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0912A - 상자체의 문 - Google Patents

상자체의 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0912A
KR20160140912A KR1020167030719A KR20167030719A KR20160140912A KR 20160140912 A KR20160140912 A KR 20160140912A KR 1020167030719 A KR1020167030719 A KR 1020167030719A KR 20167030719 A KR20167030719 A KR 20167030719A KR 20160140912 A KR20160140912 A KR 201601409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sing member
plate member
door
closing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0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0702B1 (ko
Inventor
도키미 아베
Original Assignee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40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0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0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0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00Shrinkage connections, e.g. assembled with the parts at different temperature; Force fits; Non-releasable friction-grip fastenings
    • F16B4/004Press fits, force fits, interference fits, i.e. fits without heat or chemical 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25D23/064Walls defining a cabinet formed by moulding, e.g. moulding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Packaging Of Machine Parts And Wound Products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상자체의 문은 상자체의 개구를 개폐하는 문으로, 문의 표면을 구성하는 표면부와, 표면부의 주위의 변부 중 대향하는 2개의 변부를 표면부에 대해서 직각방향으로 구부리도록 하여 형성되고 문의 측면을 구성하는 2개의 측면부를 일체로 갖는 판 부재와, 2개의 측면부의 단부에서 2개의 측면부 사이에 설치된 삽입부에 삽입되어 2개의 측면부 사이를 폐색하는 폐색 부재를 구비한다. 판 부재 또는 폐색 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은, 폐색 부재가 삽입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폐색 부재를 문의 두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이동부를 갖는다.

Description

상자체의 문{DOOR OF BOX BODY}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상자체의 문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어 냉장고의 단열상자체 등의 개구를 개폐하는 문은 복수의 부재를 조합하여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23 및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구성의 상자체의 문(90)은 문의 정면을 구성하는 문 전면재(91), 문의 배면을 구성하는 문 배면재(93), 및 문 정면재와 문 배면재 사이를 막는 캡 부재(92)를 구비하고 있다. 문 전면재(91)는 문(90)의 정면을 구성하는 정면부(911), 문(90)의 측면을 구성하는 측면부(912), 정면부(911)의 가장자리부를 문(90)의 두께 방향으로 절곡한 걸어맞춤부(913), 및 측면부(912)의 후측 가장자리부를 정면부(911)와 평행방향으로 절곡한 후곡부(914)를 일체로 갖고 있다. 캡 부재(92)는 문 전면재(91)의 걸어맞춤부(913)를 물고 들어가는 피걸어맞춤부(921)를 갖고 있다.
문(90)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하여 조립된다. 우선, 도 2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 부재(92)를 화살표 A1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캡 부재(92)의 피걸어맞춤부(921)에 문 전면재(91)의 걸어맞춤부(913)를 삽입한다. 다음에, 도 2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 부재(92)를, 피걸어맞춤부(921)와 걸어맞춤부(913)의 피삽입부분을 지지점으로 하여 화살표 A2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캡 부재(92)가 문 전면재(91)에 끼워넣어진다. 그 후, 도 2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 배면재(93)를, 발포 우레탄 등의 발포 단열재(94)를 개재시켜 문 전면재(91)의 후곡부(914)에 맞닿게 한다. 이에 의해, 문(90)이 조립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구성에서는 캡 부재(92)의 부착에, 도 2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캡 부재(92)의 큰 회전동작을 수반한다. 그 때문에, 조립성이 나쁘고, 또한 캡 부재(92)의 회전동작에 의해 걸어맞춤부(913)가 절곡되어 요철 등의 변형이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그리고, 걸어맞춤부(913)에 요철이 발생하면, 그 요철에 의해 캡 부재(92)와 걸어맞춤부(913)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고, 외관상 미관이 나빠지는 것으로 이어진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26392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8-121946호
그래서, 본 실시형태는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조립시에 발생하는 변형을 극히 감소시킬 수 있는 상자체의 문을 제공한다.
실시형태의 상자체의 문은 상자체의 개구를 개폐하는 문으로, 상기 문의 표면을 구성하는 표면부, 상기 표면부의 주위의 변부 중 대향하는 2개의 변부를 상기 표면부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구부리도록 하여 형성되고 상기 문의 측면을 구성하는 2개의 측면부를 일체로 갖는 판 부재, 및 상기 2개의 측면부의 단부에서 상기 2개의 측면부 사이에 설치된 삽입부에 삽입되어 상기 2개의 측면부 사이를 폐색하는 폐색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판 부재 또는 상기 폐색 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은, 상기 폐색 부재가 상기 삽입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폐색 부재를 상기 문의 두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이동부를 갖는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의한 문 및 상자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문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문의 좌단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문의 우단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문의 조립수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그 1).
도 6은 문의 조립수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그 2).
도 7은 문의 조립수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그 3).
도 8은 문의 조립수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그 4).
도 9는 문의 조립수순을 도시한 단면도이다(그 1)
도 10은 문의 조립수순을 도시한 단면도이다(그 2).
도 11은 문의 조립수순을 도시한 단면도이다(그 3).
도 12는 문의 조립수순을 도시한 단면도이다(그 4).
도 13은 문의 조립수순을 도시한 단면도이다(그 5).
도 14는 도 13의 X14-X14선을 따라서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X15-X15선을 따라서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문의 좌단부분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외판 부재의 모퉁이부(角部)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폐색 부재의 단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9는 문의 조립수순을 도시한 것으로 제1, 제3 걸어맞춤부와 제1, 제3 피걸어맞춤부의 관계를 도시한 단면도(그 1)이다.
도 20은 문의 조립수순을 도시한 것으로 제1, 제3 걸어맞춤부와 제1, 제3 피걸어맞춤부의 관계를 도시한 단면도(도 2)이다.
도 21은 문의 조립수순을 도시한 것으로, 제2 걸어맞춤부와 제2 피걸어맞춤부의 관계를 도시한 단면도(그 1)이다.
도 22는 문의 조립수순을 도시한 것으로, 제2 걸어맞춤부와 제2 피걸어맞춤부의 관계를 도시한 단면도(그 2)이다.
도 23은 종래 구성의 문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4는 종래 구성의 문의 조립수순을 (a)~(c)의 순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복수의 실시형태에 의한 냉장고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각 실시형태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부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실시형태)
우선, 제1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의 상자체의 문(20, 30)은 예를 들어 단열상자체(11)에 부착되어 냉장고(10)를 구성한다. 즉, 도 1에 도시한 냉장고(10)는 단열상자체(11)와, 냉동실문(20), 및 냉장실문(30)을 구비하고 있다. 단열상자체(11)는 단열성을 갖고, 전면(前面)에 개구를 갖는 직사각형의 상자체이다. 냉장고(10)는 단열상자체(11)의 내부에 식재료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실로서 냉동실(12) 및 냉장실(13)을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 냉장고(10)는 소위 2도어식의 냉장고이다. 냉동실(12)은 냉장고(10)의 상부에 설치되고, 냉장실(13)은 냉장고(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냉장고(10)는 도시하지 않은 냉동사이클을 구비하고, 이 냉동사이클에 의해 냉동실(12) 및 냉장실(13) 내가 냉각된다.
냉동실문(20)은 냉동실(12)의 앞쪽에 설치되고, 냉동실(12)의 개구(121)를 개폐한다. 냉장실문(30)은 냉장실(13)의 앞쪽에 설치되고, 냉장실(13)의 개구(131)를 개폐한다. 냉동실문(20) 및 냉장실문(30)은 상자체의 문에 상당한다. 냉동실문(20) 및 냉장실문(30)은 단열성을 갖는 힌지 개폐식의 직사각형 형상의 문으로, 편 개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냉장고(10)는 단열상자체(11)의 개구의 좌우 어느 한쪽의 가장자리부에, 힌지부(14)를 구비하고 있다. 냉동실문(20) 및 냉장실문(30)은 각각 힌지부(14)를 지지점으로 회전한다.
