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8608A - 스마트 블록 완구 - Google Patents

스마트 블록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8608A
KR20160138608A KR1020150072645A KR20150072645A KR20160138608A KR 20160138608 A KR20160138608 A KR 20160138608A KR 1020150072645 A KR1020150072645 A KR 1020150072645A KR 20150072645 A KR20150072645 A KR 20150072645A KR 20160138608 A KR20160138608 A KR 201601386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mbination
block
blocks
gene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2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2487B1 (ko
Inventor
김관석
김동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레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레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레도
Priority to KR1020150072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2487B1/ko
Priority to CN201610362540.3A priority patent/CN106178543A/zh
Priority to PCT/KR2016/005574 priority patent/WO2016190677A1/ko
Publication of KR20160138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8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2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2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5/00Musical or noise- producing devices for additional toy effects other than acoustica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26Magnetic or electric toys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블록 완구에 관한 것으로, 제1면에는 제1정보가 표시되고, 제2면에는 제2정보가 표시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제1정보 및 제2정보에 해당하는 각각의 식별코드가 저장된 칩이 마련되고, 이웃하는 블록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게 하는 연결단자를 가지는 다수의 일반 블록; 및 상기 일반 블록들의 조합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일반 블록들의 조합 상태를 분석하는 컨트롤 블록;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일반 블록의 양면에 표시된 서로 상이한 정보를 통해 스마트 블록 완구의 구성품 대비 좀 더 많은 양의 문장 및 연산 조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문장의 완성여부에 대한 판단 외에도, 문장이 완성되지 않은 문장 일부에 대해서도 이용자가 학습할 수 있도록 하여, 문장 완성 과정에 대해 쉽게 습득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스마트 블록 완구 {SMART BLOCK TOY}
본 발명은 블록간의 조합에 의해 다양한 학습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블록 완구에 관한 것이다.
블록 완구는 다수개의 조각으로 마련되는 각각의 블록들을 다양한 배열 방법으로 전체 조합을 완성하는 과정에서 즐거움을 유발시킬 수 있는 완구로 사용되어 왔으며, 이러한 블록 완구는 다양한 개발을 통해 이용자의 학습효과를 더불어 자연스럽게 향상시켜 줄 수 있는 형태로 발전되어 왔다.
이와 관련하여 이용자가 블록 완구를 가지고 노는 과정을 통해 학습이 자연스럽게 유도됨으로써, 좀 더 쉽고 효과적으로 이용자의 언어 및 연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02591호의 "블록 완구"에 따른 선행문헌을 통해 이용자가 블록들 간의 적절한 조합을 통해 문장을 완성하면 이에 상응하는 음향 및 화면 정보를 출력시켜줌으로써, 이용자의 언어 학습, 연산학습 및 지능개발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블록 완구를 제시한 바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의 경우, 이용자가 블록들의 조합을 완성하고 이와 같은 조합에 대응되어 출력되는 음향 및 화면 정보들을 제공받는 과정을 통해 언어 및 연산에 대한 학습을 수행함으로써, 학습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킬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언어 및 연산에 대한 구조적 원리 및 개념을 습득함에 있어서 좀 더 효과적인 학습 결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렇게 제시된 선행기술에 있어서, 블록의 단면만을 활용하여 조합을 완성함으로써 조합되어질 수 있는 경우의 수에 대비하여 마련되어져야하는 블록의 수가 다소 많아짐에 따라, 하나의 블록이 나타낼 수 있는 정보의 양을 확장시켜 블록 완구 구성품의 양에 대비하여 조합될 수 있는 학습 형태의 수를 제한 없이 무한히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을 본 발명을 통해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블록의 다면을 활용하여 하나의 블록이 다수의 정보를 나타내도록 마련함과 동시에 다양한 면에 마련된 각각의 정보가 혼용되어 조합 가능하도록 정보의 표시 방향을 달리 설계함으로써, 한정되어진 블록의 수를 활용해 이용자가 조합하여 학습되어 질 수 있는 형태의 범위에 대한 제한을 없앨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스마트 블록 완구는, 제1면에는 제1정보가 표시되고, 제2면에는 제2정보가 표시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제1정보 및 제2정보에 해당하는 각각의 식별코드가 저장된 칩이 마련되고, 이웃하는 블록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게 하는 연결단자를 가지는 다수의 일반 블록; 및 상기 일반 블록들의 조합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일반 블록들의 조합 상태를 분석하는 컨트롤 블록;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 블록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일반 블록의 제1정보 또는 제2정보 중 상기 컨트롤 블록의 기준방향을 향해 표시되고 있는 정보의 식별코드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일반 블록으로부터 인식하여, 이를 기반으로 상기 일반 블록들의 조합 상태를 분석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 블록은, 상기 일반 블록들의 연결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접속단자; 출력정보를 출력시킬 수 있는 출력모듈; 일반 블록들의 완성형 조합에 대한 제1조합정보, 상기 제1조합정보에 해당하는 조합을 제외한 일반 블록들의 단순배치형 조합에 대한 제2조합정보 및 조합정보 각각에 대해 대응되어 출력될 수 있는 출력 정보가 기록된 메모리소자; 및 상기 메모리소자에 기록된 제1조합정보 또는 제2조합정보를 기반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일반 블록들의 식별코드를 분석하여 이에 대응되는 출력정보를 상기 출력모듈를 통해 출력시키는 컨트롤소자;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출력모듈은 음향을 출력시킬 수 있는 스피커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소자에는 상기 제1조합정보 또는 상기 제2조합정보 각각에 대해 대응되어 출력될 수 있는 음향정보가 기록되어 있으며, 상기 컨트롤소자는 상기 메모리소자에 기록된 제1조합정보 또는 제2조합정보를 기반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일반 블록들의 식별코드를 분석하여 이에 대응되는 음향정보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시킨다.
아울러, 상기 출력모듈은 화면을 출력시킬 수 있는 스크린을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소자에는 상기 제1조합정보 또는 상기 제2조합정보 각각에 대해 대응되어 출력될 수 있는 화면정보가 기록되어 있으며, 상기 컨트롤소자는 상기 메모리소자에 기록된 제1조합정보 또는 제2조합정보를 기반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일반 블록들의 식별코드를 분석하여 이에 대응되는 화면정보를 상기 스크린을 통해 출력시킨다.
