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2307B1 - 인덕션레인지 - Google Patents

인덕션레인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2307B1
KR101942307B1 KR1020180028455A KR20180028455A KR101942307B1 KR 101942307 B1 KR101942307 B1 KR 101942307B1 KR 1020180028455 A KR1020180028455 A KR 1020180028455A KR 20180028455 A KR20180028455 A KR 20180028455A KR 101942307 B1 KR101942307 B1 KR 101942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ral heating
heating part
container
heating unit
magnetic 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8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은혜
Original Assignee
박은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은혜 filed Critical 박은혜
Priority to KR1020180028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23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2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2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A47J36/165Stirring devices operatively connected to cooking vessels when being removably inserted insid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Induction Heating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조리용 가열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용기의 가열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유도가열방식의 인덕션레인지(induction range)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용기의 바닥을 향하여 자기장을 형성하는 중앙가열부 및 적어도 상기 중앙가열부의 한쪽 측면 상부에 마련되되, 적어도 상기 용기의 측면에 자기장을 형성하는 측면가열부를 포함하여, 적어도 용기의 하부와 측면이 동시에 가열되도록 한다.

Description

인덕션레인지{induction range}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조리용 가열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용기의 가열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유도가열방식의 인덕션레인지(induction range)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인덕션레인지(induction range)는 유도가열방식의 전기레인지로써, 전자기 유도를 이용하여 금속물체를 가열시키는 방법이다. 코일에 전류가 공급되면 가열하고자 하는 금속에 와전류(渦電流, eddy currents)가 발생하고, 금속의 저항에 의해 발생된 줄열(Joule heating)이 온도를 높이게 된다. 유도가열기의 구조는 한두 개의 전자석의 조합과 같이 감긴 코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코일로 고주파의 교류전류가 흐르게 된다. 자기이력손실 또한 금속의 온도를 높이는 기술이 적용된 것이다.
종래의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5614호(2014.12.10. 등록, '테이블의 상판 하단에 설치되어 자동으로 이동이 가능한 인덕션 렌지')에는 테이블 상판 하단에 레일이 구비되고, 레일에 인덕션 렌지가 결합되어 리모컨 등에 의해 자동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인덕션 렌지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고, 유리 또는 대리석 또는 세라믹의 재질로 되는 상판이 구비된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의 상판 하부 양측에 설치되며, 중도부에 레크가 구비되는 레일; 상기 양측 레일 사이에 결합되며, 상기 레크와 치합되는 피니언이 구비되어 레일 사이에서 좌우 이동하는 인덕션 렌지를 포함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의 인덕션 렌지는 테이블의 상판 하부에 설치된 레일에 인덕션 렌지를 결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 또는 자동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킴으로써 인덕션 렌지의 위치를 변경하여 조리를 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94639호(2013.08.26. 공개, '로드셀이 장착된 인덕션 레인지')에는 워킹 코일 및 상기 워킹 코일을 작동시키기 위한 다수의 전장 부품이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워킹 코일과 일정간격 이격된 상부에 조리 용기가 놓여지는 상판을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의 저면에 설치되고, 상기 상판에 놓여지는 조리 용기의 무게를 감지하는 로드셀; 및 상기 로드셀의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워킹 코일의 자기장 세기를 조절하여, 가열 온도를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셀이 장착된 인덕션 레인지에 관한 것으로서, 음식물의 양을 측정하고, 이 측정결과에 따라 적절하게 화력을 조절하여 음식물을 자동으로 조리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1381호(2004.08.30. 등록, '인덕션 낮은 렌지')에는 조리 용기와 갑응하여 열을 발생하는 빌트인부와 PCB 박스가 따로 구성되어 빌트인부에서 발생하는 열로 인한 PCB 의 파손이 방지되고, 공기필터를 설치하여 유입되는 공기내의 먼지등을 차단함으로써 각종 오염물질로 인한 PCB 등 내부부품의 오염 및 파손이 방지되며, 공기차단막을 통해 빌트인부와 PCB 박스를 통한 더운공기의 재순환이 방지되어 열에 의한 PCB 및 기타 부품들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조리용 용기를 단시간에 가열할 수 있는 기술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인덕션레인지가 개시(disclosure)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인덕션레인지는 적어도 용기(1)의 바닥을 향하여 자기장을 형성하는 중앙가열부(100) 및 적어도 상기 중앙가열부(100)의 한쪽 측면 상부에 마련되되, 적어도 상기 용기(1)의 측면에 자기장을 형성하는 측면가열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측면가열부(200)는 상기 용기(1)의 측면으로 자기장을 형성하는 가열코일(210) 및 상기 가열코일(210)의 상부에 마련되되, 적어도 상기 가열코일(210)과 반대 방향의 자기장을 형성하는 역장코일(220)을 선택적으로(optionally)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덕션레인지는 중앙가열부(100)에 마련되되, 적어도 상기 측면가열부(200)의 상부 면과 상기 중앙가열부(100)의 상부 면이 일치되도록 상기 중앙가열부(100)를 이동시키는 이동부(300)를 선택적으로(optionally)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덕션레인지는 상기 인덕션레인지는 상기 중앙가열부(100) 또는 상기 측면가열부(200)에 마련되되, 상기 중앙가열부(100) 상부를 덮을 수 있는 뚜껑(2)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400)를 선택적으로(optionally)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덕션레인지는 상기 인덕션레인지는 적어도 상기 중앙가열부(100)의 하부에 마련되어, 적어도 상기 중앙가열부(100)와 상기 측면가열부(200) 사이로 유출되는 수분이 모이는 수집부(500)를 선택적으로(optionally)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덕션레인지는 상기 인덕션레인지는 사용자가 요리를 선택하면, 적어도 선택된 요리에 관한 조리방법을 안내해주는 안내부(미 도시)를 선택적으로(optionally) 더 포함하는 인덕션레인지.
