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0336A - 청소구 - Google Patents

청소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0336A
KR20160140336A KR1020157028831A KR20157028831A KR20160140336A KR 20160140336 A KR20160140336 A KR 20160140336A KR 1020157028831 A KR1020157028831 A KR 1020157028831A KR 20157028831 A KR20157028831 A KR 20157028831A KR 20160140336 A KR20160140336 A KR 201601403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body
pair
main body
side wall
wall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8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미 미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토무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토무즈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토무즈
Publication of KR20160140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03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0Domestic clean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L25/005Domestic clean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sing adhesive or tacky surfaces to remove dirt, e.g. lint rem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028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adhesive surface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청소구에서는, 코어체의 일단부는, 상기 일단부를 기점으로 하여 코어체가 본체부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축부를 구비하고, 코어체의 타단부는, 본체부의 타단 지지부에 걸림 이탈 가능하게 걸림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코어체의 상기 움직임은, 타단부가 타단 지지부에 걸림 지지된 상태에서는 규제되어 있고, 상기 걸림 지지가 해제된 상태에서는 허용되도록 구성되고, 본체부는, 코어체에 대하여 직경 방향으로 이격하여 대향 배치되는 천장벽부와, 상기 천장벽부로부터 코어체측으로 연장 설치되며, 코어체의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벽부를 구비하고, 본체부의 일단 지지부는, 천장벽부 중 한 쌍의 측벽부간에 개재되는 부위와 한 쌍의 측벽부를 포함하고, 천장벽부와 한 쌍의 측벽부로 둘러싸인 영역 내에서 한 쌍의 측벽부가 상기 축부를 축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청소구{CLEANING TOOL}
본 발명은 적어도 한쪽 면이 점착면으로 되어 있는 테이프형 기재를, 중심선 주위로 통 형상으로 권회하여 이루어지는 점착 테이프 롤을 설치하여 사용하기 위한 청소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청소구로서, 점착 롤러의 통 구멍 양단측에 각각 삽입 관통되는 한 쌍의 축받이 부재와, 상기 축받이 부재를 유지하는 한 쌍의 유지부 및 상기 유지부를 지지하는 본체를 갖는 홀더를 구비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상기 축받이 부재는, 점착 롤러의 통 구멍에 삽입 관통되는 통 형상의 끼워 맞춤부와, 끼워 맞춤부의 개구되는 일단측을 폐색하는 축받이판과, 상기 축받이판에 상기 통 구멍을 따르도록 관통하는 축받이 구멍을 갖고 이루어진다. 상기 한 쌍의 유지 부재는, 본체로부터 연장 설치되는 한 쌍의 막대 형상의 다리부와, 상기 다리부의 선단측에 설치되어 상기 축받이판에 대향하여 배치 가능한 원반 형상부와, 상기 원반 형상부에 볼록하게 설치되어 상기 축받이 구멍에 끼워 맞춤 가능한 회전축을 갖고 이루어진다. 이러한 청소구에 점착 롤러를 설치할 때, 점착 롤러의 양단부에 각 축받이 부재를 삽입 관통시키고, 홀더의 한 쌍의 유지부를 서로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개방하고, 각 유지부에 각 축받이 부재를 대향 배치시켜 회전축을 축받이 구멍에 끼워 맞춘다. 한편, 청소구로부터 점착 롤러를 제거할 때는, 홀더의 한 쌍의 유지부를 서로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개방하고, 회전축과 축받이 부재의 요철 끼워 맞춤을 해제하고, 점착 롤러의 양단부로부터 각 축받이 부재를 해제하는 것에 의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4-57602호 공보
그러나, 상기 종래의 청소구에서는, 상기와 같이 점착 롤러의 착탈 시에, 점착 롤러의 양단부에 각 축받이 부재를 끼움/이탈시켜, 홀더의 한 쌍의 유지부를 서로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개방하고, 한 쌍의 유지부의 회전축을 대응하는 축받이 부재의 축받이 구멍에 끼움/이탈시킨다는 일련의 행위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점착 롤러의 착탈이 번잡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청소구에서는, 본체로부터 연장 설치되는 막대 형상의 다리부 선단측에 설치되는 원반 형상부의 회전축에 의해 축받이 구멍을 축지지하기 때문에, 회전축의 축지지 구조의 강성이 약하여 다리부가 파손되기 쉬운 등 강도면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점착 테이프 롤을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고, 또한, 강도를 향상시켜 파손되기 어려운 청소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구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적어도 한쪽 면이 점착면으로 되어 있는 테이프형 기재를, 중심선 주위로 통 형상으로 권회하여 이루어지는 점착 테이프 롤의 통 구멍에 삽입 관통되는 막대 형상의 코어체와, 상기 코어체의 축방향 일단부와 타단부를 각각 지지하기 위한 일단 지지부 및 타단 지지부를 갖는 본체부를 구비하는 청소구이며, 코어체의 일단부는, 상기 일단부를 기점으로 하여 코어체가 본체부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축부를 구비하고, 코어체의 타단부는, 본체부의 타단 지지부에 걸림 이탈 가능하게 걸림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코어체의 상기 움직임은, 타단부가 타단 지지부에 걸림 지지된 상태에서는 규제되어 있고, 상기 걸림 지지가 해제된 상태에서는 허용되도록 구성되고, 본체부는, 코어체에 대하여 직경 방향으로 이격하여 대향 배치되는 천장벽부와, 상기 천장벽부로부터 코어체측으로 연장 설치되며, 코어체의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벽부를 구비하고, 본체부의 일단 지지부는, 천장벽부 중 한 쌍의 측벽부간에 개재되는 부위와 한 쌍의 측벽부를 포함하고, 천장벽부와 한 쌍의 측벽부로 둘러싸인 영역 내에서 한 쌍의 측벽부가 상기 축부를 축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청소구에 의하면, 코어체의 타단부와 본체부의 타단 지지부의 걸림 지지가 해제된 상태에서는, 코어체의 타단부가 자유단으로 되어, 일단부를 기점으로 하여 코어체가 본체부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청소구에 점착 테이프 롤을 착탈할 때, 코어체의 타단부와 본체부의 타단 지지부의 걸림 지지를 해제하고, 일단부를 기점으로 하여 코어체를 본체부에 대하여 원하는 위치까지 이동시켜, 코어체의 타단부와 본체부의 타단 지지부를 충분히 이격시킴으로써, 코어체에 대하여 타단부측으로부터 일단부측을 향하여 또는 그 역방향으로 점착 테이프 롤을 그 통 구멍을 통하여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청소구에 의하면, 일단 지지부는, 천장벽부와 한 쌍의 측벽부로 둘러싸인 영역 내에서 한 쌍의 측벽부간에서 축부를 축지지하기 때문에, 축부의 축지지 구조의 강성을 높이고 강도를 향상시켜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청소구에서는, 코어체의 타단부가 본체부의 타단 지지부에 걸림 지지된 상태에서는, 일단부를 기점으로 한 코어체의 상기 움직임은 규제되기 때문에, 점착 테이프 롤을 사용할 때는, 점착 테이프 롤이 설치된 코어체의 타단부를 본체부의 타단 지지부에 걸림 지지하고, 일단부를 기점으로 한 코어체의 움직임을 규제함으로써, 코어체에 설치된 점착 테이프 롤을 적절하게 회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청소구에서는, 상기 본체부의 일단 지지부는, 상기 한 쌍의 벽부를 대향 방향을 따라서 연결하는 보강 벽부를 갖고, 상기 보강 벽부는 천장벽에 대하여 기립 상태를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청소구에 의하면, 일단 지지부는, 한 쌍의 측벽부와 보강 벽부로 둘러싸인 영역 내에서 한 쌍의 측벽부간에서 축부를 축지지하기 때문에, 축부의 축지지 구조의 강성을 높이고 강도를 향상시켜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청소구에 의하면, 코어체의 타단부와 본체부의 타단 지지부의 걸림 지지가 해제된 상태에서는, 코어체의 타단부가 자유단으로 되어, 일단부를 기점으로 하여 코어체가 본체부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청소구에 점착 테이프 롤을 착탈할 때, 코어체의 타단부와 본체부의 타단 지지부의 걸림 지지를 해제하고, 일단부를 기점으로 하여 코어체를 본체부에 대하여 원하는 위치까지 이동시켜, 코어체의 타단부와 본체부의 타단 지지부를 충분히 이격시킴으로써, 코어체에 대하여 타단부측으로부터 일단부측을 향하여 또는 그 역방향으로 점착 테이프 롤을 그 통 구멍을 통하여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음과 함께, 일단 지지부는, 천장벽부와 한 쌍의 측벽부로 둘러싸인 영역 내에서 한 쌍의 측벽부간에서 축부를 축지지하기 때문에, 축부의 축지지 구조의 강성을 높이고 강도를 향상시켜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청소구에 있어서의 코어체를 지지하는 본체부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상기 코어체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a는 상기 본체부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b는 상기 본체부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4a는 도 3b의 A-A선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b는 도 3b의 B-B선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c는 도 3b의 C-C선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a는 상기 코어체를 지지하는 본체부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5b는 도 5a의 D-D선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a는 상기 코어체를 지지하는 본체부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6b는 도 6a의 E-E선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상기 본체부가 지지하는 코어체를, 일단부를 기점으로 하여 움직인 상태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8a는 상기 본체부와 케이스를 끼워 맞춰 코어체를 케이스 내에 수용한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8b는 도 8a의 F-F선 단면도를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청소구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1. 전체 구성], [2. 코어체], [2-1. 코어체의 일단부], [2-2. 코어체의 타단부(피걸림 지지부)], [3. 본체부], [3-1. 축받이부], [3-2. 걸림 지지부], [4. 변환부], [5. 케이스], [6. 청소구의 개략 동작], [6-1. 걸림 지지 동작], [6-2. 걸림 지지 해제 동작], [7. 상기 실시 형태의 구성 및 작용(정리)], [8. 실시 형태의 변형예]의 순으로 설명한다.
