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1846A - 복막 투석 치료의 지속기간 추정 방법 - Google Patents

복막 투석 치료의 지속기간 추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1846A
KR20160141846A KR1020167031214A KR20167031214A KR20160141846A KR 20160141846 A KR20160141846 A KR 20160141846A KR 1020167031214 A KR1020167031214 A KR 1020167031214A KR 20167031214 A KR20167031214 A KR 20167031214A KR 20160141846 A KR20160141846 A KR 201601418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ration
outflow
treatment
inflow
id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1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릭 그리스맨
마틴 부다
클라우스 볼프
Original Assignee
프레제니우스 메디칼 케어 도이칠란드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레제니우스 메디칼 케어 도이칠란드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프레제니우스 메디칼 케어 도이칠란드 게엠베하
Priority to KR1020227033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4221B1/ko
Publication of KR20160141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18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14Dialysis systems; Artificial kidneys; Blood oxygenators ; Reciprocating systems for treatment of body fluids, e.g. single needle systems for hemofiltration or pheresis
    • A61M1/28Peritoneal dialysis ; Other peritoneal treatment, e.g. oxygen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14Dialysis systems; Artificial kidneys; Blood oxygenators ; Reciprocating systems for treatment of body fluids, e.g. single needle systems for hemofiltration or pheresis
    • A61M1/28Peritoneal dialysis ; Other peritoneal treatment, e.g. oxygenation
    • A61M1/282Operational m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14Dialysis systems; Artificial kidneys; Blood oxygenators ; Reciprocating systems for treatment of body fluids, e.g. single needle systems for hemofiltration or pheresis
    • A61M1/28Peritoneal dialysis ; Other peritoneal treatment, e.g. oxygenation
    • A61M1/285Catheters therefor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chanical, radiation or invasive therapies, e.g. surgery, laser therapy, dialysis or acupunctur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local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31Pressure;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31Pressure; Flow
    • A61M2205/3334Measuring or controlling the flow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A61M2205/502User interfaces, e.g. screens or keyboa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A61M2205/5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with memories providing a history of measured variating parameters of apparatus or pati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막 투석 치료의 지속기간 추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치료 지속지간의 추정이 이상적인 치료 지속기간을 기초로 수행되되, 이상적인 치료 지속기간은 하나 이상의 지연 값(delay value)에 의해 증가하고, 지연 값은 하나 이상의 장치별, 및/또는 환자별, 및 또는 프로세스별 파라미터에 종속된다.

Description

복막 투석 치료의 지속기간 추정 방법 {METHOD FOR ESTIMATING THE DURATION OF A PERITONEAL DIALYSIS TREATMENT}
본 발명은 복막 투석 치료의 지속기간 추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복막 투석 치료에 있어서는, 혈액으로부터 유해한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투석액(dialysis solution)이 환자의 복강(abdominal cavity)에 들어가게 된다. 이를 위해 작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카테터(catheter)가 이용되고 살균 투석액이 주입된다. 이러한 투석액은 반투수막(semi-permeable membrane)으로서 작용하는 복막 즉, 환자의 복막을 통해 환자의 혈액으로부터 유해한 물질을 수용한다. 또한 환자는 투석액에 함유된 포도당과 그로 인한 삼투압 현상 때문에 탈수 증상을 겪는다. 복강 내 일정 체류시간이 지나면 상기 투석액은 카테터를 통해 다시 제거되고 신선한 투석액으로 교체된다.
선행기술을 통해 알려져 있는 다른 복막 투석 방법에는 예를 들면 지속적 외래 복막 투석(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 CAPD)이 있는데, 하루에 4번 내지 5번 환자가 직접 백 시스템 (bag system)을 통해 투석액을 교체하는 것이 특징이다. 자동 복막 투석에서는 사이클러(cycler)라고 불리는 투석 장치를 통해 교체되므로 심지어 밤샘 치료가 가능하다.
