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0035A - 광학용 점착 시트 - Google Patents

광학용 점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0035A
KR20170000035A KR1020150088521A KR20150088521A KR20170000035A KR 20170000035 A KR20170000035 A KR 20170000035A KR 1020150088521 A KR1020150088521 A KR 1020150088521A KR 20150088521 A KR20150088521 A KR 20150088521A KR 20170000035 A KR20170000035 A KR 201700000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meth
sensitive adhesive
adhesive layer
surface rough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8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8075B1 (ko
Inventor
장애정
김장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50088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8075B1/ko
Publication of KR20170000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0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8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80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09J7/02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4/00Adhesive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adhesive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J183/00 - C09J183/16
    • C09J4/06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in combination with a macromolecular compound other than an unsaturated polymer of groups C09J159/00 - C09J187/00
    • C09J7/0217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 Tap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학용 점착 시트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상대적으로 표면 거칠기가 큰 이형지에 따른 점착제층의 표면 거칠기 증가를 완화한 광학용 점착 시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광학용 점착 시트{ADHESIVE SHEET FOR OPTICAL USE}
본 발명은 광학용 점착 시트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상대적으로 표면 거칠기가 큰 이형지에 따른 점착제층의 표면 거칠기 증가를 완화한 광학용 점착 시트에 관한 것이다.
PDA, 이동통신 단말기, 차량용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전자 기기가 큰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전자 기기에 있어서 추구되는 기술적 목표는 박형화, 경량화, 저전력 소비화, 고해상도화 및 고휘도화 등이 있다. 이러한 전자 기기에는 손가락 등에 의한 터치에 의해 화면을 조작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패널이 적용되고 있고 상기 패널과 LCD 사이의 갭을 메우기 위해 투명 도전성 플라스틱 필름 등이 사용된다.
그 예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Terephthalate, PET) 필름을 기재로 하고, 그 일면에 인듐 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ITO) 등의 도전층을 형성한 필름이 있으며, 상기 필름은 광학용 점착제층이나 점착 시트에 의해 전도성 유리, 보강재 또는 데코 필름 등에 적층되고 있다. 광학용 점착제층이나 점착 시트는 광학 특성, 내구성 등의 다양한 물성이 요구된다.
최근에는 상술한 기술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광학용 점착 시트를 박형화하기 위한 시도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점착 시트에 개재되는 점착제층의 두께를 줄이기 위한 시도가 반복되고 있는데, 점착제층의 두께가 일정 수준 이하로 개재될 경우, 이형지의 표면 거칠기에 따른 영향으로 점착 특성, 내구성 등과 같은 물성이 급격히 감소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표면 거칠기가 큰 이형지에 따른 점착제층의 표면 거칠기 증가를 완화시킬 수 있는 광학용 점착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형지에 의한 점착제층의 표면 거칠기 증가를 완화시킴에 따라 점착 특성, 내구성 등과 같은 물성이 향상된 광학용 점착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표면 거칠기(R1)가 400 nm 이상인 이형지와 플라스틱 필름 사이에 점착제층이 개재되며, 상기 플라스틱 필름과 접하는 상기 점착제층의 상부 표면 거칠기(R2)와 상기 이형지와 접하는 상기 점착제층의 하부 표면 거칠기(R3)의 차이가 500 nm 이상인 광학용 점착 시트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점착제층의 상부 표면 거칠기(R2)와 상기 점착제층과 접하는 플라스틱 필름의 하부 표면 거칠기(R4)의 차이는 50 nm 미만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점착제층의 하부 표면 거칠기(R3)와 상기 점착제층과 접하는 이형지의 표면 거칠기(R1)의 차이는 400 nm 이상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는 50 μm 이상 150 μm 미만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점착제층의 상부 표면 거칠기(R2)는 100 nm 이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점착제층의 상부 표면 거칠기(R2)와 상기 점착제층과 접하는 이형지의 표면 거칠기(R1)의 차이는 500 nm 이상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점착제층은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모노머와 카르복실기를 포함하는 가교성 모노머의 중합물인 수지 조성물이 경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 80 내지 95 중량부와 카르복실기를 포함하는 가교성 모노머 5 내지 20 중량부의 중합물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는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메타) 