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6168A - 유도가열방식을 이용한 분리형 조리장치 - Google Patents

유도가열방식을 이용한 분리형 조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6168A
KR20160146168A KR1020150082914A KR20150082914A KR20160146168A KR 20160146168 A KR20160146168 A KR 20160146168A KR 1020150082914 A KR1020150082914 A KR 1020150082914A KR 20150082914 A KR20150082914 A KR 20150082914A KR 20160146168 A KR20160146168 A KR 201601461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heating
user
food
vess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2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4632B1 (ko
Inventor
이우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리기술미래
이우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리기술미래, 이우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리기술미래
Priority to KR1020150082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4632B1/ko
Publication of KR20160146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6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4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46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2Control mechanisms for pressure-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6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built-in he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도가열방식을 이용한 분리형 조리장치에 관한 기술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상황에서 사용하는 그릇을 조리용기로 사용하고, IH 가열 방식을 활용하여 음식을 조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도가열방식(IH)을 이용하여 조리 후, 자연스럽게 수증기를 배출하여 조리용기내의 재료가 뭉개지 않는 분리형 조리장치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유도가열방식을 이용한 분리형 조리장치 {SEPARATE COOKING APPARATUS WITH INDEUCTION HEATING}
본 발명은 유도가열방식을 이용한 분리형 조리장치에 관한 기술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상황에서 사용하는 그릇을 조리용기로 사용하고, IH 가열 방식을 활용하여 음식을 조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도가열방식 조리기(Induction Heating Cooker)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열원으로 유도가열(IH: Induction heating)을 사용하는 조리기로, 전원입력에 의해 자력선을 발생하는 워킹코일을 포함하는 유도가열부와, 상기 유도가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유도가열방식 조리기는, 전원이 입력되면 상기 워킹코일에서 자력선이 발생되고, 상기 자력선의 영향권내에 얹혀있는 자성체 재질의 조리용기가 자력선에 의해 발열하여 조리용기 내의 내용물을 가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조리용기와 워킹코일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내열판(Ceramic Plage)에 의해 조리용기의 고열이 유도가열방식 조리기로 전도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조리용기에 피조리물을 채워 넣은 다음 가열모드를 선택하면 유도가열부로 전원이 공급되므로 조리용기와 워킹코일간에 자력선이 발생되고, 상기 워킹코일에 의해 발생된 자력선은 용기를 발열시켜 조리용기내에 피조리물을 조리한다.
또한, 종래 음식물의 취사에 있어 전기압력보온밥솥은 매우 중요한 기능 및 역할을 담당할 정도로 대중화되었고, 그에 따른 기능 및 역할을 갖는 전기압력보온밭솥에 관한 연구개발이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그에 관한 다수의 공지기술이 존재한다.
이러한 유도가열방식과 전기압력보온밥솥을 함께 이용한 기술에 대한 일 가 한국등록특허 제10-1086288호 "유도가열방식 전기압력보온밥솥의 일체형 내솥안착부"에 기술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각 구성(픽스링, 외부케이스, 워킹코일 베이스) 간의 단차가 발생하지 않아 취사시 작동되는 유도가열코일에 의한 취사열, 취사 또는 보온공정시 작동되는 히터에 의한 취사 또는 보온열이 내솥안착부 외부로 노출되는 열을 차단함으로써 열효율이 높은 취사 또는 보온공정의 수행이 가능한 효과를 지닌 기술이다.