간호사와 환자 모두를 위한 더 나은 안전 구축을 위해(운반, 작동 시간 등) 복막 투석 치료의 전체 치료 지속기간을 추정할 수 있도록 하는 믿을만한 방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막 투석 치료의 예상 치료 지속기간 추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연에 대한 일부 파라미터를 사용자가 변경할 수 있거나 이러한 파라미터 전체를 사용자가 변경할 수 있던지 아예 변경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복막 투석 치료의 지속기간 추정 방법은 상기 치료 지속지간의 추정이 이상적인 치료 지속기간을 기초로 수행되되, 상기 이상적인 치료 지속기간은 하나 이상의 지연 값에 의해 증가하고, 상기 지연 값은 하나 이상의 장치별, 및/또는 환자별, 및 또는 프로세스별의 파라미터에 종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상적인 치료 지속기간 즉, 최초 유출(initial outflow)의 이상적인 지속기간은 이상적인 최종 유입(last inflow) 지속기간뿐 아니라 순환(cycle) 횟수가 곱해진 이상적인 순환 지속기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환자별 파라미터(patient-specific parameter)는 카테터 동작(catheter performance)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카테터 동작이 유입 지속기간 추정, 및/또는 유출 지속기간 추정, 및/또는 최종 유입 지속기간 추정시 고려되되,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테터 동작이 이상적인 유입 지속기간, 및/또는 이상적인 유출 지속기간 추정, 및/또는 이상적인 최종 유입 지속기간의 절대 또는 상대적 증가의 형태로 고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카테터 동작과 특히 절대 또는 상대적 증가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최초 유출압(initial outflow pressure)이 압력 제어식(pressure-controlled manner)으로 수행되고, 최초 유출 지속기간이 장치를 통해 미리 설정되거나, 최초 유출이 양 제어식(volume-controlled manner)으로 수행되고, 최초 유출 지속기간이 최초 유출량(initial outflow volume)과 유출률(outflow rate)에 의해 결정되되,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테터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상기 방식으로 결정된 값이 증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프로세스별 파라미터(process-specific parameter)는 유입 동안 및/또는 유출 동안의 절대적 또는 상대적 지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최초 유출량은 유효 최초 유출 지속기간 및 유효 유출률로부터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효 지속기간은 시간 지연에 따라 미리 설정되는 지속기간이며, 그리고/또는, 상기 유효 유출률은 미리 설정된 유출률과 카테터 동작을 설명하는 값으로부터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액의 환자 내 체류시간(in-patient dwell time)의 추정된 지속기간 및/또는 치료 중단(break)의 추정된 지속기간을 위해 상기 추정된 지속기간이 이용되고, 그리고/또는, 메시지의 추정된 지속기간에 대해서는 0의 값이 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추정된 치료 지속기간은 최초 유출 지속기간, 유입 지속기간, 유출 지속기간, 환자 내 체류시간, 치료 중단 지속기간, 메시지 지속기간 그리고 최종 유입 지속기간 등의 추정 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유효 유입률 및/또는 유출률이 결정되고, 상기 시간에 대한 데이터들의 문서화를 통한 경향 분석을 위해 카테터 동작의 변경이 결정되되, 바람직하게는 향후 치료의 치료 지속기간 추정이 변경된 카테터 동작에 기초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치료의 상기 체류시간이 상기 추정된 치료 지속기간에 따라 변경되거나, 또는,변경되지 않고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추정된 치료 지속기간이 상한(upper) 및/또는 하한(lower) 임계치(threshold value)와 비교되고, 상기 추정된 치료 지속기간이 상한 임계치를 초과하거나 하한 임계치 아래로 떨어지는 경우 표시(indication)가 사용자에게 주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복막 투석을 위한 투석 장치(dialysis apparatus)는 상기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로직(logic) 또는 제어 유닛(control unit), 하나 이상의 값을 입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입력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앞서 설명한 방법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복막 투석 치료의 지속기간 추정 방법은 간호사와 환자 모두를 위한 더 나은 안전 구축을 위해 복막 투석 치료의 전체 치료 지속기간을 추정할 수 있도록 하는 믿을만한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추정되는 과정을 도시한 그래프
본 발명의 복막 투석 치료의 지속기간 추정 방법은 이상적인 치료 지속기간을 바탕으로 실시될 치료 지속기간을 추정하고 상기 이상적인 지속기간은 환자별 그리고/또는 프로세스별 그리고/또는 장치별 파라미터에 따라 하나 이상의 지연 시간에 의해 늘어나게 된다.
이러한 지연 시간은 예를 들면 주입 기간(introduction period) 또는 유출 기간(outflow period)의 증가 비율처럼 절대 시간(absolute time spans) 또는 상대시간(relative time spans)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이상적인 치료 지속기간이 최초로 결정된다. 한 예로, 복막 투석 치료가 최초 유출, 각 유입을 포함하는 두 번의 순환, 복강 내 체류시간, 유출 그리고 최종 유입을 포함하는 것으로 고려되는 경우, 이상적인 치료 지속기간은 최종 유입 지속기간뿐만 아니라 최초 유출의 지속기간, 실시된 순환 횟수에 의해 크게 늘어난 하나의 순환 지속기간을 모두 더해서 결정된다. 이 시간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전체 치료 지속기간을 추정하기 위해 할증량(surcharges) 즉, 늘어난 치료 지속기간을 지연 시간으로 본다. 실제 실시되는 치료와 처방전 간의 시간 변수 규모는 일반적으로 각각 환자의 특징과 카테터의 특징에 달려있다. 따라서 예상 유동률(flow rate)에 못 미칠 수 있다. 또 다른 변수의 요인은 환자가 한외여과량(ultrafiltration volume)을 발생시켜 예상 유출량이 증가하는 경우다. 압력 조절 유출(pressure-controlled outflow)을 위해 미리 설정된 유출량이 없으므로 유출량 결정을 위해 환자 내 존재하는 양이 추정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최종 유입의 이상적인 지속기간뿐만 아니라 유출량의 최초 지속기간, 순환 횟수에 따라 늘어나는 이상적인 순환 지속기간을 포함하는 이상적인 치료 지속기간이 제공된다. 압력 조절 유출을 가지고 최초 유출의 이상적인 지속기간을 특정 값, 예를 들면 5분으로 추정할 수 있다. 압력 조절 유출을 통해 특정 유출량을 미리 설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복강에서 배출되는 양이 있는 한 환자에게서 비워진다.