아크릴레이트, n-뷰틸 (메타)아크릴레이트, t-뷰틸 (메타)아크릴레이트, sec-뷰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뷰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르복실기를 포함하는 가교성 모노머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2-(메타)아크릴로일옥시 아세트산, 3-(메타)아크릴로일옥시 프로필산, 4-(메타)아크릴로일옥시 뷰틸산, 아크릴산 이중체, 이타콘산, 말레산,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중량 평균 분자량이 300만 내지 700만인 제1 경화제 및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0 내지 300인 제2 경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경화제와 제2 경화제의 중량 비율은 1:2 내지 2:1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경화제는 폴리에틸렌글라이콜 다이아크릴레이트(polyethylene glycol diacrylate), 폴리프로필렌 다이아크릴레이트(polypropylene glycol diacrylate), 테트라에틸렌글라이콜 다이아크릴레이트(tetraethylene glycol diacrylate) 및 이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경화제는 1,3-뷰틸렌 글라이콜 다이아크릴레이트(1,3-butylene glycol diacrylate), 1,3-뷰틸렌 글라이콜 다이메타크릴레이트(1,3-butylene glycol dimethacrylate), 1,4-뷰탄다이올 다이아크릴레이트(1,4-butanediol diacrylate), 1,4-뷰탄다이올 다이메타크릴레이트(1,4-butanediol dimethacrylate), 1,6-헥산다이올 다이아크릴레이트(1,6-hexanediol diacrylate), 1,6-헥산다이올 다이메타크릴레이트(1,6-hexanediol dimethacrylate), 1,6-헥산다이올 다이바이닐 에터(1,6-hexanediol divinyl ether) 및 이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라스틱 필름은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부텐 필름, 폴리부타디엔 필름, 폴리메틸펜텐 필름, 폴리염화비닐 필름, 염화비닐 공중합체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뷰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우레탄 필름 및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필름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용 점착 시트는 상대적으로 표면 거칠기가 큰 이형지에 따른 점착제층의 표면 거칠기 증가를 완화함에 따라 점착 특성, 내구성 등과 같은 물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용 점착 시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을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해 편의상 특정 용어를 본원에 정의한다. 본원에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사용된 과학 용어 및 기술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가질 것이다. 또한, 문맥상 특별히 지정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용어는 그것의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이며, 복수 형태의 용어는 그것의 단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용 점착 시트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형지(100)와 플라스틱 필름(300) 사이에 점착제층(200)이 개재된 광학용 점착 시트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형지(100)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스테르 필름 등의 플라스틱 필름(300), 종이, 천 또는 부직포 등이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표면 거칠기(R1)가 400 nm 이상인 종이가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되는 용어 표면 거칠기(surface roughness)는 기재 또는 층의 표면에 생기는 주기가 짧고, 진폭이 비교적 작은 불규칙한 요철의 정도를 의미하며, 표면 조도로서도 언급될 수 있다. 또한,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표면 거칠기는 산술 평균 조도(JIS B 0601(1994년))로서 이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라스틱 필름(300)은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부텐 필름, 폴리부타디엔 필름, 폴리메틸펜텐 필름, 폴리염화비닐 필름, 염화비닐 공중합체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뷰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우레탄 필름 및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필름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이형지(100) 및 플라스틱 필름(300)의 종류 및 두께는 광학용 점착 시트가 사용되는 용도와 요구되는 특성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이형지(100)와 플라스틱 필름(300) 사이에 개재되는 점착제층(200)은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모노머와 카르복실기를 포함하는 가교성 모노머의 중합물인 수지 조성물이 경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수지 조성물이 경화되어 형성된 점착제층(200)의 두께는 150 μm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제층(200)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이형지(100)의 표면 거칠기에 의해 점착제층(200)이 받는 영향은 감소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광학용 점착 시트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200)의 두께가 약 200 μm일 경우, 상기 점착제층(200)의 상부 표면 거칠기는 상기 점착제층(200)의 하부에 접한 이형지(100)보다 상기 점착제층(200)의 상부에 접한 플라스틱 필름(300)의 하부 표면의 표면 거칠기를 따라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점착제층(200)의 두께가 약 200 μm인 경우, 플라스틱 필름(300)의 하부 표면의 표면 거칠기가 과도하게 크지 않은 이상, 상기 점착제층(200)의 상부 표면 거칠기는 낮은 수준으로 유지가 가능하다.