그러나 위의 선행기술에 의하더라도 밥솥 내부 기압을 높여 빠른 시간 안에 조리용기(내솥)에 담긴 재료를 가열한 후, 수증기를 빼주지 않으면 재료가 뭉개지는 단점이 존재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86288호 (등록일 2011.11.17)
본 발명은 유도가열방식(IH)을 이용하여 조리 후, 자연스럽게 수증기를 배출하여 조리용기내의 재료가 뭉개지 않는 분리형 조리장치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리용기 자체를 음식그릇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재질로 되어 있으며, 조리장치와 각각 분리가 가능하여 위생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관리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분리형 조리장치는 밥을 조리하는 경우 누룽지를 함께 만들어지며, 조리용기는 스테인리스 소재를 활용하여 세척 시 발생하는 흠집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유도가열방식의 조리장치에서 가열온도, 가열시간 및 가열량을 구분하여 조리용기를 가열하기 때문에 같은 재료(예를 들어, 쌀)를 이용하더라도 다양한 조리(예를 들어, 밥, 누룽지, 숭늉)가 가능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분리형 조리장치의 조리과정을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조리장치는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재료를 담는 조리용기; 상기 조리용기와 채결되어 상기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조리장치; 및 상기 재료에 따라 열을 조절하도록 상기 조리장치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가 선택한 조리방법에 따라 상기 조리용기를 가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사용자에게 음식의 종류 및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음식의 조리 진행과정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상기 조리장치는 상기 조리용기와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조리용기의 하부와 상기 조리장치의 상부가 서로 채결 된 후, 상기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유도가열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조리용기에 담긴 재료를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조리방법에 따라 조리된 음식을 기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 재가열 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재료에 따라 가열 온도, 가열량 및 조리시간을 설정하여, 상기 조리용기에 담긴 재료를 가열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조리장치의 조리방법은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재료를 조리용기에 담는 단계; 상기 조리용기와 채결되어 상기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단계; 및 사용자에게 음식의 종류 및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음식의 조리 진행과정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선택한 조리방법에 따라 상기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가열하는 단계는 상기 조리용기와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조리용기의 하부와 상기 조리장치의 상부가 서로 채결 된 후, 상기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유도가열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재료에 따라 가열 온도, 가열량 및 조리시간을 설정하여, 상기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가 선택한 조리방법에 따라 조리된 음식을 기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 상기 조리용기를 재가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유도가열방식(IH)을 이용하여 조리 후, 자연스럽게 수증기를 배출하여 조리용기내의 재료가 뭉개지 않아, 일반 전기밥솥 보다 조리된 음식의 맛이 뛰어나며, 빠른 시간에 조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리용기 자체를 음식그릇으로 바로 사용할 수 있으며, 조리장치와 각각 분리가 가능하여 위생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밥을 조리하는 경우 누룽지를 함께 만들 수 있으며, 조리용기는 스테인리스 소재를 활용하여 세척 시 발생하는 흠집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도가열방식의 조리장치에서 가열온도, 가열시간 및 가열량을 구분하여 조리용기를 가열하기 때문에 같은 재료(예를 들어, 쌀)를 이용하더라도 다양한 조리(예를 들어, 밥, 누룽지, 숭늉)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조리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가 결합 된 분리형 조리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조리용기와 분리형 조리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조리장치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밥알의 뭉개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형 분리형 조리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조리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조리장치의 조리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조리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조리장치(100)는 가열부(120)와 설정부(110)를 포함한다.
가열부(120)는 조리용기가 채결된 후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사용자가 설정부(110)를 통하여 원하는 메뉴, 즉, 취사, 데우기, 죽, 라면, 누룽지, 숭늉 등의 메뉴를 선택하게 되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가열시간, 가열량 및 가열온도를 맞추어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가열부(120)는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유도가열방식(IH: induction heating)으로 조리용기를 가열한다.
가열온도는 1차 가열온도, 2차 가열온도 및 3차 가열온도로 구분할 수 있다.
1차 가열온도는 사용자가 선택한 조리방법에 대한 조리가 되기 위하여 가열해야되는 기설정된 온도까지 도달하기 위한 온도를 나타내며, 2차 가열온도는 1차 가열온도를 편차량만큼 유지하기 위한 온도를 의미한다.
또한, 3차 가열온도는 예를 들어, 쌀을 이용하여 밥을 지을 때, 밥과 누룽지를 함께 만들기 위한 온도를 의미한다.
가열량은 1차 가열량, 2차 가열량 및 3차 가열량으로 구분할 수 있다.
1차 가열량은 사용자가 선택한 조리방법에 대한 조리가 되기 위하여 가열되야하는 가열량을 의미하며, 2차 가열량은 상기 2차 가열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가열량을 의미한다.
또한, 3차 가열량은 예를 들어, 쌀을 이용하여 밥을 지을 때, 뜸을 드리기 위하여 가열되는 열의 양을 의미한다.
시간은 1차 시간, 2차 시간, 3차 시간 및 4차 시간으로 구분할 수 있다.
1차 시간은 상기 1차 가열온도와 반비례하여 동작하며, 2차 시간은 상기 2차 가열량을 유지하는 시간을 의미한다.
