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0092A - 개폐가능한 윈드커버 구조물 - Google Patents

개폐가능한 윈드커버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0092A
KR20160140092A KR1020150076232A KR20150076232A KR20160140092A KR 20160140092 A KR20160140092 A KR 20160140092A KR 1020150076232 A KR1020150076232 A KR 1020150076232A KR 20150076232 A KR20150076232 A KR 20150076232A KR 20160140092 A KR20160140092 A KR 201601400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shutter
frames
shutter blad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6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갑
한상진
백성원
조성목
Original Assignee
한전산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산업개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산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76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0092A/ko
Publication of KR20160140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00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18Preventing escape of dust
    • B65G69/181Preventing escape of dust by means of sealed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08Protective roofs or arch suppor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Methods And Devices For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컨베이어를 포위하는 윈드 커버 구조물을 개시한다. 발명은 컨베이어벨트를 설치하도록 컨베이어의 이송방향의 양쪽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장착프레임; 상기 장착 프레임을 포위하도록 되면서 컨베이어의 이송방향을 따라 개수를 증감하여 결합가능한 복수의 셔터모듈 유닛;을 포함한다. 셔터모듈 유닛은 컨베이어 이송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수직으로 설치된 복수의 수직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부에서 컨베이어 이송방향을 따라 연장 설치된 한 쌍의 수평 프레임; 및 상기 인접한 수직 프레임 사이에서 승강하도록 설치된 셔터블레이드; 를 포함한다. 따라서 컨베이어로의 내부 접근이 용이하면서도 필요에 따라 셔터블레이드의 개폐 정도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셔터 블레이드를 완전히 내려주면 컨베이어벨트 상에서 이송되는 재료의 분진이 외부로 누출되거나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개폐가능한 윈드커버 구조물{OPENABLE WIND COVER STRUCTURE}
본 발명은 윈드 커버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컨베이어 벨트를 포위하면서 일부를 개폐가능하도록 하여 내부 접근이 용이한 윈드 커버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말이 포함된 고형물, 예컨대 석탄이나 철광석, 석회석 등의 재료를 선박에서 하역하거나 작업장까지 일정 거리로 이송하기 위하여 다수의 컨베이어 벨트가 사용된다.
그런데 컨베이어벨트 상으로 이송되는 이송재료를 눈, 비로부터 보호하거나 이송재료의 분진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컨베이어벨트를 포위하도록 윈드 커버(wind cover) 구조물이 설치될 수 있다.
종래의 윈드 커버 구조물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프레임(1)에 연장하여 설치된 컨베이어벨트(2)를 포위하도록 윈드 커버(3)가 설치된다. 윈드 커버(3)는 잠금 클립(4)을 매개로 장착프레임(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윈드 커버 구조물은 반 원통 형상의 구조물로서 중량이 무겁고, 컨베이어벨트(2)를 점검 또는 보수하기 위하여 장착 프레임(1)으로부터 윈드 커버(3)를 분리하여 개방하거나, 폐쇄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또, 중량이 무거운 윈드 커버(3)를 개폐하는 경우 잠금 클립(4)의 위치가 어긋나서, 제대로 폐쇄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따라서, 컨베이어벨트(2)를 관찰하기 위해서는 윈드 커버(3)를 상시 개방하거나 작업자가 장착 프레임(1)의 하부로 진입하여 컨베이어벨트(2)를 점검해야 하는 경우도 있어 불리하다.
나아가서, 윈드 커버(3)를 개방 상태로 유지하면, 컨베이어벨트(2) 상으로 이송되는 재료, 예컨대 석탄, 철광석, 석회석 등의 분진이 비산하여 주변 작업장을 오염시키는 결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통상적으로 출입구를 개폐하는 셔터장치를 사용하여 윈드 커버를 구성하는 데 착안을 하였다.