다만, 광학용 점착 시트가 적용되는 다양한 전자 기기의 박형화 추세에 따라, 상기 점착 시트의 두께, 즉 점착제층(200)의 두께를 더욱 얇게 구성할 필요가 있는데, 상기 점착제층(200)의 두께가 150 μm 미만인 경우, 상기 점착제층(200)의 상부 표면 거칠기는 상기 점착제층(200)의 상부에 접한 플라스틱 필름(300)보다 상기 점착제층(200)의 하부에 접한 이형지(100)의 상부 표면의 표면 거칠기를 따라가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경우, 일반적으로 상기 점착제층(200)의 상부 표면 거칠기는 이형지(100)의 표면 거칠기와 유사하거나 그보다 높은 수준으로 형성된다. 이는, 점착 특성, 내구성 등과 같은 점착 시트의 물성 저하를 야기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점착제층(200)의 두께가 150 μm 미만인 경우에도, 상기 점착제층(200)의 상부 표면 거칠기가 낮은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는 광학용 점착 시트를 그 대상으로 한다.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는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메타) 아크릴레이트, n-뷰틸 (메타)아크릴레이트, t-뷰틸 (메타)아크릴레이트, sec-뷰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뷰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카르복실기를 포함하는 가교성 모노머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2-(메타)아크릴로일옥시 아세트산, 3-(메타)아크릴로일옥시 프로필산, 4-(메타)아크릴로일옥시 뷰틸산, 아크릴산 이중체, 이타콘산, 말레산,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일 수 있다. 상기 가교성 모노머는 반응성이 높고, 다른 모노머와 공중합시 응집력이 우수하여, 경화되어 형성된 점착제층(200)의 가교 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 80 내지 95 중량부와 카르복실기를 포함하는 가교성 모노머 5 내지 20 중량부의 중합물일 수 있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가 단독으로 중합되어 형성된 호모폴리머와 달리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와 카르복실기를 포함하는 가교성 모노머가 코폴리머를 형성함으로써 점착제층(200)이 적절한 유연성을 가지도록 가교 밀도(crosslinking density)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가 9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의 호모폴리머화가 증가됨에 따라 가교 밀도가 더욱 증가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수지 조성물이 경화되어 형성된 점착제층(200)은 유연성이 떨어져 상대적으로 표면 거칠기가 큰 이형지(100)에 의한 영향을 크게 받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점착제층(200)의 표면 거칠기가 증가하며, 이는 점착 특성, 내구성 등과 같은 물성을 급격히 감소시킨다.
마찬가지로, 상기 카르복실기를 포함하는 가교성 모노머가 2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와의 공중합시 응집력 등이 향상되어 가교 밀도가 더욱 증가하게 되므로, 상기 수지 조성물이 경화되어 형성된 점착제층(200)은 유연성이 떨어져 상대적으로 표면 거칠기가 큰 이형지(100)에 의한 영향을 크게 받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점착제층(200)의 표면 거칠기가 증가하며, 이는 점착 특성, 내구성 등과 같은 물성을 급격히 감소시킨다.
반면,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와 가교성 모노머 및/또는 카르복실기를 포함하는 가교성 모노머의 함량이 과도하게 낮은 경우, 적절한 내후성을 확보하기 위한 가교 밀도를 달성하기 어렵다.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 공중합시 수지 조성물의 유연성 및 점탄성 등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수지 조성물은 하이드록실기를 포함하는 가교성 모노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이드록실기를 포함하는 가교성 모노머는 공중합시 모노머 사이의 간격을 넓힘으로써 가교 밀도를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다.
하이드록실기를 포함하는 가교성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뷰틸 (메타)아크릴레이트, 6-하이드록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8-하이드록시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렌글라이콜 (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렌글라이콜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중량 평균 분자량이 300만 내지 700만인 제1 경화제 및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0 내지 300인 제2 경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경화제와 제2 경화제는 상기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0.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경화제와 제2 경화제의 중량 비율은 1:2 내지 2:1일 수 있다. 제1 경화제와 제2 경화제의 중량 비율은 점착제층(200)과 접하는 이형지(100)와 플라스틱 필름(300)의 면의 표면 거칠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점착제층(200)의 두께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제1 경화제와 제2 경화제의 중량 비율에 따라 경화 후 점착제층(200)의 유연성 내지는 탄성이 달라질 수 있으며, 제2 경화제에 대한 제1 경화제의 중량 비율이 증가할수록 점착제층(200)의 유연성 및 탄성은 증가하며, 반대로 제1 경화제에 대한 제2 경화제의 중량 비율이 증가할수록 점착제층(200)의 유연성 및 탄성은 감소하게 된다.