이상적인 순환 지속기간은 이상적인 유출 지속기간과 더불어 이상적인 유입 지속기간, 이상적인 체류시간으로 바람직하게 구성된다. 이상적인 유입 지속기간은 유입량과 유입률의 지수로 결정된다. 체류시간은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이상적인 유출 지속기간은 설정된 유출량과 유츌률의 지수를 통해 결정될 수 있다.
카테터의 시간 의존형 동작 상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카테터 동작에 의한 환자별 파라미터 형성을 제공하여 이상적인 치료 지속기간에 대한 지연을 유발할 수 있다. 유입 중 카테터 동작에 대한 환자 개인의 영향력이 비교적 적더라도 카테터는 대개 환자의 부품이기 때문에 환자별 파라미터 중 하나로 본다.
바람직하게 유입 지속기간 그리고/또는 유출 지속기간 그리고/또는 최종 유입의 지속기간을 추정하는 데 카테터 동작이 고려되도록 한다.
이상적인 유입 지속기간 그리고/또는 이상적인 유출 지속기간 그리고/또는 이상적인 최종 유입 지속기간 내 절대적 또는 상대적 증가 형태로 카테터 동작이 고려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예를 들어 이상적인 유입 지속기간을 4분(유입량: 1000 ml; 유출률:250ml/min)으로 가정하고, 예를 들어 110%의 요인에 의해 카테터가 작동한다고 볼 수 있다면 추정된 유입 지속기간은 264초가 될 것이다.
최종 유입의 지속기간뿐만 아니라 유출 지속기간에 대해서도 상응하는 접근법이 고려된다. 최초 유출의 지속기간에 대해 고정된 기간이 없다고 가정한다면, 즉 최초 유출이 양 조절에 의해 실시된다면, 그에 따라 이상적인 기간도 늘어나는 것으로 본다.
카테터 동작과 특히 절대적 또는 상대적 증가는 수정이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이런 값을 설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이한 단계에 대해 상이한 값을 가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예를 들어 유입의 상대적 지연은 10%인데 반해 유출의 경우 50%일 수 있다. 기본 값을 정하는 것으로 보고 추후에 해당 값을 필요한 경우 사용자가 변경할 수 있다.
이상적인 유입률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인한 유입 지연은 비교적 적게 환자에게 의존하는 것이므로 장치에 의해 변경할 수 없도록 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변경할 수 없고 예를 들어 앞서 언급된 10%의 값으로 설정되는 것처럼 예전 값(experience values) 때문에 고정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지연에 대한 일부 파라미터를 사용자가 변경할 수 있거나 이러한 파라미터 전체를 사용자가 변경할 수 있던지 아예 변경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이다. 후자의 경우 모든 지연 값이 장치에 고정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최초 유출은 압력 조절 방식으로 실시되고 최초 유출의 지속기간은 장치에 의해 미리 설정되거나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최초 유출 값이 5분으로 명시된다.
또한, 본 발명은 유형을 특징으로 하는데 최초 유출은 양 조절 방식으로 실시되고 최초 유출의 지속기간은 (추정되는) 최초 유출량과 유출률에 따라 결정된다. 최초 유출의 지속기간 역시 카테터 동작을 설명하는 절대 또는 상대 지연 값에 의해 증가된다.
예를 들어 프로세스별 파라미터는 유입 시 절대적 또는 상대적 지연, 그리고/또는 유출 시 지연일 수 있다. 심지어 이러한 값은 고정적으로 미리 설정되거나 사용자가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출 당 1분의 지연과 유입 당 2분의 지연이 설정될 수 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프로세스 관련 지연은 지나간 양에 따라 결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이상적인 유입 지속기간으로 4분을 가정한다면 예를 들어 카테터 동작은 추가 10%만큼 증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20초의 프로세스 관련 지연을 가정하면 유입 지속기간은 384초(=240초*11%+120초)가 될 것이다.
