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6373A - 중량물 이동 크레인 유닛 - Google Patents

중량물 이동 크레인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6373A
KR20160146373A KR1020150083565A KR20150083565A KR20160146373A KR 20160146373 A KR20160146373 A KR 20160146373A KR 1020150083565 A KR1020150083565 A KR 1020150083565A KR 20150083565 A KR20150083565 A KR 20150083565A KR 20160146373 A KR20160146373 A KR 201601463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rane
moving object
girder frame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3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2551B1 (ko
Inventor
박정인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83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2551B1/ko
Publication of KR20160146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63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2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2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B66C17/06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B66C17/06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 B66C17/2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for hoisting or lowering heavy load carriers, e.g. freight containers, railway wag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중량물 이동 크레인 유닛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량물 이동 크레인 유닛은 서로 다른 용량을 갖는 제1 내지 제2 크레인에서 연장된 연결 후크와 연결된 거더 프레임; 상기 거더 프레임의 내측에 위치된 모터 유닛; 상기 모터 유닛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이 이루어지는 회전 유닛; 상기 회전 유닛에 축 결합되어 상기 거더 프레임의 하측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회전 유닛의 작동에 따라 상기 거더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후크 유닛; 및 상기 후크 유닛에 상단이 연결되고 하단이 지면에 위치된 이동 대상물에 대한 픽업을 위해 연장된 호이스트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중량물 이동 크레인 유닛{Heavy movement crane unit}
본 발명은 수백 톤의 무게를 갖는 이동 대상물을 복수 개의 크레인을 이용하여 원하는 위치로 손쉽게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중량물 이동 크레인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레인(Crane)은 중량물을 들어올려서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계를 칭하며, 기중기고도 한다. 상기 크레인은 각종 공장, 항만, 창고 등에서 재료나 제품 또는 기타 중량물을 입체적으로 이동시키는 작업에 쓰이며, 호이스트나 체인블록에 비하여 한층 무거운 중량물을 다루는데 사용된다.
한편, 천정크레인은 크레인의 종류 중 가장 흔히 사용되는 것으로 공장의 천장 부분에 설치하기 때문에 이런 명칭이 사용되었다. 상기한 천정크레인은 서로 마주보는 벽을 따라 레일을 부설하고, 상기 레일에 직각으로 주행 하는 빔(Beam)을 설치한다. 이와 같은 빔에 권양 및 횡행장치를 갖는 트롤리(Trolley)가 부설되어 트롤리로부터 후크(Hook)를 내려서 중량물을 끌어올린다. 빔의 주행과 빔 위에서의 가로 움직임을 적당히 조절하면 건물 내의 어느 장소에도 중량물을 운반할 수 있다.
작은 것은 사람이 수동으로 운전하나, 보통은 빔에 매달린 운전실에 사람이 타고, 상기 운전실에서 후크에 매달 린 중량물을 내려 다 보면서 운전을 하게 된다
예를 들어 크레인을 이용하여 수백 톤의 무게를 갖는 이동 대상물에 대한 이동을 실시하고자 할 때 1개의 크레인을 이용하여 이동을 실시할 경우 무게에 따른 크레인의 용량이 부족할 경우 이동이 불가능한 상태가 되거나 이동 도중 이동 대상물이 낙하될 수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게 되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20048082호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및 서로 다른 용량을 갖는 복수개의 크레인을 이용하여 수백 톤의 무게를 갖는 이동 대상물에 대한 안정적인 이동을 실시할 수 있는 중량물 이동 크레인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서로 다른 용량을 갖는 제1 내지 제2 크레인에서 연장된 연결 후크와 연결된 거더 프레임; 상기 거더 프레임의 내측에 위치된 모터 유닛; 상기 모터 유닛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이 이루어지는 회전 유닛; 상기 회전 유닛에 축 결합되어 상기 거더 프레임의 하측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회전 유닛의 작동에 따라 상기 거더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후크 