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5029A - 통풍 장치 - Google Patents

통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5029A
KR20160145029A KR1020167028854A KR20167028854A KR20160145029A KR 20160145029 A KR20160145029 A KR 20160145029A KR 1020167028854 A KR1020167028854 A KR 1020167028854A KR 20167028854 A KR20167028854 A KR 20167028854A KR 20160145029 A KR20160145029 A KR 201601450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eat storage
flow
intake
exha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8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9465B1 (ko
Inventor
크리스토프 베커
프리트헬름 슈뢰터
유르겐 사스만스하우젠
마르틴 조엘러
Original Assignee
지게니아-아우비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게니아-아우비 카게 filed Critical 지게니아-아우비 카게
Publication of KR20160145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5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9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9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24F5/001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using cold storage bodies, e.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28D20/0056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using solid heat storage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2012/008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cyclic routing supply and exhaust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7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a wal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6Heat recovery units
    • Y02B30/563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4Thermal energy storage
    • Y02E60/142
    • Y02E60/14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Ventilation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실내공간으로 흡기와 배기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통풍장치(1)로서, 상기 통풍장치(1)는 공간 내부(3) 또는 건물벽(4)에 구비되는 하우징(2)을 포함하고, 공간 내부(3)로 유입되는 흡기류(6)를 위한 공기촉진장치(5)와 공간 내부(3)로부터 배출되는 배기류(7)를 위한 공기촉진장치(5)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배기류(7)로부터 상기 흡기류(6)로 열을 전달하기 위한 열저장 유니트(8)를 포함하고, 공기가 흐르는 길을 조절하기 위한 개폐장치(12)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촉진장치(5)는 상기 흡기류(6)를 위한 팬(13)과 상기 배기류(7)를 위한 팬(14)으로 이루어져서 지속적으로 공기가 이송되는 방향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열저장 유니트(8)는 두 개의 열저장 부재(15, 16)를 포함하고, 상기 흡기류 및 배기류(6, 7)가 통과하는 각각의 인입구 및 배출구(17, 18, 19, 20)에 구비되는 상기 열저장 부재(15, 16)의 전방에, 공기의 흐름이 교차하면서 상호 대항하여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개폐장치(12)가 구비된다.

Description

통풍장치 {Ventilating Device}
본 발명은 통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청구항 1항의 상위개념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실내공간을 위한 흡기 및 배기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통풍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배기류로부터 흡기류로 열이 전달되도록 열저장 유니트를 포함하고,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하여 개폐장치를 포함하고, 공기가 흐르는 길에 여과 부재가 구비되는 통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통풍장치가 이미 유럽공개공보 EP 0855560 B1에 개시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이 통풍장치는 실내공간을 위한 흡기 및 배기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고, 배기류로부터의 열 회수를 위한 교류 열교환기를 포함한다. 또한, 이 통풍장치는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하우징은 - 예를 들어 실내 공간 내부에서 - 건물 벽면에 또는 벽 내부에 설치되고, 외부공기를 유입하는 흡기류 및 배기류를 위한 각각의 기류채널과 연결이 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하우징 내부에 두 개의 각각 분리된 기류가 흐르는 길이 구성되고, 이 두 개의 길에 필터 부재가 구비된다. 주지의 통풍장치는 흡기 및 배기 중에 있는 공기의 이동이 열 교환기를 교차하면서 통과하도록 구성되었다. 이와 같은 교류원리는 열 회수라는 목적을 달성할 수는 있으나, 열 회수율과 관련하여 단점으로 부각되었다. 이런 기류채널의 구성과 열 교환기를 통과하는 흡기류 및 배기류의 교차적인 흐름은 압력의 손실을 유발시키는데, 이를 보정하기 위해서 더 높은 출력과 더 많은 가동에너지가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이로써 소요되는 에너지 비용이 증가하게 되고, 팬에 무리가 가게 되며, 그 밖에도 팬을 높은 출력으로 가동시키게 됨으로써 많은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더 나아가서 독일 공개공보 DE 202012010671 U1 에 건축물의 최소한 한 공간으로 흡기 및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공조기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이 공조장치에 공기 인입구 측과 배출구 측에 각각 하나의 채널공을 포함하는 두 개의 기류채널이 구비되고, 상기 두 개의 기류채널은 각각의 채널공 사이에서 공기의 이송을 촉진하는 장치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공조장치에 구비되는 폐쇄장치는 공기촉진장치를 경유하는 제1공기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제1가동 단계에서 제1공기채널의 개방부를 다른 제2공기채널의 개방구와 공기역학적으로 연결하며, 공기촉진장치를 경유하는 제2공기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제2가동 단계에서 제1 공기채널의 또 다른 개방부를 제2공기채널의 다른 개방구와 기류 역학적으로 연결한다.
주지의 통풍장치는 개폐장치가 환기뚜껑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환기뚜껑을 통하여 각각의 가동 단계는 회전운동을 통하여 조절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개폐장치의 작동과정은 주기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공기의 교환은 주기 내에서 중단되는데, 이는 공기의 교환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실내 공간에 있는 사람에게 방해가 될 수 있는 소음을 발생시킨다. 그 밖에도, 열교환기와 필터장치로 순차적으로 교대하여 공기가 통과하게 되고, 흡기류와 배기류의 흐름이 절반으로 나눠지기 때문에 가용할 수 있는 전체 저장용량의 절반만이 사용하게 되는데, 이는 열 회수율에 단점으로 작용한다. 더 나아가서 필터장치로 흡기류와 배기류가 교대로 통과하는 구성은 단점으로 판명되었다. 이미 배기류를 통하여 실내에서 빨아들인 오염된 분진은 흡입류를 통하여 다시 실내로 유입되기 때문이다.
그 외에도 유럽 공개공보 EP 2660525 A2 에 실내 공간의 공기를 냉/난방 및 제습하기 위한 환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환기장치는 실내 공간을 바깥 환경과 연결하는 공기채널을 포함한다. 이 환기장치는 그 외에도 적어도 하나의 공기채널 내에 구비되는 축 환풍기가 포함하는데, 환풍기는 외부의 공기를 실내로,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전달할 수 있도록 서로 대향하는 설치되는 공기촉진장치를 포함하는 최소한 두 단계의 가동상태로 작동한다. 그 외에도 이 통풍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환풍기와 외부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열저장 부재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환풍기와 실내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온도조절부재와 제 2 온도조절부재가 구비되는 온도조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온도조절부재는 서로 펠티에 소자로 연결된다.