상기 이동부(300)는 상기 중앙가열부(100)에 마련된 회전축(310)과 상기 회전축(310)을 감싸도록 마련되되, 상기 회전축(310)과 나사 결합된 가이드(320) 및 상기 회전축(310)를 회전시키는 모터(330)를 선택적으로(optionally)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앙가열부(100) 또는 상기 측면가열부(200)에 마련되어 조리용 도구(3)가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600)를 선택적으로(optionally)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집부(500)는 상기 회전축(310)을 감싸도록 마련되되, 서로 분리되는 결합통(510)과 상기 결합통(510)에 마련되되, 결합통(510)이 서로 결합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결합 유지부(520) 및 상기 결합통(510) 하부에 마련되되, 상기 가이드(320)가 끼워지는 끼움부(530)를 선택적으로(optionally)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덕션레인지는 상기 중앙가열부(100)의 한쪽에 마련되되, 상기 중앙가열부(100)와 상기 측면가열부(200) 사이로 수분을 흡수하는 흡수재(700)를 선택적으로(optionally)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인덕션레인지는 조리용 용기(1)를 감싸도록 구성된 것으로, 조리용 용기(1)가 인덕션레인지의 내부로 삽입되어 중앙가열부(200)의 상부에 용기(1)의 하부가 인접 또는 접하면 용기(1)의 측면이 측면가열부(200)에 인접 또는 접하게 된다. 인덕션레인지는 용기(1)의 바닥 면을 중앙가열부(100)를 통해서 가열되도록 하고, 그와 동시에 용기(1)의 측면을 측면가열부(200)를 통해서 가열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불을 통해서 용기(1)의 하부와 측면이 가열되는 현상이 재현되어 용기(1)의 온도를 단시간에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역장코일(220)을 포함하는 인덕션레인지는 용기(1)의 측면이 측면가열부(200)에 접하거나 인접할 때에 용기(1) 상단에 형성된 손잡이로 가열코일(210)의 자기장이 미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으로 잡아야 하는 용기(1)의 손잡이가 가열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인덕션레인지는 이동부(300)가 중앙가열부(100)를 상부로 이동시킴으로써 중앙가열부(100)에 지지되는 용기(1)를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부로 이동되는 용기(1)는 상기에서 설명된 측면가열부(200)의 상부로 이동됨으로써, 용기(1)의 손잡이와 측면가열부(200) 사이의 공간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용기(1)의 손잡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동부(300)는 모터(330)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사용되는 용기(1)의 깊이에 맞춰 중앙가열부(100)가 하강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인덕션레인지는 고정부(400)를 통해서 중앙가열부(100)와 측면가열부(200)가 뚜껑(2)에 의해 폐쇄됨으로써 가열된 용기(1)의 열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바, 통상의 오븐(oven)과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인덕션레인지는 중앙가열부(100)와 측면가열부(200) 사이로 유출될 수 있는 수분이 수집부(500)에 의해서 모이는 바, 이동부(300)의 모터(330) 또는 기타 장치 또는 부속들이 오염 또는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인덕션레인지의 내부 청결을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인덕션레인지는 흡부재(700)를 통해서 중앙가열부(100)와 측면가열부(200) 사이로 누수될 수 있는 수분을 차단하여 오염 또는 기타 부품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고, 이동부(300)와 함께 실시될 경우, 중앙가열부(100)의 이동에 따라서 측면가열부(200)의 안쪽 면과 접한 상태로 이동된다. 흡수재(700)는 측면가열부(200)를 따라서 이동되면서 측면가열부(200)를 세척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인덕션레인지는 연장가열부(900)를 통해서 용기(1)의 깊이 또는 넓이에 맞추어 다양한 용기(1)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내용은 이후에 보다 자세하게 기술되는 사항에 대해 간략화된 형태로 선택적인 개념만을 제공한다. 본 내용은 특허 청구 범위의 주요 특징 또는 필수적 특징을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를 제한할 의도로 제공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인덕션레인지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종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인덕션레인지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종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인덕션레인지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종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수집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인덕션레인지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종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문에서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도면의 유사한 참조번호들은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상세한 설명, 도면들 및 청구항들에서 상술하는 예시적인 실시 예들은 한정을 위한 것이 아니며, 다른 실시 예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개시되는 기술의 사상이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른 변경들도 가능하다. 