유닛; 및 상기 후크 유닛에 상단이 연결되고 하단이 지면에 위치된 이동 대상물에 대한 픽업을 위해 연장된 호이스트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크레인의 연결 후크는 상기 거더 프레임의 상면 일측 단부 내측에 고정되고, 상기 제2 크레인의 연결 후크는 상기 거더 프레임의 상면 타측 단부 내측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크레인의 연결 후크와 상기 제2 크레인의 연결 후크는 상기 거더 크레인의 내측에서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더 프레임은 상기 모터 유닛이 위치된 내측 하면에 제1 연장길이로 수평하게 연장된 수평 연장부; 상기 수평 연장부의 좌측과 우측 단부에서 상기 거더 프레임의 상측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연장된 경사부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 유닛은 상기 모터 유닛에서 연장된 회전축과 커플링을 매개로 외측을 향해 연장된 연장 샤프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장 샤프트에는 축 방향으로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축 삽입된 상태로 상기 거더 프레임의 내측에 지지 유닛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 대상물이 후크 유닛에 의해 로딩될 경우 상기 이동 대상물의 무게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호이스트 유닛에 구비된 제1 감지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이동 대상물이 후크 유닛에 의해 로딩될 경우 상기 제1 크레인과 제2 크레인에서 연장된 연결 후크에 각각 가해지는 무게를 감지하기 위한 제2 내지 제3 감지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이동 대상물이 지면에서 이격된 후에 상기 거더 프레임이 제1 내지 제2 크레인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될 경우 상기 제1 감지부에서 감지된 이동 대상물의 무게에 따른 데이터에 따라 상기 후크 유닛을 상기 거더 프레임에서 수평 방향으로 위치 이동 시키기 위해 모터 유닛의 작동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대상물에 대한 무게 데이터를 입력 받은 후에 상기 이동 대상물과 호이스트 유닛을 매개로 연결된 후크 유닛을 상기 제1 크레인과 제2 크레인 사이에서 발생된 서로 다른 무게 중심에 따라 정 중앙 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해 상기 모터 유닛의 작동 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조선소 또는 중량물이 취급되는 각종 현장에서 서로 다른 용량을 갖는 복수개의 크레인을 이용하여 원하는 위치로 이동 대상물을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성 향상과, 작업에 따른 안전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동 대상물이 수백 톤에 이르는 무게를 갖는 경우에도 작업자가 손쉽게 원하는 위치로 이동을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중량물 이동 크레인 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중량물 이동 크레인 유닛에 의해 이동 대상물이 로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중량물 이동 크레인 유닛에 구비된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연계된 주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중량물 이동 크레인 유닛에 의해 이동 대상물이 로딩 되는 상태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량물 이동 크레인 유닛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중량물 이동 크레인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중량물 이동 크레인 유닛에 의해 이동 대상물이 로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중량물 이동 크레인 유닛(1)은 수 백톤의 무게를 갖는 이동 대상물(2)에 대한 이동을 작업 현장에서 편리하게 실시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상기 중량물 이동 크레인 유닛(1)의 경우 서로 다른 용량을 갖는 제1 내지 제2 크레인(10,20)에 의해 후술할 거더 프레임(100)이 지면을 향해 승강 또는 하강되고, 호이스트 유닛(500)을 통해 상기 이동 대상물(2)에 대한 픽업을 실시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거더 프레임(100)과, 모터 유닛(200)과, 회전 유닛(300)과 후크 유닛(400) 및 호이스트 유닛(50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거더 프레임(100)은 고장력 장판을 이용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로 제작하며 서로 다른 용량을 갖는 제1 내지 제2 크레인(10,20)에서 연장된 연결 후크(11,21)와 연결된다.
거더 프레임(100)은 수평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고 내측에 구조적인 강도 보강을 위해 다수개의 지지 리브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모터 유닛(200)이 위치된 내측 하면에 제1 연장길이(L)로 수평하게 연장된 수평 연장부(110)와, 상기 수평 연장부(110)의 좌측과 우측 단부에서 상기 거더 프레임(100)의 상측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연장된 경사부(120)를 포함한다.