셔터장치는 다양한 구조 및 방식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예컨데, 한국 특허공개 제10-1988-0007892호(1988.08.29)는 "시이트 셔터를 말아 넣는 승강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안내프레임(6) 사이에 권상 벨트(5)가 부착된 시트셔터(1)가, 상부 프레임(7) 내에 설치된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권상 드럼(10)에 감기거나 풀리면서 승강하여 안내프레임(6) 사이의 공간을 개폐하여, 실내공기의 누출을 차단하거나 소통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 한국 특허공개 제10-2002-0040549호 (2002.05. 30)는 "셔터용 개폐판"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공작기계의 가공실을 개폐하는 셔터판(10)으로서, 프레임(31, 32) 사이에 복수의 합성 수지제 슬랫(12)이 좌우 가이드 레일(41)에 외통(16) 과 내통(16)으로 이루어진 힌지 부재를 매개하여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셔터장치는 단순히 출입구를 차단하거나 공간을 분리하는 기능을 가질 뿐, 내부 공간에 접근할 수 있도록 부분적으로 개폐 정도를 조정하는 것이 아니고, 나아가서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기능도 결여되어 있어서, 이를 그대로 본 발명과 같은 컨베이어벨트에 적용할 수는 없다.
따라서 이송재료의 분진이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내부 접근이 용이하면서도 필요에 따라 개폐 정도를 조정할 수 있는 윈드 커버 구조물의 개발이 요청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모듈화하여 개수를 증감하여 연장결합 설치가 용이하고, 필요에 따라 개폐 정도를 조정할 수 있는 윈드 커버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부 접근이 용이하면서도 컨베이어벨트 상에서 이송되는 재료의 분진이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윈드 커버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드 커버 구조물은, 컨베이어벨트를 설치하도록 컨베이어의 이송방향의 양쪽으로 연장하는 한쌍의 장착프레임; 상기 장착 프레임을 포위하도록 되면서 컨베이어의 이송방향을 따라 개수를 증감하여 결합가능한 복수의 셔터모듈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셔터모듈 유닛은, 컨베이어 이송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수직으로 설치된 복수의 수직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부에서 컨베이어 이송방향을 따라 연장 설치된 한쌍의 수평 프레임; 및 상기 인접한 수직 프레임 사이에서 승강하도록 설치된 셔터블레이드;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셔터모듈 유닛은 셔터블레이드를 개별적으로 구동하여 승강하는 구동장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장치는 셔터 블레이드를 권취하는 드럼과 이 드럼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구동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동장치는 셔터 블레이드를 권취하는 드럼과 이 드럼의 회전축에 연결된 웜 휠, 이 웜 휠에 치합하는 웜 기어, 이 웜 기어가 선단에 형성되고 조작레버에 의해 회전하는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수평 프레임의 상부에는 인접한 수직 프레임 사이 상부공간을 덮는 루프부재가 추가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인접한 수직 프레임에 길이방향으로 안내홈이 형성되고, 이 안내 홈에 셔터 블레이드의 측면 단부가 결합되어 승강하도록 된다.
상기 안내 홈에 밀봉부재가 추가로 구비되어 셔터 블레이드와의 사이에 기밀을 유지하도록 된다.
본 발명의 셔터모듈 유닛은 컨베이어의 이송방향을 따라 복수로 증감하여 결합하여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윈드 커버 구조물은 셔터 단위모듈로 구성되어 있어서, 컨베이어의 크기에 따라 셔터모듈 유닛의 개수를 증감하여 적절한 규모의 윈드 커버 구조물을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셔터 블레이드의 개폐 정도를 조정할 수 있어 컨베이어벨트의 점검 또는 보수를 위한 접근이 용이하다. 또한, 셔터블레이드가 기밀을 유지하여 개폐될 수 있어, 완전히 폐쇄하는 경우에는 컨베이어벨트 상에서 이송되는 재료의 분진이 외부로 비산하여 주변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더욱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드 커버 구조물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터모듈 유닛을 분리하여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수직프레임과 셔터 블레이드의 밀봉 결합구조를 설명하는 부분 사시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터블레이드 구동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셔터블레이드 구동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윈드 커버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벨트 세척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부품은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드 커버 구조물(1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윈드 커버 구조물(10)은 컨베이어(11)의 이송방향의 양쪽으로 연장하는 한쌍의 장착프레임(12)을 포함한다. 장착 프레임(12)에 인접하여 이를 포위하는 형태로 컨베이어(11)의 이송방향을 따라 동일한 구성으로 모듈화된 복수의 셔터모듈 유닛(14)이 그 개수를 증감하여 연장 결합될 수 있다. 도 1에는 4개의 셔터모듈 유닛 (14A, 14B, 14C, 14D)이 서로 연결되어 설치된 것이 도시된다.