하나의 미지수(one unknown)가 압력 조절 유출로 처방된 경우 해당 미지수는 최초 유출량에 해당한다. 이 때 환자는 카테터를 통해 배수구로 빠져나갈 양이 더 이상 없을 때까지 비워낸다. 이러한 가정 및 공급량에 대한 지식에 기초하여 최초 유출에 대한 특정 지속기간이 가정된다면, 예를 들어 5분이라고 한다면, 이론상 양이 결정될 수 있고 이러한 특정 기간 동안 빠져나갈 수 있다. 따라서 최초 유출량은 최초 유출의 유효 지속기간 및 유효 유출률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그렇게 해서 최초 유출의 지속기간은 예를 들어 1분의 절차상 지연을 포함하는 기설정된 시간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유효 유출률은 기설정된 유출률과 카테터 동작을 설명하는 값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할증률(percentage surcharge) 형태로 결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결정된 최초 유출량은 시간에 따른 환자 내 투석액 양을 보여주는 그래프를 설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환자 내 투석액의 추정된 체류시간 그리고/또는 치료 중단의 추정된 지속기간에 대해 미리 설정된 지속기간이 적용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류시간으로 미리 60분을 설정한 경우, 체류시간의 연장 발생을 예상할 수 없으므로 해당 값을 추정하는 데 또한 사용할 수 있다. 치료 중단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메시지의 추정된 지속기간에 대한 값은 메시지를 치료 지속기간으로 고려하지 않으므로 0으로 가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추정된 치료 지속기간에는 다음과 같은 추정 기간이 포함되는데 각 표시된 지속기간 또는 단계는 치료 과정에 따라 아예 실시 되지 않거나, 정확하게 한 번 또는 여러 번 실시될 수 있다: 최초 유출 지속기간, 유입 지속기간, 유출 지속기간, 환자 내 체류 시간, 최종 유출 지속기간, 치료 중단 지속기간, 그리고 메시지 지속기간이 있다. 후자에 대해서는 바람직하게 값이 0으로 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환자 내 체류시간과 바람직하게 미리 설정된 치료 지속기간 중단에 대해서는 즉, 알려진 값(the known value)이 활용된다.
본 발명의 어느 추가 실시예에서는 유효 유입률 그리고/또는 유출률이 결정되도록 하고 시간에 따른 이러한 데이터의 문서화를 통한 경향 분석 실시 목적을 위해 카테터 동작 내 변경이 결정된다. 환자 내 치료 용액 양이 시간에 따라 표시되면 그래프의 기울기가 각 유입률 또는 유출률을 나타낸다. 연장된 기간에 대한 문서화가 수행되면 비율 및 결과적으로 카테터 동작의 변경 여부를 예상할 수 있다.
가급적 실질적인 평가 값을 제공할 수 있도록 변경된 카테터 동작에 따라 향후 치료를 위한 치료 지속기간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유출 지연을 150%의 요인 설정 대신 160%로 설정된 것으로 나타나는 경우 그에 따라 카테터 동작이 감소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추정된 치료 지속기간을 상한 그리고/또는 하한 임계치와 비교하여 추정된 치료 지속기간이 상한 임계치를 초과하거나 하한 임계치보다 떨어지는 경우 사용자가 정보를 수정할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실질적인 사양에 따른 계획된 치료의 수행 여부 또는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 수정의 필요 여부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서는 치료의 체류시간이 추정 치료 지속기간 동안 변경되거나 변경되지 않는다. 따라서 치료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체류시간, 즉 투석 용액이 복강 내에 있는 기간이 간혹 줄어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체 치료 지속기간으로 특정 기간을 설정하는 경우와 추정 치료 지속기간이 상기 설정 기간을 초과하는 경우, 그에 따라 체류시간이 줄어들어 미리 설정된 시간에 부합할 수 있다. 즉, 수정된 체류시간을 활용한 추정은 정확하거나 크게 기 설정된 기간과 상응하는데, 이것은 또한 해당 추정이 수용 범위에 있다는 점에 해당한다.
반면, 추정 지속기간이 수용 범위에 있거나 수용 값에 상응하는 경우, 체류시간을 수정할 필요가 없으며 계획대로 치료를 진행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복막 투석을 위한 투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로직 또는 조절 유닛, 하나 이상의 값을 입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입력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청구항 1항 내지 14항 중 한 항에 따라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프로그램화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투석 장치는 예를 들어 수용범위 내 어느 임계치를 확실히 저장하거나 기 설정된 값, 예를 들면 지연을 위한 장치에 의해 미리 설정된 어느 값을 유입 등의 과정 중에 확실히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는 사용자 입력 데이터 저장을 위해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투석 장치에 환자 내 투석액 양의 기간(a course of time)을 결정하기 위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장치가 포함되도록 한다. 이러한 기간은 추후에 사용자 누구에게나 출력하거나 시각적으로 보여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는 용액 양 증가 기울기(유입 중) 그리고/또는 용액 양 감소 기울기(유출 중)를 판단하도록 구성된 수단을 포함하고 일시적으로 서로의 간격을 비교하기 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비교를 통해 추후 카테터 동작의 변경에 따라 기울기가 일정 부분 변하는 지를 추론할 수 있다. 만약 그렇다면, 상기 장치로 기본 값을 변경할 수 있거나 사용자에게 카테터 동작 값을 제안할 수 있다.
투석 장치에 대한 기재 내용도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대한 추가 자세한 사항 및 이점은 도면에 도시된 예를 통해 설명하며 오직 도면은 환자에게 적용되는 투석액 양의 실질적인 기간뿐만 아니라 환자에게 적용되는 추정에 따라 투석 용액 양의 기간을 도시한다.