수평 연장부(110)는 후술할 모터유닛(200)과 회전 유닛(300)이 위치되는 곳으로써, 상기 모터유닛(200)의 안정적인 작동을 도모하고 상기 회전유닛(300)의 안정적인 회전을 통해 호이스트 유닛(500)에 고정된 이동 대상물(2)의 낙하 및 파손을 방지하고 이로 인해 작업자의 작업성 향상과 안정적인 작업 환경을 도모할 수 있다.
경사부(120)는 거더 프레임(100)의 중량 감소를 위해 특정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되며, 특별히 특정 각도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동 대상물(2)은 수 백톤에 이르는 무게를 갖는데 실제 현장에서 이동 대상물(2)을 특정 위치로 손쉽게 이동하기 위해서는 상기 이동 대상물(2)의 무게를 안정적으로 지지 할 수 있는 크레인이 반드시 필요하게 되고, 상기 크레인이 적어도 2개 가동될 경우 거더 프레임(100)의 변형 또는 파손이 발생되지 않는 구성을 갖는 것은 상당히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600톤의 무게를 갖는 이동 대상물에 대한 이동을 위해 단일 크레인을 이용하여 이동을 실시하는 것 보다는 이동 대상물에 무게를 초과하는 용량을 갖는 복수개의 크레인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 대상물(2)에 대한 이동을 실시하는 것이 작업자의 안전과 상기 이동 대상물(2)에 대한 안정적인 이동을 동시에 도모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인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이를 위해 제1 크레인(10)은 350톤의 무게를 이동시킬 수 있는 크레인이 사용되고, 제2 크레인(20)은 450톤의 무게를 이동시킬 수 있는 크레인이 사용되나 반드시 전술한 무게로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동될 수 있다. 또한 제1 크레인(10)과 제2 크레인(20)은 상기 이동 대상물(2)의 전체 무게보다 높은 무게를 이동시킬 수 있는 용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제1 크레인(10)과 제2 크레인(20)은 중량물 이동 크레인 유닛(1)이 위치된 건축물의 천정에 설치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 외부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연결 후크(11)는 제1 크레인(10)에서 연장되어 상기 거더 프레임(100)의 상면 좌측 단부 내측에 설치되고, 제2 크레인(21)에서 연장된 연결 후크(21)는 상기 거더 프레임(100)의 상면 우측 단부 내측에 설치되며, 각각의 연결 후크(11,21)는 상기 거더 프레임(100)의 내측에서 이탈 또는 분리되지 않도록 별도의 고정부재(미도시)를 통해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상기 제1 크레인(10)의 연결 후크(11)와 상기 제2 크레인(20)의 연결 후크(21)는 상기 거더 크레인(100)의 내측에서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배치되는데, 이 경우 각각의 연결 후크(11,21)는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어 이동 대상물(2)이 호이스트 유닛(500)에 의해 로딩되는 경우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가 유지된다.
참고로 로딩의 의미는 이동 대상물(2)이 지면에서 상기 호이스트 유닛(500)에 의해 들어올려진 상태를 의미한다.
모터 유닛(200)은 수평 연장부(110)의 내측 상면에 고정되고 외부에서 공급된 별도의 전원을 입력받아 작동되며, 상기 모터 유닛(200)에서 연장된 회전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모터 유닛(200)은 후술할 연장 샤프트(310)의 안정적인 회전을 위한 용량을 갖는 모터가 사용되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또는 복수개의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회전 유닛(300)은 거더 프레임(100)의 내측에 위치되는데, 수평 연장부(110)에 위치되며 모터 유닛(200)에서 연장된 회전축과 커플링(3)을 매개로 상기 수평 연장부(1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 샤프트(310)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 샤프트(310)는 외주면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장 샤프트(310)는 수평 연장부(110)에서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고, 회전시 발생되는 흔들림과 진동이 최소화 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장 샤프트(310)에 후크 유닛(400)의 상단에 구비된 락 스크류(410)가 상대 회전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연장 샤프트(310)가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상기 후크 유닛(400)이 상기 연장 샤프트(3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대 회전되어 손쉽게 이동된다.