그 외에도 PCT 국제출원 공개공보 WO 03/098120 A1 에 또 다른 통풍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통풍장치는 교대하면서 흡기와 배기가 서로 대항하여 통과하는 제 1 열저장 부재와 제 2 열저장 부재를 포함한다. 두 개의 회전하는 블라인드가 개폐장치의 기능을 담당하고, 교대로 전환하는 기류를 조절한다. 그러나 블라인드는 각각의 인입 단면부와 배출 단면부의 절반 이하로만 해제하기 때문에 공기의 흐름이 면 전체로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한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서두에서 언급한 통풍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동시에 본 발명에 따른 통풍장치는 소음이 감소하고, 열 회수율이 높은 우수한 환기 성능을 발휘하고자 하며, 아울러 DIN EN 13141-8 에 따른 압력 안정성 기준에도 부합하고자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 1의 특징에 따른 통풍장치가 제공되는데, 공간 내부로 유입되는 흡기류를 위한 팬과 공간 내부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류를 위한 팬으로 이루어지는 공기촉진장치는 거의 지속적으로 공기 이송방향으로 작동하고, 열저장 유니트는 두 개의 열저장 부재를 포함하고, 흡기류 및 배기류가 서로 교대하면서 대향하여 통과하게 되는 각각의 공기 인입구 및 배출구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열저장 부재의 전방으로 개폐장치가 구비된다.
이로써 공간 내부에서 배출되는 배기류와 공간 내부로 유입되는 흡기류는 DIN EN 13141-8 기준에 맞게 동일한 용적류를 가지게 된다. 또한 열저장 부재의 앞쪽에 배치되는 개폐장치를 통하여 서로 분리된 채 가동되는 두 개의 열저장 부재의 배치로 인하여 팬이 동일한 출력을 발휘하는 가운데 흡기류 및 배기류의 흐름이 지속적으로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열 회수 장치의 효율을 향상하고 이를 완전 가동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풍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최소한 두 개의 열저장 부재는 면 전체가 가동 중 지속적으로 각각의 인입구 및 배출구에서 흡기류 및/또는 배기류에 의해서 교대로 통과하게 된다.
이로써 실내 공간에서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가열되는 배기류는 흐름이 계속되는 동안 열저장 부재의 전체 영역으로 분포되어 열을 저장하고, 이에 상응하게 개폐장치를 통한 기류 방향의 전환과 더불어 저장된 열은 마찬가지로 열저장 부재의 전체 단면을 통하여 반대 방향으로 흐르게 되는 흡기류에 다시 전달하게 된다.
열저장 부재는 공기가 지속적으로 통과하는 가운데, 통풍장치의 구성 전체가 보여주고 있는 바와 같이, 공기의 온도를 수용한다. 예컨대 건물 외부로부터 차가운 흡기류가 유입되면 열저장 부재는 온도가 떨어지게 되며, 실내로부터 배기류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열저장 부재는 배기류의 온도를 하강시키며, 그렇지만 동시에 이를 다시 가열시킨다. 통과 기류의 방향이 전환되면서 열저장 부재는 마치 열 교환기처럼 작용하게 되어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고 자신은 다시 스스로 냉각된다.
이러한 프로세스에 매우 적합하도록 열저장 부재는 세라믹 재질 또는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저장매체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채널을 포함한다. 세라믹 재질 또는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저장매체는 높은 열 저장력 이외에도 응결된 미립자의 생성을 저지할 수 있는데, 통풍장치의 열저장 부재는 흡기류 및 배기류가 지속적으로 그리고 과도기 단계로 인해 생길 수 있는 간격이 없이 연속하여 흐르게 됨으로써 실내 온도의 상승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습기를 건조하기 때문이다. 열저장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형상으로 제작되는데, 이는 조립 시 혼동을 예방하고 통풍장치가 가동 상태에 있는 동안 균일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다.
열저장 부재를 포함하는 전술한 통풍장치의 구성을 통하여 최대 용적류가 70% 에 달하는 가운데 열 회수율은 80% 이상에 도달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 부재를 통하여 흡기류가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필터 부재를 통하여 배기류가 각각 일정한 흐름으로 통과하는 구성이다. 이때 필터 부재는 열을 회수하기 위한 장치의 전방에 구비되는데, 이로써 실내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부유하는 오염된 분진으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마찬가지로 배기류 내부에 구비되는 필터 부재는 열을 회수하기 위한 장치의 전방에 구비된다. 필터 부재는 열을 회수하기 위한 장치가 오염되지 않도록 하며, 또한 실내 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에 대항하여 구비된다.
필터 부재는 하우징 내부에서 흡기류 및 배기류가 통과하는 각각의 공기 인입구에 구비됨으로써, 필터 부재뿐 아니라 또한 열 저장 부재를 통하여 면 전체에 걸쳐서 공기가 통과하게 되는 흐름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배치를 통하여 필터 부재는 팬으로부터 가능한 한 멀리 떨어져서 배치되고, 그 결과 공기 흐름의 상태가 양호해질 뿐만 아니라, 체류 시간 또한 길어지기 때문에 유입되는 흡기류가 하우징 전체를 통하여 따듯하게 가열된다. 공기가 관통하여 통과하게 되는 모든 부품, 예컨대 기류채널, 열저장 유니트, 공기촉진장치 및 개폐장치 등은 이들의 앞쪽에 배치되는 필터 부재로 인하여 외부적인 영향, 예를 들면 공기 및/또는 꽃가루에 포함되는 오염된 분진으로부터 보호된다.
조립하는 과정에서 단순한 형상과 결합을 도출하기 위하여, 상기 통풍장치는 수직의 중간부를 기준으로 하고 열저장 부재를 통하여 공기가 통과하는 방향으로 볼 때 좌우 대칭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대칭적인 구성을 통하여 양측에 동일한 부품들이 장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부품의 동일한 배치를 통하여 동일한 상황에서 공기의 유동이 이루어지고 열 회수 역시 동일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개폐장치를 작동시키게 되면, 예를 들면 제 1 열저장 부재를 포함하는 제 1절반부는 흡기류 모드를 취하게 되며, 동시에 다른 측 절반부에 구비되는 제 2 열저장 부재는 배기류 모드를 취하게 된다. 개폐장치를 매번 조작할 때마다 일측 절반부에서 타측 절반부로의 모드 변환이 이루어지고, 그 결과 상기 열 저장 부재를 통하여 상호 교대로 공기가 통과한다.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및 다음 과정으로 넘어가는데 거의 시간적 간격 없이 흡기류로부터 배기류로의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개폐장치는 잠금 부재를 포함하는데, 바람직하게는 환기뚜껑 및/또는 활판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개폐장치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환기뚜껑은 거의 지속적으로 공기의 이송이 가능하도록 신속하게 닫히고 및/또는 신속하게 열리게 된다. 이런 동작은 기류채널의 닫힘 또는 개방상태 및 이와 동시에 흡기류 및 배기류의 흐름 상태를 결정짓게 되는 환기뚜껑의 최종위치 각도 조절에 달려있다. 이때 환기판은 예각을 이루는 정도로, 적어도 90°이하의 각도로 서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조립하는 데 있어서 비용을 절감하고 단순하게 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통풍장치에 구비되는 개폐장치는 네 군데 설치된다. 유일한 차이점으로 통풍장치가 작동하는 동안 시계방향으로 서로 다른 여러 가지 최종위치 각도설정을 보여주는 환기뚜껑의 작동 위치를 들 수 있으며, 제1 가동단계에서, 중앙선을 기준으로 구획되는 통풍장치의 일측 절반부에 구비되는 환기뚜껑은 흡기류가 이동할 수 있도록 개방된 상태의 최종위치에 머물게 되고, 열저장 부재를 통과하고, 이에 반해 통풍장치의 타측 절반부에 구비되는 환기판은 배기류가 이동할 수 있도록 개방된 상태의 최종위치에 머물게 되며, 또 다른 열저장 부재를 통과한다. 환기뚜껑의 최종위치의 변경과 함께 제2 가동단계가 시작되고, 그 결과 상기 각각의 열저장 부재를 통하여 흡기류와 배기류가 동시에 방향을 전환하는 가운데 반대 방향으로부터 공기가 통과한다.