또한, 상기 컨트롤소자는, 상기 제1조합정보 및 제2조합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접속단자를 통해 연결된 일반 블록들의 식별코드를 분석하는 제1분석부; 상기 제1조합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접속단자를 통해 연결된 일반 블록들의 식별코드를 분석하는 제2분석부; 및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분석부 전환 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제1분석부 및 제2분석부 중 하나의 분석부를 활성화시키는 전환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환부를 통해 활성화된 제1분석부 또는 제2분석부는 분석한 정보를 기반으로 이에 대응되는 출력정보를 상기 메모리 소자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출력모듈에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 블록은, 단말기와 통신 연결될 수 있는 통신 모듈; 상기 컨트롤소자를 통해 연결된 일반 블록들의 조합을 분석한 횟수 및 분석 내용에 대한 학습수행정보를 기록하는 기록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기록 모듈은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단말기로 기록한 학습수행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 모듈은 단말기로부터 추가적인 조합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컨트롤 소자에 제공하고, 이를 제공 받은 상기 컨트롤 소자는 상기 추가적인 조합정보에 대응되는 음향정보 또는 화면정보를 선 출력시킨 뒤 상기 컨트롤 블록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일반 블록들의 식별코드를 분석하여 그 결과에 대응되는 음향정보 또는 화면정보를 후 출력시킨다.
아울러, 상기 컨트롤 블록은,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단말기로부터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메모리소자에 기록된 정보를 갱신시키는 업데이트 모듈;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 블록은,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음성을 데이터화 하는 음성인식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소자는, 상기 음성인식 모듈로부터 형성되는 음성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전환부를 통해 활성화된 제1분석부 또는 제2분석부가 상기 컨트롤 블록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일반 블록들의 식별코드를 분석하여 상기 메모리 소자로부터 추출한 음향정보와 상기 음성데이터의 일치 정도를 분석하는 제3분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분석부를 통한 분석 결과는 상기 출력모듈을 통해 출력되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첫째, 일반 블록의 다면을 활용하여 둘 이상의 정보가 하나의 일반 블록 내에 나타나지고, 이러한 상이한 정보의 표시 형태가 상호 상하를 기준으로 상반되게 표시됨으로써, 각기 다른 면에 표시된 정보일지라도 혼용되어 조합을 이룰 수 있어 한정된 수의 일반 블록으로부터 제한 없이 모든 경우의 단어, 문장 및 연산 조합의 형성이 가능하다.
둘째, 문장의 완성여부에 대한 판단 외에도, 문장이 완성되지 않은 문장 일부에 대해서도 이용자가 학습할 수 있도록 하여, 문장 완성 과정에 대해 쉽게 습득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셋째, 통신 모듈 및 기록 모듈을 통해 학습 내용에 대한 기록 및 단말로의 제공을 수행함으로써, 이용자 또는 제3자가 스마트 블록 완구를 통한 학습 내역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1 및 도2는 본 발명의 스마트 블록 완구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스마트 블록 완구에 적용된 일반 블록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스마트 블록 완구에 적용된 컨트롤 블록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5 및 도6은 본 발명의 제2분석부가 활성화된 컨트롤 블록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1분석부가 활성화된 컨트롤 블록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반 블록이 제1정보 및 제2정보를 혼용하여 나타내고 있는 조합 상태에 해당하는 식별코드를 분석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컨트롤 블록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9 내지 도11은 본 발명의 일반 블록이 가지는 제2정보에 해당하는 식별코드를 분석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컨트롤 블록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12 및 도13은 본 발명의 응용예에 따른 스마트 블록 완구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14 및 도16은 본 발명의 응용예에 따른 스마트 블록 완구 내 컨트롤 블록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블록 완구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18은 도17의 스마트 블록 완구에 적용된 일반 블록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19 및 도20은 도17의 스마트 블록 완구에 적용된 컨트롤 블록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1. 스마트 블록 완구의 구성요소에 관한 설명
도1 내지 도4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스마트 블록 완구(100)를 설명하면, 스마트 블록 완구(100)는 다수의 일반 블록(110); 및 컨트롤 블록(120);을 포함한다.
일반 블록(110)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면에는 제1정보가 표시되고,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면에는 제2정보가 표시된다. 이 경우 제2정보라 함은 일면에 표시되어진 제1정보와 다른 개별적인 추가 정보라는 의미이다.
이와 같이 일반 블록(110)의 양면에는 각기 다른 정보가 표시되고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대향되는 면에 표시된 두 개의 정보 중 하나의 정보는 다른 정보를 기준으로 상하를 뒤집혀져 표시되는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일반 블록(110)을 이용해 제1정보를 표시하는 경우와 제2정보를 표시하는 경우 일반 블록(110)에 마련된 연결단자(112)의 방향성을 일정하게 가져감으로써, 아래 설명되어질 제1정보를 표시하고자하는 일반 블록(110A)과 제2정보를 표시하고자하는 일반 블록(110B)의 혼용을 구현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일반 블록(110)의 정보 표시 형태 및 이에 따른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각각 표시되어지는 형태로 설계될 수 있으며, 일반블록(110)은 구조에 따라 2개 이상의 정보가 다수의 면에 표시되고 이에 대한 각각의 정보에 대응되는 개별적 식별코드를 저장하고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면에 표시되는 정보들은 상호 다르게 설계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역시 일정 기준 방향을 향해 정보가 나타나도록 일반 블록(110)을 배치했을 때 일반 블록(110)에 마련된 연결단자(112)의 방향성을 일정하게 가져갈 수 있도록 정보를 면에 표시하여 상호 혼용 가능하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정보 및 제2정보는 문자, 단어, 음절, 숫자, 무늬, 기호, 색깔 등 언어 학습, 연산 학습, 지능 개발 및 기억력 증진에 필요한 각종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 둘의 정보는 각기 다른 군의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2개 이상의 정보를 표시하고 있는 일반 블록(110)은 일면에 하나의 정보만을 표시하고 있는 일반 블록에 비해 동일 수의 일반 블록(110)을 기준으로 더 많은 조합 경우를 만들어 낼 수 있으며, 더 나아가 각기 다른 정보를 표시하고 있는 일반 블록(110) 간의 혼용이 가능해 짐에 따라 조합을 통해 만들어 낼 수 있는 문장 , 단어, 숫자 등의 학습 형태는 아무런 제한 없이 무한하게 제공 가능해진다. 이는 결과적으로 스마트 블록 완구(100)를 통해 학습하고자 하는 내용의 양적, 질적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일반 블록(110)은 제1정보 및 이와 상이한 군의 제2정보를 표시하고 있어 이들 각각을 구분하여 식별하기 위해 각각의 식별코드를 별도로 마련하여 내부에 배치된 칩(111)에 저장하고 있다. 다시 말해 일반 블록(110)의 내부에 마련된 칩(111)에는 제1정보에 대한 식별코드와 제2정보에 대한 식별코드가 각각 저장되어 있다.