당업자는 본 개시의 구성요소들, 즉 여기서 일반적으로 기술되고, 도면에 기재되는 구성요소들을 다양하게 다른 구성으로 배열, 구성, 결합, 도안할 수 있으며, 이것들의 모두는 명백하게 고안되며, 본 개시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여러 층(또는 막), 영역 및 형상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또는 형상 등은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배치"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배치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형성"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형성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결합"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결합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인덕션레인지를 대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인덕션레인지는 적어도 용기(1)의 바닥을 향하여 자기장을 형성하는 중앙가열부(100) 및 적어도 상기 중앙가열부(100)의 한쪽 측면 상부에 마련되되, 적어도 상기 용기(1)의 측면에 자기장을 형성하는 측면가열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측면가열부(200)는 상기 용기(1)의 측면으로 자기장을 형성하는 가열코일(210) 및 상기 가열코일(210)의 상부에 마련되되, 적어도 상기 가열코일(210)과 반대 방향의 자기장을 형성하는 역장코일(220)을 선택적으로(optionally)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덕션레인지는 중앙가열부(100)에 마련되되, 적어도 상기 측면가열부(200)의 상부 면과 상기 중앙가열부(100)의 상부 면이 일치되도록 상기 중앙가열부(100)를 이동시키는 이동부(300)를 선택적으로(optionally)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덕션레인지는 상기 중앙가열부(100) 또는 상기 측면가열부(200)에 마련되되, 상기 중앙가열부(100) 상부를 덮을 수 있는 뚜껑(2)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400)를 선택적으로(optionally)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덕션레인지는 상기 인덕션레인지는 적어도 상기 중앙가열부(100)의 하부에 마련되어, 적어도 상기 중앙가열부(100)와 상기 측면가열부(200) 사이로 유출되는 수분이 모이는 수집부(500)를 선택적으로(optionally)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덕션레인지는 상기 인덕션레인지는 사용자가 요리를 선택하면, 적어도 선택된 요리에 관한 조리방법을 안내해주는 안내부(미 도시)를 선택적으로(optionally) 더 포함하는 인덕션레인지.
상기 이동부(300)는 상기 중앙가열부(100)에 마련된 회전축(310)과 상기 회전축(310)을 감싸도록 마련되되, 상기 회전축(310)과 나사 결합된 가이드(320) 및 상기 회전축(310)를 회전시키는 모터(330)를 선택적으로(optionally)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덕션레인지는 상기 중앙가열부(100) 또는 상기 측면가열부(200)에 마련되어 조리용 도구(3)가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600)를 선택적으로(optionally)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집부(500)는 상기 회전축(310)을 감싸도록 마련되되, 서로 분리되는 결합통(510)과 상기 결합통(510)에 마련되되, 결합통(510)이 서로 결합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결합 유지부(520) 및 상기 결합통(510) 하부에 마련되되, 상기 가이드(320)가 끼워지는 끼움부(530)를 선택적으로(optionally)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덕션레인지는 상기 중앙가열부(100)의 한쪽에 마련되되, 상기 중앙가열부(100)와 상기 측면가열부(200) 사이로 수분을 흡수하는 흡수재(700)를 선택적으로(optionally)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고자 하는 인덕션레인지는 대략적으로 적어도 용기(1)의 바닥을 향하여 자기장을 형성하는 중앙가열부(100) 및 적어도 상기 중앙가열부(100)의 한쪽 측면 상부에 마련되되, 적어도 상기 용기(1)의 측면에 자기장을 형성하는 측면가열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중앙가열부(100)의 일례에 따르면, 도 1에서처럼 외부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자기장을 형성하는 통상의 인덕션에 사용되는 코일(coil)을 포함할 수 있다. 중앙가열부(100)는 코일(coil)의 상부로 전류는 전달되지 않으면서 자기장이 통과할 수 있는 재질의 통상의 인덕션에 사용되는 판체를 포함한다. 중앙가열부(100)는 판체 상부에 조리용 용기(1)가 놓여진다. 중앙가열부(100)는 용기(1)의 하부 면이 자기장에 의해서 가열되도록 한다. 코일(coil)은 가로 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다. 중앙가열부(100)는 첨부된 도면에서처럼 원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사각형 등의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측면가열부(200)의 일례에 따르면, 도 1에서처럼 통상의 인덕션에 사용되는 코일(coil)을 포함할 수 있다. 코일(coil)은 세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코일(coil)의 한쪽 측면에는 전류는 전달되지 않으면서 자기장이 통과할 수 있는 재질의 통상의 인덕션에 사용되는 판체를 포함한다. 판체는 상기 중앙가열부(100)에 놓이는 용기(1)의 측면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 측면가열부(200)는 첨부된 도면에서처럼 상기에서 설명된 중앙가열부(100)의 테두리를 감싸는 원통모양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중앙가열부(100)의 테두리 일 부분과 접하도록 단면이 반원모양이거나, 사각형의 중앙가열부(100)일 때 한쪽 테두리만이 접하는 모양 등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설명된 일 실시 예에서의 인덕션레인지는 조리용 용기(1)를 감싸도록 구성된 것으로, 조리용 용기(1)가 인덕션레인지의 내부로 삽입되어 중앙가열부(200)의 상부에 용기(1)의 하부가 인접 또는 접하면 용기(1)의 측면이 측면가열부(200)에 인접 또는 접하게 된다. 인덕션레인지는 용기(1)의 바닥 면을 중앙가열부(100)를 통해서 가열되도록 하고, 그와 동시에 용기(1)의 측면을 측면가열부(200)를 통해서 가열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불을 통해서 용기(1)의 하부와 측면이 가열되는 현상이 재현되어 용기(1)의 온도를 단시간에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의 측면가열부(200)의 다른 일례로는 도 1에서처럼, 측면가열부(200)는 상기 용기(1)의 측면으로 자기장을 형성하는 통상의 코일(coil)로 구성된 가열코일(210)을 포함하고, 상기 가열코일(210)의 상부에 마련되되, 적어도 상기 가열코일(210)과 반대 방향의 자기장을 형성하는 역장코일(220)을 선택적으로(optionally)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역장코일(220)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역장코일(220)은 통상의 코일(coil)로 구성되되, 역장코일(220)은 상기 가열코일(210)에서 흐르는 전류의 방향과 다른 방향의 전류가 흐르도록 구성된다. 역장코일(220)은 가열코일(210)에서 생성되는 자기장의 흐름과 상충하는 방향의 자기장의 흐름을 생성시킨다. 역장코일(220)은 가열코일(210) 상부로 영향을 미치는 자기장을 완화시킨다.