흡기류 및 배기류가 통과하는 기류채널을 닫는 데 있어서 밀폐력을 높이기 위하여, 그리고 환기뚜껑 및/또는 활판에 전달되는 힘이 무리가 되지 않도록 환기뚜껑의 양면 모두에 패킹이 환기뚜껑의 틀 전체를 에워싸는 형태로 구비된다. 패킹은 바람직하게는 포말 재질 또는 탄성고무 재질 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는 입술형 화판 패킹(Dichtungslippe)이며, 닫힘 상태에서 기류채널과 연동하게 된다.
환기뚜껑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개폐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전기 구동모터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환기뚜껑은 구동부재를 통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조절되고, 이로써 통풍장치의 가동상태는 흡기 및 배기의 목적으로 또는 예컨대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장치를 완전히 꺼버리는 목적으로도 선택되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조에 따르면, 가동 중 지속적으로 작동하게 되는 통풍장치의 팬은 방사상 형식의 팬으로 이루어지고, 가동 중 회전 방향이 변하지 않게 된다. 균일한 압력하에 순 용적류 60 m3/h 도달하기 위하여, 그리고 가능한 한 동일하게 유지되는 압력 +/- 20 Pa에 도달하기 위하여 방사상 형식의 팬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회전 방향을 바꾸지 않은 지속적인 가동은 그 밖에도 운용비용을 비교적 절감시키고, 공기촉진장치에 무리를 주지 않기 때문에 마모가 저하되고 거의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를 준다.
팬의 배치는 수직의 중간 영역을 향하여 이루어지고, 팬은 중간 영역에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를 통하여 간단한 조립할 수 있는 또한 완충부재를 충분하게 배치하기 위한 공간이 확보된다.
통풍장치가 중앙선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을 이루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또한 하우징의 경계벽 하부에 하나의 팬이 배치되며 하우징의 경계벽 상부에 다른 하나의 팬이 배치됨으로써 팬은 각각 필터 부재 및 열저장 부재로부터 되도록 멀리 떨어져 위치하게 되고, 이로써 공기의 흐름 여건이 양호해 질 뿐만 아니라 외부에서 유입되어 하우징 전체를 통해서 흐르게 되는 흡기류의 체류 시간이 늘어나게 되고, 그 결과 흡기류는 보다 효율적으로 가열이 된다.
바람직한 하게 통풍장치의 하우징은 하우징 덮개와 하우징 뚜껑으로 이루어지고, 하우징 덮개와 하우징 뚜껑은 상호 형상이 맞물리게 결합하고 및/또는 서로 압착시켜 맞물리게 결합한다. 하우징 덮개로부터 이탈하게 되는 하우징 뚜껑이 개방된 상태에서는 모든 부품은 간단하고 신속하게 하우징 덮개 내부로 확실한 위치를 차지하며 조립될 수 있다. 하우징 덮개 내부에 설치되는 모든 기능부품들은 하우징 뚜껑이 덮고 있기 때문에 완전히 은폐된 상태에 놓여 있게 된다. 통풍장치의 수명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오염 문제는 하우징 덮개와 하우징 뚜껑의 상호 긴밀한 결속으로 인하여 배제된다. 필터 부재 역시 정비가 필요한 경우 견고하게 조립된 하우징 뚜껑을 개방함으로써 매우 간단하게 교환되고, 경우에 따라서 청소도 가능하다.
발생하는 소음을 현격히 줄이고 아울러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기능부품들이 최대한으로 가동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공간을 최대한 이용하기 위해서 건물벽에 맞닿는 하우징 벽면에 흡기류를 위한 제1 절단부와 배기류를 위한 제2 절단부가 각각 포함된다.
절단부는 건물벽에 형성되는 관통공에 적합한 형태로 바람직하게는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건물벽에 구비되는 관통공은 드릴 작업을 통해서 간단하게 만들 수 있으며, 건물의 외측과 통풍장치의 연결이 관 형상의 기류채널을 통하여 간단한 방식으로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관통공의 조립과 제작은 절단부가 통풍장치의 수직의 중앙선을 기준으로 서로 엇갈리게 구비되는 구성을 통하여 더욱 용이케 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통풍장치는 흡기류 및 배기류가 통과하는 공간에 팬과 열저장 부재가 구비되는, 건물의 실내공간으로 흡기와 배기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통풍장치를 가동시키는 방법을 제안하는데, 이때 공기가 방향을 바꾸어 열저장 부재를 통과하게 되면서 흡기류 및 배기류 간에 온도의 교환이 이루어지고, 열저장 부재를 서로 교차하여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은, 팬이 작동하는 가운데, 흡기류 및 배기류의 공기 통로의 교환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열저장 부재는 공기가 유입되는 측면에 구비되어 가동 중인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면 전체가 각각의 인입구 및 배출구에 맞닿는 형태로 구비되고, 흡기류 및 배기류가 열저장 부재를 통과하게 되는 통풍장치의 작동 방법이 제안된다.
그 밖의 효과적인 실시 예들은 아래의 첨부 도면에서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풍장치는 소음이 감소하고, 열 회수율이 높은 우수한 환기 성능을 발휘하고자 하며, 아울러 DIN EN 13141-8 에 따른 압력 안정성 기준에도 부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하우징이 개방된 상태의, 전면도와 측면도를 도시한 통풍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하우징이 개방된 상태의, 전면도와 조감도를 도시한 통풍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통풍장치의 전면도, 측면도, 조감도 및 저면도이다.
