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1659A - 용기 및 포장체 - Google Patents

용기 및 포장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1659A
KR20160141659A KR1020160065537A KR20160065537A KR20160141659A KR 20160141659 A KR20160141659 A KR 20160141659A KR 1020160065537 A KR1020160065537 A KR 1020160065537A KR 20160065537 A KR20160065537 A KR 20160065537A KR 20160141659 A KR20160141659 A KR 201601416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film
container
metal foil
layer
flang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5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8967B1 (ko
Inventor
마사노리 타케우치
Original Assignee
쇼와 덴코 패키징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6055658A external-priority patent/JP6738625B2/ja
Application filed by 쇼와 덴코 패키징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쇼와 덴코 패키징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41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1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8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89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6Thin-walled containers, e.g. formed by deep-drawing operations
    • B65D1/28Thin-walled containers, e.g. formed by deep-drawing operations formed of laminat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B32B1/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8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65D77/202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welded or adhered to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02Open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25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2565/381Details of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과제]
배리어성에 우수한 금속박층을 갖는 복합 시트를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용기 및 그 용기를 사용한 포장체로서, 플랜지부의 단면에 생긴 절단 버르에 의해 소비자가 손가락 등에 위화감, 불쾌감 또는 통증을 느낄 우려가 없는 것을 염가로 제공한다.
[해결 수단]
용기(2)는, 금속박층(201)의 양면에 수지 필름층(202, 203)이 적층되어 있는 복합 시트(20)를 컵형상으로 성형하여 이루어지고, 개구 주연에 플랜지부(21)를 갖고 있고, 플랜지부(21)의 단면에 생긴 절단 버르(201a)의 선단이 용기(2)의 개구측을 향하고 있다.

Description

용기 및 포장체{CONTAINER AND PACKAGING BODY}
본 발명은, 금속박층 및 수지 필름층을 갖는 복합 시트를 컵형상으로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용기, 및 그 용기를 사용한 포장체에 관한 것이다.
이 명세서 및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절단 버르」란, 상기 복합 시트를 성형 전 또는 성형 후에 절단함에 의해, 절단면, 즉, 용기의 플랜지부의 단면(端面)에 생긴 금속박의 돌기를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장기 보존이 필요한 내용물을 포장하기 위한 용기로서, 가스·수분·광 등의 배리어성에 우수한 알루미늄박 등의 금속박층과 그 편면 또는 양면에 적층된 수지 필름층을 갖는 복합 시트를 컵형상으로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알려져 있다.
상기 용기는, 그 개구 주연(周緣)에 플랜지부를 갖고 있고, 내용물이 충전된 용기의 플랜지부에, 예를 들면 알루미늄박층과 그 내면에 적층된 열융착성 수지 필름층을 갖는 복합 시트로 형성된 덮개재를 열융착함에 의해, 포장체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예를 들면 하기한 특허 문헌 1∼3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국 특개평3-14476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국 특개평4-147825호 공보 특허 문헌 3 : 일본국 특개평6-345123호 공보
상기 용기에서는, 통상, 복합 시트를 컵형상으로 성형한 후, 플랜지부가 소정 치수가 되도록 플랜지부의 주연부를 절단(트리밍)하고 있다. 그 때, 트리밍 장치의 상하의 형(型)의 클리어런스를 극력 작게 하는 등 하여, 절단면, 즉, 플랜지부의 단면에, 절단 버르가 생기지 않도록 하고 있지만, 그래도 선단에 예리한 절단 버르가 생기는 일이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소비자가 포장체의 덮개재를 박리하여 개봉할 때에, 용기의 플랜지부의 단면의 절단 버르가 손가락에 닿아 위화감이나 불쾌감을 느끼게 하는 일이 있고, 또한, 그 단면을 강하게 쥐면, 손가락에 통증을 느낄 우려가 있다.
또한, 용기의 플랜지부를 컬 시켜서 단면이 노출하지 않도록 한 것도 알려져 있지만, 플랜지부를 컬 시키기 위해 성형 금형의 형상이 복잡한 것으로 되고, 또한, 공정도 증가하기 때문에, 비용이 늘어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배리어성에 우수한 금속박층을 갖는 복합 시트를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용기 및 그 용기를 사용한 포장체로서, 플랜지부의 단면에 생긴 절단 버르에 의해 소비자가 손가락 등에 위화감, 불쾌감 또는 통증을 느낄 우려가 없는 것을 염가로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때문에, 이하의 양태로 이루어진다.
1) 금속박층의 적어도 편면(片面)에 수지 필름층이 적층되어 있는 복합 시트를 컵형상으로 성형하여 이루어지고 또한 개구 주연에 플랜지부를 갖고 있는 용기로서,
플랜지부의 단면에 생긴 절단 버르의 선단(先端)이 용기의 개구측을 향하고 있는 용기.
2) 복합 시트가, 금속박층의 내면에 적층되어 있는 수지 필름층을 갖고 있고, 그 수지 필름층의 두께가 금속박층의 두께 이상인 상기 1)의 용기.