상기 역장코일(220)을 포함하는 인덕션레인지는 용기(1)의 측면이 측면가열부(200)에 접하거나 인접할 때에 용기(1) 상단에 형성된 손잡이로 가열코일(210)의 자기장이 미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으로 잡아야 하는 용기(1)의 손잡이가 가열되지 않도록 하거나 그 가열의 정도가 낮아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다른 일 실시 예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고자 하는 인덕션레인지는 대략적으로 상기에서 설명된 중앙가열부(100)에 마련되되, 적어도 상기에서 설명된 측면가열부(200)의 상부 면과 상기 중앙가열부(100)의 상부 면이 일치되도록 상기 중앙가열부(100)를 이동시키는 이동부(300)를 선택적으로(optionally)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300)는 도 2에서처럼 상기 중앙가열부(100)에 마련된 회전축(310)과 상기 회전축(310)을 감싸도록 마련되되, 상기 회전축(310)과 나사 결합된 가이드(320) 및 상기 회전축(310)를 회전시키는 모터(330)를 선택적으로(optionally)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개시된 일례에 따른 회전축(310)은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되되, 표면에는 통상의 나사산이 형성된다. 회전축(310)은 상기에서 설명된 중앙가열부(100)의 판체 하부에 결합된다. 회전축(310)은 이하 설명될 모터(330)에 의해서 회전된다. 회전되는 회전축(310)은 이하 설명될 가이드(320)를 따라서 회전하면서 상부로 이동된다. 이동되는 회전축(310)은 중앙가열부(100)를 상부로 이동시킨다.
도 2에 개시된 일례에 따른 가이드(320)는 상기 회전축(310)이 삽입되는 크기의 원형 관체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320)의 내부 면에는 상기 회전축(310)의 나사산과 대응하는 나사골을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320)는 상기 회전축(310)과 나사결합 할 수 있다. 가이드(320)는 상기에서 설명한 측면가열부(20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즉 가이드(320)는 측명가열부(200)를 통해서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며, 상기에서 설명된 회전축(310)이 회전되어도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가이드(320)는 상기 회전축(310)이 나사결합방식으로 가이드(320)를 따라서 가이드(320)의 상부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2에 개시된 일례에 따른 모터(330)는 통상의 모터(Motor)가 사용될 수 있다. 모터(330)는 상기에서 설명된 가이드(320)에 나사 결합되어 돌출된 회전축(310)에 결합될 수 있다. 모터(330)는 회전축(310)을 회전킨다. 모터(330)는 회전축(310)을 회전시킴으로써, 회전축(310)과 함께 상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인덕션레인지는 모터(330)에 의해서 회전되는 회전축(310)이 가이드(320)를 통해서 상부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회전축(310)은 중앙가열부(100)를 측면가열부(200)의 판체를 따라서 상부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이동부(300)는 중앙가열부(100)를 상부로 이동시킴으로써 중앙가열부(100)에 지지되는 용기(1)를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부로 이동되는 용기(1)는 상기에서 설명된 측면가열부(200)의 상부로 이동됨으로써, 용기(1)의 손잡이와 측면가열부(200) 사이의 공간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용기(1)의 손잡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일 실시 예에서의 이동부(300)는 통상의 피스톤과 실린더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일 실시 예에서의 이동부(300)는 모터(330)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사용되는 용기(1)의 깊이에 맞춰 중앙가열부(100)가 하강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고자 하는 인덕션레인지는 대략적으로 상기에서 설명된 중앙가열부(100) 또는 상기에서 설명된 측면가열부(200)에 마련되되, 상기 중앙가열부(100) 상부를 덮을 수 있는 뚜껑(2)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400)를 선택적으로(optionally)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개시된 일례에 따른 고정부(400)는 상기에서 설명된 측면가열부(200)의 상부 면에 홈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의 측면가열부(200)는 상기에서 설명된 판제가 'ㄱ'자 모양으로 하여 용기(1)의 손잡이와 중첩되지 않는 부분에 고정부(400)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고, 중앙가열부(100)의 측면 테두리 전체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인덕션레인지는 고정부(400)를 통해서 중앙가열부(100)와 측면가열부(200)가 뚜껑(2)에 의해 폐쇄됨으로써 가열된 용기(1)의 열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바, 통상의 오븐(oven)과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고정부(400)는 중앙가열부(100)의 테두리에 근접한 상부 면에 형성할 수 도 있다. 이때에 고정부(400)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중앙가열부(100)의 면적이 용기(1)보다 넓어야 하고, 사용하는 뚜껑(2)이 용기(1) 감싸는 크기의 것을 사용하여야 할 것이다.