도 4는 통풍장치의 저면도 및 저면도의 절단선 A-A에 따른 절개도이다.
도 5는 제 1 열저장 부재를 통한 흡기류의 흐름을 도시하는 통풍장치의 조감절개도 및 측면 절개도이다.
도 6은 제 2 열저장 부재를 통한 흡기류의 흐름을 도시하는 통풍장치의 조감 절개도 및 측면 절개도이다.
도 7은 제 1 열저장 부재를 통한 배기류의 흐름을 도시하는 통풍장치의 조감절개도 및 측면 절개도이다.
도 8은 제 2 열저장 부재를 통한 배기류의 흐름을 도시하는 통풍장치의 조감 절개도 및 측면 해부도이다.
도 9는 도 5 내지 도 8에 따른 통풍장치의 환기뚜껑의 사시도, 정면도 및 절개도이다.
도 1 및 도 2는 건물의 실내공간으로 흡기와 배기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통풍장치(1)의 하우징(2)이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통풍장치(1)는, 도 5 내지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실내공간 내측에서, 특히 정면벽으로 형성될 수 있는 건물벽(4) 위에 또는 그 내부에 고정된다. 이때 건물벽(4)은 외부를 향하여 형성되는, 흡기류(6)를 위한 관통공(47) 및 배기류(7)를 위한 관통공(48)을 포함한다.
도 5 내지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통풍장치(1)는 공기촉진장치(5)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촉진장치(5)는 흡기류(6)를 위한 제 1 팬(13)과 배기류(7)를 위한 제 2팬(14)으로 이루어지고, 제 1팬(13)은 가동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건물 외부에서 공기를 유입하여 건물 내부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담당하고, 제 2팬(14)은 이와 반대로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그 밖에도 상기 배기류(7)로부터 상기 흡기류(6)로 열을 전달하기 위한 열저장 유니트(8)를 포함하고, 공기가 흐르는 길에 필터 부재(9, 10, 11)가 구비된다. 이런 목적을 위하여 개폐장치(12)가 공기가 흐르는 길을 조절한다.
상기 열저장 유니트(8)는, 도 5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의 열저장 부재(15, 16)를 포함하고, 상기 흡기류 및 배기류(6, 7)가 통과하는 각각의 인입구 및 배출구(17, 18, 19, 20)에 구비되는 상기 열저장 부재(15, 16)의 전방에, 공기의 흐름이 교차하면서 상호 대항하여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개폐장치(12)가 구비된다.
실내공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류(7)와 실내공간으로 유입되는 흡기류(6)는 용적류를 균일하게 유지시키므로 압력 안정성을 확보케 한다. 상기 두 개의 열저장 부재(15, 16)는 다시 전방에 구비되는 개폐장치(12)를 통하여 서로 분리되어 조작된다. 이로써 상기 팬(13, 14)이 동일한 출력으로 작동하는 가운데 지속적으로 균일하게 유지되는 흡기류 및 배기류(6,7)가 가능해지는 것이다.
열 회수 장치의 효율을 향상하고 이를 완전 가동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풍장치(1)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최소한 두 개로 구비되는 열저장 부재(15, 16)는 면 전체가 가동 중 지속적으로 각각의 인입구 및 배출구(17, 18, 19, 20)에서 흡기류 및/또는 배기류(6, 7)에 의해서 교대로 통과하게 된다. (이에 관하여 도 5 내지 도 8를 참고하라!). 이러한 효과는 공기가 유입되는 측에 설치되는 열저장 부재(15, 16)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이로써 실내 공간(3)에서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가열되는 배기류(7)는 흐름이 계속되는 동안 열저장 부재(15, 16)의 전체 영역으로 분포되어 열을 저장한다. 이에 상응하게 개폐장치(12)를 통한 기류 방향의 전환과 더불어 저장된 열은 열저장 부재(15,16)의 전체 단면을 통하여 반대 방향으로 흐르게 되는 흡기류(6)에 다시 전달되게 된다.
열저장 부재(15, 16)는 공기가 지속적으로 통과하는 가운데, 통풍장치(1)의 구성 전체가 보여주고 있는 바와 같이, 공기 중에 포함된 온도를 수용한다. 예컨대, 도 5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물 외부로부터 공기 인입구(21)를 통하여 차가운 흡기류(6)가 화살표가 지시하는 방향으로 유입되면 열저장 부재(15, 16)의 온도가 떨어지게 되고, 도 7 내지 도 8이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3)로부터 흡입되는 배기류(7)가 화살표 방향으로 공기 배출구(53)를 통하여 건물 외부로 배출되면서 열저장 부재(15, 16)는 배기류(7)에 의해 가열되고, 가열된 흡기류(6)의 공기는 화살표 방향을 따라서 기류 채널(30) 및 공기배출구(51, 51)를 통과하여 하우징(2)으로부터 실내 공간으로 유입된다. 통과 기류의 방향이 전환되면서 열저장 부재(15, 16)는 마치 열 교환기처럼 작용하게 되어 유입되는 흡기류(6)의 공기를 가열하고 자신은 다시 스스로 냉각된다.
열저장 부재(15, 16)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공기가 통과하고, 세라믹 재질 또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저장매체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채널을 포함한다. 세라믹 재질 또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저장매체는 높은 효율의 열 저장력을 가질 뿐만 아니라, 통풍장치(1)의 열저장 부재(15, 16)는 흡기류 및 배기류(6, 7)가 지속적으로 그리고 다음 단계로 넘어가는데 생기게 되는 시간적인 간격 없이 연속하여 흐르게 됨으로써 실내 온도의 상승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습기를 건조하기 때문에 응결된 미립자가 형성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위에서 기술한 열저장 부재(15, 16)를 구비하는 통풍장치(1)는 용적류가 70% 에 달하게 될 때 열 회수율은 80% 이상이다.
도 5 및 도 6의 측면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 부재(9)를 통하여 균일하게 공기의 흐름이 촉진되는 가운데 흡기류(6)가 통과하게 된다. 상기 필터 부재(9)는 기류채널(32) 내부에서 거의 하우징(2)의 전체의 폭에 걸쳐서 형성된다. 넓은 면적으로 이루어진 상기 필터 부재(9)는 흡수되는 오염된 분진을 가능한 한 넓게 분산시키므로 내구성이 향상된다. 도 7 또는 도 8의 조감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류채널(19, 33)에 구비되는 두 개의 필터 부재(10, 11)를 통하여 균일하게 공기의 흐름이 촉진되는 가운데 배기류(7)가 통과하게 되고, 이때 필터 부재(9)는 열을 회수하기 위한 장치(15, 16)의 전방에 구비되는데, 이로써 실내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부유하는 오염된 분진으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마찬가지로 배기류(7) 내부에 구비되는 필터 부재(10, 11)는 열을 회수하기 위한 장치(15, 16)의 전방에 구비된다. 상기 필터 부재(9, 10, 11)는 열을 회수하기 위한 장치(15, 16)가 오염되지 않도록 하며, 또한 실내 공간(3)으로 유입되는 공기에 대항하여 구비된다.