상기 연장 샤프트(310)에는 축 방향으로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축 삽입된 상태로 상기 거더 프레임(100)의 내측에 지지 유닛(320)이 설치되는데, 상기 지지 유닛(320)은 연장 샤프트(310)의 안정적인 회전을 위해 링 형태로 형성된 지지 바디의 내주면에 베어링이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연장 샤프트(310)가 특정 속도로 회전되는 경우 마찰로 인한 동력 손실이 최소화된다.
상기 연장 샤프트(310)는 수평 연장부(110)의 상면과 일정 간격이상 이격된 상태에서 회전되므로 회전에 따른 주변 구조물과 간섭이 발생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모터 유닛(200)과 커플링(3) 사이에는 감속기가 설치되어 상기 연장 샤프트(310)의 회전 토크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후크 유닛(400)과 호이스트 유닛(500) 및 이동 대상물(2)의 무게에 따른 토크를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중량체인 이동 대상물(2)의 무게 의해 상기 후크 유닛(400)의 처짐이 방지되도록 상기 락 스크류(410)의 하면에 별도의 롤러(60)가 구비되어 있어 수평 연장부(1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 수평 상태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롤러(60)는 수평 연장부(610)의 상면과 구름 접촉되므로 후크 유닛(400)이 좌측 또는 우측을 향해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크 유닛(400)은 전술한 연장 샤프트(310)를 통한 상대 이동 방식 이외에도 랙 피니언의 구성으로 대처되어 상대 이동될 수 있으며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구성으로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동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호이스트 유닛(500)은 상기 후크 유닛(400)에 상단이 연결되고 하단이 지면에 위치된 이동 대상물(2)에 대한 픽업을 위해 연장되는데, X자 형태의 집게 구조로 이루어져 이동 대상물(2)에 대한 로딩 및 언로딩을 손쉽게 실시할 수 있다. 여기서 언로딩의 의미는 이동 대상물을 A위치에서 로딩한 후에 B위치로 이동시킨 후에 고정이 해제된 상태를 말한다.
호이스트 유닛(500)이 X자 형태로 구성될 경우 이동 대상물(2)의 하중이 수 백톤에 이르는 경우에도 분산된 상태로 로딩이 가능하여 보다 안전하게 이동 대상물(2)에 대한 이동을 실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중량물 이동 크레인 유닛은 이동 대상물(2)이 후크 유닛(400)에 의해 로딩될 경우 상기 이동 대상물(2)의 무게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호이스트 유닛(500)에 구비된 제1 감지부(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 대상물(2)이 후크 유닛(400)에 의해 로딩될 경우 상기 제1 크레인(10)과 제2 크레인(20)에서 연장된 연결 후크(11,21)에 각각 가해지는 무게를 감지하기 위한 제2 내지 제3 감지부(40, 5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감지부(30)는 로드 셀, 스트레인 게이지 또는 이와 유사하게 무게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다른 구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감지부(30)에서 감지된 데이터는 후술할 제어부(600)로 전송된다.
또한 상기 제2 내지 제3 감지부(40, 50)는 제1,2 크레인(10, 20)에 가해지는 무게를 감지하여 제어부(600)에 전송하여 이동 대상물(2)의 무게에 따른 안정적인 이동을 위한 데이터로 활용된다.
제어부(600)는 상기 이동 대상물(2)이 지면에서 이격된 후에 상기 거더 프레임이 제1 내지 제2 크레인(10, 20)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될 경우 상기 제1 감지부(30)에서 감지된 이동 대상물(2)의 무게에 따른 데이터에 따라 상기 후크 유닛(400)을 상기 거더 프레임(100)에서 수평 방향으로 위치 이동 시키기 위해 모터 유닛(200)의 작동 상태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이동 대상물(2)에 대한 무게 데이터를 입력 받은 후에 상기 이동 대상물(2)과 호이스트 유닛(500)을 매개로 연결된 후크 유닛(400)을 상기 제1 크레인(10)과 제2 크레인(20) 사이에서 발생된 서로 다른 무게 중심에 따라 정 중앙 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해 상기 모터 유닛(200)의 작동 상태를 제어한다.
