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9410A - 렌즈 모듈 - Google Patents

렌즈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9410A
KR20160139410A KR1020150074099A KR20150074099A KR20160139410A KR 20160139410 A KR20160139410 A KR 20160139410A KR 1020150074099 A KR1020150074099 A KR 1020150074099A KR 20150074099 A KR20150074099 A KR 20150074099A KR 20160139410 A KR20160139410 A KR 201601394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wall surface
spacer
lenses
refl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4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3033B1 (ko
Inventor
김덕훈
강영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74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3033B1/ko
Priority to US15/009,145 priority patent/US9904049B2/en
Priority to CN202110185138.3A priority patent/CN112946850B/zh
Priority to CN201610094439.4A priority patent/CN106199896B/zh
Publication of KR20160139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9410A/ko
Priority to US15/843,405 priority patent/US10527845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3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3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1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with means for preventing ghost imag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4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five or mor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03Light absorb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은 복수의 렌즈 사이에 스페이서가 배치되고, 상기 스페이서는 광이 통과되도록 차광홀을 구비하며, 상기 차광홀을 형성하는 상기 스페이서의 벽면에는 광 흡수층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광 흡수층에 의하여 상기 광이 상기 스페이서의 벽면에서 반사되는 것이 방지된다.

Description

렌즈 모듈{Lens module}
본 발명은 렌즈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PDA, 휴대용 PC 등과 같은 휴대 통신단말기는 최근 문자 또는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뿐만 아니라 화상 데이터 전송까지 수행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부응하여 화상 데이터 전송이나 화상 채팅 등을 할 수 있기 위해서 최근에 휴대 통신단말기에 카메라 모듈이 기본적으로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에는 복수의 렌즈가 적층되어 구비되며, 복수의 렌즈를 통과한 광은 이미지 센서에 집광되어 기기 내의 메모리상에 데이터로 저장될 수 있다.
복수의 렌즈 사이에는 복수의 렌즈 간의 간격을 유지하거나 불필요한 광을 차단하기 위하여 스페이서가 배치된다.
스페이서에는 광이 통과할 수 있도록 기설정된 크기의 차광홀이 형성되는데, 이때,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광이 카메라 모듈의 내부로 입사되면서 차광홀을 형성하는 스페이서의 벽면에 반사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경우 빛 번짐 등의 플레어(Flare) 현상 등이 발생하여 화질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광이 스페이서의 벽면에 의해 반사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복수의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광이 복수의 렌즈 사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에 의해 반사되어 플레어 현상을 유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렌즈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은 복수의 렌즈 사이에 스페이서가 배치되고, 상기 스페이서는 광이 통과되도록 차광홀을 구비하며, 상기 차광홀을 형성하는 상기 스페이서의 벽면에는 광 흡수층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광 흡수층에 의하여 상기 광이 상기 스페이서의 벽면에서 반사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은 복수의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광이 복수의 렌즈 사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에 의해 반사되어 플레어 현상을 유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실시예에 대한 제1 변형예이고,
도 4a 및 도 4b는 도 2의 실시예에 대한 제2 변형예이고,
도 5a 및 도 5b는 도 2의 실시예에 대한 제3 변형예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또는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아울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 함은 이들 구성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방향에 대한 용어를 정의하면, 광축(0) 방향은 렌즈 배럴(10)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은 렌즈 배럴(10), 상기 광축(O)을 따라 상기 렌즈 배럴(10)에 배치되는 복수의 렌즈(L) 및 상기 복수의 렌즈(L) 사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20, 30)를 포함한다.
상기 렌즈 배럴(10)은 피사체를 촬상하는 상기 복수의 렌즈(L)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중공의 원통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렌즈(L)의 중앙부에는 외부로부터 입사된 광이 초점을 형성하기 위한 광축(O)이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렌즈(L)는 상기 광축(O)을 따라 상기 렌즈 배럴(10)에 구비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피사체에 가까운 쪽으로부터 순서대로 제1 렌즈 내지 제5 렌즈(L1, L2, L3, L4, L5)가 도시되나, 렌즈의 개수에 본 발명의 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구현하고자하는 해상도에 따라 5매 이하의 렌즈로 구성되거나 그 이상의 렌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렌즈(L)는 유리, 글라스 몰딩, 열경화성 수지, 열가소성 수지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렌즈(L)는 상기 렌즈 배럴(10)의 내부에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렌즈(L) 중 피사체로부터 가장 멀리 배치되는 렌즈의 하부에는 압입링(40)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5 렌즈(L5)의 하부에 상기 압입링(4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압입링(40)은 순차적으로 적층된 상기 복수의 렌즈(L)를 상기 렌즈 배럴(10)의 내부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렌즈(L)는 상기 렌즈 모듈(10)의 설계에 따라 필요한 수만큼 적층되고,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한 굴절률 등의 광학적 특성을 가진다.