아래 기재된 예시에 따라 다음과 같은 파라미터를 가진 기본 처방이 제공된다:
순환 2회 실시;
압력 조절 최초 유출;
각 체류시간 60분;
각 1000 ml 유입;
최종 1250ml 유입;
유입률 250ml/분
유출률 200ml/분
이상적인 치료 시간 즉, 프로세스 또는 환자와 관련된 지연 또는 기타 지연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치료 시간의 결정은 다음과 같다:
최초 이상적인 유출 지속기간은 5분으로 되어 있다:
Δtoutflow,initial, ideal = 5분
이 값은 조절 가능 또는 장치를 통해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이상적인 유입 지속기간은 환자에게 적용될 양의 지수에 따라 결정되며 각각 미리 설정된 유입률 또는 조정된 유입률을 포함한다.
Δtinflow, ideal = Vinflow/Qinflow = 1000 ml/250 ml/min = 4분
이상적인 유출 지속기간은 미리 설정되거나 조정된 유출률로 제거되는 투석 용액 양의 지수에 따라 결정된다. 제거되는 양이 적용되는 양과 동일하다고 고려하는 경우, 결과는 다음과 같다:
Δtoutflow, ideal = Voutflow/Qoutflow = 1000 ml/200 ml/min = 5분
한 번의 순환에는 유출뿐만 아니라 유입 및 체류 기간이 포함된다. 이상적인 순환 지속기간(Δtcycle , ideal)은 다음과 같다:
Δtcycle , ideal = Δtinflow , ideal + Δtdwell time, ideal + Δtoutflow , ideal = 4분 + 60분 + 5분 = 69분이다.
최종 유입의 이상적인 지속기간은 유입량(1250ml)과 유출률(250ml/분)의 지수에 따라 결정된다:
Δtinflow, final, ideal = Vinflow/Qinflow = 1250 ml/250 ml/min = 5분
이렇게 해서 전체적인 치료 지속기간(ΔtGesamt, ideal)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Δtoverall , ideal = Δtoutflow,initial , ideal + 2 * Δtcycle , ideal + Δtinflow , final, ideal = 5 min + 2 * 69 min + 5 min = 148분
결과적으로 위 예시에서 보여준 이상적인 전체 치료 지속기간은 148분이다. 이러한 치료 지속기간은 유입 또는 유출 중 중단이나 지연과 같은 절차(process) 관련 지연과 환자 관련 지연 또는 사용된 장비 관련 지연 같은 비 절차(non-process) 지연이 없는 경우에 해당하는 결과다.
이제 동일한 치료 과정(2회 순환) 중 환자 관련 지연이나 절차 관련 지연이 발생하는 경우 추정되는 전체 치료 지속기간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Δtoverall, estimated = Δtoutflow,initial + 2 * Δtcycle + Δtinflow, final
최초 유출의 지속기간에 대해 차례로 가정된 기간은 5분이다.
차례대로 순환 지속기간(Δtcycle)은 Δtinflow + Δtdwell time + Δtoutflow 유입+체류시간+유출에 따라 결정된다.
유입에 대해서는 절차 관련 지연(Δtinflow , delay)은 120초로 가정한다. 유입에 대해서는 유입에 대해 감소한 카테터 동작으로 인해 더불어 110%의 지연 요인을 가정한다, 즉, 유입 지속기간이 카테터의 특성 때문에 이러한 특성이 없는 이상적인 상태에서보다 10% 더 길다. 유입 중 지연에 대한 카테터 파라미터 F(FΔtinflow)를 확인하면 유입 지속기간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Δtinflow = Vinflow/Qinflow * FΔtinflow + Δtinflow , delay = 1000 ml/250 ml/min * 110/100 + 120 s = 264 s + 120 s = 384 s =6분 24초
유출값 F(FΔtinflow)는 장치를 통해 110%로 미리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상기 값은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 것으로도 본다.
유출(FΔtoutflow) 중 카테터로 인한 지연과 60초의 절차 관련 지연(Δtoutflow , delay)에 따른 유출 지속기간(Δtoutflow)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Δtoutflow = Voutflow/Qoutflow * FΔtoutflow + Δtoutflow , delay = 1000 ml/200 ml/min * 150/100 + 60 s = 510 s = 8분 30초
최종 유입 지속기간에 대해 다시 유출값 F(FΔtinflow)는 110% 그리고 지연 시간을 120초로 가정하는 경우 결과는 다음과 같다:
Δtinflow , final = Vinflow/Qinflow * FΔtinflow = 1250 ml/250 ml/min * 110/100 + 120 s = 450 s = 7분
유입, 지연 값과 유출, 지연 값(Δtinflow , delay and Δtoutflow , delay)은 예를 들면 환자의 혈압 기록(recording the patient's pressure), 유입 중 백(bag) 교체와 같은 절차 관련 지연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입 값 F와 유출 값 F(FΔtinflow and FΔtoutflow)는 최저값(100%)과 최대값(200%) 내에서 다양할 수 있다. 두 값에 대해 예를 들어 기본 값이 각각 130%로 설정되거나 제시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제 60분으로 가정하는 체류시간에 대한 순환 지속기간은 다음과 같다:
Δtcycle = 384 s + 3600 s + 510 s = 4494 s =74분 54초
2회 순환에 대해 전체 치료 지속기간은 다음에 해당한다:
Δtoverall , estimated = Δtoutflow,initial + 2 * Δtcycle + Δtinflow , final = 300 s + 2 * 4494 s + 450 s = 9708 s = 161 min 48 s 162분
유출 값 F를 수정 즉, 사용자가 변경할 수 있다고 보는 경우 다음 표는 유출 지속기간 및 다른 유출 값 F(FΔtoutflow)에 대해 추정된 전체 치료 지속기간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다.