첨부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이동 대상물(2)이 지면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1 내지 제2 크레인(10, 20)이 작동되어 거더 프레임(100)은 지면을 향해 화살표 방향으로 하향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 대상물(2)에 호이스트 유닛(500)이 고정된 상태로 연결되고, 하향 이동된 상기 거더 프레임(100)은 상측으로 이동된다.
제1 감지부(30)는 이동 대상물(2)이 로딩될 경우 현재 이동 호이스트 유닛(500)에 가해지는 무게를 감지하여 제어부(600)로 전송하고, 제2 감지부(40)와 제2 감지부(50)를 통해서도 현재 제1,2 크레인(10, 20)에 가해지는 무게가 감지되어 제어부(600)로 전송된다.
모터 유닛(200)은 제어부(600)에 의해 작동 상태가 제어되는데, 상기 이동 대상물(2)이 로딩될 경우 제1 크레인(10)과 제2 크레인(20)의 평형 상태가 유지되도록 점선으로 도시한 위치로 좌측 또는 우측을 향해 선택적으로 이동 대상물(2)이 이동되도록 회전된다. 제어부(600)는 상기 모터 유닛(200)에 대한 제어를 실시하되, 상기 연장 샤프트(310)의 회전 방향과 회전 속도를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이동 후크 유닛(400)의 위치 이동을 실시한다.
후크 유닛(400)은 연장 샤프트(310)의 회전에 따라 락 스크류(410)가 길이 방향을 따라 용이하게 상대 이동될 수 있어 제1 크레인(10) 또는 제2 크레인(2)에 가해지는 무게에 따라 거더 프레임(100)의 좌우 평형이 유지되도록 상기 연장 샤프트(310)의 길이 방향에서 이동될 수 있어 이동 대상물(2)의 무게와 상관 없이 안정적인 이동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20 : 제1,2 크레인
11, 21 : 연결 후크
30, 40, 50 : 제1,2,3 감지부
100 : 거더 프레임
110 : 수평 연장부
120 : 경사부
200 : 모터 유닛
300 : 회전 유닛
310 : 샤프트
320 : 지지 우닛
400 : 후크 유닛
500 : 호이스트 유닛
600 : 제어부

Claims (10)

  1. 서로 다른 용량을 갖는 제1 내지 제2 크레인에서 연장된 연결 후크와 연결된 거더 프레임;
    상기 거더 프레임의 내측에 위치된 모터 유닛;
    상기 모터 유닛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이 이루어지는 회전 유닛;
    상기 회전 유닛에 축 결합되어 상기 거더 프레임의 하측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회전 유닛의 작동에 따라 상기 거더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후크 유닛; 및
    상기 후크 유닛에 상단이 연결되고 하단이 지면에 위치된 이동 대상물에 대한 픽업을 위해 연장된 호이스트 유닛을 포함하는 중량물 이동 크레인 유닛.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크레인의 연결 후크는 상기 거더 프레임의 상면 일측 단부 내측에 고정되고, 상기 제2 크레인의 연결 후크는 상기 거더 프레임의 상면 타측 단부 내측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이동 크레인 유닛.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크레인의 연결 후크와 상기 제2 크레인의 연결 후크는 상기 거더 크레인의 내측에서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이동 크레인 유닛.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거더 프레임은,
    상기 모터 유닛이 위치된 내측 하면에 제1 연장길이로 수평하게 연장된 수평 연장부;
    상기 수평 연장부의 좌측과 우측 단부에서 상기 거더 프레임의 상측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연장된 경사부를 포함하는 중량물 이동 크레인 유닛.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유닛은,
    상기 모터 유닛에서 연장된 회전축과 커플링을 매개로 외측을 향해 연장된 연장 샤프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이동 크레인 유닛.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샤프트에는 축 방향으로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축 삽입된 상태로 상기 거더 프레임의 내측에 지지 유닛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이동 크레인 유닛.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대상물이 후크 유닛에 의해 로딩될 경우 상기 이동 대상물의 무게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호이스트 유닛에 구비된 제1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중량물 이동 크레인 유닛.