한편, 고정부(400)는 도 5에 개시된 다른 일 실시 예에서 설명할 도구(3)를 결합하여 도구(3)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결합부(600)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2에 개시된 일 실시 예를 참조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고자 하는 인덕션레인지는 대략적으로 상기에서 설명된 중앙가열부(100)의 하부에 마련되어, 적어도 상기 중앙가열부(100)와 상기에서 설명된 측면가열부(200) 사이로 유출되는 수분이 모이는 수집부(500)를 선택적으로(optionally)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 또는 도 4 내지 도5에 개시된 일례에 따른 상기 수집부(500)는 상기 회전축(310)을 감싸도록 마련되되, 서로 분리되는 결합통(510)과 상기 결합통(510)에 마련되되, 결합통(510)이 서로 결합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결합 유지부(520) 및 상기 결합통(510) 하부에 마련되되, 상기 가이드(320)가 끼워지는 끼움부(530)를 선택적으로(optionally)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통(510)은 반원의 링 모양으로 형성되되 상부에는 하부로 향하는 홈이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2개의 결합통(510)이 서로 결합하여 하나의 원 모양을 이룰 수 있다. 하나의 원 모양을 이루는 결합통(510)의 내부 지름은 상기에서 설명된 회전축(310)의 지름보다 크게 할 수 있다. 결합통(510)은 상기에서 설명된 중앙가열부(100)를 중심으로 설치될 수 있다. 결합통(510)의 안쪽 면은 회전축(310)과 떨어진 상태가 되어 회전축(310)의 회전 또는 이동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위치의 변동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결합 유지부(520)는 통상의 접착재 또는 통상의 버클 또는 통상의 테이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결합 유지부(520)는 상기 회전축(310)을 중심으로 설치된 결합통(510)을 서로 결합한다.
끼움부(530)는 상기 가이드(320)의 상부면에 돌출된 끼움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끼움부(530)는 결합통(510) 하부에 상기 끼움돌기가 끼워지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끼움부(530)는 상기 결합통(510)의 불안정한 설치로 인하여 결합통(510)의 안쪽면이 회전축에 접하는 것을 방지하고, 회전축(310)의 회전 또는 이동에 의해서 결합통(510)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에서 설명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인덕션레인지는 음식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증기가 상기 중앙가열부(100) 또는 측면가열부(200)에 맺혀서 중앙가열부(100)와 측면가열부(200) 사이의 틈새로 유출되는 수분이 수집부(500) 모이도록 한다. 중앙가열부(100)와 측면가열부(200) 사이로 유출될 수 있는 수분이 수집부(500)에 의해서 모이는 바, 상기에서 설명된 이동부(300)의 모터(330) 또는 기타 장치 또는 부속들이 오염 또는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인덕션레인지의 내부 청결을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수집부(500)는 회전축(310)에 지지됨에도 불구하고 용이하게 탈착 및 부착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고자 하는 인덕션레인지는 대략적으로 상기에서 설명한 사용자가 요리를 선택하면, 적어도 선택된 요리에 관한 조리방법을 안내해주는 안내부(미 도시)를 선택적으로(optionally)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내부(미 도시)는 통상의 제어장치(미 도시)와 입출력장치(미 도시) 및 저장장치(미 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 저장장치에 다양한 종류의 음식 조리방법이 저장되고, 입출력장치를 통한 선택에 따라서 선택된 조리방법이 출력된다. 제어장치는 이러한 구동을 제어한다. 안내부(미 도시)는 다양한 음악 또는 tv 및 영화 등을 출력할 수도 있다.
도 5에 개시된 일 실시 예를 참조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고자 하는 인덕션레인지는 대략적으로 상기에서 설명한 중앙가열부(100) 또는 상기에서 설명한 측면가열부(200)에 마련되어 조리용 도구(3)가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600)를 선택적으로(optionally)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600)는 도 5에서 개시된 일례에서처럼, 상기에서 설명된 고정부(400)와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결합부(600)는 국자 또는 수저 등의 조리용 도구(3)를 고정한 거치대가 설치될 수 있다. 거치대를 통한 도구(3)는 중앙가열부(100)에 안치된 용기(1) 내부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인덕션레인지는 도 5에서처럼, 상기에서 설명된 회전축(310)을 포함하는 이동부(300)를 더 포함하고, 별도의 또 다른 제어부(미 도시)를 두어 이동부(300)의 모터(330)의 작동이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용기(1)가 중앙가열부(100)의 회전을 따라서 오른쪽과 왼쪽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도구(3)는 용기(1) 내부에 정지한 상태로 위치하는 바, 용기(1)의 회전에 의해서 음식물이 자동으로 저어지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결합부(600)는 도 6에 개시된 다른 일례에서처럼, 인덕션레인지의 몸체(미도시)의 상부 면보다 더 돌출된 측면가열부(200)의 측면이 상기 거치대가 걸려지는 구성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 한편, 중앙가열부(100) 또는 이하 설명될 연장가열부(900)가 상부로 더 돌출되도록 하여 측면가열부(200)의 역할을 대체할 수도 있다.