상기 복수의 렌즈(L)는 각각 상기 광이 통과되면서 굴절되는 렌즈 기능부와 플랜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 기능부는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상기 광을 굴절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렌즈 기능부는 오목, 볼록 또는 매니스커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렌즈 기능부의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렌즈 배럴(10) 또는 상기 스페이서(20, 30)와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부분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플랜지부에는 상기 플랜지부를 통해 불필요한 광이 투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차광 물질이 코팅되거나 차광 필름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렌즈(L) 사이에는 렌즈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도록 상기 스페이서(20, 30)가 배치된다.
상기 스페이서(20, 30)는 상기 복수의 렌즈(L)의 수에 따라 하나 또는 그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20, 30)는 상기 복수의 렌즈(L)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렌즈(L)들이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20, 30)의 두께는 상기 복수의 렌즈(L) 사이의 간격에 따라 정해질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스페이서(20)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스페이서(20)에는 상기 스페이서(20)를 통해 불필요한 광이 투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차광 물질이 코팅되거나 차광 필름이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20)는 불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페이서(20)는 구리 또는 알루미늄 등의 비철금속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스페이서(20)의 성형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20)는 상기 복수의 렌즈(L)를 통과하는 상기 광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페이서(20)에는 상기 스페이서(20)를 상기 광축(O) 방향으로 관통하는 차광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렌즈(L)를 통해 입사되는 상기 광이 상기 차광홀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차광홀의 크기는 상기 복수의 렌즈(L)를 통과하는 상기 광이 굴절되는 정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렌즈(L)를 통과하면서 굴절된 상기 광이 이미지 센서(미도시)에 입사될 수 있을 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차광홀의 크기는 피사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이는 상기 광이 상기 복수의 렌즈(L)를 통과하면서 굴절되어 넓게 퍼질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이미지 센서에 입사되는 상기 광의 경로를 방해하지 않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차광홀은 상기 스페이서(2O)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므로, 상기 광이 상기 차광홀을 형성하는 상기 스페이서(20)의 벽면(20a)에 반사될 우려가 있다. 상기 광이 상기 스페이서(20)의 벽면(20a)에 반사되어 상기 이미지 센서에 입사될 경우에는 이미지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에서는 상기 스페이서(20)의 벽면(20a)에 의해 상기 광이 반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설사 상기 광이 상기 스페이서(20)의 벽면(20a)에 의해 반사되더라도 반사된 상기 광이 상기 이미지 센서에 입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대하여는 도 2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차광홀을 형성하는 상기 스페이서(20)의 벽면(20a)은 상기 광축(0)과 평행한 평면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광홀을 형성하는 상기 스페이서(20)의 벽면(20a)에는 광 흡수층(25)이 구비된다. 상기 광 흡수층(25)은 상기 스페이서(20)의 벽면(20a)에 입사되는 상기 광을 흡수할 수 있다.
상기 광 흡수층(25)은 상기 스페이서(20)의 벽면에 BLACK OXIDE 처리를 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 흡수층(25)은 흑색 피막 또는 흑색 산화철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렌즈(L)를 통과하는 상기 광이 상기 스페이서(20)의 벽면(20a)에 입사하더라도 상기 광 흡수층(25)에 의해 흡수되므로, 상기 광이 상기 스페이서(20)의 벽면(20a)에 의해 반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광이 상기 스페이서(20)의 벽면(20a)에 의해 반사되면 반사된 상기 광이 상기 이미지 센서에 입사하게 됨으로써 이미지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에서는 상기 광 흡수층(25)에 의해 상기 광이 상기 스페이서(20)의 벽면(20a)으로부터 반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결국, 반사된 광에 의한 이미지 품질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실시예에 대한 제1 변형예이다.