또한, 3차 시간은 상기 3차 가열온도를 유지하는 시간을 의미하며, 4차 시간은 상기 3차 가열량에 따라 뜸을 들이기 위한 시간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음식을 조리할 수 있으며, 조리상태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가 결합 된 분리형 조리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조리용기와 분리형 조리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가 결합 된 분리형 조리장치(100)는 조리용기(200) 및 설정부(110)를 포함한다.
분리형 조리장치(100)는 수평형에 솥모양의 구조로 조리용기(200)가 안정적으로 장착되며, 조리용기(200)와 상하로 분리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쌀을 이용하여 밥을 지을 때, 밥을 담은 밥공기는 매 식사마다 설거지를 하지만, 밥을 조리하는 압력밥솥의 내솥은 밥이 남을 경우, 자주 설거지를 하지 않고 보온 기능을 이용하여 보관하게 된다.
이는 내솥 자체가 무거우며, 자주 내솥을 설거지를 하다간 내솥을 손상시키는 경우 음식을 조리 시 내솥의 손상부위에 조리 시 재료가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조리용기(200) 자체가 밥그릇 등 그릇의 역할을 바로 할 수 있도록 가벼운 재질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조리 후, 조리용기(200)를 그대로 꺼내서 식사에 이용할 수도 있어, 식사 후 조리용기(200)를 바로 세척이 가능하여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보온 기능을 지속적으로 이용하지 않아도 되어 전력절감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설정부에서 누룽지 및 숭늉 기능을 사용자가 선택하게 되면, 쌀을 이용하여 밥을 조리하는 동안 가열량, 가열시간 및 가열온도를 각각 설정하여 누룽지를 함께 조리할 수도 있다.
기존의 유도가열방식(IH) 전기압력밥솥의 경우, 누룽지가 생기지 않고, 밥을 조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만약에 누룽지가 밥과 함께 발생하는 경우, 내솥 전체를 꺼내서 일일이 세척을 진행하여야 하는데, 매번 세척하는 일은 내솥 자체의 무게도 문제지만 내솥의 코팅에 손상이 갈 수도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다만, 기존의 유도가열방식 전기압력반솥의 경우에는 밥을 한번 조리한 후, 보온 기능을 이용하여 조리된 밥을 얼마나 오랫동안 밥맛을 유지하며 보존할 수 있는지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은 처음부터 유도가열방식(IH)을 이용하여 밥과 함께 누룽지를 제조할 수 있으며, 조리용기(200) 자체를 밥그릇으로 이용하여 사용자가 식사를 한 뒤, 누룽지에 물을 넣고 분리형 조리장치(100)와 결합하여 설정부(110)에서 숭늉 기능을 선택하게 되면 숭늉까지 만들어낼 수 있으며, 만들어진 숭늉을 조리용기(200)째로 가져가 다시 식사가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조리용기(200)는 열전도율이 높고, 세척 시 손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재질(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등)로 만들어져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죽, 국, 데우기 및 라면을 조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밥을 짓고 보온이 아닌 대기상태로 놓은 상태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한 상태에서 데우기 기능을 사용자가 선택하는 경우, 새로 지은 밥과 유사한 조건이 되도록 가열량, 가열온도 및 가열시간을 설정하여 기존에 조리된 밥을 데우도록 조리용기를 가열할 수 있다.
이 때, 분리형 조리장치(100)는 배터리를 내장할 수도 있으며, 분리형 조리장치(100)에서 조리 된 음식을 조리용기(200)에서 보온이 아닌 대기상태로 설정하여 대기전력의 소모를 막을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선택한 시간에 분리형 조리장치(100)와 전원을 다시 연결하여 조리용기(200)를 재가열하여 데우기 기능을 활용할 수도 있다.