그 밖에도, 하우징(2) 내부에 구비되는 필터 부재(9, 10, 11)는 흡기류 및 배기류(6, 7)가 통과하는 각각의 공기 인입구(21, 22, 23)에 구비됨으로써, 필터 부재(9, 10, 11) 뿐 아니라 또한 열저장 부재(15, 16)를 통하여 면 전체에 걸쳐서 공기가 통과하게 되는 흐름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배치를 통하여 필터 부재(9, 10, 11)는 팬(13, 14)으로부터 가능한 한 멀리 떨어져서 배치되고, 그 결과 공기 흐름의 상태가 양호해질 뿐만 아니라, 체류 시간 또한 길어지기 때문에 유입되는 흡기류(6)가 하우징(2) 전체를 통하여 따듯하게 가열된다.
조립하는 과정에서 단순한 형상과 결합을 도출하기 위하여 상기 통풍장치(1)는, 예컨대 도 3 또는 도 5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의 중간부(24)를 기준으로 하고 열저장 부재(15, 16)를 통하여 공기가 관통하는 방향으로 볼 때 좌우 대칭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대칭적인 구성을 통하여 양측에 동일한 부품들이 장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부품의 동일한 배치를 통하여 동일한 상황에서 공기의 유동이 이루어지고 열 회수 역시 동일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개폐장치(12)를 작동시키게 되면, 예를 들면 제 1열저장 부재(15)를 포함하는 제 1절반부(34)는 흡기류(6) 모드를 취하게 되며, 동시에 다른 측 절반부(35)에 구비되는 제 2열저장 부재(16)는 배기류(7) 모드를 취하게 된다. 개폐장치(12)를 매번 조작할 때마다 일측 절반부(34)에서 타측 절반부(35)로의 모드 변환이 이루어지고, 그 결과 상기 열 저장 부재(15, 16)를 통하여 상호 교대로 공기가 통과한다.
흡기류(6)로부터 배기류(7)로의 전환이 소음 없이 및 다음 과정으로 넘어가는데 거의 시간적 간격 없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개폐장치(12)는 잠금 부재를 포함하는데, 바람직하게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은 또는 도 5 내지 도 8에 따른 가동 중인 상태의 환기뚜껑(25, 26, 27, 28)을 포함하거나 및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활판으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상기 개폐장치(12)가 구성됨으로써 환기뚜껑(25, 26, 27, 28)은 회전축(49)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을 하게 되어 거의 백래시 없이 개폐장치(12)의 하우징에 맞닿는 형태로 수용되고, 더 나아가서 이에 상응하게 지속적으로 공기의 이송이 가능하도록 신속하게 닫히고 및/또는 신속하게 열리게 된다. 이에 관한 기준은 기류채널(29, 30, 31, 31, 33)의 닫힘 또는 개방 상태 및 도 5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기류 및 배기류(6, 7)의 흐름 상태를 동시에 결정하게 되는 상기 환기뚜껑(25, 26, 27, 28)의 최종위치 각도 조절에 달렸다. 이를 위하여 환기뚜껑(25, 26, 27, 28)은 예각을 이루는 구조로, 적어도 90도 이하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로써 환기판(25, 26, 27, 28)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짧은 회전 반경 내지 작업 반경이 생겨나게 된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풍장치(1)에 구비되는 개폐장치(12)는 네 곳에 설치되어 작동한다. 유일한 차이점으로 통풍장치가 작동하는 동안 시계방향으로 서로 다른 여러 가지 최종위치 각도설정을 보여주는 환기판(25, 26, 27, 28)의 작동 위치를 들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가동단계에서, 중앙선(24)을 기준으로 구획되는 통풍장치(1)의 일측 절반부(34)에 구비되는 환기뚜껑(25, 26)은 흡기류(6)가 이동할 수 있도록 개방된 상태의 최종위치에 머물게 되고, 화살표가 가리키는 방향으로 열저장 부재(15)를 통과하고, 이에 반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풍장치(1)의 타측 절반부에 구비되는 환기뚜껑(27, 28)은 배기류(7)가 이동할 수 있도록 개방된 상태의 최종위치에 머물게 되며, 화살표 방향으로 또 다른 열저장 부재(16)를 통과한다. 환기뚜껑(25, 26, 27, 28)의 최종위치 선정이 바뀌게 됨으로써 제2 가동단계가 시작되는데, 상기 각각의 열저장 부재(15, 16)를 통하여,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 흡기류와 배기류(6, 7)가 동시에 방향을 전환하는 가운데 각각 화살표가 도시하는 반대 방향으로부터 공기가 통과한다. 환기판(25, 26, 27, 28)을 이용하여 개폐장치(12)가 조절됨으로써 통풍장치(1)의 절반부(34, 35) 모두에서 흡기류 및 배기류(6, 7)의 방향 전환이 꾸준하게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일정한 공기의 흐름 속에서 지속적으로 공기가 교환되고, 지속적으로 열이 회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기류(6) 및 배기류(7)가 통과하는 기류채널(29, 30, 31, 32, 33)을 닫는 데 있어서 밀폐력을 높이기 위하여 패킹(36, 37)은 환기뚜껑의 양면 모두에서 환기뚜껑의 틀 전체를 에워싸는 형태로 구비된다. 강력한 힘이 전달되는 순간에 있어서조차 패킹(36, 37)은 환기뚜껑(25, 26, 27, 28) 및/또는 활판에 무리를 주지 않으며, 마모를 줄여 준다. 바람직하게는 포말재질 또는 탄성고무재질 또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입술형 화판 패킹(Dichtungslippe)은, 도 5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닫힘 상태에서 기류채널(29, 30, 31, 32, 33)과 연동하여 작동된다.