F Δtoutflow [%] Δt inflow [s] Δt overall, estimated [min]
100 360 157
110 390 158
120 420 159
130 450 160
140 480 161
150 510 162
160 540 163
170 570 164
180 600 165
190 630 166
200 660 167
더 나아가 한 번 이상의 중단(Δtbreak) 그리고/또는 고려해야 할 메시지(Δtmessage)에 대한 기간이 고려되면 그에 따라 추정된 전체 지속기간뿐만 아니라 추정된 순환 지속기간이 연장된다. 그렇게 해서 추정된 중단 지속기간은 특정 중단 지속기간과 일치할 수 있다. 환자 내 투석액의 체류시간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메시지 지속기간에 대해서는 해당 값을 0으로 가정할 수 있다.
앞서 기재한 바와 같이, 최초 유출량 Voutflow,initial는 압력 조절 최초 유출을 위해 추정될 수 있다. 다음과 같은 관계식(relation)을 통해 추정이 가능하다.
Voutflow,initial = Δtoutflow,initial, eff * Qoutflow,initial, eff
유효 유출률 Qoutflow,initial , eff는 다음 식에 따른 특정 유출률에 따라 결정된다:
Qoutflow,initial, eff = Qoutflow,initial,specified / FΔtoutflow.
유효 유출 지속기간 Δtoutflow,initial, eff는 다음 식에 따라 결정된다:
Δtoutflow,initial, eff = Δtoutflow,initial, specified + Δtoutflow, delay.
예를 들어 FΔtoutflow와 Δtoutflow,initial , specified에 대해 110%의 값과 5분으로 맞출 수 있다.
이러한 관계식에 따라 최초 유출량 Voutflow,initial가 결정될 수 있다.
도 1은 과정 A에 따라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추정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그리고 과정 A'는 시간에 따른 투석액의 환자 내 양에 대한 실질적인 과정을 도시한다. 참조 부호 P는 인쇄 기능을 나타낸다.
도면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점선으로 표시된 과정 A는 결정된 최초 유출량에서 시작하여 정해진 기간 5분을 넘어간다.
용액 양이 0이 되는 유출 단계 이후 유입 단계 다음에 환자 내 체류시간이 시작된다.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유입 단계, 체류 단계 그리고 유출 단계는 추후 반복된다.
선 B는 환자 내 투석액의 최대 수용량을, 선 C는 환자 내 체류하는 최대 수용량을 나타낸다.
영역 D는 치료 중 제거되는 한외여과량을 나타낸다. 한외여과량을 결정할 때 최초 유출 단계는 고려하지 않는다.
연장된 기간에 대한 경향 분석을 통해 시간에 따른 카테터 변경의 특성 여부 및 상태 예상할 수 있다. 가장 효과적인 유출 및 유입 유동률은 과정 A'의 기울기와 상응한다. 기울기가 0이면 유출이나 유입이 발생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이러한 경우는 체류 단계 또는 치료 중단 또는 절차 관련 중단에 해당한다.
바람직하게 각 치료는 문서화된다. 문서화된 보고서는 유효 유입 및 유출의 유동률의 평균값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전체적인 치료를 위해 결정되는 유효 유입률 및 유출률의 평균값이다.
결정된 값은 오직 용액 양이 각각 체내외에서 효과적으로 이동하는 유동률을 포함한다. 즉, 펌프가 작동하는 경우다. 더불어 유효 유동률은 전 단계를 위해 문서화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다른 때에 다른 유효 유동률을 비교하여 카테터 동작을 예측할 수 있다.