3) 금속박층의 내면에 적층되어 있는 수지 필름층이, 2장 이상의 수지 필름을 적층한 복합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복합 필름에서의 금속박층측의 수지 필름의 두께가, 금속박층의 두께 이상인 상기 2)의 용기.
4) 복합 필름에서의 금속박층측의 수지 필름의 두께가, 절단 버르의 높이보다도 큰 상기 3)의 용기.
5) 플랜지부의 상면에, 복합 필름의 최내층측(最內層側)의 수지 필름을 관통하여 그 외측의 수지 필름의 상부까지 달하는 깊이를 갖는 개봉용(開封用) 노치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3) 또는 4)의 용기.
6) 복합 필름이, 최내층측의 폴리에틸렌 수지 필름과, 그 외측에 적층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필름을 갖는 것인 상기 3)∼5)의 어느 하나의 용기.
7) 금속박층이, 알루미늄박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1)∼6)의 어느 하나의 용기.
8) 내용물이 충전된 컵형상의 용기의 개구를 덮도록 그 용기의 플랜지부에 덮개재(蓋材)를 열융착하여 이루어지는 포장체로서, 용기가 상기 1)∼7)의 어느 하나의 용기로 이루어지는 포장체.
9) 열융착에 의해 덮개재의 하면의 주연부에 늘어떨어지는 모양(垂下狀)의 수지 고임부(류(溜り)가 형성되어 있고, 수지 고임부는, 그 선단이 절단 버르의 선단과 같거나 그보다도 하방의 수평 위치에 오는 높이를 갖고 있는 상기 8)의 포장체.
상기 1)의 용기에 의하면, 플랜지부의 단면에 생긴 절단 버르의 선단이 용기의 개구측을 향하고 있기 때문에, 내용물을 충전하고 플랜지부에 덮개재를 열융착함에 의해 포장체가 된 상태에서는, 절단 버르의 선단이 덮개재에 의해 덮여지게 되고, 따라서 소비자가 덮개재를 개봉할 때, 플랜지부의 단면의 절단 버르에 의해 손가락 등에 위화감, 불쾌감 또는 통증을 느낄 우려가 없고, 쾌적하게 개봉을 행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1)의 용기에 의하면, 플랜지부를 컬 시켜서 단면을 숨길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조 비용이 억제된다.
상기 2)의 용기에 의하면, 금속박층의 내면측의 수지 필름층의 두께가 금속박층의 두께 이상이기 때문에, 절단 버르의 선단이 플랜지부의 상면측으로 돌출하기 어렵다.
상기 3)의 용기에 의하면, 금속박층의 내면측의 수지 필름층을 구성하는 복합 필름에서의 금속박층측의 수지 필름의 두께가, 금속박층의 두께 이상이기 때문에, 절단 버르가 그 수지 필름의 단면에 따라 길게 늘어나, 그 선단이 수지 필름층의 단면에 따르든지 또는 박혀지게 되기 때문에, 절단 버르의 선단이 플랜지부의 단면부터 돌출하기 어렵다.
상기 4)의 용기에 의하면, 복합 필름에서의 금속박층측의 수지 필름의 두께가, 절단 버르의 높이보다도 크기 때문에, 절단 버르의 선단이 플랜지부의 단면으로부터 보다 한층 돌출하기 어렵게 된다.
상기 5)의 용기에 의하면, 플랜지부의 상면에, 복합 필름의 최내층측의 수지 필름을 관통하여 그 외측의 수지 필름의 상부까지 달하는 깊이를 갖는 개봉용 노치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덮개재의 개봉을 작은 힘으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6)의 용기에 의하면, 복합 필름이, 최내층측의 폴리에틸렌 수지 필름과, 그 외측에 적층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필름을 갖는 것이기 때문에, 량 수지 필름층끼리의 계면에서 덮개재의 박리 개봉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7)의 용기에 의하면, 금속박층이 알루미늄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경량이고, 가스·수분·광 등의 배리어성에 우수한 것이다.
상기 8)의 포장체에 의하면, 용기의 플랜지부 단면에 생긴 절단 버르의 선단이 용기의 개구측을 향하고 있고, 덮개재로 덮여 있기 때문에, 소비자가 덮개재를 개봉할 때, 플랜지부의 단면의 절단 버르에 의해 손가락 등에 위화감, 불쾌감 또는 통증을 느낄 우려가 없고, 쾌적하게 개봉할 수 있고, 또한, 용기의 플랜지부를 컬 시킨 것에 비하여 비용이 억제된다.
상기 9)의 포장체에 의하면, 수지 고임부에 의해, 소비자의 손가락 등과 절단 버르의 선단이 접촉하기 어렵게 되기 때문에, 개봉시에 위화감, 불쾌감 또는 통증을 느끼는 것이, 보다 확실하게 회피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포장체를 도시하는 수직 단면도.
