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5445Y1 - 크레인용 행거 밸런스 빔 - Google Patents

크레인용 행거 밸런스 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5445Y1
KR200195445Y1 KR2020000007865U KR20000007865U KR200195445Y1 KR 200195445 Y1 KR200195445 Y1 KR 200195445Y1 KR 2020000007865 U KR2020000007865 U KR 2020000007865U KR 20000007865 U KR20000007865 U KR 20000007865U KR 200195445 Y1 KR200195445 Y1 KR 2001954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hanger
support frame
cran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78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신
Original Assignee
김덕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신 filed Critical 김덕신
Priority to KR20200000078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54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54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54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04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05Lifting beam permitting to depose a load through an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철근이나 파이프 기타 철골빔 등과 같이 일정 길이를 갖는 물건을 들어 올려 소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물건의 무게중심을 자동으로 맞추어 수평으로의 균형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운반작업의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구성된 크레인용 행거 밸런스 빔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일정길이를 갖는 안내레일이 구비되며, 양측에 행거가 회동 가능하게 대칭되어 결합된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안내레일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송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가이드지지블럭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하된 복수개의 가이드지지블럭이 일정 비율로 좌우 대칭되어 이송되도록 하는 블록이송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용 행거 밸런스 빔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크레인용 행거 밸런스 빔{hanger balance beam for the crane}
본 고안은 크레인용 행거 밸런스 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철근이나 파이프 기타 철골빔 등과 같이 일정 길이를 갖는 물건을 들어 올려 소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물건의 무게중심을 자동으로 맞추어 수평으로의 균형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운반작업의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구성된 크레인용 행거 밸런스 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이프나 철근과 같이 일정길이를 갖는 물건을 들어 올리는 경우
종래에는 들어 올려지게되는 물건의 무게중심을 맞추어 균형이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행거(11)에 의해 크레인에 묶이는 지지프레임 (12)양측에 파이프나 철근 등과 같은 물건(20)을 묶은 와이어(13)가 연결되는 고정블럭(14)이 고정 결합되어 이루어진 행거빔(10)이 이용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행거빔은 물건을 묶은 와이어(13)가 연결되는 행거빔(10)의 고정블럭(14)이 지지프레임(12)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대칭되어 고정 결합되어 있음으로, 물건(20)의 길이가 긴 경우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건(20)을 묶은 와이어(13)가 물건(20) 및 고정블럭(14)에 대하여 기울어지게됨으로 상기 와이어(13)에 집중되는 장력 즉 인장강도가 기울어지는 경사각의 크기에 비례하여 증가하게 됨으로 와이어(13)가 견딜수 있는 인장강도 이하에서 파손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물건(20)을 묶은 와이어(13)가 물건(20)의 중간부위로 미끄러지게되면 물건(20)이 균형을 잃으며 기울어지면서 와이어(13)에서 빠지게되어 자칫 대형사고를 유발할 수 있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철근이나 파이프 기타 철골빔 등과 같이 일정 길이를 갖는 물건을 들어 올려 소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물건의 무게중심을 자동으로 맞추어 상기 와이어에 묶인 물건이 수평으로의 균형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운반작업의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구성된 크레인용 행거 밸런스 빔을 제공 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일정길이를 갖는 안내레일이 구비되며, 양측에 행거가 회동 가능하게 대칭되어 결합된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안내레일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송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가이드지지블럭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하된 복수개의 가이드지지블럭이 일정 비율로 좌우 대칭되어 이송되도록 하는 블록이송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용 행거 밸런스 빔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블록이송수단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안내롤러와; 양단부가 상기 안내롤러를 지나 복수개의 가이드지지블럭에 각각 고정 결합되는 복수개의 이송와이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용 행거 밸런스 빔이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크레인용 행거 빔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크레인용 행거 밸런스 빔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인 크레인용 행거 밸런스 빔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인 크레인용 행거 밸런스 빔의 사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지지프레임 110 : 채널빔