Claims (15)

  1. 복막 투석 치료의 지속기간 추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치료 지속지간의 추정이 이상적인 치료 지속기간을 기초로 수행되되,
    상기 이상적인 치료 지속기간은 하나 이상의 지연 값에 의해 증가하고,
    상기 지연 값은 하나 이상의 장치별, 및/또는 환자별, 및 또는 프로세스별의 파라미터에 종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막 투석 치료의 지속기간 추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적인 치료 지속기간 즉, 최초 유출의 이상적인 지속기간은 이상적인 최종 유입 지속기간 뿐 아니라 순환 횟수가 곱해진 이상적인 순환 지속기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막 투석 치료의 지속기간 추정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환자별 파라미터는 카테터 동작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막 투석 치료의 지속기간 추정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 동작이 유입 지속기간 추정, 및/또는 유출 지속기간 추정, 및/또는 최종 유입 지속기간 추정시 고려되되,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테터 동작이 이상적인 유입 지속기간, 및/또는 이상적인 유출 지속기간 추정, 및/또는 이상적인 최종 유입 지속기간의 절대 또는 상대적 증가의 형태로 고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막 투석 치료의 지속기간 추정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 동작과 특히 절대 또는 상대적 증가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막 투석 치료의 지속기간 추정 방법
  6. 이전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최초 유출압이 압력 제어식으로 수행되고, 최초 유출 지속기간이 장치를 통해 미리 설정되거나,
    최초 유출이 양 제어식으로 수행되고, 최초 유출 지속기간이 최초 유출량과 유출률에 의해 결정되되,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테터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상기 방식으로 결정된 값이 증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복막 투석 치료의 지속기간 추정 방법
  7. 이전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로세스별 파라미터는 유입 동안 및/또는 유출 동안의 절대적 또는 상대적 지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막 투석 치료의 지속기간 추정 방법.
  8. 이전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최초 유출량은 유효 최초 유출 지속기간 및 유효 유출률로부터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막 투석 치료의 지속기간 추정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지속기간은 시간 지연에 따라 미리 설정되는 지속기간이며, 그리고/또는,
    상기 유효 유출률은 미리 설정된 유출률과 카테터 동작을 설명하는 값으로부터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막 투석 치료의 지속기간 추정 방법.
  10. 이전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의 환자 내 체류시간의 추정된 지속기간 및/또는 치료 중단의 추정된 지속기간을 위해 상기 추정된 지속기간이 이용되고, 그리고/또는,
    메시지의 추정된 지속기간에 대해서는 0의 값이 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막 투석 치료의 지속기간 추정 방법.
  11. 이전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정된 치료 지속기간은 최초 유출 지속기간, 유입 지속기간, 유출 지속기간, 환자 내 체류시간, 치료 중단 지속기간, 메시지 지속기간 그리고 최종 유입 지속기간 등의 추정 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막 투석 치료의 지속기간 추정 방법.
  12. 이전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효 유입률 및/또는 유출률이 결정되고,
    상기 시간에 대한 데이터들의 문서화를 통한 경향 분석을 위해 카테터 동작의 변경이 결정되되,
    바람직하게는 향후 치료의 치료 지속기간 추정이 변경된 카테터 동작에 기초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막 투석 치료의 지속기간 추정 방법.
  13. 이전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의 상기 체류시간이 상기 추정된 치료 지속기간에 따라 변경되거나, 또는,
    변경되지 않고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막 투석 치료의 지속기간 추정 방법.
  14. 이전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된 치료 지속기간이 상한 및/또는 하한 임계치와 비교되고,
    상기 추정된 치료 지속기간이 상한 임계치를 초과하거나 하한 임계치 아래로 떨어지는 경우 표시가 사용자에게 주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막 투석 치료의 지속기간 추정 방법.
  15. 복막 투석을 위한 투석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로직 또는 제어 유닛, 하나 이상의 값을 입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입력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막 투석을 위한 투석 장치.
KR1020167031214A 2014-04-08 2015-03-31 복막 투석 치료의 지속기간 추정 방법 KR201601418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7033045A KR102574221B1 (ko) 2014-04-08 2015-03-31 복막 투석 치료의 지속기간 추정 방법 및 투석 치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4005122.6A DE102014005122A1 (de) 2014-04-08 2014-04-08 Verfahren zur Abschätzung der Behandlungsdauer einer Pertionealdialyse-Behandlung
DE102014005122.6 2014-04-08
PCT/EP2015/000698 WO2015154859A1 (de) 2014-04-08 2015-03-31 Verfahren zur abschätzung der behandlungsdauer einer peritonealdialyse-behandlung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3045A Division KR102574221B1 (ko) 2014-04-08 2015-03-31 복막 투석 치료의 지속기간 추정 방법 및 투석 치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1846A true KR20160141846A (ko) 2016-12-09

Family

ID=5318070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1214A KR20160141846A (ko) 2014-04-08 2015-03-31 복막 투석 치료의 지속기간 추정 방법
KR1020227033045A KR102574221B1 (ko) 2014-04-08 2015-03-31 복막 투석 치료의 지속기간 추정 방법 및 투석 치료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3045A KR102574221B1 (ko) 2014-04-08 2015-03-31 복막 투석 치료의 지속기간 추정 방법 및 투석 치료기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170028118A1 (ko)
EP (1) EP3129081B1 (ko)
JP (2) JP2017513666A (ko)
KR (2) KR20160141846A (ko)
CN (2) CN114642782A (ko)
AR (1) AR101076A1 (ko)
BR (1) BR112016021865B1 (ko)
DE (1) DE102014005122A1 (ko)
MX (1) MX2016012401A (ko)
MY (1) MY194935A (ko)
WO (1) WO20151548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110577A1 (de) * 2017-05-16 2018-11-22 Fresenius Medical Care Deutschland Gmbh Peritonealdialysegerät
DE102017110607A1 (de) * 2017-05-16 2018-11-22 Fresenius Medical Care Deutschland Gmbh Peritonealdialysegerät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71931B1 (fr) * 1997-12-09 2000-01-07 Hospal Ind Procede de determination d'un parametre significatif du progres d'un traitement extracorporel de sang
JP3965796B2 (ja) * 1997-08-19 2007-08-29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医療用流体流路切換装置
DE10049900C1 (de) * 2000-10-10 2001-10-25 Fresenius Medical Care De Gmbh Verfahren zur Bestimmung des Intraperitonealvolumens und Vorrichtung zur Peritonealdialyse
JP4902117B2 (ja) * 2002-05-24 2012-03-21 バクスター・インターナショナ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自動化透析システム
MXPA05000817A (es) * 2002-07-19 2005-04-28 Baxter Int Sistemas y metodos para realizar dialisis peritoneal.