즉, 점착제층(200)의 두께가 얇을수록 상기 점착제층(200)의 상부 표면 거칠기는 상기 점착제층(200)의 상부에 접한 플라스틱 필름(300)보다 상기 점착제층(200)의 하부에 접한 이형지(100)의 상부 표면의 표면 거칠기를 따라가게 된다.
따라서, 점착제층(200)의 두께가 얇을수록 점착제층(200)의 유연성 및 탄성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점착제층(200)의 두께가 얇을수록 제2 경화제에 대한 제1 경화제의 중량 비율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 경화제는 폴리에틸렌글라이콜 다이아크릴레이트(polyethylene glycol diacrylate), 폴리프로필렌 다이아크릴레이트(polypropylene glycol diacrylate), 테트라에틸렌글라이콜 다이아크릴레이트(tetraethylene glycol diacrylate) 및 이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경화제는 1,3-뷰틸렌 글라이콜 다이아크릴레이트(1,3-butylene glycol diacrylate), 1,3-뷰틸렌 글라이콜 다이메타크릴레이트(1,3-butylene glycol dimethacrylate), 1,4-뷰탄다이올 다이아크릴레이트(1,4-butanediol diacrylate), 1,4-뷰탄다이올 다이메타크릴레이트(1,4-butanediol dimethacrylate), 1,6-헥산다이올 다이아크릴레이트(1,6-hexanediol diacrylate), 1,6-헥산다이올 다이메타크릴레이트(1,6-hexanediol dimethacrylate), 1,6-헥산다이올 다이바이닐 에터(1,6-hexanediol divinyl ether) 및 이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 조성물은 약 295nm 내지 약 420nm의 광에 대하여 광 경화반응을 개시하는 광 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 개시제로는 예를 들어,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파인옥사이드(2,4,6-Trimethylbenzoyl-diphenyl-phosphineoxide, TPO) 계열 화합물 또는 아크릴 포스파인(acyl phosphine) 계열 화합물 등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용 점착 시트를 이형지(100)와 플라스틱 필름(300) 사이에 개재되는 점착제층(200)의 조성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며, 하기에는 상술한 조성에 따라 형성된 점착제층(200)의 표면 거칠기를 중심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용 점착 시트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표면 거칠기(R1)가 400 nm 이상인 이형지(100)와 플라스틱 필름(300) 사이에 점착제층(200)이 개재되며, 상기 플라스틱 필름(300)과 접하는 상기 점착제층(200)의 상부 표면 거칠기(R2)와 상기 이형지(100)와 접하는 상기 점착제층(200)의 하부 표면 거칠기(R3)의 차이가 500 nm 이상인 광학용 점착 시트가 제공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표면 거칠기(R1)가 400 nm 이상인 이형지(100) 상에 수지 조성물이 경화되어 점착제층(200)이 형성될 때, 상기 점착제층(200)의 두께가 약 200 μm일 경우, 상기 점착제층(200)의 상부 표면 거칠기(R2)는 상기 점착제층(200)의 하부에 접한 이형지(100)보다 상기 점착제층(200)의 상부에 접한 플라스틱 필름(300)의 하부 표면의 거칠기(R4)로부터 영향을 받게 된다.
즉, 상기 점착제층(200)의 상부 표면 거칠기(R2)와 플라스틱 필름(300)의 하부 표면의 거칠기(R4)는 유사한 값을 가진다.
반면, 표면 거칠기(R1)가 400 nm 이상인 이형지(100) 상에 수지 조성물이 경화되어 점착제층(200)이 형성될 때, 상기 점착제층(200)의 두께가 150 μm 미만인 경우, 상기 점착제층(200)의 상부 표면 거칠기(R2)는 상기 점착제층(200)의 상부에 접한 플라스틱 필름(300)보다 상기 점착제층(200)의 하부에 접한 이형지(100)의 상부 표면의 거칠기(R1)로부터 영향을 받게 된다.