도 2에 개시된 일 실시 예를 참조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고자 하는 인덕션레인지는 대략적으로 상기에서 설명된 중앙가열부(100)의 한쪽에 마련되되, 상기에서 설명된 중앙가열부(100)와 상기에서 설명된 측면가열부(200) 사이로 수분을 흡수하는 흡수재(700)를 선택적으로(optionally)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수재(700)는 통상의 천, 부직포 등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흡수재(700)는 중앙가열부(100)로 흘러내리는 수분 또는 용기(1)에서 넘친 국물 등의 수분을 흡수한다. 흡부재(700)는 중앙가열부(100)와 측면가열부(200) 사이로 누수될 수 있는 수분을 차단하여 오염 또는 기타 부품의 고장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흡수재(700)는 상기에서 설명된 이동부(300)와 함께 실시될 경우, 중앙가열부(100)의 이동에 따라서 측면가열부(200)의 안쪽 면과 접한 상태로 이동된다. 흡수재(700)는 측면가열부(200)를 따라서 이동되면서 측면가열부(200)를 세척하는 효과가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개시된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인덕션레인지는 연장가열부(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장가열부(900)는 측면가열부(200)의 외곽의 표면에 인접 또는 접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측면가열부(200)의 하부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실린더로 구성된 또 다른 이동부(300)가 더 마련되어 측면가열부(200)를 별도로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측면가열부(200)와 중앙가열부(100)가 연장가열부(900)의 상부면과 일치하도록 상부로 이동할 경우에는 깊이가 얕고, 면적이 넓은 후레이팬 등의 용기(1)를 사용할 수 있고, 측면가열부(200)와 중앙가열부(100)가 각각 최하단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깊이가 깊은 냄비 등의 용기(1)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인덕션레인지는 연장가열부(900)를 통해서 중앙가열부(100)의 위치를 더욱 더 하부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연장가열부(900)를 통해서 용기(1)의 깊이 또는 넓이에 맞추어 다양한 용기(1)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일 실시 예에서 측면가열부(200)의 표면에는 도 3 또는 도 5에서처럼, 상기에서 설명한 흡수재(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의 흡수재(700)는 측면가열부(200)와 연장가열부(900) 사이로 유출되는 수분을 차단하고, 연장가열부(900)의 안쪽 면을 세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을 참조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인덕션레인지의 또 다른 일 실시 예로, 인덕션레인지는 적어도 용기(1)의 바닥을 향하여 자기장을 형성하는 중앙가열부(100)와 적어도 상기 중앙가열부(100)의 한쪽 측면 상부에 마련되되, 적어도 상기 용기(1)의 측면에 자기장을 형성하는 측면가열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가열부(200)는 용기(1)의 측면으로 자기장을 형성하는 가열코일(210) 및 상기 가열코일(210)의 상부에 마련되되, 적어도 상기 가열코일(210)과 반대 방향의 자기장을 형성하는 역장코일(220)을 포함하며, 상기 중앙가열부(100)에 마련되되, 적어도 상기 측면가열부(200)의 상부 면과 중앙가열부(100)의 상부 면이 일치되도록 상기 중앙가열부(100)를 이동시키는 이동부(3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300)는 상기 중앙가열부(100)에 마련된 회전축(310)과 상기 회전축(310)을 감싸도록 마련되되, 상기 회전축(310)과 나사 결합된 가이드(320) 및 상기 회전축(310)을 회전시키는 모터(330)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가열부(100) 또는 측면가열부(200)에 마련되되, 상기 중앙가열부(100) 상부를 덮을 수 있는 뚜껑(2)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400)를 더 포함하고, 적어도 상기 중앙가열부(100)의 하부와 가이드(320) 사이에 마련되어, 적어도 상기 중앙가열부(100)와 상기 측면가열부(200) 사이로 유출되는 수분이 모이는 수집부(5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집부(500)는 상기 회전축(310)을 감싸도록 마련되되, 서로 분리되는 결합통(510)과 상기 결합통(510)에 마련되되, 결합통(510)이 서로 결합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결합 유지부(520) 및 상기 결합통(510) 하부에 마련되되, 상기 가이드(320)가 끼워지는 끼움부(530)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가열부(100) 또는 상기 측면가열부(200)에 마련되어 조리용 도구(3)가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6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중앙가열부(100)의 한쪽에 마련되되, 상기 중앙가열부(100)와 상기 측면가열부(200) 사이로 수분을 흡수하는 흡수재(700)를 더 포함하여 실시 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인덕션레인지는 별도의 또 다른 제어부(미 도시)를 더 포함하고, 중앙가열부(100) 또는 측면가열부(200) 및 연장가열부(900)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에 용기(1)의 면적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미 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또 다른 제어부는 감지센서의 값에 따라서 용기(1)의 면적에 적합한 중앙가열부(100) 또는 측면가열부(200) 및 연장가열부(900)를 선택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이동부(300)를 제어한다. 여기서의 또 다른 제어부는 상기에서 설명한 안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통합하여 실시 될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는 무게감지센서(미 도시), 접촉센서(미 도시), 적외선센서(미 도시), 영상센서(미 도시) 등의 다양한 장치들로 용기(1)의 면적과 깊이 등을 선택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상기로부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예시를 위해 기술되었으며, 아울러 본 개시의 범주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가능한 다양한 변형 예들이 존재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개시되고 있는 상기 다양한 실시 예들은 본 개시된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진정한 사상 및 범주는 하기의 청구항으로부터 제시될 것이다.