먼저,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스페이서(20)의 벽면(20a)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페이서(20)의 벽면(20a)은 상기 벽면(20a)에 의해 상기 이미지 센서에 입사되는 상기 광의 경로가 방해받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광축(O)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축(O)에 대한 상기 벽면(20a)의 경사각은 상기 이미지 센서에 입사되는 상기 광의 경로를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복수의 렌즈(L)의 굴절력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20)의 벽면(20a)은 피사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광축(O)과의 거리가 멀어지게 경사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페이서(20)의 상면(21)과 상기 스페이서(20)의 벽면(20a) 사이의 각도는 90°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미지 센서에 입사되는 상기 광과 상기 스페이서(20)의 벽면(20a)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페이서(20)의 상면(21)과 상기 스페이서(20)의 벽면(20a)이 접하는 부분에는 뾰족하게 형성된 엣지부(27)가 구비된다.
상기 광이 상기 엣지부(27)에 입사되더라도 상기 광 흡수층(25)에 의하여 흡수될 수 있으나, 상기 광 흡수층(25)의 불량 등으로 인하여 상기 광이 상기 엣지부(27)에서 반사되더라도, 뾰족하게 형성된 상기 엣지부(27)에 의하여 상기 광의 반사량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반사된 광에 의한 이미지 품질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스페이서(20)의 벽면(20a)이 경사진 방향은 도 3a의 경우와 반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페이서(20)의 벽면(20a)은 피사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광축(O)과의 거리가 가까워지게 경사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페이서(20)의 상면(21)과 상기 스페이서(20)의 벽면(20a) 사이의 각도는 90°보다 커지게 되며, 상기 스페이서(21)의 하면(23)과 상기 스페이서(20)의 벽면(20a) 사이의 각도가 90°보다 작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광이 상기 스페이서(20)의 벽면(20a)에 입사될 수는 있으나, 상기 스페이서(20)의 벽면(20a)에는 상기 광 흡수층(25)이 구비되므로, 상기 광이 상기 스페이서(20)의 벽면(20a)으로부터 반사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광 흡수층(25)의 불량 등으로 인하여, 상기 광이 상기 스페이서(20)의 벽면(20a)으로부터 반사되더라도 상기 스페이서(20)의 벽면(20a)에서 반사된 광은 상기 피사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반사되므로 반사된 광이 상기 이미지 센서에 입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스페이서(20)의 벽면(20a)이 피사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광축(O)에 가깝게 경사지기 때문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2의 실시예에 대한 제2 변형예이다.
먼저,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스페이서(20)의 벽면(20a)은 상기 광이 상기 벽면(20a)에 반사되어 상기 차광홀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20)의 벽면(20a)은 기설정된 곡률을 가지는 곡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20)의 상면(21)과 상기 스페이서(20)의 벽면(20a)이 접하는 부분에 뾰족하게 형성된 엣지부(27)는 상기 스페이서(20)의 벽면(20a)의 다른 부분보다 상기 광축(O)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20)의 벽면(20a)은 상기 스페이서(20)의 상면(21)과 상기 벽면(20a)이 접하는 부분인 상기 엣지부(27) 이외의 부분에 상기 광이 입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곡면일 수 있다.
상기 벽면(20a)의 곡률은 상기 이미지 센서에 입사되는 상기 광의 경로를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복수의 렌즈(L)의 굴절력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미지 센서에 입사되는 상기 광과 상기 스페이서(20)의 벽면(20a)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이 상기 엣지부(27)에 입사되어 반사되더라도, 뾰족하게 형성된 상기 엣지부(27)에 의하여 상기 광의 반사량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반사된 광에 의한 이미지 품질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도 4a와 마찬가지로 상기 스페이서(20)의 벽면(20a)은 상기 광이 상기 벽면(20a)에 반사되어 상기 차광홀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며, 기설정된 곡률을 가지는 곡면일 수 있다.
다만, 도 4b에서는 상기 스페이서(20)의 하면(23)과 상기 스페이서(20)의 벽면(20a)이 접하는 부분에 뾰족하게 형성된 엣지부(27')가 상기 스페이서(20)의 벽면(20a)의 다른 부분보다 상기 광축(O)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광이 상기 스페이서(20)의 벽면(20a)에 입사될 수는 있으나, 상기 스페이서(20)의 벽면(20a)에는 상기 광 흡수층(25)이 구비되므로, 상기 광이 상기 스페이서(20)의 벽면(20a)으로부터 반사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광 흡수층(25)의 불량 등으로 인하여, 상기 광이 상기 스페이서(20)의 벽면(20a)으로부터 반사되더라도 상기 스페이서(20)의 벽면(20a)에서 반사된 광은 피사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반사되므로 반사된 광이 상기 이미지 센서에 입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이 상기 엣지부(27')에 입사되어 반사되더라도, 뾰족하게 형성된 상기 엣지부(27')에 의하여 상기 광의 반사량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반사된 광에 의한 이미지 품질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도 2의 실시예에 대한 제3 변형예이다.