다음에, 냉동실문(20) 및 냉장실문(30)의 기본적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냉동실문(20) 및 냉장실문(30)은 구체적인 치수나 세부를 제외하고, 기본적인 구성은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냉동실문(20) 및 냉장실문(30)에 대해서 냉동실문(20)을 대표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 설명에서는 냉동실문(20) 및 냉장실문(30)을 간단히 문(20)으로 부른다. 또한, 도 1의 지면의 상하방향을 냉장고(10) 및 문(20, 30)의 상하 방향으로 한다. 또한, 상하 방향에 대해서 직각방향으로, 문(20, 30)을 냉장고(10)의 외방에서 본 경우에서의 문(20, 30)의 면에 평행인 방향을 냉장고(10)의 좌우 방향으로 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직각」, 「평행」, 「평면」 등의 형상을 나타내는 문언에 대해서는 엄밀할 필요는 없고 제조나 조립에 수반한 일반적인 오차가 허용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20)은 내부재(21)와, 판 부재로서의 외판 부재(22)와, 2개의 폐색 부재(23)와, 4개의 규제부재(25)를 구비하고 있다. 문(20)은 내부재(21)와 외판 부재(22)와 2개의 폐색 부재(23)에 의해 중공의 판형상의 문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문(20)의 내부에는 예를 들어 발포 우레탄이나 진공단열패널 등의 단열재가 설치된다. 이에 의해, 문(20)은 단열성을 갖는다.
내부재(21)는 문(20)에서 저장실(12)측의 면을 구성한다. 내부재(21)는 예를 들어 합성수지제의 성형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부재(21)는 전체로서 직사각형 판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부재(21)의 외판 부재(22)측의 면은 거의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내부재(21)의 외판 부재(22)와 반대측에는 도어포켓 등의 구조물이 설치된다. 또한, 내부재(21)에는 도시하지 않은 패킹 등이 외판 부재(22)와 반대측의 외주를 따라서 설치된다.
외판 부재(22)는 문(2)에서 저장실(12)과 반대측 즉 외측의 면을 구성한다. 외판 부재(22)는 예를 들어 금속제의 판을 구부려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외판 부재(22)는 예를 들어 스텐레스 등의 강판에 한정되지 않고, 알루미늄이나 마그네슘 등의 비철금속제의 판을 굽힘 가공한 것이어도 좋다. 또한, 외판 부재(22)는 수지판을 굽힘 가공한 가공품이나 수지의 성형품이어도 좋다. 외판 부재(22)는 전체로서 직사각형 판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외판 부재(22)는 표면부(221), 측면부(222), 및 플랜지부(223)를 일체로 갖고 있다. 표면부(221)는 직사각형의 평탄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문(20)의 표면을 구성한다.
측면부(222)는 표면부(221)의 주위의 변부 중 대향하는 2개의 변부 이 경우 좌우 양쪽 가장자리부를, 표면부(221)에 대하여 직각으로 저장실(12)측으로 절곡되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측면부(222)는 좌우 한쌍으로 구성되어 있다. 측면부(222)는 상하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문(20)의 측면을 구성한다. 측면부(222)의 폭이 문(20)의 두께가 된다. 측면부(222)는 표면부(221)의 좌우 양쪽 가장자리부의 거의 전부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2개의 측면부(222)는 서로 이격되어 있다. 이 경우, 2개의 측면부(222) 사이는 후술하는 폐색 부재(23)가 삽입되는 삽입부(226)가 된다.
플랜지부(223)는 한쪽의 측면부(222)의 표면부(221)와 반대측의 가장자리부를, 대향하는 다른쪽 측면부(222)측을 향하여 직각으로 구부러지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223)는 상하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223)는 측면부(222)로부터 표면부(221)와 평행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223)의 폭은 측면부(222)의 폭보다 짧다. 플랜지부(223)는 측면부(222)의 전부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2개의 플랜지부(223)는 서로 이격되어 있다.
또한, 외판 부재(22)는 제1 절곡부(曲部)(224) 및 제2 절곡부(225)를 일체로 갖고 있다. 제1 절곡부(224)는 표면부(221)의 일부를 구성하는 부분이다. 제1 절곡부(224)는 표면부(221)의 주위의 변부 중 측면부(222)가 존재하지 않는 변부, 이 경우 표면부(221)의 상하 양쪽 가장자리부를, 표면부(221)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제1 절곡부(224)는 표면부(221)로부터 약간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1 절곡부(224)는 표면부(221)의 상하 양쪽 가장자리부의 거의 전부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제2 절곡부(225)는 한쪽의 측면부(222)의 상하의 양쪽 가장자리부를, 대향하는 다른쪽 측면부(222)측을 향하여 직각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2 절곡부(225)의 폭은, 제1 절곡부(224)의 폭과 거의 동등하다. 제2 절곡부(225)는 표면부(221) 부근으로부터 측면부(222)의 전체폭의 반 정도의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다.
2개의 폐색 부재(23)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하 대칭형으로 되어 있다. 폐색 부재(23)는 예를 들어 합성수지제의 성형품이다. 폐색 부재(23)는 전체로서 일방향 이 경우 좌우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의 얕은 용기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외판 부재(22)의 측면부(222)의 상하단부에서, 대향하는 2개의 측면부(222) 사이에 삽입되어, 2개의 측면부(222) 사이를 폐색한다. 즉, 폐색 부재(23)는 문(2)의 상하단부이고, 외판 부재(22)의 표면부(221)와 좌우측면부(222)와 내부재(21)로 둘러싸인 부분에 삽입된다. 그리고, 폐색 부재(23)는 외판 부재(22)의 표면부(221)와 좌우측면부(222)와 내부재(21)로 둘러싸인 문(20)의 상하의 개구를 폐색한다.
도 3 및 도 4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폐색 부재(23)는 폐색면부(231), 힌지 받이부(232), 둘레벽부(233), 후벽부(234) 및 코너벽부(235)를 일체로 갖고 있다. 폐색면부(231)는 전체로서 일방향 이 경우 가로로 긴 직사각형 판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폐색면부(231)는 폐색 부재(23)의 용기형상의 저부를 구성하고, 문(20)의 상하의 측면부를 구성한다. 힌지 받이부(232)는 폐색 부재(23)의 한쪽의 단부측, 이 경우 우단부측에 설치되어 있다. 힌지 받이부(232)에는 힌지부(14)의 축부가 삽입된다. 이에 의해, 문(20)은 힌지부(14)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다.
둘레벽부(233)는 폐색면부(231)의 주위의 가장자리부 중, 외판 부재(22)측의 길이방향의 가장자리부와, 그 길이방향의 변부의 양측의 폭방향의 가장자리부의 3개의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설치되어 있다. 둘레벽부(233)는 폐색면부(231)로부터 상하방향에서 문(20)의 내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둘레벽부(233)는 폐색면부(231)에서의 내부재(21)측의 가장자리부를 제외하고, 폐색면부(231)의 3방의 주위를 둘러싸고 있다.
후벽부(234)는 폐색면부(231)의 주위의 가장자리부 중, 둘레벽부(233)가 존재하지 않는 가장자리부, 즉 내부재(21)측의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설치되어 있다. 후벽부(234)는 폐색면부(231)로부터 상하방향에서 문(20)의 내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즉, 후벽부(234)는 둘레벽부(233)와 동일한 방향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코너벽부(235)는 폐색 부재(23)의 좌우 양단부에서 폐색면부(231)와 반대측의 모퉁이부를 따라서 설치되어 있다. 코너벽부(235)는 외판 부재(22)의 측면부(222) 및 플랜지부(223)의 외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코너벽부(235)는 측면부(222) 및 플랜지부(223)를 덮는 덮개부로서 기능한다. 코너벽부(235)는 폐색면부(231)로부터 상하방향에서 문(20)의 내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즉, 코너벽부(235)는 둘레벽부(233) 및 후벽부(234)와 동일한 방향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코너벽부(235)의 일단부는 후벽부(234)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코너벽부(235)의 타단부는 둘레벽부(233)에 접속되어 있지 않다. 즉, 코너벽부(235)는 둘레벽부(233)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둘레벽부(233)의 단부(236)는 코너벽부(235)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단부(236)와 코너벽부(235)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이 단부(236)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색면부(231)측을 향할수록, 코너벽부(235)에 접근하는 경사상 즉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둘레벽부(233)의 좌우 양단측 부분, 즉 둘레벽부(233)에서의 폐색 부재(23)의 길이방향의 양단측 부분은 폐색면부(231)의 바깥 가장자리의 내측에 있다. 폐색면부(231) 중, 이 둘레벽부(233)의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의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촉부(237)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폐색 부재(23)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삽입부(238)를 갖고 있다. 피삽입부(238)는 폐색면부(231)와 둘레벽부(233)의 길이방향부분과의 접속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피삽입부(238)는 외판 부재(22)의 표면부(221)측을 향하여 개구한 연속적 또는 단속적인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피삽입부(238)는 폐색 부재(23)의 길이방향 즉 문(20)의 좌우방향을 따른 단속적인 홈 형상이다. 피삽입부(238)의 홈폭은 외판 부재(22)의 두께치수와 동일한 정도나 약간 큰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외판 부재(22)의 제1 절곡부(224)는 피삽입부(238)에 삽입 가능하다.