[1. 전체 구성에 대하여]
청소구는 적어도 한쪽 면이 점착면으로 되어 있는 테이프형(띠 형상) 기재를, 중심선 주위로 통 형상으로 권회하여 이루어지는 청소용 점착 테이프 롤을 설치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또한, 점착 테이프 롤은, 중심선을 따라서 축 구멍이 형성되도록, 테이프형 기재를 점착면인 한쪽 면을 외측으로 하여 중심선 주위로 권회하여 이루어진다. 축 구멍의 단면 형상은, 예를 들면 원형이나 다각형으로 구성 가능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점착 테이프 롤은, 피청소면(예를 들면 바닥면, 의복 표면, 휴대 전화기의 화면) 상을 굴러(즉 회전 이동시켜) 피청소면을 청소하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청소구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점착 테이프 롤(도시 생략)의 축 구멍(통 구멍)에 삽입 관통되는 코어체(1)와, 상기 코어체(1)를 지지하는 본체부(2)를 구비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1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 방향, 전후 방향을 정하고, 상기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상하 방향이라 정한다.
[2. 코어체에 대하여]
코어체(1)는 점착 테이프 롤의 축 구멍에 삽입 관통 가능한 형상을 이룬다. 구체적으로는, 코어체(1)는 막대 형상을 이루고, 예를 들면 통 형상이나 기둥 형상(단면 형상이 예를 들면 원형이나 다각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코어체(1)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긴 기둥 형상의 코어체 본체부(1a)를 갖고 구성된다. 코어체 본체부(1a)는, 전후 방향으로 이격하고 좌우 방향으로 긴 한 쌍의 직사각형 판상의 본체 벽부(1b)와, 한 쌍의 본체 벽부(1b)의 상하 방향 도중 위치(예를 들면 상하 방향 중앙부)에 좌우 방향을 따라서 설치되는 직사각형 판상의 좌우 벽부(1c)와, 한 쌍의 좌우 벽부(1b)의 좌우 방향 도중 위치(예를 들면 좌우 방향 중앙부)에 상하 방향을 따라서 설치되는 반원 판상의 보강 벽부(1d)를 갖는다.
이러한 코어체 본체부(1a)는, 좌우 방향(길이 방향, 또는, 점착 테이프 롤의 축 구멍에 삽입 관통되는 삽입 관통 방향) 일단측(우단측)에 설치되는 일단부(10)와, 좌우 방향 타단측(좌단측)에 설치되는 타단부(11)를 갖는다(도 2 참조).
[2-1. 코어체의 일단부에 대하여]
일단부(10)는 본체부(2)의 후술하는 일단 지지부(20)에 지지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는, 일단부(10)는, 상기 일단부(10)를 기점으로 하여 코어체(1)가 본체부(2)에 대하여 가동(可動)하도록, 본체부(2)의 일단 지지부(20)에 축지지되는 부분이다.
일단부(1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실시 형태의 일단부(1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어체(1)의 직경 방향 외향인 상하 방향(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삽입 관통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판상의 기초부(12a)와, 상기 기초부(12a)의 상단부(연장 설치 방향 단부)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서로 외향으로 볼록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축부(12b)(원기둥체)를 갖는 연결부(12)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다. 이러한 연결부(12) 중 기초부(12a) 상단부와 한 쌍의 축부(12b)는, 코어체 본체부(1a)의 직경 방향 외향으로 돌출되어 있어, 코어체 본체부(1a)를 축방향(도 1의 좌우 방향)을 따라서 투영한 투영폭 외로 나오도록 되어 있다. 혹은, 연결부(12)(기초부(12a) 상단부와 한 쌍의 축부(12b))는, 코어체 본체부(1a)에 삽입한 점착 테이프 롤의 축 구멍을 축방향(도 1의 좌우 방향)을 따라서 투영한 투영폭 외로 나오도록 되어 있다. 즉, 연결부(12)(일단부(10))의 기초부(12a)는, 코어체(1)의 타단부(11)측으로부터 일단부(10)를 향하여 점착 테이프 롤(축 구멍)을 코어체(1)(코어체 본체부(1a))에 삽입할 때, 점착 테이프 롤의 삽입 관통 방향의 움직임을 일단부(10)측에서 규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결부(12)는, 코어체 본체부(1a)를 좌우 방향을 따라서 투영한 투영폭 외로 나오도록 구성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연결부(12)는 코어체 본체부(1a)를 좌우 방향을 따라서 투영한 투영폭 내에 들어가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2-2. 코어체의 타단부(피걸림 지지부)에 대하여]
타단부(11)는 본체부(2)의 후술하는 타단 지지부(21)에 지지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는, 타단부(11)는 본체부(2)의 타단 지지부(21)에 걸림 이탈 가능하게 걸림 지지되는 부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타단부(11) 및 본체부(2)의 타단 지지부(21)의 한쪽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다른 쪽에 상기 오목부에 끼워 맞춰지는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부(11)는, 오목부와 볼록부가 끼워 맞춰진 상태에서는, 일단부(10)를 기점으로 한 코어체(1)의 움직임이 규제되도록 본체부(2)의 타단 지지부(21)에 걸림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타단부(11)는, 상기 끼워 맞춤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일단부(10)가 기점으로 되어 코어체(1)가 본체부(2)에 대하여 가동하도록, 본체부(2)의 타단 지지부(21)로부터 개방된 자유단으로 되는 구성이다.