아울러, 일반 블록(110)의 양 측면에는 연결단자(112)가 형성되어 있어 이웃하는 블록(일반 블록(110) 또는 컨트롤 블록(120))과 접하도록 배치되면 각각의 단자를 통해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여기서, 일반 블록(100)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마련된 칩(111)과 제1연결단자(112a) 및 제2연결단자(112b)를 통해 전기적 회로를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제1연결단자(112a) 및 제2연결단자(112b)의 구분은 일반 블록(100)의 양 측면에 형성된 연결단자(112) 중 좌측면에 위치하는 단자와 우측면에 위치하는 단자를 구분하기 위해 임의로 설명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어 설계되지는 아니하고, 일반 블록(110)의 전면과 후면을 구분하기 위한 단자 배치구조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일반 블록(110)은 다양한 형태로 마련되어 각각의 연결단자(112)들이 상호 접한 상태를 유지하고, 이탈이 되지 않도록 일정한 고정력을 제공하기 위해 별도의 결합수단 혹은 결합을 위해 전자기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자성부재등을 내부에 마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일반 블록(110)들은 다양한 조합으로 상호 접하도록 배치되어 일정 문장, 단어 또는 수식 등을 형성할 수 있고, 때로는 일반 블록(110)이 사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추후 지속적으로 설명될 일반 블록(110)들의 조합이라 함은 하나의 일반 블록(110)으로 구성되는 경우 또한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컨트롤 블록(120)은 일반 블록(110)들의 조합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일반 블록(110)들의 조합 상태를 분석함으로써 각각의 분석 결과에 대응되는 음향을 출력한다, 다시 말해 컨트롤 블록(120)은 일반 블록(110)들의 조합 결과에 따라 각각 다른 음향을 출력하여 이용자가 본인이 배치시켜 만들어낸 일반 블록(110)들의 조합의 상태 또는 완성여부 등의 학습 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여기서, 컨트롤 블록(120)은 컨트롤 블록(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일반 블록(110)의 제1정보 또는 제2정보 중 컨트롤 블록(120)의 기준방향(예를 들어, 전면방향)에 배치된 정보의 해당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이를 기반으로 일반 블록(110)들의 조합 상태를 분석한다.
즉, 컨트롤 블록(120)의 기준 방향을 향하는 면(이용자 입장에서 표시된 정보를 시각적으로 인지되는 면)에 표시된 정보의 식별코드를 컨트롤 블록(120)이 인지하여 연결된 일반 블록(110)들의 조합 상태를 분석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이용자의 시야를 통해 이용자가 인지하고 있는 정보들의 조합을 컨트롤 블록(120)이 분석하게 된다.
이러한, 컨트롤 블록(120)이 컨트롤 블록(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일반 블록(110)의 전면과 후면 중 컨트롤 블록(120)의 기준 방향을 향해 배치된 면의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방법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각각의 연결단자(112a, 112b)를 구성하고 있는 다수의 핀의 접속 형태에 따라 상이한 전기회로 경로를 구축하여 각각 일반 블록(110)의 칩(111) 내부에 저장된 2종류의 식별코드 중 각각 다른 식별코드를 인식할 수 있도록 별도의 신호 이동 경로를 제공하게 하거나 다수의 핀의 접속 형태에 따라 달리 인식되는 저항값을 판단하여 각각에 저항 수치에 대응되는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내용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컨트롤 블록(120)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일반 블록(110)의 특정 방향을 향해 표시하고 있는 정보에 대한 식별코드를 인식하기 위해 공지된 기술들을 활용하여 다양하게 구현 가능하다.
이러한 컨트롤 블록(120)의 세부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면, 컨트롤 블록(120)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단자(121); 스피커(122); 메모리소자(123); 컨트롤소자(124); 통신모듈(125); 업데이트 모듈(126); 및 기록 모듈(127);을 포함하며, 이외에도 좀 더 구체적으로 전원모듈(120P); 스위치(120W); 스크린(120S); 및 녹음 모듈(120R)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속단자(121)는 일반 블록(110)들의 제1연결단자(112a) 또는 제2연결단자(112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구성으로써, 제1접속단자(121a)와 제2접속단자(121b)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컨트롤 블록(120) 상의 제1접속단자(121a)와 제2접속단자(121b) 형성 위치는 특정 면상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나, 이용자가 효율적으로 복수개의 학습을 동시에 진행하고, 양측의 비교 등의 다양한 실시형태를 구현하기 위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대향되는 면에 각각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출력모듈(122, 120S)는 출력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아래 설명될 컨트롤소자(124)에 의한 분석 결과에 대응되는 출력정보가 이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출력모듈(122, 120S)은 음향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122) 및 화면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스크린(120S)으로 구성된다.
메모리소자(123)에는 제1조합정보, 제2조합정보 및 출력정보(음향정보 및 화면정보) 등이 기록되어 있다. 여기서, 제1조합정보는 일반 블록(110)들의 완성형 조합에 대한 정보로써, 다시 말해 일반 블록(110)들에 의해 조합되어 형성된 단어, 문장 또는 수식이 올바르게 조합이 완성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정보이다.
또한, 제2조합정보는 제1조합정보에 해당하는 조합을 제외한 일반 블록(110)들의 단순배치형 조합에 대한 정보로써, 일반 블록(110)들에 의해 조합되어 형성된 단어, 문장 또는 수식이 완성되지 않은 경우들에 대한 정보이다.
아울러 출력정보는 제1조합정보에 대해 대응되어 출력될 수 있는 음향정보 및 화면정보와 제2조합정보에 대응되어 출력될 수 있는 음향정보 및 화면정보로 구분되고, 이와 같은 음향정보 및 화면정보는 결과적으로 일반 블록(110)들에 의해 조합되어 형성될 수 있는 모든 경우의 수에 대한 각각에 상응하는 음향정보 및 화면정보를 모두 포함한다.
컨트롤소자(124)는 메모리소자(123)에 기록된 제1조합정보 또는 제2조합정보를 기반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일반 블록(110)들의 식별코드를 분석하여 이에 대응되는 출력정보를 출력모듈(122, 120S)을 통해 출력시킨다.
즉, 컨트롤소자(124)는 컨트롤 블록(120)과 접속단자(121)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일반 블록(110)들의 식별코드를 분석하여, 메모리소자(123)에 기록된 제1조합정보 또는 제2조합정보 중 현재 연결된 일반 블록(110)들의 조합 상태에 해당하는 조합정보를 파악한다. 이 후, 컨트롤소자(124)는 해당 조합 상태를 나타내는 1조합정보 또는 제2조합정보와 대응되는 음향정보를 메모리소자(123)로부터 추출하여 스피커(122)를 통해 출력시킨다. 또한, 컨트롤소자(124)는 해당 조합 상태를 나타내는 1조합정보 또는 제2조합정보와 대응되는 화면정보를 메모리소자(123)로부터 추출하여 스크린(120S)을 통해 출력시킬 수 있다.
여기서, 컨트롤소자(124)는 도5, 도8 및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블록(110)이 제1접속단자(121a) 또는 제2접속단자(121b)를 통해 컨트롤 블록(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일반 블록(110)의 제1정보 또는 제2정보 중 컨트롤 블록(120)의 기준방향을 향해 표시되고 있는 정보에 해당하는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이들의 조합 상태를 판단한다.