먼저,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스페이서(20)의 벽면에는 기설정된 곡률을 가지는 제1 곡면부(20'a) 및 제2 곡면부(20'b)가 구비되며, 상기 제1 곡면부(20'a)와 상기 제2 곡면부(20'b)는 불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곡면부(20'a)와 상기 제2 곡면부(20'b)가 접하는 부분에는 뾰족하게 형성된 엣지부(27'')가 구비된다.
예를 들어, 상기 엣지부(27'')를 기준으로 상기 광축(O) 방향 윗쪽에는 상기 제1 곡면부(20'a)가 구비되고, 상기 광축(O) 방향 아래쪽에는 상기 제2 곡면부(20'b)가 구비된다.
즉, 상기 엣지부(27'')는 상기 스페이서(20)의 벽면 중 중앙부분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엣지부(27'')는 상기 스페이서(20)의 벽면의 다른 부분보다 상기 광축(O)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광은 상기 제1 곡면부(20'a)에는 입사될 수 있으나, 상기 제2 곡면부(20'b)에는 입사되지 않으며, 상기 광이 상기 제1 곡면부(20'a)에 입사되더라도 상기 스페이서(20)의 벽면에 구비된 상기 광 흡수층(25)에 흡수될 수 있다.
설사, 상기 광 흡수층(25)의 불량 등으로 인하여, 상기 광이 상기 제1 곡면부(20'a)로부터 반사되더라도 상기 제1 곡면부(20'a)에서 반사된 광은 피사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반사되므로 반사된 광이 상기 이미지 센서에 입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이 상기 엣지부(27'')에 입사되어 반사되더라도, 뾰족하게 형성된 상기 엣지부(27'')에 의하여 상기 광의 반사량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반사된 광에 의한 이미지 품질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도 5a와 마찬가지로, 상기 스페이서(20)의 벽면에는 기설정된 곡률을 가지는 제1 곡면부(20''a) 및 제2 곡면부(20''b)가 구비되며, 상기 제1 곡면부(20''a)와 상기 제2 곡면부(20''b)는 불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다만, 상기 스페이서(20)의 상면(21)과 상기 제1 곡면부(20''a)가 접하는 부분에는 뾰족하게 형성된 제1 엣지부(27a)가 구비되고, 상기 제1 곡면부(20''a)와 상기 제2 곡면부(20''b)가 접하는 부분에는 뾰족하게 형성된 제2 엣지부(27b)가 구비되며, 상기 스페이서(20)의 하면(23)과 상기 제2 곡면부(20''b)가 접하는 부분에는 뾰족하게 형성된 제3 엣지부(27c)가 구비된다.
상기 제2 엣지부(27b)를 기준으로 상기 광축(O) 방향 윗쪽에는 상기 제1 곡면부(20''a)가 구비되고, 상기 광축(O) 방향 아래쪽에는 상기 제2 곡면부(20''b)가 구비된다.
상기 제2 엣지부(27b)는 상기 스페이서(20)의 벽면 중 중앙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엣지부(27a) 내지 상기 제3 엣지부(27c)는 상기 광축(O)과 평행한 가상의 라인 상에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은 상기 제1 곡면부(20''a)와 상기 제2 곡면부(20''b)에 입사될 수 있으나, 상기 광은 상기 스페이서(20)의 벽면에 구비된 상기 광 흡수층(25)에 흡수될 수 있다.