환기뚜껑(25, 26, 27, 28)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개폐장치(12)는, 도 5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전기 구동모터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한 방식으로는 환기뚜껑(25, 26, 27, 28)은 구동부재(38)를 통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조절된다는 것인데, 이로써 통풍장치(1)의 가동상태는 흡기 및 배기의 목적으로 또는 예컨대 제어기(44)를 이용하여 완전히 장치를 꺼버리는 목적으로 선택되어 질 수 있다. 도 3의 조감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통풍장치(1)의 상부에서 중앙선(24)을 향하는 경계벽 상부(46)에 제어기(44)가 구비되고,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통풍장치(1)의 제어에 필요한 전기적 부품들 및 조작/디스플레이 장치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촉진장치(5)로 묘사한 팬(13, 14)으로 방사상 형식의 팬이 장착되는데, 방사상 팬은 각각 축 방향으로 중앙으로 공기를 유입하거나 또는 팬의 회전날개 쪽으로 집중적으로 공기를 유입하여 이를 방사상 방향으로 내부에서 외부로 이송시킨다. 통풍장치(1)에 있어서 팬(13, 14)은 가동 중 회전 방향이 변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작동한다. 회전 방향을 바꾸지 않은 지속적인 가동은 그 밖에도 운용비용을 비교적 절감시키고, 공기촉진장치(5)에 무리를 주지 않기 때문에 마모가 저하되고 거의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를 준다.
마찬가지로 도 4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팬(13, 14)의 배치는 통풍장치(1)의 수직의 중간 영역(24)을 향하여 이루어진다. 이 수직의 중간 영역(24)에서 배치되는 팬(13, 14)은 중간 영역에서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를 통하여 간단한 조립할 수 있는 공간이거나 또한 팬(13, 14)을 보호할 수 있도록 완충부재(50)를 충분하게 배치하기 위한 공간이 확보된다. 완충부재(50)는 기류채널(29, 30, 31, 32, 33)을 완전히 도배하거나 내지는 기류채널(29, 30, 31, 32, 33)를 형성한다. 그 밖에도 하우징 덮개(39)와 하우진 뚜껑(40)은 내부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완충부재(50)로 덮이게 된다.
통풍장치(1)가 중앙선(24)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을 이루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또한 하우징(2)의 경계벽 하부(45)에 하나의 팬(13)이 배치되며 하우징(2)의 경계벽 상부(46)에 다른 하나의 팬(14)이 배치됨으로써 팬(13, 14)은 각각 필터 부재(9, 10, 11) 및 열저장 부재(15, 16)로부터 되도록 멀리 떨어져 위치하게 되고, 이로써 공기의 흐름 여건이 양호해 질 뿐만 아니라 외부에서 유입되어 하우징(2) 전체를 통해서 흐르게 되는 흡기류(6)의 체류 시간이 늘어나게 되고, 그 결과 흡기류(6)는 보다 효율적으로 가열이 된다.
도 1과 도 2의 사시도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풍장치(1)의 하우징(2)은 하우징 덮개(39)와 하우징 뚜껑(40)으로 이루어지고, 하우징 덮개(39)와 하우징 뚜껑(40)은 상호 형상이 맞물리게 결합하고 및/또는 서로 서로 압착시켜 맞물리게 결합한다. 하우징 덮개(39)로부터 이탈하게 되는 하우징 뚜껑(40)이 개방된 상태에서는 모든 부품은 간단하고 신속하게 하우징 덮개(39) 내부로 확실한 위치를 점하며 조립될 수 있다. 하우징 덮개(39) 내부에 설치되는 모든 기능부품들은, 도 3이 보여주는 바와 같이, 하우징 뚜껑(40)이 덮고 있기 때문에 완전히 은폐된 상태에 놓여 있게 된다. 통풍장치(1)의 수명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오염 문제는 하우징 덮개(39)와 하우징 뚜껑(40)의 상호 긴밀한 결속으로 인하여 배제된다. 필터 부재(9, 10, 11)는 정비가 필요한 경우 견고하게 조립된 하우징 뚜껑(40)을 개방함으로써 매우 간단하게 교환되고, 경우에 따라서 청소도 가능하다.
그 밖에도, 발생하는 소음을 현격히 줄이고 아울러 하우징(2) 내부에 배치되는 기능부품들이 최대한 가동하도록 통풍장치(1)에 구비되는 공간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도 3의 저면도 또는 도 5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물벽(4)에 맞닿는 하우징 벽면(41)에 흡기류(6)를 위한 제1 절단부(42)와 배기류(7)를 위한 제2 절단부(43)를 각각 포함한다.
이런 목적을 위하여 상기 절단부(42, 43)는 건물벽(4)에 형성되는 관통공(47, 48)에 적합한 형태로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건물벽(4)에 구비되는 관통공(47, 48)은 천공 작업을 통해 간단하게 만들 수 있으며, 건물의 외측과 통풍장치(1)의 연결은 도 5 내지 도 8에 각각 암시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의 기류채널를 통하여 간단한 방식으로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서, 관통공(47, 48)의 조립과 제작은 통풍장치(1)의 수직의 중앙선(24)을 기준으로 서로 엇갈리게 구비되는 절단부(42, 43)를 통하여 더욱 용이케 된다.
요약하자면, 흡기류 및 배기류(6, 7)가 통과하는 공간에 팬(13, 14)과 열저장 부재(15, 16)가 구비되는, 건물의 실내공간으로 흡기와 배기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통풍장치(1)를 가동시키는 방법이 제안되는데, 이때 공기가 방향을 바꾸어 상기 열저장 부재(15, 16)를 통과하게 되면서 흡기류 및 배기류(6, 7) 간에 온도의 교환이 이루어지고, 상기 열저장 부재(15, 16)를 서로 교차하여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은, 상기 팬(13, 14)이 작동하는 가운데, 상기 흡기류 및 배기류(6, 7)의 공기 통로의 교환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열저장 부재(15, 16)는 공기가 유입되는 측면에 구비되어 가동 중인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면 전체가 각각의 상기 인입구 및 배출구(17, 18, 19, 20)에 맞닿는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흡기류 및 배기류(6, 7)가 열저장 부재(15, 16)를 통과하는 통풍장치의 작동 방법이 제안된다.