도 2는 그 포장체의 부분 확대 수직 단면도.
도 3은 그 포장체의 변형례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 수직 단면도.
도 4는 그 포장체를 구성하는 용기의 플랜지부를 트리밍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수직 단면도.
도 5는 비교례의 포장체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 수직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포장체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한 포장체(1)는, 식품 등의 내용물(C)을 용기(2) 및 덮개재(3)에 의해 충전 포장하여 이루지는 것이다.
용기(2)는, 복합 시트(20)를 컵형상으로 성형하여 이루어지고, 그 위쪽 개구 주연에 수평형상의 플랫한 플랜지부(21)를 갖고 있다.
덮개재(3)는, 소정의 치수 및 형상으로 커트된 복합 시트(30)로 이루어지고, 내용물(C)이 충전된 용기(2)의 상방 개구를 덮도록, 그 주연부가 용기(2)의 플랜지부(21) 상면에 열융착되어 있다.
또한, 덮개재(3)에는, 그 주연부에서의 둘레 방향의 일부로부터 지름 방향 외방으로 삐져나오며 또한 덮개재(3)를 박리 개봉할 때에 손가락으로 쥐여지는 손잡이부(摘み部)(31)가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용기(2)를 구성하고 있는 복합 시트(20)는, 금속박층(201)과, 금속박층(201)의 내면에 적층된 열융착성 수지 필름층(202)과, 금속박층(201)의 외면에 적층된 내열성 수지 필름층(203)에 의해 이루어진다.
금속박층(201)으로서는, 알루미늄박, 철박, 스테인리스강박, 구리박을 사용할 수 있는데, 알맞게는 알루미늄박이 사용된다. 알루미늄박의 경우, 순알루미늄박, 알루미늄 합금박의 어느 것이라도 좋고, 또한, 연질, 경질의 어느 것이라도 좋지만, 예를 들면, 철의 함유량이 0.3∼1.5wt%인 JIS H4160로 분류되는 A8000계(특히, A8079H나 A8021H)의 소둔처리 완료의 연질재(O재)라면, 성형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알맞게 이용할 수 있다.
금속박층(201)의 편면 또는 양면에는, 필요에 응하여, 크로메이트 처리 등의 하지 처리를 행할 수 있다.
금속박층(201)의 두께는, 20∼20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두께를 20㎛ 이상으로 함으로써, 핀 홀이 적고, 배리어성을 확보할 수 있고, 디프드로잉성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두께를 200㎛ 이하로 함으로써, 성형시의 힘이 걸려서 복합 시트가 깨지는 것이 방지되고, 또한, 가벼운 용기를 얻을 수 있다. 금속박층(201)의 두께는, 40∼120㎛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열융착성 수지 필름층(202)은, 용기(2)의 내면(플랜지부(21)의 상면을 포함한다)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수지 필름이나 폴리에틸렌 수지 필름 등의 범용성 필름, 또는, 이들의 복합 필름에 의해 구성된다. 복합 필름으로서,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수지 필름과 폴리프로필렌 수지 필름과 같이 서로 박리하기 쉬운 수지 필름을 적어도 2장 적층한 것을 사용함에 의해, 개봉시에 상기 필름끼리가 용이하게 벗겨져서, 작은 힘으로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하여도 좋다. 도 2에 도시하는 용기(2)의 경우, 열융착성 수지 필름층(202)이, 2장의 수지 필름을 맞붙인 복합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복합 필름은, 예를 들면, 최내층측의 폴리에틸렌 수지 필름(202a)과, 그 외측에 적층된 금속박층측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필름(202b)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용기(2)의 플랜지부(21) 상면을 구성하는 폴리에틸렌 수지 필름(202a)이, 덮개재(3) 하면의 융착성 수지 필름층(302)에 열융착된다. 덮개재(3)의 손잡이부(31)를 당겨올리면, 융착성 수지 필름층(302)에 열융착되어 있는 폴리에틸렌 수지 필름(202a)이 폴리프로필렌 수지 필름(202b)으로부터 박리함과 함께, 폴리에틸렌 수지 필름(202a)이 열융착부의 내단(內端) 부근에서 파단함에 의해, 덮개재(3)의 개봉이 행하여진다.
또한, 열융착성 수지 필름층(202)을 복합 필름으로 구성하는 경우에 있어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용기(2)의 플랜지부(21)의 상면에, 복합 필름의 최내층측(플랜지부(21) 상면 측)의 수지 필름(202a)을 관통하여 그 외측(하측)의 수지 필름(202b)의 상부까지 달하는 깊이를 갖는 개봉용 노치(22)를 전둘레에 걸쳐서 환상(環狀)으로 마련하여도 좋다. 용기(2)의 플랜지부(21) 상면을 구성하는 최내층측의 수지 필름(202a)과, 덮개재(3) 하면의 융착성 수지 필름층(302)과는 열융착은, 개봉용 노치(22)보다도 지름 방향 외방 부분에서 행하여진다. 이 양태에서는, 덮개재(3)의 손잡이부(31)를 당겨올려서, 복합 필름의 수지 필름층끼리(도 3에서는, 상측의 폴리에틸렌 수지 등의 수지 필름(202a)층과, 하측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의 수지 필름(202b)층)을 개봉용 노치(22)의 위치까지 박리하면, 덮개재(3)를 개봉할 수 있다. 즉, 도 3의 포장체(1)의 경우, 덮개재(3)의 개봉시에, 용기(2)의 플랜지부(21) 상면을 구성하고 있는 최내층측의 수지 필름(202a)을 파단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보다 작은 힘으로 용이하게 개봉을 행할 수가 있다.