설사, 상기 광 흡수층(25)의 불량 등으로 인하여, 상기 광이 상기 제1 곡면부(20''a) 또는 상기 제2 곡면부(20''b)로부터 반사되더라도 반사된 광은 피사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반사되므로 반사된 광이 상기 이미지 센서에 입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이 상기 제1 엣지부(27a) 내지 상기 제3 엣지부(27c)에 입사되어 반사되더라도, 뾰족하게 형성된 상기 제1 엣지부(27a) 내지 상기 제3 엣지부(27c)에 의하여 상기 광의 반사량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반사된 광에 의한 이미지 품질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스페이서는 복수 개가 제공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b에서는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스페이서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꺼운 스페이서도 앞서 설명한 스페이서의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꺼운 스페이서는 차광홀을 형성하는 벽면에 불연속적으로 형성된 복수의 경사면이 구비되고,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스페이서는 차광홀을 형성하는 벽면이 수직면, 경사면 및 곡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모든 스페이서의 벽면에 상기 광 흡수층(25)이 구비되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은 복수의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광이 복수의 렌즈 사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에 의해 반사되어 플레어 현상을 유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 렌즈 배럴
20, 30: 스페이서
40: 압입링
L: 복수의 렌즈

Claims (12)

  1. 복수의 렌즈가 광축을 따라 내부에 배치되는 렌즈 배럴; 및
    상기 복수의 렌즈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광이 통과되도록 차광홀이 형성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며,
    상기 차광홀을 형성하는 상기 스페이서의 벽면에는 광 흡수층이 구비되는 렌즈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흡수층은 흑색 피막인 렌즈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흡수층은 흑색 산화철인 렌즈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에 의해 상기 광의 경로가 방해받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벽면은 상기 광축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렌즈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이 상기 벽면에 반사되어 상기 차광홀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벽면은 오목하게 형성되는 렌즈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은 기설정된 곡률을 가지는 곡면인 렌즈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은 상기 스페이서의 상면과 상기 벽면이 접하는 부분인 엣지부 이외의 부분에 상기 광이 입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곡면인 렌즈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은 기설정된 곡률을 가지는 제1 곡면부, 제2 곡면부 및 상기 제1 곡면부와 상기 곡면부가 접하는 엣지부를 포함하는 렌즈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곡면부와 상기 제2 곡면부는 불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렌즈 모듈.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엣지부는 상기 벽면의 다른 부분보다 상기 광축을 향하여 돌출된 렌즈 모듈.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금속 재질인 렌즈 모듈.
  12. 복수의 렌즈가 광축을 따라 내부에 배치되는 렌즈 배럴; 및
    상기 복수의 렌즈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광이 통과되도록 차광홀이 형성되는 복수의 스페이서;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차광홀을 형성하는 벽면에 불연속적으로 형성된 복수의 경사면이 구비되고,
    나머지 스페이서는 상기 차광홀을 형성하는 벽면이 수직면, 경사면 및 곡면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차광홀을 형성하는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의 벽면에는 각각 광 흡수층이 구비되는 렌즈 모듈.
KR1020150074099A 2015-05-27 2015-05-27 렌즈 모듈 KR101883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4099A KR101883033B1 (ko) 2015-05-27 2015-05-27 렌즈 모듈
US15/009,145 US9904049B2 (en) 2015-05-27 2016-01-28 Lens module
CN202110185138.3A CN112946850B (zh) 2015-05-27 2016-02-19 镜头模块
CN201610094439.4A CN106199896B (zh) 2015-05-27 2016-02-19 镜头模块
US15/843,405 US10527845B2 (en) 2015-05-27 2017-12-15 Lens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4099A KR101883033B1 (ko) 2015-05-27 2015-05-27 렌즈 모듈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8622A Division KR102176287B1 (ko) 2017-12-08 2017-12-08 렌즈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9410A true KR20160139410A (ko) 2016-12-07
KR101883033B1 KR101883033B1 (ko) 2018-07-27