또한, 폐색 부재(23)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맞댐부(?)(239), 제1 내벽부(240), 제2 내벽부(241), 및 리브부(242)를 일체로 갖고 있다. 맞댐부(239)는 폐색 부재(23)의 우단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맞댐부(239)는 폐색면부(231)로부터 직각방향 이 경우 상하방향에서의 문(20)의 내방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맞댐부(239)는 판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맞댐부(239)는 둘레벽부(233)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고, 접속부(243)에 의해 둘레벽부(233)에 접속되어 있다. 맞댐부(239)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색 부재(23)가 외판 부재(22)의 측면부(222) 사이에 삽입되었을 때, 측면부(222)의 내측면에 맞댐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1 내벽부(240), 제2 내벽부(241), 및 리브부(242)는 폐색 부재(23)의 좌우 양단 부분의 각각에 설치되어 있다. 제1 내벽부(240), 제2 내벽부(241), 및 리브부(242)는 판형상이고, 폐색면부(231)로부터 직각방향 이 경우 상하방향에서의 문(20)의 내방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1 내벽부(240)는 외판 부재(22)의 표면부(221)에 직각 즉 측면부(222)에 평행이 되어 있다.
제2 내벽부(241)는 외판 부재(22)의 표면부(221)와 평행 즉 측면부(222)에 직각이 되어 있다. 이 경우, 제1 내벽부(240)와 제2 내벽부(241)는 대략 직각의 L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리브부(242)는 제1 내벽부(240)에 평행 즉 제2 내벽부(241)에 직각으로 설치되어 있다. 리브부(242)는 둘레벽부(233)와 제1 내벽부(240)를 접속하고 있다. 이에 의해, 리브부(242)는 제1 내벽부(240) 및 제2 내벽부(241)를 보강하고 있다.
또한, 제1 내벽부(240)에는 도 8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내벽부(240)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시킨 구멍부(244)가 형성되어 있다. 구멍부(244)는 제1 내벽부(240)의 상하방향의 중심보다 폐색면부(231)측 근처에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구멍부(244)는 폐색면부(231)로부터 제1 내벽부(240)의 상하방향의 중심부 부근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구멍부(244)는 문(20)의 두께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의 구멍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규제부재(25)는 내부재(21), 외판 부재(22), 및 폐색 부재(23)와는 별체로 구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로서 문(20)의 상하방향으로 길게 좌우방향으로 편평한 직사각형의 블럭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규제부재(25)는 상기 규제부재(25)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대칭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문(20)의 4개의 모퉁이부에 설치되는 규제부재(25)는 공통화되어 있다. 규제부재(25)는 예를 들어 합성수지제의 성형품이다. 규제부재(25)는 주체부(251), 받이홈부(252), 2개의 탄성변형부(253), 2개의 후크부(爪部)(254)를 일체로 갖고 있다. 주체부(251)는 폐색 부재(23)의 폐색면부(231)측이 개구한 직사각형의 용기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체부(251)의 폭 치수(W1)는 제1 내벽부(240)와 둘레벽부(233) 사이의 폭치수(W2)보다 약간 크다.
받이홈부(252)는 외판 부재(22)의 측면부(222)측을 향하여 돌출되고 또한 폐색 부재(23)의 폐색면부(231)측을 향하여 개구하고 있다. 받이홈부(252)의 홈폭은 둘레벽부(233)의 양단부(236)의 두께 치수보다 약간 크다. 그 때문에, 둘레벽부(233)의 단부(236)는 규제부재(25)의 받이홈부(252)의 내측에 들어가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경우, 단부(236)는 규제부재(25)의 받이홈부(252)에 대하여 힘을 작용시키는 작용부로서 기능한다. 받이홈부(252)는 작용부로서의 단부(236)로부터 힘을 받는 받이부로서 기능한다.
또한, 받이홈부(252)의 저부(255)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이홈부(252)의 길이방향의 중심부로부터 외측을 향할수록, 받이홈부(252)가 깊어지는 경사상 즉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받이홈부(252)의 깊이는 받이홈부(252)의 길이방향의 외측으로부터 중심부를 향하여 점차 얕아지고 있다. 이 경우, 저부(255)의 테이퍼 형상의 경사각도 즉 균배율을 둘레벽부(233)의 단부(236)의 테이퍼 형상의 균배율과 거의 동등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탄성변형부(253)는 각각 주체부(251)의 일부에 칼집를 넣고, 폭이 짧은 판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탄성변형부(253)는 폐색 부재(23)의 길이방향, 이 경우, 문(20)의 좌우방향을 향하여 탄성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2개의 후크부(254)는 각각 탄성변형부(253)로부터 문(20)의 내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2개의 후크부(254)는 규제부재(25)의 길이방향 즉 문(20)의 상하방향에 대하여 좌우 대칭으로 구성되어 있다. 후크부(254)의 한쪽면은 완만한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후크부(254)의 다른쪽면은 탄성변형부(253) 및 제1 내벽부(240)에 대해서 수직인 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2개의 후크부(254)의 수직면은 서로 대향하고 있다. 후크부(254)는 폐색 부재(23)의 제1 내벽부(240)에 형성된 구멍부(244)에 삽입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후크부(254)는 구멍부(244)에 삽입된 상태에서, 후크부(254)의 수직면이 구멍부(244) 주위의 벽부에 걸림 고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문(20)의 조립수순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작업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판 부재(22)를 예를 들어 평탄한 작업면(100)의 위에 둔다. 그 때, 외판 부재(22)의 표면부(221)의 외면이 작업면(100)에 접하고 또한, 측면부(222)가 작업면(100)에 대해서 직각방향이 되도록 한다. 다음에, 작업자는 도 4 및 도 9의 화살표 B1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폐색 부재(23)를, 외판 부재(22)의 측면부(222)의 단부에서, 대향하는 측면부(222) 사이 즉 삽입부(226)에 삽입한다. 그 때, 작업자는 폐색 부재(23)의 길이방향 양단부의 둘레벽부(233)의 단부(236)를, 각각 외판 부재(22)의 좌우양측의 플랜지부(223)의 표면부(221)측의 면 즉 문(20)의 내방측의 면(이하, 플랜지부(223)의 내측면이라고 부름)에 대도록 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둘레벽부(233)의 단부(236)를 플랜지부(223)의 내측면을 따르게 하고, 폐색 부재(23)를 문(20)의 내방(화살표 B1 방향)으로 밀어 넣는다. 이 때, 폐색 부재(23)의 단부(236)가 플랜지부(223)의 내측면에 안내되고, 이에 의해 폐색 부재(23)는 표면부(221)에 대하여 거의 평행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폐색 부재(23)는 외판 부재(22)의 측면부(222) 사이에서 소정의 위치에 삽입된다. 이 경우, 폐색 부재(23)의 단부(236)는 외판 부재(22)에 대한 폐색 부재(23)의 삽입을 안내하는 안내부로서 기능한다.
여기에서, 둘레벽부(233)의 단부(236)가 플랜지부(223)의 내측면에 접하여 안내부로서 기능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외판 부재(22)의 제1 절곡부(224)는 폐색 부재(23)에 접하고 있지 않다. 즉, 폐색 부재(23)의 둘레벽부(233)의 단부(236)가 외판 부재(22)의 플랜지부(223)의 내측의 면에 접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외판 부재(22)의 제1 절곡부(224)는 폐색 부재(23)의 피삽입부(238)에 삽입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폐색 부재(23)를 측면부(222) 사이에 삽입할 때, 폐색 부재(23)가 제1 절곡부(224)에 걸리지 않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폐색 부재(23)의 삽입상태를 직접 육안으로 확인하지 않아도 폐색 부재(23)를 원활하게 측면부(222) 사이에 삽입할 수 있다.