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대상물이 후크 유닛에 의해 로딩될 경우 상기 제1 크레인과 제2 크레인에서 연장된 연결 후크에 각각 가해지는 무게를 감지하기 위한 제2 내지 제3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중량물 이동 크레인 유닛.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대상물이 지면에서 이격된 후에 상기 거더 프레임이 제1 내지 제2 크레인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될 경우 상기 제1 감지부에서 감지된 이동 대상물의 무게에 따른 데이터에 따라 상기 후크 유닛을 상기 거더 프레임에서 수평 방향으로 위치 이동 시키기 위해 모터 유닛의 작동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중량물 이동 크레인 유닛.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대상물에 대한 무게 데이터를 입력 받은 후에 상기 이동 대상물과 호이스트 유닛을 매개로 연결된 후크 유닛을 상기 제1 크레인과 제2 크레인 사이에서 발생된 서로 다른 무게 중심에 따라 정 중앙 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해 상기 모터 유닛의 작동 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이동 크레인 유닛.
KR1020150083565A 2015-06-12 2015-06-12 중량물 이동 크레인 유닛 KR101752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3565A KR101752551B1 (ko) 2015-06-12 2015-06-12 중량물 이동 크레인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3565A KR101752551B1 (ko) 2015-06-12 2015-06-12 중량물 이동 크레인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6373A true KR20160146373A (ko) 2016-12-21
KR101752551B1 KR101752551B1 (ko) 2017-06-29

Family

ID=57735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3565A KR101752551B1 (ko) 2015-06-12 2015-06-12 중량물 이동 크레인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25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22760A (zh) * 2019-07-23 2019-12-03 集美大学 泡叶藻聚糖的用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8082A (ko) 2000-12-16 2002-06-22 이구택 호이스트 상승 제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5445Y1 (ko) * 2000-03-20 2000-09-01 김덕신 크레인용 행거 밸런스 빔
JP2010208746A (ja) * 2009-03-09 2010-09-24 Isuzu Motors Ltd ワーク吊り上げ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8082A (ko) 2000-12-16 2002-06-22 이구택 호이스트 상승 제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22760A (zh) * 2019-07-23 2019-12-03 集美大学 泡叶藻聚糖的用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2551B1 (ko) 2017-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07837B2 (en) Transport unit
CN104140037B (zh) 墙板吊装系统
KR20030012146A (ko) 카운터웨이트를 이용한 기중 장치
KR101752551B1 (ko) 중량물 이동 크레인 유닛
CN103058069B (zh) 平臂式塔式起重机
KR20100105034A (ko) 지브크레인
EP2636631A1 (en) Lifting device and method for lifting products
KR100847906B1 (ko) 멀티 크레인
JP7379926B2 (ja) スタッカクレーン
KR20100004660A (ko) 이동식 크레인
JP4959664B2 (ja) クレーン及びクレーンによるコンテナの吊り下ろし方法
CN103058059B (zh) 双平臂塔式起重机及其起重小车同步控制装置
JP6745505B2 (ja) 荷役助力装置
JPH06305683A (ja) クレーン用吊荷装置
CN212269252U (zh) 一种用于pc构件吊装的转运车控制系统
JP7253167B2 (ja) 荷役助力装置
JPH1087277A (ja) 物品吊り上げ搬送装置
JP6996695B2 (ja) トロリおよびトロリによる荷役方法
JP2001341972A (ja) リフティングマグネット吊具とその水平制御方法
JP4477205B2 (ja) 吊荷の振れ止め装置
RU2385282C1 (ru) Траверса
JP6223888B2 (ja) 橋形クレーン
CN206544871U (zh) 一种自动化机械吊具
JP2015189542A (ja) 岸壁クレーン
KR100578077B1 (ko) 컨테이너의 흔들림을 제어하는 컨테이너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