타단부(11)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실시 형태의 타단부(11)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어체 본체부(1a)로부터 좌방으로 연장 설치되는 기초부(13a)를 갖는 피걸림 지지부(13)를 구비한다. 피걸림 지지부(13)는, 원판 형상의 기초부(13a)의 좌측면(13d)(구체적으로는, 좌측면(13d)의 대략 중앙부)에 있어서 오목 형상을 이루는 오목부(13b)와, 오목부(13b)의 전후 방향 양단측으로부터 상하 방향을 따라서 기초부(13a) 좌측면(13d)의 상단 테두리부까지 병행하여 볼록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레일부(13c)를 갖고 있다. 또한, 기초부(13a)의 상단부 중, 한 쌍의 레일부(13c)간의 부분(13e)은 끝이 가늘어지는 테이퍼 형상을 이룬다. 구체적으로는, 기초부(13a)의 좌측면(13d)은, 한 쌍의 레일부(13c) 사이에 있어서, 상단 테두리부보다 중앙측 근방의 위치로부터 상단 테두리부에 걸쳐 우측면측(우측 상방)을 향하여 경사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피걸림 지지부(13)는, 코어체 본체부(1a)를 축방향을 따라서 투영한 투영폭 내에 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혹은, 피걸림 지지부(13)는, 코어체 본체부(1a)에 삽입한 점착 테이프 롤의 축 구멍을 축방향을 따라서 투영한 투영폭 내에 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즉, 피걸림 지지부(13)(타단부(11))는, 코어체(1)의 타단부(11)측으로부터 일단부(10)를 향하여 점착 테이프 롤(축 구멍)을 코어체(1)에 삽입할 때, 코어체(1)의 타단부(11)측에 있어서 점착 테이프 롤의 삽입 관통 방향의 움직임을 방해하는 일이 없어, 점착 테이프 롤(축 구멍)을 코어체(1)의 타단부(11)에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다.
[3. 본체부에 대하여]
본체부(2)는 코어체(1)의 일단부(10)와 타단부(11)를 지지 가능하게 구성된다. 본체부(2)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실시 형태의 본체부(2)는, 좌우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판상의 벽부인 본체 지지부(2a)(천장벽부)와 상기 본체 지지부(2a)의 하면 주연부로부터 연장 설치되는 측벽부(2b, 2c)를 갖는다(도 3a, 도 3b 참조). 바꾸어 말하면, 본체부(2)는, 코어체(1)에 대하여 직경 방향으로 이격하여 대향 배치되는 본체 지지부(2a)(천장벽부)와, 상기 본체 지지부(2a)로부터 코어체(1)를 향하여 연장 설치되며,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전후 측벽부(2c)와, 상기 한 쌍의 전후 측벽부(2c)를 대향 방향을 따라서 연결하는 한 쌍의 좌우 측벽부(2b)(한 쌍의 보강 벽부)를 구비한다.
본체 지지부(2a)는, 코어체 본체부(1a)의 축방향(길이 방향)의 길이에 대응하는 좌우 방향의 길이와, 코어체 본체부(1a)의 직경 방향의 길이에 대응하는 전후 방향의 길이를 갖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본체 지지부(2a)의 좌우 방향의 길이는 코어체 본체부(1a)의 길이 방향의 길이보다 길고, 본체 지지부(2a)의 전후 방향의 길이는 코어체 본체부(1a)의 직경 방향의 길이보다 길다.
측벽부(2b, 2c)는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을 이룬다. 구체적으로는, 측벽부(2b, 2c)는 본체 지지부(2a) 하면의 좌우 방향 양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설치되는 한 쌍의 좌우 측벽부(2b)와, 본체 지지부(2a) 하면의 전후 방향 양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설치되는 한 쌍의 전후 측벽부(2c)를 구비하고, 한 쌍의 전후 측벽부(2c)의 좌우 방향 단부끼리를 전후 방향을 따라서 한 쌍의 좌우 측벽부(2b)가 연결하여 이루어진다. 한 쌍의 좌우 측벽부(2b)는 각각, 본체 지지부(2a)의 좌우 방향 단부에 있어서 전후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설치되며, 상하 방향이면서 전후 방향을 따르는 직사각형 판상을 이루고, 본체 지지부(2a) 하면에 대하여 기립 상태를 이룬다. 한 쌍의 전후 측벽부(2c)는 각각, 본체 지지부(2a)의 전후 방향 단부에 있어서 좌우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설치되며, 상하 방향이면서 좌우 방향을 따르는 직사각형 판상을 이루고, 본체 지지부(2a) 하면에 대하여 기립 상태를 이룬다. 또한, 상기 기립 상태란, 예를 들면 일면(예를 들면 본체 지지부(2a) 하면)과 타면(예를 들면, 한 쌍의 좌우 측벽부(2b)의 직사각형 판상 표면)이 교차하는 배치 상태이며, 바람직하게는 일면과 타면이 예각 내지 둔각으로 교차하는 상태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일면과 타면이 직교 내지 대략 직교하는 상태이다. 이러한 측벽부(2b, 2c) 중, 한 쌍의 전후 측벽부(2c)에는 코어체(1)의 일단부(10)(구체적으로는, 연결부(12)의 한 쌍의 축부(12b))를 지지(축받이 또는 축지지) 가능한 축받이부(22)가 설치되고, 좌측 벽부(2b)에는, 코어체(1)의 타단부(11)(구체적으로는, 피걸림 지지부(13)의 오목부(13b))에 걸림 지지 가능한 걸림 지지부(23)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본체부(2)는,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어체(1)의 좌우 방향의 양단부인 일단부(10)와 타단부(11)를 각각 지지하기 위한 일단 지지부(20)와 타단 지지부(21)를 구비한다. 일단 지지부(20)는 본체부(2)의 일단측(우단측)의 부위이다. 구체적으로는, 일단 지지부(20)는, 본체부(2) 중, 한 쌍의 전후 측벽부(2c)의 일단측(우단측)부와, 본체 지지부(2a) 중 상기 한 쌍의 전후 측벽부(2c)의 일단측부간에 개재되는 일단측 벽 부위(본체 지지부(2a)의 일단측(우단측))부와, 우측 벽부(2b)와, 상기 한 쌍의 전후 측벽부(2c)에 설치되는 축받이부(22)를 포함하는 부위이다. 또한, 타단 지지부(21)는, 본체부(2)의 타단측(좌단측)의 부위이다. 구체적으로는, 타단 지지부(21)는, 본체부(2) 중, 한 쌍의 전후 측벽부(2c)의 타단측(좌단측)부와, 본체 지지부(2a) 중 상기 한 쌍의 전후 측벽부(2c)의 타단측부간에 개재되는 타단측 벽 부위(본체 지지부(2a)의 타단측(좌단측)부)와, 좌측 벽부(2b)와, 상기 좌측 벽부(2b)에 설치되는 걸림 지지부(23)를 포함하는 부위이다.