이 때, 조리용기(200)내에 조리된 음식이 상할 수도 있으므로, 조리된 음식의 부패한 정도를 나타내는 산도를 측정하여, 산도가 기준치 이상으로 측정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경고 메시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로, 사용자가 조리용기(200)에 적당량의 물을 채우고 죽 기능을 선택하게 되면, 분리형 조리장치(100)는 1차 가열하여 물이 100도에 다다르도록 설정하고, 물이 100도에 다다르게 되면 가열량을 낮추고, 알람을 통하여 사용자에 알릴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원하는 죽을 조리하기 위하여 미리 준비한 죽 재료를 넣고, 설정부(110)에서 다시 한번 죽 기능을 선택하는 경우, 분리형 조리장치(100)는 가열량, 가열온도 및 가열시간을 조절하여 죽을 완성하여 사용자에게 완성 되었음을 알람을 통하여 알릴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로, 조리용기(200)에 적당량의 물을 채우고 라면 기능을 선택하게 되면, 분리형 조리장치(100)는 1차 가열하여 물이 100도에 다다르도록 설정하고, 물이 100도에 다다르게 되면 가열량을 낮추고, 알람을 통하여 라면을 넣어도 된다는 알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 때, 사용자는 라면의 재료를 넣은 후, 다시 한번 라면 버튼을 누르면 분리형 조리장치(100)는 가열량, 가열온도 및 가열시간을 조절하여 라면을 완성하여 사용자에게 완성 되었음을 알람을 통하여 알릴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많은 양의 음식을 조리하는 곳에도 활용될 수 있다.
이 때에도 조리용기(200), 분리형 조리장치(100) 및 설정부(110)를 포함하며, 설정부(110)를 통하여 설정된 음식의 종류에 따라 분리현 조리장치(100)는 가열량, 가열시간 및 가열온도를 조절하여 조리용기(200)를 가열할 수 있으며, 조리가 완료된 후 조리용기(200)를 통째로 분리하여 배식용 그릇 대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조리장치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분리형 조리장치(400)는 조리용기(410), 조리장치(420) 및 프로세서(430)를 포함하고, 프로세서(430)는 제어부(431) 및 디스플레이부(432)를 포함한다.
상기 조리용기(410)는 밥, 누룽지, 곤드레밥, 돌솥밥 및 숭늉 등 음식을 조리하기 위하여 재료를 담는 역할을 하며, 조리 후에는 음식 그릇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다. 또한, 열전도율이 높고, 세척 시 손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재질(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등)로 만들어져 있다.
조리장치(420)는 상기 조리용기(410)와 서로 결합하여 상기 조리용기(410)를 가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 때, 조리장치(420)는 조리용기(410)와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조리용기(410)의 하부와 조리장치(420)의 상부가 서로 결합된 후에 조리용기(410)를 가열할 수 있으며, 이 때에 가열방식은 유도가열방식(IH)을 이용하여 조리용기(410)를 가열할 수 있다.
프로세서(430)는 상기 조리용기(410)에 담긴 재료에 따라 조리장치(420)의 가열량, 가열온도 및 가열시간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제어부(431)는 사용자가 선택한 조리방법, 예를 들어 취사, 데우기, 죽, 라면, 보온 등 에 따라 가열량, 가열시간 및 가열온도를 조절하여 조리용기(410)를 가열하도록 제어한다.
이 때, 제어부(431)는 사용자가 선택한 조리방법에 따라 음식이 조리된 이후에, 음식이 조리용기(410)에 보관되어 있으면,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에 조리용기(410)를 재가열하도록 조리장치(42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 때, 조리장치(420)는 배터리를 내장할 수도 있으며, 조리장치(420)에서 조리 된 음식을 조리용기(410)에서 보온이 아닌 대기상태로 설정하여 대기전력의 소모를 막을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선택한 시간에 조리장치(420)와 전원을 다시 연결하여 조리용기(410)를 재가열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조리용기(410)내에 조리된 음식이 상할 수도 있으므로, 조리된 음식의 부패한 정도를 나타내는 산도를 측정하여, 산도가 기준치 이상으로 측정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432)를 제어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432)는 사용자에게 음식의 종류 및 사용자가 선택한 음식의 조리 진행과정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밥알의 뭉개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도 (a)는 기존의 유도가열방식(IH) 전기압력밥솥을 이용한 일반적인 밥알의 모양을 나타낸 것이다. 일반적인 유도가열방식 전기압력밥솥은 빠른 시간 안에 부드러운 밥을 만들기 위해 밥솥 내부 기압을 높일수록 고성능 밥솥이라 평가 받고 있다.
그러나 밥솥 내부의 기압이 높아지면 물의 끓는점이 올라가기만 그만큼 밥 알갱이 사이사이의 공간은 좁아지게 되고, 이 후에 수증기를 빼주지 않으면 밥 알갱이가 서로 뭉개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조리장치를 이용한 밥 알갱이의 모양을 나타낸 것이다.