111 : 안내레일 112 : 안내홀
113 : 축공 120 : 행거
121 : 끼움공 122 : 회동축
130 : 보강빔 133 : 축공
140 : 마감플레이트 141 : 결합공
200 : 가이드지지블럭 210 : 가이드플레이트
211 : 지지공 220 : 이송롤러
221 : 축핀 230 : 연결플레이트
231 : 연결공 232 : 볼트
300 : 블록이송수단 310 : 안내롤러
311 : 축핀 320 : 이송와이어
330 : 지지편 331 : 수나사부
340 : 너트 350 : 연결롤러
351 : 나사축 400 : 와이어
500 : 물건
이하 본 고안인 크레인용 행거 밸런스 빔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크레인용 행거 밸런스 빔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인 크레인용 행거 밸런스 빔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크레인용 행거 밸런스 빔은 일정길이를 갖는 안내레일(111)이 구비되며 양측에 크레인의 후크가 끼워지도록 끼움공(121)이 구비된 행거(120)가 회동 가능하게 대칭되어 결합된 지지프레임(100)과,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안내레일(111)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송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가이드지지블럭(200)과, 상기 지지프레임(100)에 결하된 복수개의 가이드지지블럭(200)이 일정 비율로 좌우 대칭되어 이송되도록 하는 블록이송수단(3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프레임(100)은 하단부에 안내레일(111) 및 상기 안내레일(111) 사이로 안내홀(112)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채널빔(110)의 상단 중심부에 트러스형상의 보강빔(130)이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채널빔(110)의 양단에는 마감플레이트(140)가 결합되며, 상기 채널빔(110) 또는 보강빔(130)에는 행거(120)를 지지프레임(1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동축(122)이 삽입되도록 축공(113)(133)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지지블럭(200)은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안내홀(112)을 따라 이송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복수개의 가이드플레이트(210)의 양면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송롤러(220)가 회전 가능하게 축핀(221) 결합되고, 상기 각각의 가이드플레이트(210) 하단부 양면에는 와이어(400) 또는 와이어(400)가 결합된 후크가 끼워지는 연결공(231)이 적어도 한 개소 이상 형성된 연결플레이트(230)가 볼트(232)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플레이트(210)가 일체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블록이송수단(300)은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양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안내롤러(310)와, 양단부가 상기 안내롤러(310)를 지나 복수개의 가이드지지블럭(200)에 각각 교차되어 고정 결합되는 복수개의 이송와이어(320)로 구성된다.
상기 안내롤러(310)가 지지프레임(1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는 단면 ??형상의 지지편(330) 내부에 안내롤러(310)가 회동 가능하게 축핀(311) 결합되고, 상기 지지편(330)의 배면에는 수나사부(331)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마감플레이트(140)에는 상기 지지편(330)의 수나사부(331)가 삽입되는 결합공(141)이 형성되고, 상기 마감플레이트(140)의 결합공(141)에 삽입된 수나사부(331)에는 너트(340)가 체결되어 상기 안내롤러(310)가 지지프레임(100)에 탈장착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이송와이어(32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지지블럭(200)과 이송와이어(320)의 결합은 상기 가이드지지블럭(200)의 가이드플레이트(210) 상단부 모서리에 지지공(211)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공(211)에는 이송와이어(320)가 끼워지는 연결롤러(35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나사축(351)이 삽입되며,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10)의 지지공(211)에 삽입된 나사축(351)에는 너트(340)가 체결되어 상기 이송와이어(320)가 가이드지지블럭(200)에 탈장착 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크레인용 행거 밸런스 빔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들어 올려 이동시키고자 하는 물건(500)의 길이에 따라 상기 지지프레임(100)에 길이방향으로 이송 가능하도록 결합된 일측 가이드지지블럭(200)을 손으로 잡고 밀어 이동시킨다.
그러면, 양단부가 각각 상기 일측 가이드지지블럭(200)과 타측 가이드지지블럭(200)에 고정 결합된 복수개의 이송와이어(320)에 의해 상기 타측 가이드지지블록이 잡아 당겨지면서 이송되어 상기 지지프레임(100)에 결합된 복수개의 가이드지지블럭(200) 간의 간격이 상호 비례하게 대칭되어 벌어지거나 좁혀지게된다.
이후 상기와 같이 조절된 가이드지지블럭(200)에 각각 물건(500)이 묶인 와이어(400)를 연결하고 이후 지지프레임(100)의 행거(120)에 연결된 크레인을 올리게되면, 상기 본 고안에 의한 크레인용 행거 밸런스 빔과 와이어(400)에 의해 연결된 물건(500)이 수평으로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들어 올려지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지지블럭(200)에 연결된 와이어(400)는 상기 가이드지지블럭(200)이 지지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자동으로 이송되면서 상기 물건(500)과 지지프레임(100)에 대하여 수직상태가 됨으로 상기 와이어(400)에 집중되는 장력 즉 인장강도가 물건(500)의 무게와 같게됨으로 와이어(400)가 견딜 수 있는 인장강도와 비례하거나 그 보다 작은 무게의 물건(500)까지 들어올릴 수 있게된다.