[3-1. 축받이부에 대하여]
축받이부(22)는 연결부(12)의 한 쌍의 축부(12b)가 끼움/이탈 가능하게 구성되고, 예를 들면 오목부 또는 관통 구멍을 갖고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축받이부(22)는, 도 4a,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각 전후 측벽부(2c)의 좌우 방향 일단측(우단측)의 내면(대향면)으로부터 볼록하게 설치되어 전후 방향으로 소정 두께를 갖는 기초부(22a)와, 상기 기초부(22a)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22b)와, 상기 기초부(22a)에 오목부(22b)의 깊이보다 얕게 오목하게 형성되며, 기초부(22a) 하단측으로부터 오목부(22b)까지 형성되는 축부 가이드부(22c)를 갖고 이루어진다. 즉, 본체부(2)의 일단 지지부(20)에 코어체(1)의 일단부(10)를 설치할 때는, 코어체(1)(연결부(12))의 한 쌍의 축부(12b)는, 본체부(2)(축받이부(22))의 축부 가이드부(22c)에 의해 기초부(22a) 하단측으로부터 오목부(22b)까지 원활하게 안내되어, 오목부(22b)에 끼워 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한 쌍의 축부(12b)가 오목부(22b)에 끼워 맞춰진 상태에서는, 코어체(1)의 일단부(10)는, 상기 일단부(10)(한 쌍의 축부(12b))를 기점으로 하여 코어체(1)가 본체부(2)에 대하여 가동하도록, 본체부(2)의 일단 지지부(20)에 연결되어 지지(축지지)되어 있다(도 5a, 도 5b, 도 6a, 도 6b, 도 7 참조). 즉, 한 쌍의 축부(12b)는 코어체(1)의 가동축으로 되어 있고, 상기 가동축을 기점으로 하여 코어체(1)가 본체부(2)에 대하여 가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축지지 구조에 있어서는, 일단 지지부(20)는, 본체 지지부(2a)(천장벽부)와 한 쌍의 전후 측벽부(2c)로 둘러싸인 영역 내에서 한 쌍의 전후 측벽부(2c)간에서 한 쌍의 축부(12b)를 축지지하기 때문에, 한 쌍의 축부(12b)의 축지지 구조의 강성을 높이고 강도를 향상시켜 파손을 억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게다가, 일단 지지부(20)는, 한 쌍의 전후 측벽부(2c)와 우측 벽부(2b)로 둘러싸인 영역 내에서 한 쌍의 전후 측벽부(2c)간에서 한 쌍의 축부(12b)를 축지지하기 때문에, 한 쌍의 축부(12b)의 축지지 구조의 강성을 한층 더 높이고 강도를 향상시켜 파손을 억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3-2. 걸림 지지부에 대하여]
걸림 지지부(23)는 피걸림 지지부(13)(오목부(13b))에 걸림 이탈 가능하게 걸림 지지되도록(구체적으로는 끼움/이탈 가능하게) 구성된다. 걸림 지지부(23)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실시 형태의 걸림 지지부(23)는, 도 4a,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벽부(2b)의 하단측의 내면(우측면)으로부터 볼록하게 설치되는 기초부(23a)를 갖는다. 기초부(23a)는 가요성을 갖고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기초부(23a)는, 좌측 벽부(2b)의 상기 내면으로부터 우방향이면서 하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판상의 상부(23b)와, 상기 상부(23b)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설치되는 하부(23c)로 구성되고, 좌방향으로 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하부(23c)의 우측면(23d)은 하단측일수록 좌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즉 좌측 하방을 향하여 경사지는 경사면)이다. 하부(23c)의 우측면(23d)의 경사 각도는, 상하 방향을 따르는 연직면에 대하여 좌방으로 경사지는 각도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상하 방향을 따르는 연직면에 대하여 0.1도 내지 3도, 바람직하게는 1도 정도, 좌측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하부(23c)의 우측면(23d)은, 피걸림 지지부(13)의 오목부(13b)에 끼워 맞춤 가능한 볼록부(23e)와, 피걸림 지지부(13)의 한 쌍의 레일부(13c)에 끼워 맞춤 가능한 한 쌍의 홈부(23f)를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하부(23c)의 우측면(23d)은, 도 4a,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방의 중앙부에 있어서 볼록 형상을 이루는 볼록부(23e)와, 볼록부(23e)의 전후 방향 양단측으로부터 상하 방향을 따라서 우측면(23d) 상방까지 병행하여 오목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홈부(23f)를 갖고 있다. 볼록부(23e)의 상면은,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하방을 향하여 경사를 이루는 경사면(231e)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볼록부(23e)의 전후 방향의 폭은,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홈부(23f)(또는 한 쌍의 레일부(13c))의 이격폭에 대하여 대략 동등한 또는 작게 되어 있다. 또한, 하부(23c)의 전후 방향 및 하방향의 단부(23g)는 끝이 가늘어지는 테이퍼 형상을 이룬다. 구체적으로는, 하부(23c)의 우측면(23d)은, 전후 방향 및 하방향의 테두리부보다 중앙부 근방의 위치로부터 각 테두리부에 걸쳐 좌측면측을 향하여 경사를 이루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본체부(2)의 타단 지지부(21)(걸림 지지부(23))에 볼록부(23e)가 형성되고, 코어체(1)의 타단부(11)(피걸림 지지부(13))에 오목부(13b)가 형성되어, 볼록부(23e)와 오목부(13b)가 끼워 맞춤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본체부(2)의 타단 지지부(21)(걸림 지지부(23))에 오목부(구멍부도 포함함)가 형성되고, 코어체(1)의 타단부(11)(피걸림 지지부(13))에 볼록부가 형성되어, 오목부와 볼록부가 끼워 맞춤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4. 변환부에 대하여]
여기서, 코어체(1) 및 본체부(2) 중 적어도 한쪽은, 걸림 지지부(23)(볼록부(23e))와 피걸림 지지부(13)(오목부(13b))가 걸림 지지(구체적으로는 끼워 맞춤)된 상태(요철 끼워 맞춤)를 해제하기 위해서, 볼록부(23e)와 오목부(13b)의 요철 끼워 맞춤에 의한 코어체(1)의 움직임(가동)의 규제에 저항하여 코어체(1)가 가동 방향(일단부(10)를 기점으로 한 주위 방향)으로 움직여졌을 때, 상기 움직임(가동)에 가해지는 힘의 적어도 일부를 오목부(13b)와 볼록부(23e) 중 적어도 한쪽을 다른 쪽에 대하여 이격시키도록 이동시켜 요철 끼워 맞춤을 해제하는 힘으로 변환하는 변환부를 구비한다. 예를 들면, 상기 타단부(11)와 타단 지지부(21)는, 끼워 맞춤 해제하기 위해서 코어체(1)가 움직여졌을 때 서로 접촉하는 접촉면(좌측면(13d) 및 우측면(23d), 경사면(231e) 및 오목부(13b) 내면)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변환부는 상기 접촉면 중 적어도 한쪽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변환부가 구비하는 접촉면은, 코어체(1)를 움직이는 힘을 오목부(13b)와 볼록부(23e)를 이격시키도록 이동시키는 힘으로 변환하는, 삽입 관통 방향(좌우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면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환부는, 본체부(2)의 일단 지지부(20)와 타단 지지부(21) 중 적어도 한쪽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고, 변환부가 구비하는 상기 일단 지지부(20)와 타단 지지부(21) 중 적어도 한쪽은, 요철 끼워 맞춤을 해제하기 위해서 코어체(1)의 상기 움직임의 규제에 저항하여 코어체(1)가 움직여졌을 때 오목부(13b)와 볼록부(23e)가 이격하도록 휘는 가요성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환부는 타단 지지부(21)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타단 지지부(21)는 상기 가요성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본체부(2)가 변환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변환부는, 걸림 지지부(23)의 좌측 하방으로 경사지는 우측면(23d)과, 걸림 지지부(23)의 볼록부(23e) 상면인 경사면(231e)과, 좌방향으로 휘는 가요성을 갖는 타단 지지부(21)(기초부(23a))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변환부는, 코어체(1) 및 본체부(2)가 협동하는 축받이 구조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축받이 구조는, 코어체(1)의 일단부(10)의 축부(12b)를 본체부(2)의 일단 지지부(20)의 축받이부(22)가 축받이하는 구조이다. 이러한 축받이 구조에서는, 본체부(2)의 일단 지지부(20)의 축받이부(22)는, 상하 방향(코어체(1)의 축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오목부(13b)와 볼록부(23e)가 끼워 맞춰지는 끼워 맞춤 위치보다 상방(끼워 맞춤 상태의 코어체(1)의 가동 방향과 역방향, 또는, 본체 지지부(2a)측 근방)의 위치(축받이 위치)에서, 코어체(1)의 일단부(10)의 축부(12b)를 축받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6b 참조). 본 실시 형태의 축받이 위치는, 구체적으로는, 코어체 본체부(1a)의 축방향(좌우 방향)을 따르는 투영폭 외이며, 본체 지지부(2a) 근방의 위치이다.