도 (b)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은 조리 시, 밥 알갱이 사이사이의 공간을 넓혀지도록 밥이 지어지고 난 뒤 수증기가 자연스럽게 빠져나갈 수 있도록 조리용기가 제작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분리형 조리장치는 유도가열방식(IH)으로 조리용기를 가열하여 밥과 함께 누룽지를 만들 수 있도록 가열량, 가열시간 및 가열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조리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조리장치(100)는 프로세서(700), AC입력부(711), EMI필터(712), 전류센서 제어부(713), 릴레이 제어부(714), 정류회로(715). 코일 발진부(716). 피드백센서 제어부(717), IGBT 발진부(718), 디스플레이 및 제어부(719), 안전센서(720), 과열방지센서(721), 온도센서(722) 및 알림음 부저(723)을 포함한다.
우선 AC입력부(711)는 전원 전압을 입력 받고, 입력된 전원은 EMI 필터(712)를 거쳐서 전원을 ON/OFF할 수 있는 릴레이 제어부(714)를 거치게 된다. 릴레이 제어부(714)를 거친 전원은 정류회로(715)를 통하여 정류를 하게 되고, 정류된 전원은 IGBT 발진부(718)로 이동하게 된다.
프로세서(700)는 각 안전센서(720), 과열방지센서(721) 및 온도센서(722)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계산하여, IGBT 발진부(718)를 구동하여 정류된 전원을 이용하여 코일 발진부(716)를 통하여 가열하는 역할을 한다.
이 후, 온도센서(722), 프로세서(700)의 내부 타이머 기능, 전류센서 제어부(713) 및 피드백센서 제어부(717)에서 측정된 신호 및 디스플레이 및 제어부(719)에서 입력된 사용자의 선택을 이용하여 분리형 조리장치(100)가 조리용기(200)를 가열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과열방지센서(721)는 기준치 이상의 가열이 되면 전원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고, 안전센서(720)는 분리형 조리장치(100)의 기울기를 판단하여, 미리 저장된 정상범위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 및 제어부(719)를 통하여 경고 표시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온도센서(722)는 분리형 조리장치(100)가 조리용기(200)를 사용자가 선택한 조리방법에 따라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프로세서(700)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조리장치의 조리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조리장치의 조리방법은 밥, 누룽지 및 숭늉 등 음식을 조리하기 위하여 재료를 조리용기에 담고(S810), 조리용기와 서로 결합하여 상기 조리용기를 가열한다(S820).
이 후, 사용자에게 음식의 종류 및 사용자가 선택한 음식의 조리 진행과정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S830).
이 때, 조리용기는 조리 후에는 음식 그릇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다. 또한, 열전도율이 높고, 세척 시 손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재질(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등)로 만들 수 있다.
또한, 조리용기와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조리용기의 하부와 조리장치의 상부가 서로 결합된 후에 조리용기를 가열할 수 있으며, 이 때에 가열방식은 유도가열방식(IH)을 이용하여 조리용기를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용기에 담긴 재료 및 사용자가 선택한 조리방법에 따라 조리장치의 가열량, 가열온도 및 가열시간을 조절하여 가열할 수도 있다.
이 때, 사용자가 선택한 조리방법에 따라 음식이 조리된 이후에, 음식이 조리용기에 보관되어 있으면, 미리 설정한 시간 동안 조리된 음식이 조리용기에 보관되어 있는 지를 판단하거나, 조리된 음식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하로 내려갔는 지를 판단할 수 있으며(S840), 만약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거나, 미리 설정된 온도 이하로 조리된 음식의 온도가 떨어졌을 경우, 조리용기를 재가열 할 수도 있다.
이 때, 내장된 배터리를 이용하여, 조리 된 음식을 조리용기에서 보온이 아닌 대기상태로 설정하여 대기전력의 소모를 막을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선택한 시간에 전원을 다시 연결하여 조리용기를 재가열 할 수도 있다.
또한, 조리용기내에 조리된 음식이 상할 수도 있으므로, 조리된 음식의 부패한 정도를 나타내는 산도를 측정하여, 산도가 기준치 이상으로 측정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경고 메시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리형 조리장치의 조리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조리장치
200: 조리용기
110: 설정부

Claims (11)

  1.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재료를 담는 조리용기;
    상기 조리용기와 채결되어 상기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조리장치; 및
    상기 재료에 따라 열을 조절하도록 상기 조리장치를 제어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가 선택한 조리방법에 따라 상기 조리용기를 가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사용자에게 음식의 종류 및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음식의 조리 진행과정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하는 분리형 조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장치는
    상기 조리용기와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조리용기의 하부와 상기 조리장치의 상부가 서로 채결 된 후, 상기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조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장치는
    상기 유도가열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조리용기에 담긴 재료를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조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조리방법에 따라 조리된 음식을 기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 재가열 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조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료에 따라 가열 온도, 가열량 및 조리시간을 설정하여, 상기 조리용기에 담긴 재료를 가열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조리장치.