JP2006508762A (ja) * 2002-12-04 2006-03-16 バクスター・インターナショナ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透析カテーテルセットおよびこれを使用する方法
JP4479323B2 (ja) * 2003-05-14 2010-06-09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腹膜機能検査方法および腹膜透析プランニング装置
SE0302698L (sv) * 2003-10-13 2005-04-14 Gambro Lundia Ab Anordning för genomförande av en peritonealdialys -behandling
EP2254616B1 (en) * 2008-01-23 2016-07-06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Disposable fluid handling cassette for peritoneal dialysis
DE102008035742B3 (de) * 2008-07-04 2010-01-14 Fresenius Medical Care Deutschland Gmbh Vorrichtung zur Peritonealdialyse
US8168063B2 (en) * 2008-07-09 2012-05-01 Baxter International Inc. Dialysis system having filtering method for determining therapy prescriptions
US20120029937A1 (en) * 2009-03-24 2012-02-02 Debiotech S.A. Dialysis device
US8845570B2 (en) * 2010-04-16 2014-09-30 Baxter International Inc. Therapy prediction and optimization for renal failure blood therapy, especially home hemodialysis
AU2011239488B2 (en) * 2010-04-16 2015-05-21 Baxter Healthcare S.A. Therapy prediction and optimization for renal failure blood therapy, especially home hemodialysis
US8936720B2 (en) * 2010-09-17 2015-01-20 Baxter International Inc. Drain and fill logic for automated peritoneal dialysis
DE102011105916B4 (de) * 2011-06-29 2013-03-28 Fresenius Medical Care Deutschland Gmbh Dialysemas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29081B1 (de) 2022-08-10
MX2016012401A (es) 2017-01-06
DE102014005122A1 (de) 2015-10-08
WO2015154859A1 (de) 2015-10-15
AR101076A1 (es) 2016-11-23
US20170028118A1 (en) 2017-02-02
EP3129081A1 (de) 2017-02-15
CN106163586A (zh) 2016-11-23
MY194935A (en) 2022-12-25
BR112016021865A2 (pt) 2017-10-03
JP2017513666A (ja) 2017-06-01
JP7167083B2 (ja) 2022-11-08
KR102574221B1 (ko) 2023-09-06
JP2020127749A (ja) 2020-08-27
BR112016021865B1 (pt) 2022-12-20
CN114642782A (zh) 2022-06-21
KR20220136470A (ko) 2022-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86926B2 (ja) フローバランシングの装置、方法、及びシステム
US9220830B2 (en) Apparatus for extracorporeal blood treatment
EP1938849B1 (en) Peritoneal dialysis therapy validation
US9199027B2 (en) Apparatus for extracorporeal blood treatment
JP6834026B2 (ja) 給湯機の制御方法と装置
US10792409B2 (en) Peritoneal dialysis treatment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CA2536421A1 (en) A device for carrying out a peritoneal dialysis treatment
US10953146B2 (en) System and method for flexible citrate anticoagulation during extracorporeal blood treatment using feed-forward control
JP2017535323A (ja) 配給システムおよびその動作モード
JP7167083B2 (ja) 腹膜透析治療の治療継続時間の予測方法
CN100464792C (zh) 具有简便控制手段的血液透析装置
US5656153A (en) Water-removal control system with timer display for dialysis device
JP2020127749A5 (ko)
JP6707527B2 (ja) タイダル腹膜透析治療を実行する装置
JP6796556B2 (ja) 風呂給湯装置
JP2018179451A (ja) 給湯装置
EP3407931A1 (de) Verfahren zum regeln einer heizvorrichtung zum erwärmen eines fluids für einen dialysierflüssigkeitskreislauf, steuervorrichtung sowie blutbehandlungsvorrichtung
US11369723B2 (en) Peritoneal dialysis machine
TW201940203A (zh) 用於設定血液治療設備之控制裝置或閉環控制裝置之方法及裝置
US20200306438A1 (en) Peritoneal dialysis machine
CA3138773A1 (en) Flow synchronization devices, methods and systems
JP2020089493A (ja) 透析システムの管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7150684A (ja) 給湯装置
JPH0323179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