1. 통풍장치 2. 하우징
3. 건물내부 4. 건물벽
5. 공기촉진장치 6. 흡기류
7. 배기류 8. 열저장 유니트
9. 필터 10. 필터
11. 필터 12. 개폐장치
13. 팬 14. 팬
15. 열저장 부재 16. 열저장 부재
17. 인입구 18. 배출구
19. 인입구 20. 배출구
21. 공기인입구 22. 공기인입구
23. 공기인입구 24. 중간영역
25. 환기뚜껑 26. 환기뚜껑
27. 환기뚜껑 28. 환기뚜껑
29. 기류채널 30. 기류채널
31. 기류채널 32. 기류채널
33. 기류채널 34. 절반부
35. 절반부 36. 패킹
37. 패킹 38. 구동부재
39. 하우징 덮개 40. 하우징 뚜껑
41. 하우징 벽 42. 절단부
43. 절단부 44. 제어기
45. 경계벽, 상부 46. 경계벽, 하부
47. 관통공 48. 관통공
49. 회전축 50. 완충부재
51. 공기배출구 52. 공기배출구
53. 공기배출구

Claims (15)

  1. 실내공간으로 흡기와 배기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통풍장치(1)로서,
    상기 통풍장치(1)는 공간 내부(3) 또는 건물벽(4)에 구비되는 하우징(2)을 포함하고,
    공간 내부(3)로 유입되는 흡기류(6)를 위한 공기촉진장치(5)와 공간 내부(3)로부터 배출되는 배기류(7)를 위한 공기촉진장치(5)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배기류(7)로부터 상기 흡기류(6)로 열을 전달하기 위한 열저장 유니트(8)를 포함하고,
    공기가 흐르는 길을 조절하기 위한 개폐장치(12)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촉진장치(5)는 상기 흡기류(6)를 위한 팬(13)과 상기 배기류(7)를 위한 팬(14)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열저장 유니트(8)는 두 개의 열저장 부재(15, 16)를 포함하고,
    상기 열저장 부재(15, 16)는, 실내 공간으로 흡기와 배기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가동 중인 상태에서 면 전체가 지속적으로 각각의 인입구 및 배출구(17, 18, 19, 20)에서 흡기류 및/또는 배기류(6, 7)에 의해서 교대로 통과하게 되고,
    상기 팬(13, 14)은 지속적으로 가동시키기 위하여 공기의 이송 방향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흡기류 및 배기류(6, 7)가 통과하는 각각의 인입구 및 배출구(17, 18, 19, 20)에 구비되는 상기 열저장 부재(15, 16)의 전방에, 공기의 흐름이 교차하면서 상호 대항하여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개폐장치(12)가 구비되며, 상기 열저장 부재(15, 16)는 공기가 유입되는 측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저장 부재(15, 16)는 세라믹 또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저장매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류 및 배기류(6, 7)가 통과하는 길목에 필터 부재(9, 10, 11)가 구비되고, 적어도 하나의 필터 부재(9)를 통하여 상기 흡기류(6)와 두 개의 필터 부재(10, 11)를 통하여 상기 배기류(7)가 각각 일정한 흐름으로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부재(9, 10, 11)는 상기 하우징(2) 내부에서 상기 흡기류 및 배기류(6, 7)가 통과하는 각각의 공기 인입구(21, 22, 23)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장치(1)는, 수직의 중간부를 기준으로 하고 상기 열저장 부재(15, 16)를 통하여 공기가 관통하는 방향으로 보면 좌우 대칭으로 구성됨으로써 동일한 상황에서 공기의 유동이 이루어지고 열의 회수 역시 동일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12)는, 상기 흡기류 및 배기류(6, 7)를 위한 기류 채널(29, 30, 31, 32, 33)을 개폐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는 환기뚜껑(25, 26, 27, 28) 및/또는 활판으로 이루어지는 잠금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12)는 지속적인 공기 이송이 가능하도록 상기 환기뚜껑(25, 26, 27, 28)을 통하여 여닫히게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중간영역(24)을 기준으로 구획되는 상기 통풍장치(1)의 일측 절반부(34)에 구비되는 상기 환기뚜껑(25, 26)은 제1 가동단계에서 상기 흡기류(6)가 이동할 수 있도록 개방된 상태의 최종위치에 머물게 되며, 상기 열저장 부재(15)를 통과하고,
    상기 통풍장치(1)의 타측 절반부에 구비되는 상기 환기뚜껑(27, 28)은 상기 배기류(7)가 이동할 수 있도록 개방된 상태의 최종위치에 머물게 되며, 상기 열저장 부재(16)를 통과하고, 이때 상기 환기뚜껑(25, 26, 27, 28)의 최종위치의 변경과 함께 제2 가동단계가 시작되고, 그 결과 상기 각각의 열저장 부재(15, 16)에 상기 흡기류와 배기류(6, 7)가 동시에 방향을 전환하는 가운데 반대 방향으로부터 공기가 통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뚜껑(25, 26, 27, 28) 및/또는 활판은 상기 흡기류(6) 및 배기류(7)가 통과하는 상기 기류채널(29, 30, 31, 32, 33)을 닫기 위하여 패킹(36, 37)을 포함하고, 상기 패킹은 상기 환기뚜껑(25, 26, 27, 28)을 에워싸는 형태로 양면에 구비되는 고무재질/탄성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12)는 상기 환기뚜껑(25, 26, 27, 28)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전기 구동장치(3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작동하는 동안 지속적으로 동작하게 되는, 상기 공기촉진장치(5)에 구비되는 상기 팬(13, 14)은 방사상 형식의 팬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패킹(13,14)은 상기 통풍장치(1)의 중앙선(24)을 기준으로 서로 엇갈리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장치(1)의 하우징(2)은 하우징 덮개(39)와 하우징 뚜껑(4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 덮개(39)와 하우징 뚜껑(40)은 상호 형상이 맞물려 결합 및/또는 서로 압착시켜 맞물리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장치.
  13. 제 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덮개(39)는 건물벽(4)에 맞닿게 되는 하우징 벽면(41)에 상기 흡기류(6)를 위한 제1 절단부(42)와 상기 배기류(7)를 위한 제2 절단부(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42, 43)는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수직의 중앙선(24)을 기준으로 서로 엇갈리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장치.
  15. 흡기류 및 배기류(6, 7)가 통과하는 공간에 상기 팬(13, 14)과 열저장 부재(15, 16)가 구비되는, 건물의 실내공간으로 흡기와 배기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상기 통풍장치(1)를 가동시키는 방법으로서, 이때 공기가 방향을 바꾸어 상기 열저장 부재(15, 16)를 통과하게 되면서 흡기류 및 배기류(6, 7) 간에 온도의 교환이 이루어지게 되는 방법으로,
    상기 열저장 부재(15, 16)를 서로 교차하여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은, 상기 팬(13, 14)이 작동하는 가운데, 상기 흡기류 및 배기류(6, 7)의 공기 통로의 교환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열저장 부재(15, 16)는 공기가 유입되는 측면에 구비되어 가동 중인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면 전체가 각각의 상기 인입구 및 배출구(17, 18, 19, 20)에 맞닿는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흡기류 및 배기류(6, 7)가 열저장 부재(15, 16)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장치의 작동 방법.