즉, 상기 점착제층(200)의 상부 표면 거칠기(R2)와 이형지(100)의 상부 표면의 거칠기(R1)는 유사한 값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용 점착 시트는 표면 거칠기(R1)가 400 nm 이상인 이형지(100) 상에 수지 조성물이 경화되어 150 μm 미만의 두께를 가지는 점착제층(200)이 형성될 때, 상기 플라스틱 필름(300)과 접하는 상기 점착제층(200)의 상부 표면 거칠기(R2)와 상기 이형지(100)와 접하는 상기 점착제층(200)의 하부 표면 거칠기(R3)의 차이가 500 nm 이상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형지(100)의 표면 거칠기(R1)는 점착제층(200)의 상부 표면 거칠기(R2)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게 되며, 이를 통해 상대적으로 표면 거칠기가 큰 이형지(100)에 의한 점착제층(200)의 표면 거칠기 증가를 완화함으로써 점착 특성, 내구성 등과 같은 물성이 향상시킬 수 있다.
본원에서 각 층의 표면 거칠기는 층 두께 및 조성뿐만 아니라 제조 공정의 조건 등에 의해 달라질 수 있으나, 각 층이 상술한 수치 범위 내의 표면 거칠기 또는 표면 거칠기의 차이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여기서, 상기 점착제층(200)의 상부 표면 거칠기(R2)와 상기 점착제층(200)과 접하는 플라스틱 필름(300)의 하부 표면 거칠기(R4)의 차이는 50 nm 미만, 바람직하게는 20 nm 미만일 수 있다.
즉, 상기 점착제층(200)의 상부 표면 거칠기(R2)는 상기 점착제층(200)과 접하는 플라스틱 필름(300)의 하부 표면 거칠기(R4)와 유사한 값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필름(300)의 표면 거칠기가 약 100 nm 이하인 것을 고려할 때, 상기 점착제층(200)의 상부 표면 거칠기(R2) 역시 약 100 nm 이하의 수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200)은 상술한 조성을 가지는 수지 조성물이 경화되어 형성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표면 거칠기가 큰 이형지(100) 상에 형성된다 하더라도 점착제층(200)의 유연성 및 탄성에 의해 상기 점착제층(200)의 하부에 접한 이형지(100)의 상부 표면의 거칠기(R1)로부터의 영향을 적게 받게 된다.
또한, 점착제층(200)은 하부 표면 거칠기(R3)와 상기 점착제층(200)과 접하는 이형지(100)의 표면 거칠기(R1)의 차이는 400 nm 이상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점착제층(200)의 상부 표면 거칠기(R2)와 상기 점착제층(200)과 접하는 이형지(100)의 표면 거칠기(R1)의 차이는 300 nm 이상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점착제층(200)의 상부 표면 거칠기(R2)가 상기 점착제층(200)과 접하는 이형지(100)의 표면 거칠기(R1)로부터 받는 영향을 최소화함에 따라, 점착제층(200)의 상부 표면을 최대한 평탄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우수한 점착 특성을 확보활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제시한다. 다만, 하기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거나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서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아니된다.
실시예 비교예
실시예 1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800g)와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140g) 및 아크릴산(60g)를 벌크 열중합 공정을 사용하여 공중합시켜 아크릴계 수지를 준비하였다. 아크릴계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약 700,000 g/mol이었다.
그리고 나서,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광 개시제(Irgacure651) 0.5 중량부, 경화제(테트라에틸렌글라이콜 다이아크릴레이트) 0.5 중량부 및 점착 증진제(Foral85)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수지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수지 조성물을 표면 거칠기(R1)가 525 nm 인 이형지 상에 50 μm 두께로 형성한 후, 다시 그 위에 표면 거칠기(R4)가 83 nm인 PET 필름을 적층하고, UV를 조사하여 상기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켜 광학용 점착 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하되, 표면 거칠기(R1)가 525 nm 인 이형지 상에 100 μm 두께로 형성하였다.
