍의 개폐 스프링 바디(510a)의 상단부에 각각 마련되어 개폐 바디 후크(210)에 걸림 결합되는 한 쌍의 걸림 후크(520)와, 한 쌍의 개폐 스프링 바디(510a)의 하부에 서로 수평 대칭되게 마련되어 구조체 바디(400)에 마련된 스프링 수용홈(410)에 수용되는 한 쌍의 제3 스프링체(550)를 포함한다.
한 쌍의 개폐 스프링 바디(510a)에는, 전술한 실시 예의 절개홀(512, 도 4 참고)이 마련되지 않은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다. 이는 본 실시 예의 한 쌍의 개폐 스프링 바디(510a)는 서로 분리되게 마련되어 전술한 실시예의 절개홀(512)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본 실시 예에서 한 쌍의 개폐 스프링 바디(510a)의 각각의 외측벽은 승강시 구조체 바디(400)에 마련된 스프링 수용홈(410)에 지지되면서 승강될 수 있다.
한 쌍의 걸림 후크(52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개폐 스프링 바디(510a)의 상단부에 마련되며, 사용자가 개폐키(600)로 한 쌍의 개폐 스프링 바디(510a)의 상면부를 하방으로 가압하면 한 쌍의 개폐 스프링 바디(510a)와 같이 하강되어 개폐 바디 후크(210)와의 걸림이 해제되고, 사용자가 개폐키(600)에 가하는 힘을 해제하면 한 쌍의 개폐 스프링 바디(510a)와 같이 상승되어 개폐 바디 후크(210)에 걸림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제3 스프링체(550)는, 한 쌍의 개폐 스프링 바디(510a)의 하부에 서로 수평 대칭되게 마련되며, 한 쌍의 개폐 스프링 바디(510a)의 하부에 서로 이격 마련되는 한 쌍의 제3 직선부(551)와, 한 쌍의 제3 직선부(551)의 단부에서 개폐 스프링 바디(510a)의 외측으로 연장 마련되는 한 쌍의 제3 수평부(552)와, 한 쌍의 제3 수평부(552)의 단부에서 개폐 스프링 바디(510a)의 중앙부로 굴곡 연장되는 한 쌍의 제3 굴곡부(553)와, 한 쌍의 제3 굴곡부(553)와 한 쌍의 제3 직선부(551)에 각각 마련되는 복수의 제3 보강 블록(554)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는 사용자가 개폐키(600)로 개폐 스프링 바디(510a)를 가압 시 한 쌍의 제3 굴곡부(553)가 신축되면서 한 쌍의 개폐 스프링 바디(510a)를 승강시킬 수 있다.
개폐키(6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한 쌍의 이격된 다리(610)를 포함하고, 한 쌍의 이격된 다리(610)는 도 9에 도시된 한 쌍의 베이스 바디홀(120)을 관통하여 한 쌍의 개폐 스프링 바디(510a)의 상면부를 가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실시 예는 락 구조체가 베이스 바디에 마련되는 구조체 바디와 구조체 바디에 탄성력에 의해 승강되게 마련되어 개폐 바디에 마련된 개폐 바디 후크에 락킹되거나 락킹을 해제시킴으로써 별도의 잠금 뭉치를 구비하지 않고 스프링 방식을 채용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쉽게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a : 디스펜서
100 : 베이스 바디 110 : 하우징
111 : 후크 체결편 120 : 베이스 바디홀
130 : 걸이대 140 : 절단날
150 : 결합홀 160 : 결합 플랜지
200 : 개폐 바디 210 : 개폐 바디 후크
300,300a : 락 구조체 400 : 구조체 바디
410 : 스프링 수용홈 420 : 격벽
430 : 결합 후크 440 : 타원 연장부
450 : 돌출 플랜지 500,500a : 개폐 스프링부
510,510a : 개폐 스프링 바디 511 : 바디홈
512 : 절개홀 520 : 걸림 후크
530 : 제1 스프링체 531 : 제1 직선부
532 : 제1 수평부 533 : 제1 굴곡부
534 : 제1 보강 블록 540 : 제2 스프링체
541 : 제2 직선부 542 : 제2 수평부
543 : 제2 굴곡부 544 : 제2 보강 블록
550 : 제3 스프링체 551 : 제3 직선부
552 : 제3 수평부 553 : 제3 굴곡부
554 : 제3 보강 블록 600 : 개폐키
610 : 다리

Claims (9)