또한, 변환부는 상기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일단 지지부(20)가 가요성(우방향으로 휘는 가요성)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변환부는, 피걸림 지지부(13)(기초부(13a))의 좌측면(13d)(걸림 지지부(23)의 우측면(23d)에 접촉하는 접촉면) 및 오목부(13b) 내면(걸림 지지부(23)의 볼록부(23e) 상면과 접촉하는 접촉면)의 한쪽 또는 양쪽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좌측면(13d)은, 좌우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면(예를 들면, 하방일수록 우측면(23d)으로부터 우방향으로 이격하는 우측 하방으로 경사진 면)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오목부(13b) 내면 중 걸림 지지부(23)의 볼록부(23e) 상면과 접촉하는 면은, 좌우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면(예를 들면, 하방일수록 우측면(23d)으로부터 우방향으로 이격하는 우측 하방으로 경사진 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밖에, 변환부는, 코어체(1)의 타단부(11) 및 본체부(2)의 타단 지지부(21)의 한쪽에 형성되는 볼록부(구체적으로는, 다른 쪽의 오목부에 끼워 맞춰지는 볼록부)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볼록부는, 요철 끼워 맞춤을 해제하기 위해서 코어체(1)의 규제에 저항하여 코어체(1)가 움직여졌을 때 볼록부가 오목부에 대하여 이격하도록,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형성면으로부터의 볼록부의 돌출량(체적)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볼록부는, 타단부(11) 또는 타단 지지부(21)의 상기 접촉면에 볼록하게 형성되는 돌기부와, 상기 돌기부를 소정압 이상으로 가압하면 (예를 들면, 탄성에 의해) 돌출량이 감소하도록 상기 접촉면에 대하여 돌기부가 들어가고, 상기 가압력을 제거하면 돌기부가 원래의 돌출량으로 되는 위치로 복귀되도록 돌기부를 상기 접촉면에 대하여 진퇴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체(예를 들면, 탄성체)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지지체는, 상기 접촉면에 대하여 매설되어 있다. 또한, 요철 끼워 맞춤을 해제하기 위해서 코어체(1)를 움직일 때는, 상기 돌기부는 오목부 내면에 의해 가압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소정압 이상의 가압이란, 요철 끼워 맞춤을 해제하기 위해서 코어체(1)의 규제에 저항하여 코어체(1)를 가동 방향으로 가동시키는 힘이다.
[5. 케이스에 대하여]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청소구는, 도 8a,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어체(1)를 수용하기 위해서 본체부(2)가 끼움/이탈 가능한 케이스(3)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케이스(3)는 코어체(1)를 수용 가능한 하우징 형상을 이루고, 일면 개구(구체적으로는 상면 개구)를 이루는 본체부(3A)를 갖는다. 케이스(3) 하면의 좌우 방향 양단측에는, 케이스(3)(본체부(3A))를 안정적으로 입각시키기 위해서 볼록 형상의 족부(3a)(구체적으로는, 전후 방향을 따라서 병행하는 한 쌍의 돌조)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3)(본체부(3A))의 상단측 내면의 좌우 방향 양단측에는, 본체부(2)의 끼워 맞춤편(2d)(구체적으로는, 한 쌍의 전후 측벽부(2c)의 하단의 좌우 방향 양단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설치되는 기초부이며, 끼워 맞춤용 오목부를 갖는 기초부(도 1 참조))과 끼워 맞춤 가능한 피끼워 맞춤부(3b)(구체적으로는, 끼워 맞춤편(2d)의 상기 기초부가 끼워 맞춰지는 오목부이며, 끼워 맞춤편(2d)의 상기 끼워 맞춤용 오목부에 끼워 맞춰지는 끼워 맞춤용 볼록부를 갖는 오목부)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2)와 케이스(3)의 상기 끼워 맞춤을 위한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체부(2)와 케이스(3) 중 어느 한쪽에 끼워 맞춤용 볼록부가 형성되고, 다른 쪽에 끼워 맞춤용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청소구는 케이스(3)를 구비하여 구성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소구는 케이스(3)를 구비하지 않고, 코어체(1)와 본체부(2)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6. 청소구의 개략 동작에 대하여]
이상의 구성을 포함하는 청소구에서는, 코어체(1)의 일단부(10)는 본체부(2)의 일단 지지부(20)에 연결되어 지지되고, 일단부(10)를 기점으로 하여 코어체(1)가 본체부(2)에 대하여 가동한다(도 5a, 도 6b, 도 7 참조). 구체적으로는, 일단부(10)의 한 쌍의 축부(12b)는 일단 지지부(20)의 축받이부(22)에 축받이(축지지)되어 있고, 오목부(22b)에 끼워 맞춰진 한 쌍의 축부(12b)의 중심축(전후 방향을 따르는 가동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코어체(1)는, 일단부(10)(한 쌍의 축부(12b))를 기점으로 하여 본체부(2)에 대하여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도 5a, 도 7 참조). 또한, 코어체(1)의 타단부(11)는 본체부(2)의 타단 지지부(21)에 걸림 이탈 가능하게 걸림 지지된다.
[6-1. 걸림 지지 동작에 대하여]
코어체(1)의 타단부(11)를 본체부(2)의 타단 지지부(21)에 걸림 지지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코어체(1)는, 일단부(10)를 기점으로 하여 회동되어, 타단부(11)에 있어서의 피걸림 지지부(13)의 외면측(좌측면(13d))과 타단 지지부(21)의 내면측(우측면(23d))이 접촉하도록, 타단부(11)와 타단 지지부(21)를 서로 접근시킨다. 여기서, 타단부(11)의 피걸림 지지부(13)에 있어서의 오목부(13b)를 타단 지지부(21)의 볼록부(23e)를 향하여, 또는 볼록부(23e)를 오목부(13b)를 향하여 접근시킬 때, 피걸림 지지부(13)(기초부(13a))의 상단부 중, 한 쌍의 레일부(13c)간의 테이퍼 형상 부분(13e)에 볼록부(23e)를 따르게 함과 함께, 한 쌍의 레일부(13c)간에서 상기 한 쌍의 레일부(13c)를 따라서 볼록부(23e)를 오목부(13b)로 안내하도록 이동(또는 미끄럼 이동)시킨다. 상기 테이퍼 형상 부분(13e)에 볼록부(23e)를 따르게 할 때는, 걸림 지지부(23)의 기초부(23a)가 가요성에 의해 좌방향으로 휘기 때문에, 볼록부(23e)는, 테이퍼 형상 부분(13e)에 접촉한 후, 테이퍼 형상 부분(13e)의 경사면에 입각하여 적절히 기초부(23a)를 휘게 하면서 좌측면(13d)을 원활하게 미끄럼 이동한다.