폐색 부재(23)가 측면부(222)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문(20)의 내방(화살표 B1 방향)으로 압입되면, 폐색 부재(23)의 접촉부(237)가 외판 부재(22)의 제1 절곡부(225)에 맞닿는다. 이에 의해, 폐색 부재(23)는 문(20)의 내방으로 추가적인 이동이 규제된다. 그 후, 작업자는 도 5 및 도 10의 화살표 B2로 나타낸 바와 같이, 폐색 부재(23)를, 작업면(100)측 즉 외판 부재(22)의 표면부(221)측으로 압입한다. 이 때, 폐색 부재(23)는 폐색 부재(23)의 접촉부(237)가 외판 부재(22)의 제2 절곡부(225)에 접촉하면서, 제2 절곡부(225)를 따라서 이동한다. 이에 의해, 폐색 부재(23)는 표면부(221)에 대하여 직각방향 즉 문(20)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평행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 외판 부재(22)의 제2 절곡부(225) 및 폐색 부재(23)의 접촉부(237)는 폐색 부재(23)가 삽입부(226) 즉 외판 부재(22)의 2개의 측면부(222)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폐색 부재(23)를 문(20)의 두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이동부로서 기능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폐색 부재(23)를 표면부(221)측으로 압입하면, 즉 폐색 부재(23)를 표면부(221)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도 6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이동단에서, 폐색 부재(23)가 표면부(221)에 맞닿는다. 이 경우,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색 부재(23)의 피삽입부(238)에, 외판 부재(22)의 제1 절곡부(224)가 삽입된다. 그리고, 폐색 부재(23)의 둘레벽부(233)에서의 표면부(221)측의 면이, 표면부(221)에 맞닿는다. 이에 의해, 폐색 부재(23)는 표면부(221)측으로의 한층 더한 이동이 규제된다.
다음에, 작업자는 도 7 및 도 11의 화살표 B3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규제부재(25)를, 외판 부재(22)와 폐색 부재(23) 사이에 삽입한다. 그 때,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색 부재(23)의 둘레벽부(233)의 단부(236)를, 규제부재(25)의 받이홈부(252)에 끼워 넣도록 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규제부재(25)를, 플랜지부(223)의 내측면을 따르게 하면서, 폐색 부재(23)의 폐색면부(231)측으로 압입한다. 그 때, 규제부재(25)는 플랜지부(223)의 내측면에 의해, 외판 부재(22)와 폐색 부재(23) 사이의 소정의 위치에 안내된다.
규제부재(25)가, 외판 부재(22)와 폐색 부재(23) 사이에서의 소정의 위치에 삽입되면, 규제부재(25)의 받이홈부(252)에서의 테이퍼 형상의 저부(255)와, 폐색 부재(23)의 둘레벽부(233)에서의 테이퍼 형상의 단부(236)가, 쐐기로서 작용한다. 이에 의해, 규제부재(25)는 폐색 부재(23)의 둘레벽부(233)의 단부(236)와, 외판 부재(22)의 플랜지부(223)와의 사이를 밀어 넓힌다.
즉, 규제부재(25)는 플랜지부(233)와 폐색 부재(23)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플랜지부(223)를 억압한다. 이 경우, 폐색 부재(23)의 둘레벽부(233)의 단부(236)와, 규제부재(25)의 받이홈부(252)의 저부(255)가 각각 경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규제부재(25)는 규제부제(25)가 폐색면부(231)측으로 압입됨에 따라서, 플랜지부(223)를 억압하는 힘이 증대된다.
그리고, 플랜지부(223)가 규제부재(25)로부터 힘을 받음으로써, 외판 부재(22) 전체가, 도 12에서의 화살표 B4로 도시한 방향으로 이동하고, 또한 규제부재(25)가 화살표 B5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규제부재(25)와 외판 부재(22)가 서로 끌어 당겨져, 외판 부재(22)의 플랜지부(223)의 외측면과, 폐색 부재(23)의 코너벽부(235)의 내측면이 밀착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외판 부재(22)의 제1 절곡부(224)가, 폐색 부재(23)의 피삽입부(238)의 내측으로 보다 들어간다. 이들에 의해, 외판 부재(22)와 폐색 부재(23)가 밀착되고, 외판 부재(22)와 폐색 부재(23)와의 간극이 조밀하게 메워진다.
그리고, 규제부재(25)의 쐐기로서의 작용에 의해, 외판 부재(22)의 플랜지부(223)의 외측면과 폐색 부재(23)의 코너벽부(235)의 내측면이, 압력을 받은 상태에서 접촉된다. 동일하게, 규제부재(25)의 쐐기로서의 작용에 의해, 외판 부재(22)의 폐색면부(231)의 내측면과 폐색 부재(23)의 둘레벽부(233)의 폐색면부(231)측의 면이, 압력을 받은 상태에서 접촉된다. 이에 의해, 폐색 부재(23)가 외판 부재(22)의 측면부(222)사이에서 강고하게 고정된다. 이와 같이 하여, 규제부재(25)는 폐색 부재(23)가 이동단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폐색 부재(23)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규제부재(25)의 폭 치수(W1)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내벽부(240)와 둘레벽부(233) 사이의 폭 치수(W2) 보다 약간 크다. 그 때문에, 규제부재(25)가 제1 내벽부(240)와 둘레벽부(233) 사이에 삽입되면, 제1 내벽부(240)와 둘레벽부(233)를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한다. 이 경우, 제1 내벽부(240)에는, 제1 내벽부(240)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설치된 제2 내벽부(241)가 접속되어 있으므로, 둘레벽부(233)에 대해서 제1 내벽부(240)의 변형은 작다. 둘레벽부(233)는 규제부재(25)로부터 받은 힘을, 접속부(243)를 통하여 맞댐부(239)로 전달한다.
즉, 규제부재(25)는 맞댐부(239)와 제1 내벽부(240) 사이에 삽입되고, 둘레벽부(233)를, 제1 내벽부(240)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밀어 넓힌다. 그리고, 규제부재(25)는 둘레벽부(233) 및 접속부(243)를 통하여 맞댐부(239)를 제1 내벽부(240)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밀어 넓히고, 이에 의해, 맞댐부(239)를, 외판 부재(22)의 측면부(222)의 내측면에 밀착시킨다. 그 결과, 폐색 부재(23)가, 외판 부재(22)의 측면부(222) 사이에서 더욱 강고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도 8 및 도 12의 상태가 될 때까지 규제부재(25)가 압입되면, 규제부재(25)의 한쪽의 후크부(254)는 제1 내벽부(240)의 구멍부(244)에 걸려 고정된다. 그 때문에, 규제부재(25)는 폐색 부재(23)로부터 빠지는 방향 즉 폐색 부재(23)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에 의해, 규제부재(25)는 외판 부재(22)와 폐색 부재(23) 사이에 고정된다. 또한, 규제부재(25)의 분리는 다음과 같이 하여 실시한다. 작업자는 공구 등으로 탄성변형부(253)를 누르고, 탄성변형부(253)를, 제1 내벽부(240)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시킨다. 이에 의해, 후크부(254)가 제1 내벽부(240)의 구멍부(244)로부터 빠진다. 그러면, 후크부(254)와 구멍부(244)가 걸림 고정됨에 의한, 규제부재(25)의 이동의 규제가 해제되고, 규제부재(25)의 분리가 가능해진다.
작업자는 규제부재(25)를 부착한 후,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재(21)를, 외판 부재(22)와 폐색 부재(23)와의 조립체에 부착한다. 그 때, 작업자는 내부재(21)의 외주부분을, 외판 부재(22)의 플랜지부(223) 및 폐색 부재(23)의 후벽부(234)에 맞닿게 한다. 이에 의해, 내부에 공간을 갖는 내부재(21)와 외판 부재(22)와 폐색 부재(23)의 조립체가 구성된다. 그리고, 작업자는 내부재(21)와 외판 부재(22)와 폐색 부재(23)의 조립체의 내부에, 단열재로서 예를 들어 현장 발포형의 발포 우레탄을 충전한다. 이에 의해, 단열성을 갖는 문(20)이 완성된다. 또한, 문(20)의 단열재는 발포 우레탄으로 바꾸어 또는 발포 우레탄과 함께, 예를 들어 진공 단열 패널을 설치해도 좋다. 이 경우, 예를 들어 내부재(21)가 부착되기 전에, 진공단열패널이 외판 부재(22)의 내측에 배치된다.