열융착성 수지 필름층(202)의 두께는, 100∼50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00∼400㎛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 열융착성 수지 필름층(202)의 두께는, 금속박층(201)의 두께 이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의해, 절단 버르(201a)의 선단이 플랜지부(21)의 상면측으로 돌출하는 것이 회피된다.
또한, 열융착성 수지 필름층(202)을, 도 2나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복합 필름으로 구성하는 경우, 복합 필름에서의 금속박층측의 수지 필름(202b)의 두께는, 금속박층(201)의 두께 이상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절단 버르(201a)는, 그 수지 필름(202b)의 단면에 따라 길게 늘어나, 그 선단이 수지 필름층(202b)의 단면에 따르든지, 또는, 박히게 된다. 따라서 절단 버르(201a)의 선단이 플랜지부(21)의 단면부터 돌출하기 어렵게 된다. 또한, 그 수지 필름(202b)의 두께는, 절단 버르(201a)의 높이보다도 큰 것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에 의해, 절단 버르(201a)의 선단이 플랜지부(21)의 단면으로부터 보다 한층 돌출하기 어렵게 된다. 예를 들면, 열융착성 수지 필름층(202)을, 최내층측의 폴리에틸렌 수지 필름(202a)과, 금속박층측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필름(202b)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복합 필름으로 구성하는 경우, 폴리에틸렌 수지 필름(202a)의 두께가 3∼80㎛가 되고, 폴리프로필렌 수지 필름(202b)의 두께가 150∼300㎛가 된다.
용기(2)의 외면을 구성하는 내열성 수지 필름층(203)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필름,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필름, 폴리아미드 수지 필름, 폴리에틸 나프탈레이트 수지 필름, 폴리부틸 나프탈레이트 수지 필름, 폴리프로필렌 수지 필름, 폴리에틸렌 수지 필름 등의 범용성이 높은 필름이나, 이들의 복합 재료가 사용된다.
내열성 수지 필름층(203)의 두께는, 3∼30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0∼100㎛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두께를 3㎛ 이상으로 함으로써, 금속박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도시는 생략하였지만, 금속박층(201)과 열융착성 수지 필름층(202)과의 접합, 및 금속박층(201)과 단열성 수지 필름층(203)과의 접합은, 각각 접착제층을 통하여 행하여진다. 접착제층으로는, 2액 경화형의 폴리에스테르-폴리우레탄 수지계 접착제, 또는 폴리에테르-폴리우레탄 수지계 접착제가 사용된다.
또한, 복합 시트(20)의 구성은, 상기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금속박층의 적어도 편면에 수지 필름층을 적층한 것이면, 본 발명에 의한 용기의 재료로서 사용 가능하다.
복합 시트(20)를 컵형상의 용기(2)의 형상으로 하기 위한 가공은, 프레스 성형에 의해 행하여진다. 복합 시트(20)의 프레스 성형은, 디프드로잉 성형이나 장출(張出) 성형 등의 냉간 성형에 의해 행하여진다.
프레스 성형된 용기(2)는, 그 플랜지부(21)가 소정 치수가 되도록, 플랜지부(21)의 주연 부분을 필요한 만큼 트리밍한다.
도 4는, 용기(2)의 플랜지부(21)를 트리밍하기 위한 트리밍 장치(5)를 도시하는 것이다.
이 트리밍 장치(5)는, 용기를 제조하는 라인상에 마련된 것으로서, 고정상태(固定狀)의 하형(6)과, 하형(6)에 대해 진퇴 구동시키는 가동상태(可動狀)의 상형(7)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형(6)은, 개략 수직 통형상의 것이고, 그 상단면에, 상하 반전시킨 상태의 용기(2)의 플랜지부(21)가 재치되도록 되어 있다. 하형(6)의 외경은, 트리밍 후의 플랜지부(21)의 외경과 일치시켜져 있고, 그 상단면의 외주연부가 아랫날(下刃)(61)으로 되어 있다. 트리밍 전의 상태에서는, 플랜지부(21)의 주연 부분이 하형(6)의 상단면부터 비어져 나와 있다(도 4(a)참조). 하형(6)의 내부에는, 트리밍할 때에 용기(2)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 부재(8)가 승강 자유롭게 마련되어 있다. 유지 부재(8)의 상부는, 용기(2) 내면의 개구 부근에 감합시켜지도록 콘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유지 부재(8)의 주면(周面)에는, 흡인 구멍(도시 생략)이 개구시켜져 있고, 그 흡인 구멍을 통하여 용기(2) 내면이 배큠 흡인됨에 의해, 유지 부재(8)에 의한 용기(2)의 유지가 보다 확실하게 행하여지도록 되어 있다.