  6.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재료를 조리용기에 담는 단계;
    상기 조리용기와 채결되어 상기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단계; 및
    사용자에게 음식의 종류 및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음식의 조리 진행과정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선택한 조리방법에 따라 상기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조리장치의 조리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하는 단계는
    상기 조리용기와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조리용기의 하부와 상기 조리장치의 상부가 서로 채결 된 후, 상기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조리장치의 조리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하는 단계는
    상기 유도가열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조리장치의 조리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조리방법에 따라 조리된 음식을 기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 상기 조리용기를 재가열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조리장치의 조리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하는 단계는
    상기 재료에 따라 가열 온도, 가열량 및 조리시간을 설정하여, 상기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조리장치의 조리방법.
  11.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50082914A 2015-06-11 2015-06-11 유도가열방식을 이용한 분리형 조리장치 KR1018446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914A KR101844632B1 (ko) 2015-06-11 2015-06-11 유도가열방식을 이용한 분리형 조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914A KR101844632B1 (ko) 2015-06-11 2015-06-11 유도가열방식을 이용한 분리형 조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6168A true KR20160146168A (ko) 2016-12-21
KR101844632B1 KR101844632B1 (ko) 2018-05-14

Family

ID=57734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2914A KR101844632B1 (ko) 2015-06-11 2015-06-11 유도가열방식을 이용한 분리형 조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46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8356A (ko) * 2017-08-14 2019-02-22 윤명관 인덕션 방식의 조리 장치 및 방법
KR101942307B1 (ko) * 2018-03-12 2019-04-11 박은혜 인덕션레인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6288B1 (ko) 2009-12-31 2011-11-24 주식회사 리홈 유도가열방식 전기압력보온밥솥의 일체형 내솥안착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6288B1 (ko) 2009-12-31 2011-11-24 주식회사 리홈 유도가열방식 전기압력보온밥솥의 일체형 내솥안착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8356A (ko) * 2017-08-14 2019-02-22 윤명관 인덕션 방식의 조리 장치 및 방법
KR101942307B1 (ko) * 2018-03-12 2019-04-11 박은혜 인덕션레인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4632B1 (ko) 2018-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686615B (zh) 烹饪器具的控制方法和烹饪器具的控制系统
CN108652433B (zh) 烹饪米饭的方法及电磁加热烹饪器具
CN101317635B (zh) 自动收汁和炒菜的烹饪方法及装置
CN109793421B (zh) 烹饪控制方法及烹饪控制装置、存储介质及压力烹饪器具
CN106642235B (zh) 电烹饪器以及电烹饪器的烹饪控制方法和烹饪控制装置
CN110353469B (zh) 烹饪器具、烹饪的方法及计算机存储介质
KR101844632B1 (ko) 유도가열방식을 이용한 분리형 조리장치
JP2004261476A (ja) 電気圧力鍋
JP6755207B2 (ja) 加熱調理器
JP5049667B2 (ja) 電気炊飯器
JP5217274B2 (ja) 炊飯器
JP2003234168A (ja) 誘導加熱調理器
JP6257496B2 (ja) 加熱調理器
CN112120523B (zh) 烹饪方法、烹饪器具以及烹饪装置
CN103799853A (zh) 烹饪锅及其烹饪方法
CN109691903B (zh) 煎烤机加热的方法、加热装置、煎烤机及计算机存储介质
JP3823793B2 (ja) 加熱調理器
KR100711285B1 (ko) 식혜 제조 기능을 갖는 다기능 조리기 및 이를 이용한식혜 제조 방법
JP4033164B2 (ja) 電気炊飯器
JP2007195541A (ja) 自動炊飯モードつき電子レンジ
JP3976029B2 (ja) 電気炊飯器
JP5817325B2 (ja) 調理器
JP2004267253A (ja) 電気圧力鍋
JP6008888B2 (ja) 加熱調理器及び加熱制御方法
WO2024094266A1 (en) Induction cooking system for long-term cook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