1 : 용기
2 : 뚜껑
3 : 도구
100 : 중앙가열부
200 : 측면가열부
210 : 가열코일
220 : 역장코일
300 : 이동부
310 : 회전축
320 : 가이드
330 : 모터
400 : 고정부
500 : 수집부
510 : 결합통
520 : 유지부
530 : 끼움부
600 : 결합부
700 : 흡수재
800 : 안내부
900 : 연장가열부

Claims (15)

  1. 삭제
  2. 인덕션레인지에 있어서,
    적어도 용기의 바닥을 향하여 자기장을 형성하는 중앙가열부; 및
    적어도 상기 중앙가열부의 한쪽 측면 상부에 마련되되, 적어도 상기 용기의 측면에 자기장을 형성하는 측면가열부;
    를 포함하여, 적어도 용기의 하부와 측면이 동시에 가열되도록 하되,
    상기 측면가열부는 용기의 측면으로 자기장을 형성하는 가열코일 및 상기 가열코일의 상부에 마련되되, 적어도 상기 가열코일과 반대 방향의 자기장을 형성하는 역장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가열부에 마련되되, 적어도 상기 측면가열부의 상부 면과 중앙가열부의 상부 면이 일치되도록 상기 중앙가열부를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는 상기 중앙가열부에 마련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감싸도록 마련되되, 상기 회전축과 나사 결합된 가이드 및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가열부 또는 측면가열부에 마련되되, 상기 중앙가열부 상부를 덮을 수 있는 뚜껑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적어도 상기 중앙가열부의 하부와 가이드 사이에 마련되어, 적어도 상기 중앙가열부와 상기 측면가열부 사이로 유출되는 수분을 수집하는 수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집부는 상기 회전축을 감싸도록 마련되되, 서로 분리되는 결합통과 상기 결합통에 마련되되, 결합통이 서로 결합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결합 유지부 및 상기 결합통 하부에 마련되되, 상기 가이드가 끼워지는 끼움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가열부 또는 상기 측면가열부의 상부에 마련되어 조리용 도구가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앙가열부의 한쪽에 마련되되, 상기 중앙가열부와 상기 측면가열부 사이의 수분을 흡수하는 흡수재를 더 포함하는 인덕션레인지.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인덕션레인지에 있어서,
    적어도 용기의 바닥을 향하여 자기장을 형성하는 중앙가열부; 및
    적어도 상기 중앙가열부의 한쪽 측면 상부에 마련되되, 적어도 상기 용기의 측면에 자기장을 형성하는 측면가열부;
    를 포함하여, 적어도 용기의 하부와 측면이 동시에 가열되도록 하되,
    상기 중앙가열부에 마련되되, 적어도 상기 측면가열부의 상부 면과 상기 중앙가열부의 상부 면이 일치되도록 상기 중앙가열부를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더 포함하여, 적어도 상기 중앙가열부 보다 큰 면적의 다른 용기의 바닥이 집중적으로 가열되도록 하며,
    상기 이동부는 상기 중앙가열부에 마련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감싸도록 마련되되, 상기 회전축과 나사 결합된 가이드 및 상기 회전축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여, 적어도 중앙가열부에 지지되는 상기 용기가 회전축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회전하면서 상기 가이드에 의해서 상부와 하부로 이동되고,
    상기 중앙가열부 또는 상기 측면가열부의 상부에 마련되어 조리용 도구가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여, 적어도 도구가 회전되는 상기 용기 내부에 위치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인덕션레인지.
  10. 인덕션레인지에 있어서,
    적어도 용기의 바닥을 향하여 자기장을 형성하는 중앙가열부; 및
    적어도 상기 중앙가열부의 한쪽 측면 상부에 마련되되, 적어도 상기 용기의 측면에 자기장을 형성하는 측면가열부;
    를 포함하여, 적어도 용기의 하부와 측면이 동시에 가열되도록 하되,
    상기 중앙가열부에 마련되되, 적어도 상기 측면가열부의 상부 면과 상기 중앙가열부의 상부 면이 일치되도록 상기 중앙가열부를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더 포함하여, 적어도 상기 중앙가열부 보다 큰 면적의 다른 용기의 바닥이 집중적으로 가열되도록 하며,
    상기 이동부는 상기 중앙가열부에 마련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감싸도록 마련되되, 상기 회전축과 나사 결합된 가이드 및 상기 회전축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여, 적어도 중앙가열부에 지지되는 상기 용기가 회전축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회전하면서 상기 가이드에 의해서 상부와 하부로 이동되고,
    적어도 상기 중앙가열부의 하부와 가이드 사이에 마련되어, 적어도 상기 중앙가열부와 상기 측면가열부 사이로 유출되는 수분을 수집하는 수집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수집부는
    상기 회전축을 감싸도록 마련되되, 서로 분리되는 결합통;
    상기 결합통에 마련되되, 결합통이 서로 결합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결합 유지부; 및
    상기 결합통 하부에 마련되되, 상기 가이드가 끼워지는 끼움부;
    를 포함하여, 적어도 상기 회전축의 회전으로부터 결합통의 회전을 방지하는 인덕션레인지.