실시예 3
경화제로 1,6-헥산다이올 다이메타크릴레이트 0.5 중량부를 사용하고, 표면 거칠기(R1)가 525 nm 인 이형지 상에 125 μm 두께로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광학용 점착 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경화제로 1,6-헥산다이올 다이메타크릴레이트 0.5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광학용 점착 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경화제로 1,6-헥산다이올 다이바이닐 에터 0.5 중량부를 사용하고, 표면 거칠기(R1)가 525 nm 인 이형지 상에 100 μm 두께로 점착제층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광학용 점착 시트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광학용 점착 시트의 각 계면에서의 점착제층의 표면 거칠기를 측정한 결과는 하기의 표 1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표면 거칠기는 JIS B 0601에 따라 측정되었다.
조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R2 97 nm 81 nm 73 nm 442 nm 364 nm
R3 737 nm 715 nm 598 nm 787 nm 726 nm
* R2 : PET 필름과 접하는 점착제층의 상부 표면 거칠기; R3 : 이형지와 접하는 점착제층의 하부 표면 거칠기.
실험방법
내구성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광학용 점착 시트를 각각 제조하고, 85℃, 85% 상대습도 하에서 3일 동안 보관한 후 육안으로 기포 발생여부를 확인하였다(기포 발생하지 않음 = pass; 기포 발생함 = fail).
열충격 검사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광학용 점착 시트를 각각 제조하고, -40℃에서 1시간/80℃에서 1시간을 1사이클로 하여 총 30사이클을 수행한 후 육안으로 기포 발생여부를 확인하였다(기포 발생하지 않음 = pass; 기포 발생함 = fail).
접착력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점착 시트를 25 mm * 40 mm(가로 * 세로)로 제단한 후, 이형지를 제거하여 유리 기판 상에 2kg 롤러로 1 왕복하여 부착하고, 부착된 점착 시트면에 대하여 180°방향으로 300mm/분으로 잡아당겨 박리시킬 때의 접착력을 측정하였다.
구분 내구성 열충격 검사 접착력(g/in)
실시예 1 pass pass 1740
실시예 2 pass pass 1623
실시예 3 pass pass 1689
비교예 1 fail fail 1242
비교예 2 fail fail 1317
표 2의 실험 결과를 살펴보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 따라 제조된 광학용 점착 시트의 경우, 내구성 및 열충격 검사 결과 기포가 발생하지 않아 신뢰성이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표면 거칠기가 큰 이형지에 점착제층을 얇게 형성하더라도 점착제층의 표면 거칠기 증가가 완화되기 때문에 점착 특성이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4)

  1. 표면 거칠기(R1)가 400 nm 이상인 이형지와 플라스틱 필름 사이에 점착제층이 개재되며,
    상기 플라스틱 필름과 접하는 상기 점착제층의 상부 표면 거칠기(R2)와 상기 이형지와 접하는 상기 점착제층의 하부 표면 거칠기(R3)의 차이가 500 nm 이상인 광학용 점착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상부 표면 거칠기(R2)와 상기 점착제층과 접하는 플라스틱 필름의 하부 표면 거칠기(R4)의 차이는 50 nm 미만인 광학용 점착 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는 50 μm 이상 150 μm 미만인 광학용 점착 시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상부 표면 거칠기(R2)는 100 nm 이하인 광학용 점착 시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상부 표면 거칠기(R2)와 상기 점착제층과 접하는 이형지의 표면 거칠기(R1)의 차이는 300 nm 이상인 광학용 점착 시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은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모노머와 카르복실기를 포함하는 가교성 모노머의 중합물인 수지 조성물이 경화되어 형성된 광학용 점착 시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 80 내지 95 중량부와 카르복실기를 포함하는 가교성 모노머 5 내지 20 중량부의 중합물인 광학용 점착 시트.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는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메타) 아크릴레이트, n-뷰틸 (메타)아크릴레이트, t-뷰틸 (메타)아크릴레이트, sec-뷰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뷰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인 광학용 점착 시트.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카르복실기를 포함하는 가교성 모노머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2-(메타)아크릴로일옥시 아세트산, 3-(메타)아크릴로일옥시 프로필산, 4-(메타)아크릴로일옥시 뷰틸산, 아크릴산 이중체, 이타콘산, 말레산,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인 광학용 점착 시트.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중량 평균 분자량이 300만 내지 700만인 제1 경화제 및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0 내지 300인 제2 경화제를 더 포함하는 광학용 점착 시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화제와 제2 경화제의 중량 비율은 1:2 내지 2:1인 광학용 점착 시트.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화제는 폴리에틸렌글라이콜 다이아크릴레이트(polyethylene glycol diacrylate), 폴리프로필렌 다이아크릴레이트(polypropylene glycol diacrylate), 테트라에틸렌글라이콜 다이아크릴레이트(tetraethylene glycol diacrylate) 및 이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인 광학용 점착 시트.