그리고, 타단부(11)(피걸림 지지부(13))의 오목부(13b)가 타단 지지부(21)(걸림 지지부(23))의 볼록부(23e)에 끼워 맞춰짐과 함께, 한 쌍의 레일부(13c)가 한 쌍의 홈부(23f)에 끼워 맞춰짐으로써, 피걸림 지지부(13)의 좌측면(13d)과 걸림 지지부(23)의 우측면(23d)은 접촉한 상태로 된다(도 5a, 도 6b 참조). 이때, 코어체(1)의 타단부(11)는 본체부(2)의 타단 지지부(21)에 걸림 지지된다. 이와 같이, 타단부(11)가 타단 지지부(21)에 걸림 지지된 상태에서는, 타단부(11)는 지지단으로서 타단 지지부(21)에 지지되고, 일단부(10)를 기점으로 한 코어체(1)의 회동은 규제된다(도 5a 참조). 이 상태에서는, 본체 지지부(2a)와 코어체 본체부(1a)가 상하 방향으로 이격하여 대향하여 좌우 방향으로 병행한 상태로 되어 있고(도 5a 참조), 점착 테이프 롤이 코어체(1)(코어체 본체부(1a))에 삽입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점착 테이프 롤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6-2. 걸림 지지 해제 동작에 대하여]
계속해서, 본체부(2)의 타단 지지부(21)에 걸림 지지된 코어체(1)의 타단부(11)의 상기 걸림 지지(요철 끼워 맞춤)를 해제하는 동작(코어체(1)의 회동 규제를 해제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코어체(1)의 가동 방향이며, 타단부(11)의 오목부(13b)를 타단 지지부(21)의 볼록부(23e)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또는 볼록부(23e)를 오목부(13b)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상기 코어체(1)의 회동 규제에 저항하여 코어체(1)를 움직여, 피걸림 지지부(13)와 걸림 지지부(23)를 이격시키도록 서로 이동(미끄럼 이동)시킨다. 이러한 코어체(1)의 움직임에 의해, 볼록부(23e)와 오목부(13b)의 끼워 맞춤 및 한 쌍의 레일부(13c)와 한 쌍의 홈부(23f)의 끼워 맞춤이 해제된다.
여기서, 볼록부(23e)의 우측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231e)은, 오목부(13b) 내면 중 상면으로 미끄럼 이동한다. 이 경사면(231e)은, 상기 경사면(231e)을 따라서 오목부(13b)와 볼록부(23e)를 이격시키도록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는, 경사면(231e)은, 코어체(1)의 상기 움직임(가동)의 규제에 저항하여 코어체(1)가 가동 방향으로 움직여졌을 때, 코어체(1)를 움직이는 힘을 오목부(13b)와 볼록부(23e)를 이격시키도록 이동시키는 힘으로 변환함으로써, 요철 끼워 맞춤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코어체(1)의 상기 움직임(가동)의 규제에 저항하여 코어체(1)가 가동 방향으로 움직여졌을 때, 상기 가동 방향의 힘(코어체(1)의 직경 방향을 따르는 힘)의 일부는, 경사면(231e)에 의해 코어체(1)의 축방향 일단부측 방향으로 변화되어 타단부(11)(오목부(13b))에 작용하게 되고, 그 반작용으로서 타단부(11)(오목부(13b))는 타단 지지부(21)(볼록부(23e))에 코어체(1)의 축방향 외향의 힘을 미친다. 이와 같은 타단부(11)(오목부(13b))와 타단 지지부(21)(볼록부(23e))가 서로 미치는 작용ㆍ반작용의 힘에 의해, 요철 끼워 맞춤이 용이하게 해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걸림 지지부(23)의 좌측 하방으로 경사지는 우측면(23d)은, 피걸림 지지부(13)의 좌측면(13d)으로 미끄럼 이동한다. 이 우측면(23d)은, 상기 우측면(23d)을 따라서 오목부(13b)와 볼록부(23e)를 이격시키도록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우측면(23d)은, 타단부(11)(오목부(13b))와 타단 지지부(21)(볼록부(23e))에 상기 작용ㆍ반작용의 힘을 서로 미치게 함으로써, 코어체(1)의 상기 규제에 저항하여 코어체(1)가 가동 방향으로 움직여졌을 때, 코어체(1)를 가동 방향으로 움직이는 힘의 일부를 오목부(13b)와 볼록부(23e)를 이격시키도록 이동시키는 힘으로 변환함으로써, 요철 끼워 맞춤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걸림 지지부(23)의 기초부(23a)는, 좌방향으로 휘는 가요성을 가지므로, 상기 가요성에 의한 휨에 의해 오목부(13b)와 볼록부(23e)를 이격시키도록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는, 기초부(23a)는 코어체(1)의 상기 규제에 저항하여 코어체(1)가 가동 방향으로 움직여졌을 때, 좌방향(코어체(1)의 축방향 외향)으로 휨으로써, 코어체(1)를 가동 방향으로 움직이는 힘의 일부를 오목부(13b)와 볼록부(23e)를 이격시키도록 이동시키는 힘으로 변환함으로써, 요철 끼워 맞춤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코어체(1)의 일단부(10)의 축부(12b)를 본체부(2)의 일단 지지부(20)의 축받이부(22)가 축받이하는 축받이 구조에서는, 본체부(2)의 일단 지지부(20)의 축받이부(22)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오목부(13b)와 볼록부(23e)가 끼워 맞춰지는 끼워 맞춤 위치보다 상방의 축받이 위치에서, 코어체(1)의 일단부(10)의 축부(12b)를 축받이하므로, 상하 방향에 있어서 끼워 맞춤 위치와 축받이 위치가 대략 동등한 축받이 구조의 경우(예를 들면, 코어체(1)의 축선(좌우 방향)을 따르는 위치나 코어체(1)의 축방향을 따르는 투영폭 내에서, 타단부(11)측에 끼워 맞춤 위치가 있고, 일단부(10)측에 축받이 위치가 있는 축받이 구조의 경우)에 비해, 요철 끼워 맞춤을 해제하기 위해서 코어체(1)의 움직임의 규제에 저항하여 코어체(1)의 일단부(10)를 기점으로 하여 코어체(1)를 회동시킬 때의 타단부(11)의 궤적(구체적으로는, 원호 형상의 회동 궤적)이 보다 우측 근방(구체적으로는 우측 하방 근방)으로 된다. 즉, 상기 축받이 구조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끼워 맞춤 위치보다 축받이 위치를 본체 지지부(2a) 근방에 상방으로 위치 어긋나게 함으로써, 타단부(11)의 회동 궤적을 우측 근방으로 어긋나게 하여, 오목부(13b)와 볼록부(23e)를 이격시키도록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축받이 구조는, 코어체(1)의 상기 규제에 저항하여 코어체(1)가 가동 방향으로 움직여졌을 때, 타단부(11)의 회동 궤적을 우측 하방 근방으로 어긋나게 하여, 타단부(11)(오목부(13b))와 타단 지지부(21)(볼록부(23e))에 상기 작용ㆍ반작용의 힘을 서로 미치게 함으로써, 코어체(1)를 가동 방향으로 움직이는 힘의 일부를 오목부(13b)와 볼록부(23e)를 이격시키도록 이동시키는 힘으로 변환함으로써, 요철 끼워 맞춤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타단부(11)의 오목부(13b)와 타단 지지부(21)의 볼록부(23e)의 끼워 맞춤이 해제되면, 코어체(1)의 타단부(11)와 본체부(2)의 타단 지지부(21)의 걸림 지지가 해제된다. 이와 같이 상기 걸림 지지가 해제된 상태에서는, 타단 지지부(21)에 의한 지지가 해제된 타단부(11)는 자유단으로서 타단 지지부(21)로부터 개방되고, 일단부(10)를 기점으로 하여 코어체(1)가 본체부(2)에 대하여 회동한다. 이와 같은 본체부(2)에 대한 코어체(1)의 회동에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부(10)를 기점으로 하여 코어체(1)를 본체부(2)에 대하여 원하는 위치까지 이동시켜, 코어체(1)의 타단부(11)와 본체부(2)의 타단 지지부(21)를 이격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코어체(1)에 점착 테이프 롤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코어체(1)의 타단부(11)로부터 일단부(10)에 점착 테이프 롤을 삽입 관통시키거나, 또는, 코어체(1)에 사용된 점착 테이프 롤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점착 테이프 롤을 코어체(1)의 타단부(11)로부터 제거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청소구를 사용한 후(코어체(1)에 설치한 점착 테이프 롤에 의해 피청소면을 청소한 후), 본체부(2)를 케이스(3)의 상부 덮개로서, 케이스(3)에 끼워 맞춰, 코어체(1)(또는 점착 테이프 롤)를 케이스(3) 내에 수용하여 적절하게 보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체부(2)의 한 쌍의 끼워 맞춤편(2d)을 케이스(3)의 한 쌍의 피끼워 맞춤부(3b)에 끼워 맞춤으로써, 본체부(2)에 의해 케이스(3)의 상면 개구를 폐색한다.