이에 따르면, 문(20)의 조립에서 작업자는 폐색 부재(23)를, 외판 부재(22)의 표면부(221)에 맞닿지 않는 상태에서 2개의 측면부(222) 사이에 삽입한 후에, 표면부(221)에 대하여 직각 방향이고 표면부(221)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폐색 부재(23)를, 큰 회전 동작을 수반하지 않고 외판 부재(22)에 부착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폐색 부재(23)의 회전동작에 수반하여 외판 부재(22)가 절곡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작업자는 용이하게 폐색 부재(23)를 외판 부재(22)에 부착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이에 따르면, 외판 부재(22)에 요철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그 결과 폐색 부재(23)와 외판 부재(22)의 간극이 발생하기 어려워지고, 외관상의 미관도 좋아진다.
폐색 부재(23)의 외판 부재(22)에 부착된 상태인 이동단에서, 폐색 부재(23)의 피삽입부(238)에는 외판 부재(22)의 제1 절곡부(224)가 삽입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폐색 부재(23)의 이동이 규제되고, 폐색 부재(23)가 외판 부재(22)로부터 준비없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폐색 부재(23)와 외판 부재(23)의 간극이 두드러지지 않게 되고, 외관상의 미관도 향상된다.
또한, 작업자는 폐색 부재(23)를 외판 부재(22)의 삽입부(226)에 삽입할 때, 폐색 부재(23)의 접촉부(237)가 외판 부재(22)의 제2 절곡부(225)에 닿는 것을 기준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작업자는 폐색 부재(23)와 외판 부재(22)의 부착 상태를 일일이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작업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작업성이 향상된다.
문(20)은 폐색 부재(23)가 외판 부재(22)에 부착된 상태 즉 폐색 부재(23)가 이동단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폐색 부재(23)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수단으로서 규제부재(25)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폐색 부재(23)가 외판 부재(22)로부터 준비없이 분리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규제부재(25)는 폐색 부재(23)의 맞댐부(239)와 제1 내벽부(240) 사이에 삽입되고, 맞댐부(239)를 제1 내벽부(24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눌러 넓혀 맞댐부(239)를 외판 부재(22)의 측면부(222)에 밀착시킨다. 이에 따르면, 폐쇄부재(23)가 외판 부재(22)의 측면부(222) 사이에서 강고하게 고정된다.
규제부재(25)는 플랜지부(223)의 내측면에 의해, 외판 부재(22)와 폐색 부재(23) 사이의 소정의 위치에 안내된다. 이에 따르면, 규제부재(25)의 삽입위치가 폐색 부재(23)나 외판 부재(22)의 내측에 가려져 작업자가 보기 어려운 경우에도, 작업자는 용이하게 규제부재(25)를 부착할 수 있다. 그 결과, 작업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폐색 부재(23)는 외판 부재(22)에 대한 삽입을 안내하는 안내부로서, 둘레벽부(233)의 단부(236)를 갖고 있다. 이에 따르면, 폐색 부재(23)의 삽입위치가 작업자가 보기 어려운 경우에도, 작업자는 용이하게 폐색 부재(23)를 외판 부재(22)에 부착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외판 부재(22)의 제1 절곡부(224)에 폐색 부재(23)의 피삽입부(238)가 들어가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작업면(100)의 하방으로 들어가 직접 육안으로 확인하지 않아도, 용이하게 폐색 부재(23)를 외판 부재(22)에 부착할 수 있다. 그 결과,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폐색 부재(23)와 외판 부재(22)가 적절하지 않은 위치에서 접촉됨으로써 발생하는, 폐색 부재(23)나 외판 부재(22)의 외관면의 손상이나 도장 박리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도 23에 도시한 종래 구성에서는 캡 부재(92)의 피걸어맞춤부(921)를 밀어 넣고, 피걸어맞춤부(921)에 문 정면재(91)의 걸어맞춤부(913)를 삽입할 때, 피걸어맞춤부(921)와 걸어맞춤부(913)의 위치관계가 보기 어렵다. 그 때문에, 걸어맞춤부(913)의 단부가 캡 부재(92)에 닿아 캡 부재(92)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폐색 부재(23)의 삽입위치가 작업자가 보기 어려운 경우에도, 작업자는 용이하게 폐색 부재(23)를 외판 부재(22)에 부착시킬 수 있으므로, 걸어맞춤부(913)의 단부가, 캡 부재(92)에 닿아 캡부재(92)가 손상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단부(236)가 플랜지부(223)의 내측면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폐색 부재(23)의 표면측 부분은 외판 부재(22)에 맞닿아 있지 않다. 이에 따르면, 폐색 부재(23)를 외판 부재(22)의 측면부(222) 사이에 삽입할 때, 폐색 부재(23)의 표면측 부분이 외판 부재(22)에 닿아 그 삽입이 방해받는 일이 없다. 따라서, 작업자는 또한 용이하게 폐색 부재(23)를 외판 부재(22)에 부착할 수 있다. 그 결과, 작업성이 더욱 향상된다.
규제부재(25)는 플랜지부(223)와 폐색 부재(23)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플랜지부(223)를 억압하는 힘이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외판 부재(22)는 플랜지부(223)가 규제부재(25)로부터 힘을 받음으로써 폐색 부재(23)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르면, 규제부재(25)의 삽입에 의해, 폐색 부재(23)와 외판 부재(22)를 더욱 강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폐색 부재(23)와 외판 부재(22)의 간극을 감소시켜, 외관상의 미관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규제부재(25)는 폐색 부재(23)에 삽입됨에 따라서 플랜지부(223)를 억압하는 힘이 증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작업자는 규제부재(25)를, 외판 부재(22)와 폐색 부재(23) 사이에 밀어 넣기 쉬워져 작업성이 향상된다.
폐색 부재(23)는 플랜지부(223)를 덮는 덮개부로서 코너벽부(235)를 갖고 있다. 이에 따르면, 작업자는 코너벽부(235)의 내측에 플랜지부(223)를 들어가도록 하여, 폐색 부재(23)를 외판 부재(22)에 부착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작업자는 폐색 부재(23)를 외판 부재(22)에 삽입할 때의 위치를 결정하는 기준으로서, 코너벽부(235)를 사용할 수 있다. 그 결과, 폐색 부재(23)의 부착이 용이해지고, 작업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한, 코너벽부(235)는 플랜지부(223) 및 측면부(222)의 일부를 덮고 있다. 그 때문에, 문(20)의 모퉁이부에서 외판 부재(22)와 폐색 부재(23)의 간극이 가려져 외관상의 미관이 향상된다.
(제2 실시형태)
다음에, 제2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16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서는 냉동실문(20) 및 냉장실문(30)의 구체적 구성이,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의 냉동실문(20) 및 냉장실문(30)과 다르다. 이 경우, 본 실시형태에서도 냉동실문(20) 및 냉장실문(30)은 구체적인 치수나 세부를 제외하고, 기본적인 구성은 동일하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도 냉동실문(20) 및 냉장실문(30)에 대해서, 냉동실문(20)을 대표로 설명한다.
제2 실시형태에서 문(20)은 제1 실시형태의 규제부재(25)로 바꾸어, 규제수단으로서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한 복수의 걸어맞춤부(411~414)와, 도 18에 도시한 복수의 피걸어맞춤부(421~424)를 갖고 있다. 이 경우, 문(20)은 규제수단으로서의 규제부재(25)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
구체적으로는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걸어맞춤부(411~414)는 예를 들어 외판 부재(22)의 모퉁이부 주변에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각 걸어맞춤부(411~414)에 대해서, 걸어맞춤부(411)를 제1 걸어맞춤부(411)라고 부르고, 걸어맞춤부(412)를 제2 걸어맞춤부(412)라고 부르며, 걸어맞춤부(413)를 제3 걸어맞춤부(413)라고 부르고, 걸어맞춤부(414)를 제4 걸어맞춤부(414)라고 부른다.