셔터모듈 유닛(14)은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11)의 이송방향을 따라 복수의 수직 프레임(16)이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다. 상기 수직 프레임(16)의 상부에는 컨베이어(11)의 이송방향을 따라 한 쌍의 수평 프레임(18)이 연장 설치된다. 상기 인접한 수직 프레임(16) 사이에는 셔터블레이드(20)가 개폐 정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또 승강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를 위하여 인접한 수직 프레임(16)의 내면에는 셔터 블레이드(20)가 스프링(도시 안 됨)의 탄성력에 의해 승강하도록 삽입되는데, 이를 위해 셔터 블레이드 (20)의 양쪽 단부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 홈(16a)이 서로 마주 보도록 수직 프레임 (16)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안내 홈(16a)에 셔터 블레이드 (20)의 측면 단부가 결합되어 안내되면서 승강하도록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손으로 셔터 블레이드 (20)를 위로 올리거나 아래로 당기면서, 수직 프레임(16)의 안내 홈(16a) 사이에서 원하는 위치 또는 개방상태로 셔터 블레이드(20)의 위치를 선정하여, 개폐 정도를 조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에서, 첫 번째 셔터모듈 유닛(14A)은 셔터 블레이드(20)가 작업장 바닥까지 하강하여 완전히 닫힌 상태이다. 두 번째 및 네 번째 셔터모듈 유닛 (14B, 14D)은 셔터 블레이드(20)가 장착 프레임(12)의 높이까지 닫혀있고, 장착 프레임(12)의 하부로의 접근은 가능한 상태이다. 그리고 세 번째 셔터모듈 유닛 (14C)은 셔터 블레이드(20)가 수평 프레임(18)까지 상승하여 완전히 열린 상태로 서, 작업자가 컨베이어(11)의 점검 및 내부로의 접근이 가능한 상태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접한 수직 프레임(16)의 안내 홈(16a)에는 밀봉부재(16b)가 길이방향으로 추가로 구비되어, 셔터 블레이드(20)가 완전히 하강하여 닫혔을 때(예컨대 셔터모듈 유닛 (14A)), 수직 프레임(16)과의 사이에 기밀이 유지되어, 컨베이어(11) 상으로 이송되는 재료의 분진이 외부로 비산하거나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변 작업장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수평 프레임(18)에는 셔터블레이드(20)를 개별적으로 구동하여 승강하는 구동장치(22)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장치(2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 블레이드(20)를 권취하는 드럼(24)과 이 드럼(24)의 회전축(26)에 연결되어 회전구동시키는 모터(28)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조정기(도시 안 됨)을 조작하여 모터(28)를 정,역회전함으로써 셔터 블레이드(20)를 간편하게 승강시키면서, 원하는 위치 또는 개방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예컨대 셔터모듈 유닛(14B, 14D)은 중간 닫힘상태, 셔터모듈 유닛(14C)은 완전 개방상태로 셔터 블레이드(20)를 개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평 프레임(18)의 상부에는 인접한 수직 프레임(16) 사이의 상부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지붕 역할을 하는 루프부재(30)가 추가로 결합될 수 있다. 루프 부재(30)는 눈이나 비 등으로부터 컨베이어(11)가 젖거나 외부 이물질이 컨베이어(12) 쪽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셔터모듈 유닛(14)은 컨베이어(11)의 길이나 규모에 대응하여, 컨베이어(11)의 이송방향을 따라 복수로 증감하여 결합함으로써 셔터 구조물(10)의 크기를 조절할 수도 있다.