상형(7)은, 하방에 개구한 개략 바닥이 있는 통형상의 것이고, 그 하단면의 내주연이 윗날(上刃)(71)로 되어 있다. 상형(7)의 내경은, 아랫날(61)과 윗날(71)의 사이에 필요한 클리어런스가 생기도록 적절히 설정된다. 클리어런스는, 통상, 용기(2)를 구성하는 복합 시트(20)의 두께의 5%를 기준으로 하여, 2∼10%의 범위로 설정된다.
상형(7)의 내부에는, 트리밍시에 용기(2)의 플랜지부(21)를 위로부터 누르기 위한 누름부재(9)가 마련되어 있다. 누름부재(9)는, 하방으로 개구한 바닥이 있는 통형상의 것이고, 상형(7)의 상벽부를 관통한 승강 로드(10)의 하단에 부착되어 있다. 승강 로드(10)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 수단에 의해 하향으로 가세되어 있고, 트리밍 전의 상태에서는, 누름부재(9)의 하단부가 상형(7)의 하단면부터 약간 튀어나온 위치에 있다.
상기한 트리밍 장치(5)를 이용하여 용기(2)의 플랜지부(21)의 트리밍을 행하는 경우, 우선,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하 역(逆)으로 된 용기(2)를 하형(6)의 위에 배치하고, 용기(2)의 플랜지부(21)를 하형(6)의 상단면에 실음과 함께, 하방의 퇴피 위치에 있던 유지 부재(8)를 상승시켜서, 용기(2) 내면의 개구 부근에 감합시키고, 또한 흡인 구멍을 통하여 용기(2) 내면을 흡인 유지한다.
뒤이어, 상방의 퇴입(退入) 위치에 있던 상형(7)을, 도시하지 않은 유압 장치 등에 의해 하방으로 진출 구동시키면, 우선, 용기(2)의 플랜지부(21)가 누름부재(9)의 하단부에 의해 상방부터 눌려지고, 더욱 상형(7)을 하방에 이동시키면, 하형(6)의 상단면부터 비어져 나온 플랜지부(21)의 주연 부분이, 상형(7)의 윗날(71)과 하형(6)의 아랫날(61)에 의해 눌려 잘려져서, 트리밍 된다(도 4(b)참조).
트리밍이 완료되면, 상형(7)이 상방의 퇴입 위치까지 이동시켜짐과 함께, 유지 부재(8)가 하방의 퇴피 위치까지 이동시켜져, 용기(2)가 라인의 하류측으로 보내진다.
상기 트리밍에 의해 용기(2)가 완성되는데, 완성 상태의 용기(2)의 플랜지부(21)의 단면에는, 금속박의 절단 버르(201a)가 생기고 있는 일이 있다.
이 실시 형태의 용기(2)에서는, 플랜지부(21)의 주연부를 용기(2)의 개구측을 향하고 눌려 잘려짐에 의해, 플랜지부(21)의 트리밍이 행하여진 결과, 도 2나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랜지부(21)의 단면에 생긴 모든 절단 버르(201a)의 선단이, 용기(2)의 개구측을 향하고 있다.
덮개재(3)를 구성하는 복합 시트(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금속박층(301)과, 금속박층(301)의 내면에 적층된 열융착성 수지 필름층(302)과, 금속박층(301)의 외면에 적층된 외측 수지 필름층(303)에 의해 이루어진다.
금속박층(301)은, 덮개재(3)에 배리어성 등을 부여하는 것이고, 예를 들면 알루미늄박, 스테인리스강박, 구리박, 니켈박 등에 의해 구성되는데, 알맞게는, 알루미늄박이 사용된다.
알루미늄박의 경우, 순알루미늄박, 알루미늄 합금박의 어느 것이라도 좋고, 또한, 연질, 경질의 어느 것이라도 좋지만, 예를 들면, JIS H4160로 분류되는 A8021의 소둔제의 연질재(O재)가, 알맞게 사용된다.
덮개재(3)의 최내층을 구성하는 열융착성 수지 필름층(302)은, 덮개재(3)에 열융착(히트 실)성을 부여함과 함께, 금속박(301)을 내용물(C)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다.