제1 걸어맞춤부(411)는 외판 부재(22)의 플랜지부(223)와 일체이고 플랜지부(223)의 길이방향의 양단부로부터 폐색 부재(23)측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걸어맞춤부(411)의 돌출량은 예를 들어 폐색 부재(23)의 폐색면부(231)의 두께와 동일한 정도 또는 폐색면부(231)의 두께 이하로 설정되어 있다. 제1 걸어맞춤부(411)는 폐색 부재(23)가 외판 부재(22)에 부착된 상태에서, 폐색 부재(23)의 코너벽부(235)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2 걸어맞춤부(412)는 외판부재(22)의 측면부(222)의 길이방향의 단부를 절개한 노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걸어맞춤부(412)는 측면부(222)의 폭방향의 중앙에 대하여 플랜지부(223)측 근처에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측면부(222)의 폭방향이라는 것은 표면부(221)에 대하여 직각방향, 즉 문(20)의 두께 방향을 의미한다. 제2 걸어맞춤부(412)는 폐색부재(23)가 외판부재(22)에 부착된 상태에서, 도 18에 도시한 폐색부재(23)의 코너벽부(235)의 내측, 이 경우, 코너벽부(235)와 둘레벽부(233)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제3 걸어맞춤부(413)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판 부재(22)의 제1 절곡부(224)의 일부를 관통하여 직사각형 구멍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3 걸어맞춤부(413)는 폐색 부재(23)가 외판 부재(22)에 부착된 상태에서, 도 18에 도시한 폐색 부재(23)의 둘레벽부(233)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4 걸어맞춤부(414)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판 부재(22)의 제2 절곡부(225)의 일부를 관통하여 직사각형의 구멍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4 걸어맞춤부(414)는 폐색 부재(23)가 외판 부재(22)에 부착된 상태에서, 도 18에 도시한 폐색 부재(23)의 둘레벽부(233)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각 피걸어맞춤부(421~414)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색 부재(23)의 길이방향의 양단부에서, 폐색 부재(23)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각 피걸어맞춤부(421~414)는 외판 부재(22)에 설치된 각 걸어맞춤부(411~414)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각 피걸어맞춤부(421~424)에 대해서 피걸어맞춤부(421)를 제1 피걸어맞춤부(421)라고 부르고, 피걸어맞춤부(422)를 제2 피걸어맞춤부(422)라고 부르며, 피걸어맞춤부(423)를 제3 피걸어맞춤부(423)라고 부르고, 피걸어맞춤부(424)를 제4 피걸어맞춤부(424)라고 부른다. 또한, 이 경우, 제1 피걸어맞춤부(421)는 제1 걸어맞춤부(411)에 대응하고, 제2 피걸어맞춤부(422)는 제2 걸어맞춤부(412)에 대응하며, 제3 피걸어맞춤부(423)는 제3 걸어맞춤부(413)에 대응하고, 제4 걸어맞춤부(424)는 제4 걸어맞춤부(414)에 대응하고 있다.
제1 피걸어맞춤부(421)는 폐색 부재(23)의 폐색면부(231)측의 일부를 움푹 들어가게 한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제1 피걸어맞춤부(421)는 폐색 부재(23)의 폭 방향 즉 문(20)의 두께 방향에서 내부재(21)측의 단부 주변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피걸어맞춤부(421)는 코너벽부(235)의 내측에 위치하고, 코너벽부(235)를 따른 길고 가는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폐색 부재(23)가 외판 부재(22)에 부착되었을 때, 도 17에 도시한 외판 부재(22)의 제1 걸어맞춤부(411)는 도 18에 도시한 폐색 부재(23)의 제1 피걸어맞춤부(421)에 삽입된다.
제2 피걸어맞춤부(422)는 폐색 부재(23)의 길이방향의 단부주변에 설치되고, 폐색 부재(23)의 폐색면부(231)측으로부터 외판 부재(22)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 피걸어맞춤부(422)는 폐색 부재(23)의 폭방향 즉 문(20)의 두께 방향의 중앙부 부근, 또는 중앙부에 대하여 약간 내부재(21)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제2 피걸어맞춤부(422)는 폐색 부재(23)의 코너벽부(235)와 제1 내벽부(240)를 접속하는 리브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피걸어맞춤부(422)는 상기 리브형상이 아니고, 코너벽부(235)와 제1 내벽부(240)를 접속하고 있지 않은 소위 갈고리 형상이어도 좋다. 폐색 부재(23)가 외판 부재(22)에 부착되었을 때, 도 18에 도시한 폐색 부재(23)의 제2 피걸어맞춤부(422)는 도 17에 도시한 외판 부재(22)의 제2 걸어맞춤부(412)에 삽입된다.
제3 피걸어맞춤부(423)는 폐색 부재(23)의 폐색면부(231)측으로부터 외판 부재(22)측을 향하여 돌출된 소위 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3 피걸어맞춤부(423)는 폐색 부재(23)의 폭 방향 즉 문(20)의 두께 방향에서 외판 부재(22)측의 단부 주변에 설치되어 있다. 폐색 부재(23)가 외판 부재(22)에 부착되었을 때, 도 18에 도시한 폐색 부재(23)의 제3 피걸어맞춤부(423)는 도 17에 도시한 외판 부재(22)의 제3 걸어맞춤부(413)에 삽입된다.
제4 피걸어맞춤부(424)는 폐색 부재(23)의 길이방향의 단부 주변에 설치되고, 폐색 부재(23)의 폐색면부(231)측으로부터 외판 부재(22)측을 향하여 돌출된 소위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4 피걸어맞춤부(424)는 폐색 부재(23)의 폭방향 즉 문(20)의 두께 방향의 중앙부 부근, 또는 중앙부에 대해서 약간 외판 부재(22)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제4 피걸어맞춤부(424)는 폐색 부재(23)의 둘레벽부(233)의 외측 즉 폐색 부재(23)의 접촉부(237)에 설치되어 있다. 폐색 부재(23)가 외판 부재(22)에 부착되었을 때, 도 18에 도시한 폐색 부재(23)의 제4 피걸어맞춤부(424)는 도 17에 도시한 외판 부재(22)의 제4 걸어맞춤부(414)에 삽입된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문(20)의 조립수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문(20)도, 상기 제1 실시형태의 문(20)과 동일하게, 평탄한 작업면(100)상에서 조립된다. 작업자는 폐색 부재(23)를, 도 19 및 도 21의 화살표 C1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면(100)에 대해서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외판 부재(22)의 대향하는 측면부(222) 사이 즉 삽입부(226)에 삽입한다. 폐색 부재(23)의 폐색면부(231)가, 외판 부재(22)의 플랜지부(223)의 선단부에 있는 제1 걸어맞춤부(441)에 닿으면, 폐색 부재(23)의 화살표 C1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다음에, 작업자는 폐색 부재(23)를, 도 19 및 도 21의 화살표 C1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서, 도 20 및 도 22의 화살표 C2로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면(100)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이동단에서 폐색 부재(23)의 피삽입부(238)에, 외판 부재(22)의 제1 절곡부(224)가 삽입된다. 이 경우, 외판 부재(22)의 제1 걸어맞춤부(411)는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색 부재(23)의 제1 피걸어맞춤부(421)에 삽입되어 걸어맞춘다. 또한, 폐색 부재(23)의 제2 피걸어맞춤부(422)는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판 부재(22)의 제2 걸어맞춤부(412)에 삽입되어 걸어맞춘다. 또한, 폐색 부재(23)의 제3 피걸어맞춤부(423)는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판 부재(22)의 제3 걸어맞춤부(413)에 삽입되어 걸어 맞춘다. 그리고, 폐색 부재(23)의 제4 피걸어맞춤부(424)는 상세하게는 도시하지 않지만, 외판 부재(22)의 제4 걸어맞춤부(414)에 삽입되어 걸어 맞춘다.
이와 같이, 폐색 부재(23)가 외판 부재(22)에 대한 이동방향의 이동단에 위치한 경우에, 외판 부재(22)의 각 걸어맞춤부(411~414)와, 폐색 부재(23)의 각 피걸어맞춤부(421~424)가 걸어 맞추어진다. 그리고, 이에 의해, 폐색 부재(23)와 외판 부재(22)의 상대적인 이동이 규제된다. 또한, 이 경우, 외판 부재(22)의 각 걸어맞춤부(411~414)와, 폐색 부재(23)의 각 피걸어맞춤부(421~424)가 걸어 맞추어짐으로써, 예를 들어 「찰칵」과 같은 소리와, 그 소리에 수반하는 진동이 발생한다. 이에 의해, 작업자는 폐색 부재(23)가 외판 부재(22)의 소정 위치에 부착된 것을 소리나 촉감에 의해 지각할 수 있다.