특히, 본 고안에 의한 크레인용 행거 밸런스 빔을 이용하여 파이프나 철근 등과 같은 길이를 갖는 물건(500)을 들어 올리는 경우 상기 물건(500)을 묶어 크레인용 행거 밸런스 빔에 연결되는 와이어(400)가 물건(500) 및 크레인용 행거 밸런스 빔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게 됨으로 종래의 행거(120)빔으로 길이를 갖는 물건(500)을 들어 올려 소정의 위치로 옮기는 경우 물건(500)의 양??을 묶은 와이어(400)가 경사진 상태로 물건(500)이 들어 올려지다가 상기 와이어(400)가 물건(500)의 중심으로 미끄러지면서 와이어(400)에 매달린 물건(500)의 중심이 무녀져 한쪽으로 기울어지게되고 그로 인해 상기 와이어(400)에서 물건(500)이 이탈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행거에 의해 크레인에 매달리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이송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가이드지지블럭과,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지지블럭이 간격이 일정 비율로 좌우 대칭되어 벌어지거나 좁혀지도록 하는 블록이송수단으로 구성된 본 고안인 크레인용 행거 밸런스 빔은 파이프나 철근 또는 철골빔 등과 같은 물건의 길이에 따라 지지프레임에 결합된 복수개의 가이드지지블럭이 블록이송수단에 의해 좌우 대칭되어 일정비율로 벌어지거나 좁혀져 간격 조절되도록 하고, 이후 상기 간격 조절된 각각의 가이드지지블럭에 물건의 양측을 각각 묶은 와이어가 지지프레임 및 물건에 대하여 수직으로 매달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들어 올려지는 물건의 균형을 자동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보다 안전적이면서도 간편한 운반작업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일정길이를 갖는 안내레일(111)이 구비되며, 양측에 행거(120)가 회동 가능하게 대칭되어 결합된 지지프레임(100)과;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안내레일(111)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송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가이드지지블럭(200)과; 상기 지지프레임(100)에 결하된 복수개의 가이드지지블럭(200)이 일정 비율로 좌우 대칭되어 이송되도록 하는 블록이송수단(3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용 행거 밸런스 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이송수단(300)은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양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안내롤러(310)와; 양단부가 상기 안내롤러(310)를 지나 복수개의 가이드지지블럭(200)에 각각 고정 결합되는 복수개의 이송와이어(3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용 행거 밸런스 빔.
KR2020000007865U 2000-03-20 2000-03-20 크레인용 행거 밸런스 빔 KR2001954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7865U KR200195445Y1 (ko) 2000-03-20 2000-03-20 크레인용 행거 밸런스 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7865U KR200195445Y1 (ko) 2000-03-20 2000-03-20 크레인용 행거 밸런스 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5445Y1 true KR200195445Y1 (ko) 2000-09-01

Family

ID=19647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7865U KR200195445Y1 (ko) 2000-03-20 2000-03-20 크레인용 행거 밸런스 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544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18239A (zh) * 2013-08-28 2015-03-18 上海核工程研究设计院 起重机组合式平衡梁机构
CN105174086A (zh) * 2015-10-21 2015-12-23 无锡港盛重型装备有限公司 一种悬臂起重机悬臂结构
KR101752551B1 (ko) * 2015-06-12 2017-06-29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중량물 이동 크레인 유닛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18239A (zh) * 2013-08-28 2015-03-18 上海核工程研究设计院 起重机组合式平衡梁机构
KR101752551B1 (ko) * 2015-06-12 2017-06-29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중량물 이동 크레인 유닛
CN105174086A (zh) * 2015-10-21 2015-12-23 无锡港盛重型装备有限公司 一种悬臂起重机悬臂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Z153194A3 (en) Method of mounting jib of a tower crane and device for jib mounting
CN205653032U (zh) 一种异形钢板垂直吊装装置
KR200195445Y1 (ko) 크레인용 행거 밸런스 빔
KR20100086469A (ko) 이동 장치의 중량 부품의 조립 또는 보수에 사용하는 갠트리 장치
CN213923778U (zh) 一种移动吊具设备
CN213141136U (zh) 工字钢吊钩及其吊具
KR101881808B1 (ko) 보강토 블럭 운반용 클램프
KR101929621B1 (ko) 현수교의 주케이블 시공장치 및 시공방법
US4997062A (en) Swing scaffold
US3153828A (en) Triangular d
CN210597039U (zh) 一种现浇箱梁湿接缝混凝土浇筑系统
JPH0694348B2 (ja) ラチスマスト型クレーン
CN218536708U (zh) 石材运输装置
KR20200004451A (ko) 단차 제품 그립핑용 메카니컬 트윈 통스
KR20090009824U (ko) 호이스트 크레인
CN220182544U (zh) 一种桥梁建设的钢筋吊装装置
CN106115495B (zh) 一种伸缩臂桥式起重机
CN218478500U (zh) 一种叉车搬运固定装置
CN220393047U (zh) 一种新型引桥墩身钢筋部品吊具
CN220098267U (zh) 一种建筑施工用大型物料吊装装置
CN218809956U (zh) 一种纸卷吊运小车
CN210366632U (zh) 一种方便集中转运的设备中转平台
CN217780498U (zh) 杠秤式塔吊死角预制构件吊装工具
CN114960427A (zh) 一种悬索桥上部结构施工牵引装置
CN216687083U (zh) 一种市政给排水管网铺设用管道起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