Family

ID=57398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4099A KR101883033B1 (ko) 2015-05-27 2015-05-27 렌즈 모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9904049B2 (ko)
KR (1) KR101883033B1 (ko)
CN (2) CN112946850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2145A (ko) * 2017-05-02 2018-11-12 (주)헥스하이브 전방위 촬상장치
KR20180129334A (ko) * 2017-05-26 2018-12-05 이주열 카메라 렌즈 스페이서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15121A (ko) * 2018-08-02 2020-02-12 한국다이요잉크 주식회사 광학기기 렌즈용 스페이서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57568B2 (en) 2013-07-04 2018-01-02 Corephotonics Ltd. Miniature telephoto lens assembly
CN108388005A (zh) 2013-07-04 2018-08-10 核心光电有限公司 小型长焦透镜套件
US9392188B2 (en) 2014-08-10 2016-07-12 Corephotonics Ltd. Zoom dual-aperture camera with folded lens
TWI710790B (zh) * 2016-03-31 2020-11-21 先進光電科技股份有限公司 光學成像系統(一)
CN106094155B (zh) * 2016-07-20 2018-10-30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成像镜头
TWI596417B (zh) * 2016-11-14 2017-08-2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遮光片、成像鏡頭與電子裝置
TWI647502B (zh) * 2016-12-12 2019-01-11 台灣東電化股份有限公司 鏡頭組件及應用該鏡頭組件的攝影裝置
CN107045249B (zh) * 2017-03-06 2019-08-30 瑞声光电科技(常州)有限公司 遮光片的处理方法及遮光片
JP2018146878A (ja) * 2017-03-08 2018-09-20 カンタツ株式会社 レンズ素子および撮像レンズユニット
US20200158980A1 (en) * 2017-03-24 2020-05-21 Ningbo Sunny Opotech Co., Ltd. Split lens assembly and camera module
CN206920792U (zh) * 2017-04-15 2018-01-23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镜头模组
CN206671648U (zh) * 2017-04-15 2017-11-24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镜头模组
CN206671645U (zh) * 2017-04-15 2017-11-24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一种成像镜头
JP2019012111A (ja) * 2017-06-29 2019-01-24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レンズユニット
US11333845B2 (en) 2018-03-02 2022-05-17 Corephotonics Ltd. Spacer design for mitigating stray light
CN208636548U (zh) * 2018-08-15 2019-03-22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一种镜头模组
TWM578388U (zh) * 2018-10-24 2019-05-2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成像鏡頭、相機模組及電子裝置
TWI676852B (zh) * 2018-10-31 2019-11-11 白金科技股份有限公司 遮光片
CN111198424A (zh) * 2018-11-16 2020-05-26 三营超精密光电(晋城)有限公司 垫圈及采用该垫圈的镜头
CN109884737A (zh) * 2018-12-29 2019-06-14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一种镜片及其制作方法和镜头
CN114615400A (zh) 2019-01-03 2022-06-10 核心光电有限公司 相机、双重相机及三重相机
WO2021000199A1 (zh) * 2019-06-30 2021-01-07 瑞声光学解决方案私人有限公司 镜头模组
TWI701473B (zh) * 2019-09-11 2020-08-1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成像鏡頭模組、相機模組及電子裝置
TWI706157B (zh) * 2019-09-12 2020-10-0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成像光學元件組、成像鏡頭及電子裝置
CN112711136B (zh) * 2019-10-25 2023-05-16 宁波舜宇车载光学技术有限公司 光学成像装置、拦光器及其消除杂散光的方法
KR20210052936A (ko) * 2019-11-01 2021-05-11 삼성전기주식회사 간격 유지 부재 및 카메라 모듈
WO2021101175A1 (en) 2019-11-20 2021-05-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amera module
US11656538B2 (en) 2019-11-25 2023-05-23 Corephotonics Ltd. Folded zoom camera module with adaptive aperture
CN117572549A (zh) 2020-05-30 2024-02-20 核心光电有限公司 用于获得超微距图像的系统和方法
CN114089494A (zh) * 2020-08-05 2022-02-25 三营超精密光电(晋城)有限公司 固定环、镜头模组及电子装置
WO2022118176A1 (en) 2020-12-01 2022-06-09 Corephotonics Ltd. Folded camera with continuously adaptive zoom factor
KR102610118B1 (ko) 2021-11-02 2023-12-04 코어포토닉스 리미티드 컴팩트형 더블 폴디드 텔레 카메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8177A (ko) * 2010-12-17 2012-06-27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조립체
US20120314288A1 (en) * 2011-06-07 2012-12-13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Lens module having light-shielding spacer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44230A (ja) * 2003-05-20 2004-12-09 Olympus Corp 内視鏡撮像装置