아울러, 컨트롤소자(124)는 제1조합정보 및 제2조합정보를 기반으로 제1접속단자(121a) 또는 제2접속단자(121b)를 통해 연결된 일반 블록(110)들의 식별코드를 분석하는 제1분석부(124a)와 제1조합정보만을 기반으로 제1접속단자(121a) 또는 제2접속단자(121b)를 통해 연결된 일반 블록(110)들의 식별코드를 분석하는 제2분석부(124b)를 포함한다.
또한, 컨트롤소자(124)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분석부 전환 명령을 수신하여 제1분석부(124a) 및 제2분석부(124b) 중 하나의 분석부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전환부(124c)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이 전환부(124c)를 통해 활성화된 분석부는 분석한 정보를 기반으로 이에 대응되는 출력정보를 메모리 소자(123)로부터 추출하여 스피커(122)에 전송하여 음향정보가 출력되도록 제어하거나 스크린(120S)에 전송하여 화면정보가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물론 음향정보와 화면정보는 동시에 출력되어질 수도 있다.
아울러, 전환부(124c)에 수신되는 분석부 전환 명령은 컨트롤 블록(120)의 일측에 구성될 수 있는 스크린(120S) 상에 표시되는 디지털 방식의 스위치를 사용자가 터치 방식으로 가압하여 명령을 입력해 주거나, 별도의 스위치(120W)를 마련하여 사용자가 제1분석부(124a)를 활성화 시킬지, 제2분석부(124b)를 활성화 시킬지를 판단하여 분석부 전환 명령을 입력해 줄 수 있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여기서, 스크린(120S)은 사용자의 인식 및 블록의 방향성을 판단하기 위한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컨트롤 블록(120)의 전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스크린(120S)에는 컨트롤 블록(120)의 분석 결과에 따라 대응되는 화면 정보가 출력되도록 추가 설계될 수 있으며,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현되어, 다양한 명령 입력이 스크린(120S)을 통해 이루어 질 수도 있다.
여기서 화면 정보의 유형은 이미지 콘텐츠 또는 영상 콘텐츠 등 화면 상의 출력이 가능한 다양한 콘텐츠의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그리고 컨트롤블록(120)는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음성을 데이터화 하는 음성인식 모듈(120R)을 더 포함하며, 이러한 음성인식 모듈(120R)은 사용자가 발음하는 음향을 입력받아 음성데이터로 변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써, 음성의 입력 및 녹음의 기능을 구비하는 마이크와 같은 음성입력장치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음성인식 모듈(120R)은 컨트롤소자(124) 내 추가적으로 설계 가능한 제3분석부(124d)와 연동되어 작업되어지는데, 제3분석부(124d)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외부로부터 음성인식 모듈(120R)이 음성을 입력받은 뒤 이를 변환하여 획득된 음성데이터를 기반으로 전환부(124c)를 통해 활성화된 제1분석부(124a) 또는 제2분석부(124b) 중 하나의 분석부가 컨트롤 블록(120)과 접속단자(121)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일반 블록(110)들의 식별코드를 분석하여 메모리 소자(123)로부터 추출한 음향정보와 음성데이터 간의 일치 정도를 분석 또는 평가하여 그 결과를 출력모듈(122, 120S)을 통해 출력하여준다.
아울러, 컨트롤소자(124)는 음성인식 모듈(120R) 및 제3분석부(124d)의 활성화 여부를 사용자의 명령 신호를 수신 여부에 따라 제어하는 음성인식 기능 전환부(124e)를 포함하여, 음성인식 기능 전환부(124e)에 수신되는 음성인식 모듈(120R) 및 제3분석부(124d)의 활성화 명령은 컨트롤 블록(120)의 일측에 구성될 수 있는 스크린(120S) 상에 표시되는 디지털 방식의 스위치를 사용자가 터치 방식으로 가압하여 명령을 입력해 주거나, 별도의 스위치(120W)를 마련하여 사용자가 음성인식 기능의 활성화 여부를 판단하여 스위치(120W)에 대한 가압을 통해 명령 신호를 입력해 줄 수 있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컨트롤소자(124)는 컨트롤 블록(120)과 접속단자(121)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일반 블록(110)들의 식별코드를 분석하여, 현재 연결된 일반 블록(110)들의 조합 상태에 해당하는 조합정보를 파악한 후, 해당 조합 상태를 나타내는 1조합정보 또는 제2조합정보와 대응되는 음향정보를 메모리소자(123)로부터 추출하여 스피커(122)를 통해 출력시킨다. 이 과정을 통해 학습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현재 스스로 조합한 문장 또는 단어의 발음을 청취하게 되고, 이후 음성인식 기능 전환부(124e)에 의해 음성인식 모듈(120R) 및 제3분석부(124d)가 활성화 되어있을 경우, 컨트롤 블록(120)은 학습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앞서 출력된 음향정보를 소리 내어 발음할 것을 유도한다.
이 경우 음성인식 모듈(120R) 및 제3분석부(124d)가 활성화 되어있음을 컨트롤소자(124)가 인지하여 1조합정보 또는 제2조합정보와 대응되는 음향정보를 메모리소자(123)로부터 추출할 때 학습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앞서 출력된 음향정보를 소리 내어 발음할 것을 유도할 수 있는 음향정보가 추가된 음향정보를 추출하도록 하거나, 별도의 추가적인 출력정보를 컨트롤소자(124)가 메모리소자(123)로부터 추출하여 출력모듈(122, 120S)을 통해 출력하여줄 수도 있다.
다음으로 학습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앞서 출력된 음향정보를 소리 내어 발음할 것을 유도함에 따라 사용자가 특정 문장 또는 단어를 발음하면 음성인식 모듈(120R)은 이를 입력받아 음성데이터로 변형시키고, 이를 기반으로 제3분석부(124d)는 앞서 분석되어진 조합정보와 대응되어 기 출력된 음향정보의 내용과 음성데이터간의 일치 정도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얼마나 올바르게 발음을 하였는지를 알려주게 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스마트 블록 완구(100)는 학습을 수행하는 사용자로 하여금 일반 블록(110)들의 조합을 연습하는 과정을 통해 쓰기(Writing), 듣기(Listening), 읽기(Reading) 외에도 말하기(Speaking) 영역의 언어 학습 효과까지 추가적으로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컨트롤 블록(120)은 각 구성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 공급을 위해 전원모듈(120P)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25)은 통신 기능을 가지는 단말기와 같은 휴대용 통신기기와 통신 연결될 수 있는 구성으로써, 아래 설명될 업데이트 모듈(126) 및 기록 모듈(127)과 연동되어 동작되어 진다.