  11. 삭제
  12. 인덕션레인지에 있어서,
    적어도 용기의 바닥을 향하여 자기장을 형성하는 중앙가열부; 및
    적어도 상기 중앙가열부의 한쪽 측면 상부에 마련되되, 적어도 상기 용기의 측면에 자기장을 형성하는 측면가열부;
    를 포함하여, 적어도 용기의 하부와 측면이 동시에 가열되도록 하되,
    적어도 상기 측면가열부의 외곽 쪽 측면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용기의 측면에 자기장을 형성하는 연장가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면가열부에 마련되되, 적어도 측면가열부의 상부 면이 상기 중앙가열부의 상부 면 또는 상기 연장가열부의 상부 면과 일치하도록 이동시키는 또 다른 이동부를 더 포함하여,
    적어도 상기 용기 다양한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용기의 바닥 면과 측면에 자기장을 제공할 수 있는 인덕션레인지.
  13. 제2항, 제9항 및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측면가열부의 외곽 쪽 측면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용기의 측면에 자기장을 형성하는 연장가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면가열부에 마련되되, 적어도 측면가열부의 상부 면이 상기 중앙가열부의 상부 면 또는 상기 연장가열부의 상부 면과 일치하도록 이동시키는 또 다른 이동부를 더 포함하여,
    적어도 상기 용기 다양한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용기의 바닥 면과 측면에 자기장을 제공할 수 있는 인덕션레인지.
  14. 삭제
  15. 삭제
KR1020180028455A 2018-03-12 2018-03-12 인덕션레인지 KR101942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455A KR101942307B1 (ko) 2018-03-12 2018-03-12 인덕션레인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455A KR101942307B1 (ko) 2018-03-12 2018-03-12 인덕션레인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2307B1 true KR101942307B1 (ko) 2019-04-11

Family

ID=66167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8455A KR101942307B1 (ko) 2018-03-12 2018-03-12 인덕션레인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230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172B2 (ja) * 1987-06-30 1996-01-24 日本鋼管株式会社 絞り加工性に優れた軟質クロムメッキ皮膜の形成方法
KR200390583Y1 (ko) * 2005-04-28 2005-07-21 배영규 건조기 겸용 전자렌지
KR100521088B1 (ko) * 2003-12-09 2005-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유닛을 구비한 복합 유도가열 조리기
KR101632742B1 (ko) * 2014-05-28 2016-06-22 정원식 인덕션 조리기
KR20160146168A (ko) * 2015-06-11 2016-12-21 주식회사 우리기술미래 유도가열방식을 이용한 분리형 조리장치
JP7106172B2 (ja) * 2019-03-26 2022-07-26 株式会社ニューギン 遊技機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172B2 (ja) * 1987-06-30 1996-01-24 日本鋼管株式会社 絞り加工性に優れた軟質クロムメッキ皮膜の形成方法
KR100521088B1 (ko) * 2003-12-09 2005-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유닛을 구비한 복합 유도가열 조리기
KR200390583Y1 (ko) * 2005-04-28 2005-07-21 배영규 건조기 겸용 전자렌지
KR101632742B1 (ko) * 2014-05-28 2016-06-22 정원식 인덕션 조리기
KR20160146168A (ko) * 2015-06-11 2016-12-21 주식회사 우리기술미래 유도가열방식을 이용한 분리형 조리장치
JP7106172B2 (ja) * 2019-03-26 2022-07-26 株式会社ニューギン 遊技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70017C2 (ru) Лопастной элемент, контейнер с лопастным элементом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епловой кулинарной обработки
JP6153034B2 (ja) 誘導加熱調理器
US10064246B2 (en) Induction cook-top apparatus
US20090289054A1 (en) Induction Cook-Top Apparatus
JP2010073384A (ja) 誘導加熱調理器
WO2005102124A1 (fr) Bouilloire, bouilloire electrique et bouilloire electrique sans fil
US9066373B2 (en) Control method for an induction cooking appliance
KR101632742B1 (ko) 인덕션 조리기
KR101942307B1 (ko) 인덕션레인지
US20160169744A1 (en) Detector system preventing food boil over for stoves
CN105832147B (zh) 一种多功能水壶
JP2010108796A (ja) 誘導加熱調理器
JP2005011618A (ja) 誘導加熱調理器
KR20220082638A (ko) 조리 기기
JP2009218050A (ja) 誘導加熱調理器
EP2807900B1 (en) Induction cook-top apparatus
KR20220095898A (ko) 유도 가열 방식의 쿡탑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201070B1 (ko) 조리 장치
JP5025563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2550654B1 (ko) 조리기기
JP5257542B2 (ja) 誘導加熱調理器
CN206006913U (zh) 一种多功能水壶
KR20210072437A (ko) 조리기기
JP6416648B2 (ja) 誘導加熱調理器
CN217540834U (zh) 一种防摔落的节能电磁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