DE102004032179A1 (de) * 2004-07-02 2006-01-19 Robert Bosch Gmbh Objektiv mit Kfz-tauglicher Dichtungskonfiguration
US20060139772A1 (en) * 2004-12-27 2006-06-29 Canon Kabushiki Kaisha Method of fixing optical member and optical unit
JP2007212601A (ja) * 2006-02-08 2007-08-23 Ricoh Co Ltd レンズユニット、鏡筒、光学機器、画像読み取りユニット、スキャナ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N101576642B (zh) 2008-05-06 2013-04-2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间隔环以及具有该间隔环的镜头模组
CN101581817A (zh) * 2008-05-13 2009-11-1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间隔环及具有该间隔环的相机模组
CN101620307A (zh) * 2008-07-02 2010-01-0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镜头模组及相机模组
CN201373935Y (zh) * 2008-12-03 2009-12-30 亚洲光学股份有限公司 镜头模块
CN201522571U (zh) * 2009-05-14 2010-07-07 一品光学工业股份有限公司 一种小型堆叠光学玻璃镜头模块
JP2011158506A (ja) * 2010-01-29 2011-08-18 Sanyo Electric Co Ltd レンズモジュール及び撮影装置
KR101157397B1 (ko) 2010-06-28 2012-06-25 주식회사 코렌 렌즈구조체
CN102809795B (zh) * 2011-04-08 2016-05-11 株式会社尼康 透镜镜筒、摄影装置及遮光罩
JP5660336B2 (ja) 2011-04-08 2015-01-28 株式会社ニコン レンズ鏡筒および撮影装置
US8292524B1 (en) * 2011-08-05 2012-10-23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Lens module and camera module having same
JP2014056127A (ja) * 2012-09-13 2014-03-27 Asahi Glass Co Ltd スペーサ、スペーサ集合体、ウェハレベルパッケージ構造体、およびスペーサの製造方法
US8967814B2 (en) 2012-10-16 2015-03-03 Genius Electronic Optical Co., Ltd. Imaging lens with enhancement of blocking stray light
CN103728705B (zh) 2012-10-16 2017-03-08 玉晶光电(厦门)有限公司 可消除杂散光线的成像镜头
CN103852851A (zh) 2012-12-06 2014-06-11 玉晶光电(厦门)有限公司 可消除杂散光线的成像镜头
CN104297887A (zh) * 2013-07-17 2015-01-21 玉晶光电(厦门)有限公司 摄影镜头及用于摄影镜头的垫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8177A (ko) * 2010-12-17 2012-06-27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조립체
US20120314288A1 (en) * 2011-06-07 2012-12-13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Lens module having light-shielding spac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2145A (ko) * 2017-05-02 2018-11-12 (주)헥스하이브 전방위 촬상장치
KR20180129334A (ko) * 2017-05-26 2018-12-05 이주열 카메라 렌즈 스페이서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15121A (ko) * 2018-08-02 2020-02-12 한국다이요잉크 주식회사 광학기기 렌즈용 스페이서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946850B (zh) 2022-10-25
CN112946850A (zh) 2021-06-11
CN106199896B (zh) 2021-03-05
US10527845B2 (en) 2020-01-07
US20180113301A1 (en) 2018-04-26
US20160349504A1 (en) 2016-12-01
KR101883033B1 (ko) 2018-07-27
CN106199896A (zh) 2016-12-07
US9904049B2 (en) 2018-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3033B1 (ko) 렌즈 모듈
US8493673B2 (en) Lens module
US10436952B2 (en) Lens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US20180024310A1 (en) Image Lens
TWI721543B (zh) 光學鏡頭、應用該光學鏡頭的鏡頭模組及電子裝置
JP6889794B2 (ja) レンズモジュール
US7760450B2 (en) Lens system
KR101504030B1 (ko) 렌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170089151A (ko) 렌즈 모듈
US7688532B1 (en) Lens system
KR20170095554A (ko) 카메라 모듈
KR20200019547A (ko) 렌즈 조립체
US8736738B2 (en) Optical lens and image pick-up apparatus having same
KR20170121109A (ko) 카메라 모듈
KR102251073B1 (ko) 렌즈 모듈
KR20170139480A (ko) 렌즈 모듈
KR102211434B1 (ko) 렌즈 모듈
TWI740308B (zh) 光學鏡頭、應用該光學鏡頭的鏡頭模組及電子裝置
US20200314301A1 (en) Lens module
US8016495B2 (en) Lens, lens module, and camera module having same
US8582027B2 (en) Image pick-up apparatus
US8025446B2 (en) Lens module and imaging apparatus using same
CN113777734A (zh) 镜头组件、镜头模块及电子装置
US20220043233A1 (en) Fixing ring for lens module, lens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US20200310007A1 (en) Lens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