또한, 통신 모듈(125)은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을 통해 추가적인 조합정보를 수신하여 컨트롤 소자(124)에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는 사용자가 단말을 통해 학습하고자하는 내용을 설정하여, 해당 학습 내용을 컨트롤 블록(120)에 제공해 주기 위함으로 컨트롤 블록(120) 자체에 기록된 조합정보를 이용해 문장 또는 단어의 완성 유무 및 완성 과정에 대한 학습 외에도 추가적으로 문제를 출제하여 학습의 유형 및 학습의 내용을 좀 더 다양하게 제공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통신 모듈(125)을 통해 단말기에서 수신된 추가적인 조합정보를 제공 받은 컨트롤 소자(124)는 우선 추가적인 조합정보에 대응되는 음향정보 또는 화면정보를 스피커(122) 또는 스크린(120S)을 통해서 적어도 둘 중 하나 이상의 형태로 출력시켜 학습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단말을 통해 출제된 학습정보가 어떠한 내용을 나타내고 있는지 인지시켜 준다.
그 후 컨트롤 소자(124)는 선 출력된 음향 또는 화면 정보를 인지하여 일반 블록(110)들의 조합을 완성함으로써 학습을 수행한 사용자에게 학습의 결과를 알려주기 위해 컨트롤 블록(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일반 블록(110)들의 식별코드를 분석하여 그 결과에 대응되는 음향정보 또는 화면정보를 메모리소자(123)로부터 추출하여 후 출력시킨다.
업데이트 모듈(126)은 통신 모듈(125)을 통해 단말기로부터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소자(123)에 기록된 정보를 갱신시킬 수 있다. 이는 결과적으로 컨트롤 블록(120)이 업데이트 모듈(126)을 통해 메모리소자(123)에 기록된 제1조합정보, 제2조합정보 및 음향정보 외에도 추가적으로 일반 블록(110)들의 조합을 판단하거나, 이에 대응되는 다양한 형태로 출력될 수 있는 정보들을 갱신하거나 추가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이러한 업데이트 정보는 관리자 또는 사용자의 단말기와 같은 통신 모듈(125)과 통신할 수 있는 다양한 기기로부터 제공 가능하다.
기록 모듈(127)은 컨트롤소자(124)를 통해 연결된 일반 블록(110)들의 조합을 분석한 횟수 및 분석 내용에 대한 학습수행정보를 기록한다. 이와 같이 기록 모듈(127)을 통해 기록된 학습수행정보는 통신 모듈(125)을 통해 이와 통신하는 단말기로 전송되어질 수 있다.
여기서, 기록 모듈(127)은 이용자가 본 발명의 스마트 블록 완구(100)를 이용한 현황을 실시간으로 정리하여 기록함으로써, 이용자 혹은 제3자가 단말을 통해 용이하게 학습 시간 및 학습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학습수행정보를 수집 및 전송한다.
2. 스마트 블록 완구를 이용한 학습 형태에 관한 설명
아래 설명되어질 스마트 블록 완구(100)를 이용한 학습 형태에 관해서는 좀 더 용이하고, 직관적으로 발명 내용을 파악할 수 있도록 일반 블록(110, 220)의 배치 형태를 제1정보가 전면부측을 향할 경우와 제2정보가 전면부측을 향할 경우를 A, B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제1분석부(124a)와 제2분석부(124b) 중 제1분석부(124a)가 활성화되어 컨트롤 블록(120)이 작동되어지는 경우를 임의적으로 "학습 모드"라 칭하고, 제2분석부(124b)가 활성화 되어 컨트롤 블록(120)이 작동되어지는 경우를 임의적으로 "시험 모드"라 칭하여, 아래 설명되어질 내용에서 통일되어 사용하기로 한다. 다만 이러한 명칭은 하나의 실시형태를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해 임의적으로 설정한 사항으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제1응용예 - 언어 학습의 경우>
도5 내지 도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스마트 블록 완구(100)를 이용한 학습 형태에 관해 설명하면, 우선 일반 블록(110)은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전면에 제1정보로써 단어 혹은 문장의 일부가 표시되고 후면에 제2정보로써 글자가 표시되어질 수 있다.
이러한 일반 블록(110)은 도5 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에 표시된 제1정보들에 대한 조합을 통해 학습을 할 경우에는 문장의 완성 및 문장의 완성 과정을 학습하게 되는 효과가 발휘되고, 도9 내지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에 표시된 제2정보들에 대한 조합을 통해 학습을 할 경우에는 단어의 완성 및 단어의 완성 과정에 대해 학습하게 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일반 블록(110)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에 표시된 제1정보와 후면에 표시된 제2정보가 혼용되어 마련되는 조합을 통해 학습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일반 블록(110)은 사용하고자 하는 내용에 제약이 없어지게 되는데,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8에 도시된 "CAT"이라는 단어가 종래의 경우 일반 블록에 표시되어 있지 않을 경우 학습할 수 없는 내용이었으며 이를 위해 많은 경우의 수를 판단하여 일반 블록의 수를 늘리는 수밖에 없었지만, 본 발명의 경우 문자가 표시된 후면의 제2정보를 활용하여 원하는 단어의 형태를 만들어 냄으로써, 학습하고자 하는 모든 경우의 수를 표현할 수 있도록 조합의 제약을 해소하게 되었다.