[7. 상기 실시 형태의 구성 및 작용(정리)에 대하여]
이상, 본 실시 형태를 정리하면, 청소구는, 적어도 한쪽 면이 점착면으로 되어 있는 테이프형 기재를, 중심선 주위로 통 형상으로 권회하여 이루어지는 점착 테이프 롤의 통 구멍에 삽입 관통되는 막대 형상의 코어체(1)와, 상기 코어체(1)의 축방향 일단부(10)와 타단부(11)를 각각 지지하기 위한 일단 지지부(20) 및 타단 지지부(21)를 갖는 본체부(2)를 구비하는 청소구이며, 코어체(1)의 일단부(10)는, 상기 일단부(10)를 기점으로 하여 코어체(1)가 본체부(2)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축부(한 쌍의 축부)(12b)를 구비하고, 코어체(1)의 타단부(11)는, 본체부(2)의 타단 지지부(21)에 걸림 이탈 가능하게 걸림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코어체(1)의 상기 움직임은, 타단부(11)가 타단 지지부(21)에 걸림 지지된 상태에서는 규제되어 있고, 상기 걸림 지지가 해제된 상태에서는 허용되도록 구성되고, 본체부(2)는, 코어체(1)에 대하여 직경 방향으로 이격하여 대향 배치되는 천장벽부(본체 지지부)(2a)와, 상기 천장벽부(2a)로부터 코어체(1)측으로 연장 설치되며, 코어체(1)의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벽부(한 쌍의 전후 측벽부)(2c)를 구비하고, 본체부(2)의 일단 지지부(20)는, 천장벽부(2a) 중 한 쌍의 측벽부(2c)간에 개재되는 부위와 한 쌍의 측벽부(2c)를 포함하고, 천장벽부(2a)와 한 쌍의 측벽부(2c)로 둘러싸인 영역 내에서 한 쌍의 측벽부(2c)가 상기 축부(12b)를 축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청소구에 의하면, 코어체(1)의 타단부(11)와 본체부(2)의 타단 지지부(21)의 걸림 지지가 해제된 상태에서는, 코어체(1)의 타단부(11)가 자유단으로 되어, 일단부(10)를 기점으로 하여 코어체(1)가 본체부(2)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청소구에 점착 테이프 롤을 착탈할 때, 코어체(1)의 타단부(11)와 본체부(2)의 타단 지지부(21)의 걸림 지지를 해제하고, 일단부(10)를 기점으로 하여 코어체(1)를 본체부(2)에 대하여 원하는 위치까지 이동시켜, 코어체(1)의 타단부(11)와 본체부(2)의 타단 지지부(21)를 충분히 이격시킴으로써, 코어체(1)에 대하여 타단부(11)측으로부터 일단부(10)측을 향하여 또는 그 역방향으로 점착 테이프 롤을 그 통 구멍을 통하여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청소구에 의하면, 일단 지지부(20)는, 천장벽부(2a)와 한 쌍의 측벽부(2c)로 둘러싸인 영역 내에서 한 쌍의 측벽부(2c)간에서 축부(12b)를 축지지하기 때문에, 축부(12b)의 축지지 구조의 강성을 높이고 강도를 향상시켜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청소구에서는, 코어체(1)의 타단부(11)가 본체부(2)의 타단 지지부(21)에 걸림 지지된 상태에서는, 일단부(10)를 기점으로 한 코어체(1)의 상기 움직임은 규제되기 때문에, 점착 테이프 롤을 사용할 때는, 점착 테이프 롤이 설치된 코어체(1)의 타단부(11)를 본체부(2)의 타단 지지부(21)에 걸림 지지하고, 일단부(10)를 기점으로 한 코어체(1)의 움직임을 규제함으로써, 코어체(1)에 설치된 점착 테이프 롤을 적절하게 회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청소구에서는, 상기 본체부(2)의 일단 지지부(20)는, 상기 한 쌍의 벽부(2c)를 대향 방향을 따라서 연결하는 보강 벽부(한 쌍의 좌우 측벽부)(2b)를 갖고, 상기 보강 벽부(2b)는 천장벽(2a)에 대하여 기립 상태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청소구에 의하면, 일단 지지부(20)는, 한 쌍의 측벽부(2c)와 보강 벽부(2b)로 둘러싸인 영역 내에서 한 쌍의 측벽부(2c)간에서 축부(12b)를 축지지하기 때문에, 축부(12b)의 축지지 구조의 강성을 높이고 강도를 향상시켜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8.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대하여]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청소구는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점착 테이프 롤은, 중심선 상을 따라서 축 구멍이 형성되도록, 테이프형 기재를 점착면인 한쪽 면을 외측으로 하여 중심선의 주위로 권회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점착 테이프 롤은, 중심선 상을 따라서 축 구멍이 형성되도록, 테이프형 기재를 점착면인 한쪽 면을 내측으로 하여 중심선의 주위로 권회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어도 되고, 점착 테이프 롤은, 테이프형 기재의 한쪽 및 다른 쪽의 면이 모두 점착면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코어체(1)의 연결부(12)는, 기초부(12a)와 한 쌍의 축부(12b)로 구성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연결부(12)는, 기초부(12a)와 상기 기초부(12a)의 상단측에 설치되는 하나의 막대 형상의 축부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한 쌍의 전후 측벽부(2c)는, 본체 지지부(2a)의 전후 방향 단부에 있어서 좌우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설치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한 쌍의 전후 측벽부(2c)는, 코어체(1)의 일단부(10)에 대응하는 본체 지지부(2a)의 좌우 방향 일단측(우단측)부에 적어도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예를 들면, 한 쌍의 전후 측벽부(2c)는, 본체 지지부(2a)의 좌우 방향 일단측(우단측)부에만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한 쌍의 전후 측벽부(2c)는, 본체 지지부(2a)의 전후 방향 단부가 아니더라도, 본체 지지부(2a)의 전후 방향 도중 위치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한 쌍의 좌우 측벽부(2b)는, 한 쌍의 전후 측벽부(2c)의 좌우 방향 단부끼리를 전후 방향을 따라서 연결할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한 쌍의 좌우 측벽부(2b)는, 한 쌍의 전후 측벽부(2c)의 좌우 방향 도중 위치끼리를 전후 방향을 따라서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한 쌍의 좌우 측벽부(2b)는, 본체 지지부(2a) 하면으로부터 연장 설치되지 않고, 한 쌍의 전후 측벽부(2c)(좌우 방향 도중 위치끼리 또는 좌우 방향 단부끼리)의 상단부를 제외한 상하 방향 소정 부위끼리(예를 들면, 하단부끼리, 상하 방향 중앙부끼리, 상하 방향 중앙부로부터 하단부까지의 부위끼리)를 대향 방향을 따라서 연결하고, 본체 지지부(2a) 하면에 대하여 기립 상태로 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좌우 측벽부(2b)는, 한 쌍이 아니라, 하나의 벽부만으로 구성되고, 한 쌍의 전후 측벽부(2c)를 대향 방향을 따라서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좌우 측벽부(2b)는, 코어체(1)의 일단부(10)에 대응하여 본체 지지부(2a)의 좌우 방향 일단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전후 측벽(2c)을 전후 방향을 따라서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그 밖에,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본체부(2)는, 한 쌍의 좌우 측벽부(2b)의 좌측 벽부 및 우측 벽부 중 적어도 한쪽을 갖지 않고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한 일단 지지부(20)는,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우측 벽부(2b)를 갖지 않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타단 지지부(21)는, 본체 지지부(2a)의 타단측부와, 좌측 벽부(2b)와, 한 쌍의 전후 측벽부(2c)의 타단측부와, 걸림 지지부(23)를 갖고 