열융착성 수지 필름층(302)은, 예를 들면, 이개봉성(易開封性) 수지 필름에 의해 형성된다. 이개봉성 수지 필름으로서는, 두께 10∼200㎛ 정도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필름이나 폴리에틸렌 수지 필름 등의 범용성 필름, 또는 이들의 복합 필름이 사용되지만, 히트 실 성이나 밀봉성을 고려하면, 두께를 20∼100㎛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융착성 수지 필름층(302)에는, 산화티탄 등의 착색 안료, 산화방지제, 슬립제, 대전 방지제, 안정제 등의 첨가제, 탄산칼슘, 클레이, 운모, 실리카 등의 충전제, 탈취제를 첨가하여도 좋다.
또한, 열융착성 수지 필름층(302)에, 내용물의 보존성을 갖게 하기 위해, 철분과 조제(助劑)인 할로겐화금속의 혼합물을 산소 흡수 성분으로서 배합한 산소 흡수 손가락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산소 흡수층을 마련할 수 있다.
덮개재(3)의 최외층을 구성하는 외측 수지 필름층(303)은, 금속박층(301)의 표면 보호나 인쇄면의 보호라는 기능을 다할 수 있는 것이다.
외측 수지 필름층(303)의 구성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 폴리아미드 수지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필름으로서는, 연신 필름이 알맞게 사용된다. 그 중에서도, 내열성 및 강도의 점에서, 2축연신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 2축연신 폴리아미드 수지 필름,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복층 필름이 바람직하고, 또한, 2축연신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과 2축연신 폴리아미드 수지 필름이 맞붙여진 복층 필름을 사용하여도 좋다. 폴리아미드 수지 필름의 종류는, 특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지만, 예를 들면, 6나일론 수지 필름, 6,6나일론 수지 필름, MXD나일론 수지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2축연신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으로서는, 2축연신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필름, 2축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필름을 적층하는 경우, 예를 들면, 드라이 라미네이트법에 의해 접착제를 통하여 행하여진다.
도시는 생략하였지만, 금속박층(301)과 열융착성 수지 필름층(302)과의 접합, 및, 금속박층(301)과 외측 수지 필름층(303)과의 접합은, 각각 접착제층을 통하여 행해진다.
이들의 접착제층은,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 수지계 접착제, 아크릴 수지계 접착제, 에폭시 수지계 접착제, 폴리올레핀 수지계 접착제, 일래스토머계 접착제, 불소계 접착제 등에 의해 형성된다. 그 중에서도, 주제(主劑)로서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경화제로서의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에 의한 2액 경화형 폴리에스테르-우레탄 수지, 또는, 폴리에테르-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측 수지 필름층(303)에 대신하여, 표면 코트층에 의해 덮개재(3)의 최외층을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표면 코트층은, 예를 들면, 에폭시 수지, 초화면계(硝化綿系) 수지, 에폭시 멜라민 수지,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 수지 등의 코트용 수지를 용매에 용해 또는 분산하여 이루어지는 도포제를, 금속박의 표면에 도포하여 건조함에 의해 형성된다.
용기(2)의 플랜지부(21)에 덮개재(3)를 열융착하는 방법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용기(2)의 플랜지부(21) 상면에 덮개재(3) 하면의 주연부를 맞겹치고, 이들 맞겹침 부분을, 소정 온도(예를 들면 180℃ 정도)로 가열된 열판에 의해, 소정 압력을 가하면서 소정 시간 가열함에 의해 행하여진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용기(2)의 플랜지부(21) 상면에 덮개재(3)의 주연부가 열융착됨에 의해, 플랜지부(21)의 단면에 생긴 절단 버르(201a)의 선단이, 덮개재(3)에 의해 덮여 있다. 따라서 소비자가 덮개재(3)를 개봉할 때, 플랜지부(21)의 단면의 절단 버르(201a)에 의해 손가락 등에 위화감, 불쾌감 또는 통증을 느낄 우려가 없고, 쾌적하게 개봉을 행할 수가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상태에서는, 열융착에 의해 덮개재(3) 하면의 주연부에 늘어뜨려지는 모양의 수지 고임부(4)가 형성되어 있다. 수지 고임부(4)는, 용기(2)의 플랜지부(21) 상면을 구성하는 열융착성 수지 필름층(202), 보다 상세하게는, 그 층(202)에서의 최내층측의 폴리에틸렌 수지 필름 등의 수지 필름(202a)과, 덮개재(3)의 내면을 구성하는 폴리에틸렌 수지 필름 등의 열융착성 수지 필름층(302)이, 열융착시에 흘러서 형성된 것으로, 2개의 층(202a)(302)이 한 덩어리(塊)로 되어 있다. 또한, 수지 고임부(4)는, 그 선단이 절단 버르(201a)의 선단과 같거나 그보다도 하방의 수평 위치에 오는 높이를 갖고 있다. 이 수지 고임부(4)에 의해, 소비자의 손가락 등과 절단 버르(201a)의 선단이 접촉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따라서, 소비자가 개봉시에 절단 버르(201a)에 의해 위화감, 불쾌감 또는 통증을 느끼는 것이, 보다 확실하게 회피된다.