KR1020167028854A 2014-03-18 2015-02-10 통풍 장치 KR1019194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4003753.3A DE102014003753A1 (de) 2014-03-18 2014-03-18 Lüftungsvorrichtung
DE102014003753.3 2014-03-18
PCT/EP2015/052707 WO2015139885A2 (de) 2014-03-18 2015-02-10 Lüftungsvorrich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5029A true KR20160145029A (ko) 2016-12-19
KR101919465B1 KR101919465B1 (ko) 2019-02-11

Family

ID=52577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8854A KR101919465B1 (ko) 2014-03-18 2015-02-10 통풍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3120085B1 (ko)
KR (1) KR101919465B1 (ko)
CN (1) CN106170661B (ko)
DE (1) DE102014003753A1 (ko)
HU (1) HUE059300T2 (ko)
RU (1) RU2666456C2 (ko)
WO (1) WO201513988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7006353U1 (de) * 2017-12-11 2018-01-16 Siegenia-Aubi Kg Lüftungsvorrichtung
PL238612B1 (pl) * 2018-08-07 2021-09-13 Krzysztof Bruzi Urządzenie wentylacyjne i system bezkanałowej, rewersyjnej wentylacji obiektów budowlanych
RU202703U1 (ru) * 2020-03-10 2021-03-03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НТЦ Евровент" Модульная приточно-вытяжная установка вентиляции
DE202020105236U1 (de) 2020-09-11 2020-09-18 Siegenia-Aubi Kg Lüftungsvorrichtung
CN114963836B (zh) * 2022-07-29 2022-10-21 中国电建集团华东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能量回收降噪水箱、排气降噪和余热回收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627734C3 (de) * 1976-06-21 1981-08-20 Weiss Technik GmbH Umwelt-Klima-Messtechnik, 6301 Reiskirchen Klimatisier- und Lüftungsvorrichtung mit Wärmerückgewinnung
EP0024269A3 (en) * 1980-08-13 1981-04-22 Bulten-Kanthal AB Heat recovering system
DE3037709C2 (de) * 1980-10-06 1986-08-14 Jago-Kunststoff-Gesellschaft mbH & Co KG, 4730 Ahlen Vorrichtung zur Wärmerückgewinnung zwischen zwei unterschiedlich temperierten, strömungsfähigen Medien, insbesondere dem Frischluft- und dem Abluftstrom bei der Lüftung von Räumen
DE3207761A1 (de) * 1982-03-04 1983-09-15 Rätzke, Martin, 2810 Verden Be- und entlueftungsgeraet mit rueckgewinnung der abluftwaerme
DE3634828A1 (de) * 1985-10-18 1987-04-23 Ilka Luft & Kaeltetechnik Wechsel-speicher-geraet
DE3602120A1 (de) * 1986-01-24 1987-08-06 Guenter Junkes Heizung Klima G Steuerklappe fuer ein kombiniertes zu- und abluftgeraet
NL194738C (nl) * 1994-02-01 2003-01-07 Ursus Bv Klimaatregelinrichting.
SE508957C2 (sv) * 1996-02-02 1998-11-16 Bo Broberg Regenerativ värmeåtervinningsenhet innefattande värmeackumulator som genom en svängningsrörelse uppvisar en spjällfunktion samt värmeåtervinningsaggregat med två ihopkopplade värmeåtervinningsenheter
DE29701324U1 (de) 1997-01-24 1997-03-20 Siegenia-Frank Kg, 57074 Siegen Lüftungsvorrichtung
KR100789810B1 (ko) * 2002-01-24 2007-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환기장치
FI20020951A (fi) * 2002-05-21 2003-11-22 Mg Innovations Corp Ilmastointilaite
JP2004044962A (ja) * 2002-07-15 2004-02-12 Matsushita Ecology Systems Co Ltd 冷却装置
CN2641513Y (zh) * 2003-08-06 2004-09-15 魏忠英 一种空气分离式能量回收通风装置
KR100617082B1 (ko) * 2005-02-15 2006-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초박형 환기장치
JP2006284021A (ja) 2005-03-31 2006-10-19 Nitta Ind Corp 換気式熱交換器、及び換気式熱交換器ユニット
CN1840975B (zh) * 2005-04-03 2010-05-05 蒋国秀 交叉式通风(换热)装置
KR100748135B1 (ko) 2006-08-23 2007-08-09 주식회사 인벤트이엔지 풍향변환 공기조화장치
DE102012204865A1 (de) * 2012-03-27 2013-10-02 Öko-Haustechnik inVENTer GmbH Belüftungsvorrichtung
DE202012010671U1 (de) 2012-05-16 2012-12-17 Ltg Aktiengesellschaft Lufttechnisches Gerät zur Be- und Entlüftung
RU134619U1 (ru) * 2013-07-01 2013-11-2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ВКТехнология" Приточно-вытяжная установка с пластинчатым рекуперативным теплоутилизаторо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170661B (zh) 2019-04-05
CN106170661A (zh) 2016-11-30
KR101919465B1 (ko) 2019-02-11
EP3120085A2 (de) 2017-01-25
DE102014003753A1 (de) 2015-09-24
RU2016133427A3 (ko) 2018-07-02
WO2015139885A3 (de) 2015-11-26
WO2015139885A2 (de) 2015-09-24
EP3120085B1 (de) 2022-05-11
RU2666456C2 (ru) 2018-09-07
HUE059300T2 (hu) 2022-11-28
RU2016133427A (ru) 2018-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9465B1 (ko) 통풍 장치
AU2008263370B2 (en) Humidity controller
WO2016153371A1 (en) Method of reversing the air flow direction in ventilation systems and an air flow reversing unit in ventilation systems
WO2005095874A1 (ja) 調湿装置
KR101824145B1 (ko) 환기장치
KR102009812B1 (ko) 환기장치
EP0877909B1 (en) Regenerative heat recovery unit comprising heat accumulators titable to have a valve function
JP2008506919A (ja) ロータリー式熱回収換気装置
CN216953357U (zh) 空调器的换气装置和具有其的空调器
EP3833909B1 (en) A ventilation device and a system of duct-free, reverse ventilation of buildings
KR101416726B1 (ko) 회전식 열교환기
KR100715337B1 (ko) 패키지형 에어컨의 송풍 구조
KR101207947B1 (ko) 제습 냉방 장치
KR101126788B1 (ko) 태양광으로 구동이 가능한 창틀장착형 전열환기장치
KR20050010363A (ko) 환기기능을 갖춘 공기청정장치
JP2009092299A (ja) 調湿装置
CN216132009U (zh) 用于除湿的装置
KR101982137B1 (ko) 열교환식 창문프레임 환기장치
KR101959875B1 (ko) 실내공기 리턴으로 청정기능 겸비한 전열교환기
KR100325257B1 (ko) 흡ㆍ배기용 송풍장치
KR200260545Y1 (ko) 폐열회수기능을 갖는 냉,난방 겸용 공조기기
KR20130009079A (ko) 환기시스템
CN218296048U (zh) 空气调湿装置
KR102079714B1 (ko) 공기 조화 장치
CN215336792U (zh) 湿度调节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