그 후, 작업자는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내부재(21)를, 외판 부재(22)와 폐색 부재(23)의 조립체에 부착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내부재(21)와 외판 부재(22)와 폐색 부재(23)의 조립체의 내부에, 단열재로서 예를 들어 현장 발포형의 발포 우레탄을 충전한다. 이에 의해, 단열성을 갖는 문(20)이 완성된다.
이에 따르면,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폐색 부재(23)를, 큰 회전동작을 수반하지 않고 외판 부재(22)에 부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이에 따르면, 문(20)은 외판 부재(22) 및 폐색 부재(23)와는 별체로 구성된 규제수단으로서의 규제부재(25)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 외판 부재(22)와 폐색 부재(23)의 상대적인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수단은, 외판 부재(22) 및 폐색 부재(23)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실시형태에 비하여 규제부재(25)만큼,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고, 그 결과 비용을 삭감하거나 경량화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재(25)를 부착하는 수고를 덜을 수 있으므로, 작업효율의 한층 더한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예를 들어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 작업자가 규제부재(25)의 부착을 잊으면, 외판 부재(22)와 폐쇄부재(23)의 상대적인 이동이 규제되지 않게 된다. 이 상태에서, 문(20)의 내부에 발포 우레탄이 충전되어 팽창하면, 그 팽창력에 의해 외판 부재(22)가 부상하는 등 하여 외관품질에 영향이 생기기 쉬워진다. 한편, 제2 실시형태에서는 규제부재(25)를 사용하지 않고, 폐색 부재(23)를 외판 부재(22)에 부착함으로써, 필연적으로 폐색 부재(23)와 외판 부재(22)의 상대적인 이동의 규제가 실시된다. 따라서, 규제부재(25)의 부착을 잊는 것에 기인한 인위적인 작업오류를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문(20)의 한층 더한 품질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1 걸어맞춤부(411)는 플랜지부(223)의 길이방향의 단부로부터 폐색 부재(23)측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피걸어맞춤부(421)는 제1 걸어맞춤부(411)를 삽입 가능한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제1 걸어맞춤부(411)와 제1 피걸어맞춤부(421)가 면에서 걸림 고정된다. 그 때문에, 외판 부재(22)와 폐색 부재(23)의 상대적인 이동을 보다 강고하게 규제할 수 있다.
또한, 제2 걸어맞춤부(412)는 외판 부재(22)의 측면부(222)의 길이방향의 단부를 절개하여 노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 피걸어맞춤부(422)는 제2 걸어맞춤부(412)에 삽입 가능한 돌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작업자가 측면부(222)의 단부를 따라서 폐색 부재(23)를 이동시킴으로써, 제2 피걸어맞춤부(422)를 제2 걸어맞춤부(412)에 삽입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작업이 용이해지고 작업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한, 제3 걸어맞춤부(413) 및 제4 걸어맞춤부(414)는 외판 부재(22)에 형성된 구멍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3 피걸어맞춤부(423) 및 제4 피걸어맞춤부(424)는 각각 제3 걸어맞춤부(413) 및 제4 걸어맞춤부(414)에 삽입되는 돌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제3 피걸어맞춤부(423) 및 제4 피걸어맞춤부(424)가, 각각 구멍 형상의 제3 걸어맞춤부(413) 및 제4 걸어맞춤부(414)에 삽입되어 걸림 고정됨으로써, 외판 부재(22)와 밀폐부재(23)의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규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 문(20, 30)은 편 개방식으로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양문 개방식이나 서랍식으로 해도 좋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 폐쇄부재(23)는 문(20)의 상하측면을 구성하고 있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문(20)의 좌우측면을 구성하는 것이어도 좋다.
내부재(21)는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다.
규제수단은 규제부재(25)와 같이, 외판 부재(22) 및 폐색 부재(23)와 별체로 구성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외판 부재(22) 또는 폐색 부재(23)와 일체로 구성된 것이어도 좋다. 예를 들어 규제수단은, 외판 부재(22)의 일부와 폐색 부재(23)의 일부를 착탈 가능하게 구성한, 소위 스냅핏 등이어도 좋다.
냉장고(10)는 냉장실과 냉동실을 구비한 소위 2도어식의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냉장실, 냉동실 이외에 제빙실, 칠드실, 야채실 등을 구비한 것이어도 좋다.
문이 부착되는 상자체는 상측이 개구된 것이어도 좋다.
판 부재는 문에 대하여 상자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문은 단열성을 요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캐비넷이나 금고 등 단열성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것이어도 좋다.
폐색 부재는 판 부재의 양단부의 보강용으로서 사용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제2 실시형태에서 규제수단으로서의 걸어맞춤부 및 피걸어맞춤부를, 제1 절곡부(224) 및 폐색 부재(23)의 길이방향의 중앙부분에 설치해도 좋다. 이에 따르면, 문(20)의 내부에 충전된 발포 우레탄의 팽창력에 의해 외판 부재(22)의 중앙부분이 들뜨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실시형태에서 외판 부재(22)의 각 걸어맞춤부(411~414)의 형상과, 폐색 부재(23)의 각 피걸어맞춤부(421~424)의 형상을, 서로 바꾸어도 좋다. 즉, 예를 들어 외판 부재(22)의 제1 걸어맞춤부(411)를 구멍 형상으로 하고, 폐색 부재(23)의 제1 피걸어맞춤부(421)를, 제1 걸어맞춤부(411)(구멍형상)에 삽입되는 돌출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동일하게, 외판 부재(22)의 제2 걸어맞춤부(412), 제3 걸어맞춤부(413), 및 제4 걸어맞춤부(414)를 돌출 형상으로 한다. 그리고, 폐색 부재(23)의 제2 피걸어맞춤부(422), 제3 피걸어맞춤부(423), 및 제4 피걸어맞춤부(424)를, 각각 돌출 형상이 되는 제2 걸어맞춤부(412), 제3 걸어맞춤부(413), 및 제4 걸어맞춤부(414)가 삽입되는 구멍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작업자는 폐색 부재를, 큰 회전동작을 실시하지 않고 판 부재에 부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폐색 부재의 회전동작에 따라서 판 부재가 절곡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작업성이 향상되고, 또한 조립시에 발생하는 변형을 극히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복수의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이들 실시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는 없다. 이들 신규의 실시형태는 그 밖의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생략, 치환, 변경을 실시할 수 있다. 이들 실시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되고, 또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한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6)

  1. 상자체의 개구를 개폐하는 문으로서,
    상기 문의 표면을 구성하는 표면부와, 상기 표면부의 주위의 변부 중 대향하는 2개의 변부를 상기 표면부에 대해서 직각 방향으로 구부리도록 하여 형성되고 상기 문의 측면을 구성하는 2개의 측면부를 일체로 갖는 판 부재, 및
    상기 2개의 측면부의 단부에서 상기 2개의 측면부 사이에 설치된 삽입부에 삽입되어 상기 2개의 측면부 사이를 폐색하는 폐색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판 부재 또는 상기 폐색 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은, 상기 폐색 부재가 상기 삽입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폐색 부재를 상기 문의 두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이동부를 갖는 상자체의 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폐색 부재는 상기 표면부에 맞닿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2개의 측면부 사이에 삽입된 후에 상기 표면부에 대해서 직각 방향이고 상기 표면부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그 이동단에서 상기 표면부에 맞닿음 가능한, 상자체의 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 부재는 상기 표면부의 주위의 변부 중 상기 측면부가 존재하지 않는 변부를 상기 표면부에 대해서 직각 방향으로 구부리도록 하여 형성된 제1 절곡부를 갖고,
    상기 폐색 부재는 상기 폐색 부재의 이동단에서 상기 제1 절곡부가 삽입되는 피삽입부를 갖는, 상자체의 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폐색 부재가 상기 판 부재에 대한 이동단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폐색 부재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상자체의 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수단으로서, 상기 판 부재 및 상기 폐색 부재와는 별체로 구성된 규제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상자체의 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폐색 부재는 상기 측면부에 맞닿음(堂接) 가능한 맞댐부와, 상기 맞댐부에 대하여 상기 표면부와 반대측에 설치된 내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규제부재는 상기 맞댐부와 상기 내벽부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맞댐부를 상기 내벽부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밀어 넓혀 상기 맞댐부를 상기 측면부에 맞닿게 하는, 상자체의 문.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판 부재는 상기 측면부로부터 상기 표면부와 평행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규제부재를 소정의 위치에 안내하는 플랜지부를 갖는, 상자체의 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폐색 부재는 상기 판 부재에 대한 삽입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갖고,
    상기 안내부가 상기 플랜지부에 접촉된 상태에서는 상기 폐색 부재의 상기 표면측 부분이 상기 판 부재에 맞닿지 않는, 상자체의 문.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재는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폐색 부재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플랜지부를 억압하는 힘이 발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판 부재는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규제부재로부터 힘을 받음으로써 상기 폐색 부재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자체의 문.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폐색 부재는 상기 규제부재에 대하여 힘을 작용시키는 작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규제부재는 상기 작용부로부터의 힘을 받는 받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작용부 또는 상기 받이부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이 경사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규제부재의 삽입에 따라서 상기 플랜지부를 억압하는 힘이 증대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상자체의 문.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폐색 부재는 상기 플랜지부를 덮는 덮개부를 구비하고 있는, 상자체의 문.