  1. 삭제
  2. 점보 롤 타입 화장지가 내부에 마련되는 베이스 바디;
    상기 베이스 바디에 개폐 결합되는 개폐 바디; 및
    상기 개폐 바디를 상기 베이스 바디에 락킹시키는 락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락 구조체는 상기 베이스 바디에 마련되는 구조체 바디 및 상기 구조체 바디에 탄성력에 의해 승강되게 마련되어 상기 개폐 바디에 마련된 개폐 바디 후크에 락킹되거나 상기 락킹을 해제시키는 개폐 스프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 스프링부는,
    상기 베이스 바디의 외부로 상단부가 노출되는 개폐 스프링 바디;
    상기 개폐 스프링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개폐 바디 후크에 걸림 지지되는 걸림 후크;
    상기 개폐 스프링 바디의 하측부에 마련되어 상기 개폐 스프링 바디를 탄성 지지하는 제1 스프링체; 및
    상기 개폐 스프링 바디의 하측부에 상기 제1 스프링체와 이격되게 마련되며 상기 제1 스프링체와 수평 대칭되는 제2 스프링체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프링체와 상기 제2 스프링체는 상기 구조체 바디에 마련된 스프링 수용홈에 수용되고,
    상기 제1 스프링체와 상기 제2 스프링체는 상기 스프링 수용홈에 마련된 격벽에 의해 서로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개폐 스프링 바디에는 상기 격벽의 상측부가 삽입되는 절개홀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프링체와 상기 제2 스프링체는 각각,
    상기 걸림 후크의 하부 영역의 상기 개폐 스프링 바디에 마련되는 직선부;
    상기 직선부의 단부에서 상기 개폐 스프링 바디의 외측으로 연장 마련되는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의 단부에서 상기 개폐 스프링 바디의 중앙부로 연장 마련되는 굴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 바디는 상기 베이스 바디에 마련된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구조체 바디의 결합 후크는 상기 하우징에 마련된 후크 체결편에 걸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7. 점보 롤 타입 화장지가 내부에 마련되는 베이스 바디;
    상기 베이스 바디에 개폐 결합되는 개폐 바디; 및
    상기 개폐 바디를 상기 베이스 바디에 락킹시키는 락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락 구조체는 상기 베이스 바디에 마련되는 구조체 바디 및 상기 구조체 바디에 탄성력에 의해 승강되게 마련되어 상기 개폐 바디에 마련된 개폐 바디 후크에 락킹되거나 상기 락킹을 해제시키는 개폐 스프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 스프링부는 서로 이격되게 한 쌍이 마련되고,
    한 쌍의 상기 개폐 스프링부는,
    상면부가 편평하게 마련되는 한 쌍의 개폐 스프링 바디;
    상기 한 쌍의 개폐 스프링 바디의 상단부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개폐 바디 후크에 걸림 결합되는 한 쌍의 걸림 후크; 및
    상기 한 쌍의 개폐 스프링 바디의 하부에 서로 수평 대칭되게 마련되어 상기 구조체 바디에 마련된 스프링 수용홈에 수용되는 한 쌍의 제3 스프링체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락 구조체는,
    상기 베이스 바디의 일측부를 관통하여 상기 한 쌍의 개폐 스프링 바디의 상기 상면부를 가압하는 개폐키를 더 포함하는 디스펜서.
  9. 개폐 바디를 베이스 바디에 락킹시키는 락 구조체로서,
    상기 베이스 바디에 마련되는 구조체 바디 및 상기 구조체 바디에 탄성력에 의해 승강되게 마련되어 상기 개폐 바디에 마련된 개폐 바디 후크에 락킹되거나 상기 락킹을 해제시키는 개폐 스프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 스프링부의 상단부는 상기 베이스 바디의 외부로 노출되어 별도의 키없이 상기 상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락킹을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 구조체.
KR1020190059375A 2019-05-21 2019-05-21 락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KR102102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375A KR102102557B1 (ko) 2019-05-21 2019-05-21 락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375A KR102102557B1 (ko) 2019-05-21 2019-05-21 락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2557B1 true KR102102557B1 (ko) 2020-04-20

Family

ID=70467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9375A KR102102557B1 (ko) 2019-05-21 2019-05-21 락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25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57961A3 (en) * 2021-10-07 2023-07-27 Deb Ip Limited Dispenser assembl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114U (ko) * 2015-06-30 2017-01-09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롤 화장지 디스펜서
KR20190005095A (ko) 2017-07-05 2019-01-15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디스펜서 하우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114U (ko) * 2015-06-30 2017-01-09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롤 화장지 디스펜서
KR20190005095A (ko) 2017-07-05 2019-01-15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디스펜서 하우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57961A3 (en) * 2021-10-07 2023-07-27 Deb Ip Limited Dispenser assembly
US11744413B2 (en) 2021-10-07 2023-09-05 Deb Ip Limited Dispenser assemb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7832B2 (en) Dispenser housing
AU2010203046B2 (en) Dispenser housing with locking mechanism
US4205802A (en) Multiple roll toilet tissue dispenser
US20100072227A1 (en) Interchangeable access device for a dispenser
US8528787B2 (en) Interchangable access device for a dispenser
US7997522B2 (en) Center-pull paper towel dispenser
US20130292417A1 (en) Dispenser with lockable pushbutton
JP2007527282A (ja) 既存のトイレットペーパーのロールの形状をした、湿潤紙及び乾燥紙を別々に小出しするディスペンサー
KR102102557B1 (ko) 락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JPH027648B2 (ko)
US6772916B1 (en) Hidden locking system for wall-mounted dispenser
US7044328B1 (en) Tamper proof latch for dispensers
CA2578422A1 (en) Wall plate system with releasable lock
MX2011013536A (es) Ensamble de despachador.
CN101133930A (zh) 分配器的开盖机构
US20080238275A1 (en) Recessed unit for dispensers
KR102561660B1 (ko) 장착 브래킷을 구비한 분배 장치
CA2664858C (en) Recessed unit for dispensers
KR200488711Y1 (ko) 롤 화장지 디스펜서
KR100707386B1 (ko) 매입형 화장지 거치대
US11744413B2 (en) Dispenser assembly
CN220608199U (zh) 一种自锁容器挂壁支架
KR200433899Y1 (ko) 매입형 화장지 거치대
KR20190003018U (ko) 소형롤 휴지걸이봉을 갖는 점보롤 휴지걸이
KR101121455B1 (ko) 핸드워시용 디스펜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