먼저, 시험 모드일 경우(제2분석부(124b)가 활성화 되어 컨트롤 블록(120)이 작동되어지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정보가 이용자의 시야에서 인식되도록 배치된 일반 블록(110A)들의 조합에 의해 문장이 완성되어 컨트롤 블록(120)에 연결될 경우, 컨트롤 블록(120)은 제1조합정보를 기반으로 문장이 완성 또는 바르게 연결되었음을 인식하고 이에 대응되는 음향, 화면 또는 둘 다를 출력시킨다. 여기서 출력되는 음향은 문장이 완성 또는 바르게 연결되었음을 알리는 음향과 완성된 문장의 텍스트를 읽어주는 음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출력되는 화면은 문장이 완성 또는 바르게 연결되었음을 알려주는 영상 또는 이미지 혹은 문장에 부합되어지는 영상 또는 이미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정보가 이용자의 시야에서 인식되도록 배치된 일반 블록(110A)들의 조합에 의해 문장이 미완성되거나 문법적으로 틀리게 컨트롤 블록(120)에 연결될 경우, 컨트롤 블록(120)은 제1조합정보를 기반으로 문장이 완성되지 않았거나 틀렸음을 인식하고 이에 대응되는 음향, 화면 또는 둘 다를 출력시킨다. 여기서 출력되는 음향은 문장이 미완성 또는 틀렸음을 알리는 음향인 것이 바람직하며, 출력되는 화면은 문장이 미완성 또는 틀렸음을 알리는 영상 또는 이미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정보가 이용자의 시야에서 인식되도록 배치된 일반 블록(110B)들의 조합에 의해 단어를 완성하여 컨트롤 블록(120)에 연결할 경우, 컨트롤 블록(120)은 제1조합정보를 기반으로 단어가 완성 또는 올바르게 연결되었음을 인식하고 이에 대응되는 음향, 화면 또는 둘 다를 출력시킨다. 여기서 출력되는 음향은 단어가 완성 또는 올바르게 연결되었음을 알리는 음향과 완성된 단어를 읽어주는 음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출력되는 화면은 단어가 완성 또는 올바르게 연결되었음을 알려주는 영상 또는 이미지 혹은 단어에 부합되어지는 영상 또는 이미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정보가 이용자의 시야에서 인식되도록 배치된 일반 블록(110B)들의 조합에 의해 단어 미완성되어 컨트롤 블록(120)에 연결될 경우, 컨트롤 블록(120)은 제1조합정보를 기반으로 단어가 완성되지 않았거나 틀렸음을 인식하고 이에 대응되는 음향, 화면 또는 둘 다를 출력시킨다. 여기서 출력되는 음향은 단어가 미완성 또는 틀렸음을 알리는 음향인 것이 바람직하며, 출력되는 화면은 단어가 미완성 또는 틀렸음을 알리는 영상 또는 이미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학습 모드일 경우(제1분석부(124a)가 활성화 되어 컨트롤 블록(120)이 작동되어지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면,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정보가 이용자의 시야에서 인식되도록 배치된 일반 블록(110A)들의 조합이 컨트롤 블록(120)에 연결할 경우, 컨트롤 블록(120)은 제1조합정보 및 제2조합정보를 기반으로 문장의 형태만을 인식하고 이에 대응되는 음향, 화면 또는 둘 다를 출력시킨다. 즉, 학습 모드일 경우 컨트롤 블록(120)은 연결된 일반 블록(110A)들의 조합이 완성형인지를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완성형인 경우와 단순배치형인 경우 둘 다 조합 형태 그대로의 음향 또는 이와 대응되는 화면 또는 둘 다를 출력시켜 준다. 여기서 출력되는 음향은 연결된 일반 블록(110A)들의 조합이 완성형인 경우 문장이 완성되었음을 알리는 음향과 완성된 문장의 텍스트를 읽어주는 음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연결된 일반 블록(110A)들의 조합이 단순배치형인 경우 단순히 배치된 문장의 텍스트를 읽어주는 음향이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정보가 이용자의 시야에서 인식되도록 배치된 일반 블록(110B)들의 조합이 컨트롤 블록(120)에 연결될 경우(제2연결단자(112b)와 제2접속단자(121a)가 연결될 경우), 컨트롤 블록(120)은 제1조합정보 및 제2조합정보를 기반으로 단어의 형태만을 인식하고 이에 대응되는 음향, 화면 또는 둘 다를 출력시킨다. 여기서 출력되는 음향은 연결된 일반 블록(110A)들의 조합이 완성형인 경우 단어가 완성되었음을 알리는 음향과 완성된 단어를 읽어주는 음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연결된 일반 블록(110A)들의 조합이 단순배치형인 경우 단순히 배치된 글자를 읽어주는 음향이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응용예 - 수학 학습의 경우>
본 발명의 스마트 블록 완구(100)를 구성하는 일반 블록(110)은 도12 및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전면에 제1정보로써 숫자 또는 연산부호(+, -, ㅧ, ㆇ, >, <, =)가 표시되고 후면에 제2정보로써 전면에 표시된 제1정보와 상이한 숫자 또는 연산부호가 표시되어질 수 있다.
이러한 일반 블록(110)은 전면에 표시된 제1정보 및 후면에 표시된 제2정보들에 대한 조합을 통해 다양한 수식 형태의 조합을 만들어 낼 수 있으며, 이러한 다양한 조합을 통해 이용자가 학습을 할 경우에는 숫자 연산을 통한 계산력 강화 및 숫자를 이용한 학습에 대한 친근감을 가질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먼저, 시험 모드일 경우에 대해 설명하면, 도14 및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정보가 이용자의 시야에서 인식되도록 배치된 일반 블록(110A)들의 조합에 의해 좌측 수식이 완성되어 컨트롤 블록(120)의 제1접속단자(121a)를 통해 연결되고, 제2정보가 이용자의 시야에서 인식되도록 배치된 일반 블록(110B)들의 조합에 의해 우측 수식이 완성되어 컨트롤 블록(120)의 제2접속단자(121b)를 통해 연결될 경우, 컨트롤 블록(120)은 제1조합정보를 기반으로 양측의 수식이 연결되어 올바른 수식을 완성되었는지를 분석하고 이에 대응되는 음향을 출력시킨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의 수식이 연결되어 올바른 수식을 완성시키면, 컨트롤 블록(120)은 옳은 수식임을 알리는 음향과 완성된 전체 수식을 읽어주는 음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의 수식이 연결되어 잘못된 수식이 형성되면, 컨트롤 블록(120)은 잘못된 수식임을 알리는 음향이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학습 모드일 경우에 대해 설명하면,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정보가 이용자의 시야에서 인식되도록 배치된 일반 블록(110A)들의 조합에 의해 좌측 수식이 완성되어 컨트롤 블록(120)의 제1접속단자(121a)를 통해 연결되거나, 제2정보가 이용자의 시야에서 인식되도록 배치된 일반 블록(110B)들의 조합에 의해 우측 수식이 완성되어 컨트롤 블록(120)의 제2접속단자(121b)를 통해 연결된 경우, 컨트롤 블록(120)은 제1조합정보를 및 제2조합정보를 기반으로 일측에 연결되어 배치된 수식의 결과값을 분석하고 이에 대응되는 음향을 출력시킨다. 여기서 출력되는 음향은 일측에 연결되어 배치된 수식의 결과값에 대한 음향 또는 단순히 일측에 배치된 수식의 텍스트를 읽어주는 음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3. 추가적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블록 완구 및 이를 이용한 학습 형태에 관한 설명
도17 내지 도2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블록 완구(200)를 설명하면, 스마트 블록 완구(200)는 다수의 일반 블록(210); 및 컨트롤 블록(22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 실시예에 대해서는 앞서 언급한 실시예와의 차이점 위주로 설명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블록 완구(200)를 구성하는 컨트롤 블록(220)의 구성적 특징은 상기 본 발명의 앞서 언급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블록 완구(100)를 구성하는 컨트롤 블록(120)의 구성적 특징에 대한 상기 기재와 동일하게 대응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일반 블록(210)은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측면 외에도 상, 하단에도 연결단자(212)가 형성되어 있어 이웃하는 블록(일반 블록(210) 또는 컨트롤 블록(220))과 접하도록 배치되면 각각의 단자를 통해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다시 말해 일반 블록(210)은 상면과 하면에도 별도의 연결단자(212)가 형성되어 있어 이웃하는 일반 블록(210)과 좌우측 기준의 배치형태 외에도 상하측 기준의 배치형태 또한 구현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일반 블록(210)은 상측 또는 하측에 이웃하는 일반 블록(210)의 전면과 후면을 구분하기 위해 상측 또는 하측에 형성된 연결단자(212) 역시 앞서 설명한 스마트 블록 완구(100)를 구성하는 일반 블록(110)의 연결단자 형태와 같이 2가지로 구분되어 일정한 방향성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고 있다.