도 5는, 비교례의 포장체(100)를 도시하는 것으로, 이 포장체(100)는, 플랜지부(21)의 단면에 생긴 절단 버르(201b)의 선단이 용기의 개구측과 반대측, 즉 하측을 향하고 있는 점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 형태의 포장체(1)와 동일한 것이다.
도시한 포장체(100)의 절단 버르(201b)는, 예를 들면, 용기(2)의 플랜지부(21)의 주연부를 용기(2)의 개구측과 반대측을 향하여 눌려 자름에 의해, 플랜지부(21)의 트리밍이 행하여짐으로써 형성된 것이고, 플랜지부(21)의 단면부터 튀어나와 있다.
따라서 비교례의 포장체(100)에서는, 절단 버르(201b)의 선단이 덮개재(3)에 의해 덮여진 상태로는 되지 않는다. 또한, 절단 버르(201b)의 선단은, 수지 고임부(4)의 선단보다도 하방의 수평 위치에 있다. 그 때문에, 이 포장체(100)의 경우, 소비자가 개봉시에 절단 버르(201b)에 의해 위화감, 불쾌감 또는 통증을 느낄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복합 시트를 컵형상으로 성형한 후에, 플랜지부의 트리밍을 행함에 의해 형성된 용기 및 그 용기를 사용한 포장체가 예를 들었지만, 복합 시트를 미리 소정의 치수 및 형상에 절단하여 두고 나서 성형을 행하는, 이른바 트리밍레스 공법에 의한 용기 및 그 용기를 사용한 포장체에 관해서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복합 시트를, 용기내면을 구성하는 열융착성 수지 필름층측을 향하여 절단함으로써, 절단 버르의 선단이, 성형된 용기의 개구측을 향하도록 할 수 있고, 상기한 실시 형태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장기 보존이 필요한 식품 등의 내용물을 포장하기 위한 용기, 및 그 용기와 덮개재에 의해 내용물을 밀봉 포장하는 포장체로서, 알맞게 사용할 수 있다.
(1) : 포장체
(2) : 용기
(20) : 복합 시트
(21) : 플랜지부
(201) : 금속박층
(201a) : 절단 버르
(202) : 열융착성 수지 필름층
(202a) : 최내층측의 수지 필름
(202b) : 금속박층측의 수지 필름
(203) : 내열성 수지 필름층
(22) : 개봉용 노치
(3) : 덮개재
(30) : 복합 시트
(301) : 금속박층
(302) : 열융착성 수지 필름층
(303) : 외측 수지 필름층
(4) : 수지 고임부
(C) : 내용물

Claims (9)

  1. 금속박층의 적어도 편면에 수지 필름층이 적층되어 있는 복합 시트를 컵형상으로 성형하여 이루어지고 또한 개구 주연에 플랜지부를 갖고 있는 용기로서, 플랜지부의 단면에 생긴 절단 버르의 선단이 용기의 개구측을 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복합 시트가, 금속박층의 내면에 적층되어 있는 수지 필름층을 갖고 있고, 그 수지 필름층의 두께가 금속박층의 두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금속박층의 내면에 적층되어 있는 수지 필름층이, 2장 이상의 수지 필름을 적층한 복합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복합 필름에서의 금속박층측의 수지 필름의 두께가, 금속박층의 두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복합 필름에서의 금속박층측의 수지 필름의 두께가, 절단 버르의 높이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5. 제3항에 있어서,
    플랜지부의 상면에, 복합 필름의 최내층측의 수지 필름을 관통하여 그 외측의 수지 필름의 상부까지 달하는 깊이를 갖는 개봉용 노치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6. 제3항에 있어서,
    복합 필름이, 최내층측의 폴리에틸렌 수지 필름과, 그 외측에 적층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필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금속박층이, 알루미늄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8. 내용물이 충전된 컵형상의 용기의 개구를 덮도록 그 용기의 플랜지부에 덮개재를 열융착하여 이루어지는 포장체로서, 용기가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용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9. 제8항에 있어서,
    열융착에 의해 덮개재의 하면의 주연부에 늘어뜨려지는 모양의 수지 고임부가 형성되어 있고, 수지 고임부는, 그 선단이 절단 버르의 선단과 같거나 그보다도 하방의 수평 위치에 오는 높이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KR1020160065537A 2015-06-01 2016-05-27 용기 및 포장체 KR1024689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11198 2015-06-01
JPJP-P-2015-111198 2015-06-01
JP2016055658A JP6738625B2 (ja) 2015-06-01 2016-03-18 容器および包装体
JPJP-P-2016-055658 2016-03-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1659A true KR20160141659A (ko) 2016-12-09
KR102468967B1 KR102468967B1 (ko) 2022-11-22

Family

ID=57453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5537A KR102468967B1 (ko) 2015-06-01 2016-05-27 용기 및 포장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68967B1 (ko)
CN (1) CN10618495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8491A (ko) * 2018-03-14 2019-09-24 쇼와 덴코 패키징 가부시키가이샤 성형 용기용 적층체, 성형 용기 및 포장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45636B (zh) * 2017-12-15 2021-11-11 日商昭和電工包裝股份有限公司 用於成形容器的積層體、成形容器及包裝體、和成形容器及包裝體的製造方法