상기 기재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술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여러 변경, 수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블레이드(20)를 승강하기 위한 구종장치로서, 기어구조를 채용할 수도 있다. 즉, 도 4의 셔터 블레이드(20)가 권취되는 드럼(24)의 회전축(26)의 단부에 웜 휠(32)이 결합되고, 이 웜 휠(32)에 치합하는 웜 기어(34)가 선단에 구비되어 조작레버(36)에 의해 회전하도록 된 샤프트(38)가 수직 프레임16)내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조작레버(36)를 돌려주면 샤프트(38)가 회전하게 되고, 웜 기어(34)와 웜 휠(32)의 작동에 의해 드럼(24)이 회전하면서 셔터 블레이드(20)가 승강하여, 그 걔폐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10: 윈드 커버 구조물 11: 컨베이어
12: 장착프레임
14, 14A, 14B, 14C, 14D: 셔터모듈 유닛
16: 수직 프레임 18: 수평 프레임
20: 셔터 블레이드 22: 구동장치
24: 드럼 28: 모터
30: 루프 부재 32: 웜 휠
34: 웜 기어 36: 조작레버

Claims (4)

  1. 컨베이어벨트를 설치하도록 컨베이어의 이송방향의 양쪽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장착프레임; 및
    상기 장착 프레임을 포위하도록 되면서 컨베이어의 이송방향을 따라 개수를 증감하여 결합가능한 복수의 셔터모듈 유닛;을 포함하고서,
    상기 셔터모듈 유닛은,
    컨베이어 이송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수직으로 설치된 복수의 수직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부에서 컨베이어 이송방향을 따라 연장 설치된 한 쌍의 수평 프레임; 및
    상기 인접한 수직 프레임 사이에서 승강하도록 설치된 셔터블레이드; 를 포함하는 윈드 커버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블레이드를 개별적으로 구동하여 수직 프레임 사이에서 승강하는 구동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윈드 커버 구조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프레임의 상부에는 인접한 수직 프레임 사이 상부공간을 덮는 루프부재가 추가로 결합된 윈드 커버 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한 수직 프레임에 길이방향으로 안내 홈이 형성되고, 이 안내 홈에 셔터 블레이드의 측면 단부가 결합되어 승강하도록 되며, 상기 안내 홈에 밀봉부재가 추가로 구비되어 셔터 블레이드와의 사이에 기밀을 유지하도록 된 윈드 커버 구조물.
KR1020150076232A 2015-05-29 2015-05-29 개폐가능한 윈드커버 구조물 KR201601400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6232A KR20160140092A (ko) 2015-05-29 2015-05-29 개폐가능한 윈드커버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6232A KR20160140092A (ko) 2015-05-29 2015-05-29 개폐가능한 윈드커버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0092A true KR20160140092A (ko) 2016-12-07

Family

ID=57573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6232A KR20160140092A (ko) 2015-05-29 2015-05-29 개폐가능한 윈드커버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4009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1649A (ko) * 2021-07-14 2023-01-25 도현성 유지보수가 용이한 컨베이어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1649A (ko) * 2021-07-14 2023-01-25 도현성 유지보수가 용이한 컨베이어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112012021385B1 (pt) guia para um portão de elevação, quadro para um portão de elevação, portão de elevação e processo para fechar um vão em um portão de elevação
US7950438B2 (en) Doorway screening apparatus
US20180258692A1 (en) Window Shade Device
US6688374B2 (en) Barrier with movable curtain
KR101402559B1 (ko) 창호의 자동 바람막이 조립장치
KR20160140092A (ko) 개폐가능한 윈드커버 구조물
ES2747377T3 (es) Máquina selladora de cajas de cartón con cinta adhesiva
US20150329159A1 (en) Cargo bay construction with a slideable wall and vehicle with such a cargo bay construction
ES2907569T3 (es) Cortinas de puerta con conmutadores de sensor de posición
KR101495490B1 (ko) 케이블 풀링장치
JP4245027B2 (ja) 昇降装置
KR102223558B1 (ko) 수동개폐를 위한 구조를 갖는 수직개폐 스크린도어
KR20110060009A (ko) 벨트컨베이어의 커버장치
JP2582954B2 (ja) 折り畳みボックス糊付け機械
JP4631741B2 (ja) 搬送車
KR101286992B1 (ko) 지붕의 개폐장치
ES2276873T3 (es) Instalacion de revestimiento con una banda de cobertura para una abertura de carcasa.
KR102217624B1 (ko) 다중 슬라이딩 전동도어
JP4530764B2 (ja) シャッター用サイドフレームの構造
KR20140100184A (ko) 코크스 오븐의 방풍장치
JP5137645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160012649A (ko) 양말 뒤집기
KR101856765B1 (ko) 화물용 승강기의 승강장도어 개폐장치
KR101877030B1 (ko) 적재함 개폐장치
JPH08188365A (ja) マンホールの蓋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