그 결과, 일반 블록(200)은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마련된 칩(211)과 제1연결단자(212a), 제2연결단자(212b), 제3연결단자(212c), 제4연결단자(212d)를 통해 전기적 회로를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제1연결단자(212a) 및 제2연결단자(212b)의 구분은 일반 블록(200)의 양 측면에 형성된 연결단자(212) 중 좌측면에 위치하는 단자와 우측면에 위치하는 단자를 구분하기 위해 임의로 설명한 것이며, 제3연결단자(212c) 및 제4연결단자(212d)의 구분은 일반 블록(200)의 상, 하면에 형성된 연결단자(212) 중 상측면에 위치하는 단자와 하측면에 위치하는 단자를 구분하기 위해 임의로 설명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어 설계되어지지는 아니하고, 일반 블록(200)의 전면과 후면을 구분하기 위한 단자 형태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블록 완구(200)는 도19 및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블록(210)이 상하 측으로 배치되어 연결됨으로써 조합이 완성될 수 있고, 이와 같이 완성된 조합의 가장 하단에 위치한 일반 블록(210)이 컨트롤 블록(220)과 연결되어 짐으로써, 전체 조합에 대한 분석이 수행되어 질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정보가 이용자의 시야에서 인식되도록 배치된 일반 블록(210A)들의 상하 조합에 의해 문장이 완성되어 컨트롤 블록(220)에 연결될 경우, 컨트롤 블록(220)은 활성화된 분석부에 따라 연결된 일반 블록(210A)들의 상하 조합에 대응되는 음향을 출력시킬 수 있다.
또한,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정보가 이용자의 시야에서 인식되도록 배치된 일반 블록(210B)들의 조합에 의해 단어를 완성하여 컨트롤 블록(220)에 연결할 경우, 컨트롤 블록(220)은 활성화된 분석부에 따라 연결된 일반 블록(210A)들의 상하 조합에 대응되는 음향 또는 화면을 출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스마트 블록 완구
110 : 일반 블록
111 : 칩
112a : 제1연결단자 112b : 제2연결단자
120 : 컨트롤 블록
121a : 제1접속단자 121b : 제2접속단자
122 : 스피커 123: 메모리소자
124 : 컨트롤소자 125 : 통신 모듈
126 : 업데이트 모듈 127 : 기록 모듈

Claims (10)

  1. 제1면에는 제1정보가 표시되고, 제2면에는 제2정보가 표시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제1정보 및 제2정보에 해당하는 각각의 식별코드가 저장된 칩이 마련되고, 이웃하는 블록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게 하는 연결단자를 가지는 다수의 일반 블록; 및
    상기 일반 블록들의 조합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일반 블록들의 조합 상태를 분석하는 컨트롤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블록 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블록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일반 블록의 제1정보 또는 제2정보 중 상기 컨트롤 블록의 기준방향을 향해 표시되고 있는 정보의 식별코드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일반 블록으로부터 인식하여, 이를 기반으로 상기 일반 블록들의 조합 상태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블록 완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블록은,
    상기 일반 블록들의 연결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접속단자;
    출력정보를 출력시킬 수 있는 출력모듈;
    일반 블록들의 완성형 조합에 대한 제1조합정보, 상기 제1조합정보에 해당하는 조합을 제외한 일반 블록들의 단순배치형 조합에 대한 제2조합정보 및 조합정보 각각에 대해 대응되어 출력될 수 있는 출력정보가 기록된 메모리소자; 및
    상기 메모리소자에 기록된 제1조합정보 또는 제2조합정보를 기반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일반 블록들의 식별코드를 분석하여 이에 대응되는 출력정보를 상기 출력모듈를 통해 출력시키는 컨트롤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블록 완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모듈은 음향을 출력시킬 수 있는 스피커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소자에는 상기 제1조합정보 또는 상기 제2조합정보 각각에 대해 대응되어 출력될 수 있는 음향정보가 기록되어 있으며,
    상기 컨트롤소자는 상기 메모리소자에 기록된 제1조합정보 또는 제2조합정보를 기반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일반 블록들의 식별코드를 분석하여 이에 대응되는 음향정보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블록 완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모듈은 화면을 출력시킬 수 있는 스크린을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소자에는 상기 제1조합정보 또는 상기 제2조합정보 각각에 대해 대응되어 출력될 수 있는 화면정보가 기록되어 있으며,
    상기 컨트롤소자는 상기 메모리소자에 기록된 제1조합정보 또는 제2조합정보를 기반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일반 블록들의 식별코드를 분석하여 이에 대응되는 화면정보를 상기 스크린을 통해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블록 완구.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소자는,
    상기 제1조합정보 및 제2조합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접속단자를 통해 연결된 일반 블록들의 식별코드를 분석하는 제1분석부;
    상기 제1조합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접속단자를 통해 연결된 일반 블록들의 식별코드를 분석하는 제2분석부; 및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분석부 전환 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제1분석부 및 제2분석부 중 하나의 분석부를 활성화시키는 전환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환부를 통해 활성화된 제1분석부 또는 제2분석부는 분석한 정보를 기반으로 이에 대응되는 출력정보를 상기 메모리 소자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출력모듈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블록 완구.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블록은,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음성을 데이터화 하는 음성인식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소자는,
    상기 음성인식 모듈로부터 형성되는 음성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전환부를 통해 활성화된 제1분석부 또는 제2분석부가 상기 컨트롤 블록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일반 블록들의 식별코드를 분석하여 상기 메모리 소자로부터 추출한 음향정보와 상기 음성데이터의 일치 정도를 분석하는 제3분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분석부를 통한 분석 결과는 상기 출력모듈을 통해 출력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블록 완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블록은,
    단말기와 통신 연결될 수 있는 통신 모듈;
    상기 컨트롤소자를 통해 연결된 일반 블록들의 조합을 분석한 횟수 및 분석 내용에 대한 학습수행정보를 기록하는 기록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기록 모듈은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단말기로 기록한 학습수행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블록 완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단말기로부터 추가적인 조합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컨트롤 소자에 제공하고, 이를 제공 받은 상기 컨트롤 소자는 상기 추가적인 조합정보에 대응되는 음향정보 또는 화면정보를 선 출력시킨 뒤 상기 컨트롤 블록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일반 블록들의 식별코드를 분석하여 그 결과에 대응되는 음향정보 또는 화면정보를 후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블록 완구.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블록은,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단말기로부터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메모리소자에 기록된 정보를 갱신시키는 업데이트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블록 완구.