구성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타단 지지부(21)는, 본체 지지부(2a)로부터 하방으로 걸림 지지부(23)가 연장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 밖에, 타단 지지부(21)는 좌측 벽부(2b)와, 걸림 지지부(23)를 갖고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타단부(11)와 타단 지지부(21)의 걸림 지지는, 오목부(13b)와 볼록부(23e)의 요철 끼워 맞춤에 의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타단부(11)는 타단 지지부(21)를 걸어 걸림 지지하는 갈고리 형상의 훅부를 갖고, 또는, 타단 지지부(21)는, 타단부(11)를 걸어 걸림 지지하는 갈고리 형상의 훅부를 갖고, 훅부의 걸기에 의해, 타단부(11)와 타단 지지부(21)를 걸림 지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그 밖에, 타단부(11)는 타단 지지부(21)를 향하여 가압되는 가압 수단을 갖고, 또는, 타단 지지부(21)는 타단부(11)를 향하여 가압되는 가압 수단을 갖고, 가압 수단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타단부(11)와 타단 지지부(21)를 걸림 지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체부(2)는, 파지 가능한 손잡이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손잡이는 막대 형상을 이루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손잡이는 본체부(2)에 대하여 상하 방향, 좌우 방향, 전후 방향 중 적어도 어느 일방향으로 돌출되어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1: 코어체
1a: 코어체 본체부
2: 본체부
2a: 본체 지지부
3: 케이스
10: 일단부
11: 타단부
12: 연결부
13: 피걸림 지지부
13b: 오목부
13d: 좌측면
20: 일단 지지부
21: 타단 지지부
22: 축받이부
23: 걸림 지지부
23a: 기초부
23d: 우측면
23e: 볼록부
231e: 경사면

Claims (2)

  1. 적어도 한쪽 면이 점착면으로 되어 있는 테이프형 기재를, 중심선 주위로 통 형상으로 권회하여 이루어지는 점착 테이프 롤의 통 구멍에 삽입 관통되는 막대 형상의 코어체와, 상기 코어체의 축방향 일단부와 타단부를 각각 지지하기 위한 일단 지지부 및 타단 지지부를 갖는 본체부를 구비하는 청소구이며,
    코어체의 일단부는, 상기 일단부를 기점으로 하여 코어체가 본체부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축부를 구비하고,
    코어체의 타단부는, 본체부의 타단 지지부에 걸림 이탈 가능하게 걸림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코어체의 상기 움직임은, 타단부가 타단 지지부에 걸림 지지된 상태에서는 규제되어 있고, 상기 걸림 지지가 해제된 상태에서는 허용되도록 구성되고,
    본체부는, 코어체에 대하여 직경 방향으로 이격하여 대향 배치되는 천장벽부와, 상기 천장벽부로부터 코어체측으로 연장 설치되며, 코어체의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벽부를 구비하고,
    본체부의 일단 지지부는, 천장벽부 중 한 쌍의 측벽부간에 개재되는 부위와 한 쌍의 측벽부를 포함하고, 천장벽부와 한 쌍의 측벽부로 둘러싸인 영역 내에서 한 쌍의 측벽부가 상기 축부를 축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일단 지지부는, 상기 한 쌍의 벽부를 대향 방향을 따라서 연결하는 보강 벽부를 갖고, 상기 보강 벽부는 천장벽에 대하여 기립 상태를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구.
KR1020157028831A 2014-04-04 2014-04-04 청소구 KR201601403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4/060039 WO2015151296A1 (ja) 2014-04-04 2014-04-04 清掃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0336A true KR20160140336A (ko) 2016-12-07

Family

ID=54239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8831A KR20160140336A (ko) 2014-04-04 2014-04-04 청소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952130A4 (ko)
JP (1) JP6180444B2 (ko)
KR (1) KR20160140336A (ko)
CN (1) CN105283112B (ko)
WO (1) WO2015151296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7602A (ja) 2002-07-30 2004-02-26 Matsuura Plast Kk 粘着式クリーナ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81325A (en) * 1966-11-25 1968-05-07 Tackmer Corp Lint collector
JPS5026150U (ko) * 1973-07-07 1975-03-26
JPS5120845U (ko) * 1974-07-31 1976-02-16
US4422201A (en) * 1981-08-06 1983-12-27 Helmac Products Corporation Lint remover
US4979257A (en) * 1989-04-21 1990-12-25 Heneveld William R Lint roller with encasement
CN2446949Y (zh) * 2000-09-26 2001-09-12 盈杰实业股份有限公司 多段式调整角度的清洁工具
HK1088775A2 (en) * 2003-10-27 2006-11-10 Jacob Wilhelmus Erken Multi-purpose cleaning tool
US7213291B2 (en) * 2004-02-20 2007-05-08 Victory Converter Company Limited Cleaning device
JP4176784B2 (ja) * 2006-06-01 2008-11-05 勲 河野 携帯埃取り具
JP5051733B2 (ja) * 2010-06-11 2012-10-17 花王株式会社 清掃具
CN202408779U (zh) * 2012-01-17 2012-09-05 林庆霖 一种具有胶棉头的清洁工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7602A (ja) 2002-07-30 2004-02-26 Matsuura Plast Kk 粘着式クリー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283112B (zh) 2019-01-08
JPWO2015151296A1 (ja) 2017-04-13
EP2952130A1 (en) 2015-12-09
JP6180444B2 (ja) 2017-08-16
CN105283112A (zh) 2016-01-27
EP2952130A4 (en) 2016-03-23
WO2015151296A1 (ja) 2015-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26380A (ko) 청소기 거치대
JP2011052704A (ja) 長尺部材の保持具
KR20160140335A (ko) 청소구
KR20160140336A (ko) 청소구
JP5086911B2 (ja) 棚板取付装置
JP2013039666A (ja) ツールホルダ
JP6335137B2 (ja) レール取付構造
JP2006089033A (ja) 鏡支持プレートの取付け技術
KR20160070765A (ko) 청소구용 케이스, 및 케이스를 구비하는 청소구
JP5707005B1 (ja) キャスタの取付構造および台車
KR20090008886U (ko) 하드디스크 드라이버 트레이
JP2012011108A (ja) 物干しアーム取り付け支柱の昇降装置
JP4877655B2 (ja) 風呂蓋フック
JP3245937U (ja) 額縁
JP3119154U (ja) 清掃用ブラシ構造
JP6033653B2 (ja) 工具ホルダ
JP2005253551A (ja) 額縁用裏板押え具
JP2011218066A (ja) パイプ用フック部材
JP3188024U (ja) お玉の柄とお玉把持柄が分離可能に結合されるお玉
JP3114110U (ja) 小物品を置ける粘着テープ台
JP2015029644A (ja) 棚板固定装置
JP3200409U (ja) スタンドホルダー
JP2005206176A (ja) 食器篭
JP5226258B2 (ja) 陳列台
JP2009109729A (ja) 光ファイバ収納用の段積トレ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