  12.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수단으로서,
    상기 판 부재에 일체로 설치된 걸어맞춤부, 및
    상기 폐색 부재에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폐색 부재가 상기 판 부재에 대한 이동단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걸어맞춤부와 걸어 맞추어 상기 폐색 부재의 이동을 규제하는 피걸어맞춤부를 갖는, 상자체의 문.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판 부재는,
    상기 측면부로부터 상기 표면부와 평행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플랜지부, 및
    상기 플랜지부와 일체이고 상기 플랜지부의 길이방향의 단부로부터 상기 폐색 부재측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된 상기 걸어맞춤부로서의 제1 걸어맞춤부를 갖고,
    상기 폐색 부재는,
    상기 폐색 부재의 일부를 움푹 들어가게 한 홈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폐색 부재가 상기 판 부재에 대한 이동단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제1 걸어맞춤부가 삽입되는 상기 피걸어맞춤부로서의 제1 피걸어맞춤부를 갖는, 상자체의 문.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판 부재는,
    상기 측면부의 길이방향의 단부를 절개하여 노치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걸어맞춤부로서의 제2 걸어맞춤부를 구비하고,
    상기 폐색 부재는,
    상기 판 부재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폐색 부재가 상기 판 부재에 대한 이동단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제2 걸어맞춤부에 삽입되는 상기 피걸어맞춤부로서의 제2 피걸어맞춤부를 갖는, 상자체의 문.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판 부재는,
    상기 표면부의 주위의 변부 중 상기 측면부가 존재하지 않는 변부를 상기 표면부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구부리도록 하여 형성된 제1 절곡부, 및
    상기 제1 절곡부를 관통하여 구멍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걸어맞춤부로서의 제3 걸어맞춤부를 구비하고,
    상기 폐색 부재는,
    상기 판 부재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폐색 부재가 상기 판 부재에 대한 이동단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제3 걸어맞춤부에 삽입되는 상기 피걸어맞춤부로서의 제3 피걸어맞춤부를 갖는, 상자체의 문.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판 부재는,
    상기 측면부의 단부를 상기 측면부에 대해서 직각방향으로 구부리도록 하여 형성된 제2 절곡부, 및
    상기 제2 절곡부를 관통하여 구멍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걸어맞춤부로서의 제4 걸어맞춤부를 갖고,
    상기 폐색 부재는,
    상기 판 부재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폐색 부재가 상기 판 부재에 대한 이동단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제4 걸어맞춤부에 삽입되는 상기 피걸어맞춤부로서의 제4 피걸어맞춤부를 갖는, 상자체의 문.
KR1020167030719A 2014-04-22 2015-04-14 상자체의 문 KR1019007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88229 2014-04-22
JPJP-P-2014-088229 2014-04-22
JPJP-P-2015-027624 2015-02-16
JP2015027624A JP6444759B2 (ja) 2014-04-22 2015-02-16 箱体の扉
PCT/JP2015/061462 WO2015163193A1 (ja) 2014-04-22 2015-04-14 箱体の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0912A true KR20160140912A (ko) 2016-12-07
KR101900702B1 KR101900702B1 (ko) 2018-09-20

Family

ID=54332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0719A KR101900702B1 (ko) 2014-04-22 2015-04-14 상자체의 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6444759B2 (ko)
KR (1) KR101900702B1 (ko)
CN (1) CN106415169B (ko)
MY (1) MY189046A (ko)
TW (1) TWI546515B (ko)
WO (1) WO20151631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8569B1 (ko) * 2015-01-05 2019-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도어 어셈블리
CN105371574B (zh) * 2015-12-01 2018-07-13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冰箱门体
JP7482348B2 (ja) * 2020-02-03 2024-05-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扉および冷蔵庫
JP7405719B2 (ja) * 2020-09-14 2023-12-26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冷蔵庫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1946A (ja) 1994-10-25 1996-05-17 Hitachi Ltd 冷蔵庫の扉
JP2001263928A (ja) 2000-03-17 2001-09-26 Toshiba Corp 断熱箱体の扉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8681U (ja) * 1982-09-03 1984-03-12 株式会社東芝 冷蔵庫の断熱扉
JPS63110889U (ko) * 1987-01-09 1988-07-16
JPH0264884U (ko) * 1988-10-31 1990-05-16
JPH0712865Y2 (ja) * 1988-11-30 1995-03-29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冷蔵庫の扉
JPH05126464A (ja) * 1991-11-05 1993-05-21 Sanyo Electric Co Ltd 冷蔵庫の扉
MX2008000864A (es) 2005-07-20 2008-03-18 Lg Electronics Inc Puerta de refrigeracion y metodo para la fabricacion de la misma.
KR20080001249A (ko) * 2006-06-29 2008-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용 도어
KR100894477B1 (ko) * 2007-11-28 2009-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도어
CN101957118B (zh) * 2010-09-30 2012-03-07 合肥美的荣事达电冰箱有限公司 带有端盖及盖板的冰箱
CN201983580U (zh) * 2011-04-02 2011-09-21 陈越鹏 一种冰箱或冷柜的门体结构
CN103615857B (zh) * 2013-09-12 2015-09-02 海信容声(广东)冰箱有限公司 一种带减震垫的冰箱门端盖结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1946A (ja) 1994-10-25 1996-05-17 Hitachi Ltd 冷蔵庫の扉
JP2001263928A (ja) 2000-03-17 2001-09-26 Toshiba Corp 断熱箱体の扉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0702B1 (ko) 2018-09-20
CN106415169B (zh) 2019-05-03
TW201544776A (zh) 2015-12-01
MY189046A (en) 2022-01-21
CN106415169A (zh) 2017-02-15
WO2015163193A1 (ja) 2015-10-29
JP6444759B2 (ja) 2018-12-26
JP2015215152A (ja) 2015-12-03
TWI546515B (zh) 2016-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0702B1 (ko) 상자체의 문
US8366221B2 (en) Door assembly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EP3564605B1 (en) Refrigerator
JP5535035B2 (ja) ヒンジ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超低温フリーザ
EP3617623A1 (en) Refrigerator
CN104344662B (zh) 冰箱门以及具备该冰箱门的冰箱
US10627152B2 (en) Domestic refrigeration appliance having an external housing of an icemaker and a frame at the front
KR20160058705A (ko) 수납 케이스
CN110177984B (zh) 冰箱
KR20100008104A (ko) 냉장고용 야채박스 및 그를 구비한 냉장고
EP3779336B1 (en) Refrigerator
EP2975346A1 (en) Refrigerator
JP7247284B2 (ja) 冷蔵庫
JP7183448B2 (ja) 冷蔵庫
KR20120006909U (ko) 탑차 적재함용 도어 프레임
JP5603556B2 (ja) 断熱箱体
JP5817618B2 (ja) 冷蔵庫の扉及びこの扉を備えた冷蔵庫
JP4895746B2 (ja) 断熱パネルの接続構造
JP7142224B2 (ja) 冷蔵庫
EP3819571B1 (en) Refrigerator appliance
JP6189621B2 (ja) 冷却貯蔵庫
JP2018119696A (ja) センターシールの取付構造
JP4809947B2 (ja) パネルの取付け構造
JP2010014327A (ja) 冷蔵庫
JP6530271B2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