KR1020150072645A 2015-05-26 2015-05-26 스마트 블록 완구 KR101712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2645A KR101712487B1 (ko) 2015-05-26 2015-05-26 스마트 블록 완구
CN201610362540.3A CN106178543A (zh) 2015-05-26 2016-05-26 智能积木玩具
PCT/KR2016/005574 WO2016190677A1 (ko) 2015-05-26 2016-05-26 스마트 블록 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2645A KR101712487B1 (ko) 2015-05-26 2015-05-26 스마트 블록 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8608A true KR20160138608A (ko) 2016-12-06
KR101712487B1 KR101712487B1 (ko) 2017-03-07

Family

ID=57392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2645A KR101712487B1 (ko) 2015-05-26 2015-05-26 스마트 블록 완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712487B1 (ko)
CN (1) CN106178543A (ko)
WO (1) WO201619067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24342A1 (ko) * 2016-12-28 2018-07-05 위드큐브(주) 스마트 블록 기반 체감형 컨텐츠 구현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84547A (zh) * 2016-12-01 2017-02-08 珠海市杰理科技股份有限公司 智能教学装置及其控制方法
CN106492484A (zh) * 2016-12-30 2017-03-15 佛山市米原信息系统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益智积木拼盘
CN107123067A (zh) * 2017-04-21 2017-09-01 北京种月亮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带有颜色和数字的积木的综合认知方法及系统
CN107424445A (zh) * 2017-07-31 2017-12-01 深圳小西科技有限公司 一种积木式拼词主机、字符模块和拼词系统
CN107583279A (zh) * 2017-09-30 2018-01-16 上海黄龙物联网科技有限公司 指尖陀螺及其控制系统
CN109994005A (zh) * 2017-12-29 2019-07-09 南京乾纬智能科技有限公司 英语学习智能积木
CN109985401A (zh) * 2017-12-29 2019-07-09 南京乾纬智能科技有限公司 数学计算智能积木
CN108492679A (zh) * 2018-06-27 2018-09-04 中山乐宝电子科技有限公司 基于智能积木的可编程学习装置及方法
ES2695498A1 (es) * 2018-07-06 2019-01-08 Univ Madrid Complutense Dispositivo modular para el control y la organización espacio-temporal del aula
CN108905232B (zh) * 2018-07-13 2020-08-07 刘知迪 一种智能拼装积木
CN110634339B (zh) * 2019-09-27 2021-11-09 深圳职业技术学院 一种绘本读物与拼图结合的电子拼图设备
CN111013165B (zh) * 2019-12-26 2020-10-16 杭州高低科技有限公司 基于智能积木的汉字学习系统
TWM599455U (zh) * 2020-01-17 2020-08-01 曾建榮 具數據收集晶片之積木玩具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0662A (ja) * 2001-12-28 2003-07-08 Tomy Co Ltd ブロック玩具
KR100496679B1 (ko) * 2003-01-16 2005-06-22 조미영 전자매트를 이용한 영어학습방법 및 시스템
KR100806682B1 (ko) * 2006-10-13 2008-02-26 김달호 알파벳 블록을 이용한 파닉스 학습장치 및 그 방법
KR20140055435A (ko) * 2012-10-31 2014-05-09 김관석 블록 완구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4853Y1 (ko) * 2002-04-19 2002-11-13 유건식 식별코드를 이용한 전자학습시스템 및 학습정보 인출방법
KR100602591B1 (ko) * 2004-12-24 2006-07-25 김관석 블록완구
CN202289423U (zh) * 2011-07-18 2012-07-04 陈国平 排列组合式电子智力玩具
CN103041603B (zh) * 2012-12-07 2015-09-23 杭州合力电子有限公司 一种电子积木益智玩具
CN203694612U (zh) * 2013-12-11 2014-07-09 胡家安 一种电子积木及电子积木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0662A (ja) * 2001-12-28 2003-07-08 Tomy Co Ltd ブロック玩具
KR100496679B1 (ko) * 2003-01-16 2005-06-22 조미영 전자매트를 이용한 영어학습방법 및 시스템
KR100806682B1 (ko) * 2006-10-13 2008-02-26 김달호 알파벳 블록을 이용한 파닉스 학습장치 및 그 방법
KR20140055435A (ko) * 2012-10-31 2014-05-09 김관석 블록 완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24342A1 (ko) * 2016-12-28 2018-07-05 위드큐브(주) 스마트 블록 기반 체감형 컨텐츠 구현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90677A1 (ko) 2016-12-01
KR101712487B1 (ko) 2017-03-07
CN106178543A (zh) 201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2487B1 (ko) 스마트 블록 완구
KR100806682B1 (ko) 알파벳 블록을 이용한 파닉스 학습장치 및 그 방법
EP2571007A2 (en) Piano learning system for tablet and touchscreen devices
JP6450396B2 (ja) ブロック玩具
KR100940299B1 (ko) 결합 정보를 출력하는 교육용 완구
WO2005099414A2 (en) Comprehensive spoken language learning system
KR20170104278A (ko) 지능형 블록의 조합 상태 분석방법
JP6166831B1 (ja) 単語学習支援装置、単語学習支援プログラム、単語学習支援方法
KR101712488B1 (ko) 로봇, 스마트 블록 완구 및 이를 이용한 로봇 제어 시스템
KR102127093B1 (ko) Iot 모듈형 복합교육 놀이가구 서비스를 기반으로한 스마트 블록 놀이 학습장치
KR20100136203A (ko) 수준별 맞춤 대화형 외국어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92477B1 (ko) 외국어 말하기 학습 서버 및 방법
KR102156180B1 (ko) 전자펜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 시스템 및 외국어 학습 방법
KR100415236B1 (ko) 정전유도방식의 전자펜을 이용한 학습장치
CN107507467A (zh) 一种多媒体外语教学系统
KR101765880B1 (ko) 볼 입력 장치를 사용한 언어 학습 게임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52726A (ko) 휴대용 학습기
KR100491947B1 (ko) 문자학습장치
JP2014038140A (ja) 語学学習補助装置、語学学習補助方法、語学学習補助プログラム
KR20010088140A (ko) 외국어 학습을 위한 문장의 화면출력장치 및 방법
US20230230501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ve and handsfree language learning
KR101060285B1 (ko) 동영상외국어교육시스템, 동영상외국어교육시스템을 이용한 동영상외국어교육방법
KR200184044Y1 (ko) 어린이 지능 계발용 전자 학습기
KR20070099489A (ko) 영어가 디스플레이되는 주판
RU2697004C1 (ru) Способ обучения лексическому минимуму иностранных языков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4