JP7344677B2 (ja) * 2018-07-10 2023-09-14 株式会社レゾナック・パッケージング コップ状容器およびコップ状容器用積層体
CN215362758U (zh) * 2020-07-29 2021-12-31 深圳市望盛科技有限公司 一种复合包装盒、复合包装盒的生产设备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4476A (ja) 1989-06-07 1991-01-23 Showa Alum Corp 食品包装用易開封容器
JPH04147825A (ja) 1990-10-11 1992-05-21 Showa Alum Corp 容器の製造法
JPH06345123A (ja) 1993-06-11 1994-12-20 Showa Alum Corp ハイバリアー成形容器
JP2000301499A (ja) * 1999-04-16 2000-10-31 Sumikei Arumihaku Kk 厚手アルミニウム箔の複合材の切断方法
JP2004058181A (ja) * 2002-07-25 2004-02-26 Toyo Seikan Kaisha Ltd 多層体の切断方法および多層容器の成形方法並びに多層成型品
CN203268649U (zh) * 2013-05-24 2013-11-06 昭和电工包装株式会社 能够目视内容物的包装容器用盖部件及包装容器
JP2014198576A (ja) * 2013-03-29 2014-10-23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ル盤、シール方法、および容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97736B1 (it) * 1997-11-28 1999-12-20 Attrezzeria Mv & C Snc Stampo di imbutitura e coniatura per la fabbricazione di recipienti metallici e simili
BRMU8702218U2 (pt) * 2007-06-25 2009-02-17 Valadares Elvercio Gomes disposiÇço tÉcnica introduzida em selo de vedaÇço
CN202480127U (zh) * 2012-03-15 2012-10-10 昭和电工包装株式会社 食品包装用容器的凸缘部的切缝形成装置
JP6389076B2 (ja) * 2014-07-11 2018-09-12 昭和電工パッケージング株式会社 食品用容器の製造方法
JP6738625B2 (ja) * 2015-06-01 2020-08-12 昭和電工パッケージング株式会社 容器および包装体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4476A (ja) 1989-06-07 1991-01-23 Showa Alum Corp 食品包装用易開封容器
JPH04147825A (ja) 1990-10-11 1992-05-21 Showa Alum Corp 容器の製造法
JPH06345123A (ja) 1993-06-11 1994-12-20 Showa Alum Corp ハイバリアー成形容器
JP2000301499A (ja) * 1999-04-16 2000-10-31 Sumikei Arumihaku Kk 厚手アルミニウム箔の複合材の切断方法
JP2004058181A (ja) * 2002-07-25 2004-02-26 Toyo Seikan Kaisha Ltd 多層体の切断方法および多層容器の成形方法並びに多層成型品
JP2014198576A (ja) * 2013-03-29 2014-10-23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ル盤、シール方法、および容器
CN203268649U (zh) * 2013-05-24 2013-11-06 昭和电工包装株式会社 能够目视内容物的包装容器用盖部件及包装容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8491A (ko) * 2018-03-14 2019-09-24 쇼와 덴코 패키징 가부시키가이샤 성형 용기용 적층체, 성형 용기 및 포장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184957A (zh) 2016-12-07
KR102468967B1 (ko) 2022-11-22
CN106184957B (zh) 2019-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54032B2 (en) Tamper evident tabbed sealing member having a foamed polymer layer
KR20160141659A (ko) 용기 및 포장체
KR102188903B1 (ko) 식품용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CA2882752C (en) Tabbed inner seal
JP6738625B2 (ja) 容器および包装体
US20110089177A1 (en) Laminated Container Seal With Removal Tab Bound By Adhesive
CN104709594A (zh) 耐热性、开封性及密封性优秀的容器封装体
US20160332771A1 (en) Container seal
WO2011126046A1 (ja) 容器本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包装容器
US20150013273A1 (en) Expanded Content Heat Shrinkable Label
CN107399516B (zh) 容器用层叠片材及容器
JP6389076B2 (ja) 食品用容器の製造方法
JP4906662B2 (ja) 易切開性多層容器
JP6590520B2 (ja) ホット飲料容器用蓋材および包装体
JP5839660B2 (ja) 容器およびキャップ取付方法
JP6688015B2 (ja) 容器および包装体
TW201900422A (zh) 蓋材及包裝體
JP6706486B2 (ja) 電子レンジ加熱用容器
JP2015160631A (ja) 電子レンジ加熱用包装容器
JP3157279B2 (ja) プラスチック製蓋材
JP5756509B2 (ja) 容器本体およびその製造装置、並びに包装容器
WO2017029997A1 (ja) 紙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4141272A (ja) 液体用紙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7400214B2 (ja) 真空密着包装体
JPS63307072A (ja) 易開封性密封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