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경화제는 1,3-뷰틸렌 글라이콜 다이아크릴레이트(1,3-butylene glycol diacrylate), 1,3-뷰틸렌 글라이콜 다이메타크릴레이트(1,3-butylene glycol dimethacrylate), 1,4-뷰탄다이올 다이아크릴레이트(1,4-butanediol diacrylate), 1,4-뷰탄다이올 다이메타크릴레이트(1,4-butanediol dimethacrylate), 1,6-헥산다이올 다이아크릴레이트(1,6-hexanediol diacrylate), 1,6-헥산다이올 다이메타크릴레이트(1,6-hexanediol dimethacrylate), 1,6-헥산다이올 다이바이닐 에터(1,6-hexanediol divinyl ether) 및 이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인 광학용 점착 시트.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필름은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부텐 필름, 폴리부타디엔 필름, 폴리메틸펜텐 필름, 폴리염화비닐 필름, 염화비닐 공중합체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뷰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우레탄 필름 및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필름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인 광학용 점착 시트.
KR1020150088521A 2015-06-22 2015-06-22 광학용 점착 시트 KR1019880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8521A KR101988075B1 (ko) 2015-06-22 2015-06-22 광학용 점착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8521A KR101988075B1 (ko) 2015-06-22 2015-06-22 광학용 점착 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035A true KR20170000035A (ko) 2017-01-02
KR101988075B1 KR101988075B1 (ko) 2019-06-12

Family

ID=57810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8521A KR101988075B1 (ko) 2015-06-22 2015-06-22 광학용 점착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807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2220A (ko) * 2006-10-18 2009-07-29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표면 보호 필름 및 표면 보호 필름이 부착된 광학 필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2220A (ko) * 2006-10-18 2009-07-29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표면 보호 필름 및 표면 보호 필름이 부착된 광학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8075B1 (ko) 2019-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28251B (zh) 偏光板用黏著劑組成物、偏光板用黏著片、附黏著劑層之偏光板、積層體及平板顯示器
KR101374374B1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필름,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부재
TW202000837A (zh) 可撓性影像顯示裝置用黏著劑層、可撓性影像顯示裝置用積層體、及可撓性影像顯示裝置
EP2557486B1 (en) Adhesive film for a touch panel, and touch panel
EP2557135B1 (en) Adhesive composition, adhesive sheet, and touch panel
KR20240034853A (ko) 플렉시블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 및 플렉시블 화상 표시 장치
KR101923941B1 (ko) 광학용 점착 시트
KR101775186B1 (ko) 터치패널용 점착제 조성물, 점착 필름 및 터치 패널
KR20140106395A (ko) 점착성 조성물, 점착제 및 점착시트
KR20140031371A (ko) 정전 용량 터치 패널
TW201139148A (en) Heat activated optically clear adhesive for bonding display panels
KR20140109265A (ko) 점착성 조성물, 점착제 및 점착시트
JP2020125495A (ja) タッチパネル用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フィルムおよびタッチパネル
JP6241345B2 (ja) 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JP6206721B2 (ja) 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KR101906638B1 (ko) 터치패널용 점착제 조성물, 점착 필름 및 터치 패널
KR101888720B1 (ko) 터치패널용 점착제 조성물, 점착 필름 및 터치 패널
KR20140136265A (ko) 터치패널용 점착제 조성물, 점착 필름 및 터치 패널
KR101988075B1 (ko) 광학용 점착 시트
JP6237393B2 (ja) 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JP6024382B2 (ja) 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及び画像表示装置
JP2022173272A (ja) 光学部材用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粘着シート
JP6299327B2 (ja) 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KR20150069157A (ko) 터치스크린패널 공정용 ito 내열보호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US20140349055A1 (en) Adhesive composition, adhesive sheet, and touch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